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383A -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383A
KR20220143383A KR1020210049826A KR20210049826A KR20220143383A KR 20220143383 A KR20220143383 A KR 20220143383A KR 1020210049826 A KR1020210049826 A KR 1020210049826A KR 20210049826 A KR20210049826 A KR 20210049826A KR 20220143383 A KR20220143383 A KR 2022014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upling member
sidewall
case pa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배준형
김기수
남유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3383A/ko
Publication of KR2022014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파트,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는, 길이가 동일한 N개(N은 3 이상의 정수)의 측벽; 상기 N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 교합부; 상기 N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교합부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 교합부; 및 상기 N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N각형 단면의 케이스파트이며, 복수 개의 상기 케이스파트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적층 할 때, 서로 다른 케이스파트에 위치한 상기 상단 교합부와 상기 하단 교합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케이스파트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적층할 때 위에서 바라본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내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동일한 복수 개의 케이스파트를 적층 조립하여 케이스의 조립의 편의성 및 케이스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케이스파트,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CASE PART AND CASE WITH THE SAME AND AIR PURIFI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스파트,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복수 개의 케이스파트를 적층 조립하여 케이스의 조립의 편의성 및 케이스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케이스파트,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와 같은 가전제품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내부 하우징에 결합하고, 케이스가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를 볼트 결합을 통해 내부 하우징에 조립하는 경우, 볼트가 외관에 노출되어 외관의 설계 자유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삼성전자 주식회사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850호에 개시된 가전기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공기청정기는 가전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를 덮도록 내부케이스에 각각 결합되는 제1외부케이스 및 제2외부케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외부케이스와 제2내부케이스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결합을 위한 부재가 서로 상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각각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삼성전자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72368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전체적으로 정육면체에 가까운 외형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은 사출 성형과정으로 제작시 파팅라인이 외관에 나타나게 되어 외관의 설계 자유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비쎌 인코포레이티드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02055호에 개시된 공기 청정기는 사출성형되거나 조립된 폴리머로 형성된 구조의 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분에 파팅라인이 나타나게 되어 외관의 설계 자유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85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7236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02055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 및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는 동일한 복수 개의 케이스파트를 적층 조립하여 케이스의 조립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 및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는 케이스파트를 동일한 구조로 제작하면서도 적층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케이스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 및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는 동일한 케이스파트를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 케이스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케이스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는, 길이가 동일한 N개(N은 3 이상의 정수)의 측벽; 상기 N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 교합부; 상기 N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교합부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 교합부; 및 상기 N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N각형 단면의 케이스파트이며, 복수 개의 상기 케이스파트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적층 할 때, 서로 다른 케이스파트에 위치한 상기 상단 교합부와 상기 하단 교합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케이스파트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적층할 때 위에서 바라본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내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는, 상기 측벽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N개의 상기 케이스파트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적층 했을 때, 위에서 바라본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내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는 상기 N개의 측벽 중 둘 이상의 측벽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에 있어서, 상기 N은 3, 4 또는 5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파트; 및 상기 케이스파트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파트에 상응하는 N각형 단면을 갖는 내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와 결합하는 하우징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에는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가 상항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가이드 홈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하우징 결합부재는 상기 두 개의 이상의 가이드 홈에서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 및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는 동일한 복수 개의 측벽을 적층 조립하여 케이스의 조립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 및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는 동일한 복수 개의 케이스파트를 제작하게 되어 별도의 케이스파트를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에 비하여 케이스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 및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는 동일한 복수 개의 케이스파트를 적층하여 조립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케이스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므로, 케이스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 및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케이스는 케이스 결합부재가 케이스파트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적층할 때 위에서 바라본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조립의 편의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은 도 3의 케이스 결합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적층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하우징에 복수 개의 케이스파트가 적층되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 내지 제18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 내지 제2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 및 케이스파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X 방향은 케이스의 폭 방향이고, Y 방향은 케이스의 너비 방향이며, Z 방향은 케이스의 높이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 및 상기 케이스(20)의 상부를 덮는 상부 플레이트(11)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20)는 공기 청정기에만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후술할 케이스파트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단면은 다각형 단면이다. 예를 들면, 케이스(20)의 다각형 단면은 정다각형이다. 그리고, 상기 정다각형은 정사각형, 정삼각형,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단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1)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에 따라 상측으로 리프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1)의 일부분은 상측으로 리프트되면서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예를 들어 제1 케이스파트(100)및 제2 케이스파트(200)가 적층되어 케이스(20)를 구성한다.
상기 제1 케이스파트(1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00)이고, 상기 제2 케이스파트(200)는 상기 케이스파트(100)와 동일한 구조이면서 상측에 지지플레이트(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스파트(100)는 2개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다만, 상기 제1 케이스파트(100)는 2개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파트(200)는 상기 제1 케이스파트(100)의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 제2 케이스파트(200)의 지지플레이트(21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 도 1 참조)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제1 케이스파트(100) 및 제2 케이스파트(200)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케이스(20)를 구성하되, 공기청정기(10)의 내부의 구성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상기 제1 케이스파트(100)를 채용하여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파트(100)가 적층되어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은 도 3의 케이스 결합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00)는 측벽(111, 112, 113, 114), 상단 교합부(111a, 112a, 113a, 114a), 하단 교합부(111b, 112b, 113b, 114b) 및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c)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111, 112, 113, 114)은 길이가 동일한 N개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측벽(111, 112, 113, 114)은 4개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측벽은 4개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또는 5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측벽(111, 112, 113, 114)은 판상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측벽(111, 112, 113, 114)은 제1 측벽(111), 상기 제1 측벽(111)과 연결되는 제2 측벽(112), 상기 제2 측벽(112)과 연결되는 제3 측벽(113) 및 상기 제1 측벽(111)과 상기 제3 측벽(113)과 각각 연결되는 제4 측벽(11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111, 112, 113, 114)의 외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 그루브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측벽(111, 112, 113, 114)의 내측면에는 상기 외측면 그루브(110a)에 상응하는 형상의 내측면 그루브가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면 그루브와 내측면 그루브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면 그루브는 나무결과 같은 질감을 제공하여 외관의 디자인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외측면 그루브는 상기 케이스파트(100)를 적층하여 케이스(20, 도 1 참조)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케이스파트(100) 사이의 미세한 갭이 보이지 않도록 착시 효과를 발생하여 외관의 디자인이 개선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 그루브가 상기 외측면 그루브와 상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측벽(111, 112, 113, 114)의 내측면이 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상단 교합부(111a, 112a, 113a, 114a)는 상기 측벽(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상단 교합부(111a, 112a, 113a, 114a)는 상기 측벽(111, 112, 113, 11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상단 교합부(111a, 112a, 113a, 114a)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하단 교합부(111b, 112b, 113b, 114b)에 맞물려 결합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교합부(111b, 112b, 113b, 114b)는 상기 측벽(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하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교합부(111b, 112b, 113b, 114b)는 상기 상단 교합부(111a, 112a, 113a, 114a)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단 교합부(111a, 112a, 113a, 114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하단 교합부(111b, 112b, 113b, 114b)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하단 교합부(111b, 112b, 113b, 114b)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단 교합부(111a, 112a, 113a, 114a)와 맞물리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c)는 상기 4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c)는 4개의 상기 측벽(111, 112, 113, 114)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d)는 상기 제1 측벽(111)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111c), 상기 제2 측벽(112)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112c), 상기 제3 측벽(113)에 형성되는 제3 케이스 결합부재(113c) 및 상기 제4 측벽(114)에 형성되는 제4 케이스 결합부재(114c)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c)는 상기 케이스파트를 시계방향(ⓒ)을 따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N개 적층할 때, 위에서 바라본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내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어긋한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c)는 상기 케이스파트를 시계방향(ⓒ)을 따라 360°/4 즉, 90°로 회전하면서 복수 개 적층할 때, 위에서 바라본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내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어긋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적층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하우징에 복수 개의 케이스파트가 적층되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에는 상기 케이스파트(100)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하우징(400)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하우징(400)의 내부에는 공기청정기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하우징(4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하우징(400)은 상기 케이스파트(100)에 상응하는 N각형 단면을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하우징(400)은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파트(100)에 상응하는 4각형 단면을 가진다.
상기 내부하우징(400)의 외측에는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d)와 결합하는 하우징 결합부재(412, 414, 422, 424)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412, 414, 422, 423)는 제1 하우징 결합부재(412), 제2 하우징 결합부재(414), 제3 하우징 결합부재(422) 및 제4 하우징 결합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파트(100)는 2개로 구성되어 적층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2개의 케이스파트(10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케이스파트(100) 및 상기 상측 케이스파트(10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케이스파트(100)로 구분하여 지칭한다.
먼저, 상기 하측 케이스파트(100)를 상기 내부하우징(4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시켜 적층하면, 상기 하측 케이스파트(100)의 제3 케이스 결합부재(113c)는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부재(414)에 걸리면서 결합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케이스파트(100)의 제2 케이스 결합부재(112c)는 상기 내부하우징(400)의 제3 하우징 결합부재(422)에 걸리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케이스파트(100)를 상기 하측 케이스파트(100) 대비 상기 시계방향(ⓒ)으로 90°시킨 상태에서 상기 내부하우징(4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측 케이스파트(100)의 상측에 적층하면, 상기 상측 케이스파트(100)의 제4 케이스 결합부재(114c)는 상기 제1 하우징 결합부재(412)에 걸리면서 결합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케이스파트(100)의 제3 결합부재(113c)는 상기 내부하우징(400)의 제4 결합부재(424)에 걸리면서 결합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내부하우징(400)에는 상기 하측 케이스파트(100)의 제1 케이스 결합부재(111c) 및 제4 케이스 결합부재(114d)와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 케이스파트(100)의 제1 케이스 결합부재(111c)와 제2 케이스 결합부재(112c)와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하우징(400)에는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c)가 상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411, 413, 421, 423)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412, 414, 422, 424)는 상기 가이드 홈(411, 413, 421, 423)의 일지점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412, 414, 422, 424)는 상기 두 개의 이상의 가이드 홈(411, 413, 421, 423)에서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c)는 상기 내부하우징(400)의 외측에서 적층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홈(411, 413, 421, 423)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파트(100)가 적층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c, 112c, 113c, 114c)가 상기 내부하우징(40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9의 (a) 내지 도 9의 (d)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0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달리, 1개의 케이스 결합부재(10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010)를 과도하게 도시하였을 뿐,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파트(1000)는 상기 제1 측벽(111)으로부터 상기 제3 측벽(113)을 향하면서 상기 케이스파트(1000)의 중심(O)을 지나는 제1 가상선(X), 상기 제2 측벽(112)으로부터 상기 제4 측벽(114)을 향하면서 상기 중심(O)을 지나는 제2 가상선(Y), 상기 제1 측벽(111)과 상기 제2 측벽(112)의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제3 측벽(113)과 상기 제4 측벽(114)의 연결점을 향하는 제3 가상선(L2) 및 상기 제2 측벽(112)과 상기 제3 측벽(113)의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제4 측벽(114)과 상기 제1 측벽(111)의 연결점을 향하는 제4 가상선(L1)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010)는 상기 제1 측벽(111)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3 가상선(L2)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9의 (a) 내지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파트(10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0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01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e) 내지 도 9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케이스파트(1100)는 상기 제1 측벽(111)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재(11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0)는 하나의 케이스파트(11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1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11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d)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20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달리, 2개의 케이스 결합부재(1210, 1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210)는 상기 제1 측벽(111)에서 상기 제2 가상선(Y)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1210) 및 상기 제4 측벽(114)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12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파트(12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200)를 상기 반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210, 122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30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달리,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2개의 케이스 결합부재(1310, 1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310)는 상기 제1 측벽(111)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3 가상선(L2)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1310) 및 상기 제3 측벽(113)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132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2 케이스 결합부재(1320)는 상기 제1 케이스 결합 부재(1320)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파트(13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300)를 상기 반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310, 132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400)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달리,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2개의 케이스 결합부재(1410, 1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410)는 상기 제1 측벽(111)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1410) 및 상기 제2 측벽(112)에서 상기 제2 가상선(Y)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14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파트(14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4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410, 142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500)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와 달리, 3개의 케이스 결합부재(1510, 1520, 15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510)는 상기 제1 측벽(111)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1510), 상기 제2 측벽(112)에서 상기 제2 가상선(Y)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1520) 및 상기 제4 측벽(114)에서 상기 제2 가상선(Y)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3 케이스 결합부재(15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파트(15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5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510, 1520, 154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의 (a) 및 도 14의 (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600)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와 달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3개의 케이스 결합부재(1610, 1620, 16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610)는 상기 제1 측벽(111)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1610), 상기 제3 측벽(113)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1620) 및 상기 제4 측벽(114)에서 상기 제2 가상선(Y)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3 케이스 결합부재(16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파트(16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6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610, 1620, 164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700)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와 달리, 4개의 케이스 결합부재(1710, 1720, 1730, 17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710)는 상기 제1 측벽(111)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1710), 상기 제2 측벽(112)에서 상기 제2 가상선(Y)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1720), 상기 제3 측벽(113)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3 케이스 결합부재(1720) 및 상기 제4 측벽(114)에서 상기 제2 가상선(Y)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4 케이스 결합부재(17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파트(17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7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710, 1720, 1730, 174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의 (a) 및 도 16의 (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800)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와 달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4개의 케이스 결합부재(1810, 1820, 1830, 18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810)는 상기 제1 측벽(111)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1810), 상기 제2 측벽(112)에서 상기 제2 가상선(Y)과 상기 제3 가상선(L2)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1820), 상기 제3 측벽(113)에서 상기 제1 가상선(X)과 상기 제3 가상선(L2) 사이에 형성된 제3 케이스 결합부재(1820) 및 상기 제4 측벽(114)에서 상기 제2 가상선(Y)과 상기 제4 가상선(L1) 사이에 형성된 제4 케이스 결합부재(17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파트(18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8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810, 1820, 1830, 184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의 (a) 내지 도 17의 (c)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19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 결합부재(1911)를 구비한 3개의 측벽(1910, 1920, 1930)을 포함하고, 내부하우징도 케이스와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3개의 측벽(1910, 1920, 1930)은 제1 측벽(1910), 상기 제1 측벽(1910)과 연결되는 제2 측벽(1920) 및 상기 제2 측벽(1920)과 상기 제1 측벽(1910) 각각과 연결되는 제3 측벽(19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파트(1900)는 그 단면이 3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1910)을 향하는 제1 가상선(S1),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2 측벽(1920)을 향하는 제2 가상선(S2) 및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3 측벽(1930)을 향하는 제3 가상선(S3)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911)는 상기 제1 측벽(19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7의 (a) 내지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파트(19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19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1911)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의 (a) 내지 도 18의 (c)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0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다른 위치에 배치된 케이스 결합부재(20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011)는 상기 제1 측벽(20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3 가상선(S3)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8의 (a) 내지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파트(20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20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011)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의 (a) 내지 도 19의 (c)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2개의 케이스 결합부재(2111, 21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111, 2121)는 상기 제1 측벽(21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2111) 및 상기 제2 측벽(212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212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19의 (a) 내지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파트(21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21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들(2111, 2121)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의 (a) 내지 도 20의 (c)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다른 위치에 배치된 케이스 결합부재(2211, 22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211, 2221)는 상기 제1 측벽(22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2211) 및 상기 제2 측벽(2220)에서 상기 제2 가상선(S2)과 상기 제3 가상선(S3)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222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20의 (a) 내지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파트(2200)를 적층한 후 다른 케이스파트(2200)를 상기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들(2211, 2221)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에 걸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3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3개의 케이스 결합부재(2311, 2321, 23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311, 2321, 2331)는 상기 제1 측벽(23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된 제1 케이스 결합부재(2311) 상기 제2 측벽(2220)에서 상기 제2 가상선(S2)과 상기 제3 가상선(S3) 사이에 형성된 제2 케이스 결합부재(2321) 및 상기 제3 측벽(233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3 가상선(S3) 사이에 형성된 제3 케이스 결합부재(2331)를 포함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 내지 제18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2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4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5개의 측벽(2410, 2420, 2430, 2440, 2450)을 포함하고, 내부하우징도 케이스와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기 5개의 측벽(2410, 2420, 2430, 2440, 2450)는 제1 측벽(2410), 상기 제2 측벽(2410)과 연결되는 제2 측벽(2420), 상기 제2 측벽(2420)과 연결되는 제3 측벽(2430), 상기 제3 측벽(2430)과 연결되는 제4 측벽(2440) 및 상기 제4 측벽(2440)과 상기 제1 측벽(2410) 각각과 연결되는 제5 측벽(245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파트(2400)는 그 단면이 5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2410)을 향하는 제1 가상선(S1),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2410)과 상기 제2 측벽(2420)의 연결점을 향하는 제2 가상선(P1),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2 측벽(2420)을 향하는 제3 가상선(S2),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2 측벽(2420)과 상기 제3 측벽(2430)의 연결점을 향하는 제4 가상선(P2),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3 측벽(2430)을 향하는 제5 가상선(S3),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3 측벽(2430)과 상기 제4 측벽(2440)의 연결점을 향하는 제6 가상선(P3),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4 측벽(2440)을 향하는 제7 가상선(S4),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4 측벽(2440)과 상기 제5 측벽(2450)의 연결점을 향하는 제8 가상선(P4),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5 측벽(2450)을 향하는 제9 가상선(S5) 및 상기 중심(O)으로부터 상기 제5 측벽(2450)과 상기 제1 측벽(2410)의 연결점을 향하는 제10 가상선(P5)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411, 2421)는 상기 제1 측벽(24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P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2411) 및 상기 제2 측벽(2420)에서 상기 제2 가상선(P1)과 상기 제3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2421)를 포함한다.
한편, 도 2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5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케이스 결합부재(2511, 253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511, 2531)는 상기 제1 측벽(25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P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2511) 및 상기 제3 측벽(2530)에서 상기 제4 가상선(P2)과 상기 제5 가상선(S3)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2531)를 포함한다.
한편, 도 2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6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케이스 결합부재(2611, 264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611, 2641)는 상기 제1 측벽(26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P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2611) 및 상기 제4 측벽(2640)에서 상기 제6 가상선(P3)과 상기 제7 가상선(S4)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2641)를 포함한다.
한편, 도 2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7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케이스 결합부재(2711, 275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711, 2751)는 상기 제1 측벽(27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P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2711) 및 상기 제5 측벽(2750)에서 상기 제8 가상선(P4)과 상기 제9 가상선(S5)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2751)를 포함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 내지 제2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8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3개의 케이스 결합부재(2811, 2821, 283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811, 2821, 2831)는 상기 제1 측벽(28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P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2811), 상기 제2 측벽(2820)에서 상기 제2 가상선(P1)과 상기 제3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2821) 및 상기 제3 측벽(2830)에서 상기 제4 가상선(P2)과 상기 제5 가상선(S3)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케이스 결합부재(2831)를 포함한다.
한편, 도 23(c) 및 도 2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29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3개의 케이스 결합부재(2911, 2921, 293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2911, 2921, 2931)는 상기 제1 측벽(29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P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2911), 상기 제2 측벽(2920)에서 상기 제2 가상선(P1)과 상기 제3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2921) 및 상기 제3 측벽(2930)에서 상기 제5 가상선(S3)과 상기 제6 가상선(P3)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케이스 결합부재(2931)를 포함한다.
한편, 도 23(e) 및 도 23(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30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3개의 케이스 결합부재(3011, 3021, 304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3011, 3021, 3041)는 상기 제1 측벽(30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P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3011), 상기 제2 측벽(3020)에서 상기 제2 가상선(P1)과 상기 제3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3021) 및 상기 제4 측벽(3030)에서 상기 제6 가상선(P3)과 상기 제7 가상선(S4)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케이스 결합부재(3041)를 포함한다.
한편, 도 23(g) 및 도 23(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3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3개의 케이스 결합부재(3111, 3121, 314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3111, 3121, 3141)는 상기 제1 측벽(31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P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3111), 상기 제2 측벽(3120)에서 상기 제2 가상선(P1)과 상기 제3 가상선(S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3121) 및 상기 제4 측벽(3130)에서 상기 제7 가상선(S4)과 상기 제8 가상선(P4)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케이스 결합부재(3141)를 포함한다.
한편, 도 23(i) 및 도 23(j)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파트(3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3개의 케이스 결합부재(3211, 3221, 324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3211, 3221, 3241)는 상기 제1 측벽(3210)에서 상기 제1 가상선(S1)과 상기 제2 가상선(P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케이스 결합부재(3211), 상기 제4 측벽(3240)에서 상기 제6 가상선(P3)과 상기 제7 가상선(S4)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케이스 결합부재(3241) 및 상기 제5 측벽(3250)에서 상기 제9 가상선(S5)과 상기 제10 가상선(P5)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케이스 결합부재(325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공기청정기
20: 케이스
100: 케이스파트
111, 112, 113, 114: 측벽
111a, 112a, 113a, 114a: 상단 교합부
111b, 112b, 113b, 114b: 하단 교합부
111c, 112c, 113c, 114c: 케이스 결합부재

Claims (9)

  1. 길이가 동일한 N개(N은 3 이상의 정수)의 측벽;
    상기 N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 교합부;
    상기 N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교합부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 교합부; 및
    상기 N개의 측벽 중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N각형 단면의 케이스파트이며,
    복수 개의 상기 케이스파트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적층 할 때, 서로 다른 케이스파트에 위치한 상기 상단 교합부와 상기 하단 교합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케이스파트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적층할 때 위에서 바라본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내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파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는,
    상기 측벽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N개의 상기 케이스파트를 360°/N의 배수로 회전하면서 적층 했을 때, 위에서 바라본 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내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파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는, 상기 N개의 측벽 중 둘 이상의 측벽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파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3, 4 또는 5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파트.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파트; 및
    상기 케이스파트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파트에 상응하는 N각형 단면을 갖는 내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측에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와 결합하는 하우징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에는 상기 케이스 결합부재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가이드 홈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재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하우징 결합부재는, 상기 두 개의 이상의 가이드 홈에서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9. 제5 항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10049826A 2021-04-16 2021-04-16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20143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826A KR20220143383A (ko) 2021-04-16 2021-04-16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826A KR20220143383A (ko) 2021-04-16 2021-04-16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383A true KR20220143383A (ko) 2022-10-25

Family

ID=8380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826A KR20220143383A (ko) 2021-04-16 2021-04-16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338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50B1 (ko) 2008-12-17 2015-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공기청정기
KR20190072368A (ko) 2017-12-15 201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2055A (ko) 2018-06-29 2020-01-08 한국전력공사 스털링 엔진의 윤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50B1 (ko) 2008-12-17 2015-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공기청정기
KR20190072368A (ko) 2017-12-15 201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2055A (ko) 2018-06-29 2020-01-08 한국전력공사 스털링 엔진의 윤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5981B1 (en) Multidimensional alignment spacing for toy building elements
KR100759642B1 (ko) 횡단 개구를 갖는 조립식 장난감 구성 요소
US20070077854A1 (en) Sectional three-dimensional model
KR102228059B1 (ko) 퍼즐형 매트 및 퍼즐형 매트 조립체
KR20220143383A (ko) 케이스파트,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3170034U (ja) コマ玩具
AU2010327029A1 (en) Jigsaw puzzle having one or more puzzle pieces that can be bent
JP2008119212A (ja) 組立家具
JP7078306B2 (ja) 三次元構造物を作る構築システム
US11511210B2 (en) Cubic element for construction toys and a method for forming same
CN106080176B (zh) 用于车辆注入口的覆盖件组件
JP2015016875A (ja) トレイ
KR102140164B1 (ko) 가변형 테이블
KR200450696Y1 (ko) 조립식 선반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WO2008070376A2 (en) Interlocking panels used for creating structures
JP7060869B2 (ja) 組立フェンス
JP7324525B2 (ja) 組合せ収納家具
KR102265264B1 (ko) 다목적 박스
JP2021153863A (ja) 構造及び折り畳み家具
KR102599454B1 (ko) 담배 진열장 모듈식 조립구조
US20230191274A1 (en) Modularized toy building block assembly
JP5600453B2 (ja) パチンコ遊技機用外枠
JP3219316U (ja) 段ボール製ブロック
CN214048154U (zh) 可堆栈并具可拆卸组合玩偶组件的置放抽屉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