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650A -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를 연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를 연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650A
KR20190079650A KR1020197015596A KR20197015596A KR20190079650A KR 20190079650 A KR20190079650 A KR 20190079650A KR 1020197015596 A KR1020197015596 A KR 1020197015596A KR 20197015596 A KR20197015596 A KR 20197015596A KR 20190079650 A KR20190079650 A KR 20190079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olls
series
leveler
polishing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381B1 (ko
Inventor
폴 레이몬드 러프너
수잔 엠. 터커
앤서니 에드워드 웰링턴
토마스 제이콥 콕스
Original Assignee
사브 엔터프라이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브 엔터프라이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사브 엔터프라이시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7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1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peculiarly surfaces, e.g. bulged
    • B24B5/167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peculiarly surfaces, e.g. bulged for rolls with large curvature radius, e.g. mill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363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3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rolls, e.g. barrel-shaped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71Level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metal sheet or plate leveler)의 작업 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연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지지부; 및 작업 롤의 회전 중에 레벨러의 상부 및/또는 하부 작업 롤을 동시에 연마하기 위해 레벨러의 상부 작업 롤과 하부 작업 롤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연마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를 연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대체로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 연마기(metal sheet or plate leveler polisher)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레벨러의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간 레벨러(hot leveler)와 같은 레벨러는 일반적으로 금속 시트 및 플레이트 밀(metal sheet or plate mill), 즉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를 생산하기 위한 열간 압연 밀에서 사용된다. 도 1은 오퍼레이터 측으로부터의 통상의 레벨러(100)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벨러는 일반적으로 가동형 상부 작업 롤(60) 및 고정형 하부 작업 롤(62)을 포함한다.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는 레벨러의 입구 측(64)으로부터 레벨러 내로 진입하고, 상부 작업 롤과 하부 작업 롤 사이를 통과한 다음, 출구 측(66)을 통해 레벨러를 떠난다. 레벨러의 압연 및 냉각 공정은 그것을 통과하는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의 잔존 평탄도 오차 및 잔류 응력을 감소시킨다. 하지만, 롤러를 통해,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상에 상당한 압축력 가해지는 상태로,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를 통과시키는 결과로써, 입자들이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를 가공하는 작업 롤 상에 포집되기 쉬우며, 이것이 시트의 가우지(gouge), 피트(pit) 및 스크래치(scratch)와 후속적으로 레벨링(leveling)된 플레이트의 품질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롤의 연마(polishing) 및 소제(cleaning)가 레벨러를 통과하는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의 유효성 및 품질에 결정적이다.
통상적으로, 레벨러는 레벨러의 상부 부분(42)이 상승된(예컨대, 롤 네스트 지지 카(roll nest support car)와 함께) 개방 위치에서 레벨러를 버팀대로 떠받치는(bracing) 것에 의해 연마된다. 오퍼레이터는 개방된 레벨러 내로 기어 들어가 핸드 그라인더 전동 공구를 사용하여 작업 롤을 연마하곤 하였다. 이 공정은 작업 롤을 연마하는 동안 오퍼레이터가 부상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위험하고 비효율적이다. 마찬가지로, 작업 롤이 일정하게 그리고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소제되는 정도는 오퍼레이터마다 또는 연삭 장비의 기계적 상태와 더불어 작업 롤 상의 영역이 작업 롤을 연마하려는 오퍼레이터에게 완전히 접근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연마 작업의 균일성은 작업 롤 영역의 접근 가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퍼레이터에 의해 투자되는 시간 및 압력의 크기의 함수로서 달라질 수 있다. 균일성의 부족은 작업 롤의 최종적인 상태 및 결과적으로 레벨링된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보다 자동화된 접근법들이 사용되었다. 중국 특허 CN205183384에 개시된 한 가지 이러한 기법은 작업 롤을 소제하기 위해 오목 형상의 강모 브러시의 사용을 요한다.
대안적으로, 일본 특허 JP200605193은 작업 롤을 소제하기 위해 작업 롤이 회전되는 동안 작업 롤의 길이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팽창 가능한 공기 주머니(inflatable air bladder)를 포함하는 소제 부재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그 목적으로서 레벨러 자체로 가공되는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작업 롤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며 또한 안전하게 소제하는 목표를 갖는다.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도면 및 청구 범위를 포함하는 다음의 설명을 고려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 요약은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단순한 형태의 개념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되는 발명의 대상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인 특징을 식별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또한 청구되는 발명의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의도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의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작업 롤은 작업 롤 원주와 더불어 그것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결정되는 작업 롤 길이를 갖는다. 레벨러는 프레임, 일련의 상부 작업 롤 및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연마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연마 플랫폼을 포함하고, 일방의 상부 플랫폼은 상부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를 포함하고, 타방의 하부 플랫폼은 레벨러의 하부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를 포함한다. 레벨러의 상부 작업 롤은 제1 일련의 작업 롤(first series of work rolls)로서 배열되고, 레벨러의 하부 작업 롤은 제2 일련의 작업 롤(second series of work rolls)로서 배열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마 장치는 플랫폼의 각 측면 상에 일체화되는 것으로서 위치 고정되는 연마기를 갖는 단일 플랫폼을 이용한다.
연마 유닛은, 각각의 작업 롤이 회전될 때, 레벨러 내의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의 작업 롤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림하여 연마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마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연마기는, 작업 롤이 회전될 때, 레벨러의 하나 이상의 작업 롤의 적어도 실질적인 전체 길이와 맞물림하여 연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연마기는 연마재를 그 내부에 위치시킨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concave pan)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은, 연마기가 작업 롤과 맞물림할 때 그리고 또한 작업 롤이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 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연마재를 각각의 작업 롤에 대해 노출시키도록 연마재를 그 내부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마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연마기, 즉 일련의 상부 작업 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제1 연마기 및 일련의 하부 작업 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제2 연마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연마기는, 각각의 작업 롤이 제1 및 제2 연마기의 각각의 내부의 연마재와 맞물림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회전할 때,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동시에 연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마 유닛은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개수에 대응하는 제1 일련의 상부 연마기와 함께,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개수에 대응하는 제2 일련의 하부 연마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일련의 연마기는 각각이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의 각각의 작업 롤과 동시에 맞물림 및/또는 연마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2 일련의 연마기는 각각이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각각의 작업 롤과 동시에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 모두는, 작업 롤의 모두가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의 각각의 연마기와 맞물림되어 있으면서 회전할 때, 각각의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연마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사양에서, 일련의 상부 연마기의 모두는 상부 플랫폼 상에 작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일련의 하부 연마기의 모두는 하부 플랫폼 상에 작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부 플랫폼 상의 연마기는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의 하부 원주 표면을 연마하도록 노출되고, 하부 플랫폼 내의 연마기는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상부 원주 표면을 연마하도록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서로 분리 가능한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이 상부 연마기를 지지하는 상부 표면 및 하부 연마기를 지지하는 하부면을 갖는 단일 플랫폼으로 일체화된다.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이 각각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와 더불어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각각의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 사이의 개방된 레벨러 내의 위치 내외로의 장치의 선택적인 도입 및 철수의 모두를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이 서로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위치인 배향 위치(orientation position)로부터, 레벨러가 그것의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에 작업 롤의 동시적 회전 시에 작업 롤의 연마를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이 각각의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를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의 각각의 작업 롤과의 작동 가능한 맞물림 상태로 재위치시키도록 확장되는 위치인 연마 위치(polishing position)로 재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각각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와 함께 서로에 대해 구속 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련의 연마기의 각각이 단일의 일체화된 플랫폼의 상부 및 바닥부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레벨러의 상부 작업 롤은, 상부 작업 롤의 하부 원주부와 플랫폼의 상부 표면상의 상부 연마기를 이루는 각각의 오목 팬 내의 연마재 사이에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레벨러의 상부 부분이 일련의 상부 작업 롤과 함께 일련의 상부 연마기를 향해 하방으로 이동할 때, 각각의 일련의 상부 연마기와 맞물림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일의 플랫폼의 바닥 표면 상의 일련의 하부 연마기의 각각은, 하부 연마기가 레벨러의 바닥 부분의 일련의 하부 작업 롤과 접촉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레벨러의 상부 부분의 계속된 하방 이동의 결과로써 플랫폼의 하방으로의 스프링 부하식 이동이 계속될 때,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각각의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방 이동은 하부 작업 롤의 상부 원주부와 일체형 플랫폼 상의 하부 연마기 내에 위치된 각각의 오목 팬 내의 연마재 사이의 접촉을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처음에 상부 플랫폼 내의 연마기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구성된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모두를 이용하는 한편,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모두는, 레벨러의 상부 부분이 계속해서 하강됨에 따라, 플랫폼의 스프링 부하식 이동 시에 후속적으로 맞물림된다. 양쪽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연마는 레벨러의 상부 부분의 하강을 통해 맞물림이 성취된 후, 작업 롤의 모두의 회전 및 연마 시에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을 통해, 양쪽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모두가 동시에 연마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의 위치가 서로에 대해 재위치 가능한지 또는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구속 가능하게 고정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은 일련의 하부 작업 롤과 더불어, 레벨러의 "개방(opening)"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그리고 연마 장치의 제 위치로의 삽입 및 각각의 연마기와 작업 롤의 정렬을 위해, 더불어 연마 작업의 완료 시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과 정렬된 연마 위치로부터의 벗어남을 위해, 서로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 후, 상부 작업 롤은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평탄화의 그들의 역할에 사용하기 위해 작업 롤 자체를 재위치시키도록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금속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연마재는 작업 롤의 각각의 하나와 위치결정, 정렬 및 맞물림하기 위한 라이닝으로서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 내에 위치되는 실질적으로 연마성인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라이닝의 연마성 표면은 연마지 또는 연마성 표면 배후에 견고한 고무 백킹 레이어(rubber backing layer)을 제공하면서 노출된 연마성 표면을 지지할 수 있는 다른 재료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 및 그 내부에 위치된 연마재는 작업 롤과의 정렬 및 맞물림을 위해, 그리고 각각의 작업 롤의 회전 시에 연마기가 맞물림되어 연마하는 역할을 할 때, 각각의 작업 롤의 노출된 원주부에 대한 연마재의 노출 및 맞물림 압력을 균등하게 분배시키기 위해 작업 롤의 노출된 부분의 원주 형상에 더욱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오목 팬에 일정 정도의 가요성(flexibility)이 있기 때문에, 팬은 일정 정도의 휨성을 가져, 작업 롤의 원주 둘레에 대해 "자체 조절(self-adjusting)"되어, 연마기와의 맞물림 시에 오목 팬 내에 위치된 연마재와의 일정 정도의 압력 맞물림 및 연마 효율까지 작업 롤을 보다 완전하게, 양호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노출시킬 것이다. 디수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플랫폼 내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는 각각 일련의 상부 작업 롤 및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을 가장 효율적으로 동시에 연마하도록 구성되어, 단일 연마기 요소를 사용을 뛰어넘는 장치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킨다(휴대용 핸드헬드 동력 장비를 사용하여 작업 롤을 수동으로 연마하려는 개별 노동자의 효율성 및 잠재적인 안전성 노출을 능가하여).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이 그들의 배향 위치와 연마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재위치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의 각각이 서로에 대해 확장 및 퇴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플랫폼 이동 요소가 상부 및 하부 플랫폼 사이에 위치 가능하다. 퇴축된 배향 위치에서, 상기 장치는 선택적으로 개방된 레벨러 내로 진입하도록 위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된 레벨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확장된 위치에서, 일련의 상부 연마기는 확장되어 일련의 상부 작업 롤과의 맞물림 및 연마 접촉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일련의 하부 연마기를 갖는 하부 플랫폼은 일련의 하부 작업 롤과 관련한 연마 위치로 하방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중의 적어도 일부에서, 플랫폼 이동 요소는 장치의 상부 및 하부 플랫폼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 백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밸브 부재 제어부를 갖는 공기 모터가 선택적으로 에어 백 어셈블리를 팽창 및 수축시켜 결과적으로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의 위치를 각각 확장 및 퇴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그러한 실시예에서, 플랫폼 이동 요소는 나사형 드라이브(threaded drive)를 사용하는 등을 통해 각각의 플랫폼을 서로에 대해 배향 위치와 연마 위치 사이에서 확장 및 퇴축시키도록 적절한 제어부와 함께 장치의 상부 및 하부 플랫폼 사이에 위치되는 전기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이 상부 및 하부 연마기에 의해 상부 작업 롤 및 하부 작업 롤의 동시 연마를 가능하게 해주도록 확장될 때, 연마는 연마기 내의 연마재와 맞물림된 중의 작업 롤의 회전 시에 일어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또한, 연마 후에,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상부 및 하부 작업 롤 사이의 위치에서의 레벨러 내외로의 장치 또는 적어도 그것의 연마 유닛의 재위치를 가능하게 해주기 위한 플랫폼의 동시 재배향(reorientation)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퇴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각각의 오목 팬이 맞물림, 연마 및 맞물림해제를 위해 각각의 작업 롤과 정렬되어 있는 레벨러의 프레임 내의 작동 위치에 장치를 위치결정시키고 잠금하기 위한 잠금 핀의 사용을 고려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 중의 적어도 일부에서, 장치가 그것의 연마 위치에 있지 않은 동안에, 장치의 진입 및 철수를 위한 배향 위치에서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을 서로에 대해 잠금하기 위해 폐쇄 요소가 이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부에서, 폐쇄 요소는 롤러 및 레버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일부에서,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의 각각이 징치 테이블 지지부와 협조하며, 플랫폼을 포함한 연마 유닛이 장치 테이블 지지부에 대해 배향을 위해 레벨러 내외로 왕복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각각의 정렬된 상부 및 하부 작업 롤 사이의 위치로부터 장치 플랫폼 또는 플랫폼들(실시예에 따라)을 제거 가능하게 삽입 및 후퇴시키기 위한 전동 어셈블리(motorized assembly)를 포함한다. 플랫폼 이동 요소가 에어 백 시스템을 포함하는지 또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플랫폼 이동 요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한 적절한 제어부 및 전환 기구가 실시예에서 고려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서로 분리 가능하고, 각각 정렬된 작업 롤에 대해 확장 및/또는 퇴축되고, 이것에 의해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연마재를 노출시킬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부 및 하부 작업 롤 사이에 장치를 제거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전동 어셈블리는 삽입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 장치의 사용과 관련된 방법의 몇 가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의 일부에서, 방법은 레벨러를 연마 장치의 삽입 및/또는 제거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된 연마 위치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배향 위치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연마 유닛을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마 유닛이 상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상기 레벨러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해 각각의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동시에 정렬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으로 구성된 연마기를 포함하는 바의 상기 장치의 연마 유닛을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기 연마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레벨러의 대응하는 작업 롤의 전체 작동 가능한 길이(길이방향 축을 따른)와 맞물림하여 실질적으로 연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마를 가능하게 해주기 위한 작업 롤의 회전에 후속하여, 상기 레벨러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확장시키는 단계와, 더불어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접촉된 작업 롤의 모두를 동시에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의 적어도 일부에서,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작업 롤의 연마를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은 연마재; 및 팬과 연마재 사이의 탄성 라이닝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마 장치의 사용을 통해 레벨러의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레벨러를 개방 위치로 구성하는 단계; 연마 유닛을 레벨러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마 장치가 상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상기 레벨러의 각각의 작업 롤과 동시에 맞물림하여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를 상부 및 바닥 표면 상에 포함하는 바의 연마 유닛을 레벨러 장치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마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내부에 연마재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이 상기 레벨러의 대응하는 작업 롤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과 맞물림하여 연마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추가적으로 작업 롤과 접촉하도록 상기 연마기를 확장시킨 후에, 상기 연마기와 상기 레벨러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병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마기 팬 내에서 상기 작업 롤을 연마하도록 상기 작업 롤을 회전시키는 단계가 이어진다. 이들 실시예의 적어도 일부에서, 방법은 공기 모터의 사용을 통해 상기 연마기를 유닛으로서 테이블 지지부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연마기를 상기 레벨러의 상부 작업 롤과 하부 작업 롤 사이에 삽입하도록 연마기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의 일부에서, 방법은 상기 연마기가 상기 작업 롤과 접촉하여 연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공기 모터 및 밸브의 사용을 통해 연마 장치 내의 내부 에어 백을 팽창시키고 조절하도록 상기 연마기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의 적어도 일부에서, 방법은 상부 작업 롤의 모두와 동시에 접촉하여 연마하도록 상부 연마기를 위치시키며 그리고/또는 하부 작업 롤의 모두와 동시에 접촉하여 연마하 하부 연마기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각각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의 모두와 동시에 접촉하여 연마하도록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연마 공정 후에 상기 연마 장치의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퇴축시키는 단계와 더불어, 상기 장치의 연마 유닛을 상기 레벨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들 중의 일부에서, 연마기의 제거는 연마 유닛을 상기 레벨러 내외로 롤링시키는 공기 또는 전기 모터의 사용을 통해 수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마기는 상기 레벨러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에 상기 작업 롤과 접촉하도록 확장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연마기는 상기 레벨러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는 작업 롤의 배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업 롤과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연마 장치의 사용을 통해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의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레벨러를 상기 연마 장치의 삽입을 수용하기 위한 연마 위치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마 장치가 단일 플랫폼 상에서 서로에 대해 구속 가능하게 위치되는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기가 각각의 작업 롤과 정렬되고 맞물림될 수 있는 바의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마기는 연마재를 그 내부에 위치시킨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으로 구성된다. 이 방법에서는 또한, 연마기는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작업 롤과 정렬되고 맞물림되어 결과적으로 작업 롤을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마기는 상부 작업 롤을 하강시켜 최종적으로 상부 및 하부 작업 롤과 각각 맞물림함으로써 레벨러 내의 대응하는 작업 롤의 실질적으로 전체 작동 가능한 길이와 맞물림하여 연마하도록 구성되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작업 롤을 동시에 연마하도록 작업 롤을 회전시키는 단계가 이어진다.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의 특징은 본 개시에 의해 또는 실시예의 특성에 의해 명시적으로 금지되지 않는 한, 설명되지 않거나 예시되지 않더라도, 또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세부 사항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 간단히 설명되는 도면은 예시로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간결함과 명료함을 위해 주어진 구조의 모든 피처(feature)가 그 구조가 나타나는 모든 도면에 항상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참조 번호가 반드시 동일한 구조를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참조 번호가 사용될 수도 있는 유사한 피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피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상부 작업 롤 연마기의 오목 팬과 함께, 복수의 연마기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을 포함하는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를 연마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쪽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나누어 갖는 도 2의 연마기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레벨러 내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해주는 배향 위치에 있는 연마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 내의 연마 위치에 있는 연마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2의 6-6 라인을 따라 취해져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연마기 어셈블리의 입단면도이다.
도 7은 연마기와 작업 롤의 맞물림 이전에 위치된 연마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서, 연마기 유닛이 양쪽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지지하는 데 단일 플랫폼에 의존하며, 레벨러의 상부가 하강할 때 연마기 모두가 모든 작업 롤과 각각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있는 연마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그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을 그들에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반대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예, 변형예 및 균등예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이 설명된다. 하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잘 알려진 방법, 절차, 구성요소 및 회로들은 본 발명의 양태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열간 레벨러(hot leveler)(100)와 같은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metal sheet or plate leveler)의 작업 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연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금속은 강철, 알루미늄 또는 청동(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임의의 금속일 수 있다. 레벨러(100)는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상부 부분(42) 및 일반적으로 고정형인 바닥 부분(43)으로 이루어진다.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유닛(20) 및 고정형 테이블 지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지지부(11)는 레벨러(10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여기에서 연마 유닛(20)이 레벨러의 오프레이터 측(비구동 측)에서 대향하는 일련의 작업 롤(45, 44)(예를 들어, 상부 작업 롤(45) 및 하부 작업 롤(45)) 사이의 위치로부터 이동 및 삽입(및/또는 제거)될 수 있다. 연마 유닛(20)은 상부 및 바닥 표면 상에 다수의 연마기(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 롤(45)의 회전 중에 연마기(22)의 각각이 레벨러(100)의 대응하는 작업 롤의 작동 가능한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과 맞물림하여 연마하면서, 레벨러(100)의 복수의 작업 롤(45)을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연마 유닛은 연마 유닛(20)의 상부 플랫폼(24)과 하부 플랫폼(26) 사이에 에어 백(28)과 같은 하나 이상의 내부 확장 가능 요소를 포함할 수 있어(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유닛(22)이 레벨러(100) 내에서 확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연마기(22)(예를 들어, 팬 내의 연마재)가 회전하는 작업 롤(60, 62)과 접촉하여 연마하게 만든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마 유닛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공정 동안 상부 및/또는 하부 작업 롤 모두에 대해 접촉 및 연마를 동시적으로 행하거나 단지 연마를 행한다. 연마 공정 후에, 확장 가능 요소는 퇴축될 수 있어, 상부 플랫폼(24)을 하부 플랫폼(26)에 근접하게 재배향시켜, 연마 유닛(20)이 또한 원한다면 장치(200) 전체가 레벨러와의 근접 위치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200)를 도시한다. 장치(200)는 지지 레그(10)를 갖는 장치 테이블(11)을 포함한다. 고정형 장치 테이블(11)은 그 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연마 유닛(20)을 균형 잡고 지지하여, 레벨러(100)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연마 유닛(20)이 레벨러(100) 내외로 왕복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제어부 및 밸브(12(a))를 갖는 모터(12)(공기 모터와 같은)에 의해, 테이블(11)에 대한 연마 유닛(20)의 이동을 조작 및 제어함으로써, 연마 유닛(20)을 내외로 이동시킨다. 또한, 연마 유닛(20)은 그것의 상부 및 하부 플랫폼(24, 26)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연마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연마기(22)는 레벨러(100)의 대응하는 작업 롤(60, 62)과 정렬되고 맞물림되며 대응하는 작업 롤을 수용하도록 성형되고 치수결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기(22)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concave pan)(22(a))을 포함하며, 각각의 오목 팬(22(a))은 연마성 표면 또는 연마성 라이닝(22(b))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한 고무 백킹(rubber backing)(22(b))과 연마지(abrasive paper)(22(c))의 조합체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마 공정 중에, 레벨러의 다수의 작업 롤이 연마성 표면에 의해 동시에 연마될 수 있다.
도 3은 이 실시예의 구조 및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연마 유닛(2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플랫폼(24 및 26)은 도 3에 퇴축된 배향 위치(retracted orientation position)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플랫폼(24) 상의 상부 연마기(22)는 하부 플랫폼(26) 상의 하부 연마기(22)로부터 멀어지게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연마 유닛(20)을 구성하는 2개의 플랫폼의 병치(juxtapositioning)는, 가동형 레벨러 상부 부분(42) 내의 일련의 상부 작업 롤(45)이 고정형 레벨러 바닥 부분(43) 내의 고정형의 일련의 레벨러 하부 작업 롤(44)로부터 멀어지게 후퇴된 후에 레벨러가 도 1에 도시된 그것의 개방 위치를 취함에 따라, 연마 유닛(20)이 레벨러(100) 내의 상부 작업 롤과 하부 작업 롤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도 3에는 에어 백(28)이 도시되어 있으며, 에어 백(28)은 역시 도 2에 도시된 공기 모터(12) 및 공기 모터 제어부(12(a))에 의하거나 또는 별개의 공기 모터에 의하는 등에 의해 당해 에어 백(28)을 활성화시킬 때, 하부 플랫폼(26)을 상부 플랫폼(24)으로부터 멀어지게 확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오목 팬(22(a))의 형상이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오목 팬(22(a))은 각각의 팬 내의 연마성 라이닝(22(b))과 함께 연마기(22)를 구성한다. 연마기 구조의 확대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모터(12)에 대한 대안으로서, 전기 모터(47)가 모터 제어부(47(a))와 함께 상부 플랫폼(24)을 하부 플랫폼(26)으로부터 멀어지게 확장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어, 작업 롤(60, 62)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전기 모터(47)와 역시 가상선으로 도시된 모터 기어링(48)의 회전을 통해 작업 롤(60, 62)을 연마기와 맞물림시킨다. 플랫폼 잠금 레버(30)가 또한 도 3에 연마 유닛(20) 위치결정 잠금 핀(32)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위치결정 잠금 핀(32)은 당해 위치결정 잠금 핀(32)과 레벨러(100)의 상부 부분(42)의 구멍의 협조를 통해 연마기(22)와 각각의 작업 롤(60, 62)의 정렬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잠금 핀(32)은 특히 레벨러 상부 부분(42) 내의 정렬 구멍과 협조하여, 연마 작업 직전과 연마 작업 중의 양자의 경우에 연마기를 각각의 작업 롤과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유닛(20)은 상부 플랫폼(24) 및 하부 플랫폼(26)을 포함하며, 연마기(22)가 상부 플랫폼(24)의 상부 표면 상에 그리고 하부 플랫폼(26)의 바닥 표면 상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에에서, 상부 플랫폼(24)은 5개의 오목형 연마기를 포함하고, 하부 플랫폼(26)은 6개의 오목형 연마기를 포함하여, 각각의 연마기(22)는 도 1의 레벨러(100)의 11개의 작업 롤(60, 62) 중 하나에 대응된다. 연마 유닛(20)은 또한 상부 플랫폼(24)과 하부 플랫폼(26)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 가능 요소(28)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및 퇴축은 확장 가능한 에어 백(28)에 의해, 유압식 또는 공압식 피스톤에 의해, 또는 전기 모터(47)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장치(200)가 사용 중일 때, 확장 가능 요소(28)는 연마기(22)가 회전하는 작업 롤(60, 62)을 접촉 및 연마하게 만든다. 장치(200)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는, 상부 플랫폼(24)과 하부 플랫폼(26)이 서로 가까워지게 만들도록 확장 가능 요소(28)를 퇴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 유닛(20)은 장치(200)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함께 유지하기 위한 롤러 및 레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5는 레벨러(100) 내에 삽입된 연마 유닛(200)을 도시한다. 연마 유닛(200)은 레벨러(100)의 오퍼레이터 측으로부터(예를 들어, 작업 롤의 길이방향 쪽으로) 삽입된다. 연마 유닛(200)이 특히 연마 공정 중에 레벨러(100) 내에서 견고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위치결정 잠금 핀(32)이 각각의 연마기(22)와 작업 롤(60, 62)이 맞물림 및 연마를 위해 정렬된 상태로 연마 유닛(200)을 레벨러의 프레임(34)의 레벨러 상부 부분(42) 내에 위치결정시키고 잠금하는 데 사용된다. 입구 및 출구 에이프런(entry and exit apron)(36)이 레벨러(100)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배치되어, 연마 유닛(200)의 삽입을 위한 균등한 상승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공정 전에, 확장 가능 요소(28)는 수축된 상태(예를 들어,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 있고, 상부 플랫폼(24)과 하부 플랫폼(26)은 함께 잠금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1개의 연마기(22)가 레벨러(100) 내의 각각의 11개의 작업 롤(60, 62)의 각각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공정 중에, 확장 가능 요소(28)는 확장(예를 들어 팽창)되고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연마 유닛(200) 내의 연마기는 레벨러(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 작업 롤과 맞물림 및 접촉하도록 확장되고, 따라서 작업 롤이 회전을 시작할 때 연마기(22)가 작업 롤을 연마할 수 있다. 연마 공정 후에, 확장 가능 요소(28)는 퇴축될 수 있고, 그 후 연마 유닛(20)은 그 자체로 또는 전체 장치(200) 제거의 일부로서 레벨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6은 연마기(22)와 같은 본 발명의 연마기의 하나의 실시예의 3개의 주요 레이어, 즉 오목 팬(22)(a), 탄성 라이너 백킹(22(b)) 및 연마재 레이어(22(c))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24 및 26)은 하나의 단일 플랫폼(27)으로 일체화되고, 상부 및 하부 연마기(22)는 서로에 대해 확장 및 퇴축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플랫폼(27)은 스프링 코일(37)에서 연마 유닛(20)에 대해 스프링 부하가 걸린다. 연마기(22)와 작업 롤(60, 62)의 맞물림은 연마 유닛이 개방된 레벨러 내로 삽입된 후에 레벨러 상부 부분(42)을 하강시킴으로써 조절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레벨러 상부 부분(42)의 상부 작업 롤(60)이 플랫폼(27)의 상부의 상부 연마기(22)와 맞물림하여 상부 연마기(22)를 누르고, 다음으로 플랫폼(27)의 바닥부의 하부 연마기(22)가 레벨러 바닥 부분(43) 내의 하부 작업 롤(62)과 정렬된 맞물림 접촉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마기(22)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트레이(22(a)) 내의 연마재(22(c)) 또는 탄성 백킹(22(b))은 허용 가능한 범위의 작업 롤 상 연마기 압력(polisher-on-work-roll pressure)을 제공하도록 레벨러 상부 부분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수용하기 위해 더 두껍거나 더 탄성적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작업 공정으로서, 사용자는 먼저 레벨러를 점검하고, 연마될 준비가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모든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가 열간 레벨러를 통과하여 냉각 베드(cooling bed)로 보내졌는지를 확인해야 하고, 레벨러 롤로의 냉각수를 차단해야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연마 유닛을 삽입하기 전에 레벨러를 완전 개방 위치로 구성할 것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연마 유닛을 레벨러 내로 삽입하거나 밀어넣을 수 있다. 연마 유닛이 삽입되고 정렬된 후에, 사용자는 작업 롤 사이의 갭을 조절하고, 작업 롤을 원하는 속도로 회전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사용자는 다음으로 연마 유닛 내의 확장 가능 요소 거리를 더 확대하고 조절하여(예컨대, 밸브에 의해), 연마기가 적절한 접촉 압력하에서 회전하는 작업 롤에 충분하게 접촉하여 회전하는 작업 롤을 연마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 가능 요소가 에어 백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작업 롤을 계속 회전시키면서, 작업 롤이 연마 유닛의 연마기와 맞물림하고 있는 동안에 오퍼레이터 측에 배치된 밸브 제어부(12(a))를 사용하여 에어 백을 팽창시킬 수 있다(예컨대, 매 설정마다 약 5분 동안). 이 과정 중에, 사용자는 연마기(특히 입구 및 출구 롤에 대응되는 것)가 작업 롤과 적절하게 접촉하고 있는지를 점검 및 확인하고, 원하는 롤 압력에 따라 그리고 이와 더불어 온도 및 소음에 대응하여 에어 백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연마 공정 후에, 사용자는 작업 롤이 여전히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연마 유닛의 확장 가능 요소를 퇴축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레벨러를 완전 개방 위치로 다시 설정하고, 작업 롤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개방된 레벨러로부터 그리고/또는 레벨러 부근으로부터 연마 유닛을 그리고/또는 연마 유닛과 장치를 전체로 제거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앞서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여기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부여받을 것이다.

Claims (38)

  1. 금속 레벨러의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작업 롤이 작업 롤 원주 및 작업 롤 길이를 가지며, 상기 레벨러가 프레임, 일련의 상부 작업 롤 및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을 가지는 바의 금속 레벨러의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장치는 상기 레벨러의 일련의 상부 작업 롤과 일련의 하부 작업 롤 사이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치수결정되고 성형되며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연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마 유닛은 상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상기 레벨러의 일련의 상부 작업 롤 및 일련의 하부 작업 롤 중의 적어도 하나와 맞물림하여 연마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마기를 포함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마기는 연마재를 그 내부에 위치시킨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을 포함하고, 상기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은, 상기 연마기가 상기 각각의 작업 롤과 맞물림할 때 그리고 상기 작업 롤이 상기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 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연마재를 상기 각각의 작업 롤에 대해 노출시키도록 상기 연마재를 그 내부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마기는 상기 작업 롤이 회전될 때 상기 작업 롤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상기 연마기를 재위치시키는 일 없이 상기 레벨러의 작업 롤 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적어도 실질적 길이와 맞물림하여 연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마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연마기, 즉 상기 일련의 상부 작업 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제1 연마기 및 상기 일련의 하부 작업 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제2 연마기를 포함하고,
    - 상기 제1 및 제2 연마기는, 각각의 개별 작업 롤이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연마기와 맞물림되어 있으면서 회전할 때, 상기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동시에 연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마 유닛은 상기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개수에 대응하는 제1 일련의 연마기 및 상기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개수에 대응하는 제2 일련의 연마기를 포함하고,
    - 상기 제1 일련의 연마기는 각각이 상기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의 각각의 상기 작업 롤과 동시에 맞물림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제2 일련의 연마기는 각각이 상기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각각의 상기 작업 롤과 동시에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의 모두는, 상기 작업 롤의 모두가 상기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와 맞물림되어 있으면서 회전할 때, 상기 각각의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연마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상부 연마기의 모두는 상부 플랫폼 상에 작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일련의 하부 연마기의 모두는 하부 플랫폼 상에 작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상부 플랫폼 상의 연마기는 상기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의 하부 원주 표면을 연마하도록 노출되고, 상기 하부 플랫폼 내의 연마기는 상기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상부 원주 표면을 연마하도록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와 함께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상기 각각의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 사이의 위치 내외로의 상기 장치의 선택적인 도입 및 철수의 모두를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이 서로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위치인 배향 위치로부터, 상기 작업 롤의 동시적 회전 시에 상기 작업 롤의 연마를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이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를 상기 일련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과의 작동 가능한 맞물림 상태로 재위치시키도록 확장되는 위치인 연마 위치로 재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하나의 단일 플랫폼으로 일체화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의 위치는 각각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되고,
    - 상기 단일 플랫폼 내의 상기 일련의 상부 연마기의 각각은, 상기 상부 작업 롤의 하부 원주부와 상기 상부 플랫폼의 연마기 내에 위치된 각각의 상기 오목 팬 내의 연마재 사이의 접촉을 위해 상기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일련의 상부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상부 작업 롤이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마 유닛 내에 장착된 상기 단일 플랫폼은 상기 하부 작업 롤의 집합 위치를 향해 스프링 부하식으로 하강되고,
    - 상기 하부 플랫폼 내의 상기 일련의 하부 연마기의 각각은, 상기 하부 작업 롤의 상부 원주부와 상기 단일 플랫폼의 하부 표면을 따라 배향된 일련의 하부 연마기 내에 위치된 각각의 상기 오목 팬 내의 연마재 사이의 작동 가능한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이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일련의 하부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상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모두는 동시에 하강되어 상기 단일 플랫폼 내의 연마기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모두는, 상기 단일 플랫폼이 상기 레벨러의 상부 부분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상부 작업 롤에 의해 계속해서 하강될 때, 상기 단일 플랫폼 내의 연마기와 후속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단일 플랫폼 상의 연마기의 모두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양쪽 일련의 상부 작업 롤 및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의 작업 롤의 모두는 모든 작업 롤의 회전 시에 동시에 연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마기의 상기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은 금속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 상기 연마재는 상기 작업 롤의 상기 각각의 하나와 맞물림하도록 위치되는 라이닝으로서 상기 팬 내에 위치되는 실질적으로 연마성인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의 연마성 표면은 견고한 고무 백킹을 갖는 연마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 및 연마재는 상기 작업 롤의 원주와 맞물림하고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일련의 연마기는 각각 상기 일련의 상부 작업 롤 및 상기 일련의 하부 작업 롤을 동시에 연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이 서로에 대해 확장 및 퇴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 사이에 위치되는 플랫폼 이동 요소를 통해, 배향 위치와 연마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재위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이동 요소는 상기 장치의 상부 및 하부 플랫폼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 백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어셈블리는 상기 에어 백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의 위치를 확장 및 퇴축시키기 위한 공기 모터 및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연마기에 의해 각각 양쪽 상기 상부 작업 롤 및 하부 작업 롤을 동시에 연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은, 각각의 상기 연마기가 각각의 작업 롤과 작동 가능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작업 롤 사이의 레벨러 개방 위치에서, 상기 레벨러 내외로의 상기 장치의 배향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퇴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해 상기 레벨러의 프레임 내의 작동 가능한 위치에 상기 장치를 위치결정시키고 잠금하기 위한 잠금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그것의 연마 위치에 있지 않는 동안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을 그 배향 위치에서 함께 잠금하기 위한 폐쇄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요소는 롤러 및 레버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의 각각은 장치 테이블 지지부에 대해 상기 레벨러 내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이동 요소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랫폼을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확장 및 퇴축시키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일련의 상부 작업 롤 및 일련의 하부 작업 롤 사이에서 상기 장치를 제거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전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이동 요소는 이동 제어 어셈블리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어셈블리는 삽입 제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연마 장치의 사용을 통해 금속 레벨러의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를 상기 연마 장치의 삽입을 수용하기 위한 연마 위치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의 상기 연마 장치의 삽입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배향 위치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마 장치가 상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상기 레벨러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해 각각의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동시에 정렬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으로 구성된 연마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레벨러의 대응하는 작업 롤의 작동 가능한 길이와 맞물림하여 실질적으로 연마하도록 구성되는 바의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상기 레벨러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접촉된 작업 롤을 동시에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연마 장치의 사용을 통해 금속 레벨러의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를 개방 위치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마 장치가 상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상기 레벨러의 각각의 작업 롤과 동시에 맞물림하여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를 상부 및 바닥 표면 상에 포함하고, 상기 연마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내부에 연마재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이 상기 레벨러의 대응하는 작업 롤의 길이의 적어도 대부분과 맞물림하여 연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의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추가적으로 작업 롤과 접촉하도록 상기 연마기를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연마기와 상기 레벨러의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병치시키는 단계;
    상기 연마기 팬 내에서 상기 작업 롤을 연마하도록 상기 작업 롤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는 공기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연마기를 테이블 지지부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연마기를 상기 레벨러의 상부 작업 롤과 하부 작업 롤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를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마기가 상기 작업 롤과 접촉하여 연마하도록 만들기 위해 공기 모터 및 밸브를 사용하여 연마 유닛 내의 내부 에어 백을 팽창시키고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부 연마기가 상부 작업 롤의 모두와 동시에 접촉하여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하부 연마기가 하부 작업 롤의 모두와 동시에 접촉하여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연마기가 각각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의 모두와 동시에 접촉하여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28 항에 있어서,
    연마 공정 후에 상기 연마 장치의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퇴축시키는 단계; 및
    연마 유닛을 상기 레벨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를 상기 레벨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연마 유닛을 상기 레벨러 외로 롤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는 상기 레벨러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에 상기 작업 롤과 접촉하도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기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의 배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업 롤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연마 장치의 사용을 통해 금속 레벨러의 작업 롤을 연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를 상기 연마 장치의 삽입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위치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마 장치가 플랫폼의 양측을 따라 서로에 대해 구속 가능하게 위치되는 상부 및 하부 연마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기가 연마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작업 롤과 맞물림하도록 동시에 정렬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오목 팬으로 구성되는 바의 상기 연마 장치를 상기 레벨러 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 연마기와 맞물림하도록 상부 작업 롤을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하부 연마기가 하부 작업 롤과 맞물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상기 상부 작업 롤을 계속해서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의 회전 중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작업 롤을 동시에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7015596A 2016-10-31 2017-10-31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를 연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29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39,408 2016-10-31
US15/339,408 US10279383B2 (en) 2016-10-31 2016-10-31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olishing a metal sheet or plate leveler
PCT/US2017/059359 WO2018081813A1 (en) 2016-10-31 2017-10-31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olishing a metal sheet or plate leve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650A true KR20190079650A (ko) 2019-07-05
KR102129381B1 KR102129381B1 (ko) 2020-07-02

Family

ID=6202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596A KR102129381B1 (ko) 2016-10-31 2017-10-31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를 연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79383B2 (ko)
EP (1) EP3532214A4 (ko)
JP (1) JP6917116B2 (ko)
KR (1) KR102129381B1 (ko)
CN (1) CN110191770B (ko)
CA (1) CA3042403C (ko)
WO (1) WO2018081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6264B (zh) * 2018-09-12 2020-07-28 重庆玖和惠鼎建筑劳务有限公司 脚手架网板打磨校平机
CN113084707B (zh) * 2021-03-05 2022-06-14 华南理工大学 一种金刚石机械热化学修整能量的模糊控制方法
CN114473782B (zh) * 2022-02-28 2023-10-20 江苏鼎胜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冷连轧复合材料打磨设备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2131A (en) * 1916-05-04 1917-01-09 Albert P Coate Means for grinding and polishing rolling-mill rolls.
JPS611403A (ja) * 1984-06-13 1986-01-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機
US4841675A (en) * 1988-05-13 1989-06-27 Perneczky George C Apparatus for cleaning and polishing roll assemblies
JPH04223854A (ja) * 1990-12-20 1992-08-13 Daido Kikai Seisakusho:Kk 矯正ロールの研磨装置
JPH06335715A (ja) * 1993-05-27 1994-12-06 Hitachi Ltd オンラインロール研削装置を備えた圧延機
US5383306A (en) * 1992-01-06 1995-01-24 Clecim Cleaning apparatus for a cylindrical roll, and in particular a mill roll
DE29604532U1 (de) * 1996-03-12 1996-04-25 Achenbach Buschhuetten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die Walzen eines Walzgerüstes
KR20000014220A (ko) * 1998-08-18 2000-03-06 이구택 이동식 롤 연마장치
US20070180879A1 (en) * 2006-02-06 2007-08-09 Butech Bliss Work roll scraper for roller levelers
WO2008099126A2 (fr) * 2007-02-02 2008-08-21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Sas Procédé et dispositif de démontage des équipages de planage dans une planeuse a rouleaux multiples
US7465374B2 (en) * 2004-01-19 2008-12-16 Superior Industrial Services Roll clea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590A (en) 1900-06-04 1901-06-04 George Darrall Combined grinder and polisher for metal rolls.
GB442483A (en) 1935-07-27 1936-02-10 Frank Coop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evices for polishing the rolls of rolling mills
US2461459A (en) 1946-08-06 1949-02-08 Wm R Thropp & Sons Co Roll grinder and polisher
US2651152A (en) 1950-06-28 1953-09-08 Farrel Birmingham Co Inc Roll grinding device
JPS58201436A (ja) 1982-05-20 1983-11-24 Nec Corp スクランブラ−
KR100277320B1 (ko) * 1992-06-03 2001-01-15 가나이 쓰도무 온라인 롤 연삭 장치를 구비한 압연기와 압연 방법 및 회전 숫돌
US5255549A (en) 1992-06-10 1993-10-26 The Monarch Machine Tool Company Tension leveler roll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20050039288A1 (en) 2003-08-19 2005-02-24 Pisacane F. Frederick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rollers
JP4428646B2 (ja) 2004-06-18 2010-03-10 平田機工株式会社 容器内ガスパージ方法
US7637133B2 (en) 2006-07-13 2009-12-29 Butech Bliss Cassette roller leveler with common back-up rolls
WO2008124914A1 (en) 2007-04-12 2008-10-23 Superior Industrial Services Rol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464965B (zh) 2013-09-30 2015-12-23 江苏南山冶金机械制造有限公司 炉辊的修复工艺
DE102014101101A1 (de) * 2014-01-29 2015-07-30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Deutschland Gmbh Walzen-Richtmaschin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rangs
CN205183384U (zh) 2015-10-27 2016-04-2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用于矫直机的铁皮灰清扫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2131A (en) * 1916-05-04 1917-01-09 Albert P Coate Means for grinding and polishing rolling-mill rolls.
JPS611403A (ja) * 1984-06-13 1986-01-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機
US4841675A (en) * 1988-05-13 1989-06-27 Perneczky George C Apparatus for cleaning and polishing roll assemblies
JPH04223854A (ja) * 1990-12-20 1992-08-13 Daido Kikai Seisakusho:Kk 矯正ロールの研磨装置
US5383306A (en) * 1992-01-06 1995-01-24 Clecim Cleaning apparatus for a cylindrical roll, and in particular a mill roll
JPH06335715A (ja) * 1993-05-27 1994-12-06 Hitachi Ltd オンラインロール研削装置を備えた圧延機
DE29604532U1 (de) * 1996-03-12 1996-04-25 Achenbach Buschhuetten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die Walzen eines Walzgerüstes
KR20000014220A (ko) * 1998-08-18 2000-03-06 이구택 이동식 롤 연마장치
US7465374B2 (en) * 2004-01-19 2008-12-16 Superior Industrial Services Roll cleaning apparatus
US20070180879A1 (en) * 2006-02-06 2007-08-09 Butech Bliss Work roll scraper for roller levelers
WO2008099126A2 (fr) * 2007-02-02 2008-08-21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Sas Procédé et dispositif de démontage des équipages de planage dans une planeuse a rouleaux multi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5533A (ja) 2019-12-12
US10279383B2 (en) 2019-05-07
CN110191770B (zh) 2020-10-20
EP3532214A1 (en) 2019-09-04
WO2018081813A1 (en) 2018-05-03
CA3042403C (en) 2020-06-30
CN110191770A (zh) 2019-08-30
US20180117652A1 (en) 2018-05-03
JP6917116B2 (ja) 2021-08-11
EP3532214A4 (en) 2019-12-04
KR102129381B1 (ko) 2020-07-02
CA3042403A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9650A (ko) 금속 시트 또는 플레이트 레벨러를 연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658189A (en) Grinding apparatus for wafer edge
JP6535529B2 (ja) 両面研磨装置の研磨布のドレッシング装置およびドレッシング方法
KR101591260B1 (ko) 정정 설비
JP2019535533A5 (ko)
TW553798B (en) Wafer polishing apparatus
US2589620A (en) Apparatus for cleaning, dressing, and grinding wheels
CN109551358B (zh) 一种可调整研磨精度的汽车轮毂研磨装置
CN106312720B (zh) 管件端部打磨设备
CN114770349A (zh) 一种全自动粗精抛光的抛光机
CN105290888B (zh) 刮刀的研磨器
CN114012536A (zh) 一种冷轧钢板的侧边打磨装置
CN112705797A (zh) 一种精密齿轮制造内槽磨削系统及其使用方法
JPH081486A (ja) 刃物の研削方法および装置
US2893172A (en) Sidewall buffing machine for pneumatic tires
JP2001121392A (ja) ガラス物品の加工仕上げ装置
CN218533835U (zh) 一种圆钢断口平滑处理设备
KR100929171B1 (ko) 탈지설비의 브러쉬롤 폭 조절장치
CN215659445U (zh) 一种玻璃磨边装置
US3434240A (en) Apparatus for finishing endless metallic belts
EP3863798B1 (en) An apparatus for working opposite arranged surfaces
JP6138063B2 (ja) ウェハ研磨装置
JP4485044B2 (ja) リングの圧延装置
KR100807571B1 (ko) 핀치롤 표면 가공 장치
KR100822975B1 (ko) 냉각장치가 구비된 롤 적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