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518A -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518A
KR20190072518A KR1020197009773A KR20197009773A KR20190072518A KR 20190072518 A KR20190072518 A KR 20190072518A KR 1020197009773 A KR1020197009773 A KR 1020197009773A KR 20197009773 A KR20197009773 A KR 20197009773A KR 20190072518 A KR20190072518 A KR 20190072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s
ffc
circuit
stator
fl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693B1 (ko
Inventor
히로후미 우츠노미야
마사시 가나자와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의 단선 검지를 실시할 수 있어, 높은 접속 신뢰성,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접속 구조체 (2) 는, 제 1 FFC (41) 와, 그 제 1 FFC 의 양단부 (41A), (41B) 에 장착되고, 당해 제 1 FFC 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를 갖는다.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는, 버스 바 (51-1a ∼ 51-1d) 에 대응하도록 서로 병렬 배치된 버스 바 (61-1a), (61-1b), (61-1c), (61-1d) 와, 버스 바 (61-1a ∼ 61-1d) 의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통부 (61-2) 와, 버스 바 (61-1a ∼ 61-1d) 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버스 바 (61-1a ∼ 61-1d) 를 유지하는 버스 바 케이스 (62) 를 갖는다. 버스 바 (61-1a), (61-1d) 및 도통부 (61-2) 는, 폐회로의 일부를 이룸으로써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본 발명은,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조타용의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샤프트의 연결부에, 에어백 장치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 커넥터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둘러싸고 장착되어 있고, 또, 이 회전 커넥터 장치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를 내포하도록 스티어링 칼럼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또, 스티어링 휠측에는, 그 스티어링 휠의 보스부를 내포하도록 스티어링 로어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테이터와, 그 스테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와, 스테이터와 로테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 공간에 감겨져서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을 구비하고 있다. FFC 는, 금속제의 복수의 도체부를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수지로 이루어지는 2 장의 절연 필름 사이에 끼워 넣은 라미네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 FFC 의 단부에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 차 몰드체로 불리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FFC 및 접속구로 이루어지는 접속 구조체가, 차량에 탑재되는 에어백 등의 각종 장치에 대응하는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종래의 회전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어, 고정측 하우징과, 그 고정측 하우징에 대해 동심상 또한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도록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과, 상기 양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의 케이블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된 2 개의 가요성 케이블과, 케이블 수납 공간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수납된 이동체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이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2 개의 가요성 케이블 중 제 1 가요성 케이블에, 선폭이 큰 2 개의 에어백 회로용 도체와, 그것보다 선폭이 작은 4 개의 혼 회로용 및 스위치 회로용 도체가 담지되고, 제 2 가요성 케이블에는, 선폭이 작은 8 개의 혼 회로용 및 스위치 회로용 도체가 담지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240호
상기 종래와 같은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타가 이루어지면,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수반하여 FFC 가 반복적으로 굴곡 운동한다. 그래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FFC 는, 스티어링 휠이 중립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규정 횟수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당해 규정 횟수의 회전에 따른 길이와 여장 (餘長) 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이 중립 위치가 아닌 상태에서 회전 커넥터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 장치의 로테이터가 규정 횟수 이상으로 회전하는 이른바 과회전이 발생하여, 이 과회전에 의해 FFC 가 단선되거나, 혹은 FFC 와 접속구의 접속부가 단선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 구성에서는, 통상적으로, 에어백 회로 이외의 회로에서 단선을 확인할 수 있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회로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도, 혼 회로가 단선되어 혼이 울리지 않거나, 혹은 스티어링 휠을 조타하면 이음이 발생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비로소 단선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현상황으로, 접속 신뢰성, 안전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 과회전이 발생한 경우, FFC 의 폭 방향 단부가 가장 외력을 받기 쉬워, FFC 의 폭 방향 단부에 배치된 회로로부터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 회로까지 이 순서대로 단선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회전 커넥터 장치가 복수의 FFC 를 갖는 경우, 스테이터와 로테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 공간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FFC 길이는 각각 상이하며, 과회전이 발생하면, 복수의 FFC 중 길이가 가장 짧은 FFC 가 단선되기 쉽고, 이어서 나머지 FFC 가 길이가 짧은 순서대로 단선된다. 이와 같은 단선 현상을 고려하여,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의 단선 검지를 실현할 수 있는 회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의 단선 검지를 실시할 수 있어, 높은 접속 신뢰성,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접속 구조체 및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접속 구조체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구를 갖는 접속 구조체로서, 상기 접속구는, 서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버스 바와, 상기 복수의 버스 바의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1 쌍의 버스 바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통부와, 상기 복수의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복수의 버스 바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버스 바 및 상기 도통부가, 폐회로의 일부를 이룸으로써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다른 접속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다른 접속구는, 상기 복수의 버스 바에 대응하도록 서로 병렬 배치된 다른 복수의 버스 바와, 상기 다른 복수의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다른 복수의 버스 바를 유지하는 제 2 유지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접속구가, 상기 1 쌍의 버스 바 사이에 병렬 배치된 적어도 1 개의 버스 바를 갖고, 상기 적어도 1 개의 버스 바가, 적어도 1 개의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적어도 1 개의 전기 회로는, 혼 회로 및 에어백 회로 중 어느 것 또는 쌍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로테이터 사이의 환상 공간에 감기 및 되감기 가능하게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구를 갖는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는, 서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버스 바와, 상기 복수의 버스 바의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1 쌍의 버스 바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통부와, 상기 복수의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복수의 버스 바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버스 바 및 상기 도통부가, 폐회로의 일부를 이룸으로써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이터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로테이터가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로테이터에 수용되어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측의 전기 회로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다른 접속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다른 접속구는, 상기 복수의 버스 바에 대응하도록 서로 병렬 배치된 다른 복수의 버스 바와, 상기 다른 복수의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다른 복수의 버스 바를 유지하는 제 2 유지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스테이터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로테이터가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상기 다른 접속구는, 상기 스테이터에 수용되어 상기 차량의 본체측의 전기 회로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커넥터 장치는,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외주측에 감겨진 적어도 1 개의 다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접속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적어도 1 개의 다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의 길이 중 어느 것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의 단선 검지를 실시할 수 있어, 높은 접속 신뢰성,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환상 공간 내에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회전 커넥터 장치가 구비하는 접속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측의 접속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의 측면도, (b) 는 그 평면도, (c) 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단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의 로테이터측의 접속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의 측면도, (b) 는 그 평면도, (c) 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타단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접속 구조체에 의해 구성되는 이상 검지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 (a) 는 통상시의 상태, (b) 는 이상 발생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의 회전 커넥터 장치는 그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구성은 도 1 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 (1) 는, 스테이터 (11) 와, 그 스테이터 (11)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 (12) 와, 스테이터 (11) 및 로테이터 (12) 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축선 (x) 둘레의 환상 공간 (S1) 에 감기 및 되감기 가능하게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 (13) (이하, FFC 군이라고 한다) 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에 있어서, 스테이터 (11) 는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고, 로테이터 (12) 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다.
스테이터 (11) 는, 축선 (x) 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되지 않은 원형의 걸어맞춤 구멍을 갖는, 축선 (x) 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 또는 대략 원환상의 스테이터 본체 (21) 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을 형성하는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를 가지고 있다.
스테이터 본체 (21) 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구멍은, 로테이터 (12) 의 후술하는 원통부 (31b) 의 하측 (도 1 의 화살표 A 방향) 의 단부를 수용하여 이 단부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테이터 (12) 는, 원통부 (31b) 의 하측의 단부에 있어서, 스테이터 (11) 의 스테이터 본체 (21) 의 걸어맞춤 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고, 이로써 스테이터 (11) 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로테이터 (12) 는, 축선 (x) 둘레 (도 1 의 화살표 C 방향 및 화살표 D 방향) 에 형성된 환상의 로테이터 본체 (31) 와, 환상 공간 (S1) 과 외부를 연통하고 또한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을 획정 (劃定) 하는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를 가지고 있다.
로테이터 본체 (31) 는, 축선 (x) 을 중심으로 하는 중공 원반상 또는 대략 중공 원반상의 천판부 (31a) 와, 천판부 (31a) 의 내주측의 단부로부터 축선 (x) 을 따라 환상 공간 (S1) 측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부 (31b) 를 가지고 있다. 천판부 (31a) 는, 회전 커넥터 장치 (1) 에 있어서, 상측 (도 1 의 화살표 B 방향) 에 면하는 부분을 구획 형성하고 있다. 원통부 (31b) 는, 스테이터 (11) 의 대응하는 부분에 축선 (x) 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로테이터 (12) 가 스테이터 (11) 에 장착됨으로써, 로테이터 (12) 의 천판부 (31a) 및 원통부 (31b) 그리고 스테이터 (11) 의 스테이터 본체 (21) 에 의해, 환상 공간 (S1) 이 획정된다.
이 환상 공간 (S1) 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 장의 FFC 로 이루어지는 FFC 군 (13) 은, 적절한 길이의 느슨함을 갖도록 감겨져 있고, 이 느슨함의 길이는, 로테이터 (12) 가 스테이터 (11) 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변화된다. 이 느슨함 길이의 변화에 추종되도록, FFC 군 (13) 의 각 FFC 를 환상 공간 (S1) 내에서 항상 정렬시킨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의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에는, 환상 공간 (S1) 으로부터 인출된 FFC 군 (13) 의 단부가 삽입된다. 또, 이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에는, 차체측의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와이어 하네스에 접속된 소정 형상의 단자를 삽입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고정측 단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와 FFC (13) 의 도체부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의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에 배치된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다른 접속구)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의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에는, 상기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과 마찬가지로, 환상 공간 (S1) 으로부터 인출된 FFC 군 (13) 의 단부가 삽입된다. 또,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에는, 스티어링 휠이 구비하는 전기 부품 (예를 들어, 혼 스위치, 에어백 모듈 등) 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의 단자를 삽입 가능한 회전측 단자 삽입공 (3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의 단자와 FFC 군 (13) 의 도체부가,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 의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에 배치된 몰드 홀더 (도시 생략) 내의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접속구) 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스티어링 휠측의 에어백 모듈 등의 전기 부품과, 차체측의 전기 회로가,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FFC 군 (13)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 는, 도 1 의 환상 공간 (S1) 내에 수용된 FFC 군 (13) 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FC 군 (13) 은, 환상 공간 (S1) 의 내주측에 감겨진 제 1 FFC (41) 와, 제 1 FFC (41) 보다 외주측에 감겨지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1 FFC (41) 보다 긴 제 2 FFC (42) 와, 제 2 FFC (42) 보다 외주측에 감겨지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2 FFC (42) 보다 긴 제 3 FFC (43) 와, 제 3 FFC (43) 보다 외주측에 감겨지고,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3 FFC (43) 보다 긴 더미 케이블 (44) 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상 공간 (S1) 내에, 4 개의 케이블이 대략 90 도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FFC (41) 는, 상기 4 개의 케이블 중에서 가장 짧고, 이어서 제 2 FFC (42), 제 3 FFC (43), 더미 케이블 (44) 의 순서대로, 짧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FFC (41) ∼ 제 3 FFC (43) 가 중첩된 부분에 있어서, 제 2 FFC (42) 는, 제 1 FFC (41) 와 제 3 FFC (4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순서대로 배치된 3 개의 제 1 FFC (41) ∼ 제 3 FFC (43) 는, 연통부 (23) 를 개재하여, 환상 공간 (S1) 으로부터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2) 의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으로 도출된다. 연통부 (23) 는, 예를 들어 스테이터 본체 (21) 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환상 공간 (S1) 과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사이에 형성된 노치이다.
제 1 FFC (41) 는,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31b) 에 1 또는 복수 회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내주부 (41a) 와, 제 1 FFC (41) 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되접어 꺾인 되접힘부 (41b) 와, 되접힘부 (41b) 에서의 되접어 꺾기에 의해 내주부 (41a) 의 일부와 대향 배치된 외주부 (41c)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FFC (41) 는, 로테이터 (12) 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되접힘부 (41b) 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기 또는 되감기된다.
제 2 FFC (42) 는, 제 1 FFC (41) 와 마찬가지로,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31b) 에 1 또는 복수 회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내주부 (42a) 와, 제 2 FFC (42) 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되접어 꺾인 되접힘부 (42b) 와, 되접힘부 (42b) 에서의 되접어 꺾기에 의해 내주부 (42a) 의 일부와 대향 배치된 외주부 (42c) 를 가지고 있다. 제 2 FFC (42) 는, 로테이터 (12) 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되접힘부 (42b) 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기 또는 되감기된다.
제 3 FFC (43) 도, 제 1 FFC (41) 와 마찬가지로,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31b) 에 1 또는 복수 회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내주부 (43a) 와, 제 3 FFC (43) 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되접어 꺾인 되접힘부 (43b) 와, 되접힘부 (43b) 에서의 되접어 꺾기에 의해 내주부 (43a) 의 일부와 대향 배치된 외주부 (43c) 를 가지고 있다. 제 3 FFC (43) 는, 로테이터 (12) 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되접힘부 (43b) 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기 또는 되감기된다.
또, 더미 케이블 (44) 도, 제 1 FFC (41) 와 마찬가지로,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의 원통부 (31b) 에 1 또는 복수 회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내주부 (44a) 와, 더미 케이블 (44) 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되접어 꺾인 되접힘부 (44b) 와, 되접힘부 (44b) 에서의 되접어 꺾기에 의해 내주부 (44a) 의 일부와 대향 배치된 외주부 (44c) 를 가지고 있다. 더미 케이블 (44) 은, 로테이터 (12) 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되접힘부 (44b) 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기 또는 되감기된다.
제 1 FFC (41), 제 2 FFC (42), 제 3 FFC (43) 는, 각각 복수의 도체를 가지고 있고, 각 도체가 각종 장치의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더미 케이블 (44) 은, 도체를 갖지 않는 가요성의 장척상 박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FFC (41), 제 2 FFC (42) 및 제 3 FFC (43) 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장척상 박판 부재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FFC 의 길이 방향 길이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2) 에 배치된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의 용접부로부터,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에 배치된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의 용접부까지의 길이를 말하며, 이들 용접부 사이에 있어서의 제 1 FFC (41) ∼ 제 3 FFC (43) 의 각각의 길이가 상이하다. 또, FFC 의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길이는, 실질적으로 환상 공간 (S1) 내에 있어서의 FFC 의 여장에 대응하며, 환상 공간 (S1) 내에 있어서의 FFC 의 여장은, 환상 공간 (S1) 내에 있어서의 FFC 의 되접힘부 및 외주부의 합계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테이터 (12) 측으로부터 스테이터 (11) 측을 향해 환상 공간 (S1) 을 시계 방향 (도 2 의 화살표 E 방향) 으로 보았을 때, 연통부 (23) 의 배치 위치로부터 되접힘부의 배치 위치까지의 거리가 외주부 길이에 상당하고, 굽힘 반경이 거의 일정하고 상기 되접힘부의 길이가 거의 동등한 것으로 한 경우, FFC 의 되접힘부 및 외주부의 합계 길이는, 제 1 FFC (41), 제 2 FFC (42), 제 3 FFC (43) 의 순서대로 짧다. 따라서, 3 개의 FFC 의 환상 공간 (S1) 내에 있어서의 여장은, 제 1 FFC (41), 제 2 FFC (42), 제 3 FFC (43) 의 순서대로 짧고, 3 개의 FFC 의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길이도, 이 순서대로 짧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FFC (41) 의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는, 제 2 FFC (42) 및 제 2 FFC (43) 의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 중 어느 것보다도 짧다. 그리고, 제 1 FFC (41) ∼ 제 3 FFC (43) 중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길이가 가장 짧은 제 1 FFC,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가, 후술하는 접속 구조체를 구성하고 있다.
도 3 은, 도 1 의 회전 커넥터 장치 (1) 에 형성되는 접속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구조체 (2) 는, 제 1 FFC (41) 와, 그 제 1 FFC 의 양단부 (41A, 41B) 에 장착되고, 당해 제 1 FFC 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를 갖는다.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는, 스테이터 (11) 에 수용되어 차량의 본체측 (D1) 의 전기 회로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고,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가 로테이터 (12) 에 수용되어 차량의 스티어링 휠측 (D2) 의 전기 회로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FFC (41) 는, 도체 (41-1a, 41-1b, 41-1c 및 41-1d) 로 구성되는 도체군 (41-1) 과, 그 도체군 (41-1) 을 도시되지 않은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사이에 끼워 넣도록 배치된 2 장의 절연 필름 (41-2) 을 갖는다. 도체 (41-1a ∼ 41-1d) 는, 예를 들어 구리 혹은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이거나, 또는, 구리 혹은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층과 도금층을 갖는 복층으로 구성되고, 압연면의 면내 방향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도체는, 압연 동박을 슬릿 가공하거나 혹은 봉상 부재를 압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제조시에 압연된 면 (표면 혹은 이면) 이 상기 압연면을 이룬다.
도체 (41-1a, 41-1d) 는, 회전 커넥터 장치 (1) 의 단선 등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에 접속되고,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FFC (41) 의 여장은, 3 개의 제 1 FFC (41) ∼ 제 3 FFC (43) 중에서 가장 적다. 따라서, 조타에 의한 로테이터 (12) 의 회전시에, 제 1 FFC (41) 가 길이 방향의 장력 (외력) 을 받기 쉬워,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제 1 FFC (41) 에,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1-1a, 41-1d) 가 배치된다. 도체 (41-1a, 41-1d) 는, 예를 들어 폭 0.8 ㎜ ∼ 1 ㎜, 두께 0.02 ㎜ ∼ 0.05 ㎜ 이다.
도체 (41-1b, 41-1c) 는, 에어백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요소이다. 도체 (41-1b, 41-1c) 는, 예를 들어 폭 1.5 ㎜ ∼ 2 ㎜, 두께 0.02 ㎜ ∼ 0.05 ㎜ 이다.
이 제 1 FFC (41) 에서는, 도체 (41-1a ∼ 41-1d) 가 나란히 배치됨과 함께,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41-1b ∼ 41-1c) 의 배열 방향 양단에,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41-1a, 41-1d 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체 (41-1a, 41-1d) 는, 제 1 FFC (41) 의 폭 방향에 관해서 최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는, 도 4(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버스 바 (51-1a, 51-1b, 51-1c, 51-1d) (다른 복수의 버스 바) 와, 버스 바 (51-1a ∼ 51-1d) 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버스 바 (51-1a ∼ 51-1d) 를 유지하는 버스 바 케이스 (52) (제 2 유지부) 를 갖는다.
버스 바 (51-1a ∼ 51-1d) 는, 장척상의 금속제의 도체이며, 각각의 일단이 버스 바 케이스 (52) 에 매설되고, 타단이 버스 바 케이스 (52) 의 측면 (52a) 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 케이스 (52) 는, 편평 형상의 오목부 (53) 를 갖고, 오목부 (53) 의 바닥벽 (53a) 에 단자부 (51-1a' ∼ 51-1d')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 (51-1a' ∼ 51-1d') 는, 제 1 FFC (41) 에 있어서의 도체 (41-1a ∼ 41-1d) 와 동일한 배열 피치로 배열된다.
버스 바 (51-1a ∼ 51-1d) 는, 제 1 FFC (41) 의 단부 (41A) 에 있어서 각각 도체 (41-1a ∼ 41-1d)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 도 4(c)). 구체적으로는, 버스 바 (51-1a ∼ 51-1d) 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단자부 (51-1a', 51-1b', 51-1c', 51-1d') 가, 제 1 FFC (41) 의 도체 (41-1a ∼ 41-1d) 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도체부 (41-1a', 41-1b', 41-1c', 41-1d') 에 일대일 접속된다. 상기 각 단자부와 도체부가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용접됨으로써, 용접부 (접속부) 가 형성된다.
버스 바 (51-1a, 51-1d) 는, 회전 커넥터 장치 (1) 의 단선 등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에 접속되고,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이다. 또, 버스 바 (51-1b, 51-1c) 는, 에어백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요소이다.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는,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 (51-1a ∼ 51-1d) 에 대응하도록 서로 병렬 배치된 버스 바 (61-1a, 61-1b, 61-1c, 61-1d) (복수의 버스 바) 와, 버스 바 (61-1a ∼ 61-1d) 의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통부 (61-2) 와, 버스 바 (61-1a ∼ 61-1d) 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버스 바 (61-1a ∼ 61-1d) 를 유지하는 버스 바 케이스 (62) (제 1 유지부) 를 갖는다.
버스 바 (61-1b, 61-1c) 는, 장척상의 금속제의 도체이며, 각각의 일단이 버스 바 케이스 (62) 에 매립되고, 타단이 버스 바 케이스 (62) 의 측면 (62a) 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는, 장척상의 금속제의 도체이며, 노출된 일부를 제외하고,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전체가 버스 바 케이스 (62) 에 매립되어 있다. 또, 도통부 (61-2) 는, 장척상의 금속제의 도체이며, 그 전체가 버스 바 케이스 (62) 에 매립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및 도통부 (61-2) 가, 일체 성형된 コ 자형 혹은 대략 형상 コ 자형의 도체이다.
버스 바 케이스 (62) 는, 버스 바 (61-1a, 61-1d) 를 유지하도록 성형된 수지제의 부재이다. 이 버스 바 케이스 (62) 는, 편평 형상의 오목부 (63) 를 갖고, 오목부 (63) 의 바닥벽 (63a) 에 단자부 (61-1a' ∼ 61-1d')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 (61-1a' ∼ 61-1d') 는, 제 1 FFC (41) 에 있어서의 도체 (41-1a ∼ 41-1d) 와 동일한 배열 피치로 배열된다.
버스 바 (61-1a ∼ 61-1d) 는, 제 1 FFC (41) 의 단부 (41B) 에 있어서 각각 도체 (41-1a ∼ 41-1d)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 도 5(c)). 구체적으로는, 버스 바 (61-1a ∼ 61-1d) 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단자부 (61-1a', 61-1b', 61-1c', 61-1d') 가, 제 1 FFC (41) 의 도체 (41-1a ∼ 41-1d) 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도체부 (41-1a", 41-1b", 41-1c", 41-1d") 에 일대일 접속된다. 상기 각 단자부와 도체부가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용접됨으로써, 용접부 (접속부) 가 형성된다.
버스 바 (61-1a, 61-1d) 및 도통부 (61-2) 는, 회전 커넥터 장치 (1) 의 단선 등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회로에 접속되어, 후술하는 폐회로의 일부를 이룸으로써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한다. 또, 버스 바 (61-1b, 61-1c) 는 에어백 회로에 접속되어, 에어백 회로를 구성한다.
도 6 은, 도 3 의 접속 구조체 (2) 에 의해 구성되는 이상 검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통상 상태, (b) 는 이상 발생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접속 구조체 (2) 에서는, 버스 바 (51-1b), 도체 (41-1b) 및 버스 바 (61-1b) 가 이 순서대로 접속되어 제 1 에어백 회로 (AB+) 를 구성하고, 또, 버스 바 (51-1c), 도체 (41-1c) 및 버스 바 (61-1c) 가 이 순서대로 접속되어 제 2 에어백 회로 (AB-) 를 구성한다. 또, 버스 바 (51-1a), 도체 (41-1a), 버스 바 (61-1a), 도통부 (61-2), 버스 바 (61-1d), 도체 (41-1d) 및 버스 바 (51-1d) 는, 이 순서대로 접속되어 폐회로인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한다.
접속 구조체 (2) 의 단선 등의 이상을 검지하는 경우, 차체측, 즉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의 버스 바 (51-1a, 51-1d) 측으로부터 이상 검지 회로에 통전을 실시한다. 그리고, 이상 검지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규정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통전시의 전류가 기정치 이상일 때에는, 접속 구조체 (2) 에 단선 등의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통전시의 전류가 규정치 미만일 때에는 쇼트 (단락) 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이상 검지 회로가 통상일 때에는 (도 6(a)), 전류 (F) 가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로부터 제 1 FFC (41) 를 개재하여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로 흐르고, 또한, 도통부 (61-2) 에 의해,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로부터 제 1 FFC (41) 를 개재하여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로 흐른다. 한편, 이상 검지 회로의 P 점에서 단선 등의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도 6(b)), 이상 검출 회로의 저항치 증대에 의해 당해 이상 검출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전류치 미만이 되거나, 혹은 단선에 의해 전류를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상 검출 회로의 통전시의 전류가 소정 전류치 미만이거나 혹은 전류치를 측정할 수 없을 때에는, 접속 구조체 (2) 에 단선 등의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 (1) 에서 과회전이 발생한 경우, 차량의 본체측 (D1) 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와 제 1 FFC (41) 의 접속부 혹은 그 근방에서 단선이 발생하기 쉽다. 또 이 때, 제 1 FFC (41) 의 폭 방향 단부 (일단부 또는 양단부) 가 가장 외력을 받기 쉬워, 제 1 FFC (41) 의 폭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도체 (41-1a) 와 버스 바 (51-1a) 의 접속부 혹은 그 근방, 또는 도체 (41-1d) 와 버스 바 (51-1d) 의 접속부 혹은 그 근방에서 단선이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에 있어서, 버스 바 (61-1a ∼ 61-1d) 중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를 도통부 (61-2) 에 의해 접속하여, 버스 바 (61-1a) 를 도체 (41-1a) 에, 버스 바 (61-1d) 를 도체 (41-1d) 에 각각 접속한다.
이상 검지 회로에 대한 상기 통전은, 차량에 탑재되는 장치 이외의 외부 기기, 예를 들어 테스터를 접속함으로써 실시하거나, 혹은, 차량에 탑재되는 제어 장치, 예를 들어 MICU (Multiplex Integrated Control Unit) 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장치가, 이상 검지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전류치 이상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 (1) 단체에서는 회로 이상을 검지할 수 없지만, 회전 커넥터 장치 (1) 의 이상 검지 회로에 통전을 실시함으로써, 통전시의 전류치에 기초하여 회로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탑재되는 제어 장치가, 상기 통전 및 판정을 축차 혹은 상시 실시하여, 접속 구조체 (2) 를 모니터링해도 된다. 또,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통전 및 판정을 실시하는 경우, 차량에 장비 (裝備) 된 표시 장치, 음향 장치 등을 사용하여, 접속 구조체 (2) 의 이상을 화상 표시, 음성 등에 의해 운전자에게 경고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 구조체 (2) 는, 제 1 FFC (41) 와, 제 1 FFC (41) 의 양단부 (41A, 41B) 에 장착되고, 당해 제 1 FFC (41) 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를 갖는다.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는,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의 버스 바 (51-1a ∼ 51-1d) 에 대응하도록 서로 병렬 배치된 버스 바 (61-1a ∼ 61-1d) 와, 버스 바 (61-1a ∼ 61-1d) 의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통부 (61-2) 와, 버스 바 (61-1a ∼ 61-1d) 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버스 바 (61-1a ∼ 61-1d) 를 유지하는 버스 바 케이스 (52)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및 도통부 (61-2) 가, 폐회로의 일부를 이룸으로써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의 버스 바 (51-1a, 51-1d), 제 1 FFC (41) 의 도체 (41-1a, 41-1d), 그리고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의 버스 바 (61-1a, 61-1d) 및 도통부 (61-2) 가, 폐회로인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과회전에 의해 제 1 FFC (41) 가 단선되거나, 혹은 제 1 FFC (41) 와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의 접속부가 단선된 것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의 단선 검지를 실시할 수 있어, 높은 접속 신뢰성,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가,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사이에 병렬 배치된 버스 바 (61-1b, 61-1c) 를 갖고, 버스 바 (61-1b, 61-1c) 가 에어백 회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접속 구조체 (2) 에 있어서의 회로의 배열 방향에 관해서 중앙부에 에어백 회로, 그 양단에 이상 검지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단선이 발생하기 쉬운 제 1 FFC (41) 의 폭 방향 양단부에 이상 검지 회로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회로에 단선 등이 발생하기 전에 이상 검지 회로에 의해 이상을 검지할 수 있어, 조기의 이상 검지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종래와 비교하여 차량이 안전한 상태에서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는 스테이터 (11) 에 수용되어 차량의 본체측 (D1) 의 전기 회로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고,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는 로테이터 (12) 에 수용되어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측 (D2) 의 전기 회로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로테이터 (12) 에 수용되는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에 도통부 (61-2) 를 형성하기 때문에,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의 버스 바 (51-1a, 51-1d) 를 도통시킴으로써, 차량의 본체측 (D1) 에서,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제 1 FFC (41),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또는 각 몰드체와 제 1 FFC (41) 의 접속부 혹은 그 근방에서 발생한 이상 발생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 회전 커넥터 장치 (1) 는,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 제 1 FFC (41) 보다 외주측에 감겨진 제 2 FFC (42), 제 2 FFC (43) 를 추가로 갖고, 접속 구조체 (2) 를 구성하는 제 1 FFC (41) 의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가, 제 2 FFC (42), 제 3 FFC (43) 의 환상 공간 (S1) 에 있어서의 길이 중 어느 것보다도 짧기 때문에, 단선 등의 이상이 발생하기 쉬운 제 FFC (41) 에 이상 검지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회전 커넥터 장치 (1) 에서 발생하는 이상을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 2 FFC (42), 제 3 FFC (43) 의 회로에서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이상을 검지할 수 있어, 회전 커넥터 장치 (1) 의 높은 접속 신뢰성,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차량의 제조, 수리 공정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 (1) 를 차체에 장착할 때, 상기 이상 검지 회로를 검사용의 전용 회로로서 사용하여, 오장착 등에 수반되는 과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단선 등의 이상을 검지하고, 이상 발생시에는 작업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자동차 생산 공장이나 정비 공장, 딜러에서 회전 커넥터 장치 (1) 의 이상을 검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 장치에 상기 이상 검지 회로를 접속하고, 이상 발생을 차량 내에서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 조종시에 회전 커넥터 장치 (1) 에서의 단선 등의 이상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회로나 혼 회로가 단선되기 전에 운전자에게 수리를 촉구할 수 있어, 주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를 사전에 회피할 수 있다.
또, 차량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회로를 사용한 이상 검지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록함으로써, 검사시에 이상 발생의 타이밍을 인식, 판단할 수 있어, 불량품의 해석시에, 이상 발생의 경향을 유추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에 대해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기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구조체 (2) 는, 제 1 FFC (41) 와, 그 제 1 FFC 의 양단부 (41A, 41B) 에 장착되고, 당해 제 1 FFC (41) 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를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FFC (41) 의 단부 (41A) (타단부) 에 스테이터측 몰드체 (50) 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접속 구조체 (2) 는, 제 1 FFC (41) 와, 제 1 FFC 의 단부 (41B) (일단부) 에 장착되고, 당해 제 1 FFC (41) 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접속구)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때, 제 1 FFC (41) 의 단부 (41A) 는, 예를 들어 직접 혹은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의 구성은 상기와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구성에 있어서도, 제 1 FFC (41) 의 도체 (41-1a, 41-1d), 그리고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의 버스 바 (61-1a, 61-1d) 및 도통부 (61-2) 가, 폐회로인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과회전에 의해 제 1 FFC (41) 가 단선되는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의 단선 검지를 실시할 수 있어, 높은 접속 신뢰성, 안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는 로테이터 (12) 에 수용되어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측 (D2) 의 전기 회로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로테이터 (12) 에 수용되는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에 도통부 (61-2) 를 형성하기 때문에, 차량의 본체측 (D1) 에서, 제 1 FFC (41),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또는 로테이터측 몰드체 (60) 와 제 1 FFC (41) 의 접속부 혹은 그 근방에서 발생한 이상 발생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는, 편평한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L 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각 1 차 몰드체의 버스 바는, L 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에 있어서,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및 도통부 (61-2) 는, 일체 성형된 コ 자형의 도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FFC (41) 의 도체 (41-1a, 41-1d) 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다른 형상의 도체여도 된다. 또, 도통부 (61-2) 는, 장척상의 금속제의 도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 쌍의 버스 바 (61-1a, 61-1d) 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다른 형상, 재질의 부재여도 된다.
또한, 도통부 (61-2) 의 전체가 버스 바 케이스 (62) 에 매립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통부 (61-2) 의 전체가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도통부 (61-2) 가 노출된 구성인 경우, 도통부 (61-2) 를 이상 검출 판정시의 접점으로서 사용하고, 별도 부품이나 별도 회로를 접속하여 도통시킴으로써, 도통부 (61-2) 의 상류측 혹은 하류측에서 단선 등의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어, 보다 고정밀도의 이상 검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통부 (61-2) 를, 테스터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도통을 확인하기 위한 접점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의 2 개의 버스 바 (51-1b (AB+), 51-1c (AB-))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의 2 개의 버스 바 (61-1b (AB+), 61-1c (AB-)) 가, 에어백 회로의 일 경로를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가, 각각 2 단식 가스 발생 장치 (듀얼 인플레이터) 의 점화 출력용 듀얼 회로를 구성하는 4 개의 버스 바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4 개의 버스 바 중 2 개의 버스 바가 에어백에 형성된 일방의 인플레이터에, 나머지 2 개의 버스 바가 동 에어백에 형성된 타방의 인플레이터에 각각 접속된다. 또,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가, 각각 2 단식 가스 발생 장치 (듀얼 인플레이터) 의 점화 출력용 듀얼 회로를 구성하는 3 개의 버스 바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3 개의 버스 바 중 공용인 1 개의 버스 바 (AB-) 가 일방의 인플레이터에, 2 개의 버스 바 (AB+, AB+) 가 타방의 인플레이터에 각각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접속 구조체 (2) 를, 1 개의 점화 출력용 회로뿐만 아니라, 2 개의 점화 출력용 듀얼 회로, 혹은 3 개 이상의 점화 출력용 회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접속 구조체를 1 개의 점화 출력용 회로 혹은 2 개 이상의 점화 출력용 회로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장화 (冗長化) 를 위한 예비 FFC 를 형성함과 함께, 이것에 대응하는 다른 복수의 버스 바를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에 각각 형성하여, 용장화 회로를 구성해도 된다.
또,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에 있어서,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버스 바 이외의 버스 바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 사양에 따라 다른 수로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버스 바 (51-1b, 51-1c) 를 갖지만, 에어백 회로 대신에, 혼 회로를 구성하는 1 개의 버스 바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버스 바 (61-1b, 61-1c) 를 갖지만, 에어백 회로 대신에, 혼 회로를 구성하는 1 개의 버스 바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적어도 1 개의 전기 회로가, 혼 회로 및 에어백 회로의 쌍방이어도 된다.
또,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및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는, 각각 적어도 1 개의 버스 바를 갖고, 그 적어도 1 개의 버스 바가 적어도 1 개의 전기 회로를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1 개의 전기 회로가, 혼 회로 및 에어백 회로 중 어느 것 또는 쌍방을 포함하고, 또한 혼 회로 및 에어백 회로 이외의 전기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적어도 1 개의 전기 회로가, 혼 회로 및 에어백 회로 이외의 전기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1 개의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에 1 개의 제 1 FFC (41) 가 접속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 개의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에 복수의 FFC 가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0) 에는, 복수의 FFC 에 형성된 도체의 합계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스 바가 형성된다. 또, 이것과 마찬가지로, 1 개의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0) 에 복수의 FFC 가 접속되어도 된다.
또, 제 1 FFC (41) 에 있어서,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의 폭을,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의 폭보다 크게 해도 된다.
또, 제 1 FFC (41) 에 있어서,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이외의 도체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 사양에 따라 다른 수로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FFC (41) 는,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2 개의 도체 (41-1b, 41-1c) 를 가지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혼 회로를 구성하는 1 개의 도체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제 1 FFC (41) 는, 이상 검지 회로, 에어백 회로, 혼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이외에, 다른 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도체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제 1 FFC (41) 가, 혼 회로를 구성하는 1 개의 도체와,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2 개의 도체를 갖는 경우, 제 2 FFC (42) 는, 용장화 회로로서의 혼 회로를 구성하는 1 개의 도체와, 에어백 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2 개의 도체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FFC (41) ∼ 제 3 FFC (43) 중 이상이 발생하기 쉬운 제 1 FFC (41) 에 이상 검지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조기에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또, 회전 커넥터 장치 (1) 는, 더미 케이블 (44) 을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더미 케이블 대신에, 제 1 ∼ 제 3 FFC 중 어느 것의 용장화를 위한 예비 FFC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회전 커넥터 장치 (1) 는, 더미 케이블 대신에, 다른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를 갖는 제 4 FFC 를 구비해도 된다.
제 3 FFC (43) 는, 예를 들어 에어백 회로보다 대전류가 흐르는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제 3 FFC (43) 는, 대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도체 이외에, 다른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도체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FFC 군 (13) 이 3 개의 FFC 를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 개의 FFC, 혹은 4 개 이상의 FFC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회전 커넥터 장치 (1) 가, FFC 군 (13) 대신에, 1 개의 FFC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회전 커넥터 장치 (1) 의 FFC 군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1 : 회전 커넥터 장치
2 : 접속 구조체
11 : 스테이터
12 : 로테이터
13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군 (FFC 군)
21 : 스테이터 본체
22 :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23 : 연통부
31 : 로테이터 본체
31a : 천판부
31b : 원통부
32 :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
32a : 회전측 단자 삽입공
41 : 제 1 FFC
41a : 내주부
41b : 되접힘부
41c : 외주부
41-1 : 도체군
41-1a, 41-1b, 41-1c, 41-1d : 도체
41-1a', 41-1b', 41-1c', 41-1d' : 도체부
41-1a", 41-1b", 41-1c", 41-1d" : 도체부
41-2 : 절연 필름
42 : 제 2 FFC
42a : 내주부
42b : 되접힘부
42c : 외주부
43 : 제 3 FFC
43a : 내주부
43b : 되접힘부
43c : 외주부
44 : 더미 케이블
44a : 내주부
44b : 되접힘부
44c : 외주부
50 : 스테이터측 1 차 몰드체
51-1a, 51-1b, 51-1c, 51-1d : 버스 바
51-1a', 51-1b', 51-1c', 51-1d' : 단자부
52 : 버스 바 케이스
52a : 측면
53 : 오목부
53a : 바닥벽
60 : 로테이터측 1 차 몰드체
61-1a, 61-1b, 61-1c, 61-1d : 버스 바
61-1a', 61-1b', 61-1c', 61-1d' : 단자부
62 : 버스 바 케이스
62a : 측면
63 : 오목부
63a : 바닥벽
D1 : 차량의 본체측
D2 : 스티어링 휠측
F : 전류
S1 : 환상 공간
S2 :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S3 :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 공간
x : 축선

Claims (9)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구를 갖는 접속 구조체로서,
    상기 접속구는, 서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버스 바와, 상기 복수의 버스 바의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1 쌍의 버스 바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통부와, 상기 복수의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복수의 버스 바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버스 바 및 상기 도통부가, 폐회로의 일부를 이룸으로써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다른 접속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다른 접속구는, 상기 복수의 버스 바에 대응하도록 서로 병렬 배치된 다른 복수의 버스 바와, 상기 다른 복수의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다른 복수의 버스 바를 유지하는 제 2 유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가, 상기 1 쌍의 버스 바 사이에 병렬 배치된 적어도 1 개의 버스 바를 갖고,
    상기 적어도 1 개의 버스 바가, 적어도 1 개의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개의 전기 회로는, 혼 회로 및 에어백 회로 중 어느 것 또는 쌍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구조체.
  5.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로테이터 사이의 환상 공간에 감기 및 되감기 가능하게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구를 갖는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는, 서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버스 바와, 상기 복수의 버스 바의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1 쌍의 버스 바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통부와, 상기 복수의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복수의 버스 바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버스 바 및 상기 도통부가, 폐회로의 일부를 이룸으로써 이상 검지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로테이터가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로테이터에 수용되어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측의 전기 회로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당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다른 접속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다른 접속구는, 상기 복수의 버스 바에 대응하도록 서로 병렬 배치된 다른 복수의 버스 바와, 상기 다른 복수의 버스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당해 다른 복수의 버스 바를 유지하는 제 2 유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로테이터가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상기 다른 접속구는, 상기 스테이터에 수용되어 상기 차량의 본체측의 전기 회로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보다 외주측에 감겨진 적어도 1 개의 다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접속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적어도 1 개의 다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상기 환상 공간에 있어서의 길이 중 어느 것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197009773A 2016-11-09 2017-10-27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412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9165 2016-11-09
JP2016219165 2016-11-09
PCT/JP2017/038837 WO2018088235A1 (ja) 2016-11-09 2017-10-27 接続構造体及び該接続構造体を備える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518A true KR20190072518A (ko) 2019-06-25
KR102412693B1 KR102412693B1 (ko) 2022-06-23

Family

ID=6210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773A KR102412693B1 (ko) 2016-11-09 2017-10-27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11324B2 (ko)
EP (1) EP3540874B1 (ko)
JP (1) JP6989515B2 (ko)
KR (1) KR102412693B1 (ko)
CN (1) CN109891686B (ko)
WO (1) WO2018088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9219B2 (en) * 2020-03-13 2023-10-2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Combination circuit board retention and interconnec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9027A1 (fr) * 1993-06-10 1994-12-14 Jaeger Contacteur électrique tournant
US5413492A (en) * 1992-09-04 1995-05-09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ransmission apparatus between rotary body and fixed body
JP2000323254A (ja) * 1999-05-14 2000-11-24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2001015240A (ja) 1999-06-30 2001-01-19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回転コネクタ
WO2010026123A1 (en) * 2008-09-02 2010-03-11 Kulicke And Soffa Die Bonding Gmbh Apparatus for manipulating objects, in particular semiconductor chips, and a flexible flat cable
JP2010052166A (ja) * 2008-08-26 2010-03-1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2079411A (ja) * 2010-09-30 2012-04-19 Fuji Heavy Ind Ltd ロールコネクタ断線検知装置及び断線検知方法
JP2012216457A (ja) * 2011-04-01 2012-11-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用の接続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1575A (ja) * 2006-04-03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ケーブル断線検出装置と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JP5224404B2 (ja) * 2010-03-30 2013-07-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697033B2 (ja) * 2011-03-29 2015-04-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833510B2 (ja) * 2012-08-23 2015-12-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3492A (en) * 1992-09-04 1995-05-09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ransmission apparatus between rotary body and fixed body
EP0629027A1 (fr) * 1993-06-10 1994-12-14 Jaeger Contacteur électrique tournant
JP2000323254A (ja) * 1999-05-14 2000-11-24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2001015240A (ja) 1999-06-30 2001-01-19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2010052166A (ja) * 2008-08-26 2010-03-1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WO2010026123A1 (en) * 2008-09-02 2010-03-11 Kulicke And Soffa Die Bonding Gmbh Apparatus for manipulating objects, in particular semiconductor chips, and a flexible flat cable
JP2012079411A (ja) * 2010-09-30 2012-04-19 Fuji Heavy Ind Ltd ロールコネクタ断線検知装置及び断線検知方法
JP2012216457A (ja) * 2011-04-01 2012-11-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用の接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0874A4 (en) 2020-06-17
JP6989515B2 (ja) 2022-01-05
WO2018088235A1 (ja) 2018-05-17
CN109891686A (zh) 2019-06-14
EP3540874A1 (en) 2019-09-18
KR102412693B1 (ko) 2022-06-23
JPWO2018088235A1 (ja) 2019-09-26
US10611324B2 (en) 2020-04-07
US20190263337A1 (en) 2019-08-29
EP3540874B1 (en) 2023-08-02
CN109891686B (zh)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4358B (zh) 旋转连接器装置
JP5833522B2 (ja) 回転コネクタ
KR20190072518A (ko) 접속 구조체 및 그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JP6696791B2 (ja) 接続コネクタ、接続コネクタ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JP5802156B2 (ja) 回転コネクタ
JP3561435B2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KR102169773B1 (ko) 회전 커넥터 장치
JP5557677B2 (ja) ロールコネクタ断線検知装置
JP5630905B2 (ja) ロールコネクタ装置及びロールコネクタ断線検知装置
JP5833523B2 (ja) 回転コネクタ
JP2016058354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接続具及びそれを備える回転コネクタ装置
CN105591262A (zh) 柔性扁平电缆用连接部件及具备其的旋转连接器装置
JP3889231B2 (ja) 回転コネクタ
JP2001112156A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5872933B2 (ja) 回転コネクタ
JPH083704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導電体に対する端子の接続構造
JPH11176549A (ja) ステアリング接続ケーブルユニット
JPH0574535A (ja) ケーブルリール
JP2001250440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