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318A -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318A
KR20190063318A KR1020170162304A KR20170162304A KR20190063318A KR 20190063318 A KR20190063318 A KR 20190063318A KR 1020170162304 A KR1020170162304 A KR 1020170162304A KR 20170162304 A KR20170162304 A KR 20170162304A KR 20190063318 A KR20190063318 A KR 20190063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in gear
claw
locking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875B1 (ko
Inventor
김상일
김재학
조현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8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05B83/243Hood clamps, i.e. individually actuated, usually yield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일측에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타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메인기어; 삽입홈과 메인기어 사이에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및 삽입홈과 클로우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스트라이커의 락킹 시 클로우를 락킹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로우를 락킹상태로 유지하는 폴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LOCKING APPARATUS OF HO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중 후드의 개방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전방측에는 엔진 등이 설치되는 엔진룸이 구비된다. 엔진룸은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보닛(Bonnet) 또는 후드(Hood)라고 불리는 커버에 의해 차폐되어 엔진룸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소음을 차단한다.
엔진룸 내에 설치된 엔진, 전장부품 등과 같은 각종 부품을 정비하거나 워셔액, 엔진오일 등과 같은 소모품들을 점검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엔진룸의 개방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후드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후드의 일측은 차체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는 스트라이커가 구비되어 차체에 형성된 후드래치 어셈블리와 락킹 또는 락킹해제된다. 특히,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스트라이커와 1단 락킹 및 2단 락킹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후드의 개방을 위해 버튼을 조작하면 후드가 1단 락킹해제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팝업되고, 팝업된 차체와 후드 사이로 손을 넣어 레버를 당기면, 2차 락킹해제 상태가 되어 후드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후드래치 어셈블리는 필요 시에는 락킹해제되어야 하고, 차량의 주행 또는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락킹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실수로 혹은 주행 중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후드가 1차 락킹해제된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2000-0002612 (U)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실수 또는 차량의 주행 중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후드가 1차 락킹해제된 상태인 경우 자동으로 락킹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는 일측에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타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메인기어; 삽입홈과 메인기어 사이에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및 삽입홈과 클로우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스트라이커의 락킹 시 클로우를 락킹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로우를 락킹상태로 유지하는 폴레버;를 포함한다.
메인기어에는 베이스와 메인기어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삽입공간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가압 또는 가압해제 되는 기어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신칭종료 후 기어탄성부재에 의해 메인기어가 초기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삽입공간은 원호형상이고, 기어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서, 기어탄성부재가 삽입공간의 양측면을 각각 가압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삽입공간의 원주방향 테두리에는 삽입공간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지지돌기에 의해 기어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고 압축 또는 압축해제 가능할 수 있다.
기어탄성부재의 양측 단부에는 베이스가 절개된 후 메인기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돌기가 형성되고, 절곡돌기가 스토퍼 역할을 함으로써, 기어탄성부재의 경로 밖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베이스에는 메인기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어스위치가 구비되고, 메인기어에는 감지돌기가 형성되어 기어스위치에 의해 메인기어의 락킹해제 위치와 신칭위치가 감지되어 제어부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랙기어에 의해 메인기어가 회전되되, 랙기어와 메인기어 사이에는 서브기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브기어는 랙과 치합되는 제1기어와 메인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서브기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이중기어로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메인기어에 전달할 수 있다.
클로우에는 메인기어와 인접한 지점에 돌출형성된 신칭핀이 구비되고,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는 신칭레버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시 메인기어 및 신칭레버가 회전되어 신칭레버가 신칭핀을 가압함으로써, 클로우가 회전되어 신칭이 수행될 수 있다.
클로우에는 메인기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연장부에 신칭핀이 형성될 수 있다.
클로우의 인접한 지점에는 클로우의 신칭종료 지점을 감지하는 클로우스위치가 구비되고, 클로우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는 클로우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클로우에는 클로우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클로우에 연결되어 클로우를 항상 락킹해제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클로우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클로우에는 폴레버 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폴레버에는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지점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락킹 시 걸림돌기가 걸림고리와 걸림으로써 클로우의 락킹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걸림돌기와 걸림고리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테이퍼가 형성되어 테이퍼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클로우의 걸림돌기가 폴레버의 걸림고리에 안착되어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폴레버에는 폴레버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폴레버에 연결되어 폴레버를 항상 락킹방향으로 가압하는 폴레버탄성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폴레버에는 베이스의 외부로 연결된 와이어가 설치되고, 와이어가 당겨져 폴레버가 회전됨으로써, 폴레버와 클로우의 걸림이 해제되어 스트라이커가 락킹해제될 수 있다.
클로우는 메인기어와 연결되어 메인기어의 회전 시 클로우가 회전되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가 회전되면, 메인기어와 클로우가 회전되어 스트라이커가 락킹 또는 락킹해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따르면, 액추에이터 일체형 신칭이 구현되어 구동모터가 메인기어를 통해 직접 클로우를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신칭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메인기어, 폴레버, 클로우, 신칭레버 및 기어탄성부재가 각각의 구성끼리 형상이 매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잡한 구성의 추가 없이도 락킹, 락킹해제 및 신칭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주행 중 제어부에 클로우스위치에서 감지된 후드 열림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가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메인기어)를 통해 클로우를 회전시켜 신칭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의 락킹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락킹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기어부를 베이스측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베이스의 절곡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메인기어와 기어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의 락킹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락킹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기어부를 베이스(200)측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베이스(200)의 절곡돌기(23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메인기어(300)와 기어스위치(360,38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는 후드가 차체에 락킹 또는 락킹해제되기 위한 구성으로써,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매뉴얼 타입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는 일측에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삽입홈(210)이 형성된 베이스(200); 베이스(200)의 타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6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메인기어(300); 삽입홈(210)과 메인기어(300) 사이에 위치되되 베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00)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구비된 클로우(400); 및 삽입홈(210)과 클로우(400)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스트라이커(100)의 락킹 시 클로우(400)를 락킹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로우(400)를 락킹상태로 유지하는 폴레버(500);를 포함한다.
베이스(200)는 후드래치 어셈블리의 여러가지 부품이 설치되는 구성품으로서, 차체에 체결부재에 의해 직접 체결된다. 베이스(200)의 일측 특히, 후드의 스트라이커(100)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구동모터(6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기어(300)는 베이스(200)의 타측에 위치된다. 메인기어(300)는 구동모터(600)의 작동 시 특히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신칭이 종료된 후 원복될 때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메인기어(300)는 구동모터(600)에 의해 특히 클로우(400)를 회전시키는데 동작에 대하여는 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모터(600)의 회전축(610)에는 랙기어(630)가 형성되어 구동모터(600)가 작동되면 회전축(610)이 회전되고, 회전축(610)에 형성된 랙기어(630)가 메인기어(3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는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랙기어(630)와 메인기어(300) 사이에는 서브기어(6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브기어(650)는 일면에는 랙기어(630)와 치합되는 제1기어(651)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메인기어(300)와 치합되는 제2기어(653)로 구성된 이중기어일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600)의 회전 시 구동모터(600)의 회전속도를 서브기어(650)를 통해 감속하여 메인기어(300)에 전달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신칭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메인기어(300)에는 베이스(200)와 메인기어(300) 사이에 삽입공간(310)이 형성된다. 삽입공간(310)에는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가압 또는 가압해제 되는 기어탄성부재(390)가 구비된다. 여기서 삽입공간(310)은 원호형상이고, 기어탄성부재(390)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기어탄성부재(390)가 원호형상을 따라 곡선형태로 삽입공간(310)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기어탄성부재(390)는 삽입공간(310)의 양측면을 각각 가압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래야만 기어탄성부재(390)가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압축되고, 메인기어(300)의 회전 후 신칭이 종료되면, 기어탄성부재(390)의 압축력에 의해 메인기어(300)가 회전되어 초기위치로 원복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삽입공간(310)의 원주방향 테두리에는 삽입공간(310)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지지돌기(311)가 형성된다. 지지돌기(311)는 메인기어(300)의 회전축(330)으로부터 먼곳과 가까운 곳 중 한 곳 이상에 설치되며, 삽입공간(310)의 형상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지돌기(311)에 의해 기어탄성부재(390)가 삽입공간(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압축 또는 압축해제 가능하게 된다. 삽입공간(310)의 양측면에는 각각 기어탄성부재(39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다. 스토퍼는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기어탄성부재(390)의 이동거리의 양측 단부지점에 베이스(200)가 절개된 후 메인기어(300)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돌기(230)가 형성되어 절곡돌기(230)가 스토퍼의 역할을 함으로써, 기어탄성부재(390)가 설계시 지정된 경로 밖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메인기어(300)에 삽입공간(310)을 형성하고, 삽입공간(310) 내에는 기어탄성부재(390)가 설치됨으로써, 구동모터(600)의 작동 시 메인기어(300)가 회전되어 기어탄성부재(390)가 압축되고, 신칭 종료 후에는 기어탄성부재(390)의 압축력에 의해 메인기어(300)가 초기위치로 원복되는 것이다.
베이스(200)에는 메인기어(300)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어스위치(360,380)가 구비되어 메인기어(300)의 회전을 감지한다. 특히, 메인기어(300)에는 락킹해제 및 신칭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감지돌기(350)가 형성된다. 감지돌기(350)는 각각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하나로 형성되되, 메인기어(300)의 회전량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에 각각 락킹해제 위치를 감지하는 제1기어스위치(360)와 신칭 위치를 감지하는 제2기어스위치(38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어스위치(360,380)에 의해 락킹해제 및 신칭 위치가 감지되어 제어부(800)가 구동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클로우(400)는 베이스(200)에 회전축(4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로우(400)는 삽입홈(210)과 메인기어(300) 사이에 위치되되, 특히, 메인기어(300)와 연결되어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회전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클로우(400)에는 스트라이커(10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걸림홈(420)이 형성되고, 메인기어(300)와 인접한 지점에는 돌출형성된 신칭핀(410)이 구비된다. 신칭핀(410)은 특히 클로우(400)가 메인기어(300)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43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메인기어(300)에는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회전되는 신칭레버(370)가 구비된다. 신칭레버(370)는 메인기어(300)의 회전축(330)에 동축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기어(300) 상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구동모터(600)에 의해 메인기어(300)가 회전되면, 메인기어(300)에 설치된 신칭레버(370)가 회전되고, 신칭레버(370)가 신칭핀(410)을 가압함으로써, 클로우(400)가 회전되어 신칭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메인기어(300)와 마찬가지로 클로우(400)의 인접한 지점에는 클로우(400)의 신칭종료 지점을 감지하는 클로우스위치(440)가 구비되고, 클로우스위치(440)에 의해 감지되는 클로우(400)의 클로우접점부(490) 위치에 따라 제어부(800)가 구동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클로우(400)에는 클로우(400)의 회전축(450)에 설치되는 클로우탄성부재(480)가 구비된다. 클로우탄성부재(480)는 일단은 베이스(200)에 지지되고, 타단은 클로우(400)에 연결되어 클로우(400)를 항상 락킹해제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700)가 당겨지는 경우 스트라이커(100)를 1단 락킹해제하는 상태가 구현되게 된다.
폴레버(500)는 베이스(200)에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폴레버(500)는 삽입홈(210)과 메인기어(300)의 사이에 위치되되, 특히 삽입홈(210)과 클로우(40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그러므로 스트라이커(100)의 락킹 시 클로우(400)를 락킹방향으로 가압하여 클로우(400)를 락킹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스트라이커(100)의 락킹해제 시 와이어(700)에 의해 회전되어 클로우(400)와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1단 락킹상태를 구현한다.
특히, 클로우(400)에는 폴레버(500) 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돌기(470)가 형성되고, 폴레버(500)에는 걸림돌기(470)에 대응되는 지점에 걸림고리(510)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스트라이커(100)의 락킹 시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와 걸림으로써 클로우(400)가 클로우(400)를 락킹하는 락킹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더구나,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테이퍼(471,511)가 형성되어 테이퍼(471,511)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에 안착되어 걸림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폴레버(500)에는 베이스(200)의 외부로 연결된 와이어(700)가 설치되고, 와이어(700)가 당겨져 폴레버(500)가 회전됨으로써, 폴레버(500)와 클로우(400)의 걸림이 해제되어 스트라이커(100)가 락킹해제된다. 또한, 폴레버(500)에는 폴레버(500)의 회전축(530)에 설치되는 폴레버탄성부재(550)가 더 포함된다. 폴레버탄성부재(550)는 일단은 베이스(200)에 지지되고, 타단은 폴레버(500)에 연결되어 폴레버(500)를 항상 락킹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폴레버(500)가 클로우(400)를 항상 락킹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여 와이어(700)가 당겨진 후 놓아지면, 폴레버(500)로부터 클로우(400)가 이탈된 후 다시 클로우(400)측으로 이동됨으로써, 클로우(400)에 의해 스트라이커(100)의 락킹 시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가 만나 걸림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클로우(400)의 락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별도의 클로우스위치(44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제어부(800)에 의해 구동모터(600), 메인기어(300) 및 클로우(400)의 회전이 제어되어 스트라이커(100)가 락킹 또는 락킹해제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가 락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1단 락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이용하여 후드를 개방하기 위해 팝업한 상태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후드를 사용한 후 페쇄하였으나, 적절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1단 락킹상태까지만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채 주행을 하게 되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800)에서는 클로우(4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클로우스위치(440)에 입력되는 클로우접점부(490)의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6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신칭을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800)는 클로우스위치(400)의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6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구동모터(600)에 의해 메인기어(300) 및 신칭레버(370)가 또는 메인기어(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클로우(4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신칭이 수행되어 클로우(400)의 걸림홈(420)에 1단락킹상태로 삽입되어 있던 스트라이커(100)를 2단 락킹하게 된다. 이때, 클로우(400) 걸림돌기(470)의 테이퍼(471)와 폴레버(500) 걸림고리(510)의 테이퍼(511)가 만나 슬라이딩됨으로써, 클로우(400)의 걸림돌기(470)가 폴레버(500)의 걸림고리(510)에 걸림으로써 2단 락킹상태가 구현된다. 이때, 제어부(800)는 클로우스위치(440)의 클로우접점부(490)에 인식되는 클로우(400)의 위치가 신칭완료 지점에 위치되었다는 신호를 받고, 구동모터(600)의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600)가 동작하지 않지만, 메인기어(300)의 회전 시 압축된 기어탄성부재(390)의 압축력에 의해 메인기어(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초기위치로 원복되되 기어스위치(360,380)의 신호에 따라 정해진 위치만큼 회전되어 신칭이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신칭완료 후의 락킹상태가 도 2의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에 의하면, 액추에이터 일체형 신칭이 구현되어 구동모터가 메인기어를 통해 직접 클로우를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신칭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메인기어, 폴레버, 클로우, 신칭레버 및 기어탄성부재가 각각의 구성끼리 형상이 매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잡한 구성의 추가 없이도 락킹, 락킹해제 및 신칭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주행 중 제어부에 클로우스위치에서 감지된 후드 열림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가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메인기어)를 통해 클로우를 회전시켜 신칭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트라이커 200 : 베이스
210 : 삽입홈 230 : 절곡돌기
300 : 메인기어 310 : 삽입공간
311 : 지지돌기 330 : 메인기어회전축
350 : 감지돌기 360 : 제1기어스위치
370 : 신칭레버 380 : 제2기어스위치
390 : 기어탄성부재 400 : 클로우
410 : 신칭핀 420 : 걸림홈
430 : 연장부 440 : 클로우스위치
450 : 클로우회전축 470 : 걸림돌기
471 : 테이퍼 480 : 클로우탄성부재
490 : 스위치접점부 500 : 폴레버
510 : 걸림고리 511 : 테이퍼
530 : 폴레버회전축 550 : 폴레버탄성부재
600 : 구동모터 610 : 회전축
630 : 랙기어 650 : 서브기어
651 : 제1기어 653 : 제2기어
700 : 와이어 800 : 제어부

Claims (17)

  1. 일측에 스트라이커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타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 메인기어;
    삽입홈과 메인기어 사이에 위치되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하도록 구비된 클로우; 및
    삽입홈과 클로우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스트라이커의 락킹 시 클로우를 락킹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로우를 락킹상태로 유지하는 폴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기어에는 베이스와 메인기어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삽입공간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가압 또는 가압해제 되는 기어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신칭종료 후 기어탄성부재에 의해 메인기어가 초기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삽입공간은 원호형상이고, 기어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서, 기어탄성부재가 삽입공간의 양측면을 각각 가압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삽입공간의 원주방향 테두리에는 삽입공간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지지돌기에 의해 기어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고 압축 또는 압축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어탄성부재의 양측 단부에는 베이스가 절개된 후 메인기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돌기가 형성되고, 절곡돌기가 스토퍼 역할을 함으로써, 기어탄성부재의 경로 밖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에는 메인기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어스위치가 구비되고, 메인기어에는 감지돌기가 형성되어 기어스위치에 의해 메인기어의 락킹해제 위치와 신칭위치가 감지되어 제어부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랙기어에 의해 메인기어가 회전되되, 랙기어와 메인기어 사이에는 서브기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서브기어는 랙과 치합되는 제1기어와 메인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서브기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이중기어로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메인기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에는 메인기어와 인접한 지점에 돌출형성된 신칭핀이 구비되고, 메인기어에는 메인기어의 회전 시 회전되는 신칭레버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시 메인기어 및 신칭레버가 회전되어 신칭레버가 신칭핀을 가압함으로써, 클로우가 회전되어 신칭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클로우에는 메인기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연장부에 신칭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의 인접한 지점에는 클로우의 신칭종료 지점을 감지하는 클로우스위치가 구비되고, 클로우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는 클로우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에는 클로우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클로우에 연결되어 클로우를 항상 락킹해제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클로우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에는 폴레버 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폴레버에는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지점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락킹 시 걸림돌기가 걸림고리와 걸림으로써 클로우의 락킹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걸림돌기와 걸림고리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각각 테이퍼가 형성되어 테이퍼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클로우의 걸림돌기가 폴레버의 걸림고리에 안착되어 걸림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레버에는 폴레버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일단은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폴레버에 연결되어 폴레버를 항상 락킹방향으로 가압하는 폴레버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레버에는 베이스의 외부로 연결된 와이어가 설치되고, 와이어가 당겨져 폴레버가 회전됨으로써, 폴레버와 클로우의 걸림이 해제되어 스트라이커가 락킹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는 메인기어와 연결되어 메인기어의 회전 시 클로우가 회전되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가 회전되면, 메인기어와 클로우가 회전되어 스트라이커가 락킹 또는 락킹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KR1020170162304A 2017-11-29 2017-11-29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KR10239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04A KR102398875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04A KR102398875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318A true KR20190063318A (ko) 2019-06-07
KR102398875B1 KR102398875B1 (ko) 2022-05-18

Family

ID=6685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304A KR102398875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8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6021A (en) * 1992-07-30 1995-11-1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closing device
KR20000002612A (ko) 1998-06-22 2000-01-15 윤종용 프로브 카드의 수평 유지 장치
KR20060018355A (ko) * 2004-08-24 2006-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래치
KR100705132B1 (ko) * 2005-12-08 2007-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파워 래치 장치
KR20140096188A (ko) * 2012-06-25 2014-08-05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KR20170043831A (ko) * 2015-10-14 2017-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래치 열림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6021A (en) * 1992-07-30 1995-11-1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closing device
KR20000002612A (ko) 1998-06-22 2000-01-15 윤종용 프로브 카드의 수평 유지 장치
KR20060018355A (ko) * 2004-08-24 2006-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래치
KR100705132B1 (ko) * 2005-12-08 2007-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파워 래치 장치
KR20140096188A (ko) * 2012-06-25 2014-08-05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KR20170043831A (ko) * 2015-10-14 2017-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래치 열림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875B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1339B2 (en) Device for actuating locks on doors or hatches of vehicles
KR101856358B1 (ko)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KR101836620B1 (ko) 차량용 씬칭래치 조립체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JP6717912B2 (ja) 自動車のためのアウタードアハンドル機構
CN108979366B (zh) 车辆的行李箱盖锁栓组件
US1087101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lock
KR20160025919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US20170298662A1 (en) Vehicle door operation device
KR20160054990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장치
KR20200107082A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CN110234825B (zh) 车门闩锁装置
KR20180072013A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
JP530940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100694448B1 (ko) 도어 래치의 디텐트 스위치 내장 구조
JP5005047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20190063318A (ko)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EP3575522A1 (en) Vehicular door latch device
KR100535053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US11225815B2 (en) Vehicle side door latch apparatus
KR101308494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20190063319A (ko) 차량용 후드의 락킹장치
KR101308493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0872689B1 (ko) 자동차용 도어 록킹장치의 스트라이커 조립체
EP1111166A1 (en) Key unit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