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399A -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399A
KR20190079399A KR1020170181578A KR20170181578A KR20190079399A KR 20190079399 A KR20190079399 A KR 20190079399A KR 1020170181578 A KR1020170181578 A KR 1020170181578A KR 20170181578 A KR20170181578 A KR 20170181578A KR 20190079399 A KR20190079399 A KR 2019007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elevator car
level
car
col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경
오명호
변종선
장행규
강희철
유기돈
윤재헌
백종만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17018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9399A/ko
Publication of KR2019007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승강카나 객차의 바닥면이 승강장에 대해 단차가 발생됨을 감지하고, 그 단차정도에 따라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보하여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또는 저시력자 등과 같이 이동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인 경우에도 안전하게 승하차하도록 유도하여 전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1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1)나 지하철의 객차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장(10)과 승강카(11) 또는 객차의 단차(L)를 감지하도록 된 단차측정센서(20)와; 상기 승강장(10) 또는 승강카(L)나 객차의 출입구 코너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10) 및 승강카(11)나 객차의 도어(12,13)의 개방시에 승객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색상표시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은 상기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단차정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Level detecting and alarm device of a platform}
본 발명은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나 지하철이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에 승강카나 객차의 바닥면이 승강장에 대해 단차가 발생됨을 감지하고, 그 단차정도에 따라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보할 수 있는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나 지하철은 자동으로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끼임이나 걸림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인데, 일례로 승강카에 탑승한 인원에 의한 중량차이나 제동성능 또는 지하철 역사의 환경적인 차이 등으로 인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승강카나 객차의 위치가 일부 차이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승강카 또는 객차의 바닥면과 승강장의 바닥면 간에 단차가 발생되면 승하차 과정에서 승강장이나 승강카 또는 객차의 문턱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에는 이러한 승강장의 단차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특화된 안전장치가 미비함에 따라 엘리베이터나 지하철의 승하차 과정에서 승강장의 단차를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또는 저시력자 등과 같이 이동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인 경우에는 단차의 정도가 심하지 않더라도 전도사고의 우려가 큼에 따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승강카나 객차의 바닥면이 승강장에 대해 단차가 발생됨을 감지하고, 그 단차정도에 따라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보하여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또는 저시력자 등과 같이 이동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인 경우에도 안전하게 승하차하도록 유도하여 전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승강장(1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1)나 지하철의 객차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장(10)과 승강카(11) 또는 객차의 단차(L)를 감지하도록 된 단차측정센서(20)와;
상기 승강장(10) 또는 승강카(L)나 객차의 출입구 코너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10) 및 승강카(11)나 객차의 도어(12,13)의 개방시에 승객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색상표시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은 상기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단차정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은 상기 도어(12,13)가 닫히도록 신호하는 전기적인 접점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12,13)의 열림시작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장(10)이나 승강카(11) 또는 객차에는 상기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단차정도에 따라 경보음이나 안내멘트를 내보내도록 된 청각알림수단(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단자감지 및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1)나 지하철의 객차가 승강장(10)에 진입하였을 때에 승강장(10)과의 단차(L)를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감지하고, 상기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단차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되는 색상표시수단(30)이 구비됨에 따라, 승강카(11)나 객차에 승객이 승하차하는 과정에서 상기 색상표시수단(30)에 의해 표시된 색상을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또는 저시력자 등과 같이 이동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인 경우에도 상기 색상표시수단(30)에 표시된 색상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안전한 하차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승강장(10)의 단차상태에 용이하게 대처하여 안전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은 승강장(10) 및 승강카(11)나 객차의 도어(12,13)가 닫히는 그 신호접점을 이용하여 연동 작동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도어(12,13)의 열림시작과 동시에 색상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하차하는 시점에 즉각적으로 색상구현이 가능하여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단차정도에 따라 경보음이나 안내멘트를 내보내도록 된 청각알림수단(40)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색상표시수단(30)에 의한 시각적인 표시기능에 더하여 청각적인 알림기능을 갖추어 상승된 경보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나 지하철의 승강장(10)에 승강카(11)나 객차가 정차될 때에, 승강카(11)나 객차와 승강장(10)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L)에 의해 전도사고 등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특화된 것으로, 승강장(10)에서의 단차(L)를 측정하는 단차측정센서(20)와 이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단차(L)의 정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된 색상표시수단(30)을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차측정센서(20)는 통상의 포토센서나 근접센서 등을 사용하여 승강장(10)의 바닥면에 대해 승강카(11)나 객차의 바닥면과의 높이차를 측정하도록 된 것으로, 이 단차측정센서(20)의 설치위치는 센서의 작동용이성이나 전기적인 연결 및 다른 구성과의 연결관계 등을 고려하여 승강장(10)이나 승강카(11) 또는 객차 상에 적정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은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스틱형태로 된 바디(31)의 전면에 LED램프(32)가 구비되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색상표시수단(30)의 설치위치는 승강장(10) 또는 승강카(11)나 객차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승객의 승하차시에 방해되지 않도록 출입구 코너측에 설치되어 승강장(10) 및 승강카(11)나 객차의 도어(12,13)가 개방될 때에 승객이 다방면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위치나 각도 또는 형상 등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벽체나 프레임(14) 등에 매립 설치하거나 스탠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은 상기 도어(12,13)의 열림시작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비되어 경보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은 상기 승강카(11)나 객차의 도어(12,13)가 닫히도록 신호하는 전기적인 접점을 이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10) 및 승강카(11)나 지하철의 객차에 구비되는 도어(12,13)는 승강카(11)나 객차의 정차가 확인된 후에, 자동적으로 닫힘 또는 열림신호를 받아 작동되는데, 만약에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의 작동시점을 도어(12,13)의 개폐시점에 연계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적의 작동시점을 설정하거나 구현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고, 도어(12,13)의 오픈신호를 이용하여 색상표시수단(30)의 작동시점을 설정하게 되면 도어(12,13)의 개방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이 작동됨으로 인해, 실제 승객들이 도어(12,13)의 개방시점부터 출입이 이루어지는 현실에서 단차(L)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10) 또는 승강카(L)나 객차에는 상기 색상표시수단(30)에 더하여 음성으로 승강장(10)의 단차상태를 알려도록 된 청각알림수단(4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청각알림수단(40)은 상기 색상표시수단(30)에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단차정도에 따라 색상을 표시할 때에 그 색상정보에 대응된 경보음이나 안내멘트를 내보내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청각알림수단(40)의 경우에도 전술된 색상표시수단(30)의 작동시점에 맞추어 동시에 청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 및 청각적인 경보상태를 도 3의 (a) 내지(c)와 다음의 표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차정도 색상표시수단의 색상표시 청각알림수단의 음성정보
+10mm초과 LEVEL 적색 점멸 위험합니다
+10mm이내 LEVEL 황색 점등 주의하세요
정상 LEVEL 녹색 점등 좋은하루되세요
-10mm이내 LEVEL 황색 점등 주의하세요
-10mm초과 LEVEL 적색 점멸 위험합니다
상기 표와 도 3의 (a) 내지 (c)와 같이, 상기 승강장(10)에 비해 승강카(11)나 객차의 높거나 낮은 경우에 그 단차정도에 따라 적색이나 황색으로 점멸 또는 점등하고, 정상높이인 경우에는 녹색을 점등하여 단차정도에 따라 다른 색상을 점등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청각알림수단(40)에 의해 각 단계에 맞는 적절한 안내멘트나 경보음을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승강장 11: 승강카
12,13: 도어 20: 단차측정센서
30: 색상표시수단 31: 바디
32: LED램프 40: 청각알림수단
L: 단차

Claims (3)

  1. 승강장(1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1)나 지하철의 객차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장(10)과 승강카(11) 또는 객차의 단차(L)를 감지하도록 된 단차측정센서(20)와;
    상기 승강장(10) 또는 승강카(L)나 객차의 출입구 코너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10) 및 승강카(11)나 객차의 도어(12,13)의 개방시에 승객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색상표시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은 상기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단차정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표시수단(30)은 상기 도어(12,13)가 닫히도록 신호하는 전기적인 접점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12,13)의 열림시작과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10)이나 승강카(11) 또는 객차에는 상기 단차측정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단차정도에 따라 경보음이나 안내멘트를 내보내도록 된 청각알림수단(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단자감지 및 경보장치.
KR1020170181578A 2017-12-27 2017-12-27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 KR20190079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578A KR20190079399A (ko) 2017-12-27 2017-12-27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578A KR20190079399A (ko) 2017-12-27 2017-12-27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399A true KR20190079399A (ko) 2019-07-05

Family

ID=6722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578A KR20190079399A (ko) 2017-12-27 2017-12-27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93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680A (ko) * 2021-01-07 2022-07-14 김경중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680A (ko) * 2021-01-07 2022-07-14 김경중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1834B1 (ja) エレベータ
JP2017536277A (ja) センサーユニットおよび通信要素を備えたドアシステム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JP2015044674A (ja) エレベータ用案内システム
CN106672767A (zh) 一种汽车电梯的汽车位置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614861B1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CN203112322U (zh) 一种扶手电梯
KR20190079399A (ko) 승강장 단차감지 및 경보장치
KR101873012B1 (ko) 차량의 후방 안전 알림 표시 장치
KR102174439B1 (ko) 비상 탈출 유도 및 환경 조명을 위한 지능형 객실 조명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97076A1 (en) Cell phone texting exter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44179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4776A (ko) 어린이 등원 차량용 탑승자 차내 방치 방지장치
JP48111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012120B2 (ja) エレベータの防犯運転方法
CN210503241U (zh) 一种机场客梯车安全防撞警示系统
US20170267172A1 (en) Pedestrian detection system
CN104943607A (zh) 一种公交的安全装置
JP3554043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安全監視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全監視方法
JP7486366B2 (ja) 駆け込み搭乗の抑制システムおよび駆け込み搭乗の抑制方法
CN113955612B (zh) 光幕安全电路及紧急救援装置
CN218320089U (zh) 一种用于电梯轿厢检修时的定位辅助装置
CN201045113Y (zh) 自动扶梯安全装置
JPH0930761A (ja)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JP2022023518A (ja) 移動体への搭乗偏り抑制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