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368A -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368A
KR20190072368A KR1020170173664A KR20170173664A KR20190072368A KR 20190072368 A KR20190072368 A KR 20190072368A KR 1020170173664 A KR1020170173664 A KR 1020170173664A KR 20170173664 A KR20170173664 A KR 20170173664A KR 20190072368 A KR20190072368 A KR 20190072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e
panel
housing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667B1 (ko
Inventor
주의성
신문선
윤인철
김병건
송우석
우동우
정세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667B1/ko
Priority to CN201880079665.2A priority patent/CN111465808B/zh
Priority to US16/772,520 priority patent/US11708990B2/en
Priority to PCT/KR2018/015217 priority patent/WO2019117523A1/ko
Priority to EP18887438.2A priority patent/EP3708919A4/en
Publication of KR2019007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4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the air flow rate increasing with an increase of air-current or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Abstract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진 하우징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토출구로 송풍시키는 송풍부와; 토출구에 마주하도록 마련되며, 다공이 형성된 패널과; 하우징에 대해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토출구 및 패널 사이의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패널을 이동시킴으로써, 패널의 다공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이 조정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공기청정기는 콜드 드래프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사용 공간 내의 공기의 여러 속성을 조정하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정의 속성이 조정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의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 공간의 요구에 따라서, 온도, 습도, 청정도, 기류 등의 속성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장치를 지칭한다. 공기조화기는 기본적으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송풍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 공간의 환경을 사용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상태로 바꾼다. 공기조화기는 조절하는 공기의 속성에 따라서 구분되는 바, 그 예시로는 공기의 냉각을 위한 에어컨, 공기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제습기,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기 위한 공기청정기 등이 있다.
공기청정기는 실내 등의 공간 내에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가스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며, 부가적으로 공기에 대한 살균작용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고,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냄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고, 정화된 공기를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한다.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하우징에 마련된 공기토출구의 공간 체적이 고정되고, 송풍팬의 회전수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에, 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토출구의 일부 공간에만 편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토출구로부터 편향되게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의 인체에 닿게 되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청정기에서는 임의의 풍량 하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위치에 따라서 바람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공기가 공기토출구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않게 토출되면, 공기청정기는 사용 공간 전체를 골고루 정화시킬 수 없거나, 또는 사용 공간을 전체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소요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실제로 공기의 순환을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로 공기의 순환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취침하는 동안에 공기의 순환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데,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낮으면서도 공기가 공기토출구의 일부 공간에서 편향되게 배출되면, 이러한 경우의 공기청정기의 공기 정화 기능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기 설정된 공간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는 공기청정기가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송풍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토출구에 마주하도록 마련되며, 다공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패널 사이의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패널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패널의 다공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이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공기청정기는 동작모드 별로 콜드 드래프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제1모드 시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제1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며, 상기 제1모드보다 상기 송풍부에 의한 송풍량이 많은 제2모드 시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제2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부 및 상기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다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릴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의 다공의 직경은 상기 그릴플레이트의 다공의 직경에 비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패널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rack)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pinion)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의 폐쇄 또는 개방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의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패널의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드의 진입 시간이 지정된 스케줄링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간이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지정하는 시간에 대응하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의 사용 환경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농도가 제1임계치를 넘지 않으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며, 상기 감지된 농도가 상기 제1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의 자동 진입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표시하고, 상기 UI를 통한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송풍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고 상기 토출구와의 사이에 상기 공기의 토출 유로가 형성되도록 이격되며, 다공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마련된 도어와;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토출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도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패널의 다공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이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은, 송풍부에 의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토출구로 송풍하는 단계와; 상기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에 마주하도록 마련된 다공이 형성된 패널 사이의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패널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패널의 다공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량의 조정 단계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제1모드 시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제1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모드보다 상기 송풍부에 의한 송풍량이 많은 제2모드 시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제2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패널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량의 조정 단계는, 상기 유로의 폐쇄 또는 개방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패널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공기청정기의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패널의 이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현재 시간이 기 저장된 스케줄링 정보가 저장된 상기 제1모드의 진입 시간에 대응하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공기청정기의 사용 환경의 먼지 농도가 제1임계치를 넘지 않으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농도가 상기 제1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모드의 진입 회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모드의 자동 진입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UI를 통한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소정의 제1모드 시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전방패널에서 A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지시 이벤트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모드 시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2모드 시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서 전방패널 및 그릴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전방패널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전방패널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토출구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1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학습을 통해 제1모드로의 진입 시간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1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2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소정의 사용 환경에서 사용할 때에 콜드 드래프트 현상이 억제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소정의 제1모드 시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전체적으로 정육면체에 가까운 외형을 가지며 모서리 및 꼭지점이 둥글게 성형되어 있는 하우징(110)을 가진다. 공기청정기(100)에서 하우징(110)의 후방을 통해 사용 환경의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먼지 또는 가스가 필터링되고, 하우징(110)의 전방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다양한 종류의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공기청정기(100)는 공기조화기의 한 구현 방식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기(100)로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컨, 제습기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공간 내에서 상호 수직한 X, Y, Z의 3방향을 나타낸다. X, Y, Z의 각 방향의 반대방향은 -X, -Y, -Z로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에서 X 방향은 편의상 공기청정기의 전방으로, -X 방향은 공기청정기의 후방으로 각각 표현될 수 있다. 또한, 3방향의 축들 중에서 두 축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서는 나머지 한 축이 법선방향이 되는 바, 예를 들면 Y-Z 평면은 X 방향이 법선방향이 된다.
하우징(110)의 후방 및 전방에는 각각 개구가 형성된다. 하우징(110) 후방의 개구는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이며, 하우징(110) 전방의 개구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이다. 또는, 하우징(110)의 좌우 측벽에도 공기 유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10) 전방의 토출구에 설치된 전방패널(120)을 포함한다.
전방패널(120)은, 그 판면 상의 소정의 제1영역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 입력 및 공기청정기(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1)와, 제1영역 이외의 제2영역 상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 또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본 관통홀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X 방향을 따라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서는 전방패널(120)이 하우징(110)의 토출구를 커버하는 위치와, 토출구를 이격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도면은 전방패널(120)이 하우징(110)의 토출구를 커버하는 위치에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며, 소정의 제1모드 시에 공기청정기(100)는 이러한 상태로 동작한다.
이하, 전방패널(120) 상에 형성된 관통홀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전방패널에서 A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패널(200)은 플레이트(210)와, 플레이트(2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220)을 포함한다. 이 복수의 관통홀(220)이 공기청정기의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220)이 원형인 것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관통홀(220)의 특정한 형상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관통홀(220)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공기청정기의 설계 및 제조 단계에서 변경 가능하다. 또한, 관통홀(220)의 직경과, 상호 인접하는 두 관통홀(220) 사이의 이격 거리 또한, 설계 단계에서 다양한 실험 데이터에 기반하여 마련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수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홀(220)의 형상, 직경, 두 관통홀(220) 사이의 이격 거리, 전방패널(200) 전체에서 관통홀(220)이 점유하는 비율 등의 패러미터에 의해, 단위시간당 공기의 배출량이 결정된다. 상기한 패러미터들은 공기청정기가 사용되는 환경, 송풍팬의 성능, 전방패널(200)의 크기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되어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에 의해 다음과 같은 동작이 실행된다.
31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센서에 의해 주위 환경의 먼지의 농도를 측정한다. 공기청정기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들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공기청정기의 사용 환경의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32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먼지의 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먼지 농도가 임계치보다 낮으면, 33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사전 설정된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제1모드로 이행하고, 제1모드에 대응하는 풍량으로 송풍부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제1모드 및 후술할 제2모드는 서로 상이한 동작 모드로서, 각각 공기청정기에 사전 설정된 복수의 동작 모드 중 하나이다.
34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전방패널을 제1위치로 이동시켜 토출구 및 전방패널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킨다. 이로써, 송풍부에 의해 토출구로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한 유로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전방패널의 관통홀을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다.
반면, 먼지 농도가 임계치보다 낮지 않으면, 35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제2모드에 대응하는 풍량으로 송풍부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제1모드에 대응하는 풍량 및 제2모드에 대응하는 풍량은 상이하다.
36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전방패널을 제2위치로 이동시켜 토출구 및 전방패널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킨다. 이로써, 송풍부에 의해 토출구로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한 유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토출구 정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 대해 콜드 드래프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공기청정기가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제1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은 사용자 입력, 또는 사전 예약에 의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지시 이벤트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에 의해 다음과 같은 동작이 실행된다.
41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사전 설정된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소정의 동작 모드로 동작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수신한다. 본 이벤트는 사용자의 입력 지시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고, 또는 사전에 설정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지정 시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42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수신된 이벤트가 제1모드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이벤트가 제1모드로 동작할 것을 지시하면, 43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제1모드에 대응하는 풍량으로 송풍부를 동작시킨다.
44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전방패널을 제1위치로 이동시켜 토출구 및 전방패널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킨다.
반면, 수신된 이벤트가 제1모드가 아닌 제2모드로 동작할 것을 지시하면, 45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제2모드에 대응하는 풍량으로 송풍부를 동작시킨다.
46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전방패널을 제2위치로 이동시켜 토출구 및 전방패널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구조 및 동작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순환량에 따라서 구분된 적어도 두 가지의 동작 모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모드는 공기의 순환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동작 모드로서 편의상 저풍속 모드 또는 저풍량 모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모드는 공기의 순환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작 모드로서 편의상 일반풍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물론, 두 가지의 동작 모드가 마련된다는 것이, 공기청정기의 동작 모드가 두 가지만 가능하다는 의미는 아니며, 공기청정기에는 셋 이상의 동작 모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현재 동작하는 모드에 대응하여 전방패널의 위치를 조정한다. 공기청정기는 제1모드 시에, 전방패널이 하우징의 전방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인 제1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모드에서 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전방패널의 관통홀을 통해서만 배출된다. 앞서 도 1이 제1모드 시의 공기청정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공기청정기는 제2모드 시에, 전방패널이 하우징의 전방 개구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인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전방패널이 제2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전방패널 및 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배출구가 개방되며, 개방된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된다. 물론, 전방패널의 관통홀을 통해서도 공기는 배출될 수 있지만, 배출구를 통한 풍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추가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1모드 및 제2모드 각각에서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송풍팬은 제1모드 시의 회전속도를 제2모드 시의 회전속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제1모드 시에 하우징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 및 유량을 상대적으로 줄인다. 또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공기청정기는 제1모드 및 제2모드에서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풍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1모드 시에는 전방패널의 관통홀을 통해 공기가 균일하고 고르게 배출되도록 하고, 풍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2모드 시에는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모드 시에는, 배출구를 통한 공기가 전방패널의 가장자리 및 하우징 사이의 유로로부터 방출되므로, 사용자에게 강한 공기가 직접 닿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2모드 시에 전방패널의 관통홀을 통해서도 공기는 나온다. 그러나, 이 경우의 배출 공기의 풍량 및 풍속이, 유로를 통해 나오는 경우보다 적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모드 및 제2모드 모두의 경우에서 공기청정기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콜드 드래프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공기청정기가 제1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1모드 시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500)에서는 제1모드 시에 전방패널(520)이 하우징(510)에 접촉함으로써 하우징(510)의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위치한다. 만일 제2모드 상태에서 제1모드로 이행하는 경우라면, 공기청정기(500)는 전방패널(520)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방패널(520)의 4방향의 가장자리가 하우징(510)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므로, 하우징(510) 내부의 공기는 전방패널(520)의 관통홀을 통해 X 방향으로 배출된다(530). 이 때, 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전방패널(520)의 판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된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전방패널(520) 판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배출된다.
이하, 공기청정기가 제2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2모드 시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600)에서는 제2모드 시에 전방패널(620)이 하우징(610)의 전방을 향해 X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방패널(620) 전체가 하우징(610)의 토출구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전방패널(6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유로가이드(630)가 개방된다. 만일 공기청정기(600)가 제1모드에 있을 때에(도 4 참조), 전방패널(620)의 4방향의 가장자리가 하우징(610)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므로, 이 경우에 유로가이드(630)는 폐쇄된 상태이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2모드 시에는 전방패널(620)의 가장자리가 하우징(61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유로가이드(630)는 외부로 노출된다.
유로가이드(630)는 전방패널(620)의 상측,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한편 전방패널(620)의 판면으로부터 수직한 -X 방향의 폭을 가지는 사각형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판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를 포함한다. 유로가이드(630)의 프레임은 전방패널(620)의 하우징(610)의 내부를 향하는 판면 상에 -X 방향을 향해 기립하도록 설치된다.
유로가이드(630)의 유로는 전방패널(620)이 하우징(610)으로부터 이격된 동안에, 전방패널의 상측,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 및 하우징(610) 사이에서 공기가 하우징(6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유로가이드(630)의 유로는 그 직경, 형상, 개수가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유로가이드(630)의 유로는 제1모드보다 풍량이 많은 제2모드를 위한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그 직경이 전방패널(620)의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다.
유로가이드(630)의 유로는 전방패널(620)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우징(610) 사이의 제1유로(631), 전방패널(620)의 좌측 가장자리 및 하우징(610) 사이의 제2유로(632), 전방패널(620)의 우측 가장자리 및 하우징(610) 사이의 제3유로(633)를 포함한다. 전방패널(620)이 하우징(6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하면, 제1유로(631), 제2유로(632) 및 제3유로(633)가 개방된다.
다만, 유로가이드(630)는 전방패널(620)의 하측 가장자리 및 하우징(610) 사이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지는 않는다. 이는, 해당 유로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공기청정기(600)가 설치된 바닥에 직접 공기가 닿게 되므로 바닥의 먼지가 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공기청정기(600)가 바닥에 놓이는 구조가 아닌 벽에 거치시키거나 책상 등에 올려놓는 구조라면, 유로가이드(630)는 전방패널(620)의 하측 가장자리 및 하우징(610) 사이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공기청정기(600)는 제2모드에서도 제1모드와 동일하게 전방패널(620)의 관통홀을 통해 공기를 배출한다. 사용자가 대체적으로 공기청정기(600)의 전방에 위치한다고 할 때, 사용자에게 직접 닿는 공기는 전방패널(620)을 통해 X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이다. 유로의 방향을 볼 때, 제2모드 시에 개방되는 제1유로(631), 제2유로(632) 및 제3유로(633)는 X 방향 축선에 수직한 방향이다. 제2모드 시에, 사용자에게 직접 닿지 않는 방향의 제1유로(631), 제2유로(632) 및 제3유로(63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풍속을 높아지며, 사용자가 직접 닿는 방향의 전방패널(620)을 통해 배출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풍속이 낮아지게 된다.
이로써, 공기청정기는 제1모드 및 제2모드 모두의 경우에서 콜드 드래프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700)의 내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700)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 및 후방 각각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710)과, 하우징(710)의 후방 개구에 설치된 후방패널유닛(720)과, 하우징(710)에 수용되며 하우징(710)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730)과, 하우징(710) 내부의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덕트유닛(740)와,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유닛(750)과, 하우징(710)의 전방 개구에 설치된 전방패널유닛(760)과, 공기청정기(7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770)을 포함한다.
실제 제품으로 구현되는 공기청정기(700)는 이러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추가적으로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을 간략하고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청정기(700)의 기본적 구성 및 본 발명의 특징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우징(710)은 바닥면 상에 접촉하는 베이스(711) 상에 결합되며, 좌우 패널 및 상측 패널에 의해 형성된다. 좌측패널 및 상측패널 사이와, 우측패널 및 상측패널 사이의 모서리들은 둥글게 처리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가 도모된다. 하우징(710)에는 공기 흡입구로서의 후방개구 및 공기 토출구로서의 전방개구가 형성된다. 하우징(710)의 내부에는 공기청정기(700)의 제반 구성요소들이 결합 또는 지지되는 프레임(712)이 결합된다. 하우징(710)을 형성하는 패널에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별도의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후방패널유닛(720)은 하우징(710)의 후방의 흡입구를 커버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한다. 후방패널유닛(720)은 프레임(712) 또는 하우징(710)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710) 내부를 보호하도록 하우징(710)의 흡입구를 커버한다. 하우징(710) 외부의 공기는, 후방패널유닛(720)의 관통홀을 통해 하우징(710) 내부로 유입된다. 후방패널유닛(720)의 관통홀은 후방패널유닛(720)의 판면 전체에 복수 개가 고르게 분산 배치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유닛(730)은 하나 이상의 필터가 X 방향에 수직한 판면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필터유닛(730)이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복수의 필터는 X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X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가 각 필터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유닛(730)의 각 필터는, 공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재와,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한다. 필터유닛(730)의 각 필터의 종류는 필터부재의 특성에 따라서 결정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 상이한 특성을 가진 복수의 필터가 필터유닛(730)에 적용될 수 있다.
필터유닛(730)의 필터는 공기에서 집진, 악취제거, 가스정화, 살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필터유닛(730)은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먼지를 거르기 위한 비교적 격자 간격이 큰 망체의 프리필터, 미세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필터,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입상활성탄 등이 포함된 탈취필터, 살균 작용을 위한 활성산소층 등이 포함된 살균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유닛(730)의 각 필터는 하우징(710) 또는 프레임(712)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마련됨으로서, 개별 필터의 교체 또는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덕트유닛(740)은 하우징(710)에 유입된 공기가 송풍유닛(750)에 의해 하우징(710)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덕트유닛(740)은 하우징(710) 내에서 필터유닛(730)의 전방에 설치되며, 필터유닛(730)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하우징(710) 전방의 토출구로 이동하도록 한다. 덕트유닛(740)은 그 전방에 송풍유닛(750)이 설치되며, 송풍유닛(75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덕트유닛(740)의 내부가 원형을 형성한다.
송풍유닛(750)은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소정의 시간당 회전수의 값으로 회전함으로써 공기의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송풍유닛(750)은 덕트유닛(740)의 전방에 설치되며, 하우징(710)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710) 내부로 빨아들이고, 필터유닛(730)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하우징(710) 전방의 토출구를 향해 이동시킨다. 송풍유닛(750)은 송풍팬의 구조에 따라서 공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보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750)은 공기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송풍유닛(750)은 컨트롤유닛(770)의 제어에 따라서 정지 및 구동과, 구동 속도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전방패널유닛(760)은 하우징(710) 전방의 토출구를 커버한다. 전방패널유닛(760)은 전방패널과, 전방패널의 후방 판면 상에 설치된 유로가이드와, 전방패널의 후방에 설치된 그릴플레이트와, 컨트롤유닛(770)의 제어에 따라서 전방패널을 하우징(710)에 대해 이동시키는 전방패널구동부를 포함한다. 전방패널유닛(760)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전방패널 및 유로가이드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그 외의 구성요소들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컨트롤유닛(770)은 칩셋, 프로세서, CPU,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회로에 의해 구현된다. 컨트롤유닛(770)은 하우징(710) 내부의 프레임(712) 또는 덕트유닛(740) 상에 설치되며, 송풍유닛(750), 전방패널유닛(760)과 같이 구동 제어가 필요한 구성들에 대해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컨트롤유닛(770)의 구동 제어 방식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800)는 컨트롤유닛(810)에 의해 공기청정기(800)의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컨트롤유닛(810)은 소정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이러한 이벤트의 예시로는 사용자입력부(820)를 통해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가 있고, 사전에 저장된 스케줄링 정보가 지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벤트가 소정의 동작 모드로 이행할 것을 지시하면, 컨트롤유닛(810)은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부(830)로부터 취득한다.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해당 모드에서의 송풍유닛(840)의 송풍팬의 속도, 전방패널유닛(850)의 전방패널의 위치 등의 패러미터이거나, 또는 이러한 패러미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컨트롤유닛(810)은 저장부(830)로부터 취득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풍모터(841) 또는 전방패널구동부(851)에 각기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송풍유닛(840) 또는 전방패널유닛(8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신호는 기 설정된 수치의 전압을 가진 신호이거나, 하이(high) 또는 로우(low)로 구분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830)에 저장된 설정 정보는, 전방패널구동부(851)의 제어에 관해, 제1모드에 대응하여 로우 레벨, 제2모드에 대응하여 하이 레벨로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컨트롤유닛(810)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1모드로 이행할 것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면 전방패널구동부(851)에 로우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고, 제2모드로 이행할 것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면 전방패널구동부(851)에 하이 레벨의 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유닛(810)은 공기청정기(8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전방패널유닛의 구조 및 동작 방식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서 전방패널 및 그릴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전방패널유닛은 전방패널(910)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전방패널(910)의 후방에 배치된 그릴플레이트(920)를 포함한다. 전방패널(910)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릴플레이트(920)는 전방패널(910)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판면 전체에 고르게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송풍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그릴플레이트(920)의 관통홀을 통과한 이후에 전방패널(910)의 관통홀을 통과함으로써, 하우징 외부로 배출된다.
그릴플레이트(920)의 관통홀의 직경은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그릴플레이트(920)의 관통홀의 직경은 전방패널(910)의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다. 공기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그릴플레이트(920)의 복수의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분배된 이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전방패널(910)의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배출된다. 즉, 그릴플레이트(920)의 관통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됨으로써, 전방패널(910)로 향하는 공기가 전방패널(910)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그릴플레이트(920)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에 결합되거나 또는 전방패널(9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릴플레이트(920)의 수가 많을수록, 공기는 전방패널(910)의 전체 판면에 대해 고르게 분배되지만, 공기의 흐름의 간섭이 커진다.
그릴플레이트(920)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전방패널(910)의 이동에 따라서 전방패널(910) 및 그릴플레이트(920)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이 경우에, 전방패널(910)의 위치에 따라서 그릴플레이트(920)에 의한 공기의 분배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그릴플레이트(920)가 전방패널(9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주로 전방패널(91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전방패널(910)은 판면 전체에 미세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조 상, 외력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거나 뒤틀릴 수 있다. 이에, 그릴플레이트(920)가 전방패널(910)에 결합되어 전방패널(910)을 지지함으로써, 전방패널(9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하우징에 대한 전방패널(910)의 이동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전방패널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패널유닛(1000)은 전방패널(1010)과, 전방패널(1010)의 후방에 결합된 유로가이드(1020)와, 전방패널(1010)의 후방으로부터 하우징 내부를 향해 연장된 랙(rack)(1030)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pinion)(1040)과, 피니언(104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10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패널(1010)의 네 꼭지점 각각에 랙(1030)이 설치됨으로써 총 4개의 랙(1030)이 마련되며, 상측 두 개의 피니언(1040) 및 하측 두 개의 피니언(1040)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모터(105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두 개의 링크(1060)가 마련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랙(1030)이 설치되는 개수 및 위치, 복수의 피니언(1040)을 접속시키는 링크(1060)의 설치 여부 등에 관한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자유로운 설계 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므로, 이러한 사항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랙(1030)은 -X 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된 바 형태를 가지며, 일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기어를 포함한다. 피니언(1040)은 소정 두께를 가진 원판 형태를 가지며, 랙(1030)에 접하는 외주 측벽을 따라서 형성된 기어를 포함한다. 랙(1030)의 기어 및 피니언(1040)의 기어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피니언(1040)이 회전하면, 랙(1030)이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랙(1030)의 이동에 따라서, 전방패널(1010)이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모드로의 이행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트롤유닛의 제어에 따라서, 모터(1050)는 피니언(104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피니언(1040)은 정방향 회전함으로써 랙(1030)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랙(1030)에 결합된 전방패널(1010)이 제1위치(P1)로 이동한다. 제1위치(P1)는 전방패널(1010)이 하우징의 토출구를 폐쇄함으로써 유로가이드(1020)를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게 하는 폐쇄위치이다.
전방패널(1010)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유로가이드(1020)의 관통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유로가이드(1020)의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며 전방패널(1010)의 관통홀을 통해서만 배출된다.
이하, 제1모드로부터 제2모드로 이행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전방패널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드로의 이행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트롤유닛의 제어에 따라서, 모터(1150)는 피니언(114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피니언(1140)은 역방향 회전함으로써 랙(1130)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랙(1130)에 결합된 전방패널(1110)이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제2위치(P2)는 전방패널(1110)이 하우징의 토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유로가이드(1120)를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방위치이다.
전방패널(1110)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유로가이드(1120)의 관통홀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주로 유로가이드(1120)의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며, 일부가 전방패널(1110)의 관통홀을 통해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 및 방법에 따라서, 공기청정기는 모드에 대응하여 전방패널(111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전방패널(11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청정기는 전방패널(1110)이 이동하는 동안에 센서에 의해 공기청정기에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전방패널(1110)의 이동을 정지한다. 공기청정기는 이와 같이 전방패널(1110)이 정지된 동안에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소정 거리 밖으로 멀어지는 것이 감지되면, 전방패널(1110)의 이동을 재개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유로가이드(1120)의 관통홀의 개방 또는 폐쇄가 전방패널(1110)의 이동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유로가이드(1120)의 관통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경우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토출구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200)는 하우징(1210)과, 하우징(1210)의 전면개구를 커버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전방패널(1220)과, 전방패널(1220)의 가장자리 및 하우징(1210) 사이에 형성된 토출구(1230)와, 토출구(1230)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동하는 토출구도어(1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패널(1220)는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가진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하우징(1210)에 대해 위치가 조정되도록 이동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다. 하우징(1210) 내의 공기는 전방패널(1220)의 관통홀을 통해 X 방향으로 배출된다.
토출구(1230)는 전방패널(1220)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우징(1210) 사이, 전방패널(1220)의 좌측 가장자리 및 하우징(1210) 사이, 전방패널(1220)의 우측 가장자리 및 하우징(1210) 사이에 각각 마련된다. 토출구(1230)는 하우징(1210) 내의 공기가 전방패널(1220)의 판면에 수직한 방향, 예를 들면 Z 방향, Y 방향, -Y 방향으로 각각 배출시킨다.
토출구도어(1240)는 토출구(1230)를 따라서 연장된 플레이트로서, 일측이 하우징(1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토출구도어(1240)는 힌지부에 의해 하우징(1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힌지부가 모터의 회전축에 접속됨으로써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소정 위치로 회동이 가능하다. 토출구도어(1240)의 회동은 컨트롤유닛이 해당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토출구도어(1240)는 토출구(1230)를 폐쇄시키는 폐쇄위치와 토출구(1230)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모드 시에 토출구도어(1240)는 폐쇄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하우징(1210) 내의 공기가 토출구(123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전방패널(1220)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한다. 반면, 제2모드 시에 토출구도어(1240)는 개방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하우징(1210) 내의 공기가 토출구(123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토출구도어(1240)가 하우징(1210)이 아닌 전방패널(122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방패널(1220)에 결합된 토출구도어(1240)의 회동방향은 하우징(1210)에 결합된 토출구도어(1240)의 회동방향과 반대가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토출구도어(1240)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는 하우징(1210) 내에 설치되거나 전방패널(1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200)는 전방패널(1220)을 이동시키는 대신 토출구도어(1240)의 회동에 의해 토출구(1230)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구조가 가능하다.
한편, 공기청정기의 제1모드, 즉 일반풍모드인 제2모드보다 상대적으로 풍량 및 풍속이 낮은 저풍속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제1모드가 실행되는 조건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1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컨트롤유닛에 의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131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현재 시간이 기 저장된 스케줄링 정보가 지정한 제1모드로의 이행 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시간이 지정된 이행 시간이 아니면, 공기청정기는 시간의 계측을 계속한다.
스케줄링 정보는 공기청정기가 특정 시간에 자동으로 제1모드로 이행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예약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매일 저녁 9시부터 공기청정기가 제1모드로 이행하도록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공기청정기는 수신된 입력의 지시 내용을 스케줄링 정보로서 저장하고, 스케줄링 정보가 지정하는 시점이 되면 제1모드로 자동으로 이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공기청정기에 마련된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기청정기와 통신하는 모바일장치 등의 외부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현재 시간을 판단하기 위해 시계를 자체적으로 가질 수 있으며, 또는 IoT 환경 하에서 타 외부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시간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현재 시간이 지정된 이행 시간이면, 132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먼지 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취득한다. 먼지 센서는, 공기청정기의 사용 환경의 먼지의 농도를 계측한다.
133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먼지 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먼지 농도가 임계치를 넘으면, 134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설사 스케줄링 정보에 제1모드로 이행하는 시간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제2모드로 동작한다.
반면, 농도가 임계치를 넘지 않으면, 135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스케줄링 정보가 지정하는 대로, 제1모드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제1모드로 진행함에 있어서, 사용 환경의 먼지가 높은지 여부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학습을 통해 제1모드로 진입 또는 해제되는 시간을 지정하고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학습을 통해 제1모드로의 진입 시간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컨트롤유닛에 의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141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에 의한 제1모드 관련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한데, 예를 들면 사용자는 매일 특정 시간이 되면 제1모드로 이행 지시를 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의 턴온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1모드로 이행 지시를 할 수 있으며, 창문을 개방하거나 또는 방 안의 전등을 끈 이후에 제1모드로 이행 지시를 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가 IoT 환경 하에서 타 사물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경우에, 공기청정기는 전등, 창문, 셔터, 생활가전, 전자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바일장치 등 다양한 사물로부터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142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제1모드 관련 이벤트를 카운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내 전등이 꺼진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1모드로의 이행 지시를 입력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는 이러한 이벤트의 발생 회수를 카운트한다.
143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카운트된 회수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운트된 회수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았다면, 공기청정기는 이벤트 발생에 관한 모니터링을 계속 수행한다.
이벤트의 카운트된 회수가 임계치를 초과하였다면, 144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해당 이벤트를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도록 하는 이벤트로 등록한다.
145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기 등록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기 등록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공기청정기는 특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기 등록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146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의 입력 지시와 무관하게, 제1모드로 자동 이행한다.
한편, 공기청정기는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도록 이벤트를 등록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등록에 관한 UI를 표시하거나, 모바일장치와 같은 소정의 외부장치에 UI가 표시되도록 관련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UI를 통해 사용자의 승인이 수행되면 해당 이벤트를 등록하고, 사용자의 승인이 수행되지 않으면 해당 이벤트를 등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공기청정기는 사용자의 학습을 통해 제1모드의 자동 진입 이벤트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모드가 진입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제1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또한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먼지 농도에 의한 감지 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제1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의 지정 여부에 따라서 이러한 자동 진입 동작은 제한될 수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컨트롤유닛에 의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151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제1모드로 동작한다.
152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센서에 의해 주위 환경의 먼지 농도를 측정한다.
153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먼지 농도가 임계치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먼지 농도가 임계치보다 높지 않으면, 공기청정기는 현재 제1모드를 유지한다.
먼지 농도가 임계치보다 높으면, 154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현재 제1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제1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정된 것으로 판단하면, 155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제2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현재 제1모드를 유지한다.
반면에, 제1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1560 단계에서 공기청정기는 제2모드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먼지 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더라도, 사전에 사용자가 제1모드로 동작을 유지하도록 지정한 상태라면, 제2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제1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공기청정기에서 전방패널 전체가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게 전방패널이 설계되는 구조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1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600)는 하우징(1610)과, 하우징(1610) 전방의 토출구에 설치된 전방패널(16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600)의 기본적인 구조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청정기(1600)가 앞선 실시예의 구조와 차이가 있는 사항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방패널(1620)은 제1패널부(1621)와, 제1패널부(1621)와 분리된 제2패널부(1622)를 포함한다. 제1패널부(1621)는 전방패널(1620)의 중앙에 배치된 원형의 패널이다. 이에 비해, 제2패널부(1622)는 제1패널부(1621)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그 판면의 중앙에 홀이 형성된 사각형의 패널이다. 본 도면에서는, 제2패널부(1622) 중앙의 홀에 제1패널부(1621)가 배치되어 있다.
전방패널(1620) 내에서 제1패널부(1621) 및 제2패널부(1622)의 위치 및 형상 등은 다양한 설계 변경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형태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패널부는 다각형의 패널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패널부가 제1패널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지 않고, 제1패널부가 전방패널의 상측을 형성하고 제2패널부가 전방패널의 하측을 형성하는 등의 구조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전방패널(1620)은 앞선 실시예와 같이 판면 상에 다공이 형성된다. 다공이 형성되는 세 가지 경우가 가능한 바, 제1패널부(1621)에 다공이 형성되고 제2패널부(1622)에 다공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 제1패널부(1621)에 다공이 형성되지 않고 제2패널부(1622)에 다공이 형성되는 구조, 제1패널부(1621) 및 제2패널부(1622)에 모두 다공이 형성되는 구조가 있다. 제1패널부(1621) 및 제2패널부(16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다공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청정기(1600)의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상대적으로 풍속이 낮은 제1모드로 동작할 때, 제1패널부(1621) 및 제2패널부(1622)를 포함하는 전방패널(1620)은 하우징(1610)의 전방의 토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다. 이 경우에, 하우징(1610) 내부의 공기는 전방패널(1620)의 다공을 통해, 즉 제1패널부(1621) 및 제2패널부(16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다공을 통해 배출된다.
이하, 공기청정기(1600)가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상대적으로 풍속이 높은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제2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700)는 하우징(1710)과, 하우징(1710)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전방패널(1720)을 포함한다. 전방패널(1720)은 제1패널부(1721) 및 제2패널부(1722)를 포함하며, 앞선 실시예에서 이들 구성에 관해 설명한 바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700)에서는, 제1패널부(1721)는 이동하지 않도록 하우징(1710)의 결합 또는 지지되어 있는 것에 비해, 제2패널부(1722)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패널부(1722)의 이동을 위한 구조는, 앞선 실시예에서 전방패널의 이동을 위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700)가 제2모드로 이행할 때, 제1패널부(1721)는 이동하지 않는 반면에, 제2패널부(1722)는 하우징(17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우징(1710) 전방의 X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제2패널부(1722)의 가장자리 및 하우징(1710) 사이에 형성된 제1유로(1730)와, 제1패널부(1721) 및 제2패널부(1722) 사이에 형성된 제2유로(1740)가 개방된다. 여기서,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유로(1730) 및 제2유로(1740) 중 어느 하나만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유로(1730) 및 제2유로(1740)의 개방에 의해, 제2모드 시에 하우징(1710) 내부의 공기는 제1유로(1730) 및 제2유로(1740)를 통해 배출된다. 물론, 하우징(1710) 내부의 공기 일부는, 전방패널(1720)에 형성된 다공을 통해서도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제1모드로의 이행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2패널부(1722)는 -X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유로(1730) 및 제2유로(1740)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기(1700)는 전방패널(1720)이 복수의 패널부(1721, 1722)로 분리되고, 각 패널부(1721, 1722) 중 일부만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들이 적용된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때의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소정의 사용 환경에서 사용할 때에 콜드 드래프트 현상이 억제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사용 공간 내의 일측에, 공기청정기(1800)가 배치되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800)는 육면체 형태를 가진 외형적인 특성 상, 복수 대가 수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1모드로 동작할 때, 공기청정기(1800)는 상대적으로 낮은 풍속 및 풍량의 공기를 X 방향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공기는, 주로 공기청정기(1800)의 X 방향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1800) 정면의 소정 영역(1810)에 대해 배출된다. 앞선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800)는 제1모드 시 공기를 전방패널 전면에 골고루 토출하므로, 해당 영역(1810)에서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콜드 드래프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지 농도 81μg/m3의 조건 하에서 공기청정기(1800)는 30μg/m3 이하의 양호한 공기 수준의 달성과, 0.15m/s 미만의 풍속과, 종래 대비 5dBA 이상의 소음 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100 : 공기청정기
110 : 하우징
120 : 전방패널

Claims (17)

  1.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공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송풍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토출구에 마주하도록 마련되며, 다공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패널 사이의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패널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패널의 다공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이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제1모드 시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제1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며, 상기 제1모드보다 상기 송풍부에 의한 송풍량이 많은 제2모드 시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제2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부 및 상기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다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릴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의 다공의 직경은 상기 그릴플레이트의 다공의 직경에 비해 작게 마련된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패널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rack)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pinion)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의 폐쇄 또는 개방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널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패널의 이동을 정지하는 공기청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의 진입 시간이 지정된 스케줄링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간이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지정하는 시간에 대응하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시키는 공기청정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사용 환경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농도가 제1임계치를 넘지 않으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며, 상기 감지된 농도가 상기 제1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지 않는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의 자동 진입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표시하고, 상기 UI를 통한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기.
  9.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공기의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송풍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고 상기 토출구와의 사이에 상기 공기의 토출 유로가 형성되도록 이격되며, 다공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토출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마련된 도어와;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토출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도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패널의 다공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이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0.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송풍부에 의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토출구로 송풍하는 단계와;
    상기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에 마주하도록 마련된 다공이 형성된 패널 사이의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패널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패널의 다공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의 조정 단계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제1모드 시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제1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모드보다 상기 송풍부에 의한 송풍량이 많은 제2모드 시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제2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패널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랙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량의 조정 단계는,
    상기 유로의 폐쇄 또는 개방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공기청정기의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패널의 이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현재 시간이 기 저장된 스케줄링 정보가 저장된 상기 제1모드의 진입 시간에 대응하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사용 환경의 먼지 농도가 제1임계치를 넘지 않으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농도가 상기 제1임계치를 넘으면 상기 제1모드로 이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의 진입 회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 회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제1모드의 자동 진입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UI를 통한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제1모드로 자동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KR1020170173664A 2017-12-15 2017-12-15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0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664A KR102401667B1 (ko) 2017-12-15 2017-12-15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201880079665.2A CN111465808B (zh) 2017-12-15 2018-12-04 空气净化器及其控制方法
US16/772,520 US11708990B2 (en) 2017-12-15 2018-12-04 Ai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8/015217 WO2019117523A1 (ko) 2017-12-15 2018-12-04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EP18887438.2A EP3708919A4 (en) 2017-12-15 2018-12-04 AIR PURIFIER AND CONTROL PROCEDURES FOR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664A KR102401667B1 (ko) 2017-12-15 2017-12-15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368A true KR20190072368A (ko) 2019-06-25
KR102401667B1 KR102401667B1 (ko) 2022-05-25

Family

ID=6681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664A KR102401667B1 (ko) 2017-12-15 2017-12-15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08990B2 (ko)
EP (1) EP3708919A4 (ko)
KR (1) KR102401667B1 (ko)
CN (1) CN111465808B (ko)
WO (1) WO201911752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939A1 (ko) * 2020-11-11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20143383A (ko) 2021-04-16 2022-10-25 코웨이 주식회사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20143384A (ko) 2021-04-16 2022-10-25 코웨이 주식회사 사출 성형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US11913658B2 (en) 2019-12-27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179081U (zh) * 2019-01-28 2020-12-18 布鲁雅尔公司 空气净化器
USD935589S1 (en) * 2020-01-08 2021-11-09 Zhuhai Large Horse Electrical Appliance Co., Ltd. Air purifier
USD941979S1 (en) * 2021-04-12 2022-01-25 Gaboss International Limited Dehumidifier
CN114234426B (zh) * 2021-12-16 2023-03-10 湖南福临医疗科技有限公司 洁净空调系统风量的调节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66221A1 (fr) * 2010-12-15 2012-06-20 Christian Barbarin Bouche de ventilation
KR101195883B1 (ko) * 2007-08-07 2012-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6165682A (ja) * 2015-03-10 2016-09-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20170009807A (ko) * 2016-12-26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1480C3 (de) * 1975-11-15 1982-04-22 Hoechst Ag, 6000 Frankfurt Technetium-99m-markiertes Nierendiagnostiku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207614A (en) 1991-11-07 1993-05-04 Brod & Mcclung - Pace Company Clean room air system
JP3079142B2 (ja) * 1992-03-23 2000-08-2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清浄器の制御装置
US5971067A (en) * 1996-02-15 1999-10-26 Carrier Corporation Air quality control system
FI113397B (fi) * 1999-01-07 2004-04-15 Sanhem Konsultit Oy Ilmalaitteen säätöyksikkö
KR20010037821A (ko) 1999-10-20 2001-05-15 전주범 공기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100412361B1 (ko) * 2001-12-26 2003-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조화기용 전면도어의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176995A (ja) 2002-11-27 2004-06-24 Fujitsu General Ltd 温水暖房機
KR100529910B1 (ko) * 2003-07-03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529919B1 (ko) * 2003-08-14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544944B2 (ja) * 2004-08-31 2010-09-15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式空気調和装置
FR2877271B1 (fr) * 2004-11-03 2007-02-02 Faurecia Interieur Ind Snc Aerateur de systeme de ventil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JP2006232192A (ja) * 2005-02-28 2006-09-07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NZ539185A (en) * 2005-03-31 2007-08-31 Holyoake Ind Ltd Air flow control device, typically a diffuser, with primary and secondary valves to control flow through respective primary and secondary outlets, with primary valve as overlaid movable filters
KR100987833B1 (ko) * 2006-08-03 2010-10-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청정기
CN101256010B (zh) * 2007-03-01 2010-09-01 海尔集团公司 四面出风空调机
KR200467272Y1 (ko) 2007-07-26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042056A (ko) * 2007-10-25 200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175562B2 (ja) * 2008-01-28 2013-04-03 シャープ株式会社 人物位置検出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6008564B2 (ja) 2011-06-20 2016-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3890667B (zh) * 2011-10-21 2017-02-15 谷歌公司 用户友好、网络连接的学习型恒温器及相关系统和方法
US9551498B2 (en) * 2012-06-28 201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CN102748817B (zh) * 2012-07-04 2014-05-21 同济大学 一种高效多功能模块化室内空气净化装置
KR20140012437A (ko)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40019106A (ko) 2012-08-0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123909B2 (ja) * 2013-10-29 2017-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冷蔵庫管理システムおよび冷蔵庫制御方法
US9737842B2 (en) * 2014-04-25 2017-08-22 Fellowes, Inc. Air purifier with intelligent sensors and airflow
RU2672659C2 (ru) * 2014-08-13 2018-11-16 Мицубиси Электрик Корпорейшн Очиститель воздуха
JP2016099032A (ja) *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CN204739747U (zh) * 2015-02-13 2015-11-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和挡风板
KR101840697B1 (ko) 2015-07-17 2018-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04098B1 (ko) 2015-10-14 202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EP3913297A1 (en) * 2016-02-26 2021-11-2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N205747183U (zh) * 2016-04-05 2016-11-30 新呼吸(厦门)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桌面空气净化器
CN106123120B (zh) 2016-07-01 2019-03-29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控制方法
CN206073277U (zh) * 2016-08-31 2017-04-05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
CN106403031A (zh) * 2016-09-19 2017-0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883B1 (ko) * 2007-08-07 2012-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2466221A1 (fr) * 2010-12-15 2012-06-20 Christian Barbarin Bouche de ventilation
JP2016165682A (ja) * 2015-03-10 2016-09-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20170009807A (ko) * 2016-12-26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3658B2 (en) 2019-12-27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purifier
WO2022102939A1 (ko) * 2020-11-11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20143383A (ko) 2021-04-16 2022-10-25 코웨이 주식회사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20143384A (ko) 2021-04-16 2022-10-25 코웨이 주식회사 사출 성형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8919A4 (en) 2021-01-13
US11708990B2 (en) 2023-07-25
WO2019117523A1 (ko) 2019-06-20
KR102401667B1 (ko) 2022-05-25
EP3708919A1 (en) 2020-09-16
US20200386423A1 (en) 2020-12-10
CN111465808A (zh) 2020-07-28
CN111465808B (zh)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2368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5800652B2 (ja) 空気清浄機
EP3330624B1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20180064276A (ko) 미세먼지센서를 이용한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21002B1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7827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217810B2 (ja) 空気清浄機
KR101765663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방법
JP2019163898A (ja) 加湿空気清浄装置
JP5053208B2 (ja) 空気清浄機
JP5861990B2 (ja) 空気調和機
JP2011012822A (ja) 空気調和機
KR100502615B1 (ko) 창문형 환기장치
JP7071901B2 (ja) 電気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5800617B2 (ja) 空気清浄機
JP2017080707A (ja) 空気清浄機
KR20090026981A (ko) 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KR200284643Y1 (ko) 창문형 환기장치
JP2001286717A (ja) 空気清浄機
KR100602697B1 (ko) 공기 청정기
JPH01254225A (ja) 空気清浄装置並びに当該装置に用いる空気汚れ判定装置及びフィルタ目詰まり検知装置
KR101211278B1 (ko) 환기 청정 장치
JP5983801B2 (ja) 空気調和機
JP6149954B2 (ja) 空気調和機
KR100674276B1 (ko) 환기 청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