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798A - 간지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지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798A
KR20190078798A KR1020170180482A KR20170180482A KR20190078798A KR 20190078798 A KR20190078798 A KR 20190078798A KR 1020170180482 A KR1020170180482 A KR 1020170180482A KR 20170180482 A KR20170180482 A KR 20170180482A KR 20190078798 A KR20190078798 A KR 2019007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dule
line
intermitten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
임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7018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8798A/ko
Publication of KR2019007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02Associating,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from several sources
    • B65H39/06Associating,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from several sources from delivery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air blast or suction apparatus
    • B65H29/245Air blas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 B65H5/2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 B65H5/22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by suctio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간지 공급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지 공급 시스템은, 글라스가 이송되는 글라스 이송 라인; 글라스 이송 라인의 일측에 배치되며, 글라스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된 글라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간지가 이송되는 간지 이송 라인; 및 글라스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글라스와 간지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간지를 글라스와 간지가 밀착될 간지 밀착 위치로 서로 접근시키면서 밀착시키는 간지 밀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지 공급 시스템{Interleaf Feeding System}
본 발명은, 간지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글라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간지를 이송함에 있어서 간지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이송속도를 높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글라스와 간지를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간지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 luminescent) 등의 평판디스플레이(Flat display)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는 글라스를 운송할 때에 글라스는 트레이(tray)에 적재된다.
하나의 트레이에는 하나의 글라스가 적재되기도 하고 혹은 다수의 글라스가 적재되기도 한다. 이러한 트레이의 운송 시 충격에 의하여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글라스 상호 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글라스 사이마다 간지(interleaf)가 게재된다.
다시 말해, 글라스를 원거리 이송시키고자 할 경우, 또는 한 공장 내에서 공정 라인들 간으로 글라스를 이송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글라스들 간의 충돌에 의한 손상 방지를 위해 글라스 사이마다 간지가 게재된다. 즉 하나의 트레이에 한 장의 글라스가 올려지면 그 위로 역시 한 장의 간지가 게재되어 하나의 셀(cell) 단위로 밀착되며, 이러한 셀이 다단으로 적층된 후에 비로소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이처럼 트레이에 글라스와 간지를 차례로 올려 셀 단위로 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수작업으로는 생산성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보통은 간지 공급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
즉, 간지 공급 시스템은 가공 및 검사공정이 완료된 글라스를 적재함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글라스 간 접촉으로 인한 제품 손상을 막기 위해 각각의 글라스 사이에 간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간지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간지 공급 시스템(2)은 컨베이어(3)의 일측에 간지 공급 장치(4)가 배치되어 있고 컨베이어(3)의 상부에 놓여져 컨베이어(3)를 따라 글라스(G)가 이송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송중인 글라스(G)의 속도 및 간격에 맞춰 간지 공급 장치(4)가 간지(P)를 위에서 떨어트려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간지(P)가 올려진 글라스(G)는 컨베이어(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적재함(5)에 순차적으로 적재되면서 글라스와 간지가 이루는 하나의 셀이 다단으로 적층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간지 공급 시스템은, 글라스(G)의 상부에 간지(P)를 올려놓는 동작만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글라스와 간지가 이송될 때 공장 내의 기류에 의해 글라스 위의 간지가 완전 밀착되지 못하고 날아가는 날림간지(FP)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지의 이송속도를 느리게 하는 경우 작업속도가 저하되어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글라스와 간지를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밀착시키지 못하여 글라스 적재 시 글라스간 마찰에 의한 파손이 증가하여 불량 글라스의 양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생산 비용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8567호, 2012.01.3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글라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간지를 이송함에 있어서 간지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이송속도를 높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글라스와 간지를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간지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글라스가 이송되는 글라스 이송 라인;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된 상기 글라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간지가 이송되는 간지 이송 라인; 및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글라스와 상기 간지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를 글라스와 간지가 밀착될 간지 밀착 위치로 서로 접근시키면서 밀착시키는 간지 밀착 유닛을 포함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간지 밀착유닛은, 상기 간지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를 상기 간지 밀착 위치로 이송하는 간지 이송 모듈;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과 상기 간지 밀착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밀착 위치로 이송하는 글라스 이송 모듈; 및 상기 글라스 이송 모듈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이송 모듈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 측으로 가압하는 글라스 압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지 이송 모듈은, 상기 간지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를 진공 흡입에 의해 위치 유지시킨 상태로 상기 간지 밀착 위치로 이송시키는 간지 흡착이송 모듈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이송 모듈은,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글라스를 이송하면서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와 얼라인하는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은, 상기 간지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간지의 이송 위치에 맞춰 상기 글라스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는 이송속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지 이송 라인은,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적층구조를 가지고, 상기 간지 밀착 위치는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간지 흡착이송 모듈은, 상기 간지를 상기 간지 이송 라인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부터 상기 간지 밀착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간지를 진공을 이용하여 흡착시키는 진공 흡착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지 밀착유닛은, 상기 간지 이송 모듈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에 의해 상기 글라스에 밀착된 상기 간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간지를 상기 글라스 측으로 가압하는 에어 나이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은, 상기 글라스와 접촉하여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이송 모듈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롤러; 상기 가압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 및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 롤러를 상기 간지 이송 모듈 측으로 접근하도록 구동시키는 가압 롤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은, 상기 글라스와 접촉하여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이송 모듈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롤러; 상기 가압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글라스 이송 모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 및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를 상기 간지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지 이송 라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간지 이송 라인으로 상기 간지를 공급하는 간지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지 공급 유닛은 상기 간지 이송 라인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간지 이송 라인으로 상기 간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간지 밀착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글라스와 상기 간지가 밀착된 상태로 적재되는 적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간지 밀착 유닛을 마련함으로써 글라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간지를 이송함에 있어서 간지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이송속도를 높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글라스와 간지를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간지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지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간지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간지 밀착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간지 밀착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압착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압착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지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간지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 공급 시스템(1)은 글라스 이송 라인(10)과, 간지 이송 라인(20)과, 간지 밀착 유닛(30)과, 간지 공급 유닛(70)과, 적재 유닛(80)을 포함한다.
글라스 이송 라인(10)은 가공 및 검사공정이 완료된 글라스(G)가 이송되는 라인을 말한다.
간지 이송 라인(20)은 글라스 이송 라인(10)의 일측에 배치되며, 글라스 이송 라인(10)을 따라 이송된 글라스(G)에 밀착시키기 위한 간지(P)가 이송되는 라인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지 공급 시스템(1)은, 종래의 간지 공급 시스템(2, 도 1 참조)과 달리, 글라스(G)가 이송되는 글라스 이송 라인(10)과 간지(P)가 이송되는 간지 이송 라인(20)이 별도로 설치됨으로써 글라스(G)의 이송 방식과 간지(P)의 이송 방식에 차이를 둘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 이송 라인(20)은 글라스 이송 라인(1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적층구조를 가지고, 간지 밀착 위치(A)가 글라스 이송 라인(10)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글라스 이송 라인(10)과 간지 이송 라인(20)을 높이가 다른 상하 적층구조로 배치하고, 간지 밀착 위치(A)는 글라스 이송 라인(10)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간지 이송 라인(20)에 의해 수평으로 이송된 간지(P)를 간지 밀착 위치(A)로 상승시키면서 글라스 이송 라인(10)에 의해 수평으로 이송된 글라스(G)와 서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글라스(G)나 간지(P)를 별도로 수평이동시키는 동작이 필요없이 간지(P)를 상승시키는 동작만으로 글라스(G)와 정확한 위치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글라스 이송 라인(10)과 간지 이송 라인(20)이 별도로 설치되더라도 시스템의 면적이 늘어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간지 밀착 유닛(30)은 글라스 이송 라인(10)에 의해 이송된 글라스(G)와 간지 이송 라인(20)에 의해 이송된 간지(P)를 글라스와 간지가 밀착될 간지 밀착 위치(A)로 서로 접근시키면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글라스 이송 라인(10)과 간지 이송 라인(20)을 높이가 다른 상하 적층구조로 배치되며, 간지 밀착 유닛(30)을 글라스 이송 라인(10)과 간지 이송 라인(20)의 측면에 배치하여 글라스(G)는 수평이동시키고 간지(P)는 경사이동시킴으로써 글라스 이송 라인(10)과 간지 이송 라인(20)의 사이에 배치하는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글라스(G)와 간지(P)를 서로 접근시키면서 정확한 위치에서 글라스(G)와 간지(P)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간지 밀착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간지 밀착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압착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 밀착유닛(30)은 간지 이송 모듈(300, 도 2 참조)과, 글라스 이송 모듈(400, 도 2 참조)과, 글라스 압착 모듈(500)과, 에어 나이프 모듈(600)을 포함한다.
먼저, 간지 이송 모듈(300, 도 2 참조)은 간지 이송 라인(20)에 의해 이송된 간지(P)를 간지 밀착 위치(A)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간지 이송 라인(20)에 의해 이송된 간지(P)를 진공 흡입에 의해 위치 유지시킨 상태로 간지 밀착 위치(A)로 이송시키는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간지 이송 모듈(300, 도 2 참조)은 진공 흡입에 의해 위치 유지가 이루어지는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정전 척 등 기타 수단을 이용하여 간지가 날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은 컨베이어(311)와 진공 흡착 배관(312)을 포함한다.
컨베이어(311)는 간지(P)를 간지 이송 라인(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부터 간지 밀착 위치(A)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고, 진공 흡착 배관(312)은 컨베이어(311)의 일측에 마련되어 간지(P)를 진공을 이용하여 V 방향으로 흡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진공 흡착 배관(312)이 마련된 컨베이어(311)을 이용하는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을 마련함으로써, 간지(P)를 이송할 때 공장 내의 기류에 의해 간지가 날아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간지 날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지의 이송속도를 느리게 할 필요가 없고 빠른 속도로 간지(P)를 이송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여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글라스 이송 모듈(400, 도 2 참조)은 글라스 이송 라인(10)과 간지 밀착 위치(A) 사이에 배치되어 글라스 이송 라인(10)에 의해 이송된 글라스(G)를 간지 밀착 위치(A)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글라스 이송 라인(10)에 의해 이송된 글라스(G)를 이송하면서 글라스(G)를 간지 이송 라인(20)에 의해 이송된 간지(P)와 얼라인하는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과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에서 글라스(G)와 간지(P)의 수평 이동거리는 동일하지만,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것과 달리,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은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므로 실제로 이송거리가 상이하다.
따라서, 간지 밀착 위치(A)에서 글라스(G)와 간지(P)가 정확하게 일치한 상태로 밀착되기 위해서는 글라스(G)의 위치와 간지(P)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얼라인작업이 필요하다.
다만, 얼라인 작업을 글라스(G)와 간지(P)를 멈춘 상태에서 진행하게 되면 작업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을 마련함으로써 글라스(G)와 간지(P)를 이송하면서 동시에 얼라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은 센서부(411)와, 이송속도 제어부(미도시)와, 이송부(41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두 개의 이송부(413a,413b)가 마련되며, 두 개의 이송부(413a,413b) 사이의 중앙 영역, 즉 2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센서부(411)가 배치된다.
센서부(411)는 간지(P)의 위치를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실시 예와 같이 두 개의 이송부(413a,413b)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하부를 향해서는 간지(P)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으며, 상부를 향해서는 글라스(G)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
이송속도 제어부(미도시)는 간지(P)의 이송 위치에 맞춰 글라스(G)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송부(413)의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이송부(413)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간지 밀착 위치(A)에 도달할 때 글라스(G)와 간지(P)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P)는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의 하부에서 경사이동으로 상승하고 있는 중이고 글라스(G)는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동중이며, 글라스(G)와 간지(P)의 위치가 얼라인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렇게, 글라스(G)의 위치를 나타내는 글라스위치 기준선(GL)이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에 의해 간지 부착 위치로 이동하는 간지(P)의 위치를 나타내는 간지위치 기준선(PL)보다 앞서있는 경우에는, 이송속도 제어부(미도시)가 이송부(413)의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여 글라스(G)의 이송속도를 간지(P)의 이송속도보다 느리게 함으로써 가압 롤러(530)의 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간지위치 기준선(PL)과 글라스위치 기준선(GL)이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글라스위치 기준선(GL)이 간지위치 기준선(PL) 보다 뒤처져 있는 경우에는, 글라스(G)의 이송속도를 간지(P)의 이송속도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가압 롤러(530)의 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간지위치 기준선(PL)과 글라스위치 기준선(GL)이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을 마련함으로써, 간지(P)의 이송위치에 맞춰 글라스(G)의 이송속도를 제어하여 글라스(G)와 간지(P)를 간지 밀착 위치에 동시에 도달하게 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글라스 압착 모듈(500)은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410)에 의해 이송된 글라스(G)를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에 의해 이송된 간지(P)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압착 모듈(500)은 가압 롤러(530)와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510)와 가압 롤러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510)는 가압 롤러(5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곳이며, 가압 롤러(530)는 글라스(G)와 접촉하여 글라스(G)를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 롤러 구동부(미도시)는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5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압 롤러(530)를 간지 이송 모듈(300) 측으로 접근하도록 구동시킴으로서 가압 롤러(530)가 글라스(G)를 간지 이송 모듈(300) 측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이렇게, 글라스 압착 모듈(500)을 마련함으로써, 종래의 간지 공급 시스템(2, 도 1 참조)이 이송중인 글라스(G)의 속도 및 간격에 맞춰 간지 공급 장치(4)가 간지(P)를 위에서 떨어트리는 방식과 달리 글라스(G)와 간지(P)를 가압시켜 밀착시킬 수 있어 더욱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나아가, 가압 롤러(530)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글라스(G)와 간지(P)가 함께 가압 롤러(530)와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의 사이로 통과하는 동작만으로 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빠른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글라스 압착 모듈(5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510)에 가압 롤러(5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가압 롤러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글라스(G)와 간지(P)가 서로 얼라인 된 상태로 가압 롤러(530)의 좌측으로 투입되면 가압 롤러(530)가 살짝 들려진 상태에서 가압 롤러(530)와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 사이로 글라스(G)와 간지(P)가 통과하면서 가압 롤러(5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서로 밀착되어 가압 롤러(530)의 우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에어 나이프 모듈(600)은 간지 이송 모듈(300)의 일측에 결합되어 글라스 압착 모듈(500)에 의해 글라스(G)에 밀착된 간지(P)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간지(P)를 글라스(G)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롤러(530)의 우측으로 배출되는 글라스(G)와 간지(P)가 적재 유닛(80)에 적재되기 전까지 간지(P)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처지게 되면 글라스(G)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글라스(G)와 간지(P)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 나이프 모듈(600)이 글라스(G)에 밀착된 간지(P)의 하부를 향해 W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간지(P)를 글라스(G)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글라스와 간지의 밀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간지 공급 유닛(70)은 간지 이송 라인(20)의 일측에 배치되며, 간지 이송 라인(20)으로 간지(P)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 공급 유닛(20)은 간지 이송 라인(2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마련되어 간지 이송 라인(20)으로 간지(P)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전술한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을 마련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간지(P)를 이송하여도 공장 내의 기류에 의해 간지가 날아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일반적인 스펙을 가지는 간지 공급 유닛(20)의 속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글라스와 간지의 밀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간지 공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작업속도를 빠르게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재 유닛(80)은 간지 밀착 유닛(30)의 일측에 배치되어 글라스(G)와 간지(P)가 밀착된 상태로 적재되는 곳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간지 공급 시스템에 의해 글라스와 간지가 이송되어 서로 밀착된 후 적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글라스(G)는 글라스 이송 라인(10)에 의해 수평이동 되어 간지 밀착 유닛(30)의 글라스 얼라인 이송모듈(410)로 이동된다.
간지(P)는 간지 이송 라인(20)에 의해 글라스 이송 라인(10)의 하부에서 수평이동 되어 간지 밀착 유닛(30)의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로 이동된다.
간지 밀착 유닛(30)의 간지 흡착이송 모듈(310)은 간지 부착 위치(A)를 향해 경사방향으로 이송하되 진공 흡착 배관(312)에 의해 흡착된 상태로 이송하므로 간지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간지 밀착 유닛(30)의 글라스 얼라인 이송모듈(410)은 하부의 간지의 이송위치를 센싱하고 이에 맞춰 글라스의 이송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글라스와 간지가 정확한 위치에 함께 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얼라인된 글라스와 간지가 함께 글라스 압착 모듈(500)의 가압 롤러(530)의 아래를 통과하게 되면서 글라스와 간지가 밀착되며, 가압 롤러(530)의 아래를 통과한 밀착된 글라스와 간지가 적재 유닛(80)에 적재되는 동안에 에어 나이프 모듈(600)이 간지의 하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밀착된 글라스와 간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도 7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압착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글라스 압착 모듈(500')은 가압 롤러(530)와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510')와 탄성제공부(550)를 포함한다.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가압 롤러(530)는 글라스(G)와 접촉하여 글라스(G)를 간지 이송 모듈(300)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실시 예에서는,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510')는 가압 롤러(5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510')가 간지 이송 모듈(3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결국 가압 롤러(530)가 상하이동 대신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탄성제공부(552)는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510')를 간지(P)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간지 이송 모듈(30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510')에 결합되는 스프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을 제공하는 기타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간지 흡착이송 모듈을 마련함으로써 간지 밀착 유닛을 마련함으로써 글라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간지를 이송함에 있어서 간지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이송속도를 높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 및 글라스 압착 모듈을 마련함으로써 글라스와 간지를 정확한 위치에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에어 나이프 모듈을 마련함으로써 밀착된 글라스와 간지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적재할 수 있으므로 글라스 적재 시 글라스간 마찰에 의한 파손 확률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G : 글라스 P : 간지
GL : 글라스위치 기준선 PL : 간지위치 기준선
1 : 간지 공급 시스템 10 : 글라스 이송 라인
20 : 간지 이송 라인 30 : 간지 밀착 유닛
70 : 간지 공급 유닛 80 : 적재 유닛
300 : 간지 이송 모듈 310 : 간지 흡착이송 모듈
311 : 컨베이어 312 : 진공 흡착 배관
400 : 글라스 이송 모듈 410 :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
411 : 센서부 413a, 413b : 이송부
500, 500' : 글라스 압착 모듈 510, 510' :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
530 : 가압 롤러 550 : 탄성제공부
600 : 에어 나이프 모듈

Claims (13)

  1. 글라스가 이송되는 글라스 이송 라인;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된 상기 글라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간지가 이송되는 간지 이송 라인; 및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글라스와 상기 간지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를 글라스와 간지가 밀착될 간지 밀착 위치로 서로 접근시키면서 밀착시키는 간지 밀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밀착유닛은,
    상기 간지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를 상기 간지 밀착 위치로 이송하는 간지 이송 모듈;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과 상기 간지 밀착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밀착 위치로 이송하는 글라스 이송 모듈; 및
    상기 글라스 이송 모듈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이송 모듈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 측으로 가압하는 글라스 압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이송 모듈은,
    상기 간지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를 진공 흡입에 의해 위치 유지시킨 상태로 상기 간지 밀착 위치로 이송시키는 간지 흡착이송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이송 모듈은,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글라스를 이송하면서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이송 라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간지와 얼라인하는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얼라인이송 모듈은,
    상기 간지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간지의 이송 위치에 맞춰 상기 글라스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는 이송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이송 라인은,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적층구조를 가지고, 상기 간지 밀착 위치는 상기 글라스 이송 라인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흡착이송 모듈은,
    상기 간지를 상기 간지 이송 라인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부터 상기 간지 밀착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간지를 진공을 이용하여 흡착시키는 진공 흡착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밀착유닛은,
    상기 간지 이송 모듈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에 의해 상기 글라스에 밀착된 상기 간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간지를 상기 글라스 측으로 가압하는 에어 나이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은,
    상기 글라스와 접촉하여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이송 모듈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롤러;
    상기 가압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 및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 롤러를 상기 간지 이송 모듈 측으로 접근하도록 구동시키는 가압 롤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은,
    상기 글라스와 접촉하여 상기 글라스를 상기 간지 이송 모듈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롤러;
    상기 가압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글라스 이송 모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 및
    상기 글라스 압착 모듈본체를 상기 간지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이송 라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간지 이송 라인으로 상기 간지를 공급하는 간지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공급 유닛은 상기 간지 이송 라인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간지 이송 라인으로 상기 간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밀착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글라스와 상기 간지가 밀착된 상태로 적재되는 적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공급 시스템.
KR1020170180482A 2017-12-27 2017-12-27 간지 공급 시스템 KR20190078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482A KR20190078798A (ko) 2017-12-27 2017-12-27 간지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482A KR20190078798A (ko) 2017-12-27 2017-12-27 간지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798A true KR20190078798A (ko) 2019-07-05

Family

ID=6722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482A KR20190078798A (ko) 2017-12-27 2017-12-27 간지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87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143B1 (ko) 2021-07-08 2022-03-11 주식회사 아라(Ara) 페이퍼 자동 공급시스템
KR102373142B1 (ko) 2021-07-08 2022-03-11 주식회사 아라(Ara) 페이퍼 롤 자동 교체장치
KR20220104620A (ko) * 2021-01-18 2022-07-26 (주)엔피에스 필름 배출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567B1 (ko) 2009-05-14 2012-01-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간지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567B1 (ko) 2009-05-14 2012-01-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간지 공급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620A (ko) * 2021-01-18 2022-07-26 (주)엔피에스 필름 배출기
KR102373143B1 (ko) 2021-07-08 2022-03-11 주식회사 아라(Ara) 페이퍼 자동 공급시스템
KR102373142B1 (ko) 2021-07-08 2022-03-11 주식회사 아라(Ara) 페이퍼 롤 자동 교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493B2 (ja) ガラス基板用フイルムの貼付方法
KR20190078798A (ko) 간지 공급 시스템
TWI659918B (zh) 片材供應裝置
KR101400676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CN208385374U (zh) 电池片上料装置和串焊机
WO2014034363A1 (ja) シート材の分離・供給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シート材の接着剤塗布方法
KR101504520B1 (ko) 라벨 머신
CN213382974U (zh) 大曲面输料结构
KR101505447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
KR20040031614A (ko) 워크 배치 장치
CN205290976U (zh) 取纸机械手臂
KR20180102295A (ko) 접착필름용 접착시트 부착장치
CN107265838B (zh) 划片设备
KR101758762B1 (ko) 시트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한 라벨 공급장치
KR101696763B1 (ko)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분단취출장치
KR20170019856A (ko) 라벨 분리 기능이 향상된 라벨 피더
KR101696765B1 (ko)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
KR2007007013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자파 차폐 필름 부착기
KR101694200B1 (ko) 인라인 더미 분리장치
CN213387009U (zh) 大曲面膜材上料监测结构
KR101600304B1 (ko) 라벨 머신
KR20100084264A (ko) 기판 이송장치
JPH0983190A (ja) プリント基板の汎用投入機
CN109573616B (zh) 一种检测系统
KR101637926B1 (ko) 리드 프레임 카세트 이송용 오토 스태커 및 그에 의한 리드 프레임의 이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