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693A -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 Google Patents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693A
KR20190064693A KR1020170162362A KR20170162362A KR20190064693A KR 20190064693 A KR20190064693 A KR 20190064693A KR 1020170162362 A KR1020170162362 A KR 1020170162362A KR 20170162362 A KR20170162362 A KR 20170162362A KR 20190064693 A KR20190064693 A KR 20190064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lant
rhubarb
control ag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550B1 (ko
Inventor
김철홍
한송희
박주연
강범용
Original Assignee
(주)현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농 filed Critical (주)현농
Priority to KR102017016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5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red-knees or rhubarb
    • A01N63/0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대황 추출물을 이용하여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며,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TMV)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control agent of plant viruses using Rhei Rhizoma}
본 발명은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대황 추출물을 이용하여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식물 바이러스는 약 2,000여 종이 분리 보고되었으며, 국내에서 보고된 식물 바이러스는 약 120 여종이다. 식물 바이러스는 많은 식물체에 병을 유발하고 각종 농작물과 화훼류의 생산량 저하, 품질 저하 및 품종 퇴화 등 농업생산 전반에 걸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식량 및 각종 식물체 등의 국제 교역량이 증가되면서 국내에 존재하지 않던 외국의 병원성 식물 바이러스까지 유입되어 그로 인한 피해가 점차 심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재배식물에 대한 바이러스의 예방, 치료 및 검역은 농업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Cucumber mosaic virus, CMV)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식물 바이러스이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는 감염으로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일정한 시일이 소요되며, 감염 초기에는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한번 감염이 되면 조기에 방제할 수 없어서 연초의 품질이 저하되고 수확량이 감소되지만 아직 뚜렷한 방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는 식물 바이러스 중 가장 넓은 기주범위를 갖는 바이러스로서 진딧물에 의해 비영속적인 방법으로 약 800여 종의 식물에 전신 감염시킬 수 있는 병원체로 전염원이 어디에나 존재한다. 이와 같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가 화훼 및 채소의 대표작물에 감염되면 변색, 기형, 얼룩 등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죽기도 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킨다.
최근에는 항 식물 바이러스 활성물질을 갖는 식물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7869호의 까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 조성물, 등록특허 제10-1287490호의 떡갈나무 충영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바이러스 방제조성물, 등록특허 제10-0738647호의 오배자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바이러스 방제제 등과 같이 다양한 식물 추출물이 방제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황을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로 활용된 예는 알려진 바 없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7869호: 까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 조성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7490호: 떡갈나무 충영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바이러스 방제조성물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8647호: 오배자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바이러스 방제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대황 추출물을 이용하여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며,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TMV)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상기 대황 추출물은 대황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다.
상기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Pseudomonas chlororaphis)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이용하여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방제 효과가 우수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의 재료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식물의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도 1은 대황 추출물이 100mg/kg 농도로 처리된 제 1시험군과 음성대조군((-) control)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담배 잎의 사진이다.
도 2는 대황 추출물이 100mg/kg 농도로 처리된 제 1시험군과 양성대조군(O6) 및 음성대조군((-) control)의 병반수와 방제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제 1시험군에서 대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양성대조군, 제 1시험군(대황추출물 농도 0.1mg/kg), 제 2시험군(O6+대황)의 방제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대황 추출물이 100mg/kg 농도로 처리된 제 1시험군과 양성대조군(O6) 및 음성대조군((-) control)의 발병지수와 방제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제 1시험군에서 대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양성대조군, 제 1시험군(대황추출물 농도 1mg/kg), 제 2시험군(O6+대황)의 방제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토양 또는 생장 중인 식물의 잎 등에 처리함으로써 식물 바이러스에 의한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바이러스 중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TMV)에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므로 담배 모자이크병과 오이 모자이크병에 대해 방제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유효성분으로서 대황 추출물을 함유한다.
대황(생약명:Rhei Rhizoma)은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시베리아가 원산지인 약용식물로 전국적으로 재배한다. 굵은 황색의 뿌리가 있고 원줄기는 높이 100~200cm 정도에 달하며 속이 비어 있다. 근생엽은 자줏빛이 도는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길이가 25~30cm 정도인 난형이고 가장자리가 파상이다. 경생엽은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와 잎몸이 작고 꽃은 7~8월에 개화한다. 복총상꽃차례는 가지와 원줄기 끝에서 원추꽃차례를 형성하고 화경이 있는 황백색의 꽃이 돌려난다.
대황의 원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뿌리는 굵고 긴 타원형이며 황갈색인데 매우 단단하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6~7년 지난 원뿌리의 껍질과 우엉 모양을 한 잔뿌리들을 제거하여 그대로 또는 통째로 썰어서 말린 것을 대황이라는 이름으로 약용한다.
대황 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이 가능하다.
일 예로 대황에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10 내지 150℃에서 1 내지 40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 또는 온침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환류냉각추출, 초음파 추출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추출방법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리세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대황 추출물 자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공지의 부형화물질, 보조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령, 공지의 부형화 물질로 고체 담체, 액체 담체, 액체 희석제, 액화된 기체 희석제, 고체 희석제, 또는 기타 적당한 보조제, 예를 들면 유화제, 분산제 또는 기포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0.00001 내지 90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며, 식물의 품종, 생육 정도, 경작지 환경, 식물병의 발병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농약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제화를 위해서는 농약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제화 방법을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가령, 수화제, 입제, 분제, 유제, 스프레이상, 연막제, 캅셀형 및 젤상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대황 추출물을 에탄올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대황 추출물과 함께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Pseudomonas chlororaphis)를 함유할 수 있다.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는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황 추출물과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가 함께 사용될 경우 시너지 효과에 의해 항바이러스 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는 균주를 배양시킨 배양액 형태로 본 발명의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에 함유될 수 있다.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은 LB액체배지(증류수 1ℓ당 Yeast extract 15g, Tryptone 20g, NaCl 5g, pH7.5)에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균주를 접종한 다음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을 수 있다.
대황 추출물과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를 함께 사용할 경우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에 대황 추출물을 0.01~10mg/kg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잘게 잘라 건조시킨 대황 뿌리에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한 후 9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액상의 대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에탄올에 대황 추출물을 0.1~100mg/kg의 비율로 혼합하여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에 대황 추출물을 0.1~1mg/kg의 비율로 혼합하여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제조하였다.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은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Pseudomonas chlororaphis, KACC 91055) 균주를 LB액체배지(증류수 1ℓ당 Yeast extract 15g, Tryptone 20g, NaCl 5g, pH7.5)에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진탕기에서 150rpm으로 진탕배양하여 수득하였다. 이때, 배양액 중의 미생물 농도는 약 1×107CFU/ml이었다.
대황 추출물은 상시 실시 예 1에서 추출한 대황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실험>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담배 종자를 농도 70%(w/w) 에탄올 용액과 농도 2%(w/w) 치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순차적으로 담가 종자를 소독한 후 멸균수를 이용하여 3회 반복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멸균된 바이오 상토(베스트상토, 흥농종묘)에 파종하였다.
발아된 종자는 2주 후에 멸균된 상토가 담긴 15×15cm 크기의 포트에 옮겨 심고 28~30℃, 상대습도 30~45%를 유지하는 유리온실에서 생육하였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접종원은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에 의해 이병된 담배건조잎 0.02g과 규조토 0.12g을 0.1M 포타슘 포스페이트 (potassium phosphate) 10ml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접종원과 5:5(V:V)로 혼합하였다. 그 뒤, 유리온실에서 생육한 담배 잎에 한 잎당 300㎕씩을 면봉을 이용하여 상처를 유발하면서 접종하였다. 접종 5일 후, 담배 잎에서 발생하는 병반의 수(Spot No.)를 세어 방제가(control value)를 계산하였다.
제 1시험군은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로 실시예 1을 이용하였고, 제 2시험군은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로 실시예 2를 이용하였고, 음성대조군은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대신 멸균수를 이용하였고, 양성대조군은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대신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방제가는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제 1시험군 방제가(%) = {1-(T1/C)}×100, (T1: 제 1시험군 병반수, C:음성대조군 병반수)
제 2시험군 방제가(%) = {1-(T2/C)}×100, (T2: 제 2시험군 병반수, C:음성대조군 병반수)
양성대조군 방제가(%) = {1-(P/C)}×100, (P:양성대조군 병반수, C:음성대조군 병반수)
도 1은 대황 추출물이 100mg/kg 농도로 처리된 제 1시험군과 음성대조군((-) control)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담배 잎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시험군과 음성대조군은 병반의 수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음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도 2는 대황 추출물이 100mg/kg 농도로 처리된 제 1시험군과 양성대조군(O6) 및 음성대조군((-) control)의 병반수와 방제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시험군은 2±0.3의 병반수를 형성하였고 양성대조군은 6±0.8의 병반수를 형성한 반면 음성대조군은 76±2.3의 병반수를 형성하였다.
도 1 및 도 2의 실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은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높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음성대조군 대비 98%의 방제가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제 1시험군에서 대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황의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병에 대한 농도별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mg/kg의 농도에서 98%, 0.1mg/kg 농도에서는 73%의 방제가를 보여 0.1mg/kg 수준까지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4는 양성대조군, 제 1시험군(대황추출물 농도 0.1mg/kg), 제 2시험군(O6+대황)의 방제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시험군은 약 73%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은 약 89.9%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제 2시험군은 약 97.8%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제 1시험군에 비해 약 24.4%의 방제가가 상승하였으며, 양성대조군에 비해 약 7.9%의 방제가가 상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실험>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고추 종자를 농도 70%(w/w) 에탄올 용액과 농도 2%(w/w) 치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순차적으로 담가 종자를 소독한 후 멸균수를 이용하여 3회 반복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멸균된 바이오 상토(베스트상토, 흥농종묘)에 파종하였다.
발아된 종자는 2주 후에 멸균된 상토가 담긴 15×15cm 크기의 포트에 옮겨 심고 28~30℃, 상대습도 30~45%를 유지하는 유리온실에서 생육하였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접종원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에서 이병된 고추건조잎 0.02g과 규조토 0.12g을 0.1M 포타슘 포스페이트(potassium phosphate) 10ml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를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접종원과 5:5(V:V)로 혼합하였다. 그 뒤, 유리온실에서 생육한 고추 잎에 한 잎당 300㎕씩을 면봉을 이용하여 상처를 유발하면서 접종하였다. 접종 10일 후, 고추 잎에서 발생하는 병반의 수(Spot No.)를 세어 방제가(control value)를 계산하였다.
제 1시험군은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로 실시예 1을 이용하였고, 제 2시험군은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로 실시예 2를 이용하였고, 음성대조군은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대신 멸균수를 이용하였고, 양성대조군은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대신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병 발생 정도를 식물체의 전체면적당 발병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발병도(Disease severity)로 측정하였다. 고춧잎의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발병도에 따라 0~20%:1, 20~40%:2, 40~60%:3 60~80%:4, 80~100%: 5로 발병 지수를 설정하고, 처리구당 발병 지수의 평균값을 조사한 후, 음성대조군의 발병 지수를 대비 시험군의 발병 지수를 구하였으며, 방제가는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제 1시험군 방제가(%) = {1-(T1/C)}×100, (T1: 제 1시험군 발병지수, C:음성대조군 발병지수)
제 2시험군 방제가(%) = {1-(T2/C)}×100, (T2: 제 2시험군 발명지수, C:음성대조군 발병지수)
양성대조군 방제가(%) = {1-(P/C)}×100, (P:양성대조군 발병지수, C:음성대조군 발병지수)
도 5는 대황 추출물이 100mg/kg 농도로 처리된 제 1시험군과 양성대조군(O6) 및 음성대조군((-) control)의 발병지수와 방제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시험군은 0.6의 이병 지수를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은 1.0의 이병 지수를 나타낸 반면 음성대조군은 4.8의 이병 지수를 나타냈다.
제 1시험군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해 높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무처리구 대비 88%의 방제가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제 1시험군에서 대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1.0mg/kg의 농도에서 68%, 0.1mg/kg의 농도에서 5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7은 양성대조군, 제 1시험군(대황추출물 농도 1mg/kg), 제 2시험군(O6+대황)의 방제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시험군은 약 68%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은 약 85%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제 2시험군은 약 94%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제 1시험군에 비해 약 27%의 방제가가 상승하였으며, 양성대조군에 비해 약 9%의 방제가가 상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미생물 생존율 실험>
대황 추출물이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균주의 활성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Pseudomonas chlororaphis, KACC 91055) 균주의 단일 콜로니를 LB액체배지 100ml에 접종하여 배양기에서 28℃, 150 rpm, 24시간 동안 배양한 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 후 균체를 회수한 뒤 멸균수로 3회 반복 세척한 다음 멸균수에 현탁하여 OD600를 1.0으로 맞춘 후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LB액체배지 100ml에 접종원 1ml를 첨가한 후 배양기에서 28℃, 150 rpm으로 배양하면서 시간대별 CFU를 측정하였다.
처리군은 LB 용액배지 100ml에 접종원 1ml를 첨가한 후 실시 예1의 대황 추출물을 농도가 1mg/kg가 되도록 첨가한 뒤, 배양기에서 28℃, 150 rpm으로 배양하면서 시간대별 CFU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고 24h 48h 72h 96h
대조군 4.3×109CFU/ml 3.2×109CFU/ml 2.1×109CFU/ml 1.5×109CFU/ml
처리군 4.1×109CFU/ml 3.2×109CFU/ml 2.2×109CFU/ml 1.6×109CFU/ml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시간대별 미생물의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대황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균주의 생존율에 있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대황 추출물은 슈도모나스 클로라라피스 균주의 활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며,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 TMV)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TMV)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황 추출물은 대황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는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Pseudomonas chlororaphi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KR1020170162362A 2017-11-30 2017-11-30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KR10202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62A KR102021550B1 (ko) 2017-11-30 2017-11-30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62A KR102021550B1 (ko) 2017-11-30 2017-11-30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93A true KR20190064693A (ko) 2019-06-11
KR102021550B1 KR102021550B1 (ko) 2019-09-16

Family

ID=6684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362A KR102021550B1 (ko) 2017-11-30 2017-11-30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1450A (zh) * 2022-08-12 2022-10-18 山东农业大学 一种促进番茄植株生长的中草药大黄制剂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399A (ko) 2022-06-30 2024-01-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및 해충 방제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47B1 (ko) 2005-11-25 2007-07-11 강원도 오배자 추출물 함유하는 식물바이러스 방제제
KR20120047985A (ko) * 2009-07-30 2012-05-14 마론 바이오 이노베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병원균 억제제 조합물 및 사용 방법
KR101287490B1 (ko) 2011-08-22 2013-07-23 강원도 떡갈나무 충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 조성물
KR101457869B1 (ko) 2012-11-15 2014-11-07 강원도 까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47B1 (ko) 2005-11-25 2007-07-11 강원도 오배자 추출물 함유하는 식물바이러스 방제제
KR20120047985A (ko) * 2009-07-30 2012-05-14 마론 바이오 이노베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병원균 억제제 조합물 및 사용 방법
KR101287490B1 (ko) 2011-08-22 2013-07-23 강원도 떡갈나무 충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 조성물
KR101457869B1 (ko) 2012-11-15 2014-11-07 강원도 까치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1450A (zh) * 2022-08-12 2022-10-18 山东农业大学 一种促进番茄植株生长的中草药大黄制剂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550B1 (ko)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647B1 (ko) 오배자 추출물 함유하는 식물바이러스 방제제
CN104738094B (zh) 一种植物免疫诱抗蛋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907680A (zh) 一种枯草芽孢杆菌j-5及其生物菌剂和应用
US20110182860A1 (en) Biocontrol composite microbial agent psx combination for controlling several soil-borne diseases and its bacteriological composition
KR101293107B1 (ko) 식물의 병원균 예방, 제거 및 토양 복원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87490B1 (ko) 떡갈나무 충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바이러스 방제 조성물
KR20190064693A (ko) 대황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KR102021549B1 (ko) 백두옹을 이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CN102604857B (zh) 一株烟草普通花叶病毒生防蒙氏假单胞菌菌株
CN106635921B (zh) 解淀粉芽胞杆菌y15及其应用
KR101817704B1 (ko) 친환경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KR102159034B1 (ko) 산옥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솜털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Okigbo et al. Effects of leaf extracts of Chromolaena odorata (L.) and Terminalia catappa (L.) on mycelia growth of yam tuber pathogens
CN105112315B (zh) 一种烟草普通花叶病毒生防内生菌粪产碱菌菌株
Parwanayoni et al. Synergistic activity of leaves extracts of Mansoaalliacea L. and Allamanda cathartica L. to Inhibit Atheliarolfsii, the cause of stem rot disease in peanut Plants
CN115462386A (zh) 一种杀菌组合物及其应用
KR102201525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와 식물추출물 혼합제형 해충방제제
Bailey et al. Influence of adjuvants on disease development by Pleospora papaveracea on opium poppy (Papaver somniferum)
CN109526974A (zh) 一种高效防治水稻稻瘟病的组合物及应用方法
AE Hassan et al. Incidence of root-rot and wilt disease complex of olive trees in New Valley Governorate in Egypt and its control
KR102201524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와 식물추출물 혼합제형의 항균조성물
CN115413655B (zh) 紫苏醛作为农业杀菌剂的用途
Shamsi et al. Management of anthracnose and blight diseas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with fungicides
KR102336864B1 (ko) 산옥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솜털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evappa et al. Wilt diseases of ornamental crops and thei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