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935B1 -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935B1
KR101547935B1 KR1020140033167A KR20140033167A KR101547935B1 KR 101547935 B1 KR101547935 B1 KR 101547935B1 KR 1020140033167 A KR1020140033167 A KR 1020140033167A KR 20140033167 A KR20140033167 A KR 20140033167A KR 101547935 B1 KR101547935 B1 KR 10154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olymer resin
acrylic polymer
paper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닮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닮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닮
Priority to KR102014003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5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r oligomers thereof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58Polymers or oligomers of diolefins, aromatic vinyl monomers or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22Polyalkenes, e.g. polystyre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per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와 소수성 성질(hydrophobic property)을 가지는 무기 안료로 이루어진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에틸아크릴레이트이며, 무기 안료는 탈크로 이루어진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도공 식품 포장지에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코팅제로 제 1 차 코팅하는 단계(S1), 상기 단계(S1)에서 제 1 차 코팅 후 건조하는 단계(S2), 상기 단계(S2)에서 건조 후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코팅제로 제 2 차 코팅하는 단계(S3), 상기 단계(S3)에서 제 2 차 코팅 후 건조하는 단계(S4), 상기 단계(S4)에서 건조 후 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탈크와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코팅제로 제 3 차 코팅하는 단계(S5) 및 상기 단계(S5)에서 제 3 차 코팅 후 건조하는 단계(S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평량 40 내지 100 g/m2인 비도공 식품 포장지의 외면에 코팅제의 고형분 기준으로 총 코팅량이 20 내지 37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Coating compositions for eco-friendly paper and producing method of eco-friendly food wrapping with moisture-proof}
본 발명은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품 포장지에 방습성과 내수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식품 포장지를 재활용하면서 폐기 시 자연 분해가 되는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포장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곡, 가축사료, 설탕, 제분 등의 상업용 포장재로는 전통적으로 크라프트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크라프트지는 미표백 화학펄프(Unbleached Kraft Pulp) 또는 표백 화학펄프(Bleached Kraft Pulp)를 원료로 사용하여, 일반적인 제지 설비 혹은 초지 설비를 통해서 만들어진다. 이 크라프트지는 지대봉투를 제작하는 후 가공 공정이 산업표준화 되어 있고, 질기고 표면이 미끄럽지 않아서 앞서 언급한 상품을 담고 운반하고 보관 적재하는 데 용이하여 포장 지대봉투로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
다양한 산업 및 소비시장의 요구에 따라 방습성, 내수성, 내유성, 열접착성 등의 추가적인 물성을 구비한 포장지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습기에 취약한 쌀, 설탕, 제분 등의 포장지는 습기에 강한 합성수지를 크라프트지에 라미네이팅을 하여 방습성 및 내수성을 보완해서 사용해 왔다.
일 예로 합성수지를 크라프트지에 라미네이팅한 종래 기술로는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96141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식료품을 포장하기 위한 다층으로 구성된 필름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크라프트지에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생분해촉진물질, 접착제를 이용한 다층 필름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포장지에 방습성과 내수성을 부여하였지만, 포장지를 다층 필름으로 접착하는 방법은 공정과 비용면에서 산업 현장에 적용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다층 필름의 제조 공정과 비용을 개선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765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폴리에틸렌을 대체한 친환경 내수/내유제 및 이를 적용한 식품 포장용기의 용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내수성과 블록킹성이 우수한 유리전이온도가 다른 코어-쉘 구조의 라텍스 내수/내유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제지 공정을 통해 코어-셀 이중 구조로 제조하면서 다층 필름 제조에 비해 공정과 비용을 개선하였지만, 기존 합성수지로 코팅된 포장지에 비해 내수성과 내유성의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내수성과 내유성의 물성을 개선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5209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인체무해 및 재활용이 용이한 종이용기용 친환경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체무해 및 생분해성 코팅액이 열처리 건조 상태에서 3~7일 동안 내수 및 내유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코팅액은 종이용기에 코팅되어 3~7일 동안 단기적으로 내수성과 내유성을 가질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투과되는 수분에 의해 장기 보전을 위한 방습성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방습성의 물성을 개선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0600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코팅층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물, 습기에 대한 투습도 및 저항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마찰력, 강도 등 코팅지의 물성을 향상시킨 재생성 방습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재생성 방습 코팅지는 종이 기재와 상기 종이 기재 상부에 코팅되어 있으며, 유리전이온도 30 ℃ 이하의 제 1 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코팅층에 클레이,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등의 무기 충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팅층 상부에 코팅되어 있으며, 유리전이온도가 0 ℃ 이상이고, 상기 제 1 수성고분자 화합물보다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진 제 2 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2 코팅층은 아크릴레이트와 올레핀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제 1 코팅층에 포함된 탄산칼슘은 친수성(hydrophilic property) 성질이어서, 습기 차단 효과가 떨어져 상기 코팅지는 방습성을 갖지 못하고, 소수성(hydrophobic property) 성질로 두 원료는 유화제 없이는 서로 혼합할 수 없으며, 제 2 코팅층을 구성하는 올레핀은 제지 공정상 원료로 재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폐지의 재활용이 안 되며, 쓰레기로 처리하여 땅에 묻게 되더라도 쉽게 썩지 않으므로 사용 후 폐기에 드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은 방습성, 내수성, 내유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은 제지 산업의 원료로서 재활용이 용이하고, 폐기 시 자연 분해성을 갖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와 소수성 성질(hydrophobic property)을 가지는 무기 안료로 이루어진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에틸아크릴레이트이며, 무기 안료는 탈크로 이루어진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비도공 식품 포장지에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코팅제로 제 1 차 코팅하는 단계(S1), 상기 단계(S1)에서 제 1 차 코팅 후 건조하는 단계(S2), 상기 단계(S2)에서 건조 후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코팅제로 제 2 차 코팅하는 단계(S3), 상기 단계(S3)에서 제 2 차 코팅 후 건조하는 단계(S4), 상기 단계(S4)에서 건조 후 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탈크와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코팅제로 제 3 차 코팅하는 단계(S5), 상기 단계(S5)에서 제 3 차 코팅 후 건조하는 단계(S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량 40 내지 100 g/m2인 비도공 식품 포장지의 외면에 코팅제의 고형분 기준으로 총 코팅량이 20 내지 37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은 방습성, 내수성, 내유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은 제지 산업의 원료로서 재활용이 용이하고, 폐기 시 자연 분해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한 과정은 편의상 제 1 과정(친환경 방습 코팅제 조성) 및 제 2 과정(친환경 방습 코팅제를 종이에 코팅하는 방법)으로 나눈다.
< 제 1 과정 >
본 발명의 친환경 방습 코팅제는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순수 아크릴계 고분자 코팅제이고, 다른 하나는 제지 산업에서 흔히 사용하는 무기 안료인 탈크와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의 혼합 코팅제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습 코팅제 조성물을 이루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모노머를 평균 분자량 5 백 내지 1 백만까지 중합시켜 얻은 순수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사용한다.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용성 타입으로 만들어서 통상적인 제지 공정 중에서 재활용을 위한 원료화(repulping) 및 초지(papermarking) 공정 중에 제조상의 공정 문제(공정수 오염, 건조드럼의 흡착, 초지와이어의 막힘 등)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기 안료의 바인더로서 적합하고 형성된 코팅층은 내수성과 내유성이 우수하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제지용 코타 등에 적용하기 위해 농도가 30 내지 50 중량% 수용액으로 준비한다. 다양한 코팅 설비와 운전 조건에 따라 목표한 코팅량을 실현하기 위해 그 농도는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범위는 반복 실험을 통해 얻은 것으로 실제 코팅에 적합한 농도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습 코팅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인 탈크는 화학식으로 Mg3Si4O10으로 표시되는 무기물로서, 입자의 평균 크기가 2 내지 12 μm의 판상형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탈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탄산칼슘과 같은 친수성 성질(hydrophilic property)을 갖는 무기 안료와 달리, 소수성 성질(hydrophobic property)을 가지는 무기 안료로, 방습과 내수 성능 발현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오랫동안 제지 산업에서 인쇄 적성을 높이는 코팅 안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탈크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μm 미만일 경우 입자의 표면적이 높아져서 바인더 사용량이 증가되고, 방습성의 효과가 낮아지며, 탈크의 평균 입자 크기가 12 μm 초과일 경우 코팅면을 거칠게 하고, 인쇄면의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상기 탈크는 바인더와 혼합하여 코팅을 하게 되며, 바인더는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사용한다. 탈크와 바인더의 혼합 비율은 고형분 중량비로 30 : 70 내지 80 : 20까지 할 수 있으며, 이 비율은 목표 및 운전 조건에 따라 정할 수 있다.
< 제 2 과정 >
코팅을 실시하기 전의 비도공 식품 포장지(10)는 제지사에서 식품 접촉에 무해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무게는 평량 40 내지 100 g/m2이다. 여기서 사용하는 비도공 식품 포장지는 포장지에 화학약품, 미세돌가루 등 도공처리를 안한 용지를 말한다.
제 1 차 코팅층(20)은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고형분 기준으로 코팅량이 2 내지 5 g/m2로 상기 비도공 식품 포장지(10) 위에 코팅한다. 코팅을 위한 설비는 통상적인 제지용 코팅방법으로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로드코터(rod coater)와 에어나이프코터(air knife coater)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차 코팅을 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내수성과 내유성을 부여하며, 2차적인 목적은 종이 표면의 평활성(smoothness)을 높여서, 추후에 수행되는 제 2 차 코팅층과 제 3 차 코팅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제 1 차 코팅층에서 2 g/m2 미만의 코팅인 경우 내수성과 내유성의 효과가 떨어지고, 종이 표면의 평활성이 낮아지며, 제 1 차 코팅층에서 5 g/m2 초과의 코팅인 경우 건조를 위해 생산 속도를 낮추게 되어 생산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제 2 차 코팅층(30)은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고형분 기준으로 코팅량이 4 내지 10 g/m2로 제 1 차 코팅층(20) 위에 코팅한다. 이를 통해 기공이 많은 종이의 표면을 완전하게 코팅해서 내수성 및 내유성을 부여한다.
제 2 차 코팅층에서 4 g/m2 미만의 코팅인 경우 코팅 설비의 성능과 운전 조건에 따라 내유성 발휘 능력이 떨어지고, 제 2 차 코팅층에서 10 g/m2 초과의 코팅인 경우 과도한 코팅량으로 효과 대비 과도한 비용의 증가 및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의 도막(coating layer)이 끈끈해진다.
제 3 차 코팅층(40)은 방습성을 부여하기 위한 코팅층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와 탈크의 혼합 코팅제로 코팅하는 공정이다. 방습성을 발휘하기 위한 상기 혼합 코팅제의 코팅량은 고형분 기준으로 14 내지 22 g/m2 이다.
제 3 차 코팅층에서 14 g/m2 미만의 코팅인 경우 방습과 내수 성능 발현 떨어지고, 제 3 차 코팅층에서 22 g/m2 초과의 코팅인 경우 식품 포장지의 표면에 균일한 코팅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제 1 차 코팅층 내지 제 3 차 코팅층에 의해 비도공 식품 포장지의 외면에 코팅된 코팅제의 양은, 평량 40 내지 100 g/m2인 비도공 식품 포장지의 외면에 코팅제의 고형분 기준으로 총 코팅량이 20 내지 37 g/m2이다.
각각의 코팅의 건조에 필요한 온도 조건은 105 내지 150 ℃이며,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5 ℃이다. 온도가 105 ℃ 미만인 경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의 도막 형성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목표한 성능 구현이 어려우며, 무기 안료인 탈크의 부착도 미흡하여 박리된다. 온도가 150 ℃ 초과인 경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와 바인더의 경화도가 높아져서 종이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이형성이 높아져 표면이 너무 미끄러워진다. 이에 생산 설비의 건조 능력과 시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온도 범위에서 최적의 건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거친 후, 칼렌더링(calendering)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코팅된 종이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며, 표면 평활성을 개선한다. 이 공정을 통해서 종이의 기공을 더욱 조밀하게 낮추고 코팅층의 밀도를 높여서 특히 방습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에틸아크릴레이트가 주성분이며, 제 1 차, 제 2 차 코팅제 및 제 3 차 코팅제의 무기 안료 바인더로 사용하였다.
탈크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고형분 중량비로 60 : 40의 비율로 분산 혼합한 제 3 차 코팅제로 만들었다.
< 실시예 1 >
비도공 식품 포장지는 글라신지 60 g/m2 을 사용하고, 통상적인 제지용 코타에서 로드코팅을 통해 < 제조예 >에서 준비한 코팅제로 코팅한다.
제 3 차 바인더로서 사용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 제 1 차 내지 제 3 차의 전체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의 코팅량은 건조 고형분량 기준으로 총 16 g/m2을 코팅하였다.
제 3 차 코팅 공정 중에 코팅된 탈크량은 건조고형분량 기준으로 18 g/m2이다. 추가적으로 온머신상에서 칼렌더링을 실시하여 표면성을 매끄럽게 만들었다.
상기 온머신이란 종이를 코팅을 할 때, 코팅 공정과 건조 공정이 반복하여 진행되는 기계 장치를 말한다.
< 실시예 2 >
< 실시예 1 >과 동일한 포장지를 사용하고, 제 1 차 및 제 2 차 코팅을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만을 사용하였으며, 제 1 차 내지 제 2 차의 전체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의 코팅량은 건조 고형분량 기준으로 총 30 g/m2을 코팅하였다.
그리고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와 탈크의 혼합 코팅제로 코팅하는 제 3 차 코팅 공정과 칼렌더링은 실시하지 않았다.
< 비교예 1 >
시중의 6.5 온스 종이컵을 만드는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원단(185 g/m2)을 구입하여 비교예 1로 사용하였다.
< 비교예 2 >
시중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김 포장지 중 알루미늄 호일 (두께 7 μm)에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이 다층 접합된 포장지를 비교예 2로 사용하였다.
< 시험예 >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준비된 재료를 동일한 조건 하에서 물성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1로 정리하였다.
항목 측정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방습성 KS T1305
(g/m2/day)
2.9 33.5 47.3 2.5
내수성 TAPPI T441
(g/m2/2분)
1.5 4.2 6.0 1.2
내유성 TAPPI T559cm-02 7 7 5 11
재활용성 EL606 적합 적합 없음 없음
식품안전성 식품공전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식품 포장지의 방습성은 한국공업규격(KS T1305)의 방법으로 시험하여 3.0 g/m2/day 이하를 달성하였고, 내수성은 TAPPI T441의 Cobb size법으로 2.0 g/m2/2분 이하의 성능을 발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식품 포장지의 친환경성은 한국 환경부 환경표지 대상제품 및 인증기준(EL606)의 알칼리 해리성 및 분산성 시험에서 건조시킨 펄프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 덩어리 등 펄프 이외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건조시킨 펄프에서 점착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제지의 원료로서 재사용이 가능한 수준을 달성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식품 포장지는 식품안전처 식품공전 기구 및 용기포장에 대한 기준 및 규격의 가공기재의 시험규격에 부합하여 식품 포장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 비도공 식품 포장지
20 : 제 1 차 코팅층
30 : 제 2 차 코팅층
40 : 제 3 차 코팅층

Claims (7)

  1.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와 소수성 성질(hydrophobic property)을 가지는 무기 안료로 구성되되,
    아크릴 모노머를 평균 분자량 5 백 내지 1 백만까지 중합시켜 얻은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에틸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무기 안료는 바인더 사용량을 줄이면서 방습성을 가지도록 하고, 코팅면을 부드럽게 하면서 인쇄면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평균 입자 크기가 2 내지 12 μm인 판상형 탈크이며,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농도가 30 내지 50 중량%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와 무기 안료의 혼합 코팅제는 고형분 중량비로 20 : 80 내지 70 : 30으로 혼합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4. 비도공 식품 포장지에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코팅제로 제 1 차 코팅하는 단계(S1);
    상기 단계(S1)에서 제 1 차 코팅 후 건조하는 단계(S2);
    상기 단계(S2)에서 건조 후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코팅제로 제 2 차 코팅하는 단계(S3);
    상기 단계(S3)에서 제 2 차 코팅 후 건조하는 단계(S4);
    상기 단계(S4)에서 건조 후 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무기 안료와 수용성 성질을 가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코팅제로 제 3 차 코팅하는 단계(S5) 및 상기 단계(S5)에서 제 3 차 코팅 후 건조하는 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아크릴 모노머를 평균 분자량 5 백 내지 1 백만까지 중합시켜 얻은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에틸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무기 안료는 바인더 사용량을 줄이면서 방습성을 가지도록 하고, 코팅면을 부드럽게 하면서 인쇄면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평균 입자 크기가 2 내지 12 μm인 판상형 탈크이며,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농도가 30 내지 50 중량%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포장지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와 무기 안료의 혼합 코팅제는 고형분 중량비로 20 : 80 내지 70 : 30으로 혼합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포장지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공 식품 포장지는 평량 40 내지 100 g/m2이며, 상기 식품 포장지의 외면에 코팅제의 고형분 기준으로 총 코팅량이 20 내지 37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포장지의 제조방법.
KR1020140033167A 2014-03-21 2014-03-21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KR10154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167A KR101547935B1 (ko) 2014-03-21 2014-03-21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167A KR101547935B1 (ko) 2014-03-21 2014-03-21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935B1 true KR101547935B1 (ko) 2015-08-27

Family

ID=5406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167A KR101547935B1 (ko) 2014-03-21 2014-03-21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9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953B1 (ko) 2016-07-06 2016-12-29 김영남 탄성 포장재 바인더용 포장지 및 상기 포장지의 제조방법
WO2019235767A1 (ko) * 2018-06-05 2019-12-12 (주)리페이퍼 수분산성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습성과 블록킹성이 향상된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KR102136135B1 (ko) 2019-11-04 2020-07-22 한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광택 종이코팅제용 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220005425A (ko) * 2019-10-31 2022-01-13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수분차단성 생분해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지 및 스티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600A (ja) 2011-07-14 2013-02-21 Osaka Insatsu Ink Seizo Kk 食品用包装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600A (ja) 2011-07-14 2013-02-21 Osaka Insatsu Ink Seizo Kk 食品用包装紙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953B1 (ko) 2016-07-06 2016-12-29 김영남 탄성 포장재 바인더용 포장지 및 상기 포장지의 제조방법
WO2019235767A1 (ko) * 2018-06-05 2019-12-12 (주)리페이퍼 수분산성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습성과 블록킹성이 향상된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KR20190138504A (ko) * 2018-06-05 2019-12-13 (주)리페이퍼 수분산성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습성과 블록킹성이 향상된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KR102267634B1 (ko) * 2018-06-05 2021-06-21 (주)리페이퍼 수분산성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습성과 블록킹성이 향상된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KR20220005425A (ko) * 2019-10-31 2022-01-13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수분차단성 생분해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지 및 스티커
KR102372332B1 (ko) 2019-10-31 2022-03-08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수분차단성 생분해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지 및 스티커
KR102136135B1 (ko) 2019-11-04 2020-07-22 한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광택 종이코팅제용 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68443B (zh) 可再制浆的包装材料
EP3733406B1 (en) Barrier material
RU275393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паков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упак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полученн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CA2467284C (en) Barrier coatings for oil and grease resistance
US10118368B2 (en) Intermediate laminate product, an expanded laminate structure, and process manufacturing thereof
CN109070563A (zh) 纸制阻隔材料
KR101547935B1 (ko) 친환경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는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CN107709665A (zh) 用于聚合物乳液顶涂层的疏水性涂布纸基材及其制备方法
US20130017349A1 (en) Coated substrate, a process for production of a coated substrate, a package and a dispersion coating
EP2344697A1 (en) Fibrous product having a barrier lay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SE1851444A1 (en) Gas barrier film for packaging material
EP3922770A1 (en) Barrier laminate with excellent barrier properties against moisture and ga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50024346A (ko) 보안 문서용 기재
FI102401B (fi) Menetelmä transparentin ja läpäisevyyttä vähentävän pinnoitteen aikaan saamiseksi paperille tai kartongille sekä menetelmässä käytettävä pääl lystysaine
KR102267634B1 (ko) 수분산성 제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습성과 블록킹성이 향상된 친환경 식품 포장지의 제조방법
KR101666835B1 (ko) 내유성, 내수성, 방습성 및 열실링성을 가지는 다층 코팅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수용성 식품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
CA3081156A1 (en) Packaging material with barrier properties
EP3388575A1 (en) Pigment-coated board having improved pe adhesion
KR101329259B1 (ko) 미표백 크라프트 포장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포장용지
AU3123299A (en) Dual ovenable packaging material
EP3475483B1 (en) Pigment coated board
KR102624287B1 (ko) 산소차단성을 갖는 제지용 코팅제,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WO2023118472A1 (en) Coated paperboard
KR20230141090A (ko)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501238A (ja) ポリマーコート紙および板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