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214A - 통신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214A
KR20190062214A KR1020180144325A KR20180144325A KR20190062214A KR 20190062214 A KR20190062214 A KR 20190062214A KR 1020180144325 A KR1020180144325 A KR 1020180144325A KR 20180144325 A KR20180144325 A KR 20180144325A KR 20190062214 A KR20190062214 A KR 2019006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processing unit
data transfer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184B1 (ko
Inventor
요시노리 모나카
도모야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6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2Linking several PLC'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data handling or data format, e.g. reading, buffering or conversion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28Mod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의 제약을 받지 않고 상위 장치와 하위 장치 사이의 효율 좋은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통신 제어 장치(1a)는,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고, 사용 가능한 커넥션에 대응하는 PLC용 통신 처리부(10-1∼10-n)에 커맨드 프레임을 전달하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와,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전송원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전송원에 대응하는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12-m)에 전달하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와, 데이터 전송 정의부(15)의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원에 대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고,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데이터를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처에 기록하는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제어 장치{COMMUNICATION CONTRO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위 장치와 하위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는 통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이하, PLC)나 온도 조절계(이하, 조절계) 등의 계기에서 통신으로 데이터를 판독/기록할 때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통신 제어 장치를 통해, 기기 내의 파라미터(또는 레지스터)와 관련된 데이터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커맨드 리스폰스 통신으로 그 파라미터의 값을 판독/기록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로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MODBUS(등록상표), MC 프로토콜, CPL(Controller Peripheral Link) 등이 있다.
도 15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통신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예에서는, 통신 제어 장치(1)는, CPL을 이용하여 조절계(3)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MODBUS를 이용하여 PLC(2)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PLC(2)가 마스터 기기로서 존재하고, 그 지시에 의해 각 조절계(3)가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 조절계(3)의 데이터(조작량 MV나 제어량 PV의 데이터)는 상기와 같이 통신으로 판독되어, PLC(2) 내에 집약된다.
통신 제어 장치(1)를 통한 PLC(2)와 조절계(3)의 통신에 있어서, 종래는 시리얼 통신이 이용되었다. 시리얼 통신의 경우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물리 포트(COM 포트)에 관해 커맨드 리스폰스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조절계(3)의 대수는 1대였다.
최근에 증가한, Ethernet(등록상표) 등의 LAN(Local Area Network)를 이용한 IP(Internet protocol) 통신의 경우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LAN(4) 상에 있는 복수의 조절계(3)로부터 병렬로 커맨드 리스폰스로 데이터를 대량 및 고속으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통신 제어 장치(1)가 PLC(2)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위시간당 데이터량은, 조절계(3)의 접속 대수에 비례한다. 통신 제어 장치(1)와 PLC(2)의 커맨드 리스폰스로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수에는 제한이 있고, 한번에 주고 받을 수 있는 데이터수를 초과한 경우는 복수의 통신 프레임(5-1, 5-2, …)으로 나눠 데이터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고, 병렬 처리를 할 수 없는 경우는 통신 프레임마다 커맨드 리스폰스를 대기하면서 순서대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통신 제어 장치(1)와 PLC(2)의 단위시간당 통신량에 관해, 시리얼 통신의 경우는 조절계(3)의 접속 대수가 증가하더라도, 물리적인 통신 포트의 수의 제약에 의해 큰 변화는 없었지만, IP 통신의 경우는 조절계(3)의 접속 대수에 비례하여 통신 제어 장치(1)와 PLC(2)의 통신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다수의 조절계(3)가 이용되고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제어 장치(1)와 PLC(2)의 통신이 보틀넥이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러한 과제의 하나의 해결 방법으로서, 통신 제어 장치(1)와 PLC(2)의 통신에 있어서, 커맨드 리스폰스 처리에서 리스폰스를 대기하지 않고 병렬로 커맨드를 송신하는 방법이 있다. 예컨대, MODBUS/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등의 프레임 번호(프레임 식별 ID)의 기능을 갖춘 통신 프로토콜이라면, 한번에 복수의 커맨드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프로토콜이나 기기 고유의 사양에 따라 병렬로 실행할 수 있는 수는 제약된다. PLC(2)의 처리 능력을 넘어 커맨드를 송신하면, TCP의 재송 처리가 다발하여 전체 성능 저하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프레임 번호의 기능을 갖추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도 존재한다.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 재송 처리 등에 의해 프레임의 순서가 교체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커맨드 리스폰스 처리를 병렬로 실행할 수는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344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3417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조절계 등의 하위 장치의 접속수가 증가한 경우에도, 통신 프로토콜의 제약을 받지 않고 상위 장치와 하위 장치 사이의 효율 좋은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는 통신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장치는, 복수의 하위 장치의 각각에 관해 설치되고, 대응하는 하위 장치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통신 처리부와, 상위 장치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복수의 커넥션의 각각에 관해 설치되고, 대응하는 커넥션을 통해 상기 상위 장치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통신 처리부와,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를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정의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원의 하위 장치에 대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고,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데이터를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처의 상위 장치에 기록하는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처리부와, 상기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상기 전송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처리부에 전달하고, 이 제1 통신 처리부가 제1 리스폰스 프레임을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상기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리스폰스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커넥션 중에 사용 가능한 커넥션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상기 사용 가능한 커넥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처리부에 상기 제2 커맨드 프레임을 전달하고, 이 제2 통신 처리부가 제2 리스폰스 프레임을 상기 전송처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제2 리스폰스 프레임이 나타내는 결과를 상기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장치는, 상위 장치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복수의 커넥션의 각각에 관해 설치되고, 대응하는 커넥션을 통해 상기 상위 장치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통신 처리부와, 복수의 하위 장치의 각각에 관해 설치되고, 대응하는 하위 장치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통신 처리부와,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를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정의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원의 상위 장치에 대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고,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데이터를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처의 하위 장치에 기록하는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커넥션 중에 사용 가능한 커넥션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상기 전송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처리부에 전달하고, 이 제1 통신 처리부가 제1 리스폰스 프레임을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상기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리스폰스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와, 상기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상기 전송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처리부에 전달하고, 이 제2 통신 처리부가 제2 리스폰스 프레임을 상기 전송처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제2 리스폰스 프레임이 나타내는 결과를 상기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는, 상기 전송원의 정보와 상기 전송처의 정보와 함께, 데이터 전송의 기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조건으로서, 데이터 전송 주기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는, 상기 전송원의 정보와 상기 전송처의 정보와 함께, 데이터 전송의 기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조건으로서, 트리거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상기 상위 장치의 하나의 통신 포트에 상기 복수의 커넥션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상기 상위 장치의 복수의 통신 포트에 상기 커넥션이 하나씩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제어 장치와 상위 장치 사이에 복수의 커넥션을 설정하여 통신을 함으로써, 복수의 커맨드 프레임을 복수의 커넥션을 통해 병렬로 상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하위 장치의 접속수가 증가한 경우에도, 통신 프로토콜의 제약을 받지 않고, 상위 장치와 하위 장치 사이의 효율 좋은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PLC의 하나의 TCP 통신 포트에 복수의 커넥션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의 데이터 전송 정의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의 데이터 전송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의 조절계용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 및 통신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의 PLC용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 및 통신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통신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PLC의 복수의 TCP 통신 포트에 커넥션을 하나씩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의 데이터 전송 정의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의 PLC용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 및 통신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의 조절계용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 및 통신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제3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통신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와 조절계의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LAN을 이용한 PLC와 조절계의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발명의 원리]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LC와의 통신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이, 커맨드를 병렬로 실행할 수 없는 프로토콜인 경우에도, PLC의 사양으로서, 하나의 TCP 통신 포트에 복수의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또한, 단일 커넥션만 허가되는 경우에도, 동시에 복수의 TCP 통신 포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PLC의 사양은, 복수의 기기(터치패널이나 컴퓨터 등)가 PLC에 접속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PLC와의 사이에서 동시에 복수의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이용하여, 통신 제어 장치(1a)가, 복수의 커넥션에 대하여 병행하여 커맨드 리스폰스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PLC로부터의 리스폰스 대기에 의한 시간 낭비를 삭감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통신 제어 장치(1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 제어 장치(1a)는, PLC(2)와 Ethernet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PLC(2)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복수의 커넥션의 각각에 관해 설치되고, 대응하는 커넥션을 통해 PLC(2)와 통신을 하는 n개의 PLC용 통신 처리부(10-1∼10-n)(n은 2 이상의 정수)와, 후술하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로부터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사용 가능한 커넥션에 대응하는 PLC용 통신 처리부(10-1∼10-n)에 커맨드 프레임을 전달하고, PLC용 통신 처리부(10-1∼10-n)가 리스폰스 프레임을 수신했을 때에, 이 리스폰스 프레임이 나타내는 결과를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통지하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와, 조절계(3-1∼3-m)마다 설치되고, 조절계(3-1∼3-m)와 Ethernet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m개의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12-m)(m은 2 이상의 정수)와, 데이터 전송 처리부로부터의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전송원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전송원에 대응하는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12-m)에 전달하고,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12-m)가 리스폰스 프레임을 수신했을 때에,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데이터를 리스폰스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전달하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와,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원에 대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고,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데이터를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처에 기록하는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와, 전송원의 정보와 전송처의 정보와 데이터 전송의 기동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데이터 전송 정의부(15)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C(2)의 사양으로서, 하나의 TCP 통신 포트(200)에 복수의 커넥션(Pcon-1∼Pcon-n)을 확립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에서의 100-1∼100-n은 각각 통신 제어 장치(1a)의 PLC용 통신 처리부(10-1∼10-n)에 설정되는 TCP 통신 포트, 101-1∼101-m은 각각 통신 제어 장치(1a)의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12-m)에 설정되는 TCP 통신 포트, 300-1∼300-m은 각각 조절계(3-1∼3-m)의 TCP 통신 포트, Ccon-1∼Ccon-m은 TCP 통신 포트(101-1∼101-m)과 TCP 통신 포트(300-1∼300-m) 사이에 설정되는 커넥션이다.
데이터 전송 정의부(15)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는, 데이터 전송의 기동 조건과, 데이터 전송원의 어드레스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조절계(3-1∼3-m)의 감시 포인트나 데이터를 지정하는 어드레스)와, 데이터 전송처의 어드레스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PLC(2)의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로 이루어진다.
도 4의 예에서는, 데이터 전송의 기동 조건으로서, 데이터 전송 주기가 정의되어 있고, 200 msec마다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는, 통신 제어 장치(1a)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통신 제어 장치(1a)의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 및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12-m)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 및 PLC용 통신 처리부(10-1∼10-n)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데이터 전송 정의부(15)의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기동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 대기한다.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데이터 전송을 실시해야 할 타이밍이 되고, 기동 조건이 성립되면(도 5의 단계 S100에서 YES),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원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원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한다(도 5의 단계 S101).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는 전송원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작성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원에 대응하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에 송신한다(도 5의 단계 S102).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원과 데이터 전송처의 모든 조(組)에 관해 판독 리퀘스트 정보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도 5의 단계 S103에서 YES), 단계 S101, S102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한다.
다음으로,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로부터의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수신하면(도 6의 단계 S200에서 YES), 수신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내부의 통신 리퀘스트큐(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는 통신 리퀘스트큐 처리를 행한다(도 6의 단계 S201).
계속해서,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통신 리퀘스트큐에 미처리 판독 리퀘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도 6의 단계 S202에서 YES), 미처리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송원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 전송원의 조절계(3)(3-1∼3-m)와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6의 단계 S203).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데이터 전송원과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중이 아닌 경우(단계 S203에서 NO), 처리 대상의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원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한다(도 6의 단계 S204). 커맨드 프레임에는 전송원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작성한 커맨드 프레임을 데이터 전송원(본 실시예에서는 조절계)에 대응하는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2-1∼12-m)에 전달한다.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2-1∼12-m)는, 수취한 커맨드 프레임을, 데이터 전송원과의 사이에 설정된 커넥션(Ccon)(Ccon-1∼Ccon-m)을 통해 데이터 전송원의 조절계(3)(3-1∼3-m)에 송신한다(도 6의 단계 S205).
조절계(3)(3-1∼3-m)는,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하면, 수신한 커맨드 프레임에 포함되는 전송원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로부터 취득하여, 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폰스 프레임을 작성한다. 그리고, 조절계(3)(3-1∼3-m)는, 작성한 리스폰스 프레임을, 커맨드 프레임의 송신원의 통신 제어 장치(1a)와의 사이에 설정된 커넥션(Ccon)(Ccon-1∼Ccon-m)을 통해 통신 제어 장치(1a)에 송신한다.
커맨드 프레임을 송신한 통신 제어 장치(1a)의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2-1∼12-m)는, 이 커맨드 프레임에 대한 리스폰스 프레임을 조절계(3)(3-1∼3-m)로부터 수신하면(도 6의 단계 S206에서 YES), 수신한 리스폰스 프레임을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에 전달한다.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리스폰스 프레임을 해석하여, 데이터 전송원의 조절계(3)(3-1∼3-m)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리스폰스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한다(도 6의 단계 S207).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리스폰스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한 데이터를, 처리 대상의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결과로서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에 송신한다(도 6의 단계 S208).
그리고,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처리 대상의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결과를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에 송신한 후,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내부의 통신 리퀘스트큐로부터 삭제하고(도 6의 단계 S209), 단계 S200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결과를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로부터 수신하면(도 5의 단계 S104에서 YES),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는 기초가 된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한다(도 5의 단계 S105).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는,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와, 데이터 전송원의 조절계(3)(3-1∼3-m)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작성한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처에 대응하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에 송신한다(도 5의 단계 S106).
다음으로,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로부터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수신하면(도 7의 단계 S300에서 YES), 수신한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내부의 통신 리퀘스트큐(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는 통신 리퀘스트큐 처리를 행한다(도 7의 단계 S301).
계속해서,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통신 리퀘스트큐에 미처리 기록 리퀘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도 7의 단계 S302에서 YES), 미처리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이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 전송처(본 실시예에서는 PLC(2))와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7의 단계 S303).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제어 장치(1a)와 PLC(2)의 사이에 복수의 커넥션(Pcon-1∼Pcon-n)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커넥션(Pcon-1∼Pcon-n)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통신 처리중이라는 판정 결과가 되고, 커넥션(Pcon-1∼Pcon-n) 중 적어도 하나의 커넥션이 미사용인 경우에는 통신 처리중이 아니라는 판정 결과가 된다.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데이터 전송처와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중이 아닌 경우, 즉 복수의 커넥션(Pcon-1∼Pcon-n) 중에 사용 가능한 커넥션이 존재하는 경우(단계 S303에서 NO), 처리 대상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한다(도 7의 단계 S304). 커맨드 프레임에는,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와, 데이터 전송원의 조절계(3)(3-1∼3-m)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작성한 커맨드 프레임을, 데이터 전송처(본 실시예에서는 PLC(2))과의 사이에 설정된 복수의 커넥션(Pcon-1∼Pcon-n) 중, 사용 가능한 커넥션에 대응하는 PLC용 통신 처리부(10)(10-1∼10-n)에 전달한다. PLC용 통신 처리부(10)(10-1∼10-n)는, 대응하는 커넥션(Pcon)(Pcon-1∼Pcon-n)을 통해 커맨드 프레임을 데이터 전송처의 PLC(2)에 송신한다(도 7의 단계 S305).
PLC(2)는,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하면,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한 커넥션(Pcon)(Pcon-1∼Pcon-n)을 이용하여,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리스폰스 프레임을 통신 제어 장치(1a)로 반환한다. 또한, PLC(2)은, 수신한 커맨드 프레임에 포함되는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레지스터에, 이 커맨드 프레임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렇게 하여, 조절계(3)(3-1∼3-m)의 데이터를 PLC(2)에 전송할 수 있다.
커맨드 프레임을 송신한 통신 제어 장치(1a)의 PLC용 통신 처리부(10)(10-1∼10-n)는, 이 커맨드 프레임에 대한 리스폰스 프레임을 PLC(2)로부터 수신하면(도 7의 단계 S306에서 YES), 수신한 리스폰스 프레임을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에 전달한다.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리스폰스 프레임을 해석하여(도 7의 단계 S307), 데이터 전송처의 PLC(2)가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한 것을 확인하면, 처리 대상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처리 대상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결과로서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에 송신한다(도 7의 단계 S308).
그리고,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처리 대상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결과를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에 송신한 후, 이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내부의 통신 리퀘스트큐로부터 삭제하고(도 7의 단계 S309), 단계 S300으로 되돌아간다.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결과를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로부터 수신하면(도 5의 단계 S107에서 YES),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원과 데이터 전송처의 모든 조에 관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5의 단계 S108).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원과 데이터 전송처의 모든 조에 관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08에서 NO), 단계 S104로 되돌아간다. 또한,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원과 데이터 전송처의 모든 조에 관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경우에는(단계 S108에서 YES),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가, 다음 기동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 대기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통신 제어 장치(1a)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의 예에서는, 통신 제어 장치(1a)와 PLC(2) 사이에 3개의 커넥션(Pcon-1∼Pcon-3)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5, 도 6에서 설명한 동작에 의해, 통신 제어 장치(1a)는, 조절계(3-1∼3-3)에 대하여,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커맨드 프레임(Cc-1∼Cc-3)을 송신한다. 이 커맨드 프레임(Cc-1∼Cc-3)에 대하여, 조절계(3-1∼3-3)는, 요구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폰스 프레임(Cr-1∼Cr-3)을 통신 제어 장치(1a)에 회신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1a)는, 수신한 리스폰스 프레임(Cr-1∼Cr-3)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PLC(2)에 기록하기 위한 커맨드 프레임(Pc-1∼Pc-3)을, 3개의 커넥션(Pcon-1∼Pcon-3)을 통해 병렬로 PLC(2)에 송신한다. PLC(2)는, 커맨드 프레임(Pc-1∼Pc-3)을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리스폰스 프레임(Pr-1∼Pr-3)을, 각각 커넥션(Pcon-1∼Pcon-3)을 통해 통신 제어 장치(1a)에 회신한다.
도 9는 종래의 통신 제어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종래에도, 통신 제어 장치(1)와 조절계(3-1∼3-3) 사이의 커맨드 리스폰스 처리는 본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통신 제어 장치(1)와 PLC(2) 사이에 관해서는 하나의 커넥션(Pcon-1)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 제어 장치(1)는, 커맨드 프레임(Pc-1)에 대한 리스폰스 프레임(Pr-1)을 수신할 때까지, 다음 커맨드 프레임(Pc-2)을 PLC(2)에 송신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통신 제어 장치(1)는, 커맨드 프레임(Pc-2)에 대한 리스폰스 프레임(Pr-2)을 수신할 때까지, 다음 커맨드 프레임(Pc-3)을 PLC(2)에 송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통신 제어 장치(1)에서는, 복수의 커맨드 리스폰스 처리를 병렬로 실행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제어 장치(1a)와 PLC(2) 사이에 복수의 커넥션을 설정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통신 제어 장치(1a)를 통한 PLC(2)와 조절계(3)(3-1∼3-m)의 효율 좋은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PLC(2)의 통신 프로토콜이나 조절계(3)(3-1∼3-m)의 통신 프로토콜은 TCP/IP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면 되며,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에 상관없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프로토콜의 제약을 받지 않고 효율 좋은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PLC(2)의 사양으로서, 하나의 TCP 통신 포트(200)에 복수의 커넥션(Pcon-1∼Pcon-n)을 확립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C(2)의 사양으로서, 하나의 TCP 통신 포트당 하나의 커넥션의 확립만 허가되어 있지만, 복수의 TCP 통신 포트(200-1∼200-n)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TCP 통신 포트(200-1∼200-n)마다 커넥션(Pcon-1∼Pcon-n)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도, 통신 제어 장치(1a)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PLC(2)의 사양으로서, 복수의 TCP 통신 포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각 TCP 통신 포트에 복수의 커넥션을 확립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의 기동 조건으로서 데이터 전송 주기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동 조건으로서, 트리거 정보가 정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1의 예에서는, PLC(2)의 M001이라는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레지스터가 ON이 되었을 때에 기동 조건이 성립되고,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또한,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조절계(3-1∼3-m)가 전송원이고, PLC(2)가 전송처인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C(2)가 전송원이고, 조절계(3-1∼3-m)가 전송처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도, 통신 제어 장치(1a)의 구성은 제1, 제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정의부(15)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의 통신 제어 장치(1a)의 동작을, 도 2의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의 처리의 흐름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5의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 및 PLC용 통신 처리부(10-1∼10-n)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 및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12-m)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PLC(2)의 M001이라는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레지스터가 ON이 되고, 기동 조건이 성립되면(도 5의 단계 S100에서 YES),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원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한다(도 5의 단계 S101). 또, PLC(2)의 레지스터의 상태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 및 PLC용 통신 처리부(10)(10-1∼10-n)를 통해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작성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원에 대응하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에 송신한다(도 5의 단계 S102).
다음으로,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로부터의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수신하면(도 12의 단계 S400에서 YES), 수신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내부의 통신 리퀘스트큐에 저장하는 통신 리퀘스트큐 처리를 행한다(도 12의 단계 S401).
계속해서,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통신 리퀘스트큐에 미처리 판독 리퀘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도 12의 단계 S402에서 YES), 미처리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송원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 전송원과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12의 단계 S403).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데이터 전송원의 PLC(2)와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중이 아닌 경우, 즉 복수의 커넥션(Pcon-1∼Pcon-n) 중에 사용 가능한 커넥션이 존재하는 경우(단계 S403에서 NO), 처리 대상의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원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한다(도 12의 단계 S404).
그리고,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작성한 커맨드 프레임을, 데이터 전송원(본 실시예에서는 PLC(2))과의 사이에 설정된 복수의 커넥션(Pcon-1∼Pcon-n) 중, 사용 가능한 커넥션에 대응하는 PLC용 통신 처리부(10)(10-1∼10-n)에 전달한다. PLC용 통신 처리부(10)(10-1∼10-n)는, 대응하는 커넥션(Pcon)(Pcon-1∼Pcon-n)을 통해 커맨드 프레임을 데이터 전송원의 PLC(2)에 송신한다(도 12의 단계 S405).
PLC(2)는,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하면, 수신한 커맨드 프레임에 포함되는 전송원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로부터 취득하여, 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폰스 프레임을 작성한다. 그리고, PLC(2)는,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한 커넥션(Pcon)(Pcon-1∼Pcon-n)을 이용하여, 리스폰스 프레임을 통신 제어 장치(1a)로 반환한다.
커맨드 프레임을 송신한 통신 제어 장치(1a)의 PLC용 통신 처리부(10)(10-1∼10-n)는, 이 커맨드 프레임에 대한 리스폰스 프레임을 PLC(2)로부터 수신하면(도 12의 단계 S406에서 YES), 수신한 리스폰스 프레임을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에 전달한다.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리스폰스 프레임을 해석하여, 데이터 전송원의 PLC(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리스폰스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한다(도 12의 단계 S407).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리스폰스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한 데이터를, 처리 대상의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결과로서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에 송신한다(도 12의 단계 S408).
그리고,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는, 처리 대상의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결과를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에 송신한 후,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내부의 통신 리퀘스트큐로부터 삭제하고(도 12의 단계 S409), 단계 S400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결과를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1)로부터 수신하면(도 5의 단계 S104에서 YES),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는 기초가 된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한다(도 5의 단계 S105).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는,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와, 데이터 전송원의 PLC(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작성한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처에 대응하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에 송신한다(도 5의 단계 S106).
다음으로,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로부터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수신하면(도 13의 단계 S500에서 YES), 수신한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내부의 통신 리퀘스트큐에 저장하는 통신 리퀘스트큐 처리를 행한다(도 13의 단계 S501).
계속해서,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통신 리퀘스트큐에 미처리 기록 리퀘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도 13의 단계 S502에서 YES), 미처리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이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 전송처(본 실시예에서는 조절계(3-1∼3-m))과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13의 단계 S503).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데이터 전송처와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중이 아닌 경우(단계 S503에서 NO), 처리 대상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한다(도 13의 단계 S504). 커맨드 프레임에는,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와, 데이터 전송원의 PLC(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작성한 커맨드 프레임을 데이터 전송처(본 실시예에서는 조절계)에 대응하는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2-1∼12-m)에 전달한다.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2-1∼12-m)는, 수취한 커맨드 프레임을, 데이터 전송원과의 사이에 설정된 커넥션(Ccon)(Ccon-1∼Ccon-m)을 통해 데이터 전송원의 조절계(3)(3-1∼3-m)에 송신한다(도 13의 단계 S505).
조절계(3)(3-1∼3-m)는,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하면,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리스폰스 프레임을 통신 제어 장치(1a)로 반환한다. 또한, 조절계(3)(3-1∼3-m)는, 수신한 커맨드 프레임에 포함되는 전송처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레지스터에, 이 커맨드 프레임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기록한다.
커맨드 프레임을 송신한 통신 제어 장치(1a)의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2-1∼12-m)는, 이 커맨드 프레임에 대한 리스폰스 프레임을 조절계(3)(3-1∼3-m)로부터 수신하면(도 13의 단계 S506에서 YES), 수신한 리스폰스 프레임을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에 전달한다.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리스폰스 프레임을 해석하여(도 13의 단계 S507), 데이터 전송처의 조절계(3)(3-1∼3-m)가 커맨드 프레임을 수신한 것을 확인하면, 처리 대상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처리 대상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결과로서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에 송신한다(도 13의 단계 S508).
그리고,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는, 처리 대상의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결과를 데이터 전송 처리부(14)에 송신한 후, 이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내부의 통신 리퀘스트큐로부터 삭제하고(도 13의 단계 S509), 단계 S500으로 되돌아간다.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결과를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로부터 수신하면(도 5의 단계 S107에서 YES),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원과 데이터 전송처의 모든 조에 관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5의 단계 S108).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원과 데이터 전송처의 모든 조에 관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08에서 NO), 단계 S104로 되돌아간다. 또한, 데이터 전송 처리부(14)는,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전송원과 데이터 전송처의 모든 조에 관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경우에는(단계 S108에서 YES),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가, 다음 기동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PLC(2)의 데이터를 조절계(3)(3-1∼3-m)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PLC(2)측의 이벤트 발생을 지정하는 정보가 트리거 정보로서 데이터 전송 정의부(15)에 등록되어 있는 예로 설명했지만, 예컨대 조절계(3-1∼3-3)의 특정한 알람 또는 이벤트의 발생을 지정하는 정보를 트리거 정보로서 데이터 전송 정의부(15)에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조절계(3)(3-1∼3-m)의 상태는,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13) 및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12)(12-1∼12-m)를 통해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제3 실시예에서는, PLC(2)을 상위 장치, 복수의 조절계(3)(3-1∼3-m)를 하위 장치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위 장치와 복수의 하위 장치가 각각 PLC이어도 좋다.
또한, 제1∼제3 실시예에서는, 이미 커넥션이 확립된 후의 동작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TCP/IP 통신에서 커넥션의 확립은 공지된 기술인 것은 물론이다.
또한, 커맨드 프레임의 송신에 대하여 리스폰스 프레임이 소정의 시간 내에 되돌아가지 않는 경우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커맨드 프레임의 재송 처리가 행해지는 것은 물론이다.
제1∼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신 제어 장치(1a)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억 장치 및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와, 이들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 14에 나타낸다. 컴퓨터는, CPU(400)과, 기억 장치(402)와, 인터페이스 장치(이하, I/F라고 함)(403)를 구비하고 있다. I/F(403)에는, PLC(2)과 조절계(3-1∼3-3)가 접속된다. 이러한 컴퓨터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억 장치(402)에 저장된다. CPU(400)는, 기억 장치(40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1∼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은 상위 장치와 하위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1a : 통신 제어 장치, 2 : PLC, 3-1∼3-m : 조절계, 10-1∼10-n : PLC용 통신 처리부, 11, 13 :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 12-1∼12-m : 조절계용 통신 처리부, 14 : 데이터 전송 처리부, 15 : 데이터 전송 정의부.

Claims (6)

  1. 복수의 하위 장치의 각각에 관해 설치되고, 대응하는 하위 장치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통신 처리부와,
    상위 장치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복수의 커넥션의 각각에 관해 설치되고, 대응하는 커넥션을 통해 상기 상위 장치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통신 처리부와,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를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정의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원의 하위 장치에 대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고,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데이터를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처의 상위 장치에 기록하는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처리부와,
    상기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상기 전송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처리부에 전달하고, 이 제1 통신 처리부가 제1 리스폰스 프레임을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상기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리스폰스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커넥션 중에 사용 가능한 커넥션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상기 사용 가능한 커넥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처리부에 상기 제2 커맨드 프레임을 전달하고, 이 제2 통신 처리부가 제2 리스폰스 프레임을 상기 전송처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제2 리스폰스 프레임이 나타내는 결과를 상기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2. 상위 장치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복수의 커넥션의 각각에 관해 설치되고, 대응하는 커넥션을 통해 상기 상위 장치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통신 처리부와,
    복수의 하위 장치의 각각에 관해 설치되고, 대응하는 하위 장치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통신 처리부와,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를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정의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원의 상위 장치에 대한 판독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고, 이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한 데이터를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된 전송처의 하위 장치에 기록하는 기록 리퀘스트 정보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커넥션 중에 사용 가능한 커넥션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상기 전송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통신 처리부에 전달하고, 이 제1 통신 처리부가 제1 리스폰스 프레임을 상기 전송원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상기 판독 리퀘스트 정보에서 요구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리스폰스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와,
    상기 기록 리퀘스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송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커맨드 프레임을 작성하여, 상기 전송처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처리부에 전달하고, 이 제2 통신 처리부가 제2 리스폰스 프레임을 상기 전송처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제2 리스폰스 프레임이 나타내는 결과를 상기 데이터 전송 처리부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리퀘스트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는, 상기 전송원의 정보와 상기 전송처의 정보와 함께, 데이터 전송의 기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조건으로서, 데이터 전송 주기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정의 정보는, 상기 전송원의 정보와 상기 전송처의 정보와 함께, 데이터 전송의 기동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조건으로서, 트리거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장치의 하나의 통신 포트에 상기 복수의 커넥션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장치의 복수의 통신 포트에 상기 커넥션이 하나씩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KR1020180144325A 2017-11-27 2018-11-21 통신 제어 장치 KR102136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6524A JP7034681B2 (ja) 2017-11-27 2017-11-27 通信制御装置
JPJP-P-2017-226524 2017-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214A true KR20190062214A (ko) 2019-06-05
KR102136184B1 KR102136184B1 (ko) 2020-07-22

Family

ID=6684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325A KR102136184B1 (ko) 2017-11-27 2018-11-21 통신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34681B2 (ko)
KR (1) KR102136184B1 (ko)
CN (1) CN109839891B (ko)
TW (1) TWI6882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7293B (zh) * 2022-03-30 2023-11-10 西安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下位机和控制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0565A2 (es) * 2001-10-03 2003-04-10 Vodafone Group Plc Sistema y procedimiento de acceso a la informacion de abonado de una red de telefonia movil desde la red tcp/ip
KR20100019453A (ko) * 2007-05-10 2010-02-18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수신한 리퀘스트에 따라 동작하는 서버 장치
JP2011234171A (ja) 2010-04-28 2011-11-17 Yokogawa Electric Corp Modbus制御システム
JP2017034433A (ja) 2015-07-31 2017-02-09 アズビル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0810A (ja) * 1999-09-29 2001-04-13 Omron Corp コントローラ
GB2358761B (en) * 2000-01-25 2002-03-13 3Com Corp Multi-port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with selective mac address filtering
US20020060624A1 (en) * 2000-11-17 2002-05-23 George Zhang Plug compatible power line communications network device
JP2005275575A (ja) * 2004-03-23 2005-10-06 Toyota Motor Corp データ収集方法及びデータ収集装置
WO2010008248A2 (en) * 2008-07-18 2010-01-21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messages between host and controller.
JP2010114838A (ja) * 2008-11-10 2010-05-20 Toshiba Corp 通信プロトコル変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84284B2 (ja) * 2010-06-30 2015-09-24 アズビル株式会社 Hart通信機能を有する入出力装置
WO2012034622A1 (en) * 2010-09-14 2012-03-2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spatial diversity,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CN102223273B (zh) * 2011-07-14 2013-11-27 中山爱科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传感网络及通讯方法
JP6092026B2 (ja) * 2013-07-12 2017-03-08 アズビル株式会社 調節計およびデータ収集方法
JP6102845B2 (ja) * 2014-07-10 2017-03-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接続制御システム、管理サーバー、接続支援方法および接続支援プログラム
KR101648144B1 (ko) * 2016-03-04 2016-08-16 (주)동국일렉콘스 프로그래머블 게이트웨이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웨이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0565A2 (es) * 2001-10-03 2003-04-10 Vodafone Group Plc Sistema y procedimiento de acceso a la informacion de abonado de una red de telefonia movil desde la red tcp/ip
KR20100019453A (ko) * 2007-05-10 2010-02-18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수신한 리퀘스트에 따라 동작하는 서버 장치
JP2011234171A (ja) 2010-04-28 2011-11-17 Yokogawa Electric Corp Modbus制御システム
JP2017034433A (ja) 2015-07-31 2017-02-09 アズビル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184B1 (ko) 2020-07-22
CN109839891A (zh) 2019-06-04
CN109839891B (zh) 2021-08-17
TWI688248B (zh) 2020-03-11
JP7034681B2 (ja) 2022-03-14
TW201926974A (zh) 2019-07-01
JP2019097085A (ja)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0444B2 (en) Fieldbus gateway using virtual serial fieldbus port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JP2007080286A (ja) データ収集装置
EP3026556A1 (en) Event generation management for an industrial controller
US20100146225A1 (en) Acyclic data transfer via a field bus coupler
JP4849340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及びユニット
KR20190062214A (ko) 통신 제어 장치
JP5852267B2 (ja) 分散型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リレー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EP3764175B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US10715396B2 (en) Support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setting method
CN110278716B (zh) Plc、网络单元、cpu单元、以及数据传送方法
JP5477647B2 (ja) Modbus制御システム
US812600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7404789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20190305977A1 (en) Control apparatus
JP2009104283A (ja) Modbusでデータを送受処理する方式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等の制御機器
KR100819076B1 (ko) 다중 플랫폼 프로세서 상호간 정보 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
JP7277206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6915583B2 (ja) セーフティ制御システムおよびセーフティ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JP7184108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184381A1 (ja) 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09520B2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
JP2005064982A (ja) 端末装置
JP2009105683A (ja) 接続通信機器
KR20150084616A (ko) 피엘씨 정보교환 최적화 시스템
JP2009118357A (ja) イーサネット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