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645A -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645A
KR20190074645A KR1020170176164A KR20170176164A KR20190074645A KR 20190074645 A KR20190074645 A KR 20190074645A KR 1020170176164 A KR1020170176164 A KR 1020170176164A KR 20170176164 A KR20170176164 A KR 20170176164A KR 20190074645 A KR20190074645 A KR 2019007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wl
protrusion
parking pawl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297B1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호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호산업(주) filed Critical 한호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7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297B1/ko
Priority to CN201810164254.5A priority patent/CN109944939A/zh
Publication of KR2019007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2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pawls o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8Signals to a parking brake or parking lock; Control of parking locks or brakes being part of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파킹기어의 파킹홈에 구속 또는 해제되는 파킹폴의 걸림돌기를 2개의 치형 구조로 성형하여, 파킹장치의 파킹 시 구속력을 향상시켜 파킹기어에 대한 파킹폴의 체결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한편, 경사로 주,정차 시, 파킹기어의 파킹홈에 구속되는 파킹폴의 각 걸림돌기에 대한 구속 위치를 감지하여 걸림돌기의 파손과 관련한 경고 신호를 신속히 발생시킴으로써, 파킹기어에 대한 파킹폴의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PARKING APPARATUS FOR TRANSMISSION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FAULT DETECTING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킹장치의 파킹 시 구속력을 향상시켜 파킹기어에 대한 파킹폴의 체결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원동기로 사용하는 가솔린기관, 디젤기관 등의 내연기관은 화석연료를 실린더 안에서 연소시켜 이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 배기가스에는 연소에 따른 질소산화물(Nox)와, 불완전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CO) 또는 탄화수소(HC) 등 유해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은 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대기를 오염시키고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공해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자동차는 유해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배기가스 대책이 강구되고 있으나, 배기가스에 함유된 유해 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따라서 배기가스 대책의 일환으로 주목되는 것이 소음이 적고 배기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전기자동차이다.
전기 자동차는 휘발유나, 경유 등의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 엔진이 아닌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동력을 얻는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한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고, 모터의 에너지효율은 엔진의 에너지효율보다 높아 친환경 자동차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엔진에 비해 발생 동력이 작은 모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큰 동력이 필요할 경우에 변속기를 사용하게 된다.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력으로 운행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변속기의 파킹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는 전기자동차를 경사로에 주,정차하였다가 파킹을 해제할 때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가 발생하여 파킹장치에 과다한 하중이 걸려 파킹폴의 걸림돌기가 파손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운전자의 불안과 불만을 초래하는 등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 운전자나 탑승자의 실수로 변속 레버를 파킹단에 진입시킬 경우 파킹기어 또는 파킹폴 등의 파킹부품이 파손되어 변속기 전체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80770호(2016.07.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킹장치의 파킹 시의 구속력을 향상시켜 파킹기어에 대한 파킹폴의 체결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한 파킹폴의 작동을 통해 파킹기어에 파킹폴이 구속 또는 해제가 가능한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킹기어의 파킹홈에 구속 또는 해제되는 파킹폴의 걸림돌기는 짝을 이루어 2개의 치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상기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은 대응하는 파킹돌기의 측면으로부터 간격(a,b)을 두고 이격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은 대응하는 파킹돌기 내의 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설정 간격(a,b)보다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에 대응하는 파킹돌기의 측면과의 설정 간격(a,b)의 변동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돌기와 파킹홈 간의 간격 변동은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홈 내에 구속되는 파킹폴의 걸림돌기가 차량의 경사방향에 따라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걸림돌기와 파킹홈 간의 간격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간격 중 어느 하나는 간격이 증가하고, 나머지 하나는 간격이 감소할 경우 간격이 감소한 쪽의 반대편 걸림돌기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는 파킹폴의 각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설치된 접촉 센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킹폴의 각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다른 깊이의 단차홈부이 형성되되, 깊이가 깊으며 정상적인 파킹 상태에서 파킹돌기의 측면이 접촉하는 걸림홈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면보다 상대적으로 깊이가 얕으며 상기 걸림홈면으로부터 경사진 단차면을 따라 단차진 단차홈면이 형성되며,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기어가 회전하는 비 정상적인 파킹상태에서 상기 파킹돌기가 단차홈면에 접촉시 상기 파킹폴이 상승하면서 접촉하는 감지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홈 내에 구속되는 파킹폴의 걸림돌기가 차량의 경사방향에 따라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파킹홈 내에 구속되는 파킹폴의 구속 위치가 변동되어 상기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 조건이 충족될 때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의 고장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 조건은, 상기 파킹폴의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에 대응하는 파킹홈 내의 측면과의 간격의 변동임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에 의하면, 파킹기어의 파킹홈에 구속 또는 해제되는 파킹폴의 걸림돌기를 2개의 치형 구조로 성형하여, 파킹장치의 파킹 시 구속력을 향상시켜 파킹기어에 대한 파킹폴의 체결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로 정차 시, 파킹기어의 파킹홈에 구속되는 파킹폴의 각 걸림돌기에 대한 걸림위치를 감지하여 걸림돌기의 파손과 관련한 경고 신호를 신속히 발생시킴으로써, 파킹기어에 대한 파킹폴의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의 하중이 걸리는 방향에 따른 파킹폴의 구속 위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킹폴의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의 고장진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의 하중이 걸리는 방향에 따른 파킹폴의 구속 위치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킹폴의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기자동차를 경사로에 주,정차하였다가 파킹을 해제할 때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가 발생하여 파킹장치에 과다한 하중이 걸려 파킹폴의 걸림돌기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킹폴(20)의 예비적인 걸림돌기(21,22)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하며, 상기 파킹기어(10)에 구속 또는 해제되는 파킹폴(20)의 걸림돌기(21,22)를 2개의 치형 구조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파킹폴(20)에 각각 하나씩 2개의 걸림돌기(21,22)를 설치한 것은 어느 일측의 걸림돌기(21,22)가 파손될 경우에 대해 대비하기 위한 것이며, 2개의 걸림돌기(21,22)는 서로에 대해 예비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짝을 이루는 상기 2개의 걸림돌기(21,22)는 파킹기어(10)의 파킹홈(11)에 구속 가능하게 되며, 파킹홈(11)에 구속되는 파킹폴(20)의 가변되는 구속 위치에 따라 경사로에서의 파킹기어(10)와 파킹폴(20) 간에 하중이 걸리는 방향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파킹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레버를 주차위치(P)로 선택하게 될 경우 변속기의 입력축(100)은 파킹폴(20)과 파킹기어(10)의 구속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파킹기어(10)는 변속기의 입력축(10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기어를 말하며, 파킹폴(20)은 변속레버를 주차위치(P)로 전환시키게 되면 파킹기어(10)의 파킹홈(11)에 맞물리게 되어 구속되는 부품을 말한다.
즉, 변속레버를 주차위치(P)로 전환시키게 될 경우 캠스프링(110)이 캠(120)을 밀어주게 되고, 파킹폴(20)이 고정축(13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파킹기어(10)의 파킹홈(11)에 구속되므로 입력축(100)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파킹기어(10)는 입력축(100)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10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파킹폴(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파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파킹폴(20)은 상기 파킹기어(10)의 둘레면 외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캠(120)의 동작에 의해 고정축(130)을 중심으로 전후진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킹기어(10)의 파킹홈(11)에 구속 가능하게 된다.
상기 파킹폴(20)의 걸림돌기(21,22)는 각각 예비적인 기능을 가진 2개의 치형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파킹폴(20)의 각 걸림돌기(21,22)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21b,22b)은 대응하는 파킹돌기(12)의 측면으로부터 설정 간격(a,b)을 두고 이격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걸림돌기(21,22)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21a,22a)과, 이와 대응하는 파킹돌기(12)의 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설정 간격(a,b)보다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2개의 걸림돌기(21,22)를 가진 파킹폴(20)이 파킹 기어에 구속되는 경우, 각 걸림돌기(21,22)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21b,22b)과, 상기 걸림돌기(21,22)의 내측면(21b,22b)과 마주보는 파킹돌기(12)의 측면은 일정한 간격(a,b)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 걸림돌기(21,22)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21a,22a)과, 상기 걸림돌기(21,22)의 외측면(21a,22a)과 마주보는 파킹돌기(12)의 측면은 서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각 걸림돌기(21,22)의 내측면(21b,22b)과 파킹돌기(12)의 측면 사이의 간격(a,b)은 접촉이 불가능할 정도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바, 상기 간격(a,b)의 변동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특히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홈(11) 내에 구속되는 파킹폴(20)의 걸림돌기(21,22)가 차량의 경사방향에 따라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이 결정된다.
도 2는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하여 파킹기어(1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작용할 때, 파킹폴(20)의 하중은 제1걸림돌기(21)의 외측면(21a)이 파킹돌기(12)의 측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결정된다.
이에 반해, 도 3은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하여 파킹기어(10)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할 때, 파킹폴(20)의 하중은 제2걸림돌기(22)의 외측면(22a)이 파킹돌기(12)의 측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에 대한 정확한 고장 진단을 위하여 상기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 조건을 아래와 같이 정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를 경사로에 주,정차하였다가 파킹을 해제할 때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파킹장치에 과다한 하중이 걸려 파킹폴(20)의 걸림돌기(21,22)가 파손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21,22)와 파킹돌기(12) 사이의 간격(a,b)을 감지하여 그 간격이 설정된 최초의 기준 간격과 비교하여 변동된 경우 걸림돌기(21,22)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1,22)와 파킹돌기(12) 사이의 간격(a,b) 중 어느 하나는 간격(a)이 증가하고, 이에 반해 나머지 하나는 간격(b)이 감소할 경우 간격이 감소한 쪽의 반대편 걸림돌기(21,22)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간격이 증가한 쪽의 걸림돌기(21,22)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을 고려하여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의 고장진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1,22)와, 걸림돌기(21,22)에 대응하는 파킹돌기(12) 간의 간격(a,b)을 수시로 감지하는 감지부(30)는 상기 파킹기어(10)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30)는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 조건으로 상기 걸림돌기(21,22)와, 걸림돌기(21,22)에 대응하는 파킹돌기(12) 간의 간격(a,b)을 수시로 감지하여 그 간격(a,b)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를 상기 간격(a,b)이 변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파킹폴(20)의 걸림돌기(21,22)가 파손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감지부(30)는 파킹폴(20)의 파손과 관련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경고신호발생수단(미도시)을 구동하여 운전석의 계기반에 구비된 경고등(미도시)을 점등시키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부(30)는 간격(a,b)의 변화가 있을 경우 이러한 에러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최초 상태로 돌아가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 알고리즘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파킹장치의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건을 보고 판단해야 하는데, 파킹장치가 정상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고장 진단을 잘못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운전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으므로 파킹장치의 고장이 아님에도 고장 진단으로 판정하는 경우 전기자동차의 상품성 저하 및 신뢰성 하락을 예상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 조건을 가지고서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을 하여야 한다. 특히 파킹장치의 고장 진단을 판정하는 횟수도 중요한 조건 중에 하나이다.
상기 에러 카운트는 파킹장치의 진단 결과 고장이 발생한 것을 가상 판정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시마다 예컨대 '1'씩 추가되는 누적값을 가진다. 이와 같은 에러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초기화하는 이유는 노이즈나 오작동에 의해 잘못 고장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오검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파킹장치의 고장이라는 1회성 판단이 노이즈 등의 이유로 올바르게 판정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일정 횟수 이상 지속적으로 고장 진단이 검출되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파킹장치의 고장이라고 최종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는 계기반의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감지하여 정비소에서 파킹장치의 점검을 받아 파손된 파킹부품의 교환이나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반복적인 구성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파킹폴(20)의 각 걸림돌기(21,22)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21b,22b)에 접촉 센서로 이루어진 감지부(30-1)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기어(10)가 회전할 경우, 상기 각 걸림돌기(21,22)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21b,22b)에 형성된 감지부(30-1)에 대해 파킹돌기(12)가 회전하면서 그 측면에 근접하게 된다. 파킹기어(10)의 파킹돌기(12)가 파킹폴(20)의 걸림돌기(21,22)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어 파손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접촉하게 되면, 감지부(30-1)는 걸림돌기(21,22)와 파킹돌기(12) 사이의 간격(a,b)이 변동되었음을 감지하여 파킹폴(20)의 파손과 관련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7은 파킹폴(20)의 각 걸림돌기(21,22)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21b,22b)에는 각각 다른 깊이의 단차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홈부에는 깊이가 깊으며 정상적인 파킹 상태에서 파킹기어(10)의 파킹돌기(12)가 맞물리는 걸림홈면(21b-1,22b-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면(21b-1,22b-1)보다 상대적으로 깊이가 얕으며 상기 걸림홈면(21b-1,22b-1)으로부터 경사진 단차면을 따라 단차진 단차홈면(21b-2,22b-2)이 형성된다.
상기 파킹폴(20)이 정상적인 파킹상태에서는 파킹돌기(12)의 측면이 걸림돌기(21,22)의 걸림홈면(21b-1,22b-1)에 접촉하고,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기어(10)가 회전하는 비 정상적인 파킹상태에서는 파킹돌기(12)의 측면이 상기 걸림돌기(21,22)의 걸림홈면(21b-1,22b-1)으로부터 단차면을 따라 단차진 단차홈면(21b-2,22b-2)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단차홈면(21b-2,22b-2)은 상대적으로 상기 걸림홈면(21b-1,22b-1)에 비해 외측방향으로 확대된 형상으로서, 이는 파킹폴(20)의 걸림돌기(21,22)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된 상태에서,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기어(10)가 한계 파킹 지점을 벗어나 회전하게 되면 파킹돌기(12)가 걸림홈면(21b-1,22b-1)과 단차면을 타고 넘어 단차홈면(21b-2,22b-2)에 접촉하여 구속된다.
이로 인해, 상기 파킹폴(20)의 머리부 상방에 위치한 감지부(30)에 파킹폴(20)이 일부 회전함과 동시에 상승하여 접촉하게 될 경우, 감지부(30-1)는 걸림돌기(21,22)와 파킹돌기(12) 사이의 간격(a,b)이 변동되었음을 감지하여 파킹폴(20)의 파손과 관련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킹폴(20)의 예비적인 걸림돌기(21,22)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하며, 상기 파킹기어(10)에 구속 또는 해제되는 파킹폴(20)의 걸림돌기(21,22)를 2개의 치형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파킹장치의 파킹 시 구속력을 향상시켜 파킹기어(10)에 대한 파킹폴(20)의 체결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경사로 정차 시, 파킹기어(10)의 파킹홈(11)에 구속되는 파킹폴(20)의 각 걸림돌기(21,22)에 대한 구속 위치를 감지하여 걸림돌기(21,22)의 파손과 관련한 경고 신호를 신속히 발생시킴으로써, 파킹기어(10)에 대한 파킹폴(20)의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파킹기어 11 : 파킹홈
12 : 파킹돌기 20 : 파킹폴
21,22 : 걸림돌기 30 : 감지부

Claims (8)

  1. 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한 파킹폴의 작동을 통해 파킹기어에 파킹폴이 구속 또는 해제가 가능한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킹기어의 파킹홈에 구속 또는 해제되는 파킹폴의 걸림돌기는 짝을 이루어 2개의 치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상기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은 대응하는 파킹돌기의 측면으로부터 설정 간격(a,b)을 두고 이격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은 대응하는 파킹돌기 내의 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설정 간격(a,b)보다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에 대응하는 파킹돌기의 측면과의 설정 간격(a,b)의 변동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와 파킹홈 간의 간격 변동은,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홈 내에 구속되는 파킹폴의 걸림돌기가 차량의 경사방향에 따라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걸림돌기와 파킹홈 간의 간격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간격 중 어느 하나는 간격이 증가하고, 나머지 하나는 간격이 감소할 경우 간격이 감소한 쪽의 반대편 걸림돌기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파킹폴의 각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설치된 접촉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폴의 각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다른 깊이의 단차홈부이 형성되되,
    깊이가 깊으며 정상적인 파킹 상태에서 파킹돌기의 측면이 접촉하는 걸림홈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면보다 상대적으로 깊이가 얕으며 상기 걸림홈면으로부터 경사진 단차면을 따라 단차진 단차홈면이 형성되며,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기어가 회전하는 비 정상적인 파킹상태에서 상기 파킹돌기가 단차홈면에 접촉시 상기 파킹폴이 상승하면서 접촉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7. 경사로의 주,정차시에 차량 중량에 의한 토크의 발생으로 인해 파킹홈 내에 구속되는 파킹폴의 걸림돌기가 차량의 경사방향에 따라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파킹홈 내에 구속되는 파킹폴의 구속 위치가 변동되어 상기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 조건이 충족될 때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의 고장진단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장치의 고장 검출 조건은, 상기 파킹폴의 걸림돌기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에 대응하는 파킹돌기의 측면과의 간격의 변동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의 고장진단방법.
KR1020170176164A 2017-12-20 2017-12-20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 KR10199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64A KR101996297B1 (ko) 2017-12-20 2017-12-20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
CN201810164254.5A CN109944939A (zh) 2017-12-20 2018-02-27 电动汽车变速器用泊车装置及其故障诊断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64A KR101996297B1 (ko) 2017-12-20 2017-12-20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645A true KR20190074645A (ko) 2019-06-28
KR101996297B1 KR101996297B1 (ko) 2019-07-04

Family

ID=6700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164A KR101996297B1 (ko) 2017-12-20 2017-12-20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6297B1 (ko)
CN (1) CN1099449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0819A (zh) * 2020-03-17 2020-06-30 浩夫尔动力总成(上海)有限公司 一种汽车变速器驻车机构
CN113734118A (zh) * 2021-11-08 2021-12-03 杭州非古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驻车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409A (ko) * 2005-11-17 2007-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주차 장치
KR20080102614A (ko) * 2007-05-21 2008-11-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7702A (ko) * 2007-11-08 200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파킹기어의 해제장치
KR20110038502A (ko) * 2009-10-08 2011-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진단장치 및 방법
KR20140085090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파킹장치
KR20160080770A (ko) 2014-12-30 2016-07-08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감속기용 파킹장치
KR20180074214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인팩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용 하중센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080A (ja) * 1997-09-19 1999-04-09 Aichi Mach Ind Co Ltd 自動変速機のパーク機構
DE10227741B4 (de) * 2002-06-21 2005-04-21 Audi Ag Geschwindigkeits-Wechselgetriebe
JP2008201162A (ja) * 2007-02-16 2008-09-04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機構
DE102009030027A1 (de) * 2009-06-23 2010-12-30 Magna Powertrain Ag & Co Kg Fahrzeuggetriebefamilie
JP5405428B2 (ja) * 2010-10-14 2014-02-05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機構
JP2013203325A (ja) * 2012-03-29 2013-10-07 Toyota Motor Corp 車両駆動装置の制御装置
DE102016201228B4 (de) * 2016-01-28 2018-02-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arksperrenanordnung für ein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sowie Getrieb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409A (ko) * 2005-11-17 2007-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주차 장치
KR20080102614A (ko) * 2007-05-21 2008-11-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7702A (ko) * 2007-11-08 200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파킹기어의 해제장치
KR20110038502A (ko) * 2009-10-08 2011-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진단장치 및 방법
KR20140085090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파킹장치
KR20160080770A (ko) 2014-12-30 2016-07-08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감속기용 파킹장치
KR20180074214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인팩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용 하중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44939A (zh) 2019-06-28
KR101996297B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6863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及びエンジン始動方法
KR101996297B1 (ko) 전기자동차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고장진단방법
US8775007B2 (en) Shift-by-wire system
KR20100048567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특성 보정 방법
US20090192663A1 (en) Hybrid controller employing system remedial action function
WO2011078129A1 (ja) 回転センサの異常判定装置
US20170166197A1 (en) Bel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belt for hybrid vehicle
JP4688935B2 (ja) 「ストップアンドスタート」モードでの自動車の動作を制御するために、排出汚染ガスの閾値を特定する方法
JP4044168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遠隔始動装置
WO2013065400A1 (ja) ノックセンサの故障診断装置及び故障診断方法
JP4000863B2 (ja) 車両用発電システム
JP5196017B2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17044088A1 (en) Methods to identify missed engine stops and serviceability
JP4664249B2 (ja) エンジンの回転角センサ診断装置
JP4451869B2 (ja) 車両用遠隔始動装置
JP4508225B2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US20090254237A1 (en) Apparatus for failure diagnosis of a vehicular foot brake switch
US9650975B2 (en) Method and controller of exhaust gas recirculation to protect valve stick
CN115559804A (zh) 用于监控机器的排放特性的控制设备
US20140185647A1 (en) Diagnostic device for temperature sensor
KR20200111469A (ko) 차량용 촉매의 고장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10089708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브레이크 스위치 고장진단방법
JP3736870B2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KR20200005804A (ko) 전자식 진공배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83208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의 벨트 고장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