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134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134A
KR20190063134A KR1020170162004A KR20170162004A KR20190063134A KR 20190063134 A KR20190063134 A KR 20190063134A KR 1020170162004 A KR1020170162004 A KR 1020170162004A KR 20170162004 A KR20170162004 A KR 20170162004A KR 20190063134 A KR20190063134 A KR 20190063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ttern
light source
ligh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182B1 (ko
Inventor
김동현
정병화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182B1/ko
Priority to US16/159,985 priority patent/US10697608B2/en
Priority to CN201811209213.XA priority patent/CN109838755B/zh
Priority to DE102018009353.1A priority patent/DE102018009353A1/de
Publication of KR2019006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9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2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mitted light
    • F21S41/125Colour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duce indicia, symbols, tex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입체감을 가지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켜 제1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켜 상기 제1 이미지와 소정의 패턴 형상을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제2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2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서로 다른 색 속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입체감을 가지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차량용 램프는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수단 또는 외부에 신호를 알리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자인 측면에서 램프가 차지하는 비중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즉, 차량용 램프의 기본적인 역할인 운전자의 시야 확보나 주변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여 안전 운행을 돕는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디자인 향상을 통해 소비자가 느끼는 심미적 측면 또한 차량 구매 결정 여부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광원의 단순 점등을 통한 정적인 이미지 구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적으로 보다 향상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1352호 (2013.07.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색 속성을 가지는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입체감을 가지는 패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켜 제1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켜 상기 제1 이미지와 소정의 패턴 형상을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제2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2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서로 다른 색 속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서로 다른 색 속성의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입체감을 가지는 패턴 형상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턴부의 광학 패턴의 형성 방향이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턴부의 광학 패턴의 형상이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턴부의 광학 패턴의 형상에 따른 광의 확산 각도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원 및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 좌표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 온도가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파장이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패턴부의 광학 패턴의 형성 방향이 도시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형상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주간 주행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 상태를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둘 이상의 용도로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용도에 따라 차량용 램프(1)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색 속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색 속성은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따라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색 속성이 달라진다는 것은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진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형성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켜 제1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 형성부(100)는 출사면(110)의 측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면(120)으로 입사되는 광을 내부에서 안내하여 출사면(110)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광 가이드나 렌즈 등과 같은 도광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이미지 형성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켜 제1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형성부(100)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입사면(120)으로 입사된 광을 출사면(110)으로 반사시켜 출사면(110)을 통해 출사되도록 하는 제1 패턴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는 제1 패턴부(130)에 의해 출사면(110)으로 반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이미지는 제1 패턴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패턴부(130)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일면에복수로 형성되는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패턴부(130) 중 어느 하나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나머지 제1 패턴부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턴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면(120)으로 입사된 광을 출사면(110)으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은 사출 공정에 의해 제1 이미지 형성부(100)와 함께 형성되거나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표면 가공에 의해 제1 이미지 형성부(100)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은 필름 형태로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은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일면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은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일면을 기준으로 볼록한 형상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입사면(120)으로 입사된 광을 출사면(110)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패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이 형성되는 방향에 따라 출사면(110)으로 서로 다른 광량의 광이 반사되도록 하여 제1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의 휘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형성 방향(A1)과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의 광축(Ax1) 사이의 각도(θ1)에 따라 제1 패턴부(130)에 의해 출사면(110)으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130)는 표 1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광량이 126lm(루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형성 방향(A1)과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의 광축(Ax1) 사이의 각도(θ1)가 작아질수록 제1 패턴부(13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감소되어 제1 패턴부(130)에 의해 출사면(110)으로 반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의 휘도는 감소하고, 이와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0)의 형성 방향(A1)과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의 광축(Ax1)이 이루는 각도(θ1)가 90도에 가까울수록 제1 패턴부(130)에 의해 반사되는 광량이 증가되어 제1 패턴부(130)에 의해 출사면(110)으로 반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의 휘도는 증가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형성 방향(A1)과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의 광축(Ax1)이 평행한 경우 반사되는 광량이 가장 적고,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형성 방향(A1)과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의 광축(Ax1)이 수직한 경우 반사되는 광량이 가장 많게 되는 것이다.
각도(θ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휘도(cd/㎡) 260 420 480 500 800 1720 2200 3000 4200 6000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형성 방향(A1)과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의 광축(Ax1) 사이의 각도(θ1)에 따른 제1 이미지의 휘도는 전술한 표 1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의 광량이나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광 투과율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형성 방향(A1)과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의 광축(Ax1) 사이의 각도(θ1)를 통해 제1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의 색 속성, 즉 명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패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이 제1 이미지의 형상을 가지도록 복수로 구성되어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이미지의 형상이나 색 속성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개수, 길이, 형성 방향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이 복수로 구성되어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도 6과 같이 복수의 광학 패턴(131)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각 광학 패턴(131)은 0.5 내지 2mm의 폭(P)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각 광학 패턴(131)의 폭(P)이 0.5mm보다 작은 경우 사출 공정이나 표면 가공 등을 통해 정상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각 광학 패턴(131)의 폭(P)이 2mm보다 큰 경우 광이 산란되는 정도가 감소하여 외부로부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될 가능성이 높아져 외관 디자인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은 폭(P)을 기준으로 50 내지 70%의 반경(R)을 가지는 원의 원주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은 전술한 도 6과 같이 반경이 R인 원에서 할선과 만나는 원주 상의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폭(P)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R/P가 0.5 내지 0.7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에 의해 출사면(110)으로 반사되는 광은 R/P에 의해 서로 다른 확산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은 R/P가 작고, 곡률이 클수록 더 큰 확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에 의해 출사면(110)으로 반사되는 광의 확산 각도가 크다는 것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제1 이미지의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대응되는 최적은 확산 각도를 가지도록 R/P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은 도 7과 같이 R/P가 0.5일 때 100도의 확산 각도를 가지는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R/P가 0.7일 때 68도의 확산 각도를 가지는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확산 각도는 전술한 도 7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곡률이나 R/P 등에 의해 확산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이 주로 백색 계열이나 적색 계열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은 도 8과 같이 CIE 1931 색 좌표계를 기준으로 색 좌표(x, y)가 0.310≤x≤0.500, 0.283≤y≤0.440의 범위(R1)에 포함되는 백색 계열의 광이나 색 좌표(x, y)가 0.645≤x≤0.735, 0.259≤y≤0.335의 범위(R2)에 포함되는 적색 계열의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전술한 도 8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따라 색 좌표계에서 다양한 범위에 속하는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백색 계열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은 도 9와 같이 2500 내지 6500K의 색 온도를 가지는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 온도에 따라 제1 이미지의 색 속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서 백색 계열의 광이 사용되는 경우, 색 온도가 2500K인 광은 전구색으로서 따뜻한 느낌을 주고, 색 온도가 6500K인 광은 주광색으로서 차가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 온도를 다르게 하여 제1 이미지의 색 속성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적색 계열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은 도 10과 같이 610 내지 68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제1 이미지의 색 속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서 적색 계열의 광이 사용되는 경우 파장이 617nm인 광은 적색(Red)이고, 파장이 633nm인 광은 진적색(Super Red)이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파장을 다르게 하여 제1 이미지의 색 속성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 속성과 제1 패턴부(130)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형성 방향(A1)에 의해 제1 이미지의 색 속성이 달라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색 속성, 즉 도광체의 색상 등에 따라서도 제1 이미지의 색 속성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형성부(100)가 유색의 도광체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입사되어 제1 패턴부(130)에 의해 출사면(110)으로 반사되는 광은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색상이 혼합된 색상을 가지는 제1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이미지 형성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켜 제2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형성부(200)는 전술한 제1 이미지 형성부(100)와 유사하게 출사면(210)의 측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면(220)으로 입사되는 광을 내부에서 안내하여 출사면(210)으로 출사시키는 도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이미지 형성부(200)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입사면(220)으로 입사된 광을 출사면(210)으로 반사시키는 제2 패턴부(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이미지 형성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미지는 제2 패턴부(23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이미지 형성부(2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제1 이미지 형성부(100)를 투과하여 제2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제2 이미지 형성부(200)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이미지 형성부(200)가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후방에 위치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할 때의 방향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향 등에 따라 전방 및 후방이 의미하는 실제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제2 이미지 형성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미지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와 조합되어 소정의 패턴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패턴 형상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에 따라 입체감이 부가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패턴부(130)에 의해 반사되는 광과 제2 패턴부(23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각각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패턴부(130) 및 제2 패턴부(230)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턴 형상에 따라 제1 패턴부(130) 및 제2 패턴부(230)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패턴부(230)는 전술한 제1 패턴부(130)와 마찬가지로 제2 이미지 형성부(200)의 일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 대응대는 제1 패턴부(130) 및 제2 패턴부(230)에 의해 복수의 패턴 형상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2 패턴부(230) 중 어느 하나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나머지 제2 패턴부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이미지 형성부(200)의 출사면(2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제1 이미지 형성부(100)를 투과하여 제2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제2 이미지 형성부(200)의 출사면(210)은 제1 이미지 형성부(100)에서 제1 패턴부(130)가 형성되는 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 형성부(100)는 도 11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입사된 광(L1)이 제1 패턴부(130)에 의해 출사면(110)으로 반사되어 제1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며,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200)는 출사면(210)으로 출사된 광(L2)이 제1 이미지 형성부(100)를 투과하여 제2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는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 적절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제1 패턴부(130)와 제2 패턴부(230) 사이의 간격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제1 이미지 형성부(100)와 제2 이미지 형성부(200)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즉, 제1 패턴부(130) 및 제2 패턴부(230)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넓거나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넓은 경우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에 형성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입체감이 저하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제1 패턴부(130) 및 제2 패턴부(230) 사이의 간격이나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좁은 경우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중첩되어 정상적인 패턴 형상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실험을 거쳐 최적의 간격을 가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가 제2 이미지 형성부(200)의 출사면(210) 전체를 가리도록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이미지 형성부(100)는 제2 이미지 형성부(200)의 출사면(210) 중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제2 패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면(220)으로 입사된 광을 출사면(210)으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패턴부(130)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의 형성 방향에 따라 출사면(210)으로 서로 다른 광량의 광이 반사되도록 하여 제1 이미지 형성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미지의 휘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의 형성 방향(A2, A3)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의 광축(Ax2)과 이루는 각도(θ2, θ3)에 따라 제2 패턴부(230)에 의해 출사면(210)으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턴부(230)는 제1 패턴부(130)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의 형성 방향(A2, A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의 광축(Ax2)이 이루는 각도(θ2, θ3)가 작아질수록 제2 패턴부(230)에 의해 출사면(210)으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감소되어 제2 이미지의 휘도는 감소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의 형성 방향(A2, A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의 광축(Ax2)이 이루는 각도(θ2, θ3)가 90도에 가까울수록 출사면(210)으로 반사되는 광량이 광량이 증가되어 제2 이미지의 휘도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의 형성 방향(A2, A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의 광축(Ax2) 사이의 각도(θ2, θ3)를 통해 제2 이미지의 색 속성, 즉 명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 패턴부(230)는 제1 패턴부(130)와 달리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의 광축(Ax2)과 이루는 각도(θ2, θ3)의 수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제1 패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형성 방향(A1)이 모두 동일한 반면, 제2 패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이 서로 다른 복수의 형성 방향(A2, A3)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때, 제2 패턴부(230)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이 서로 다른 복수의 형성 방향(A2, A3)을 가지는 경우 제2 이미지가 서로 다른 복수의 색 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패턴부(130) 및 제2 패턴부(230)에 의해 두 개의 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라도 3개의 이미지가 형성된 것과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패턴 형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패턴부(230)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이 서로 다른 복수의 형성 방향(A2, A3)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패턴부(130)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도 서로 다른 복수의 형성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은 제2 패턴부(230)가 제2 이미지의 형상을 가지도록 복수로 구성되어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의 개수, 길이, 형성 방향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2 패턴부(230)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은 전술한 제1 패턴부(130)와 유사한 이유로 0.5 내지 2mm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폭을 기준으로 50 내지 70%의 반경을 가지는 원의 원주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은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과 유사하게 전술한 도 8과 같은 CIE 1931 색 좌표계를 기준으로 색 좌표(x, y)가 0.310≤x≤0.500, 0.283≤y≤0.440의 범위에 포함되는 백색 계열의 광이 발생될 수 있고, 색 좌표(x, y)가 0.645≤x≤0.735, 0.259≤y≤0.0.335의 범위에 포함되는 적색 계열의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이미지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미지는 서로 조합되어 소정의 패턴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을 서로 다르게 하여 패턴 형상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전술한 색 속성은 이미지의 색상, 명도, 채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상, 명도,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색 속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깊이감을 다르게 하여 패턴 형상에 입체감을 부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패턴 형상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 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전술한 도 9의 범위(R1)에 포함되는 백색 계열의 광이 발생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2500K의 색 온도를 가지는 광이 발생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6500K의 색 온도를 가지는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상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조합된 패턴 형상이 입체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전술한 도 10의 범위(R2)에 포함되는 적색 계열의 광이 발생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으로부터 파장이 617nm인 광이 발생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파장이 633nm인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상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조합된 패턴 형상이 입체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서로 다른 색 온도 또는 파장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에서 발생된 광의 광량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명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조합된 패턴 형상이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명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광량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광량이 동일한 경우라도 제1 패턴부(130)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131)의 형성 방향(A1) 및 제2 패턴부(230)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의 형성 방향(A2, A3)에 따라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량이 달라지게 되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서로 다른 명도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가 투명 렌즈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 속성에 따라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이 달라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의 색 속성에 따라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동일한 파장 또는 색 온도를 가지는 광이 발생되는 경우라도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의 색상이 혼합된 색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조합된 패턴 형상이 입체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이미지 형성부(200)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1 이미지 형성부(100)를 투과하여 제2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2 이미지는 제2 이미지 형성부(200)의 색상뿐만 아니라 제1 이미지 형성부(100)의 색상이 혼합된 색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서로 다른 색 속성을 가지거나, 제1 패턴부(130) 및 제2 패턴부(230)에 의해 서로 다른 광량의 광이 반사되거나,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가 서로 다른 색 속성을 가지는 경우를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 속성, 제1 패턴부(130) 및 제2 패턴부(13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 및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의 색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이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이 서로 다른 경우, 도 13과 같이 제1 이미지(I1) 및 제2 이미지(I2)가 조합된 패턴 형상(S)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색 속성을 가지기 제1 이미지(I1) 및 제2 이미지(I2)의 깊이감이 서로 다르게 되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형상(S)이 입체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도 13에서는 제2 이미지(I2)가 복수의 색 속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도 12와 같이 제2 패턴부(230)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A2, A3)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며, 제2 패턴부(230)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231)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색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도 13은 제1 이미지(I1) 및 제2 이미지(I2)의 색 속성 차이를 음영으로 나타낸 경우의 일 예로서,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턴 형상(S)의 색 속성, 즉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진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이미지를 형성하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를 형성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200)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턴 형상을 형성하는 이미지의 개수에 따라 이미지 형성부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이 동시에 점등되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조합된 소정의 패턴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가 교대로 점등되거나 어느 하나가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둘 이상의 용도로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각 용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둘 이상의 용도 중 어느 하나는 제1 이미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둘 이상의 용도로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각 용도에 따라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이 순차적으로 교대로 점등되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턴 시그널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400)을 교대로 순차 점등하여 보다 향상된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제1 이미지 형성부(100) 및 제2 이미지 형성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조합된 패턴 형상이 입체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패턴 형상이 입체감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패턴 형상이 입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게 되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이미지 형성부 110: 출사면
120: 입사면 130: 제1 패턴부
131: 광학 패턴 200: 제2 이미지 형성부
210: 출사면 220: 입사면
230: 제2 패턴부 231: 광학 패턴
300: 제1 광원 400: 제2 광원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켜 제1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켜 상기 제1 이미지와 소정의 패턴 형상을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제2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2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서로 다른 색 속성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 속성은,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는,
    일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면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 패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는,
    일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면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2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 패턴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제1 패턴부가 형성되는 면이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의 출사면과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의 색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의 색 속성,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의 색 속성, 및 상기 제1 패턴부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변경되는 차량용 램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의 색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의 색 속성,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의 색 속성,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의 색 속성, 및 상기 제2 패턴부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변경되는 차량용 램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 각각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의 형성 방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광량의 광이 반사되도록 하며,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의 형성 방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의 광축 사이의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광량의 광이 반사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은,
    0.5 내지 2mm의 폭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의 폭의 50 내지 70%의 반경을 가지는 원의 원주 중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확산 각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패턴의 폭에 대한 상기 반경의 비에 따라 변경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은,
    색 좌표계의 색 좌표(x, y)가 0.310≤x≤0.500, 0.283≤y≤0.440의 범위에 포함되는 백색 계열의 광이 발생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은,
    2500k 내지 6500k 사이의 색 온도를 가지는 광이 발생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은,
    색 좌표계의 색 좌표(x, y)가 0.645≤x≤0.735, 0.259≤y≤0.335의 범위에 포함되는 적색 계열의 광이 발생되는 차량용 램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은,
    610 내지 680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는 차량용 램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상은,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색 속성 차이에 따라 일부가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깊이감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KR1020170162004A 2017-11-29 2017-11-29 차량용 램프 KR102435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004A KR102435182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용 램프
US16/159,985 US10697608B2 (en) 2017-11-29 2018-10-15 Lamp for vehicle
CN201811209213.XA CN109838755B (zh) 2017-11-29 2018-10-17 车辆用灯具
DE102018009353.1A DE102018009353A1 (de) 2017-11-29 2018-11-28 Fahrzeugleuch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004A KR102435182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134A true KR20190063134A (ko) 2019-06-07
KR102435182B1 KR102435182B1 (ko) 2022-08-23

Family

ID=6644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004A KR102435182B1 (ko) 2017-11-29 2017-11-2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97608B2 (ko)
KR (1) KR102435182B1 (ko)
CN (1) CN109838755B (ko)
DE (1) DE102018009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9915B2 (ja) * 2018-10-31 2022-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発光装置
CN110953547B (zh) * 2019-12-10 2022-08-12 东风汽车有限公司 用于车灯的厚壁件及车灯
WO2023212482A1 (en) * 2022-04-26 2023-11-02 Valeo Vision Bi-directional light guide system for a vehicle
US20230339387A1 (en) * 2022-04-26 2023-10-26 Valeo North America, Inc. Bi-directional light system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63A (ko) *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테크자인 차량용 램프
JP2007241234A (ja) * 2006-02-13 2007-09-20 Hiroshi Nakazaw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79359A (ko) * 2007-02-27 2008-09-01 기길웅 광고 와 인테리어 간접조명 표시매체
KR20130081352A (ko) 2012-01-09 2013-07-17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차량용 램프
JP2014150038A (ja) * 2013-02-04 2014-08-21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KR20150043390A (ko) * 2012-08-13 2015-04-22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아웃-커플링 부재를 갖는 도광판
JP2015082443A (ja) * 2013-10-23 2015-04-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KR20160139536A (ko) * 2015-05-28 2016-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램프
KR20170097184A (ko) * 2014-12-31 2017-08-25 쑤저우 유니버시티 멀티-뷰 픽셀 지향성 백라이트 모듈 및 나안 3d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3608B2 (ja) * 2001-03-30 2004-03-08 岡谷電機産業株式会社 光点式表示器
JP2006053449A (ja) * 2004-08-16 2006-02-23 Shigemasa Kitajima 面発光装置
JP2009204885A (ja) * 2008-02-28 2009-09-10 Omron Corp 表示装置
JP2011018619A (ja) * 2009-07-10 2011-01-27 Sony Corp 表示装置及び面照明装置
US20110194167A1 (en) * 2009-07-20 2011-08-11 Jeanette Elisabeth Jackson Multi-segmented displays
DE102010018033A1 (de) * 2010-04-23 2011-10-2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Flächenlichtleiter und Flächenstrahler
US9134008B2 (en) * 2010-10-06 2015-09-15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Light emitting decorative panels
CN103133939B (zh) * 2011-11-30 2015-02-04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块的光源结构
TW201337870A (zh) * 2012-03-02 2013-09-16 Primax Electronics Ltd 應用於電子設備之顯示裝置
US8764266B2 (en) * 2012-03-30 2014-07-01 GE Lighting Solutions, LLC Edge-lit flat panel repetitive lighting fixture
KR101927157B1 (ko) * 2012-10-15 2018-12-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장치
CN104884307A (zh) * 2012-12-28 2015-09-02 3M创新有限公司 堆叠光导尾灯制品
JP2019021457A (ja) * 2017-07-14 2019-02-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63A (ko) *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테크자인 차량용 램프
JP2007241234A (ja) * 2006-02-13 2007-09-20 Hiroshi Nakazaw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79359A (ko) * 2007-02-27 2008-09-01 기길웅 광고 와 인테리어 간접조명 표시매체
KR20130081352A (ko) 2012-01-09 2013-07-17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차량용 램프
KR20150043390A (ko) * 2012-08-13 2015-04-22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아웃-커플링 부재를 갖는 도광판
JP2014150038A (ja) * 2013-02-04 2014-08-21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5082443A (ja) * 2013-10-23 2015-04-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KR20170097184A (ko) * 2014-12-31 2017-08-25 쑤저우 유니버시티 멀티-뷰 픽셀 지향성 백라이트 모듈 및 나안 3d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39536A (ko) * 2015-05-28 2016-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램프
KR102325585B1 (ko) * 2015-05-28 2021-1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38755B (zh) 2022-03-22
CN109838755A (zh) 2019-06-04
US10697608B2 (en) 2020-06-30
US20190162383A1 (en) 2019-05-30
DE102018009353A1 (de) 2019-05-29
KR102435182B1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182B1 (ko) 차량용 램프
CN108603649A (zh) 特别用于刹车灯的照明模块
US9541703B2 (en) Lamp
US6469622B1 (en) Automobile rear combination lamp
JP2013131454A (ja) 照明装置
KR101672031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US6409371B2 (en) Vehicle lamp
JP6659348B2 (ja) ウインドウリアランプ
GB2348273A (en) Three colour vehicle lamp comprising two colours of lens and a dummy portion
JP6741474B2 (ja) 車両用灯具
JP2018198134A (ja) 車両用灯具
CN105473935A (zh) 包括集成led的尤其用于机动车辆照明构件的照明系统
CN106322268B (zh) 车辆、灯具系统及其灯具装置
CN109915783B (zh) 着色图像描绘装置
KR20180061928A (ko) 차량용 램프
JP2000195309A (ja) 車両用標識灯
JP6918653B2 (ja) 車両用灯具
CN116745705A (zh) 小型化全息显示器
TWI617770B (zh) 車輛、燈具系統及其燈具裝置
US11988351B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852850B2 (en) Lighting assemblies for vehicles
JP2015065035A (ja) 車両用灯具
JP2017208262A (ja) 車両用灯具
CN112268263B (zh) 一种汽车动态发光尾灯
CN219693019U (zh) 一种应用于车灯的集成光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