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131A -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 Google Patents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131A
KR20190068131A KR1020170168219A KR20170168219A KR20190068131A KR 20190068131 A KR20190068131 A KR 20190068131A KR 1020170168219 A KR1020170168219 A KR 1020170168219A KR 20170168219 A KR20170168219 A KR 20170168219A KR 20190068131 A KR20190068131 A KR 20190068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vehicle body
floor
center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255B1 (ko
Inventor
이병천
정희석
김현식
홍덕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255B1/ko
Priority to US15/939,718 priority patent/US10532777B2/en
Priority to CN201810544627.1A priority patent/CN109895867B/zh
Publication of KR2019006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와이어 등의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차체의 강성이 보장된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은, 차체의 프런트 바디와 차실 내부를 구획하는 대시 패널에 전단이 연결되고, 차체의 리어 바디의 전단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리어 크로스 멤버에 후단이 연결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로서, 차체의 전후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상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플로어 터널부 및 상기 플로어 터널부로부터 차체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플로어 측방 연장부로 구성되며, 복수개가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면서 배열되는 센터 플로어 멤버와, 상기 복수개의 플로어 터널부를 연결하도록 차체의 전후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상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크로스 터널부 및 상기 복수개의 플로어 측방 연장부를 연결하도록 차체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크로스 터널부에 결합되는 크로스 측방 연장부로 구성되며, 복수개가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센터 크로스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CENTER FLOOR PAN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터널이 형성된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은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전후방향을 따라 프런트 플로어 패널, 센터 플로어 패널, 및 리어 플로어 패널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브레이크 페달, 탑승자를 위한 시트 등이 장착되고, 하면에는 배기 파이프, 프로펠러 샤프트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전방에 엔진이 장착되고, 후륜이 구동륜인 차량과 같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추진축이 가로지르는 차량에서는 상기 추진축이 통과하는 터널이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에 형성된다. 이러한 터널은 오목하게 상측으로 패인 "U"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U"자 형상의 중공에 상기 추진축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반면,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를 포함하는 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차량의 총칭으로서의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 또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 측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전방에 엔진이 장착되고, 전륜이 구동륜이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는 상기 터널과 같은 구성이 요구되지 않으며, 내연기관 자동차와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는 플로어 패널의 강성을 더욱 필요로 한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구동 모터를 연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고전압 와이어 등의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고, 이러한 고전압 와이어가 브레이크 호스, 히터 호스, 냉각 파이프 등의 부품과 함께 사이드 실에 내장되면, 스몰 오버랩과 같은 옵셋 충돌 시에 프런트 사이드 멤버 및 사이드 실에 가해진 충격 에너지가 협소한 공간에 내장된 고전압 와이어에 전달되어 위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고전압 와이어 등의 부품이 배치되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플로어 패널의 무분별한 변형은 차체의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전압 와이어 등의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차체의 강성이 보장된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은, 차체의 프런트 바디와 차실 내부를 구획하는 대시 패널에 전단이 연결되고, 차체의 리어 바디의 전단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리어 크로스 멤버에 후단이 연결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은, 차체의 전후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상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플로어 터널부 및 상기 플로어 터널부로부터 차체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플로어 측방 연장부로 구성되며, 복수개가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면서 배열되는 센터 플로어 멤버와, 상기 복수개의 플로어 터널부를 연결하도록 차체의 전후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상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크로스 터널부 및 상기 복수개의 플로어 측방 연장부를 연결하도록 차체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크로스 터널부에 결합되는 크로스 측방 연장부로 구성되며, 복수개가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센터 크로스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터널부와 상기 플로어 터널부가 번갈아 결합되어 "U"자 형상의 중공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터널부에는 고전압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와이어는 상기 리어 바디 측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프런트 바디 측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 및 상기 센터 크로스 멤버의 차체 폭 방향 양측에는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센터 플로어 멤버 중 최전방에 배치된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에는 상기 대시 패널에 삽입되도록 상기 플로어 터널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연장부는 상기 플로어 터널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대시 패널의 하단에는 상기 전방 연장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 연장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전방 센터 플로어 멤버에서, 상기 플로어 측방 연장부의 전단, 상기 전방 연장부의 차체의 폭방향 양단, 및 상기 전방 연장부의 전단에는 상기 대시 패널에 용접되는 용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센터 플로어 멤버 중 최후방에 배치된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에는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에 삽입되도록 상기 플로어 터널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연장부는 상기 플로어 터널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연장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후방 연장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터널부 및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는 차체의 폭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박스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의 박스 형상이 상기 크로스 터널부의 박스 형상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터널부에는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터널부 및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의 전단 및 후단에는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의 후단 및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의 전단에 각각 용접되도록 용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에는 박스 형상 내측에서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부에 고전압 와이어 등의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터널부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시 패널 및 리어 크로스 멤버와 결합됨으로써, 터널부를 형성하기 위한 대시 패널 및 리어 크로스 멤버에 형성된 공간을 차단하고,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나아가, 센터 크로스 멤버가 크로스 터널부와 복수개의 리브를 갖도록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작된 크로스 측방 연장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고전압 와이어 등의 부품이 사이드 실에 배치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스몰 오버랩과 같은 옵셋 충돌 시에 충격 에너지가 고전압 와이어에 전달되어 야기되는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최전방 센터 플로어 멤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최후방 센터 플로어 멤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최전방 센터 플로어 멤버와 대시 패널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센터 크로스 멤버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1)은 센터 플로어 멤버(10), 센터 크로스 멤버(20), 및 터널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터 플로어 패널(1)이 차체의 프런트 바디(front body)를 구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도시하지 않음) 및 프런트 플로어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후단과 차체의 리어 바디(rear body)를 구성하는 리어 사이드 멤버(도시하지 않음) 및 리어 플로어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전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1)의 전단이 상기 프런트 바디와 차실 내부를 구획하는 대시 패널(40)과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리어 바디의 전단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리어 크로스 멤버(50)와 연결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10)는 차체의 전후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상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플로어 터널부(12) 및 상기 플로어 터널부(1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로어 터널부(12)로부터 차체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플로어 측방 연장부(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10)는 복수개가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면서 배열된다.
상기 센터 크로스 멤버(20)는 상기 복수개의 센터 플로어 멤버(10)를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센터 플로어 멤버(10)가 각각 이격된 공간에 배치된다. 즉, 상기 센터 크로스 멤버(20)는 복수개가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10)와 상기 센터 크로스 멤버(20)가 번갈아 배치되어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1)이 형성된다.
상기 센터 크로스 멤버(20)는 차체의 전후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상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크로스 터널부(22) 및 차체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크로스 터널부(22)에 결합되며, 상기 크로스 터널부(22)로부터 차체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측방 연장부(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크로스 터널부(22)는 상기 플로어 터널부(12)에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는 상기 플로어 측방 연장부(14)에 결합된다.
상기 터널부(32)는 상기 크로스 터널부(22)와 상기 플로어 터널부(12)가 번갈아 결합되어 "U"자 형상의 중공이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터널부(32)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리어 바디 측에 배치되는 배터리(3)의 전력을 상기 프런트 바디 측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5)에 전달하도록 상기 배터리(3)와 상기 구동 모터(5)를 연결하는 고전압 와이어(35)가 배치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1)은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며, 여기서의 전기자동차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를 포함하는 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차량의 총칭이다.
여기서,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10) 및 상기 센터 크로스 멤버(20)의 차체 폭 방향 양측에는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실(60)이 결합된다. 이러한 사이드 실(60)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기존의 고전압 와이어는 사이드 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었으나, 이는 스몰 오버랩과 같은 옵셋 충돌 시에 사이드 실에 가해진 충격 에너지에 의해 고전압 와이어가 손상되어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최전방 센터 플로어 멤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최후방 센터 플로어 멤버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센터 플로어 멤버(10) 중 최전방에 배치된 센터 플로어 멤버(10)에는 전방 연장부(12f)가 형성되고, 최후방에 배치된 센터 플로어 멤버(10)에는 후방 연장부(12r)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연장부(12f)는 상기 플로어 터널부(1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전방 연장부(12f)는 상기 플로어 터널부(12)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대시 패널(40)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대시 패널(40)의 하단에는 상기 전방 연장부(12f)가 삽입되도록 상기 전방 연장부(12f)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된다(도 4 참조).
상기 후방 연장부(12r)는 상기 플로어 터널부(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후방 연장부(12r)는 상기 플로어 터널부(12)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50)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50)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연장부(12r)가 삽입되도록 상기 후방 연장부(12r)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된다(도 4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최전방 센터 플로어 멤버와 대시 패널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에는 상기 최전방 센터 플로어 멤버(10)와 상기 대시 패널(40)의 결합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최후방 센터 플로어 멤버(10)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50)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전방 센터 플로어 멤버(10)의 플로어 측방 연장부(14)의 전단 및 상기 전방 연장부(12f)의 차체의 폭방향 양단에는 용접부(W)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부(W)는 상기 대시 패널(40)의 하단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대시 패널(40)과 용접된다. 나아가, 상기 전방 연장부(12f)의 전단에 용접부(W)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전방 연장부(12f)의 전단에 형성된 용접부(W)는 상기 대시 패널(40)의 전단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대시 패널(40)과 용접된다. 도 4에는 용접점이 "X"자로 표시되었으며, 상기 용접부(W)가 상기 대시 패널(40)에 겹쳐지는 구성상 판의 양방향이 아닌 한쪽방향에서만 용접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의 센터 크로스 멤버의 분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 터널부(22) 및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는 차체의 폭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박스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의 박스 형상이 상기 크로스 터널부(22)의 박스 형상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 터널부(22)에는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를 지지하는 지지면(22s)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크로스 터널부(22) 및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의 전단 및 후단에는 용접부(W)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 터널부(22) 및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의 전단 용접부(W)는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10)의 후단에 용접되고, 상기 크로스 터널부(22) 및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의 후단 용접부(W)는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10)의 전단에 용접된다.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에는 복수개의 리브(24r)가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리브(24r)는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의 박스 형상 내측에서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24)는 제작되는 형상에 대한 제약이 적은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의해 성형된다. 여기서, 다이캐스팅은 필요한 부품의 형상에 완전히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기계 가공된 금형에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주물을 얻는 정밀 주조법으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부(32)에 고전압 와이어(35) 등의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터널부(12)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시 패널(40) 및 리어 크로스 멤버(50)와 결합됨으로써, 터널부(32)를 형성하기 위한 대시 패널(40) 및 리어 크로스 멤버(50)에 형성된 공간을 차단하고,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나아가, 센터 크로스 멤버(20)가 크로스 터널부(22)와 복수개의 리브(24r)를 갖도록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작된 크로스 측방 연장부(2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고전압 와이어(35) 등의 부품이 사이드 실(60)에 배치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스몰 오버랩과 같은 옵셋 충돌 시에 충격 에너지가 고전압 와이어(35)에 전달되어 야기되는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센터 플로어 패널
3: 배터리 5: 구동모터
10: 센터 플로어 멤버 12: 플로어 터널부
12f: 전방 연장부 12r: 후방 연장부
14: 플로어 측방 연장부
20: 센터 크로스 멤버 22: 크로스 터널부
22s: 지지면 24: 크로스 측방 연장부
24r: 리브
32: 터널부 35: 와이어
40: 대시 패널 50: 리어 크로스 멤버
60: 사이드 실
W: 용접부

Claims (14)

  1. 차체의 프런트 바디와 차실 내부를 구획하는 대시 패널에 전단이 연결되고, 차체의 리어 바디의 전단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리어 크로스 멤버에 후단이 연결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
    차체의 전후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상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플로어 터널부 및 상기 플로어 터널부로부터 차체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플로어 측방 연장부로 구성되며, 복수개가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면서 배열되는 센터 플로어 멤버; 및
    상기 복수개의 플로어 터널부를 연결하도록 차체의 전후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상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크로스 터널부 및 상기 복수개의 플로어 측방 연장부를 연결하도록 차체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크로스 터널부에 결합되는 크로스 측방 연장부로 구성되며, 복수개가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센터 크로스 멤버;
    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 터널부와 상기 플로어 터널부가 번갈아 결합되어 "U"자 형상의 중공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터널부에는 고전압 와이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와이어는 상기 리어 바디 측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프런트 바디 측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 및 상기 센터 크로스 멤버의 차체 폭 방향 양측에는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센터 플로어 멤버 중 최전방에 배치된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에는 상기 대시 패널에 삽입되도록 상기 플로어 터널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연장부는 상기 플로어 터널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대시 패널의 하단에는 상기 전방 연장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 연장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방 센터 플로어 멤버에서, 상기 플로어 측방 연장부의 전단, 상기 전방 연장부의 차체의 폭방향 양단, 및 상기 전방 연장부의 전단에는 상기 대시 패널에 용접되는 용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센터 플로어 멤버 중 최후방에 배치된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에는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에 삽입되도록 상기 플로어 터널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연장부는 상기 플로어 터널부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하단에는 상기 후방 연장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후방 연장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터널부 및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는 차체의 폭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박스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의 박스 형상이 상기 크로스 터널부의 박스 형상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터널부에는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터널부 및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의 전단 및 후단에는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의 후단 및 상기 센터 플로어 멤버의 전단에 각각 용접되도록 용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에는 박스 형상 내측에서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측방 연장부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KR1020170168219A 2017-12-08 2017-12-08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KR102383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19A KR102383255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US15/939,718 US10532777B2 (en) 2017-12-08 2018-03-29 Center floor panel for vehicle
CN201810544627.1A CN109895867B (zh) 2017-12-08 2018-05-31 用于车辆的中央地板板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19A KR102383255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131A true KR20190068131A (ko) 2019-06-18
KR102383255B1 KR102383255B1 (ko) 2022-04-05

Family

ID=6673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219A KR102383255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32777B2 (ko)
KR (1) KR102383255B1 (ko)
CN (1) CN1098958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187A (ko) * 2020-02-13 2021-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배터리가 장착되는 차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609B1 (ko) * 2017-12-27 2022-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측방 차체 보강구조
JP6996352B2 (ja) * 2018-03-06 2022-0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6683777B2 (ja) * 2018-08-28 2020-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ケースの固定構造
KR20210076430A (ko) *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플로어구조
EP4298007A1 (en) 2021-03-31 2024-01-03 Shape Corp. Swept crossmember for vehicle floor
CN115384622B (zh) * 2022-08-29 2023-11-24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车身组件和车辆
DE102022127724A1 (de) 2022-10-20 2024-04-25 Audi Aktiengesellschaft Bodenstruktur einer Karosserie eines Fahrzeugs, Karosserie und Fahrzeug
WO2024091270A1 (en) * 2022-10-28 2024-05-02 Atieva, Inc. Structural crossmember with battery pack mounting f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0222A (en) * 1949-01-22 1955-06-07 Barenyi Bela Reinforced floor plate for body of sectional automobile
US20040155487A1 (en) * 2003-02-10 2004-08-1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20140170342A1 (en) * 2012-12-18 2014-06-19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hicle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083A (ja) * 1996-06-12 1997-12-22 Suzuki Motor Corp 車両のフロア構造
JP3765947B2 (ja) * 1998-07-13 2006-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の配置構造
JP3888415B2 (ja) * 2000-02-22 2007-03-07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体構造
JP3928321B2 (ja) * 2000-02-29 2007-06-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ア構造
FR2824040B1 (fr) * 2001-04-27 2003-09-05 Renault Dispositif de renfort de tunnel
JP4221998B2 (ja) * 2002-10-28 2009-02-12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電気機器固定構造
US7140642B2 (en) * 2004-02-12 2006-11-28 Mazda Motor Corporation Fuel tank disposition structure of vehicle
JP4802589B2 (ja) * 2005-07-25 2011-10-26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2009083702A (ja) * 2007-10-01 2009-04-23 Mazda Motor Corp 車両の車室底部構造
CN103249637B (zh) * 2010-12-24 2016-02-1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汽车的车身构造
JP5477322B2 (ja) * 2011-04-01 2014-04-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電装部品配設構造
JP6035730B2 (ja) * 2011-11-24 2016-11-3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フロアパネル制振構造
JP5928869B2 (ja) * 2011-11-29 2016-06-01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前部におけるダッシュクロスメンバの取付構造
WO2013084324A1 (ja) * 2011-12-07 2013-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DE102013004793A1 (de) * 2013-03-20 2014-09-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Bodenstruktu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FR3024422B1 (fr) * 2014-08-04 2016-08-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lancher avec traverse comprenant une portion deformable en compression
CN205499083U (zh) * 2016-03-02 2016-08-24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厢地板及汽车
US10370035B2 (en) * 2016-12-08 2019-08-06 Inevit Llc Motor guidance component configured to direct movement of a dislodged electric motor of an electric vehicle in response to crash forces
CN107416042B (zh) * 2017-07-14 2019-11-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地板前部的九宫格式骨架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0222A (en) * 1949-01-22 1955-06-07 Barenyi Bela Reinforced floor plate for body of sectional automobile
US20040155487A1 (en) * 2003-02-10 2004-08-1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20140170342A1 (en) * 2012-12-18 2014-06-19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hicle compon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187A (ko) * 2020-02-13 2021-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배터리가 장착되는 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76901A1 (en) 2019-06-13
KR102383255B1 (ko) 2022-04-05
US10532777B2 (en) 2020-01-14
CN109895867A (zh) 2019-06-18
CN109895867B (zh)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8131A (ko)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패널
US10688857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9505442B2 (en) Energy absorbing rocker assembly
EP3159199B1 (en) Vehicle underfloor structure
US20170106916A1 (en) Vehicle floor lower structure
CN110027626B (zh) 侧面车身增强结构
JP6816664B2 (ja) 車体前部構造
US9676416B2 (en) Vehicle body front portion structure and load receiving member
US20170106743A1 (en) Vehicle floor lower structure
CN109291778B (zh) 车辆地板下方结构
US9422004B2 (en) Vehicle body front section structure
KR102440612B1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JP5609495B2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KR100774771B1 (ko) 전방 차체 케이블 연결구조
JP4505716B2 (ja) 車両の電気機器固定構造
KR101637265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WO2011145577A1 (ja) 高電圧ユニットの保護構造
CN112109811B (zh) 车身结构和包括该车身结构的车辆
JP7156222B2 (ja) バッテリプロテクタ
KR20190080578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의 마운팅 유닛
KR20190079777A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JP5606204B2 (ja) 自動車のフロア前部構造
US8215689B2 (en) Modular system and production process for motor vehicles
JP2022083587A (ja) 車両
JPH051664U (ja) 車両用シヤーシ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