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319A -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319A
KR20190063319A KR1020170162305A KR20170162305A KR20190063319A KR 20190063319 A KR20190063319 A KR 20190063319A KR 1020170162305 A KR1020170162305 A KR 1020170162305A KR 20170162305 A KR20170162305 A KR 20170162305A KR 20190063319 A KR20190063319 A KR 2019006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gear
lever
claw
rotate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598B1 (ko
Inventor
김상일
안기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5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05B83/243Hood clamps, i.e. individually actuated, usually yield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5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pair of bifurcated bolts

Abstract

일측에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타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메인기어; 삽입홈과 메인기어 사이에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삽입홈과 클로우에 인접하여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트라이커의 락킹 시 클로우를 락킹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로우를 락킹상태로 유지하는 폴레버; 및 메인기어의 회전 시 폴레버를 가압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폴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우가 폴레버로부터 락킹해제 되도록 하는 릴리즈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LOCKING APPARATUS OF HO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중 후드의 개방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전방측에는 엔진 등이 설치되는 엔진룸이 구비된다. 엔진룸은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보닛(Bonnet) 또는 후드(Hood)라고 불리는 커버에 의해 차폐되어 엔진룸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소음을 차단한다.
엔진룸 내에 설치된 엔진, 전장부품 등과 같은 각종 부품을 정비하거나 워셔액, 엔진오일 등과 같은 소모품들을 점검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엔진룸의 개방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후드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후드의 일측은 차체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는 스트라이커가 구비되어 차체에 형성된 후드래치 어셈블리와 락킹 또는 락킹해제된다. 특히,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스트라이커와 1단 락킹 및 2단 락킹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후드의 개방을 위해 버튼을 조작하면 후드가 1단 락킹해제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팝업되고, 팝업된 차체와 후드 사이로 손을 넣어 레버를 당기면, 2차 락킹해제 상태가 되어 후드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필요 시에는 락킹해제되어야 하고, 차량의 주행 또는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락킹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실수로 혹은 주행 중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후드가 1차 락킹해제된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2000-0002612 (U)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실수 또는 차량의 주행 중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후드가 1차 락킹해제된 상태인 경우 자동으로 락킹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는 일측에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타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메인기어; 삽입홈과 메인기어 사이에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삽입홈과 클로우에 인접하여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트라이커의 락킹 시 클로우를 락킹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로우를 락킹상태로 유지하는 폴레버; 및 메인기어의 회전 시 폴레버를 가압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폴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우가 폴레버로부터 락킹해제 되도록 하는 릴리즈레버;를 포함한다.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클로우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신칭을 수행하는 신칭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릴리즈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우가 폴레버로부터 락킹해제되도록 하는 신칭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클로우 또는 릴리즈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신칭레버가 구비되되, 메인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신칭레버가 클로우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가 락킹되고, 메인기어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신칭레버가 릴리즈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폴레버가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클로우 또는 릴리즈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신칭레버가 구비되되, 신칭레버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가압부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클로우 또는 릴리즈레버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는 신칭레버가 구비되고, 릴리즈레버에는 신칭레버와 만나는 메인기어측 단부가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신칭레버가 절곡부에 걸림으로써 릴리즈레버가 회전되어 폴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이스에는 메인기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어스위치가 구비되고, 메인기어에는 감지돌기가 형성되어 기어스위치에 의해 메인기어의 락킹해제 위치와 신칭위치가 감지되어 제어부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감지돌기는 회전방향으로 연속되어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되, 감지돌기와 감지돌기 사이에는 감지홈이 형성되어 제어부가 기어스위치에 의해 전달되는 메인기어의 위치를 바탕으로 메인기어의 회전여부 또는 회전방향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랙기어에 의해 메인기어가 회전되되, 랙기어와 메인기어 사이에는 서브기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브기어는 랙과 치합되는 제1기어와 메인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구비되어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토크가 복수의 기어를 거치는 동안 증폭되어 메인기어에 전달될 수 있다.
클로우에는 메인기어와 인접한 지점에 돌출형성된 신칭핀이 구비되고,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는 신칭레버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시 메인기어 및 신칭레버가 회전되어 신칭레버가 신칭핀을 가압함으로써, 클로우가 회전되어 신칭이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에는 클로우의 회전을 감지하는 클로우스위치가 구비되고, 클로우에는 접점부가 형성되어 클로우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는 클로우의 회전위치에 따라 제어부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클로우에는 클로우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클로우에 연결되어 클로우를 항상 락킹해제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클로우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클로우에는 폴레버 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폴레버에는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지점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의 락킹 시 걸림돌기가 걸림고리와 걸림으로써 클로우의 락킹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걸림돌기와 걸림고리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테이퍼가 형성되어 테이퍼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클로우의 걸림돌기가 폴레버의 걸림고리에 안착되어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폴레버에는 폴레버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폴레버에 연결되어 폴레버를 항상 락킹방향으로 가압하는 폴레버탄성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폴레버에는 베이스의 외부로 연결된 와이어가 설치되고, 와이어가 당겨져 폴레버가 회전됨으로써, 폴레버와 클로우의 걸림이 해제되어 스트라이커가 락킹해제될 수 있다.
릴리즈레버에는 릴리즈레버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릴리즈레버에 연결되어 릴리즈레버를 폴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는 릴리즈레버탄성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클로우의 위치를 감지하는 클로우스위치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메인기어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고,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어스위치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메인기어의 회전량을 결정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클로우스위치에서 클로우가 락킹해제되었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기어스위치의 신호는 입력되지 않으면, 후드가 오픈되어 신칭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메인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신칭을 수행하고, 신칭이 종료되어 제어부에 클로우스위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기어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메인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기어를 초기위치로 원복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후드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메인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릴리즈레버에 의해 폴레버가 회전되어 클로우가 회전됨으로써 후드가 개방되고, 클로우스위치 및 기어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메인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기어를 초기위치로 원복시키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따르면, 액추에이터 일체형 신칭이 구현되어 구동모터가 메인기어를 통해 직접 클로우를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매뉴얼 릴리즈 모드, 파워릴리즈 모드 및 신칭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메인기어, 폴레버, 클로우, 신칭레버 및 기어탄성부재가 각각의 구성끼리 형상이 매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잡한 구성의 추가 없이도 1단 락킹, 2단 락킹, 락킹해제 및 신칭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주행 중 제어부에 클로우스위치에서 감지된 후드 열림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가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메인기어)를 통해 클로우를 회전시켜 신칭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매뉴얼 릴리즈 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파워 릴리즈 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신칭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메인기어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2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매뉴얼 릴리즈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4는 파워 릴리즈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6은 신칭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메인기어(300)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메인기어(300)가 회전되는 일방향을 시계방향으로, 타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설정은 환경이나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는 일측에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삽입홈(210)이 형성된 베이스(200); 베이스(200)의 타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6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메인기어(300); 삽입홈(210)과 메인기어(300) 사이에 위치되되 베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00)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구비된 클로우(400); 삽입홈(210)과 클로우(400)에 인접하여 위치되되 베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트라이커(100)의 락킹 시 클로우(400)를 락킹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로우(400)를 락킹상태로 유지하는 폴레버(500); 및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폴레버(500)를 가압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되되 베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회전되어 폴레버(5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우(400)가 폴레버(500)로부터 락킹해제 되도록 하는 릴리즈레버(900);를 포함한다.
베이스(200)는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여러가지 부품이 설치되는 구성품으로서, 차체에 체결부재에 의해 직접 체결된다. 베이스(200)의 일측 특히, 후드의 스트라이커(100)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200)의 타측에는 제어부(80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600)가 배치된다. 구동모터(600)가 작동되면 메인기어(300)가 회전되어 파워릴리즈 또는 신칭이 수행된다. 구동모터(600)의 회전축(610)에는 랙기어(630)가 형성되어 구동모터(600)가 작동되면 회전축(610)이 회전되고, 회전축(610)에 형성된 랙기어(630)가 메인기어(3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는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랙기어(630)와 메인기어(300) 사이에는 서브기어(650,6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브기어(650,670)는 랙기어(630)와 치합되는 제1기어(650)와 메인기어(300)와 치합되는 제2기어(670)일 수 있으며, 제1기어(650)와 제2기어(670)는 구동모터(6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모터(60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메인기어(300)에 전달하되, 복수의 서브기어(650,670)를 거치는 구동모터(600)로부터 전달받은 토크는 증폭되어 메인기어(300)에 전달됨으로써, 보다 강력하고 안정적으로 릴리즈 모드 및 신칭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구동모터(6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300)는 베이스(200)의 타측에 위치된다. 메인기어(300)는 구동모터(600)의 작동 시 회전된다. 메인기어(300)는 파워 릴리즈 모드 시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파워 릴리즈 모드 완료 후 원복될 때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신칭모드 시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신칭모드가 종료된 후 원복될 때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메인기어(300)는 구동모터(600)에 의해 클로우(400) 및 릴리즈레버(900)를 회전시키는데 동작에 대하여는 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기어(300)에는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일방향(시계방향) 또는 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신칭레버(370)가 구비된다. 메인기어(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신칭레버(370)가 클로우(4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신칭을 수행하고, 메인기어(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신칭레버(370)가 릴리즈레버(9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릴리즈레버(900)가 폴레버(500)를 가압하여 회전시켜 클로우(400)가 폴레버(500)로부터 이탈되어 스트라이커(100)의 락킹이 해제되는 릴리즈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신칭레버(370)는 메인기어(300)의 회전축(330)에 동축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기어(300) 상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신칭레버(370)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가압부(371)가 형성되어 "V"자 와 같은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신칭레버(370)는 회전 방향에 따라 클로우(400) 또는 릴리즈레버(90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동모터(600)에 의해 메인기어(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메인기어(300)에 설치된 신칭레버(370)가 회전되고, 신칭레버(370)의 가압부(371)가 신칭레버(370)의 신칭핀(410)을 가압함으로써, 클로우(400)가 회전되어 신칭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구동모터(600)에 의해 메인기어(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메인기어(300)에 설치된 신칭레버(370)가 회전되고, 신칭레버(370)의 가압부(371)가 릴리즈레버(900)를 가압하여 폴레버(500)를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우(400)가 회전되어 릴리즈가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메인기어(300)가 많은 거리를 회전되지 않더라도 복수의 가압부(371)에 의해 클로우(400) 또는 릴리즈레버(900)가 선택적으로 가압될 수 있어 구동모터(600)의 동력을 최소화화면서도 신칭모드와 파워 릴리즈 모드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베이스(200)에는 메인기어(300)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어스위치(360)가 구비되고, 메인기어(300)에는 감지돌기(350)가 형성되어 기어스위치(360)에 의해 메인기어(300)의 락킹해제 위치와 신칭위치가 감지되어 제어부(800)가 구동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감지돌기(350)는 회전방향으로 연속되어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되, 감지돌기(350)와 감지돌기(350) 사이에는 감지홈(380)이 형성되어 제어부(800)가 기어스위치(360)에 의해 전달되는 메인기어(300)의 위치를 바탕으로 메인기어(300)의 회전여부 또는 회전방향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여 구동모터(600)를 제어한다. 기어스위치(360)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감지홈(350)에 위치되어 오프(OFF)된 상태이고, 감지돌기(350)와 만나면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메인기어(300)와 마찬가지로 클로우(400)의 인접한 지점에는 클로우(400)의 신칭종료 지점을 감지하는 클로우스위치(440)가 구비되고, 클로우스위치(440)에 의해 감지되는 접점부(490)가 형성되어 클로우스위치(440)에 의해 감지되는 클로우(400)의 회전위치에 따라 제어부(800)가 구동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클로우스위치(440)는 접점부(490)와 만나면 온(ON) 상태이고, 접점부(490)와 이격되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다.
클로우(400)는 베이스(200)에 회전축(4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로우(400)는 삽입홈(210)과 메인기어(300) 사이에 위치되되, 특히 메인기어(300)와 연결되어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회전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클로우(400)에는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걸림홈(420)이 형성되고, 메인기어(300)와 인접한 지점에는 돌출형성된 신칭핀(410)이 구비된다. 신칭핀(410)은 특히 클로우(400)가 메인기어(300)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신칭레버(370)가 신칭핀(410)을 가압하여 클로우(400)를 회전시킴으로써, 신칭이 구현되는 것이다.
클로우(400)에는 클로우(400)의 회전축(450)에 설치되는 클로우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클로우탄성부재는 일단은 베이스(200)에 지지되고, 타단은 클로우(400)에 연결되어 클로우(400)를 항상 락킹해제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700)가 당겨지는 경우 또는 파워릴리즈 시 스트라이커(100)를 락킹해제하는 1단 락킹 상태가 구현되게 된다.
폴레버(500)는 베이스(200)에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폴레버(500)는 삽입홈(210)과 메인기어(300)의 사이에 위치되되, 특히 삽입홈(210)과 클로우(40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그러므로 스트라이커(100)의 락킹 시 클로우(400)를 락킹방향으로 가압하여 클로우(400)를 락킹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스트라이커(100)의 락킹 해제 시 와이어(700) 또는 구동모터(600)에 의해 회전되어 클로우(400)와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1단 락킹상태를 구현한다.
특히, 클로우(400)에는 폴레버(500) 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돌기(470)가 형성되고, 폴레버(500)에는 걸림돌기(470)에 대응되는 지점에 걸림고리(510)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스트라이커(100)의 락킹 시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와 걸림으로써 클로우(400)가 클로우(400)를 락킹하는 락킹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더구나,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테이퍼(471,511)가 형성되어 테이퍼(471,511)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에 안착되어 걸림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폴레버(500)에는 베이스(200)의 외부로 연결된 와이어(700)가 설치되고, 와이어(700)가 당겨져 폴레버(500)가 회전됨으로써, 폴레버(500)와 클로우(400)의 걸림이 해제되어 스트라이커(100)가 락킹 해제되는 매뉴얼 릴리즈 모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600)의 작동 시 메인기어(300)가 회전되어 신칭레버(370)가 릴리즈레버(900)를 가압함으로써, 폴레버(500)가 회전되어 락킹이 해제되는 파워 릴리즈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폴레버(500)와 릴리즈레버(900)가 만나는 폴레버(500)의 단부는 절곡되어 폴레버(500)와 릴리즈레버(900)가 만나는 면적이 증대되어 릴리즈레버(900)가 폴레버(500)의 가압 시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폴레버(500)에는 폴레버(500)의 회전축(530)에 설치되는 폴레버탄성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폴레버탄성부재는 일단은 베이스(200)에 지지되고, 타단은 폴레버(500)에 연결되어 폴레버(500)를 항상 락킹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폴레버(500)가 클로우(400)를 항상 락킹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여 와이어(700)가 당겨진 후 놓아지거나, 파워 릴리즈의 수행 시 폴레버(500)로부터 클로우(400)가 이탈된 후 다시 클로우(400)측으로 이동됨으로써, 클로우(400)에 의해 스트라이커(100)의 락킹 시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가 만나 걸림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클로우(400)의 락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릴리즈레버(900)는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폴레버(500)를 가압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되되 베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릴리즈레버(900)는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회전되어 폴레버(5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우(400)가 폴레버(500)로부터 락킹 해제되도록 한다. 릴리즈레버(900)에는 신칭레버(370)와 만나는 메인기어(300)측 단부가 절곡되어 절곡부(910)를 형성함으로써, 신칭레버(370)가 절곡부(910)에 걸림으로써 릴리즈레버(900)가 회전되어 폴레버(5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릴리즈레버(900)에는 릴리즈레버(900)의 회전축(930)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200)에 지지되고, 타단은 릴리즈레버(900)에 연결되어 릴리즈레버(900)를 폴레버(5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는 릴리즈레버탄성부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릴리즈레버(900)는 메인기어(300)의 동작 시 회전된 후 다시 릴리즈레버탄성부재에 의해 원복되어 항상 초기위치에 위치되게 된다.
제어부(800)는 클로우(400)의 위치를 감지하는 클로우스위치(440)와 기어스위치(360)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메인기어(3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결정하여 구동모터(600)를 제어한다.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매뉴얼 릴리즈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스트라이커(100)가 락킹된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후드를 개방하기 위하여 실내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와이어(700)를 당기게 된다. 그러면, 와이어(700)와 연결된 폴레버(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때 폴레버(500)와 걸림상태로 유지되던 클로우(400)가 걸림해제 된다. 와이어(700)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 폴레버(500)가 폴레버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락킹 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는 클로우(400)의 접점부(490)가 클로우스위치(440)와 만나 클로우스위치(440)가 온(ON)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체와 후드 사이로 손을 넣어 래치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100)와 래치를 분리함으로써, 후드를 개방하게 된다.
두번째로, 도 3 내지 도 4는 파워 릴리즈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트라이커(100)가 락킹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를 개방하되, 파워 릴리즈 모드를 이용하여 후드를 개방하기 위하여 실내의 스위치를 이용하면, 제어부(800)에는 후드를 개방하라는 신호가 입력되게 되고, 제어부(800)는 구동모터(600)를 작동하게 된다. 구동모터(600)가 작동되어 메인기어(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메인기어(300)의 회전에 의해 신칭레버(370)가 회전되고 신칭레버(370)의 가압부(371)에 의해 릴리즈레버(900)의 절곡부(910)가 가압되어 릴리즈레버(9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릴리즈레버(900)가 회전되면 릴리즈레버(900)가 폴레버(500)를 가압하게 되고, 폴레버(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레버(500)와 클로우(400)의 걸림이 해제되어 클로우탄성부재에 의해 클로우(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락킹 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는 메인기어(300)가 회전되었으므로, 기어스위치(360)와 감지돌기(350)가 만나 기어스위치(360)가 온(ON)되고, 클로우(400)의 접점부(490)가 클로우스위치(440)와 만나 클로우스위치(440)가 온(ON)되게 된다. 스트라이커(100)의 락킹이 해제되어 기어스위치(360)와 클로우스위치(440)가 온되면, 제어부(800)는 구동모터(600)를 반대로 회전시켜 메인기어(3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복시킨다. 이때 메인기어(300)와 신칭레버(370)가 함께 회전되고, 신칭레버(370)의 가압부(371)가 릴리즈레버(900)를 가압하던 가압력이 사라져 릴리즈레버(900)가 릴리즈레버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원복되고, 폴레버(500) 역시 폴레버탄성부재에 의해 원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체와 후드 사이로 손을 넣어 래치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100)와 래치를 분리함으로써, 후드를 개방하게 된다.
도 2 및 도 4의 상태는 스트라이커(100)가 1단 락킹 해제된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가 사용자가 스위치를 이용하여 후드를 개방하기 위해 팝업한 상태가 아니라, 사용자가 후드를 사용한 후 폐쇄하였으나, 적절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1단 락킹 상태까지만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채 주행을 하게 되면 주행 중 후드가 개방되어 시야를 가려 사고가 발생하는 등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800)는 기어스위치(360)와 클로우스위치(440)의 신호를 입력 받아 현재 상태가 주행 중이면서 후드가 팝업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800)에 입력되는 기어스위치(360)의 신호는 오프(OFF) 상태이고, 클로우스위치(440)가 온(ON) 상태인 경우, 제어부(800)는 주행 중 후드가 팝업된 1단 락킹해제 상태라고 판단하고 구동모터(600)를 제어하여 신칭을 수행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은 신칭모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스트라이커(100)가 1단 락킹된 상태로서, 제어부(800)는 기어스위치(360) 및 클로우스위치(4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기어스위치(360)의 신호는 오프(OFF) 상태이고, 클로우스위치(440)가 온(ON) 상태인 경우 구동모터(600)를 작동하여 메인기어(3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메인기어(300)의 회전에 의해 신칭레버(370)의 가압부(371)가 클로우(400)의 신칭핀(410)을 가압하여 클로우(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신칭이 수행되어 스트라이커(100)가 클로우(400)의 걸림홈(420)에 걸려 도 5에 도시한 1단 락킹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2단 락킹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이때, 클로우(400) 걸림돌기(470)의 테이퍼(471)와 폴레버(500) 걸림고리(510)의 테이퍼(511)가 만나 슬라이딩됨으로써,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에 걸림으로써 2단 락킹상태가 구현되는 것이다. 이때, 클로우(400)와 클로우스위치(440)는 이격되어 클로우스위치(440)가 오프 상태가 된다. 기어스위치(360)는 메인기어(300)가 회전되었으므로 감지돌기(350)와 기어스위치(360)가 만나 온(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어부(800)는 구동모터(6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기어(300)를 원복시키고 감지돌기(350)와 접한 상태였던 기어스위치(360)는 감지홈(380)에 위치되어 오프(OFF)되게 된다. 기어스위치(360)가 오프되면 제어부(800)는 구동모터(600)의 동작을 중지하여 메인기어(300)의 회전을 종료하고, 신칭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의하면, 액추에이터 일체형 신칭이 구현되어 구동모터가 메인기어를 통해 직접 클로우를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매뉴얼 릴리즈 모드, 파워릴리즈 모드 및 신칭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메인기어, 폴레버, 클로우, 신칭레버 및 기어탄성부재가 각각의 구성끼리 형상이 매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잡한 구성의 추가 없이도 1단 락킹, 2단 락킹, 락킹해제 및 신칭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주행 중 제어부에 클로우스위치에서 감지된 후드 열림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가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메인기어)를 통해 클로우를 회전시켜 신칭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트라이커 200 : 베이스
210 : 삽입홈 300 : 메인기어
330 : 메인기어회전축 350 : 감지돌기
360 : 기어스위치 370 : 신칭레버
371 : 가압부 380 : 감지홈
400 : 클로우 410 : 신칭핀
420 : 걸림홈 440 : 클로우스위치
450 : 클로우회전축 470 : 걸림돌기
471 : 테이퍼 490 : 접점부
500 : 폴레버 510 : 걸림고리
511 : 테이퍼 530 : 폴레버회전축
600 : 구동모터 610 : 회전축
630 : 랙기어 650 : 제1기어
670 : 제2기어 700 : 와이어
800 : 제어부 900 : 릴리즈레버
910 : 절곡부 930 : 릴리즈레버회전축

Claims (21)

  1. 일측에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타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메인기어;
    삽입홈과 메인기어 사이에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삽입홈과 클로우에 인접하여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트라이커의 락킹 시 클로우를 락킹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로우를 락킹상태로 유지하는 폴레버; 및
    메인기어의 회전 시 폴레버를 가압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폴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우가 폴레버로부터 락킹해제 되도록 하는 릴리즈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클로우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신칭을 수행하는 신칭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릴리즈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우가 폴레버로부터 락킹해제되도록 하는 신칭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클로우 또는 릴리즈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신칭레버가 구비되되, 메인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신칭레버가 클로우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가 락킹되고, 메인기어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신칭레버가 릴리즈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폴레버가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의 락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클로우 또는 릴리즈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신칭레버가 구비되되, 신칭레버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가압부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클로우 또는 릴리즈레버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는 신칭레버가 구비되고, 릴리즈레버에는 신칭레버와 만나는 메인기어측 단부가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신칭레버가 절곡부에 걸림으로써 릴리즈레버가 회전되어 폴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에는 메인기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어스위치가 구비되고, 메인기어에는 감지돌기가 형성되어 기어스위치에 의해 메인기어의 락킹해제 위치와 신칭위치가 감지되어 제어부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감지돌기는 회전방향으로 연속되어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되, 감지돌기와 감지돌기 사이에는 감지홈이 형성되어 제어부가 기어스위치에 의해 전달되는 메인기어의 위치를 바탕으로 메인기어의 회전여부 또는 회전방향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랙기어에 의해 메인기어가 회전되되, 랙기어와 메인기어 사이에는 서브기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서브기어는 랙과 치합되는 제1기어와 메인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구비되어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토크가 복수의 기어를 거치는 동안 증폭되어 메인기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에는 메인기어와 인접한 지점에 돌출형성된 신칭핀이 구비되고,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는 신칭레버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시 메인기어 및 신칭레버가 회전되어 신칭레버가 신칭핀을 가압함으로써, 클로우가 회전되어 신칭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에는 클로우의 회전을 감지하는 클로우스위치가 구비되고, 클로우에는 접점부가 형성되어 클로우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는 클로우의 회전위치에 따라 제어부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에는 클로우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클로우에 연결되어 클로우를 항상 락킹해제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클로우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에는 폴레버 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폴레버에는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지점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의 락킹 시 걸림돌기가 걸림고리와 걸림으로써 클로우의 락킹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걸림돌기와 걸림고리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테이퍼가 형성되어 테이퍼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클로우의 걸림돌기가 폴레버의 걸림고리에 안착되어 걸림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레버에는 폴레버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폴레버에 연결되어 폴레버를 항상 락킹방향으로 가압하는 폴레버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레버에는 베이스의 외부로 연결된 와이어가 설치되고, 와이어가 당겨져 폴레버가 회전됨으로써, 폴레버와 클로우의 걸림이 해제되어 스트라이커가 락킹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릴리즈레버에는 릴리즈레버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릴리즈레버에 연결되어 릴리즈레버를 폴레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는 릴리즈레버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클로우의 위치를 감지하는 클로우스위치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메인기어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고, 메인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어스위치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메인기어의 회전량을 결정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제어부는 클로우스위치에서 클로우가 락킹해제되었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기어스위치의 신호는 입력되지 않으면, 후드가 오픈되어 신칭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메인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신칭을 수행하고, 신칭이 종료되어 제어부에 클로우스위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기어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메인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기어를 초기위치로 원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제어부는 후드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메인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릴리즈레버에 의해 폴레버가 회전되어 클로우가 회전됨으로써 후드가 개방되고, 클로우스위치 및 기어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메인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기어를 초기위치로 원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KR1020170162305A 2017-11-29 2017-11-29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KR102416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05A KR102416598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05A KR102416598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319A true KR20190063319A (ko) 2019-06-07
KR102416598B1 KR102416598B1 (ko) 2022-07-05

Family

ID=6684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305A KR102416598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8241A (zh) * 2021-07-31 2021-09-2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罩锁安装结构、车辆及行人保护的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612A (ko) 1998-06-22 2000-01-15 윤종용 프로브 카드의 수평 유지 장치
KR100705132B1 (ko) * 2005-12-08 2007-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파워 래치 장치
US20120299313A1 (en) * 2010-02-01 2012-11-29 Organek Gregory J Latch mechanism and latching method
KR20140096188A (ko) * 2012-06-25 2014-08-05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KR20150124850A (ko) * 2014-04-29 2015-11-06 평화정공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KR101581578B1 (ko) * 2014-10-07 2015-12-30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612A (ko) 1998-06-22 2000-01-15 윤종용 프로브 카드의 수평 유지 장치
KR100705132B1 (ko) * 2005-12-08 2007-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파워 래치 장치
US20120299313A1 (en) * 2010-02-01 2012-11-29 Organek Gregory J Latch mechanism and latching method
KR20140096188A (ko) * 2012-06-25 2014-08-05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KR20150124850A (ko) * 2014-04-29 2015-11-06 평화정공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KR101581578B1 (ko) * 2014-10-07 2015-12-30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8241A (zh) * 2021-07-31 2021-09-2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罩锁安装结构、车辆及行人保护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598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1434A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US8646816B2 (en) Multistage door lock
US10358846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8894103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CN108979366B (zh) 车辆的行李箱盖锁栓组件
WO2010058687A1 (ja) 開閉体制御装置
JP6483353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2017193943A (ja) 車両用シンチングラッチ組立体
US2019037632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lock
KR20180072013A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KR20190063319A (ko)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KR20140075371A (ko)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US20220364396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2005188047A (ja) 車両用開閉体のラッチ作動装置
JP5107170B2 (ja) ドアラッチ装置
KR100705132B1 (ko) 자동차 도어용 파워 래치 장치
KR100482685B1 (ko) 차량의 후드래치 잠금해제장치
KR100765596B1 (ko) 파워슬라이딩도어 제어방법
KR20190063318A (ko)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KR102167840B1 (ko) 차량용 래치장치
KR20160026253A (ko)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JP4169428B2 (ja) 車両における扉体の開閉操作装置
KR100521884B1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겸용 도어 그립핸들 구조
JP4145774B2 (ja) ドア開閉装置
JP2007182740A (ja) 車両用ドア開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