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586A - 둥근 철주를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 - Google Patents

둥근 철주를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586A
KR20190069586A KR1020197015723A KR20197015723A KR20190069586A KR 20190069586 A KR20190069586 A KR 20190069586A KR 1020197015723 A KR1020197015723 A KR 1020197015723A KR 20197015723 A KR20197015723 A KR 20197015723A KR 20190069586 A KR20190069586 A KR 2019006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column
cylindrical
edge plat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480B1 (ko
Inventor
마르첼로 아이.엘. 소우자
라일 데이비드 핀
하비에르 카스텔로
로드리고 엠.알. 기마랑이스
루이즈 게마노 보다네즈
라파엘 보다네즈
Original Assignee
호튼 도 브라질 테크놀로지아 오프쇼어 엘티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튼 도 브라질 테크놀로지아 오프쇼어 엘티디에이. filed Critical 호튼 도 브라질 테크놀로지아 오프쇼어 엘티디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6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07Semi-submersibles; Small waterline area multiple hull vessels and the like, e.g. SW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63B2001/123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beams, or the like membe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 B63B2001/12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2001/12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underwater connectors between the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undation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Revetment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부유 근해 구조물은 부력 선체를 포함하고, 부력 선체는, 제 1 기둥, 제 2 기둥, 및 제 1 기둥과 제 2 기둥에 연결되는 철주(pontoon)를 포함한다. 각 기둥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고 철주는 제 1 기둥에서 제 2 기둥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기둥은 중심 축선,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갖는다. 철주는 제 1 관 부재 및 옆에서 제 1 관 부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 2 관 부재를 포함한다. 각 관 부재는 중심 축선, 제 1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제 2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제 1 관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 및 제 2 관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은 공통 수평면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둥근 철주를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
본 출원은 "둥근 철주(pontoon)를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이라는 명칭으로 2016년 11월 9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62/419,828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래서 이 가 특허 출원은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부유 근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근해 시추 및/또는 생산 작업을 위한 부유 반잠수형 근해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더더욱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반잠수형 근해 플랫폼의 선체의 기하학적 구조, 특히 선체의 수평 철주에 관한 것이다.
유정 작업에서, 오일 및 가스의 근해 시추와 생산 및 근해 건설 작업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근해 작업을 위해 반잠수형 부유 구조물 또는 플랫폼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반잠수형 근해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물 표면 위쪽에서 작업 갑판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는 선체, 및 플랫폼으로부터 해저까지 연장되어 있는 강성적인 그리고/또는 가요적인 파이프 또는 라이저(riser)를 포함한다. 선체는 종종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복수의 기둥을 지지하는 수평 기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기둥은 물 표면 위쪽에서 작업 갑판을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철주의 크기 및 기둥의 수는 작업 플랫폼의 크기와 중량 및 선체에 의해 지지되는 관련된 유효 하중에 의해 결정된다.
부유 근해 구조물의 실시 형태가 여기에 개시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유 근해 구조물은 부력 선체를 포함하고, 부력 선체는, 제 1 기둥, 제 2 기둥, 및 제 1 기둥과 제 2 기둥에 연결되는 철주(pontoon)를 포함한다. 각 기둥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철주는 제 1 기둥에서 제 2 기둥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기둥은 중심 축선,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갖는다. 철주는 제 1 관 부재 및 옆에서 제 1 관 부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 2 관 부재를 포함한다. 각 관 부재는 중심 축선, 상기 제 1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제 1 관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 및 제 2 관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은 공통 수평면 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부유 근해 구조물은 부력 선체를 포함하고, 이 부력 선체는, 제 1 기둥, 제 2 기둥, 및 제 1 기둥에서 제 2 기둥까지 연장되어 있는 철주를 포함한다. 각 기둥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고 중심 축선,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갖는다. 철주는 제 1 원통형 관 부재 및 제 1 관 부재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제 2 원통형 관 부재를 포함한다. 제 2 원통형 관 부재는 옆에서 제 1 원통형 관 부재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각 관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며 중심 축선, 제 1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제 2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들은 어떤 종래 기술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된 다양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특징 및 특성의 조합을 포함한다. 전술한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개시된 실시 형태의 특징 및 기술적 특성을 다소 넓게 개괄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전술한 다양한 특성 및 특징 및 다른 것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다. 개시된 개념 및 특정 실시 형태는, 개시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를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쉽게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등가적인 구성은 여기서 개시된 원리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여기서 개시된 원리에 따른 근해 반잠수형 플랫폼의 일 실시 형태의 부분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잠수형 플랫폼의 철주 중의 하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잠수형 플랫폼의 선체의 한 코너의 확대 사시도로, 한 수직 기둥과 두 수평 철주의 절두된 부분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반잠수형 플랫폼의 한 기둥의 확대 부분 단면 사시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두된 기둥의 확대 사시도로, 철주는 제거되어 있다.
도 6은 설명되는 원리에 따른 근해 반잠수형 플랫폼을 위한 선체의 일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사시도로, 한 수직 기둥과 두 수평 철주의 절두된 부분을 포함하는 선체의 한 코너를 도시한다.
도 7은 설명되는 원리에 따른 근해 반잠수형 플랫폼을 위한 선체의 일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사시도로, 한 수직 기둥과 두 수평 철주의 절두된 부분을 포함하는 선체의 한 코너를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의 어떤 실시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이하의 설명은 넓은 용례를 자지며 어떤 실시 형태에 대한 논의는 그 실시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 범위를 포함한 본 개시의 범위가 그 실시 형태에 한정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띠라 그려질 필요는 없다. 여기에 개시된 어떤 도와 요소는 과장된 축척으로 또는 다소 개략적인 형태로 나타내질 수 있고, 종래의 요소의 일부 상세는 명료성과 간명성을 위해 나타나 있지 않을 수 있다. 일부 도에서, 명료성과 간명성을 개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요소의 양태는 생략될 수 있거나 특징적 부분 또는 요소를 식별하는 참조 번호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도면을 포함한 본 명세서 내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공통적인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청구 범위를 포함하여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함하는" 및 이의 파생어는 개방형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그래서 "∼을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연결한다" 라는 용어는 간접적인 또는 직접적인 연결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요소가 제 2 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두 요소의 직접적인 결합 또는 다른 중간 요소, 장치 및/또는 연결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간접적인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에 근거하여"은,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X는 Y에 근거하는 경우, X는 Y 및 임의의 수의 다른 요인에 근거할 수 있다. "또는"은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예컨대, "A 또는 B"는 "A" 단독, "B" 단독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한다.
추가로, "축선 방향" 및 "축선 방향으로" 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주어진 축선을 따르는 것을 의미하고, "반경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라는 용어는 그 축선에 수직인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축선 방향 거리는 주어진 축선을 따라 또는 그에 평행하게 측정되는 거리를 의미하고, 반경 방향 거리는 그 축선에 수직하게 측정되는 거리를 의미한다. 당업계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평행한" 및 "수직인" 이라는 용어는 정확한 또는 이상적인 조건, 및 부재들이 대체로 평행하거나 대체로 수직일 수 있는 조건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인 방향 또는 상대적인 위치라는 표현은 명료성을 위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정상", "바닥", '위", "위쪽으로", "아래로", "하측", "시계 방향", "좌측", "좌측으로", "우측", "우측 방향", "아래" 및 "하측"이 있다. 예컨대, 어떤 물체 또는 특징적 부분의 상대적인 방향 또는 상대적인 위치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또는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방향에 관한 것이다. 물체 또는 특징적 부분이 다른 방향에서 보이거나 다른 방향에서 실행되는 경우, 그 방향 또는 위치를 대안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여기서 사룡되는 바와 같이, "대략", "약", "실질적으로" 등의 용어는 언급된 값의 10% 내(즉, ±10%)를 의미한다. 따라서, 예컨대, "약 80도"의 각도는 72도 내지 88도 범위의 각도를 말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 반잠수형 플랫폼의 선체는 일반적으로 수평 기부 및 이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 기둥을 포함한다. 기부는 일반적으로 복수의(예컨대, 3개 이상) 수평 철주를 포함하고, 이들 철주는 단부에서 연결되어, 큰 중심 개구를 갖는 폐루프 구조물을 형성한다. 기둥의 하단부는 기부의 코너(즉, 각 쌍의 철주의 교차부) 위에 안착되고, 그로부터 물 표면을 통과해, 기둥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작업 갑판까지 연장되어 있다. 철주는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평평한 강성적인 패널로 구성된다. 물의 외부 압력 및 작업 갑판의 중량으로 인한 압축 하중으로 인해, 기둥과 철주는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 보강재와 횡방향 보강재의 조합을 필요로 한다. 철주를 위한 평평한 강성적인 패널 및 철주와 기둥에 있는 보강재의 사용으로, 제작 비용 및 구조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 개시되는 부유 근해 구조물과 선체의 실시 형태는 선체의 제작 비용 및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시추 또는 생산 작업 동안에, 일반적으로, 구조물에서 해저까지 연장되는 라이저에 대한 손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웰(well) 현장에서 플랫폼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부유 근해 구조물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해 플랫폼 움직임의 한 성분은 융기인데, 이는 파도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일어나는 플랫폼의 수직 방향 선형 변위이다. 부유 플랫폼은 바람직하게 라이저 피로 및 강도 요건을 최소화하기 위해 허용 한계 내의 융기 특성을 갖는다. 종래의 많은 선체 설계의 융기 특성은 감소된 동적 하중 및 관련 피로에 적절한 라이저 시스템의 설계에 고유의 어려움을 준다. 그러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 개시되는 부유 근해 구조물 및 선체의 실시 형태는 융기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반잠수형 다중 기둥 부유 근해 구조물 또는 플랫폼(50)이 나타나 있다. 도 1에서, 플랫폼(50)은 물(52)에 배치되고 계류 시스템에 의해 작업 현장에 정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근해 플랫폼(50)은 조절 가능한 부력 부유 선체(60) 및 이 선체(60) 위에 장착되는 작업 갑판 또는 정상부측(55)을 포함한다. 정상부측(55)은 물(52)의 표면 위쪽에서 선체(60)에 의해 지지된다. 선체(60)는 부력 조절 가능한 복수의 수평 철주(pontoon)(62) 및 이 철주(6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력 조절 가능한 복수의 평행한 수직 기둥(64)을 포함한다. 플랫폼(50)의 배치 및 설치 동안에, 철주(62) 및 기둥(64)의 부력이 조절될 수 있지만, 설치 후에 플랫폼(50)으로 작업하는 동안에는, 철주(62)는 일반적으로 물로 채워지고(예컨대, 부력을 제공하지 않음), 반면 기둥(64)은 조절 가능한 부력을 플랫폼(50)에 계속 제공하게 된다.
각 철주(62)는 옆으로 서로 인접하는 기둥(64)의 각 쌍의 하단부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4개의 코너와 중심 개구(66)를 갖는 폐루프 기부(65)를 형성하게 된다. 철주(62)는 기둥(64)의 하단부의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기부(65)는 철주(62)와 기둥(64)의 하단부로 형성된다고 말할 수 있다. 기부(65)는 각 철주(62)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이 실시 형태에서 정사각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기부(예컨대, 기부(65))는 직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둥(64)은 기부(65)로부터 물(52)의 표면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정상부측(55)은 기둥(64)의 상단부 위에서 선체(60)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오일 및 가스 시추 또는 생산 작업에 사용되는 장비, 예컨대 데릭 기중기, 드로우 워크, 펌프, 스크러버, 침전기 등이 정상부측(55) 상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 지지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라이저(riser) 또는 다른 도관(나타나 있지 않음)이 기부(65)의 개구(66)를 통과하여 정상부측(55)까지 이른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라이저 또는 다른 도관은 정상부측(55)에서 직접 지지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라이저 또는 다른 도관은 철주(62)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한 철주(62)가 나타나 있고, 선체(60)의 다른 철주(62)는 동일하다는 것을 알고 설명할 것이디. 철주(62)는 복수의 곧고 기다란 평행한 원통형 관 부재(75)를 포함하고, 이들 관 부재는 서로 나란히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철주(62)는 2개의 수평 관 부재(75)를 포함하고, 이들 관 부재는 그의 길이를 따라 기다란 연결 판(82)에 의해 나란히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기다란" 이란 용어는, 폭 또는 직경(예컨대, 중심 축선 또는 길이 방향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됨) 보다 큰 길이(예컨대, 중심 축선 또는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측정됨)를 갖는 구조물 또는 요소를 말하는 것이다. 판(82)은 한쌍의 관 부재(75)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래서, 연결 판(82)의 상면과 하면은 수직 표면 벡터를 갖는 수평면에 배치된다.
이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각 관 부재(75)는 선형적인(즉, 곧은) 중심 또는 길이 방향 축선(76), 한 기둥(64)의 하단부의 측면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단부(75A), 및 다른 기둥(64)의 하단부의 측면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단부(75B)를 갖는다. 따라서, 각 관 뷔재(75)는 2개의 기둥(64)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각 관 부재(75)는 단부(75A, 75B) 사이에서 축선 방향으로 측정되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그래서 각 철주(62)는 동일한 축선 방향 길이를 갖는다. 동일한 철주(62)에 있는 관 부재(75)의 축선(76)은 공통 수평면 내에 있고, 기부(65)의 모든 철주(62)에 있는 관 부재(75)의 축선(76)도 공통 수평면 내에 있다.
도 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관 부재(75)는 원통형 측벽(77), 내측 공동부(78), 및 공동부(78) 내부에서 측벽(77)의 내면에 장착되고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환형 보강재(79)를 포함한다. 단부 마개 또는 판(80)이 각 단부(75A, 75B)에 장착되어 관 부재(75) 내의 공동부(78)를 페쇄하고 밀봉하게 된다. 도 1 및 2에서, 단부 판(80)은 축선(76)에 수직하게 배향되는 평평한 판이다. 실시 형태에서, 공동부(78)는 복수의 개별적인 밸러스트(ballast) 탱크로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수직 칸막이 벽이 관 부재(75)를 따라 제공되어, 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는 고정 밸러스트, 조절 가능한 밸러스트, 공기 같은 가스,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채워져, 대응하는 관 부재(75) 및 대응하는 철주(62)와 기부(65)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 부재(75)는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원형 부분(77A)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 부분(77A)은 기다랗지 않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관 부재를 형성하는 부분(예컨대, 관 부재(75)의 각 부분(77A))은 기다랗다. 대안적으로, 관 부재(75)는, 압연되어 이음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용접되는 기다란 직사각형 재료 요소(단일 요소 또는 서로 용접되어 단일 요소를 형성하는 복수의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수평 가장자리 판(84)이 각 철주(62)의 각 측면을 따라 제공되어 있다. 각 판(84)은 대응하는 철주(62)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대응하는 철주(62)의 길이를 따라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가장자리 판(84)은 연결 판(82)의 반대편에 있는 측면에서 각 관 부재(75)의 외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연결 판(82) 및 가장자리 판(84)은 공통 수평면 내에 배치되고, 또한, 원통형 관 부재(75)의 수직 중간 부분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복수의 거싯(gusset) 또는 브라켓(86)이 각 판(84)의 상면과 하면으로부터 대응 관 부재(75)의 측벽(77)의 외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브라켓(86)은 환형 보강재(79) 중 하나와 축선 방향으로 정렬된다. 브라켓(86)은 가장자리 판(82)을 보강하고 그에 강성을 제공한다. 연결 판(82) 및 가장자리 판(84)은 철주(62)에 대한 구조적 무결성을 제공하고, 또한 수평면 내에 있고 수직 방향 움직임에 저항하는 항력 및 추가 질량을 유도하기 때문에 플랫폼(50)의 수직 방향 움직임에 대한 감쇠를 제공한다. 따라서, 판(82, 84) 각각은 플랫폼(50)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감소시키는 "융기(heave) 판"이라고 할 수 있다.
복수의 원통형 관 부재(75)의 나란한 배치에 의해, 대응 철주(62)의 수직 방향 높이가 감소되거나 최소화되며 동시에 그 철주의 수평 방향 폭이 증가되거나 최대화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철주(62)와 플랫폼(50)이 받는 횡방향 하중(해양 조류 및 파도로 인해 생길 수 있음)을 줄이고 또한 철주(62)의 수직 방향 항력 및 추가 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플랫폼(50)의 융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여기서 설명하는 철주의 실시 형태(예컨대, 철주(62))는, 유사한 크기의 통상적인 선체의 융기를 관리하도록 설계된 통상적인 철주와 비교하여 계류 시스템의 성능 요건 및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제 도 1 및 3을 참조하면, 선체(60)의 각 기둥(64)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선형적인(즉, 곧은) 중심 또는 길이 방향 축선(101)을 갖는다. 따라서, 선체(60)의 정면도와 측면도에서 볼 때 이 축선(101)은 원통형 관 부재(75)의 추선(76)에 수직이다. 추가로, 각 기둥(64)은 복수의 평행하고 기다란 원통형 관 부재(105)를 포함한다. 각 관 부재(105)는 정상부측(55)을 지지하는 제 1 단부 또는 상단부(105A) 및 한쌍의 철주(62)에 부착되는 제 2 단부 또는 하단부(105B)를 포함한다. 도 1 및 3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기둥(64)은 4개의 원통형 관 부재(105)를 포함하고, 이들 관 부재는 대응 기둥(64)의 축선(101)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하게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인 기둥(64)을 형성하게 된다. 추가로, 주어진 기둥(64) 내부에 있는 각 관 부재(105)는 대응 기둥(64)의 축선(101)으로부터 등간격으로 있다.
이제 도 3 및 4를 참조하면, 각 관 부재(105)는 원통형 측벽(107), 내측 공동부(108), 및 공동부(108) 내부에서 측벽(107)의 내면에 장착되고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환형 보강재(119)를 포함한다.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 각 관 부재(105)의 내측 공동부(108)는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격실(126)로 분할되어 있고, 이들 격실은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데크 또는 칸막이 벽(120)으로 형성된다. 각 칸막이 벽(120)은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는 평평한 판(122)을 포함하고, 이들 판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두 세트의 보강재(124)에 의해 보강된다. 격실(126)은 각 관 부재(105) 내에서 복수의 개별적인 밸러스트 탱크를 형성한다.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는 고정 밸러스트, 조절 가능한 밸러스트, 공기 같은 가스,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채워져, 대응하는 관 부재(105) 및 기부(65)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계속 도 4를 참조하면, 주어진 기둥(64) 내의 각 관 부재(105)의 하단부(105B)는 외부 데크(130)로 막혀 밀봉된다. 다시 말해, 단일 수평 데크(130)는 대응 기둥(64)의 각 관 부재(105)의 하단부(105B)를 가로질러 연장되어있고 그 하단부를 폐쇄하여 밀봉한다. 데크(130)는 또한 각 부재(105)의 최하측 밸러스트 탱크(126)를 위한 칸막이 벽 또는 바닥 패널을 형성하여, 선체(60)의 설계를 간단하게 하고 또한 하단부(105B)를 폐쇄하는 별도의 추가적인 재료 판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준다. 각 데크(130)는 수평 판(132)을 포함하고, 이 판은 수직 방향으로 있는 두 세트의 복수 강화기(134A, 134B)로 보강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각 데크(130)는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인 형상을 갖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데크(예컨대, 데크(130))는 다른 형상(예컨대, 원형, 직사각형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데크(130)는 대응 기둥(64) 및 관련된 관 부재(65)의 외주를 넘어 수평 방향으로(축선(10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각 데크(130)가 대응 기둥(64)의 외주를 넘어 (축선(10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평 방향 거리는, 선체(60)와 플랫폼(50)의 원하는 융기 운동이 얻어지도록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 각 데크(130)가 대응 기둥(64)의 외주를 넘어 (축선(10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평 방향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대응 기둥(64)의 각 쌍의 인접하는 관 부재(105) 사이의 최소 수평 방향 거리(예컨대, 약 1 m) 이상이고 또한 대응 기둥(64)의 한 관 부재(105)의 외경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대응 기둥(64)의 한 관 부재(105)의 외경의 대략 절반이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데크(130)는 대응 기둥(64)에 고정되는 원통형 관 부재(75)의 단부(75A, 75B) 아래에서 짧은 거리로 연장되어 있다. (대응 기둥(62)의 주변을 넘어 연장되어 있는) 데크(130)의 수평 방향 배향 및 크기로 인해, 데크(130)는 플랫폼(50)의 융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 질량을 포함하는 융기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철주(62)의 원통형 관 부재(75)와 유사하게, 기둥(64)의 원통형 관 부재(105)는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원형 부분(107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부분(107A)은 기다랗지 않지만, 다른 실시 형태서 각 부분(107A)은 기다랗다. 대안적으로, 관 부재(105)는, 압연되어 이음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용접되는 기다란 직사각형 재료 요소(단일 요소 또는 서로 용접되어 단일 요소를 형성하는 복수의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부(65)의 한 코너가 나타나 있다. 특히, 한 기둥(64)과 두 철주(62)의 교차가 대응 데크(130)와 함께 나타나 있다. 기부(65)의 한 코너만 도 3에 나타나 있지만, 기부(65)의 다른 코너도 동일함을 알 것이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철주(62)는 복수의 연결 어셈블리(145)를 통해 기둥(64)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연결 어셈블리(145)는 각 쌍의 인접하는 부재(75, 105)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관 부재(75)의 한 단부(75A, 75B)는 옆에서 대응 관 부재(105)의 하단부(105B)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한 연결 어셈블리(145)로 그 하단부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 각 연결 어셈블리(145)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복수의 브라켓(150) 및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는 복수의 브라켓(160)을 포함한다. 브라켓(150)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또한 축선(101)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면에 있으며, 브라켓(160)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또한 축선(101)에 수직하게 배향되는 면에 있다. 추가로, 브라켓(150)은 대응 부재(105)의 외면(110)의 일부분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브라켓(160)은 대응 부재(105)의 외면(110)의 일부분 주위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브라켓(150, 160)은 대응 부재(75, 105)의 원통형 외면에 고정 가능하게 고정된다. 각 연결 어셈블리(145)의 각 브라켓(150)은 대응 관 부재(75)의 동일한 단부(75A, 75B)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래서, 각 연결 어셈블리(145)의 원주 방향 외측 브라켓(150)(예컨대, 어셈블리(145)의 측면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브라켓(150))은, 원주 방향 내측 브라켓(150)(예컨대, 어셈블리(145)의 측방 중심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브라켓(150)) 보다 더 먼 거리로 대응 단부(75A, 75B)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대응 관 부재(105)의 외면(110)의 만곡을 보상해 준다.
계속 도 5를 참조하면, 각 수직 브라켓(150)은 제 1 단부 또는 상단부(151) 제 2 단부 또는 하단부(152), 이들 단부(151, 152)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후방 부분 또는 등골 부분(154), 상단부(151)에서 등골 부분(154)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또는 상측 돌출부(156), 및 하단부(152)에서 등골 부분(154)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또한 관 부재(1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또는 하측 돌출부(158)를 포함한다. 관 부재(105)에 부착되는 후방 측면 등골 부분(164)은 외면(110)의 만곡에 맞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다. 각 연결 어셈블리(145)의 수직 방향 중심 맞춤 수평 브라켓(160)이 제 1 또는 외측 단부(161), 제 2 또는 내측 단부(162), 이들 단부(161, 162)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후방 부분 또는 등골 부분(164), 및 외측 단부(161)에서 등골 부분(164)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측 돌출부(166)를 포함한다. 내측 단부(162)는 인접하는 부재(105) 사이에 위치되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관 부재(105) 또는 연결 판(82)과 간섭하지 않도록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원형인 오목부(170)가 돌출부(156, 158, 166)에 의해 규정되고, 대응 관 부재(105)로부터 멀리 있는 등골 부분(154, 164)의 전방부는 공통 수직 면 내에 있다. 원형 오목부(170)는 대응 관 부재(75)의 단부(75A, 75B)를 슬라이딩식으로 수용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단부는 돌출부(156, 158, 166) 및 등골 부분(154, 164)에 용접된다. 대응 단부(75A, 75B)의 반대편에 있는 오목부(170)의 내면은 대응 관 부재(75)의 평평한 단부(75A, 75B) 및 평평한 단부 판(80)에 맞도록 평평하게 되어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관 부재(75) 사이의 연결 판(82)은 인접하는 관 부재(105)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중심 수평 브라켓(160)과 정렬되고 그에 인접하여 안착되며, 2개의 수직 브라켓(150)에 용접될 수 있다.
중간 연결 어셈블리(145)를 사용하면, 복잡한 안장형 연결이 회피됨으로써 철주(62)의 제작 및 기둥(64)에 대한 철주(62)의 연결이 간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철주(62)는 평평한 단부(75A, 75B)를 갖는 원통형 관 부재(75)로 형성될 수 있고, 그들 평평한 단부는, 철주(62)가 기둥(64)에 연결되기 전에 평평한 단부 판(80)에 의해 폐쇄되고 밀봉된다. 따라서, 철주(62)는 기둥(64)에 연결되기 전에 제작되고 밀봉되고 또한 시험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각 브라켓(150)은 데크(130)의 강화기(134A, 134B) 중의 하나와 공면적이고, 하단부(152)는 데크(130)에 연결되고(예컨대, 용접됨), 그리하여 연결 어셈블리(145), 데크(130), 철주(62), 및 기둥(64) 사이에 구조적 연속성이 얻어진다. 브라켓(150, 160)은 예컨대 부재(75, 105) 및 데크(130)에 용접되는 평평한 판일 수 있고,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어떤 방법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브라켓(150, 160)은, 용접 기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또한 작업자가 모든 용접 절차 및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있다. 또한, 수직 및 수평 브라켓(150, 160) 및 강화기(134A, 134B)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구조적 연속성을 제공하며 또한 응력 집중을 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작 및 검사는 전통적인 안장형 연결 보다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예상된다.
도 1 - 3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관 부재(75)는 자급 자족적이며, 그래서 각 철주(62)의 인접하는 관 부재(75)의 공동부(78)는 서로로부터 또한 관 부재(105)로부터 또한 다른 관 부재(75)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 및 격리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공동부(78) 또는 그의 밸러스트 탱크는 배관에 의해 다른 부재(75) 또는 기둥(64)에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부유 근해 구조물을 위한 선체(260)의 다른 실시 형태의 한 코너가 나타나 있다. 선체(260)는 물 표면 위쪽에서 정상부측(예컨대, 정상부측(55))를 지지하고, 도 1에 나타나 있는 플랫폼(50)의 선체(60)를 대체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선체(260)는 복수의 부력 조절 가능한 수평 철주(262)를 포함하고, 이들 철주는 복수의 부력 조절 가능한 기둥(64)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선체(260)의 한 코너만 도 6에 나타나 있지만, 선체(260)는 복수의 수직 기둥(64), 기둥(64)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전술한 기부(65)와 유사한 폐루프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철주(262)를 포함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체(260)의 각 코너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하고, 그래서, 선체(260)의 한 코너를 설명할 것이고, 선체(260)의 다른 코너는 동일함을 이해할 것이다.
기둥(64)은 전술한 바와 같다. 철주(262)는, 철주(262)의 단부 및 철주(262)와 기둥(64)의 간섭을 제외하고, 전술한 철주(6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 구체적으로, 각 철주(262)는 복수의 곧고 기다란 수평 배향 관 부재(275)를 포함하고, 이들 관 부재는 서로 나란히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2개의 평행한 관 부재(275)가 전술한 바와 같은 수평 연결 판(82)에 의해 나란히 연결되어 철주(262)를 형성한다. 철주(262)는 선형적인(즉, 곧은) 중심 또는 길이 방향 축선(276), 한 기둥(64)의 하단부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단부(275A), 및 다른 기둥(64)의 하단부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단부(275B)를 갖는다. 따라서, 각 관 부재(275)의 각 단부(275A, 275B)는, 대응하는 관 부재(105)의 원통형 외면(110)과 짝을 이루고 그 주위에 부분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오목한 윤곽의 형상 또는 안장을 갖는다. 전술한 원통형 관 부재(75)와 유사하게, 이 실시 형태에서, 각 관 부재(275)는 원통형 측벽(277), 내측 공동부(78), 및 벽(277)의 내면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환형 보강재(79)를 포함한다. 그러나, 부재(275)의 단부(275A, 275B)에는 단부 마개 또는 단부 판이 없다. 대신에, 공동부(78)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부(275A, 275B)와 한 대응 기둥(64)의 하단부의 교차부에서 밀봉된다. 관 부재(275)는 또한 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하고, 이 밸러스트 탱크는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칸막이 벽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관 부재(275)는 전술한 원통형 관 부재(75)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예컨대, 압연되어 이음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용접되는 기다란 소재, 또는 단부에서 연결되는 복수의 짧은 원형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음).
게속 도 6을 참조하면, 철주(262)는 전술한 바와 같은 2개의 보강된 수평 가장자리 판(84)을 포함하고, 이들 가장자리 판은 관 부재(275)의 외면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판(82) 및 가장자리 판(84)은 철주(262)에 대한 구조적 무결성을 제공하고 또한 수직 방향 움직임에 대한 감쇠를 제공하며 그래서 수평 융기 판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판(82, 84)은 공통 수평 면 내에 배치되고 관 부재(275)의 중간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다.
관 부재(275)의 축선(276)은 동일한 수평면 내에 있다. 철주(62)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관 부재(275)의 나란한 배치에 의해, 대응 철주(262)의 수직 방향 높이가 감소되거나 최소화되며 동시에 그 철주의 수평 방향 폭이 증가되거나 최대화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철주(262) 및 관련된 플랫폼이 받는 횡방향 하중(해양 조류 및 파도로 인해 생길 수 있음)을 줄이거고 또한 철주(262)의 수직 방향 항력 및 추가 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플랫폼(50)의 융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여기서 설명하는 철주의 실시 형태(예컨대, 철주(262))의 사용으로, 유사한 크기의 통상적인 선체의 융기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것과 비교하여 계류 시스템의 성능 요건 및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계속 도 6을 참조하면, 각 철주(262)는 대응하는 관 부재(64)에 연결부(285)로 연결되고, 한 연결부(285)는 각 관 부재(275) 및 대응하는 관 부재(105) 사이에 제공된다. 특히, 각 관 부재(275)는 수직 관 부재(105) 중의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또한 한 연결부(285)로 관 부재(105)의 하단부(105B)에 연결된다. 각 연결부(285)는 안장형 연결부인데, 이러한 경우, 관 부재(275)의 윤곽 단부(275A, 275B)가 대응 관 부재(105)의 외면(110) 주위를 부분적으로 감싸고 또한 그에 직접 연결된다(예컨대, 용접됨). 이 실시 형태에서, 연결부(285)는 연결되는 부재(275, 105) 사이에 연장되는 거싯 또는 브라켓을 포함하지 않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그러한 것들이 추가될 수 있다. 각 관 부재(275)와 대응 관 부재(105) 사이의 연결부(285)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각 관 부재(275)의 외경은 대응하는 관 부재(105)의 외경 보다 작다. 특히, 각 관 부재(275)의 외경은 대응하는 관 부재(105)의 외경의 바람직하게 80 내지 90% 이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부유 근해 구조물을 위한 선체(360)의 다른 실시 형태의 한 코너가 나타나 있다. 이 선체(360)는 물 표면 위쪽에서 정상부측(예컨대, 정상부측(55))을 지지하고, 도 1에 나타나 있는 플랫폼(50)의 선체(60)를 대체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선체(360)는 복수의 부력 조절 가능한 수평 철주(362)를 포함하고, 이들 철주는 복수의 부력 조절 가능한 기둥(364)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선체(360)의 한 코너만 도 6에 나타나 이 실시 형태에서, 선체(360)는 복수의 부력 조절 가능한 수평 철주(362)를 포함하고, 이들 철주는 복수의 부력 조절 가능한 기둥(364)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선체(360)의 한 코너만 도 7에 나타나 있지만, 선체(360)는 복수의 수직 기둥(364), 기둥(364)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전술한 기부(65)와 유사한 폐루프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철주(362)를 포함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체(360)의 각 코너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하고, 그래서, 선체(260)의 한 코너를 설명할 것이고, 선체(360)의 다른 코너는 동일함을 이해할 것이다.
철주(362)는 기둥(364)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철주(262)와 유사하게, 각 철주(36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곧은 기다란 관 부재(275)를 포함하고, 이들 관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 관 부재(275)는 수평 연결 판(82)으로 연결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한 판(82)은 철주(362)의 각 쌍의 인접하는 관 부재(275) 사이에 배치된다. 추가로, 철주(362)는, 2개의 최외측 관 부재(275)의 외측 영역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즉,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보강된 수평 가장자리 판(84)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판(82, 84)은 공통 수평면 내에 배치되고, 관 부재(275)의 중간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다. 연결 판(82) 및 가장자리 판(84)은 철주(362)에 대한 구조적 무결성을 제공하고, 플랫폼(50)의 수직 방향 움직임에 대한 감쇠를 제공하며, 그래서 수평 융기 판으로서 역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 부재(275)의 축선(276)은 동일한 수평면 내에 있다. 철주(62)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관 부재(275)의 나란한 배치에 의해, 대응 철주(362)의 수직 방향 높이가 감소되거나 최소화되며 또한 그 수평면 내에서의 폭이 증가되거나 최대화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철주(362) 및 선체(360) 해양 조류 및 파도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횡방향 힘을 덜 받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철주(362)의 수직 방향 항력이 증가되고, 플랫폼(50)의 융기 운동이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철주(362)의 사용으로 인해, 종래의 선체에 대해 사용되는 것 보다 더 작거나 덜 비산 계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계속 도 7을 참조하면, 선체(360)의 기둥(364)은 전술한 기둥(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기둥(364)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수직 원통형 관 부재(105)를 포함하고, 이들 관 부재는 서로에 연결되고 또한 하측의 외부 데크(130)에 의해 밀봉되고, 그 데크는 융기 판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 기둥(364)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중심 또는 길이 방향 축선(10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9개의 원통형 관 부재(105)를 포함한다. 관 부재(105)는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인 구성으로 배치되어 있고, 3개의 관 부재(105)는 각 측을 따라 배치되고 하나의 중심 관 부재(105)는 다른 관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각 철주(36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연결부(285)로 대응 기둥(364)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한 연결부(285)는 각 관 부재(275)를 대응하는 관 부재(105)에 연결한다. 특히, 각 관 부재(275)는 수직 관 부재(105) 중의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한 연결부(285)로 그 관 부재(105)의 하단부(105B)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연결부(285)는 안장형 연결부인데, 이러한 경우, 관 부재(275)의 윤곽 단부(275A, 275B)가 대응 관 부재(105)의 외면(110) 주위를 부분적으로 감싸고 또한 그에 직접 연결된다(예컨대, 용접됨). 이 실시 형태에서, 연결부(285)는 연결되는 부재(275, 105) 사이에 연장되는 거싯 또는 브라켓을 포함하지 않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그러한 것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6 및 7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철주(262, 362)에 있는 관 부재(275)의 공동부(78)는 서로로부터, 기둥(64)의 관 부재(105)로부터 또한 다른 철주(262, 362)의 관 부재(275)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 및 격리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 공동부(78) 또는 그의 밸러스트 탱크는 배관에 의해 다른 부재(275) 또는 기둥(64)에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철주(62, 262, 362)의 실시 형태는 원통형 관 부재(75, 275)의 원통형 측벽(77, 277)의 내면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환형 보강재(79)를 포함하지만, 내부의 길이 방향 보강재는 없다. 부재(75, 275)의 원 관형 구성은 내부의 환형 보강재(79)와 함께 구조적 무결성 및 강성을 제공하고, 연결 판(82)과 가장자리 판(84)은, 부재(75, 275)와 철주(62, 262, 362)의 구조적 무결성 또는 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융기를 감소시키는 외부의 길이 방향 보강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했지만, 그에 대한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개시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 형태는 단지 예시적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많은 변화, 조합 및 수정이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보호 범위는 여기서 설명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로만 한정되며, 그 청구 범위는 청구 범위의 주제의 모든 등가물을 포함한다. 기재된 설명 부분 또는 도면에 어떤 특정한 방법 단계 또는 작동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는 그 특정한 단계 또는 작동이 그 방법에 필요함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또는 청구 범위에 열거된 방법의 단계 또는 작동은, 순서가 명백이 진술되어 있는 그 특정한 단계 또는 작동을 제외하고는 어떤 가능한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어떤 실행에서, 방법 단계 또는 작업 중의 둘 이상은 직렬이 아닌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 청구 범위에서 작업 앞에 (a), (b), (c) 또는 (1), (2), (3)과 같은 식별 부호가 나타나 있는 경우, 이는 그 작업에 대한 어떤 특정한 순서를 특정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다음에 그러한 작업을 언급하는 것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Claims (20)

  1. 부유 근해 구조물로서, 부력 선체를 포함하고, 부력 선체는, 제 1 기둥, 제 2 기둥, 및 제 1 기둥과 제 2 기둥에 연결되는 철주(pontoon)를 포함하고, 각 기둥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철주는 제 1 기둥에서 제 2 기둥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기둥은 중심 축선,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지며,
    상기 철주는 제 1 관 부재 및 옆에서 제 1 관 부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 2 관 부재를 포함하며, 각 관 부재는 중심 축선, 상기 제 1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관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 및 제 2 관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은 공통 수평면 내에 배치되는, 부유 근해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주는 철주의 제 1 관 부재와 제 2 관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 판을 포함하고, 연결 판은 제 1 관 부재와 제 2 관 부재 사이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유 근해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판은 제 1 관 부재에서 제 2 관 부재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유 근해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판은 관 부재의 제 1 단부에서 관 부재의 제 2 단부까지 관 부재의 중심 축선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유 근해 구조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가장자리 판이 상기 제 1 관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제 2 가장자리 판이 상기 제 2 관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관 부재, 연결 판 및 제 2 관 부재는 제 1 가장자리 판과 제 2 가장자리 판 사이에 배치되는, 부유 근해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 판은 제 1 관 부재의 제 1 단부에서 제 1 관 부재의 제 2 단부까지 제 1 관 부재의 중심 축선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가장자리 판은 제 2 관 부재의 제 1 단부에서 제 2 관 부재의 제 2 단부까지 제 2 관 부재의 중심 축선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유 근해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판은 제 1 관 부재에서 제 2 관 부재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가장자리 판은 제 1 관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가장자리 판은 제 2 관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유 근해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 판, 제 2 가장자리 판, 및 연결 판은 상기 제 1 관 부재와 제 2 관 부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중심 맞춤되는, 부유 근해 구조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외부 데크(deck) 및 상기 제 2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외부 데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크는 제 1 기둥의 하단부의 외주를 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데크는 제 2 기둥의 하단부의 외주를 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유 근해 구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기둥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복수의 관 부재를 포함하고, 각 기둥의 각 관 부재는 상단부, 하단부 및 원통형 외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외부 데크는 제 1 기둥의 각 관 부재의 하단부를 폐쇄하고 밀봉하며, 상기 제 2 데크는 제 2 기둥의 각 관 부재의 하단부를 폐쇄하고 밀봉하는, 부유 근해 구조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각 기둥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복수의 관 부재를 포함하고, 각 기둥의 각관 부재는 상단부, 하단부 및 원통형 외면을 가지며,
    제 1 연결 어셈블리가 철주의 제 1 관 부재의 제 1 단부를 제 1 기둥의 관 부재 중 하나의 하단부에 연결하고,
    제 2 연결 어셈블리가 철주의 제 2 관 부재의 제 1 단부를 제 1 기둥의 관 부재 중 하나의 하단부에 연결하며,
    각 연결 어셈블리는 기둥의 대응하는 관 부재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 브라켓을 포함하고, 제 1 연결 어셈블리의 수직 브라켓은 상기 철주의 제 1 관 부재의 제 1 단부를 수용하는 원형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 2 연결 어셈블리의 수직 브라켓은 상기 철주의 제 2 관 부재의 제 1 단부를 수용하는 원형 오목부를 형성하는, 부유 근해 구조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주의 각 관 부재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철주의 각 관 부재는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내부 환형 보강재를 포함하는, 부유 근해 구조물.
  14. 부유 근해 구조물로서, 부력 선체를 포함하고, 부력 선체는, 제 1 기둥, 제 2 기둥, 및 제 1 기둥에서 제 2 기둥까지 연장되어 있는 철주를 포함하고,
    각 기둥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고 중심 축선,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지며,
    상기 철주는 제 1 원통형 관 부재 및 제 1 관 부재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제 2 원통형 관 부재를 포함하며, 제 2 원통형 관 부재는 옆에서 제 1 원통형 관 부재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각 관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며 중심 축선, 제 1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제 2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가지고 있는, 부유 근해 구조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철주는 제 1 원통형 관 부재에서 제 2 원통형 관 부재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판을 포함하는, 부유 근해 구조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판은 제 1 원통형 관 부재의 제 1 단부에서 제 1 원통형 관 부재의 제 2 단부까지 제 1 원통형 관 부재의 중심 축선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유 근해 구조물.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가장자리 판이 상기 제 1 원통형 관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가장자리 판이 상기 제 2 원통형 관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유 근해 구조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 판은 제 1 원통형 관 부재의 제 1 단부에서 제 1 원통형 관 부재의 제 2 단부까지 제 1 원통형 관 부재의 중심 축선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가장자리 판은 제 2 원통형 관 부재의 제 1 단부에서 제 2 원통형 관 부재의 제 2 단부까지 제 2 원통형 관 부재의 중심 축선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유 근해 구조물.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판, 제 1 가장자리 판 및 제 2 가장자리 판은 공통 수평면 내에 배치되는, 부유 근해 구조물.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외부 데크 및 상기 제 2 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외부 데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크는 제 1 기둥의 하단부의 외주를 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데크는 제 2 기둥의 하단부의 외주를 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유 근해 구조물.
KR1020197015723A 2016-11-09 2017-11-09 둥근 철주를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 KR102223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9828P 2016-11-09 2016-11-09
US62/419,828 2016-11-09
PCT/US2017/060799 WO2018089597A1 (en) 2016-11-09 2017-11-09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with round ponto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586A true KR20190069586A (ko) 2019-06-19
KR102223480B1 KR102223480B1 (ko) 2021-03-05

Family

ID=6206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723A KR102223480B1 (ko) 2016-11-09 2017-11-09 둥근 철주를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358188B2 (ko)
EP (1) EP3538429B1 (ko)
JP (1) JP6953540B2 (ko)
KR (1) KR102223480B1 (ko)
CN (1) CN110087987B (ko)
AU (2) AU2017357003B2 (ko)
BR (1) BR112019009352B1 (ko)
MX (2) MX2019005430A (ko)
WO (1) WO20180895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41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식 구조체 및 풍력발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9032B2 (en) 2019-02-21 2024-03-26 Vl Offshore, Llc Floating-type foundation for supporting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including a stabilized power cable, system of floating-type foundations, and a method of stabilizing the power cable
JP2022029139A (ja) * 2020-08-04 2022-02-17 ヴィーエル オフショア、エルエルシー 風力発電システムを支持するための動揺減衰付き半潜水浮体式基礎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1124B1 (en) * 2002-09-28 2004-07-13 Nagan Srinivasan Column-stabilized floating structures with truss pontoons
US20110253023A1 (en) * 2010-04-15 2011-10-20 Horton Wison Deepwater, Inc. Unconditionally stable floating offshore platform
KR20120132269A (ko) * 2011-05-25 2012-12-05 박남수 부력 구조물 조립용 브라켓 및 부력 구조물
KR20150101051A (ko) * 2014-02-25 2015-09-03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부유체 및 이를 갖는 부유식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4401A (en) * 1964-04-13 1965-12-21 Shell Oil Co Stabilized floating drilling platform
US3673974A (en) * 1970-03-17 1972-07-04 Dresser Ind Method and mobile marine platform apparatus having floating submerged mat stabilization
US4018179A (en) * 1975-11-28 1977-04-19 National Hydro-Hoist Company Pontoon system for supporting watercraft on a body of water
JPS5542649U (ko) * 1978-09-13 1980-03-19
JPS58218599A (ja) * 1982-06-10 1983-12-19 サンエス工業株式会社 風管
JPS59223594A (ja) * 1983-06-03 1984-12-1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セミサブ型プラツトフオ−ム
SE442619B (sv) 1984-06-01 1986-01-20 Goetaverken Arendal Ab Anordning for lagring av olja
US5653188A (en) 1990-12-13 1997-08-05 Institut Francais Du Petrole Semi submersible platform with porous pontoons
US6378450B1 (en) * 1998-05-01 2002-04-30 Friede & Goldman, Ltd. Dynamically positioned semi-submersible drilling vessel with slender horizontal braces
US7086809B2 (en) * 2003-01-21 2006-08-08 Marine Innovation & Technology Minimum floating offshore platform with water entrapment plate and method of installation
SE527745C2 (sv) 2004-04-02 2006-05-30 Gva Consultants Ab Ett semisubmersibelt offshore-fartyg och metoder för att positionera arbetsmoduler på sagda fartyg
US7270071B1 (en) 2007-03-30 2007-09-18 Atp Oil & Gas Corporation Deep draft semisubmersible movable offshore structure
SE533164C2 (sv) 2007-05-22 2010-07-13 Gva Consultants Ab Infästning för en marin struktur
US7900572B2 (en) * 2008-07-30 2011-03-08 Seahorse Equipment Corporation Drag-inducing stabilizer plates with damping apertures
US8418640B2 (en) * 2008-07-30 2013-04-16 Seahorse Equipment Corp Semisubmersible offshore platform with drag-inducing stabilizer plates
BR112012000785A2 (pt) 2009-07-13 2016-02-23 Shell Int Research sistema flutuante
MY163431A (en) * 2009-12-07 2017-09-15 Hexicon Ab Floating energy producing plant
JP5707593B2 (ja) 2010-06-30 2015-04-30 エバリス株式会社 アルミ構造柱による浮島造成工法
WO2013038433A1 (en) 2011-09-16 2013-03-21 Fincantieri Cantieri Navali Italiani S.P.A. Modular semi-submersibl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uch structure
US8967068B2 (en) * 2012-06-27 2015-03-03 Technip France Floating offshore platform and centralized open keel plate
US9302747B2 (en) * 2013-04-10 2016-04-05 Technip France Floating offshore platform with pontoon-coupled extension plates for reduced heave motion
US20150016892A1 (en) 2013-07-11 2015-01-15 Floatec, Llc TLP Ponto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1124B1 (en) * 2002-09-28 2004-07-13 Nagan Srinivasan Column-stabilized floating structures with truss pontoons
US20110253023A1 (en) * 2010-04-15 2011-10-20 Horton Wison Deepwater, Inc. Unconditionally stable floating offshore platform
KR20120132269A (ko) * 2011-05-25 2012-12-05 박남수 부력 구조물 조립용 브라켓 및 부력 구조물
KR20150101051A (ko) * 2014-02-25 2015-09-03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부유체 및 이를 갖는 부유식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41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식 구조체 및 풍력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57003B2 (en) 2023-06-15
US10358188B2 (en) 2019-07-23
US11084553B2 (en) 2021-08-10
CN110087987B (zh) 2021-09-17
EP3538429B1 (en) 2023-08-16
MX2023000545A (es) 2023-02-13
AU2023229560A1 (en) 2023-09-28
JP6953540B2 (ja) 2021-10-27
AU2017357003A1 (en) 2019-05-30
MX2019005430A (es) 2019-09-27
KR102223480B1 (ko) 2021-03-05
JP2019534206A (ja) 2019-11-28
BR112019009352B1 (pt) 2023-09-26
EP3538429A1 (en) 2019-09-18
EP3538429A4 (en) 2020-08-05
BR112019009352A2 (pt) 2019-08-06
CN110087987A (zh) 2019-08-02
WO2018089597A1 (en) 2018-05-17
US20190291820A1 (en) 2019-09-26
US20180127060A1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40838A1 (en) Cellular SPAR apparatus and method
US8387550B2 (en) Offshore floating platform with motion damper columns
KR20190069586A (ko) 둥근 철주를 갖는 부유 근해 구조물
US882683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PSO deck mating
CN102482860A (zh) 海上支撑结构和相关的安装方法
WO2007142400A1 (en) Extended spherical lng storage t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097809B2 (en) Methods for constructing hulls for offshore structures
US201201956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ectional truss spar hull for offshore floating structure
CA2534491C (en) Cylindrical hull structural arrangement
WO2019044194A1 (ja) ライザー管支持構造
CN113152496B (zh) 一种用于钢护筒上牛腿水下焊接的封水套箱
US20150037103A1 (en) Cellular tendons for tlp
OA19344A (en)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with round pontoons
CN207791080U (zh) 半潜生产平台
US20150321735A1 (en) Multi-Column Tension Leg Platform
JP2019043525A (ja) ライザー管支持構造
CN110126984B (zh) 船舶用支撑装置
CN108639265B (zh) 一种四立柱浮式平台的船体与大型上部组块的连接结构
KR20130117173A (ko) 데크 서포트 유닛의 서브 서포트
JP2019147523A (ja) 洋上浮体構造物のタワー構造物支持構造
CN115456212A (zh) 一种网箱船海损进坞维修的方法
BR102017007266B1 (pt) Sistema e método de montagem de pelo menos uma seção de bundle de uma torre de elevação híbrida em ambiente aquático
KR20130116660A (ko) 탑 사이드 데크의 콘 구조물
BR102017007266A2 (pt) sistema e método de montagem de pelo menos uma seção de bundle de uma torre de elevação híbrida em ambiente aquático
AU2006200713A1 (en) Cylindrical hull structural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