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935A -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935A
KR20190065935A KR1020180143402A KR20180143402A KR20190065935A KR 20190065935 A KR20190065935 A KR 20190065935A KR 1020180143402 A KR1020180143402 A KR 1020180143402A KR 20180143402 A KR20180143402 A KR 20180143402A KR 20190065935 A KR20190065935 A KR 20190065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purification
fish
skin
chromat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079B1 (ko
Inventor
황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테크노
Publication of KR20190065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8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hydrolysis, i.e. solvolysi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18Ion-exchange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20Partition-, reverse-phase or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3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processes of different types

Abstract

본 발명은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 부산물로부터 고순도의 마린 콜라겐을 생산하기 위한 마린콜라겐의 고순도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은 어류 부산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을 수득하는 전처리단계와, 알칼리와 산을 이용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는 추출단계와, 콜라겐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refining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marine collagen}
본 발명은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 부산물로부터 고순도의 마린 콜라겐을 생산하기 위한 마린콜라겐의 고순도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동물 체내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체단백질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며, 최소 19종류(TypeⅠ-ⅩⅨ) 이상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Nakamura, Y.N. et al., Relationship among collagen amount, distribution and architecture in the M. Longissimus thoracis and M. pectoralis profundus from pigs. Meat Science, 64, pp 43-50, 2003). 또한, 콜라겐은 동물의 결합조직의 주요 단백질이며, 조직이나 장기를 지탱하게 하고 체표를 둘러싸고 있어 체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생체에서 피부, 연골, 뼈 등의 결합조직의 주요한 구성성분으로 40%는 피부, 20%는 뼈와 연골, 그 외 혈관과 내장 등 전신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콜라겐은 이중 나선구조를 하고 있는 근원섬유 단백질과는 달리 삼중 나선구조로, 그 직경이 약 14~15nm, 길이는 280~300nm, 평균 분자량은 약 300KDa이며(Lehninger, A.L. Biochemistry, 2nd ed., pp.145, 1975), (Gly-X-Y)n과 같은 규칙적인 형태의 아미노산 배열을 가지며 섬유상 단백질의 기본단위 분자인 트로포콜라겐(tropocollagen) 분자 내 또는 트로포콜라겐(tropocollagen) 분자 간의 공유결합성 교차결합(crosslinking)에 의해 물리적, 생물학적으로 안정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McClain, P.E. et al., Amino acid composition and cross-linking characteristics of collagen intramuscular connective tissue of striated muscle(Bos tauru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2(7), pp 121-124, 1971).
콜라겐은 예전부터 피혁이나 젤라틴의 원료로서 응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그 응용분야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식품 산업에서는 가식성 케이싱(casing) 원료로 소세지(sausage), 살라미(salami) 등 육의 포장재에 이용되고 있다. 의약품에 응용되는 콜라겐은 화상이나 상처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 대해 치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eyanthi, R. et al., Solid tumour chemotherapy using implantable collagen-poly (HEMA) hydrogel containing 5-fluorouracil. Journal of Pharmacy & Pharmacology, 43, pp.60-62, 1991). 이처럼 콜라겐은 식품,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보습성을 높이는 기능이 있어 화장품의 기초 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콜라겐은 주로 소, 돼지 등 축산물로부터 추출된 것이었으나 최근 광우병 파동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 안전성에 문제를 제기함에 따라 최근 일본을 중심으로 미국과 EU등에서 해양생물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최근 안전성 및 산업적 가치의 재조명으로 해양동물 유래 마린 콜라겐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어류 또는 수산생물에서 추출된 마린 콜라겐을 식품이나 화장품 소재로서 일부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해양생물로부터 대량의 고순도 콜라겐을 생산하기 위한 추출과 정제공정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0312호: 어류비늘 콜라겐펩타이드의 제조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1971호: 어류껍질 유래의 콜라겐 펩타이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어류부산물로부터 고순도의 마린 콜라겐을 생산할 수 있는 정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은 어류 부산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을 수득하는 전처리단계와; 알칼리와 산을 이용하여 상기 어류 부산물 분말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콜라겐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단계는 a)상기 어류 부산물 분말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비콜라겐성 단백질이 제거된 알칼리잔사를 분리하는 단계와, b)상기 알칼리잔사에 초산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산가용화 콜라겐을 분리하는 단계와, c)상기 산가용화 콜라겐에 펩신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펩신가용화 콜라겐을 분리하는 단계와, d)상기 펩신가용화콜라겐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콜라겐을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제단계는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상기 콜라겐을 탈염시킨 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1차 정제하고 다음으로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로 2차 정제한 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3차 정제하다.
상기 정제단계는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로 상기 콜라겐을 1차 정제한 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2차 정제한 다음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3차 정제한다.
상기 어류 부산물은 어피이며, 상기 전처리단계는 a)상기 어피를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b)상기 어피를 교반조에 담긴 0. 1 내지 0. 2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투입하여 6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어피에 부착된 비늘을 탈리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어피를 수분 함량 2 내지 7중량%로 건조시키는 단계와, c)상기 어피를 50 내지 150메쉬 입도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단계는 상기 교반조에 40 내지 60kHz의 초음파를 가하면서 교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콜라겐을 정제함으로써 어류 부산물로부터 고순도의 마린 콜라겐을 생산할 수 있는 정제공정을 확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정제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정제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콜라겐의 정제원리를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고,
도 5는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콜라겐의 정제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고,
도 6은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콜라겐의 정제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고,
도 7은 마린콜라겐의 분자량 분석 결과이고,
도 8은 마린콜라겐의 아미노산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어류 부산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을 수득하는 전처리단계와, 알칼리와 산을 이용하여 상기 어류 부산물 분말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는 추출단계와, 콜라겐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단계별로 살펴본다.
1. 전처리단계
전처리단계에서 어류 부산물을 세척, 건조 및 분쇄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을 수득한다.
어류 부산물은 깨끗한 물로 2 내지 3회 정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수분 함량 2 내지 7중량%로 건조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을 수득한다.
어류 부산물로 어피를 이용할 수 있다. 어피는 어류의 껍질로서, 모든 해양 어류의 껍질이 적용될 수 있다.
어류 부산물인 어피는 음식물쓰레기로 분류되어 일반음식물과 같이 퇴비로 대부분 활용되고 있다. 건조한 어피는 단백질 및 유용물질이 90% 이상이어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어피의 활용은 수입대체 및 양질의 수산단백질, 콜라겐의 공급으로 경제적 상승효과 및 친환경적 산업개발에 매우 적합하다. 어피는 콜라겐, 알부민, 미오신, 엘라스틴 등 다양한 고분자 단백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고, 안정된 수량 확보를 기대할 수 있는 어류 부산물이다.
어류 부산물로 어피를 이용할 경우 전처리단계는 비늘을 제거하는 공정이 더 추가될 수 있다.
가령, 전처리단계는 a)어피를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b)어피를 교반조에 담긴 0. 1 내지 0. 2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투입하여 6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어피에 부착된 비늘을 탈리시키는 단계와, c) 어피를 수분 함량 2 내지 7중량%로 건조시키는 단계와, c)어피를 50 내지 150메쉬 입도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어피를 깨끗한 물로 2 내지 3회 정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세척한 어피에 부착된 비늘을 제거한다.
어류 부산물로 어피를 이용하는 경우 건조 전에 어피에 붙은 비늘을 미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늘을 제거하지 않고 후술하는 분쇄공정을 수행할 경우 비늘로 인하여 분쇄기 토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분쇄작업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막힘 현상에 기인한 분쇄물 압력 증가로 분쇄기 토출부 부품이 파손된 현상이 일어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어피에 붙은 비늘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도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작업자가 일일이 비늘을 제거하면 공정상 어려움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어피에 부착된 비늘을 간단하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한 어피를 교반조에 담긴 0.1 내지 0.2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투입하여 6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수산화나트륨 용액에서 어피를 교반하게 되면 생선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비늘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0.1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서는 80 내지 90%의 비늘이 제거되고, 0.2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서는 90 내지 100%의 비늘이 제거된다. 비늘을 분리한 후 다시 물로 세척한다.
그리고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어피를 투입하여 교반시 초음파를 가해 비늘 제거 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다. 가령,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담긴 교반조의 바닥에 초음파 진동자를 설치하여 교반조 내부로 40 내지 60kHz의 초음파를 가하면서 교반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의해 비늘의 부착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초음파가 어피에 가해지면 비늘의 제거가 더욱 용이해진다.
어피의 비늘을 제거한 후 수분 함량 2 내지 7중량%로 건조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50 내지 150메쉬 입도 크기로 분쇄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을 얻을 수 있다.
2. 추출단계
다음으로, 추출단계에서 알칼리와 산을 이용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한다.
일 예로 추출단계는 a)어류 부산물 분말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비콜라겐성 단백질이 제거된 알칼리잔사를 분리하는 단계와, b)알칼리잔사에 초산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산가용화 콜라겐을 분리하는 단계와, c)산가용화 콜라겐에 펩신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펩신가용화 콜라겐을 분리하는 단계와, d)펩신가용화콜라겐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콜라겐을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알칼리와 산을 이용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어류 부산물 분말과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1: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실온(20~25℃)에서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를 통해 하부에 침전된 알칼리잔사를 수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알칼리잔사를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알칼리잔사와 초산용액을 1: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실온(20~25℃)에서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 즉 산 가용화 콜라겐을 수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산가용화 콜라겐에 펩신을 가하여 실온(20~25℃)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 즉 펩신 가용화 콜라겐을 수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펩신가용화콜라겐에 염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콜라겐을 침전시킨 후 필터로 여과하여 침전된 콜라겐을 수거한다. 이와 같이 수거된 콜라겐은 콜라겐 외의 다른 단백질(혼입 단백질)과 기타 유기물이 혼입되어 있으므로 고순도의 콜라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정제과정이 필요하다.
3. 정제단계
혼입 단백질과 기타 유기물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콜라겐을 생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콜라겐을 정제한다.
일 예로, 정제단계는 인산셀룰로오스를 충진한 컬럼이 장착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ion-exchange chromatography;IEX)를 이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콜라겐을 20mM Na2HPO4에서 투석하여 펩신을 불활성화시킨 다음 2M 요소를 포함한 50mM 초산용액(pH 4.8)에 대해 투석한 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을 용출시킨다. 가령, 인산셀룰로오스(P11, Whatman, Maidstone, UK)를 충진한 컬럼에서 0~600mM NaCl의 linear gradient(60ml/h)로 정제를 진행하고, 230nm에서 용출된 분획을 2.0M NaCl을 포함한 0.5M 초산용액으로 투석하여 회수한 다음 증류수로 투석, 동결건조하여 고순도 마린콜라겐을 얻을 수 있다.
위의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ion-exchange chromatography;IEX) 외에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크로마토그래피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filtration chromatography;GFC),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HIC)를 들 수 있다.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는 단백질 용액의 pH를 조절하여 표면전하를 변화시키면서 단백질을 분리하는 정제법이다. 어류 부산물로부터 추출된 콜라겐은 pH가 7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최적의 컬럼을 선정하여 정제할 수 있다.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원리를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는 높은 염농도에서 단백질이 소수성을 띠게 되어 소수성 리간드(ligand)와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는 정제법이다. 염농도를 낮추어 소수성이 낮은 단백질을 용출하여 소수성이 높은 단백질을 순차적으로 용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원리를 도 5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는 단백질의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는 정제법으로서, 분자량이 작은 단백질은 겔의 기공 속으로 잘 확산되어 겔에 오랜 시간을 머물고 분자량이 큰 단백질은 기공에 확산이 잘되지 않아 빨리 용출된다.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원리를 도 6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콜라겐을 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은 어류 부산물로부터 고순도의 마린 콜라겐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크로마토그래피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도 정제가 가능하지만 순수한 단백질을 얻기 위해서는 다수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콜라겐을 정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상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할 경우 크로마토그래피의 순서에 따라 콜라겐의 정제에 소요되는 시간, 소요되는 비용이 달라지므로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순서가 중요하다.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정제 단계의 첫번째 크로마토그래피로 이용할 경우 콜라겐의 침전에 사용했던 염을 제거하는 탈염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그리고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를 정제 단계의 첫번째 크로마토그래피로 이용할 경우 염의 제거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탈염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정제단계의 2가지 예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다.
정제단계의 일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콜라겐을 탈염시킨 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1차 정제하고 다음으로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로 2차 정제한 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3차 정제한다.
정제단계의 다른 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로 콜라겐을 1차 정제한 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2차 정제한 다음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3차 정제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콜라겐을 단계적으로 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은 어류 부산물로부터 더욱 순도가 좋은 마린 콜라겐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하기의 실험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연어 가공시 발생된 부산물인 연어 껍질을 어피의 재료로 이용하였다. 어피를 세척한 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어피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어피 분말과 0.1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1:8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실온(2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알칼리잔사를 얻었다. 알칼리잔사를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알칼리잔사와 0.5M의 초산용액을 1:8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실온(2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여 산가용화 콜라겐(ASC)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산가용화 콜라겐에 펩신(EC 3.4.23.1;crystallized and lyophilized, Sigma, MO)을 가하여 실온(2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로 상등액을 분리하여 펩신 가용화 콜라겐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펩신가용화 콜라겐에 2M의 염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콜라겐을 침전시킨 다음 필터로 여과하여 침전된 콜라겐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콜라겐은 20mM Na2HPO4에서 투석하여 펩신을 불활성화시킨 다음 2M 요소를 포함한 50mM 초산용액(pH 4.8)에서 투석한 후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인산셀룰로오스(P11, Whatman, Maidstone, UK)를 충진한 컬럼에서 0~600mM NaCl의 linear gradient(60ml/h)로 정제를 진행하고, 230nm에서 용출된 분획을 2.0M NaCl을 포함한 0.5M 초산용액으로 투석하여 회수한 다음 증류수로 투석, 동결건조하여 마린콜라겐을 얻었다.
1. 마린콜라겐의 분자량 분석
마린콜라겐의 분자량 분석을 위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시험의뢰하였다.
분석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마린콜라겐의 분자량은 약 93900D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마린콜라겐의 아미노산 분석
마린콜라겐의 아미노산 분석을 위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시험의뢰하였다. 분석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마린콜라겐 중의 glycine은 약 41mol%, proline 12mol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어류 부산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어류 부산물 분말을 수득하는 전처리단계와;
    알칼리와 산을 이용하여 상기 어류 부산물 분말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콜라겐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단계는 a)상기 어류 부산물 분말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비콜라겐성 단백질이 제거된 알칼리잔사를 분리하는 단계와, b)상기 알칼리잔사에 초산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산가용화 콜라겐을 분리하는 단계와, c)상기 산가용화 콜라겐에 펩신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펩신가용화 콜라겐을 분리하는 단계와, d)상기 펩신가용화콜라겐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콜라겐을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상기 콜라겐을 탈염시킨 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1차 정제하고 다음으로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로 2차 정제한 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3차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소수성 상호반응 크로마토그래피로 상기 콜라겐을 1차 정제한 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2차 정제한 다음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3차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부산물은 어피이며,
    상기 전처리단계는 a)상기 어피를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b)상기 어피를 교반조에 담긴 0. 1 내지 0. 2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투입하여 6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어피에 부착된 비늘을 탈리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어피를 수분 함량 2 내지 7중량%로 건조시키는 단계와, c)상기 어피를 50 내지 150메쉬 입도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단계는 상기 교반조에 40 내지 60kHz의 초음파를 가하면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KR1020180143402A 2017-12-04 2018-11-20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KR102153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18 2017-12-04
KR20170165018 2017-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935A true KR20190065935A (ko) 2019-06-12
KR102153079B1 KR102153079B1 (ko) 2020-09-07

Family

ID=6684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402A KR102153079B1 (ko) 2017-12-04 2018-11-20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4501A (zh) * 2022-05-10 2022-07-22 泸州品创科技有限公司 鱼皮胶原蛋白海绵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30127524A (ko) 2022-02-25 2023-09-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순도 고분자 콜라겐의 추출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312B1 (ko) 2008-04-07 2011-03-08 주식회사 키토라이프 어류비늘 콜라겐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1451971B1 (ko) 2012-07-26 2014-10-23 영산홍어(주) 어류껍질 유래의 콜라겐 펩타이드 대량생산방법
KR101795655B1 (ko) * 2016-03-14 2017-11-08 전라남도 어류부산물을 이용한 의료용 마린콜라겐과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312B1 (ko) 2008-04-07 2011-03-08 주식회사 키토라이프 어류비늘 콜라겐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1451971B1 (ko) 2012-07-26 2014-10-23 영산홍어(주) 어류껍질 유래의 콜라겐 펩타이드 대량생산방법
KR101795655B1 (ko) * 2016-03-14 2017-11-08 전라남도 어류부산물을 이용한 의료용 마린콜라겐과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524A (ko) 2022-02-25 2023-09-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순도 고분자 콜라겐의 추출방법
CN114774501A (zh) * 2022-05-10 2022-07-22 泸州品创科技有限公司 鱼皮胶原蛋白海绵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774501B (zh) * 2022-05-10 2023-07-25 泸州品创科技有限公司 鱼皮胶原蛋白海绵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079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816B1 (ko) 어피로부터 마린콜라겐의 추출방법
CN100347192C (zh) 胶原蛋白及其制备方法
EP0689570B1 (en) Method for producing gelatin
CN101570772B (zh) 一种天然骨胶原的制备方法
KR101871395B1 (ko) 고수율로 콜라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153079B1 (ko) 마린 콜라겐의 대량생산을 위한 고순도 정제방법
KR100532153B1 (ko) 어류 비늘을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JP2006104461A (ja) 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画分中の不純物の除去方法
RU2487152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желатина
NZ198510A (en) Protein from animal bones by demineralisation with acid;process and apparatus
JPH05125100A (ja) 高純度のペプシン可溶性魚鱗コラーゲン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883979B1 (ko) 마린 콜라겐을 함유한 석류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3947B1 (ko) 콜라겐의 제조방법
US20190263891A1 (en) Process for isolating bioactive biomolecules from animal by-products
RU2206231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елкового гидролизата из кератинсодержащего сырья
WO2006121361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elatine and gelatine hydrolyzate
JP3803774B2 (ja) コラーゲンの抽出方法
RU218999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очищенного агара и агарозы из красной водоросли анфельции тобучинской
JP2003125731A (ja) 健康食品
RU274807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тдельных фракций матриксного гиалуроната различных молекулярных масс высокой фракционной и химической чистоты в едином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м цикле
GB2045272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ew type of heparin-containing raw material
KR102580940B1 (ko) 연어과 어류의 살로부터 고순도 디엔에이의 추출 방법
EP1646653B1 (en) Method of obtaining biologically active collagen from skins of the salmonidae fish
KR102502522B1 (ko) 지방조직에서 세포외기질 및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
JP4239143B2 (ja) 非ウシ起源変性コラーゲ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