KR20190079673A - 개선된 인열 특성을 갖는 합성지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인열 특성을 갖는 합성지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673A
KR20190079673A KR1020197016677A KR20197016677A KR20190079673A KR 20190079673 A KR20190079673 A KR 20190079673A KR 1020197016677 A KR1020197016677 A KR 1020197016677A KR 20197016677 A KR20197016677 A KR 20197016677A KR 20190079673 A KR20190079673 A KR 2019007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paper
composition
weight
tear streng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258B1 (ko
Inventor
마크 파슨즈
대니 네빈스
덕 브라운필드
Original Assignee
암파세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파세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암파세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7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granule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6All layers being made of paper or paper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4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32B2307/5825Tea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per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Wrapp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중합체 수지 및 저종횡비 필터, 인열 첨가제,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합성지. 본 발명은 또한 합성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지는 박엽지의 텍스처 및 외관을 갖는다.

Description

개선된 인열 특성을 갖는 합성지 및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합성지(synthetic paper), 더욱 특히, 종이와 같은 인열 및 접힘 특성을 갖는, 중합체 수지 및 저종횡비 충전제(low aspect ratio filler), 인열 첨가제,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합성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합성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지에 대한 조사 및 기술적 발전은 버진 플라스틱 수지(virgin plastic resin)로부터의 수성 잉크를 포함하는 다수의 잉크에 의해 인쇄되거나 쓰기가 될 수 있는 필름 또는 시트의 제조에 집중하고 있다. 필름의 측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적절성은 성분 유형 및 농도의 변동, 표면 처리의 종류에 의해, 또는 심지어 상이한 표면 코팅의 도포에 의해 인쇄되거나 필기가 되기에 적절하다. 기계적 및 광학 적절성은 또한 정성적으로 및 정량적으로 기재되고, 여기서 필름 강성률, 불투명도 및 밀도는 균형된 적절성으로 인쇄하기 위한 합성지 또는 필름을 제조할 때 고려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128,183호는 일반적으로 트위스트 보유를 개선하기 위해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및 아이소택틱 폴리에틸렌의 블렌드, 및 적어도 15중량%의 무정형 유리질 저분자량 수지(예컨대, 소나무 수지 및 포화 터펜(saturated terpene))를 포함하는 이축 배향된 필름을 기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합성지의 제조는 선물, 꽃 및 식품과 같은 패키지 포장지, 및 다른 포장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합성지에서 보이드(void)를 남기는데, 왜냐하면 현재까지 합성지는 종이와 같이 접히고 찢어지는 능력이 결여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현재까지 합성지는 통상적으로 원하는 내습성 및 냄새 방지를 달성하도록 코팅된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합성지는 불량한 죽은 접힘 특성을 갖고, 즉 재료는 원하는 접힘 각도를 유지시키고, "되튀지" 않는 능력이 결여된다. 더구나, 현재까지 개발된 합성지는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처음에 절단되지 않으면서 인열되기 어렵고 스트레칭될 때 왜곡될 것이다.
그러므로, 기름 얼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식품으로의 화학물질 및 왁스의 이동을 방지하는 식품 포장지로서 사용되는 합성지에 대한 수요가 당해 분야에 있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접힘을 유지시키고, 최소의 왜곡 내지는 왜곡 없이 다수의 방향으로 쉽게 찢어질 수 있는 박엽지(tissue paper) 유사 느낌을 갖는 합성지에 대한 수요가 당해 분야에 존재한다.
박엽지의 외관 및 느낌을 갖는 합성지 유사 필름과 관련된 방법 및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수지 필름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탄산칼슘(CaCO3)을 갖는 연속 올레핀 수지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의 1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합성지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CaCO3의 입자 크기는 적어도 20㎛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박엽지 유사 질감 및 외관을 갖는다. 예를 들어, 합성지는 종이를 스트레칭 또는 왜곡함이 없이 또는 인열하기 시작하는 종이를 절단함이 없이 찢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합성지의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및 약 10㎛ 내지 약 3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미립자 충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 필름의 1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합성지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합성지는 약 20° 내지 약 30°의 접힘 사각(dead fold angle)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미립자 충전제는 10중량%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미립자 충전제는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합성지는 적어도 2개의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적어도 3개의 수지층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약 0.5mil 내지 약 4mil의 두께를 갖는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합성지의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약 10㎛ 내지 약 3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미립자 충전제; 및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 필름의 1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합성지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합성지는 직각 방향(transverse direction)에서 약 100mN 내지 약 1000mN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Elmendorf tear strength)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약 20° 내지 약 30°의 접힘 사각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세로 방향(machine direction)에서 약 50mN 내지 약 750mN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갖는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미립자 충전제는 약 10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미립자 충전제는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더구나, 합성지는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적어도 2개의 층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층에서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제2 층에서의 폴리올레핀과 상이하다.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합성지의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여기서,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함); 및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 필름 층을 포함하는 합성지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합성지는 직각 방향에서 약 500mN 내지 약 1500mN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세로 방향에서 약 500mN 내지 약 1500mN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약 0.5mil 내지 약 4mil의 두께를 갖는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약 5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하기 기재된 도면(들)과 연결되어 제공되는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버진 HDPE 필름 및 종이의 접힘 사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합성지의 상이한 두께의 접힘 사각을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합성지의 인열 특성의 그래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합성지의 인열 특성의 그래프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합성지의 인열 특성의 그래프 예시도.
본 화합물, 조성물, 물품, 디바이스, 및/또는 방법을 개시하고 기재하기 전에, 이들이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특정한 합성 방법, 또는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특정한 성분으로 제한되지 않고, 그러므로 물론 변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문용어가 오직 특정한 실시형태를 기재할 목적을 위한 것이고 제한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고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정의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 사용된 바대로, 단수 형태 "일", "하나" 및 "이"는, 맥락이 명확히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중합체 수지"의 언급은 2개 이상의 이러한 중합체 수지의 혼합물, 및 기타를 포함한다.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약" 하나의 특정한 값으로부터, 및/또는 "약" 또 다른 특정한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시될 때, 또 다른 실시형태는 하나의 특정한 값으로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한 값으로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이 근사치로 표시될 때, 선행사 "약"의 사용에 의해, 특정한 값이 또 다른 실시형태를 형성한다고 이해될 것이다. 각각의 범위의 종점이 둘 다 다른 종점과 관련하여 유의미하고 다른 종점과 독립적이라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수의 값이 존재하고, 각각의 값이 값 자체 이외에 "약" 그 특정한 값으로 본 명세서에 또한 개시되어 있다고 또한 이해된다. 예를 들어, 값 "10"이 개시된 경우, "약 10"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값이 개시될 때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이해되는 것처럼 값 "이하", 값 "이상" 및 값 사이의 가능한 범위가 또한 개시되어 있다고 또한 이해된다. 예를 들어, 값 "10"이 개시된 경우, "10 이하", 및 "10 이상"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에 걸쳐, 데이터가 다수의 상이한 포맷으로 제공되고, 이 데이터가 종점 및 시작점, 및 데이터 점의 임의의 조합에 대한 범위를 나타낸다고 또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특정한 데이터 점 "10" 및 특정한 데이터 점 "15"가 개시되는 경우, 10 및 15 초과, 이상, 미만, 이하, 및 10 및 15, 및 10 내지 15가 개시된다고 생각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2개의 특정한 단위 사이의 각각의 단위가 또한 개시되는 것으로 또한 이해된다. 예를 들어, 10 및 15가 개시되는 경우, 11, 12, 13 및 14가 또한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 및 하기하는 청구항에서, 하기 의미를 갖도록 정의되어야 하는 다수의 용어에 인용이 이루어질 것이다:
"선택적인" 또는 "선택적으로"는 후속하여 기재된 사건 또는 상황이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 및 설명이 상기 사건 또는 상황이 일어나는 경우 및 이것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지 필름 조성물
상기 간단히 기재된 것처럼, 본 발명의 합성지는 수지 필름의 1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수지 필름은 중합체 수지 및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합성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수지 필름은 중합체 수지, 저종횡비 충전제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더욱 또 다른 양태에서, 합성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수지 필름은 중합체 필름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하기 더 자세히 기재된 다른 첨가제는 상기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합성지가 되는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조성물의 각각의 성분은 하기 더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및 다른 재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재료의 조합, 하위집단, 상호작용, 그룹 등이 개시될 때, 이들 화합물의 각각의 다양한 개별적인 및 총체적인 조합 및 순열의 특정한 언급이 명확히 개시되지 않을 수 있지만, 각각은 구체적으로 고려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합성지의 특정한 실시형태가 개시되고 기재되어 있고,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변형이 기재된 경우, 구체적으로 반대로 표시되지 않는 한, 합성지의 각각의 및 모든 조합 및 순열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성분 A, B 및 C, 및 성분 D, E 및 F가 개시되고, A 내지 D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예가 기재되는 경우, 각각이 개별적으로 인용되지 않더라도, 각각은 개별적으로 및 총체적으로 고려되고, 예를 들어 A 내지 E, A 내지 F, B 내지 D, B 내지 E, B 내지 F, C 내지 D, C 내지 E 및 C 내지 F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고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하위집단 또는 이들의 조합은 또한 개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A 내지 E, B 내지 F 및 C 내지 E의 하위그룹은 개시된다고 생각될 것이다. 이 개념은 개시된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에서의 단계(이들로 제한되지는 않음)를 포함하는 본 출원의 모든 양태에 적용된다. 따라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추가적인 단계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 추가적인 단계의 각각이 개시된 방법의 임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실시형태의 조합과 수행될 수 있다고 이해된다.
중합체 수지
조성물은 중합체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지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매우 저밀도의 폴리에틸렌(VLDPE),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초저분자량 폴리에틸렌(ULMWPE 또는 PE-왁스),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PEX 또는 XLPE), 고밀도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HDXLPE),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동종중합체 또는 에틸렌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올레핀 단량체로 제조된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PP) 중합체, 저밀도 폴리프로필렌(LDPP), 고밀도 폴리프로필렌(HDPP), 및 이들의 조합은 폴리올레핀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폴리올레핀은 메탈로센 촉매화된 폴리올레핀(즉, 플라스토머(plastomer)) 수지이다.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EVA 공중합체 및 플라스토머의 조합은 중합체 수지로서 사용하기에 고려된다. 예를 들어, 다른 중합체 재료와 함께 또는 이것 없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중합체 재료와 함께 또는 이것 없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수지는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올레핀-공중합체이다. 올레핀 공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에틸렌 뷰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다. LDPE는 약 0.910g/㎤ 내지 약 0.940g/㎤의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다. LLDPE는 약 0.915g/㎤ 내지 약 0.925g/㎤의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또 다른 양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고밀도 폴리프로필렌(HDPE)이다. HDPE의 밀도는 약 0.940g/㎤ 내지 약 0.960g/㎤일 수 있고, 일 실시형태에서, 약 0.941g/㎤ 초과이다. HDPE는 적어도 약 200,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HDPE의 분자량은 약 200,000 내지 3,000,000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HDPE는 적어도 약 500,000의 분자량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HDPE는 적어도 약 750,000의 분자량을 갖는다. 예를 들어, HDPE는 약 1,000,000 내지 약 1,500,000의 범위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HDPE는 약 2,000,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더욱 또 다른 양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매우 저밀도의 폴리에틸렌(VLDPE)이다. VLDPE의 밀도는 약 0.880g/㎤ 내지 약 0.915g/㎤이다. 더욱 또 다른 양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이다. MDPE의 밀도는 약 0.926g/㎤ 내지 약 0.940g/㎤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재활용된 또는 생체분해성 폴리올레핀 수지이다. 예를 들어, 중합체 수지는 재생 가능한 원료로부터 유래된 바이오플라스틱 또는 생체분해를 증대시키는 생체분해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석유화학제품으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폴리에스터(예를 들어,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예컨대 폴리-3-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PHB), 폴리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PHV) 및 폴리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PHH), 폴리락트산(PLA), 폴리뷰틸렌 숙시네이트(PBS) 및 폴리카프로락톤(PCL))로부터 제조된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별 유도체; 또는 셀룰로스 에스터를 포함한다.
중합체 수지는 조성물의 약 2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양으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조성물의 약 30중량% 내지 약 8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80%의 중합체 수지를 포함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조성물의 약 60중량% 내지 약 8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40% 내지 약 60%의 중합체 수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폴리에틸렌계이고, 조성물의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를 차지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45% 내지 약 55%의 LDPE, LLDP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종횡비 충전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저종횡비 충전제 재료를 포함한다. 조성물에 포함될 때, 적합한 저종횡비 충전제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황산염 및 인산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 재료는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인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저종횡비 충전제, 예를 들어 탈크, 실리카, 운모 등이 또한 고려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는 탄산칼슘(CaCO3)을 포함한다.
저종횡비 충전제의 입자 크기가 생성된 필름의 특성에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이해되고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저종횡비 충전제가 크기가 다양한 입자를 내부에 가질 수 있다고 또한 이해되고 고려된다. 그러므로, 평균 입자 크기(또는 평균 입자 크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저종횡비 충전제를 정의하도록 사용된다. 저종횡비 충전제에서의 입자의 크기는 분말 입자 크기 분석의 표준 가이드인 ASTM E2651-1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적어도 약 10마이크론이다. 예를 들어, 저종횡비 충전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약 10마이크론 내지 약 30마이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는 약 12마이크론 내지 약 21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특히, 저종횡비 충전제는 약 12마이크론, 약 17마이크론, 약 21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 또는 약 12마이크론 내지 약 21마이크론의 범위 내의 다른 특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적어도 약 18마이크론이다. 이 양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는 약 18 내지 약 50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종횡비 충전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약 20 내지 약 40마이크론, 약 20 내지 약 30마이크론의 범위, 또는 이들 사이의 다른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이다. 저종횡비 충전제는 조성물의 약 10중량% 내지 약 8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20% 약 60%의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20% 내지 약 50%의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는 조성물의 약 20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그러나, 저종횡비 충전제의 다른 범위는 조성물에 포함된 다른 성분의 양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저종횡비 충전제는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70%, 약 10% 내지 약 50% 및 약 10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중합체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예컨대 LDPE 또는 LLDPE, 및 저종횡비 충전제, 예컨대 CaCO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중합체 수지는 조성물의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고, 저종횡비 충전제는 조성물의 약 20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지 필름은 약 45% 내지 약 55%의 LDPE 또는 LLDPE 및 약 30% 내지 약 40%의 CaCO3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이 양태에서, CaCO3은 약 12마이크론 내지 약 21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인열 첨가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인열 첨가제를 포함할 때, 인열 첨가제의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블록 공중합체, 교대 중합체, 스테레오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열 첨가제는 분지형(예를 들어, 별, 브러시 또는 빗) 또는 선형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공중합체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라이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오쏘에스터), 폴리(포스파젠), 폴리(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하이드록시뷰타레이트), 폴리(락타이드-코-카프로락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아마이드,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다이옥사논), 폴리(알킬렌 알킬레이트)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오쏘에스터의 공중합체, 생체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노산),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아마이드, 폴리에터에스터, 폴리아세탈, 폴리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아세탈, 폴리케탈, 폴리포스포에스터, 폴리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 또는 폴리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 폴리알킬렌 옥살레이트, 폴리알킬렌 숙시네이트, 폴리(말레산)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공중합체는 폴리(락타이드), 95:5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85:15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75:25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65:35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50:50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여기서, 비율은 몰비임)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지 필름은 중합체 수지, 저종횡비 충전제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서 인열 첨가제는 블록 공중합체, 교대 중합체, 스테레오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는 탄산칼슘(CaCO3)을 포함하고, 조성물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지 필름은 중합체 수지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서 인열 첨가제는 블록 공중합체, 교대 중합체, 스테레오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인열 첨가제는 또한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COC")일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대로, COC는 에틸렌과 환형 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환형 올레핀 단량체는 사이클로펜타다이엔 또는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의 유도체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환형 올레핀 단량체는 노보넨, 다이하이드로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페닐 노보넨,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인열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COC는 또한 다양한 환형 단량체의 개환 복분해 중합, 이어서 수소화(환형 올레핀 중합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COC는 환형 단량체, 예컨대 8,9,10-트라이노보른-2-엔(노보넨) 또는 1,2,3,4,4a,5,8,8a-옥타하이드로-1,4:5,8-다이메타노나프탈렌(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과 에탄의 사슬 공중합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인열 첨가제는 에틸렌 및 노르보넨의 COC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COC는 에틸렌 및 노르보넨의 5:95, 10:80, 15:85, 20:80, 25:75, 30:70, 35:65, 40:60, 45:55, 50:50, 55:45, 60:40, 65:35, 70:30, 75:25, 80:20, 85:15, 90:10, 또는 95:5 몰비이다.
그러므로, 일 실시형태에서, 수지 필름은 중합체 수지, 저종횡비 충전제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서 인열 첨가제는 COC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저종횡비 충전제는 탄산칼슘(CaCO3)을 포함하고,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지 필름은 중합체 수지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서 인열 첨가제는 COC를 포함한다.
인열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인열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15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인열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10%의 인열 첨가제를 포함한다.
다른 첨가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특수 효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수 효과 물질은 착색 안료, 진주광택 안료, 광 간섭 안료, 매트 첨가제, 또는 다른 특수 효과 안료(이들로 제한되지는 않음)를 포함하는 시각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특수 효과 물질은 첨가제의 특정한 원하는 결과에 따라 조성물의 약 1중량% 내지 약 30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 효과 물질은 조성물의 약 5중량% 내지 약 25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약 20중량% 내지 약 25중량%의 양으로 매트 첨가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착색 안료는 조성물의 약 5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약 5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양으로 진주광택 안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기능성 첨가제, 예컨대 대전방지제, 김서림방지제, 난연제, 건조제, 항산화제, 산소 소거제, 자외선 저해제, 수분 차단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방지 첨가제의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슬라이딩 첨가제, 예컨대 에루카마이드 아마이드 및 올레아마이드와 혼합될 가능성으로, 혼합물에 존재하거나 에톡실화 아민 및 알킬 아민 또는 지방산 아마이드, 예컨대 스테아라마이드와 함께 존재하지 않든,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의 지방산 에스터, 예컨대 글라이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것처럼, 대전방지제는 일반적으로 이동 및 비이동 화학물질에서 이용 가능하다. 둘 다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하기에 독립적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대전방지제는 이동 마스터배치에 존재하여서, 최종 중합체가 형성될 때 대전방지 특성이 효과를 발휘한다. 더 구체적으로, 저분자량 대전방지제는 중합체의 표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서, 코팅이 공기로부터 수증기를 활발히 포획하는 점에서 미시적으로 얇은 코팅을 형성한다. 포획된 물은 결국 전도체가 되어서 정전기를 소산시킨다. 표면에 존재하는 대전방지제가 사용에 걸쳐 닦여져야 하는 경우, 더 많은 대전방지제가 중합체로부터 이동하여서 이것을 대체한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는 합성지의 최종 용도에 따라 아민을 포함하거나 아민 비함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제는 전자제품 패키징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거나 이것과 접촉된 패키징에서 사용하기에 추천되지 않는다. 존재할 때, 아민은 약 1중량% 내지 약 5중량%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전방지제는 비이동 마스터배치에 존재한다. 이러한 마스터배치는 대기 습도와 독립적이고, 네트워크를 침투하는 정전기를 형성함으로써 조성물(및 궁극적으로 합성지)에 대전방지 특성을 제공한다. 다른 말로, 임의의 특정한 이론에 의해 구속됨이 없이, 물질 자체는 전도성이고,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경우, 물질과 비전도성 중합체 사이의 갭이 터널링 효과를 허용하는 크기인 한, 전기는 중합체를 관통하여 터널을 뚫을 수 있다.
본 발명과 사용하기 위한 항산화제의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페놀-, 방향족 아민-, 설페이트-, 머캅탄-, 포스파이트-, 벤조페논- 및 이의 유도체-, 벤조트라이아졸-, 입체 장애 아민-, 살리실산-, 크로모- 및 망간염-, 인 화합물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의 특정한 원하는 결과에 따라 조성물의 약 1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가제의 이러한 유형은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3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약 5중량% 내지 약 30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1종의 건조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항산화제는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약 5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양으로 산소 소거제를 포함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자외선 저해제는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1종의 수분 차단제를 포함한다. 김서림방지제 및 난연제는 각각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대전방지제는 조성물의 약 1중량% 내지 약 8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2중량% 내지 약 4중량%의 이동 대전방지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1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이동 대전방지제를 포함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5중량% 내지 약 8중량%의 이동 대전방지제를 포함한다. 비이동 대전방지제는 조성물의 약 15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용화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상용화제는 이중블록 SB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 삼중블록 SBS 또는 별 및 선형 다중블록 또는 "흑연화"(그래프팅된), 다중블록 SB 수소화 공중합체, 예컨대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SEBS),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스타이렌(S) 또는 무수 말레산(MAH)의 흑연화 공중합체, 예컨대 PP-g-S, PP-g-MAH, PE-g-S, PE-g-MAH,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포함된 상용화제가 조성물의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을 때. 일 실시형태에서, 상용화제는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을 때, 즉 조성물이 중합체 수지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지만,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을 때, 블로킹방지 첨가제는 필름이 함께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 이러한 조성물에서 유용한 적합한 블로킹방지 첨가제는, 슬라이딩 첨가제, 예컨대 에루카마이드 아마이드 및 올레아마이드와 혼합되거나, 지방산 아마이드, 예컨대 스테아라마이드와의 혼합물로 존재할 가능성으로, 표면 처리를 갖거나 갖지 않는 다공성 및 비다공성 합성 실릭(sylic), 실리케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실리콘의 얇은 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약 1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적어도 1종의 블로킹방지 첨가제를 포함한다. 존재할 때, 슬라이딩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합성지를 제조하는 방법
이의 가장 단순한 형태로 있으면서, 본 발명의 합성지는 수지 필름의 단일 층으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서 수지 필름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다. 그러나, 합성지가 수지 필름의 다중 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완전히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합성지는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적어도 3개의 층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4개 초과의 층을 포함한다. 실제로, 합성지는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10개,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17개, 18개, 29개, 20개, 25개, 30개, 35개, 40개, 45개 또는 50개 또는 이것 초과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지가 수지 필름의 다중 층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 중합체 조성물이 합성지에 주어진 시각 및 질감 효과, 및 필름의 의도된 용도를 고려하여 필름의 다른 물리적 속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이해된다. 따라서, 합성지의 각각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조성물은 독립적이고, 임의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층과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합성지의 각각의 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각각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조성물이 모두 동일한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각각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조성물이 모두 상이한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적어도 1개의 층이 다른 층(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조성물에 포함된 중합체 수지와 상이한 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합성지는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제2 층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상기 기재된 임의의 다른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합성지의 개별 층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고, 개별 층의 비율이 상이한 시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고 이해되고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합성지가 2개의 층을 포함할 때, 각각의 층은 합성지의 약 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합성지가 2개의 층을 포함할 때, 각각의 층은 합성지의 1, 2, 3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중량%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남은 층은 합성지의 남은 백분율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합성지가 3개의 층을 포함할 때, 각각의 층은 합성지의 중량의 동일한 부분(즉, 1/3 부분)을 포함하거나, 상이한 비율일 수 있어서, 층의 기껏해야 2개는 동일한 양을 포함하는 한편, 남은 층은 합성지의 전체 중량의 상이한 중량 백분율을 포함하거나, 모든 3개의 층은 합성지의 전체 중량의 상이한 중량 백분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즉, 외부) 층 및 제3 층(즉, 가장 내부 층)이 각각 합성지의 20중량%(전체 40%)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제2(중간 또는 코어) 층이 합성지의 전체 중량의 남은 60%를 포함한다고 고려된다. 이 양태에서, 층 중량 비율의 임의의 조합은 5:90:5; 10:80:10; 15:70:15; 20:60:20; 25:50:25; 30:40:30; 35:30:35; 40:20:40; 45:10:45; 5:5:90; 10:10:80; 15:15:70; 20:20:60; 25:25:50; 30:30:40; 35:35:30; 40:40:20; 45:45:10; 90:5:5; 80:10:10; 70:15:15; 60:20:20; 50:25:25; 40:30:30; 30:35:35; 20:40:40; 10:45:45; 5:10:85; 10:15:75; 15:20:65; 20:25:55; 25:30:45; 10:5:85; 15:10:75; 20:15:65; 25:20:55; 30:25:45; 85:10:5; 75:15:10; 65:20:15; 55:25:20; 45:30:25; 85:5:10; 75:10:15; 65:15:20; 55:20:25; 45:25:30; 5:85:10; 10:75:15; 15:65:20; 20:55:25; 25:45:30;10: 85:5; 15:75:10; 20:65:15; 25:55:20; 또는 30:45:25 또는 임의의 다른 조합(이들로 제한되지는 않음)의 외부:중간:내부 백분율을 포함하여서 합성지에 존재할 수 있다.
합성지의 다중 층을 쌓기 위해 사용된 상대 조성이 주로 분야 및 층의 유형, 즉 외부, 내부 또는 코어에 따라 변한다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중간 또는 코어 층은 약 40% 내지 약 80%의 폴리올레핀 수지, 20% 내지 약 40%의 저종횡비 충전제 및 약 1% 내지 약 20%의 인열 첨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1개의 층은 인열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층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이전에 기재된 바대로, 특수 효과 물질은 시각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다. 그러므로, 특수 효과 물질은 수지 필름의 단일 층을 포함하는 합성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이 다중 층을 포함하는 경우, 특수 효과 물질은 다층 중합체 필름의 임의의 층으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는 수지 필름의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층 둘 다는 내부에 분산된 특수 효과 물질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는 2개 초과의 층, 예를 들어 3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층 및 제3 층의 각각은 특수 효과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는 3개의 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층은 특수 효과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이 양태에서, 각각의 층에 포함된 특수 효과 물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합성지는 원하는 분야를 고려하여 필요한 임의의 두께일 수 있다. 두께는 층의 수 및/또는 1개 이상의 개별 층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합성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0.5mil 내지 약 4.0mil의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약 0.5mil 내지 약 3.0mil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약 0.5mil 내지 약 2.0mil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합성지가 다중 층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층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지가 약 1.0 mil의 전체 두께를 갖지만 다중 층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층의 두께는 약 0.5mil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합성지가 약 2.0mil의 전체 두께를 갖지만 다중 층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층의 두께는 약 1.5mil일 수 있고, 제2 층의 두께는 약 0.5mil일 수 있다.
합성지가 1개 초과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층은 합성지의 전제 두께의 1, 2, 3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를 차지할 수 있는 한편, 남은 층은 합성지의 남은 백분율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합성지는 제1 층이 합성지의 전제 두께의 약 20% 내지 약 40%를 차지하고 제2 층이 합성지의 전제 두께의 약 60% 내지 약 80%를 차지하는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층은 합성지의 전제 두께의 약 10% 내지 약 20%를 차지하고, 제2 층은 합성지의 전제 두께의 약 80% 내지 약 90%를 차지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층은 합성지의 전제 두께의 약 30% 내지 약 50%를 차지하고, 제2 층은 합성지의 전제 두께의 약 50% 내지 약 70%를 차지한다.
합성지는 취입 또는 캐스트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조성물에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의 순서 및 방법은 중요하지 않다. 일 실시형태에서, 성분은 동시에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지는 또한 의도된 최종 용도에 따라 광택 있는 표면 처리 또는 흐릿한 표면 처리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계 코팅 및 비수계 코팅 둘 다는 본 발명의 합성지를 코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계 코팅의 제제는 아크릴릭 수지, 아이소프로판올, 폴리비닐 알코올, 점토, 대전 방지제, 28% 수성 암모니아, 순수 및 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지는 가장 흔한 인쇄 방법 및 잉크 시스템을 수용하는 표면을 갖는다. 그러므로, 플렉소그래피, 그라비어, 레터프레스, 스크린 또는 오프셋 프레스가 본 발명의 합성지에서 라인 작업 또는 멀티 컬러 공정을 인쇄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는 것이 고려된다.
합성지의 특성
죽은 접힘 특성
임의의 특정한 이론에 의해 구속됨이 없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저종횡비 충전제의 사용은 생성된 합성지의 죽은 접힘 특성을 개선한다고 생각된다. "죽은 접힘"은 접힘 또는 크리스를 보유하는 합성지의 능력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탁월한 죽은 접힘 특성을 갖는 재료는 금속 포일(metal foil), 종이, 폴리스타이렌 및 PVC를 포함한다. 죽은 접힘 특성에 대한 종래의 시험은 상온에서 재료에서 180° 접힘을 만들고 이후 일정 기간 후 접힘이 열리는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더 낮거나 더 작은 각도는 더 높은 죽은 접힘 보유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접힘 사각은 약 5분의 기간 후 접힘의 각도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대로, 2mil의 두께를 갖는 버진 HDPE 필름은 5분 후 약 75°의 접힘 사각을 갖는다. 비교하면, 약 3.75mil의 두께를 갖는 한 장의 복사 용지는 5분 후 약 20°의 접힘 사각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합성지는 버진 폴리에틸렌 필름에 비해 개선된 죽은 접힘 특성 및 복사 용지에 필적하는 죽은 접힘 특성을 나타낸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합성지는 5분 후 약 50° 이하의 접힘 사각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5분의 기간 후 본 발명의 합성지의 접힘 사각은 약 10° 내지 약 40°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는 5분 후 약 20° 내지 약 30°의 접힘 사각을 갖는다.
인열 특성
임의의 특정한 이론에 의해 구속됨이 없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인열 첨가제의 사용은 프라이밍 컷(priming cut)에 대한 필요 없이 합성지의 최소 스트레칭 또는 스트레칭 무에 의해 종이가 찢어지게 허용하는 합성지를 생성시킨다고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인열 강도는 조성물에서의 인열 첨가제의 렛다운 비율(let-down ratio)(즉, 전체 조성물의 중량 기준의 인열 첨가제의 중량%)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ASTM D1922)는 직각 방향에서 약 50mN 내지 약 4000mN의 범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대로, 직각 방향은 작용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직각 방향에서 약 100mN 내지 약 3500mN의 범위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직각 방향에서 약 100mN 내지 약 1900mN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LDPE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직각 방향에서 약 100mN 내지 약 1500mN의 범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LDPE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직각 방향에서 약 100mN 내지 약 500mN의 범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HDPE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직각 방향에서 약 50mN 내지 약 800mN의 범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HDPE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직각 방향에서 약 100mN 내지 약 600mN의 범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ASTM D1922)는 세로 방향에서 약 50mN 내지 약 3500mN의 범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대로, 세로 방향은 작용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세로 방향에서 약 100mN 내지 약 2000mN의 범위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세로 방향에서 약 100mN 내지 약 1000mN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LDPE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세로 방향에서 약 50mN 내지 약 1500mN의 범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LDPE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세로 방향에서 약 50mN 내지 약 500mN의 범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HDPE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세로 방향에서 약 50mN 내지 약 400mN의 범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HDPE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세로 방향에서 약 50mN 내지 약 150mN의 범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지의 인열 특성은 또한 버진 필름과 비교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진 LLDPE 필름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직각 방향에서 약 5% 및 세로 방향에서 적어도 약 10%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하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95% 내지 약 45%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85% 내지 약 45%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55% 내지 약 45%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세로 방향에서 버진 L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90% 내지 약 45%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65% 내지 약 45%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55% 내지 약 45%이다.
버진 LDPE 필름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LDPE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때, 직각 방향에서 적어도 약 35% 및 세로 방향에서 적어도 약 10%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하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65% 내지 약 20%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50% 내지 약 20%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25% 내지 약 20%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90% 내지 약 50%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70% 내지 약 50%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60% 내지 약 50%이다.
버진 LDPE 필름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LDPE, 저종횡비 충전제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때, 직각 방향에서 적어도 약 15%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하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85% 내지 약 15%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82% 내지 약 15%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25% 내지 약 15%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100% 내지 약 20%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45% 내지 약 20%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30% 내지 약 20%이다.
버진 HDPE 필름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합성지는, HDPE, 저종횡비 충전제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때, 세로 방향에서 적어도 약 5%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하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H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100% 내지 약 60%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H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80% 내지 약 60%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각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H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75% 내지 약 65%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H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95% 내지 약 70%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로 방향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H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85% 내지 약 70%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는 버진 LDPE 필름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약 80% 내지 약 70%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인열은 더 적은 소음으로 생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인열은 복사 용지 또는 본드지(bond paper)의 인열보다 적어도 20% 조용하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합성지는 영화관, 공공화장실 등에서 포장재에 사용된다.
장벽 특성
본 발명의 합성지는 탁월한 내수성 및 내유지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합성지의 또 다른 상당한 이점은 개선된 산소 및 수분 장벽 특성이다. 본 발명의 합성지는 비코팅된 포장 재료에 비해 산소 장벽의 약 30 내지 약 60%의 개선 및 수분 장벽 특성의 약 40% 이하의 개선을 제공한다. 다른 말로, 본 발명의 합성지는 왁스지의 것과 유사한 MVTR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합성지의 수분 증기 투과는 흡수, 예를 들어 특정한 조건에서 일정 기간에 걸쳐 중량 이득 또는 크기 이득, 및 투과, 예를 들어 ASTM E96-00에 따른 수분 증기 투과율(MVTR)의 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MVTR은 특정한 온도 및 습도 차이에서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당 소정의 두께의 재료로 확산된 수증기의 질량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100% 상대 습도 및 72℉에서 7주의 기간에 걸쳐 모니터링된 합성지의 중량 변화는 본 발명의 합성지가 종래의 왁스지에 필적하는 내수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돕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는 7주 후 약 0.15그램 이하의 중량 이득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는 7주 저장 기간 후 약 0.13그램 이하의 중량 이득을 갖는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중량 이득은 7주 후 약 0.09그램 이하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량 이득은 7주 기간 후 약 0.06그램 이하이다. 본 발명의 합성지는 바람직하게는 7주 저장 기간 후 약 0.03그램 이하의 중량 이득을 갖는다.
불투명도
본 발명의 합성지는 약 50% 내지 약 95% 불투명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의 불투명도는 약 60% 내지 약 95%이다. 더욱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합성지는 약 70% 내지 약 85% 불투명할 수 있다.
재활용성
상기 언급된 바대로, 재활용된 또는 생체분해성 폴리올레핀은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합성지가 완전히 재활용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고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종이는 인쇄, 포장 및 장식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합성지는 식품, 델리 및 육류 포장지, 베이커리 포장, 츄잉검 포장, 조미료/감미료 통, 개인 관리 통, 스낵 백 파우치, 선물 포장지, 꽃 포장지, 공예 분야, 콘크리트 백 및 상품 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사실, 본 발명의 합성지는 종래의 종이 식품 포장지와 비교하여 기름 얼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식품으로의 화학물질 및 왁스의 이동을 방지한다.
실시예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단지 예시하고, 범위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실시예 1: 폴리올레핀 수지 및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폴리올레핀 수지 및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대로 형성되었다:
Figure pct00002
표 3에 기재된 바대로, 조성물 A 내지 F가 세로 방향(MD) 및 직각 방향(TD)에서 시험될 때, 저종횡비 충전제에서의 더 낮은 입자 크기는 가장 높은 %의 연신율 및 인장 강도를 생성하였다.
Figure pct00003
또한, 세로 방향 또는 직각 방향에서 조성물 A와 C 또는 조성물 D와 F 사이에 시험된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2: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이한 유형의 폴리올레핀 수지 및 다양한 양의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필름을 형성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폴리올레핀 수지는 조성물의 50중량% 내지 55중량%의 양으로 사용되었다.
도 3a는 LLDPE 필름에 대한 다양한 양의 인열 첨가제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인열 첨가제의 2%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5%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12% 하강하였다. 인열 첨가제의 5%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19%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39% 하강하였다. 인열 첨가제의 10%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53%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51% 하강하였다.
도 3b는 LDPE 필름에 대한 다양한 양의 인열 첨가제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인열 첨가제의 2%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36%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12% 하강하였다. 인열 첨가제의 5%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52%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36% 하강하였다. 인열 첨가제의 10%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78%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44% 하강하였다.
도 3c는 HDPE 필름에 대한 다양한 양의 인열 첨가제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인열 첨가제의 5%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7%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하강이 없었다. 인열 첨가제의 10%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8%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하강이 없었다. 2% 로딩에서 세로 방향 또는 직각 방향에서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에 대한 효과가 없었다.
실시예 3: 저밀도 폴리올레핀, 저종횡비 충전제, 인열 첨가제 및 색상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폴리올레핀 수지, 색상 첨가제, 다양한 양의 인열 첨가제 및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필름을 형성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폴리올레핀 수지는 조성물의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LDPE이고, 색상 첨가제는 조성물의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갈색 마스터배치이고, 저종횡비 충전제는 조성물의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21㎛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탄산칼슘이었다.
도 4는 인열 첨가제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인열 첨가제의 2%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16%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하강이 없었다. 인열 첨가제의 5%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19%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60% 하강하였다. 인열 첨가제의 10%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80%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75% 하강하였다.
도 3b를 도 4와 비교하면, 시험은 LDPE, 저종횡비 충전제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오직 LDPE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것에 비해 탁월한 인열 특성을 갖는 수지 필름을 형성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고밀도 폴리올레핀, 저종횡비 충전제 및 인열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폴리올레핀 수지, 다양한 양의 인열 첨가제 및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필름을 형성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폴리올레핀 수지는 조성물의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HDPE이고, 저종횡비 충전제는 조성물의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21㎛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탄산칼슘이었다. 대조군은 오직 HDPE를 포함하고, 저종횡비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았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3에서 LDPE에 의해 수득된 결과가 HDPE에 의해 실현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인열 첨가제의 2%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10%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의 하강이 없었다. 인열 첨가제의 5%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20%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28% 하강하였다. 인열 첨가제의 10% 로딩에서, 세로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25% 하강하고, 직각 방향에서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가 30% 하강하였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범위를 기재하는 숫자 범위 및 매개변수가 근사치임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재된 숫자 값은 가능한 한 정확히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임의의 숫자 값은 본래 이의 각각의 시험 측정에서 발견된 표준 편차로부터 반드시 생기는 소정의 오차를 함유한다. 더욱이, 다양한 범위의 숫자 범위가 본 명세서에 기재될 때, 인용된 값을 포함하는 이들 값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형태에 의해 범위에서 제한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들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몇몇 양태의 예시로서 의도되기 때문이다. 임의의 균등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재된 것 이외의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또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합성지(synthetic paper)로서,
    상기 합성지의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및
    약 10㎛ 내지 약 3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미립자 충전제
    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 필름의 1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되,
    상기 합성지는 약 20° 내지 약 30°의 접힘 사각(dead fold angle)을 갖는, 합성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합성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충전제는 10중량%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합성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충전제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합성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지는 적어도 2개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합성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지는 적어도 3개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합성지.
  7. 제1항에 있어서, 약 0.5mil 내지 약 4mil의 두께를 갖는, 합성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합성지.
  9. 합성지로서,
    상기 합성지의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약 10㎛ 내지 약 3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미립자 충전제; 및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 필름의 1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되,
    상기 합성지는 직각 방향(transverse direction)에서 약 100mN 내지 약 1000mN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Elmendorf tear strength)를 갖는, 합성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지는 약 20° 내지 약 30°의 접힘 사각을 갖는, 합성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지는 세로 방향(machine direction)에서 약 50mN 내지 약 750mN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갖는, 합성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충전제는 약 10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합성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충전제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합성지.
  14.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합성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층은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층 내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제2 층 내의 폴리올레핀과는 상이한, 합성지.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합성지.
  17. 합성지로서,
    상기 합성지의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및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 필름 층을 포함하되,
    상기 합성지는 직각 방향에서 약 500mN 내지 약 1500mN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갖는, 합성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지는 세로 방향에서 약 500mN 내지 약 1500mN의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갖는, 합성지.
  19. 제17항에 있어서, 약 0.5mil 내지 약 4mil의 두께를 갖는, 합성지.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의 약 5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합성지.
KR1020197016677A 2016-11-14 2017-11-14 개선된 인열 특성을 갖는 합성지 및 제조 방법 KR102435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1641P 2016-11-14 2016-11-14
US62/421,641 2016-11-14
PCT/US2017/061535 WO2018089999A1 (en) 2016-11-14 2017-11-14 Synthetic paper with improved tear proper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US15/812,276 2017-11-14
US15/812,276 US20180134014A1 (en) 2016-11-14 2017-11-14 Synthetic paper with improved tear proper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673A true KR20190079673A (ko) 2019-07-05
KR102435258B1 KR102435258B1 (ko) 2022-08-24

Family

ID=6210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677A KR102435258B1 (ko) 2016-11-14 2017-11-14 개선된 인열 특성을 갖는 합성지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80134014A1 (ko)
EP (1) EP3538612A4 (ko)
JP (1) JP7169273B2 (ko)
KR (1) KR102435258B1 (ko)
CN (1) CN110121536B (ko)
AR (2) AR110085A1 (ko)
BR (1) BR112019009621B1 (ko)
CA (1) CA3043603A1 (ko)
EA (1) EA201991187A1 (ko)
IL (1) IL266536B2 (ko)
MX (1) MX2019005624A (ko)
UA (1) UA125471C2 (ko)
WO (1) WO2018089999A1 (ko)
ZA (1) ZA2019035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1893B2 (en) * 2018-04-16 2020-04-07 United Arab Emirates University Method for obtaining paper from sand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CN112126177B (zh) * 2020-09-30 2022-09-13 福建省永春佳威塑料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抗撕裂保护膜及其制备方法
CN113199832B (zh) * 2021-04-07 2022-01-18 无锡环宇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可降解压延标签合成纸制备工艺
CN113185772A (zh) * 2021-04-16 2021-07-30 阜阳市尤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冠检测盒专用合成纸及其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2774A (ja) * 2002-09-10 2004-04-22 Yupo Corp 溶融熱転写記録用紙
US20050048271A1 (en) * 2002-03-20 2005-03-03 Yupo Corporation Recording paper and label paper using the same
JP2005199514A (ja) * 2004-01-14 2005-07-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多層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積層材
KR20140004716A (ko) * 2011-01-14 2014-01-13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개질된 메탈로센 촉매 제조 방법, 제조된 촉매 및 이의 용도
US20150072131A1 (en) * 2010-01-12 2015-03-12 Mary Ruth Lehrter Paper-like film and method for making i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0644A (ko) * 1973-12-17 1975-07-19
JPS5258779A (en) * 1975-11-08 1977-05-14 Mitsui Petrochem Ind Ltd Process for producing synthetic papers
US5128183A (en) 1990-08-01 1992-07-07 Borden, Inc. Modified polyolefin film with stable twist retention, dead fold properties and barrier characteristics
US6028028A (en) * 1995-11-30 2000-02-22 Oji-Yuka Synthetic Paper Co., Ltd. Recording sheet
JP4662607B2 (ja) 1999-06-11 2011-03-30 三井化学株式会社 合成紙
JP2003034760A (ja) 2001-05-18 2003-02-07 Maruo Calcium Co Ltd 表面処理重質炭酸カルシウム、その製造方法、及び表面処理重質炭酸カルシウムを配合してなる樹脂組成物
JP2003026866A (ja) 2001-07-16 2003-01-29 Maruo Calcium Co Ltd オレフィン系樹脂シート用添加剤、及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シート用樹脂組成物
US7144635B2 (en) * 2001-09-13 2006-12-05 Meadwestvaco Corporation Tear resistant heat sealable packaging structure
JP3773439B2 (ja) 2001-10-24 2006-05-10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樹脂フィルム
JP4357194B2 (ja) * 2002-03-20 2009-11-04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感熱記録用紙
CN100491120C (zh) * 2002-07-25 2009-05-27 优泊公司 拉伸树脂膜和包含该拉伸树脂膜的标签
US7776413B2 (en) * 2002-09-10 2010-08-17 Yupo Corporation Melt thermal transfer recording paper
US7582716B2 (en) * 2004-03-17 2009-09-0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of ethylene/α-olefin multi-block interpolymer for blown films with high hot tack
WO2007015120A1 (es) * 2005-08-04 2007-02-08 Alfonso Alejandro Pira Papel sintetico
EP1967458B1 (en) * 2005-12-27 2011-12-21 Yupo Corporation Surrounding label and article bearing the label
CN101410459B (zh) * 2006-03-30 2013-03-27 旭化成化学株式会社 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JP2010077297A (ja) 2008-09-26 2010-04-08 Toyobo Co Ltd 空洞含有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8841507B2 (en) * 2010-08-20 2014-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components thereof having improved softness sign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WO2014092142A1 (ja) * 2012-12-14 2014-06-19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記録用紙
US9487918B2 (en) * 2013-10-01 2016-11-08 Coldenhove Know How B.V. Lidding material for blister packaging and the like
JP2015151649A (ja) * 2014-02-17 2015-08-24 三井化学株式会社 合成紙の表面処理方法、積層体および印刷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8271A1 (en) * 2002-03-20 2005-03-03 Yupo Corporation Recording paper and label paper using the same
JP2004122774A (ja) * 2002-09-10 2004-04-22 Yupo Corp 溶融熱転写記録用紙
JP2005199514A (ja) * 2004-01-14 2005-07-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多層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積層材
US20150072131A1 (en) * 2010-01-12 2015-03-12 Mary Ruth Lehrter Paper-like film and method for making it
KR20140004716A (ko) * 2011-01-14 2014-01-13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개질된 메탈로센 촉매 제조 방법, 제조된 촉매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8612A1 (en) 2019-09-18
CA3043603A1 (en) 2018-05-17
ZA201903547B (en) 2023-12-20
MX2019005624A (es) 2020-02-07
US20180134014A1 (en) 2018-05-17
IL266536B (en) 2022-12-01
JP2019536867A (ja) 2019-12-19
EP3538612A4 (en) 2020-04-15
AR110085A1 (es) 2019-02-20
IL266536A (en) 2019-07-31
WO2018089999A1 (en) 2018-05-17
BR112019009621A2 (pt) 2019-08-13
AR110484A1 (es) 2019-04-03
IL266536B2 (en) 2023-04-01
JP7169273B2 (ja) 2022-11-10
EA201991187A1 (ru) 2019-10-31
CN110121536A (zh) 2019-08-13
BR112019009621B1 (pt) 2023-01-10
CN110121536B (zh) 2021-12-14
KR102435258B1 (ko) 2022-08-24
UA125471C2 (uk)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9673A (ko) 개선된 인열 특성을 갖는 합성지 및 제조 방법
US5492757A (en) Opaque, matte, multilayer polypropylene film,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KR20240058955A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EP3119604A1 (de) Mehrschichtige kunststofffolie mit trennwirkung
CA2557498C (en) Pla film with good sliding and antistatic properties
KR101816875B1 (ko) 폴리프로필렌 친환경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WO1999059813A1 (fr) Film etire en resine thermoplastique
ES2518565T5 (es) Lámina de poliolefina mate con propiedades de liberación
JP2012035624A (ja) 積層フィルム
KR100937804B1 (ko) 내마모성이 높은 통기성 적층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7129411B2 (ja) ポリマー多層フィルム
KR101547935B1 (ko)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US1197617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film comprising thermoplastic polymer and inorganic filler
JP5208985B2 (ja) 二軸延伸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CA2593254A1 (en) Pigmented film with improved aesthetic properties
EA043585B1 (ru) Синтетическая бумага с улучше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на разрыв и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BRPI0701443B1 (pt) composições para papéis sintéticos e filmes ecológicos para escrita e impressão, papéis sintéticos e filmes obtidos a partir dessas composições e uso dos mesmos
CA2592578A1 (en) A bi-oriented polypropylene film comprising tear orientation, a process of preparing said film and an article comprising it
JP3874537B2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KR20130029934A (ko) 전자제품 포장용 다층필름
CN111032354A (zh) 着色的pvc基图形膜
JP5254183B2 (ja) 二軸延伸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WO2014173423A1 (de) EINE LINEAR WEITERREIßBARE MEHRSCHICHTFOLIE
JP5353026B2 (ja) 再生樹脂を配合した積層耐水シート
JP2009196257A (ja) 筆記性良好な積層耐水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