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091A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091A
KR20190075091A KR1020197014005A KR20197014005A KR20190075091A KR 20190075091 A KR20190075091 A KR 20190075091A KR 1020197014005 A KR1020197014005 A KR 1020197014005A KR 20197014005 A KR20197014005 A KR 20197014005A KR 20190075091 A KR20190075091 A KR 20190075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upport
state
presen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413B1 (ko
Inventor
카츠히로 코스게
Original Assignee
카츠히로 코스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츠히로 코스게 filed Critical 카츠히로 코스게
Publication of KR2019007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안정성·유용성이 양호한 핸즈 프리형의 우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우산은, 일단을 우산 본체(10)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을 서로 연결한 2개의 지지살(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 구조와, 적어도 1단 이상의 상기 지지살(20)의 신축 기구와, 개산시에, 상기 지지살(20)의 신축 기구의 신장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21A)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우산
[관련 출원에 관한 기재]
본 발명은, 일본국 특허출원 : 일본국 특원2016-215590(2016년 11월 2일 출원)호에 의거한 것으로, 동 출원의 전(全) 기재 내용은 인용으로써 본 서에 편입하여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산(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산 사용자의 양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우산을 쓰면서 양손으로 작업을 하고 싶을 때나, 자전거에 탈 때나 베이비카를 밀 때에 손에 여유가 없어지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장착 기구를 이용하여 신체나 자전거 등에 장착 가능하게 한 우산이나 우산의 지지용구(支持用具)가 각종 제안되어 있다. 이 중에, 우산 사용시에, 우산의 중심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우산에 관한 것으로, 이하의 특허 문헌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0-5355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2000-139533호 공보에는, 좌우에 두갈래 형태로 벌릴 수 있는 중축(中軸)(중봉(中棒))을 가지며, 신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우산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7-54105호 공보 및 국제 공개 제2012/023460호에는, 본 출원인에 의한, 신체 장착형의 우산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10-535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2000-139533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개2007-54105호 공보 특허 문헌 4 : 국제공개 제2012/023460호
특허 문헌 1, 2의 구성의 우산인 경우, 좌우의 중봉(중축)이 독립하여 우산의 상부 구조(로우어링(lower ring)보다 위의 부분, 「upper frame」이라고도 한다.)를 지지하는 구성이 된다. 이 때문에, 좌우의 중봉(중축)을 두껍게 하고, 또한, 가동부분에는 튼튼한 힌지를 사용할 것이 필요해저서, 우산 자체의 중량이 늘어나 버리는데다가, 우산의 중심(重心)이 높아져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3의 우산에서는 도합 4개의 지지살(支持骨)을 배치하고, 또한, 각 지지살을 로우어링과 링크로 연결함으로써,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고 있는데,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의 우산은, 사용자의 가슴의 위치에 우산의 하단이 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를 심하게 매지 않으면 우산이 전후로 흔들려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용자의 신체 등에 장착 가능하게 함과 함께, 간소한 구성으로, 사용시의 우산의 안정성 및 휴대성을 향상할 수 있는 우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시점(時點)에 의하면, 일단을 우산 본체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을 서로 연결한 2개의 지지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 구조와, 적어도 1단(段) 이상의 상기 지지살의 신축 기구와, 개산시(開傘時)에, 상기 지지살의 신축 기구의 신장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한 우산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성·유용성이 양호한 핸즈 프리형의 우산이 얻어진다. 그 이유는, 2개의 지지살의 하단끼리를 연결시킨 트러스 구조를 채용하면서, 이 지지살을 신축 가능하게 하고, 사용시(개산시)에는 신장시켜서, 전후로 흔들리기 어려운 형태로 신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폐산시(閉傘時)에 지지살이 수축됨으로써 운반성을 향상할 수 있게 구성한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開傘)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 상태).
도 3은 도 2의 지시골과, 받침살의 교차부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우산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해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폐산(閉傘) 상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신축 기구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해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 상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의 우산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해제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 상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해제 상태)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을 수축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벨트 조출(繰出)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다른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다른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 상태).
도 25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의 우산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 상태).
도 27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의 로크 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해제 상태)의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변형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처음에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 한 실시 형태에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을 우산 본체(10)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을 서로 연결한 2개의 지지살(支持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 구조(지지살)(20A)와, 적어도 1단(段) 이상의 상기 지지살의 신축 기구와, 개산시에, 상기 지지살의 신축 기구의 신장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21A)를 구비한 우산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우산에 의하면, 2개의 지지살의 하단끼리를 연결시킨 트러스 구조를 채용하면서, 이 지지살을 신축 가능하게 하여, 사용시(개산시)에는 신장시켜서, 전후로 흔들리기 어려운 형태로 신체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결과로서, 안정성·유용성이 양호한 핸즈 프리형의 우산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우산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 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우산을 접은(閉じた) 상태, 또는, 우산을 접는 동작과 연휴하여, 상기 로크 기구(21A)를 해제함으로써, 우산을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이 손상되는 일도 없다.
[제1의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우산의 우산 천(生地) 등을 생략한 정면도(개산 상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산 본체(10)와, 지지살(20)과, 로크 해제 레버(22)를 구비한 우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우산 본체(10)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4에 기재된 중봉을 생략 내지 단축한 타입의 우산과 동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살(20)은, 텔레스코픽형상으로 신축 가능한 2개의 살(骨)(내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를 수납 가능한 외측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의 살의 상단은, 우산 본체(10)의 우산살(親骨) 중 우산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2개(예를 들면, 우산의 전후 방향의 가상선(假想線)에 대해, 선대칭 위치에 있는 2개의 우산살)에 연결된다. 또한, 지지살(20)을 구성하는 살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살(20)은, 정면에서 보아 개략 V자형상의 형태가 된다.
지지살(20)은, 핀(21)(볼록부)을 밀어 넣음에 의해 로크를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소정의 신장 상태로 함으로써, 지지살을 구성하는 외통에 마련된 구멍에 핀(21)이 들어가, 내측부재가 외측부재로부터 노출한 신장 상태를 유지 가능(로크 상태)하게 되어 있다.
로크 해제 레버(22)는, 그 일단이 우산 본체(10)의 우산살 중, 상기 지지살이 연결된 우산살에 연결되고. 로크 해제 레버(22)의 하단은, 상기 지지살(20)의 외주를 둘러싼 상태에서, 지지살(20)의 외주상을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환형상부(環狀部)(슬라이더)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해제 레버(22)는, 일종의 링크 부재로서 기능하여, 우산살의 움직임에 따라, 환형상부(슬라이더)를 동작시킨다.
도 3은, 도 2의 지지살(20)과, 우산 본체의 받침살(受骨)과의 교차부(11)의 구성례(단, 로크 해제 레버(22)는 생략)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예에서는, 지지살(20)의 상측부재(201)의 우산살(101)과의 연결부에는 홈(201a)이 마련되어, 우산의 개폐에 응하여 상하이동하는 받침살(受骨)(102)과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지지살(20)은, 홈(201a)에 받침살(102)을 끼워넣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우산을 개폐하는 동작의 과정에서, 받침살(102)이 홈(201a)에 의해 유도(가이드)된다. 이에 의해, 우산 상부가 지지살(20)에 대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예는, 어디까지나, 바람직한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그 밖에 여러가지의 형태를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살(20)과 우산살(101)과의 연결 부분을 보다 외측, 예를 들면, 받침살(102)과의 연결점에 이동하고, 로크 해제 레버(22)와 우산살(101)과의 연결점을 더욱 그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살(20)과, 받침살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우산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의 실시 형태의 우산을 접으면, 우산살(101)이 회동함에 의해, 지지살(20)과, 로크 해제 레버(22)가 각각, 도면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지지살(20)과 우산살의 연결점보다도 로크 해제 레버(22)와 우산살의 연결점의 쪽이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살(20)보다도 로크 해제 레버(22)의 쪽이 상대적으로 크게 도면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결과로서, 로크 해제 레버(22)의 환형상부가 지지살(20)상을, 도면의 하방으로 이동하고, 지지살(20)의 핀(21)이 내측으로 밀어 넣어져, 지지살(20)의 신축 기구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우산은, 어퍼링(upper ring)(51)이 물미 커버(ferrule cover)를 겸하고,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고, 도 2의 우산을 완전히 편(開いた) 상태에서는, 로우어링(52)에 부착된 감합봉(50)이 제3의 링(53)을 관통하여, 어퍼링(51)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위치까지 로우어링(52)을 이동시키면, 우산살이 접히려고 하는 힘이, 받침살(102)을 통하여 로우어링(52)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기 때문에, 우산을 편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우산을 편 상태의 유지 방법은, 이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어퍼링(51)측에 래치 기구나 푸시 로크 기구를 마련하고, 로크치(齒)가 붙은 감합봉(50)을 삽입함에 의해, 어퍼링(51)측의 계합 부재에 계합하고, 감합봉(50)이 파지, 고정되는 구성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우산은, 상기 감합봉(50)을 하방으로 인발하여 우산을 개는(疊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방으로 인발한 감합봉(50)은, 받침살(102)에 연결된 복수의 보조살(補助骨)(103)에 의해 지지된 제3의 링(third ring)(53)에 의해 가이드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감합봉(50)을 확실하게 어퍼링(51)에 삽입할 수 있게 되고, 우산의 개폐가 용이화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살(20)의 핀(21)은, 돔형상의 두부(頭部)와, 판스프링부를 가지며, 지지살(20)의 외측(외주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우산이 접혀진 상태로부터 펴 가서, 개산 상태가 되면, 핀(21)의 상기 두부가 지지살(20)측(외측부재)에 마련된 구멍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지지살(20)은 신장 상태로 유지된다.
역으로, 우산을 접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해제 레버(22)의 환형상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결과,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1)이 지지살(2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지지살(20)의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결과로서, 지지살(20)의 내측부재를 외측부재의 내측에 수납 가능해지고, 지지살(20) 전체가 수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우산에 의하면, 우산을 접는 동작과, 우산의 지지살(20)의 길이를 단축하는 동작을 연속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이유는, 우산을 접는 동작과 연계하여 동작하고, 좌우의 지지살(20)의 신축 기구를 동시에 해제하는 로크 해제 레버(22)를 마련한 것에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살(20)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은, 신장 상태에서의 지지살(20)의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우산을 장착한 사용시에, 진행 방향에 대해, 전후로 흔들리기 어려운 우산을 얻을 수 있다(도 21∼도 23 참조).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핀(21)을 가세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핀(21)을 가세하는 것으로는, 코일스프링 등의 그 밖에 스프링이나, 그 밖의 탄성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2의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는, 제1의 실시 형태의 로크 해제 기구에 변경을 가한 것이고, 그 밖의 구성은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해, 제1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폐산 상태)이다. 제1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은, 로크 해제 레버(22a)가 우산살측이 아니라, 지지살(20)의 외측부재(유저의 자기앞측(手元側))의 쪽에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 형태의 로크 해제 레버(22a)는, 지지살(20)의 외주를 둘러싼 상태에서, 지지살(2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환형상부(슬라이더)와, 이 환형상부의 세트(組み)를 동시에 조작 가능한 손잡이(221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해제 레버(22a)는, 우산살과 연결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우산을 접은 것만으로는 동작하지 않는다. 로크를 해제하는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221a)를 도면의 하방으로 끌음(引く)으로써(소정의 해제 동작), 2개의 환형상부가 동시에 아래로 슬라이드하여, 지지살(20)에 마련된 핀(도시 생략)을 밀어 넣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살(20)의 핀(21)은, 다스 둥그스름함을 갖는 돔형상의 두부와, 판스프링부를 가지며, 지지살(20)의 외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로크 해제 레버(22a)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핀(21)의 상기 두부가 지지살(20)측(외측부재)에 마련된 구멍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지지살(20)은 신장 상태로 유지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 레버(22a)를 하방측으로 이동시키면, 로크 해제 레버(22a)의 환형상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결과,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1)이 지지살(2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지지살(20)의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결과로서, 지지살(20)의 내측부재를 외측부재의 내측에 수납 가능해지고, 지지살(20) 전체가 수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도, 신장 상태에서의 지지살(20)의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산을 접는 것에 의해, 신축 기구의 로크가 벗겨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지지살을 하단을 쥐고서 휴대한 때에, 우산이 신축하여 버리는 일도 없다는 이점이 있다.
[제3의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는, 제1의 실시 형태의 로크 해제 기구에 변경을 가한 것이고, 그 밖의 구성은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해, 제1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 상태)이다. 제1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은, 로크 해제 레버(22) 대신에, 2개의 지지살(20)의 내측을 마주 보는 형태로, 로크 해제 버튼(22b)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로크 해제 버튼(22b)은, 독립해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산을 접고, 로크 해제 버튼(22b)끼리가 대향한 상태에서, 또한 지지살(20)끼리를 접근하여, 로크 해제 버튼을 작동시킴으로써, 지지살(20)의 신축 기구의 로크를 동시에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로크 해제 버튼(22b)은, 폐산 조작의 과정에서 접근한 핀(21)끼리를, 더욱 폐산 조작을 계속함으로써, 동시에 밀어 넣는 로크 해제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살(20)의 핀(21)은, 다스 둥그스름함을 갖는 돔형상의 두부와, 판스프링부를 가지며, 지지살(20)의 외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로크 해제 버튼(22b)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 버튼(22b)을 비조작(非操作) 상태로 유지하는 우산형상(傘狀)의 두부와, 지지살(20)을 관통하는 타원의 구멍이 마련된 다리부(脚部)에 의해 구성된다. 로크 해제 버튼(22b)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핀(21)의 상기 두부가 지지살(20)측(외측부재)에 마련된 구멍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지지살(20)은 신장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로크 해제 버튼(22b)의 두부를 도 13의 우측으로 압입하면, 핀(21)이 밀려들어가, 지지살(20)의 신축 기구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로크 해제 버튼(22b)이 마련된 지지살(20)끼리를 접근하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로크 해제 버튼(22b)의 두부끼리가 눌려지는 결과, 2개의 지지살(20)의 신축 기구의 로크가 동시에 해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도, 제1,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신장 상태에서의 지지살(20)의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도, 우산을 접음에 의해, 곧바로, 신축 기구의 로크가 벗겨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지지살을 하단을 쥐고서 휴대한 때에, 우산이 신축하여 버리는 일도 없다는 이점이 있다.
[제4의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 상태)이다. 제1부터 제3의 실시 형태와 크게 다른 점은, 지지살(20A)이, 카본이나 그래파이트 등의 고탄성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점과, 로크/로크 해제 기구(21a)가, 이 탄성 부재로 구성된 지지살(20A)의 휘어짐을 이용하여 실현되어 있는 점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의 예에서는, 외측부재(20L)와, 내측부재(20U)로 구성된 지지살(20A)이 도시되어 있다. 외측부재(20L)에는, 내측부재(20U)의 단부 돌기(211)와 계합 가능한 구멍(212)이 마련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을 펴면, 지지살(20A)중의 우산 본체측의 조(組)(내측부재(20U))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밀려 넓혀지는 결과, 탄성 소재로 구성된 지지살(20A)이, 외측에 휘게 된다(도 15의 1점쇄선과 지지살(20A) 참조). 상기 휨에 의해, 내측부재(20U)의 단부 돌기(211)가 내측으로 꽉 눌리는 결과, 내측부재(20U)의 단부 돌기(211)가 구멍(212)의 측벽부에 당접한 상태가 유지되고, 지지살(20A)은 신장 상태로 유지된다.
일방,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산을 접으면, 지지살(20A)의 휨이 없어지고, 또한, 내측으로 젖혀진 상태를 취할 수 있음에 의해, 내측부재(20U)의 단부 돌기(211)와 구멍(212)과의 계합이 해제된다(도 18 참조). 이 결과, 내측부재(20U)를 외측부재(20L)측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살(20A)을 수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우산을 펼뿐으로, 2개의 지지살의 신축 기구를 동시에 로크하는 것이 가능해저서, 로크 해제 레버(22, 22a), 로크 해제 버튼(22b)을 조작하는 일 없이, 우산을 접을 뿐으로 그 로크를 동시에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을 예로, 본 발명에 관한 우산의 사용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우산의 그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살의 외측부재(20L)의 하단에, 태엽(ゼンマイ, flat spiral spring) 등에 의한 권취식의 벨트 조출(繰出) 기구(23)를 마련할 수 있다. 물론, 도 20의 벨트 조출 기구에 대신하여, 사용자의 벨트나 웨이스트 포트의 벨트에, 본 발명에 관한 우산의 하단을 연결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의 예에서는, 지지살(20A)의 외측부재(20L)의 상단에, 목에 걸기 위한 착탈식의 네크 스트랩(25)이 부착되고, 또한, 외측부재(20L)의 하단에는 벨트(24)를 조출 가능한 벨트 조출 기구(23)가 부착되어 있다. 도 21의 예에서는, 사용자의 허리에 전술한 벨트(24)를 휘감음에 의해, 우산의 하단을 고정하고, 또한, 네트 스트랩으로 상단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1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우산은, 핸즈 프리로 사용 가능하고, 게다가 사용자의 어깨(肩) 등의 상반신을 구속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다른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의 예에서는, 전술한 네크 스트랩(25) 대신에, 사용자의 배낭이나 등산용 륙색에 부착 가능한 벨트(25a)가 부착되어 있다. 도 22의 예에서도, 사용자의 허리에 전술한 벨트(24)를 휘감음에 의해, 우산의 하단을 고정하고, 또한, 벨트(25a)로 우산의 상단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2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우산도, 핸즈 프리로 사용 가능하고, 게다가 사용자의 어깨 등을 필요 이상으로 구속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다른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의 예에서는, 벨트(24)를 조출하여, 사용자의 등부터 어깨로 돌리고, 외측부재(20L)의 상단에 고정하여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우산은, 전술한 네크 스트랩(25)나 벨트(25a) 없이 사용 가능한 양태로 할 수도 있다.
[제5의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의 실시 형태는, 제2의 실시 형태의 로크 해제 기구에 변경을 가한 것이고, 그 밖의 구성은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제5의 실시 형태에 관해, 제2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 상태)이다. 제2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은, 로크 해제 레버(22c)의 일단이, 2개의 지지살(20) 중의 일방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또한, 로크 해제 레버(22c)의 다른 일단에, 2개의 지지살(20) 중의 다른 일방의 외주를 둘러싼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환형상부(슬라이더)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환형상부(슬라이더)가 당해 환형상부(슬라이더)가 배치된 지지살과 다른 지지살과 링크 부재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산을 접기 시작하면, 지지살(20)의 움직임과 맞추어서, 로크 해제 레버(22c)의 환형상부가, 지지살(20)상을 도 24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우산을 접으면,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살(20)에 마련된 핀(21)을 밀어 넣어, 로크가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로크 해제 레버를 우산살과 연결하지 않은 구성에서도, 우산을 접는 동작과, 우산의 지지살(20)의 신축 기구의 로크를 제외한 동작을 원액션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의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6의 실시 형태는, 지지살(20)의 소재로서 고탄성의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4의 실시 형태와 동등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제1∼제5의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정면도(개산 상태)이다. 제1∼제5의 실시 형태와의 외관상의 상위점은, 지지살(20B)의 단면(斷面)이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과, 지지살(20B)의 외측부재(20L)의 일단에, 지지살(20B)의 외측 방향으로의 벌어짐 각도를 규제하는 띠형상 부재(26)가 부착되어 있는 점과, 지지살(20B)의 외측부재(20L)에, 내측부재(20U)의 하단에 마련된 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홈(29)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지지살(20B)의 외측부재(20L)의 일단의 외측면에, 개구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살(20B)의 내측부재(20U)에는, 지지살(20B)의 외측부재(20L)에 마련된 홈(레일)(29)에 의해 가이드 되는 핀(28)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살(20B)의 외측부재(20L)에 마련된 홈(29)에 따라 지지살(20B)의 내측부재(20U)를 인출하여 가면, 홈(29)의 상단에 핀(28)이 당접하여, 인출 길이가 규제된다. 그 위치에서, 우산을 펴면, 핀(28)을 축으로 하여, 지지살(20B)이 도중(途中)에서 절곡되고, 또한, 외측으로 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지지살(20B)의 상기 개구부의 선단에는, 띠형상 부재(26)가 부착되고, 또한, 내측부재(20U)는, 최대 인출시에, 그 하단이 외측부재(20L)의 내주면에 당접한 상태가 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부재(20U)의 펴지는 각도는, 외측부재(20L)끼리의 연결 부분이 이루는 각도(θ1)보다도 큰 소정의 각도(θ2)로 규제된다(도 26의 1점쇄선 참조).
또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형상 부재(26)의 내측에는, 내측부재(20U)측에 마련된 오목부(262)에 끼우는 볼록부(261)가 마련되어 있고, 외측부재(20L)로부터 내측부재(20U)를 인출하여, 우산을 편 상태로 함으로써, 지지살의 신축 기구를 신장 상태로 로크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부재(20L)의 외측부재(20L)에 관통하는 홈(29)을 마련하고 있지만, 홈(29)을 비관통으로 하여,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홈을 내측부재(20U)측에 마련하고, 핀 등을 외측부재(20L)에 마련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우산을 접으면,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부재(20U)의 펴지는 각도가 외측부재(20L)의 펴지는 각도(θ1)와 거의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내측부재(20U)측에 마련된 오목부(262)와, 띠형상 부재(26) 내측의 볼록부(261)와의 감합이 벗겨져, 내측부재(20U)를 외측부재(20L)에 수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의 우산의 로크 기구(로크 해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제6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4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우산을 펼 뿐으로, 2개의 지지살의 신축 기구를 동시에 로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로크 해제 레버(22, 22a), 로크 해제 버튼(22b)을 조작하는 일 없이, 우산을 접는 것만으로 그 로크를 동시에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의 실시 형태와의 비교에서, 지지살(20B)의 소재로서, 알루미늄이나 철 등 탄성 부재가 아닌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점에서는, 본 실시 형태는, 제4의 실시 형태와의 비교에서, 신축 단수(段數)를 많게 하고 싶은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제4의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살(20B)의 내측부재(20U)와 외측부재(20L)의 구부러지는 정도나, 단부 돌기의 감합 치수 등의 소재 선택이나 설계상의 어려움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제약은 적어진다. 단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7)의 길이와, 띠형상 부재(26)의 높이에 의해, 지지살(20B)의 벌어짐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신축 기구의 로크에 대해서도, 내측부재(20U)와 외측부재(20L)의 덜커덕거림(여유(遊び))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지지살의 두께를 가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점에서도, 본 실시 형태는 신축 단수를 많게 하고 싶은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한 제6의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부재(20U)측에 오목부(262)를 마련하고, 띠형상 부재(26)측에 볼록부(261)를 마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제5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측부재(20U)측에 볼록부를 마련하고, 띠형상 부재(26)측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구멍을 마련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지지살의 단면도 사각형상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원이나 긴구멍 형상, 타원형상, 소판(小判)형상, 각환(角丸)사각형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6의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살(20)에, 홈(레일)(29)과 핀(28)을 마련하여, 내측부재(20U)의 인출 길이(신축 범위)를 규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레일)(29)과 핀(28)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이 경우, 내측부재(20U) 또는 외측부재(20L)의 단부의 지름의 두께를 바꾸거나,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신축 범위를 규제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형·치환을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함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우산 본체로서는, 특허 문헌 1, 4에 기재된 중봉을 생략 내지 단축한 타입의 우산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형태의 우산의 본체 부분과 동등한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우산의 본체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개는 우산과 동등한 것(단, 중봉을 생략 내지 단축한 타입으로 한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살의 신축 기구의 단수가 1단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2단 이상의 단수로 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로크 해제 기구로서, 제3, 제4, 제6의 실시 형태의 것을 알맞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살의 우산 본체측의 부재를 내측부재로 하여, 발밑측의 부재를 외측부재라고 하였지만, 우산 본체측의 부재를 외측부재로 하여, 신변측(足元側)의 부재를 내측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우산 본체
20, 20A, 20B : 지지살
20U : 내측부재
20L : 외측부재
21 : 핀
21A : 로크 기구
22, 22a, 22c : 로크 해제 레버
22b : 로크 해제 버튼
23 : 벨트 조출 기구
24 : 벨트
25 : 네크 스트랩
25a : 벨트
26 : 띠형상 부재
27 : 개구부
28 : 핀
29 : 레일
50 : 감합봉
51 : 어퍼링(upper ring)
52 : 로우어링(lower ring)
53 : 제3의 링(third ring)
101 : 우산살(리브)
102 : 받침살
103 : 보조살
201 : 상측부재
201a : 홈
211 : 단부 돌기
212 : 구멍
221a : 손잡이
261 : 볼록부
262 : 오목부

Claims (11)

  1. 일단을 우산 본체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을 서로 연결한 2개의 지지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 구조와,
    적어도 1단 이상의 상기 지지살의 신축 기구와,
    개산시에, 상기 지지살의 신축 기구의 신장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살의 신축 기구는, 적어도 1단 이상의, 내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를 수납 가능한 외측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외측부재에 마련된 구멍에, 상기 내측부재측에 마련된 볼록부가 감합함으로써 상기 내측부재가 상기 외측부재로부터 노출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고,
    상기 볼록부를 동시에 비감합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2개의 지지살을 동시에 단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내측부재의 외주 방향으로 가세된 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외측부재의 외주상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슬라이드시킴에 의해, 상기 핀을 동시에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2개의 지지살을 동시에 단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우산의 우산살과 링크 부재로 연결되어 있고, 폐산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핀을 동시에 밀어 넣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소정의 해제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동시에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핀이 동시에 밀어 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당해 슬라이더가 배치된 지지살과 다른 지지살과 링크 부재로 연결되어 있고, 폐산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하여, 상기 핀을 동시에 밀어 넣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내측부재의 외주 방향으로 가세된 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핀은, 전회 우산의 지지살의 서로 정대(正對)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폐산 조작의 과정에서 접근한 핀끼리를, 더욱 폐산 조작을 계속함으로써, 동시에 밀어 넣는 로크 해제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살의 신축 기구는, 적어도 1단 이상의, 내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를 수납 가능한 외측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지지살의 신축 기구를 늘리고, 또한, 우산을 편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내측부재 또는 상기 외측부재 중의 우산 본체측의 조(組)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넓혀지는 결과, 상기 내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에 마련된 감합부가 감합하고, 로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살은,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우산을 편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내측부재 또는 상기 외측부재 중의 우산 본체측의 조를 이간하는 방향에 밀어넓히는 힘이 걸리지 않게 됨과 함께, 내측으로 젖혀짐에 의해, 상기 로크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퍼링이 중공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중공의 어퍼링에, 접합봉이 부착된 로우어링을 삽입한 개산 상태로부터, 상기 접합봉이 부착된 로우어링을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우산을 접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받침살에 각각 연결된 보조살군에 의해 지지되고, 우산의 개폐에 수반하는 상기 로우어링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의 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살의 우산살과의 연결단측에,
    우산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우산살을 지지하는 받침살의 이동을 유도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20197014005A 2016-11-02 2017-11-01 우산 KR102442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5590 2016-11-02
JPJP-P-2016-215590 2016-11-02
PCT/JP2017/039549 WO2018084181A1 (ja) 2016-11-02 2017-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091A true KR20190075091A (ko) 2019-06-28
KR102442413B1 KR102442413B1 (ko) 2022-09-14

Family

ID=6207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005A KR102442413B1 (ko) 2016-11-02 2017-11-01 우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60516B2 (ko)
KR (1) KR102442413B1 (ko)
CN (1) CN109963479B (ko)
SG (1) SG11201903874VA (ko)
WO (1) WO2018084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002887U1 (de) 2017-04-14 2017-07-21 Activa Leisure Inc. Kippbarer Schirm mit abnehmbarer Führungsbahn
USD1003592S1 (en) 2021-08-11 2023-11-07 ZHUN-AN Ma Umbrella pole grip assembl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533A (ja) 1998-09-01 2000-05-23 Nobuo Nishiwaki 傘および傘セット
US20010035202A1 (en) * 2000-05-31 2001-11-01 Moskowitz Ahmnon D. Hands free umbrella
KR200254313Y1 (ko) * 2001-08-10 2001-12-01 이은우 자동우산
JP2007054105A (ja) 2005-08-22 2007-03-08 Katsuhiro Kosuge
JP2010005355A (ja) 2008-06-28 2010-01-14 Michiko Takeuchi 装着型傘
KR20120023460A (ko) 2010-09-03 2012-03-13 신양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6808A (ko) * 2010-08-16 2013-09-30 카츠히로 코스게 우산양산 및 우산양산의 지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7157U (ko) * 1972-07-04 1974-04-02
JPS5937157U (ja) * 1982-09-02 1984-03-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装置のピボツト取付構造
US5002080A (en) * 1990-03-16 1991-03-26 Mark Ma Foldable twin umbrella apparatus
CN2074572U (zh) * 1990-10-17 1991-04-10 曾狮 折叠伞中棒内外管挡卡装置
CN2324835Y (zh) * 1997-11-26 1999-06-23 张金根 钢木制太阳伞弹子式撑伞定位装置
CN201612238U (zh) * 2009-12-11 2010-10-27 夏敏嘉 雨伞
CN203407628U (zh) * 2013-06-06 2014-01-29 永康市无印尚品产品设计有限公司 双杆合并车用伞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533A (ja) 1998-09-01 2000-05-23 Nobuo Nishiwaki 傘および傘セット
US20010035202A1 (en) * 2000-05-31 2001-11-01 Moskowitz Ahmnon D. Hands free umbrella
KR200254313Y1 (ko) * 2001-08-10 2001-12-01 이은우 자동우산
JP2007054105A (ja) 2005-08-22 2007-03-08 Katsuhiro Kosuge
JP2010005355A (ja) 2008-06-28 2010-01-14 Michiko Takeuchi 装着型傘
KR20130106808A (ko) * 2010-08-16 2013-09-30 카츠히로 코스게 우산양산 및 우산양산의 지지 장치
KR20120023460A (ko) 2010-09-03 2012-03-13 신양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0516B2 (ja) 2022-04-26
SG11201903874VA (en) 2019-05-30
CN109963479B (zh) 2021-03-30
KR102442413B1 (ko) 2022-09-14
WO2018084181A1 (ja) 2018-05-11
JPWO2018084181A1 (ja) 2019-10-17
CN109963479A (zh)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0955B2 (en) Locking mechanism for foldable pole and foldable pole
KR20190075091A (ko) 우산
JP2017528259A (ja)
EP1842760A2 (en) Collapsible stroller frame
US9521895B2 (en) Single action four point harness for a backpack
KR102205260B1 (ko) 아기띠
EP1762457B1 (en) Safety device used in combination with frame assembly
JP2013085949A (ja)
CN209421520U (zh) 一种儿童床体折叠收拢机构及其游戏床
CN109008435A (zh) 一种具有床体折叠收拢功能的床边床机构
JP4638299B2 (ja)
JP7313819B2 (ja) 浴室用椅子
CN108244787B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JP5453537B2 (ja) 傘および傘の支持装置
US11044972B2 (en) Umbrella having an exterior stretcher frame
JP2020185024A (ja) 鞄用キャスター付き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る鞄
CN109380919A (zh) 一种床体折叠联动解锁控制机构
JP7049237B2 (ja) 浴室用椅子
JP7248434B2 (ja) 浴室用椅子
JP2020058625A (ja) 携帯用歩行補助器
CN109077532A (zh) 一种游戏床床体护栏折叠机构
CN209331557U (zh) 一种床体护栏紧固装置
JP6460277B1 (ja) 杖の自立装置
CN218978722U (zh) 一种可折叠浴桶
TWM562606U (zh) 遠離身體全自動收合之手開折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