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860A -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860A
KR20190059860A KR1020180145144A KR20180145144A KR20190059860A KR 20190059860 A KR20190059860 A KR 20190059860A KR 1020180145144 A KR1020180145144 A KR 1020180145144A KR 20180145144 A KR20180145144 A KR 20180145144A KR 20190059860 A KR20190059860 A KR 2019005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uritus
present
composition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932B1 (ko
Inventor
김선영
손미원
배민정
이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Publication of KR2019005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양증의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있으며, 특히 다래, 형개, 자소엽, 비파엽의 개별추출물보다 다래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소양증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소양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인 IL-6, IL-4, 및 IL-3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us Comprising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양증은 여러 피부 질환의 두드러진 증상으로,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불유쾌한 감각이다. 일반적으로 외부 자극과 무관하게 일어날 수도 있으나, 외부 물질과의 가벼운 기계적 접촉, 주위의 온도 변화, 화학적 물질이나 전기적 자극 등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소양증을 일으키는 피부 질환에는 두드러기, 습진성 피부질환(아토피 피부염 등), 건선, 천포창, 피부 건조증 등이 있다. 그 외 다른 질환에 의해서도 소양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만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초반 가려움증이 나타나다가 혈액 투석을 하게 될 경우 그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며, 폐쇄성 담도 질환, 황달, 진성 적혈구 증가증이나 호츠킨병에서도 가려움증이 잘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만성 신부전을 갖고 있는 혈액 투석환자의 소양증의 경우, 명확한 발병 원인은 알 수 없으나, 표피, 한선 및 피지선의 위축이 관찰되고 이로 인한 표피의 수분 함량 저하와 표면 지질의 감소 등으로 인한 기능 장애가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에 따른 발열, 통증 및 불면증으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되지만, 홍반이나 닭살 같은 IgE를 통한 통상적인 피부염 증상을 동반하지 않아 적절한 치료가 행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소양증 치료제로는 보습제, 국소 스테로이드제, 마취제,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및 항 opioid 제제 등의 국소 또는 경구용 치료제, 그 외 자외선 B를 이용한 광선치료, 신경자극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저항성 증상 외 불면증, 변비, 졸음, 프로락틴 상승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소양증의 경감 내지 치료 효과가 뛰어난 새로운 소양증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immel M et al. The role of micro-inflammation in the pathogenesis of uraemic pruritus in haemodialysis patients. Nephrol Dial Transplant. 2006 Mar;21(3) Storan ER et al. Role of cytokines and chemokines in itch. Handb Exp Pharmacol. 2015;226:163-76. Jin X et al. Elevated Levels of Mast Cells Are Involved in Pruritus Associated with Polycythemia Vera in JAK2V617F Transgenic Mice. J Immunol. 2014 Jul 15;193(2):477-84.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소양증 치료제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소양증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다래, 형개, 자소엽, 비파엽의 복합추출물(혼합추출물)이 소양증의 치료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이의 개별추출물보다 복합추출물(혼합추출물)의 소양증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소양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인 IL-6, IL-4, 및 IL-31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래는 다래(Actinidia arguta), 쥐다래(A. kolomikta), 개다래(A. polygama), 이들의 조합 또는 이의 동속근연식물을 포함한다. 상기 다래는 다래나무의 열매, 줄기, 줄기덩굴, 잎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형개(Schizonepetae Spica)는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Labiatae)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의 꽃이삭(꽃대)이다. 형개는 지상부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덮여있고 8~9월에 담자홍색의 작은 꽃이 아래부분부터 피기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형개의 성미는 성온(性溫) 무독(無毒)하고 신미(辛味)하다고 알려져 있다. 주성분은 정유성분으로 d-멘톤(d-menthone), d1-멘톤(dl-menthone)과 소량의 d-리모넨(dlimonene)이 있으며, 그 밖에 헤페리딘(heperidine), 우르솔산(ursolic acid), 루테올린(luteolin), 다우세스테롤(daucesterol) 등이 보고되었다(Zhang YH, et al., Zhongguo Zhong Yao Za Zhi., 31(15), pp1247-57, 2006). 주성분인 필수지방산은 항충작용 및 항진균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보고된바 있다(Park IK. et al., J Econ Entomol., 99(5), pp1717-21, 2006).
본 명세서에서 자소엽(Perillae Folium)은 꿀풀과(Labiatae)의 차즈기(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또는 주름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의 잎 및 끝가지로, 높이는 30~60 ㎝이며 적소, 차조기 및 주름 차조기 등으로 불린다. 한국, 중국 등에서 생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된다. 자소엽은 자색을 띠고 특이한 향미가 있으며 줄기는 모가 난 모양으로 곧고, 잎은 밑이 둥글거나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담자색으로 8 ~ 9월경에 총상화서로 피고, 입과 줄기 등의 형태는 들깨와 비슷하다. 주요성분으로는 페릴라 알데히드(perilla aldehyde), 리모넨(d-limonene), α-피넨(α-pinene), 시아닌(cyanin), 스테린(sterin), 멘톨(menthol), 로즈마리 산(rosmarinic acid), 루테올린(luteolin) 등이 알려져 있어(Kim and Hwang, 2006), 육류나 생선에 참가하여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예방하고 강한 항균력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Kim et al, 2000).
본 명세서에서 비파엽(Eriobotryae Folium)은 배나무과(Malaceae)에 속하는 상록소교목인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Lindley)의 잎으로, 네롤리돌(nerolidol), 파르네솔(farnesol), 피넨(pinene), 캄펜(camphene), 미르센(myrcene), 시멘(cymene), 리날룰(linalool) 아미그달린(amygdalin), 우루솔산(ursolic acid), 올레아놀산(oleanolic aicd), 사과산, 포도당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객담, 비혈증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향약대사전, 영림사, p.610-612, 1998년).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 추출물은 구입하거나 또는 직접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추출물을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와 같은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Tetrahydrofuran)를 포함한다.
상기 용매의 양은 추출하는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래, 형개, 자소엽 또는 비파엽 중량의 1배 내지 20배의 부피, 더욱 구체적으로는 5배 내지 15배의 부피일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는 다래, 형개, 자소엽 또는 비파엽 중량의 7배 내지 10배 부피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0 ℃ 내지 120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0 ℃ 내지 9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추출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1시간 내지 10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시간 내지 6시간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3시간 내지 5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열수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1회 내지 10회, 보다 구체적으로는 2회 내지 7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틸알코올을 용매로 한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주정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추출물은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을 무게(g)의 6-10 배수 부피(ml)의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진공저온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70-95℃에서 1-7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추출물은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을 각각 추출용매에 투입한 후 80-95℃에서 2-5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추출물을 직접 추출하는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다래 100 g, 형개 100 g, 자소엽 100 g, 및 비파엽 100 g을 각각 8 배수의 증류수 800 ml에 투입한 후 85-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55-65℃에서 감압농축한 후,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추출분말을 얻었다.
본 발명에서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추출물은 용매에 의해 추출된 조추출물(crude extract)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고순도로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다래와 형개, 다래와 자소엽, 다래와 비파엽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은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의 개별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또는 다래와 형개, 다래와 자소엽, 다래와 비파엽을 혼합한 상태로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소양증”은 임의의 가려움증 또는 소양증 상태로, 예를 들면 피부를 긁거나 비벼대고 싶은 욕망을 일으키는 불유쾌한 감각을 포함한다. 이러한 소양증은 크게 피부질환에 의한 소양증과 내과적 질환에 의한 소양증으로 나뉠 수 있다. 피부질환에 의한 소양증에는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건선, 천포창, 피부 건조증, 만성단순태선(Lichen simplex chronicus), 결절성 양진, 태선 등에 의한 소양증을 포함한다. 내과적 질환에 의한 소양증에는 갑상선 질환에 의한 소양증, 당뇨 등의 호르몬 이상으로 인한 소양증, 만성 신부전 및 혈액 투석에 따른 신장성 소양증 혹은 요독성 소양증, 백혈병이나 림프종 등에 의한 종양성 소양증, 담즙 정체성 소양증, 이식편대숙주질환에 의한 소양증, 빈혈 및 대사성 질환에 의한 소양증, 후천성면역결핍증에 의한 소양증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자소엽,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자소엽,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의 소양증 치료 효능 또는 예방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다래, 형개, 자소엽 및 비파엽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상기 추출물들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대상 질환인 소양증의 감소, 억제, 진정 또는 근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대상 질환인 소양증의 발병을 저해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적 의미를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다래 및 형개, 다래 및 자소엽, 다래 및 비파엽의 혼합추출물의 투여는 비만세포주인 RBL-2H3 세포에서 가려움증과 관련된 사이토카인 IL-6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 데이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소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며, 종래 소양증 치료제의 대체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래 및 자소엽의 혼합추출물은 상기한 비만세포주의 IL-6 발현뿐만 아니라, IL-4 발현을 감소시키고 소양증의 발병과 관련이 높은 CD4+ T 세포에서의 사이토카인인 IL-31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다래 및 자소엽의 혼합추출물은 아세톤으로 유발된 소양증마우스 모델에서도 현저한 소양감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다래 및 자소엽의 혼합추출물은 다래 및 자소엽의 개별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에서 상기 (i)과 (ii) 추출물의 혼합중량비는 20:1 내지 1:20, 15:1 내지 1:15, 10:1 내지 1:10, 9:1 내지 1:9, 6:1 내지 1:6, 3:1 내지 1:3일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물의 혼합중량비는 구체적으로 20:1 내지 1:15, 20:1 내지 1:10, 20:1 내지 1:9, 20:1 내지 1:6, 20:1 내지 1:3, 20:1 내지 1:1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5:1 내지 1:15, 15:1 내지 1:10, 15:1 내지 1:9, 15:1 내지 1:6, 15:1 내지 1:3, 15:1 내지 1:1; 또는 10:1 내지 1:10, 10:1 내지 1:9, 10:1 내지 1:6, 10:1 내지 1:3, 10:1 내지 1:1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혼합중량비'는 추출 공정을 거치기 전 각각의 성분들의 중량비(w/w) 또는 각 추출물의 중량비(w/w)를 나타낸다.
상기 '혼합중량비'가 각 추출물의 중량비(w/w)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되는 개별 추출물들의 중량의 비로 계산된다. 그러나, 상기 '혼합중량비'가 추출 공정을 거치기 전 각각의 성분들의 중량비(w/w)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추출 공정이 각 성분의 혼합 전 또는 혼합 후에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달리 계산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다래 및 자소엽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단일 추출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경우, '혼합중량비'는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다래 및 자소엽 각각의 단일 성분들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다래 및 자소엽 단일 성분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두 성분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 '혼합중량비'는 다음 계산식에 의해 계산되는 '단일 성분 기준 중량'들 간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계산식]
단일 성분 기준 중량 = 단일 추출물 제조에 이용된 단일 성분의 중량 × (최종 복합 추출물 제조를 위해 사용된 단일 추출물의 중량/제조한 단일 추출물의 중량).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근육내 투여, 비강내 투여, 점막내 투여, 경막 내 투여, 복강내 투여, 안구내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소양증 또는 소양증 관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대상 질환인 소양증의 증상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 성분은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하게 유효성분으로서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기 때문에, 양 발명간에 공통된 사항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subject)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 또는 "투여하다"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소양증을 겪는 대상체(개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대상체의 체내에서 동일한 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조성물을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체에게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조성물의 함량을 의미하며, 이에 "예방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대상체"는 제한 없이 인간, 마우스, 랫트, 기니아 피그,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원숭이, 침팬지, 비비 원숭이(baboon) 또는 붉은털 원숭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은, 본 발명의 일 양태인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기재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소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양증의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있으며, 특히 다래, 형개, 자소엽, 비파엽의 개별추출물보다 다래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소양증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소양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인 IL-6, IL-4 및 IL-3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A23187로 자극한 비만세포(RBL-2H3)에서의 IL-6 유전자 발현에 대해 다래 및 형개 개별 추출물과 다래와 형개의 혼합추출물을 처리시의 억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A23187로 자극한 비만세포(RBL-2H3)에서의 IL-6 유전자 발현에 대해 다래 및 자소엽 개별 추출물과 다래와 자소엽의 혼합추출물을 처리시 억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A23187로 자극한 비만세포(RBL-2H3)에서의 IL-6 유전자 발현에 대해 다래 및 비파엽 개별 추출물과 다래와 비파엽의 혼합추출물을 처리시 억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A23187로 자극한 비만세포(RBL-2H3)에서의 IL-4 생성에 대한 다래 및 자소엽 개별 추출물과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을 처리시 억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A23187로 자극한 비만세포(RBL-2H3)에서의 IL-4 생성에 대한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을 혼합비율별로 처리시 억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및 ionomycin으로 활성화시킨 CD4+ T 세포에서의 IL-31 생성에 대한 다래 및 자소엽 개별 추출물과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의 처리시 억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아세톤을 피부에 도포하여 유도한 소양증 마우스 모델에서 다래 및 자소엽 개별 추출물과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의 처리시 소양감 감소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제조예
제조예 1 : 다래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 다래(Actinidia arguta)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다래 100 g을 800 mL의 증류수에 가하여 잘 교반한 다음 85~95℃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여액을 55~65℃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 시켜 생약조성물 다래 분말을 35~40% 수율로 얻었다.
제조예 2 : 형개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 형개 (Schizonepetae Spica)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형개 100 g을 800 mL의 증류수에 가하여 잘 교반한 다음 85~95℃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여액을 55~65℃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 시켜 생약조성물 형개 분말을 10~15% 수율로 얻었다.
제조예 3 : 자소엽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 자소엽 (Perillae Folium)을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자소엽 100 g을 800 mL의 증류수에 가하여 잘 교반한 다음 85~95℃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여액을 55~65℃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생약조성물 자소엽 분말을 25~30% 수율로 얻었다.
제조예 4 : 비파엽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 비파엽 (Eriobotryae Folium)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파엽 100 g을 800 mL의 증류수에 가하여 잘 교반한 다음 85~95℃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여액을 55~65℃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 시켜 생약조성물 비파엽 분말을 7~10% 수율로 얻었다.
제조예 5 : 다래 및 형개, 다래 및 자소엽, 다래 및 비파엽 혼합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같이 제조된 다래 열수 추출물과 제조예 2 내지 4와 같이 제조된 형개, 자소엽, 비파엽 열수 추출물을 각각 1:1로 혼합하여 다래+형개, 다래+자소엽, 다래+비파엽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 다양한 혼합비율의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을 다양한 혼합비율별로 제조하기 위해, 다래 및 자소엽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비(w/w)로 혼합한 뒤 8배의 증류수를 가해 잘 교반한 다음, 85~95℃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여액을 55~65℃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 시켜 총 7가지 종류의 다래 및 자소엽의 혼합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구분 다래 자소엽 수율(%)
제조예 6-1 1 1 20.26
제조예 6-2 3 1 27.84
제조예 6-3 6 1 33.34
제조예 6-4 9 1 33.27
제조예 6-5 1 3 14.62
제조예 6-6 1 6 11.65
제조예 6-7 1 9 10.99
실험예
실험예 1: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의 비만세포(RBL-2H3)에 대한 사이토카인(IL-6) 발현 억제 효과
비만세포는 가려움(itching) 유발에 중추적인 세포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비만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인터루킨-6(IL-6, interleukin 6)는 가려움에 관여하는 말초 신경세포 등에 그 수용체가 발현되어 있어 가려움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다래, 형개, 자소엽, 비파엽의 개별 추출물과 다래 및 형개, 다래 및 자소엽, 다래 및 비파엽 혼합추출물의 비만세포에 대한 활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비만세포(mast cell)주인 RBL-2H3 세포를 사용하여 칼슘유리제인 A23187로 자극한 후 사이토카인(IL-6)의 발현능을 시험하였다.
먼저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였다. RBL-2H3 세포를 웰 당 2x105 세포수로 24웰-플레이트에 준비하고 6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다음으로 웰 내의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0.2 ml의 새로운 배지와 함께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다래, 형개, 자소엽, 비파엽의 개별추출물과 다래와 형개, 자소엽, 비파엽의 혼합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1 mg/ml가 되도록 0.25 ml씩 처리하였다. 30분 뒤, 칼슘 유리제인 A23187를 최종 농도가 1 μM이 되도록 0.05 ml 씩 처리하였다. 18시간 뒤, 각각의 세포를 수거하고 이로부터 RNA를 분리하여 RT-qPCR을 통해 IL-6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랫트 IL-6프라이머 서열은 다음과 같았다.
rat IL-6 primer Forward GCCAGAGTCATTCAGAGCAA
Reverse CATTGGAAGTTGGGGTAGGA
결과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BL-2H3 세포에 칼슘 유리제인 A23187를 처리한 결과, A23187 무처리군에 비하여 IL-6가 높게 발현되었다. 그러나 A23187과 본 발명의 다래, 형개, 자소엽, 비파엽의 개별추출물과 다래 및 형개, 다래 및 자소엽, 다래 및 비파엽의 혼합추출물을 각각 함께 처리한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IL-6의 발현량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각 개별추출물에 비하여 다래와의 혼합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IL-6 발현량의 감소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래 및 형개, 다래 및 자소엽, 다래 및 비파엽의 혼합추출물은 개별 추출물에 비하여 소양증 해소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다래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및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의 RBL-2H3 세포의 활성에 따른 사이토카인(IL-4) 발현 억제 효능
비만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인터루킨-4(IL-4)는 신경세포에 수용체가 발현되어 있으며, 가려움증 유발원(pruritogen)에 대한 신경세포의 반응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만성적인 가려움증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ell. 171(1):217-228, 2017 ;J.Cell.2017). 또한, 최근 피부 장벽의 손상은 IL-4, IL-13, IL-17 및 IL-31과 같은 사이토카인과 밀접한 연관을 나타내며, 특히 IL-31은 소양증을 수반한 혈액 투석환자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Eur J Dermatol. 27(3):247-253, 2017; Br J Dermatol. 176(2):537-540, 2017).
본 발명자들은 상기 추출물들의 비만세포 활성에 따른 IL-4 발현에 대한 억제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 RBL-2H3 세포를 대상으로 다음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RBL-2H3(한국세포주은행)세포를 Minimum Essential Medium 배지(Thermo Scientific Inc., USA)를 이용하여 웰당 2x105 세포수로 24웰-플레이트에 준비하고 37℃의 5% CO2 배양기에서 6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웰 내의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0.2 ml의 새로운 배지와 함께 제조예 1의 다래추출물, 제조예 3의 자소엽 추출물 및 제조예 6-1의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1 mg/ml이 되도록 각각 0.25 ml씩 처리하였다(실험군). 30분 뒤, 칼슘유리제인 A23187(Sigma Aldrich, USA)를 최종 농도가 1 μM이 되도록 0.05 ml 씩 처리하였다. 정상군에는 어떠한 물질도 처리하지 않았으며, 음성대조군에는 A23187만을 처리하였다. 18시간 뒤, 회수한 상층액의 IL-4를 ELISA 키트(R&D systems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IL-4 발현량을 유도군에 대비한 비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RBL-2H3 세포에 칼슘 유리제인 A23187를 처리한 결과, A23187 무처리군에 비하여 IL-4가 높게 발현되었다. 본 발명의 제조예 1, 제조예 3 및 제조예 6-1의 추출물 모두 A23187 처리에 따른 IL-4 발현을 억제하였다. 특히 다래 추출물(제조예 1) 또는 자소엽 추출물(제조예 3)에 비해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제조예 6-1)의 IL-4 억제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본 발명의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의 혼합비율별 RBL-2H3 세포의 활성에 따른 사이토카인(IL-4) 발현 억제 효능
다양한 혼합비율별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들의 비만세포 활성에 따른 IL-4 발현에 대한 억제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 RBL-2H3 세포를 대상으로 다음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RBL-2H3(한국세포주은행)세포를 Minimum Essential Medium 배지(Thermo Scientific Inc., USA)를 이용하여 웰당 2x105 세포수로 24웰-플레이트에 준비하고 37℃의 5% CO2배양기에서 6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웰 내의 배지를 모두 제거 한 후, 0.2 ml의 새로운 배지와 함께 제조예 6-1 내지 제조예 6-7의 혼합비율별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1 mg/ml이 되도록 각각 0.25 ml씩 처리하였다(실험군). 30분 뒤, A23187(Sigma Aldrich, USA)를 최종 농도가 1 μM이 되도록 0.05 ml 씩 처리하였다. 정상군에는 어떠한 물질도 처리하지 않았으며, 음성대조군에는 A23187만을 처리하였다. 18시간 뒤, 회수한 상층액의 IL-4를 ELISA 키트(R&D systems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IL-4 발현량을 유도군에 대비한 비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RBL-2H3 세포에 칼슘 유리제인 A23187를 처리한 결과, A23187 무처리군에 비하여 IL-4가 높게 발현 되었다. 다래 및 자소엽의 다양한 혼합비율별 혼합추출물 처리 시 모든 추출물에서 IL-4 억제능이 57-65% 로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각 혼합비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4 : 본 발명의 다래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및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의 CD4 + T 세포 활성화에 따른 IL-31 발현 억제 효능
Th2 림프구에서 주로 생성되는 인터루킨-31(IL-31)은 주요한 가려움증 유발원(pruritogen)으로써 신경세포 말초의 수용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신경의 연장(elongation) 과 가지형성(branching)을 유도하여 가려운 자극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 Allergy Clin Immunol. 138(2):500-508, 2016).
본 발명자들은 Th2 림프구의 전구세포인 CD4+ T세포로부터 생성되는 IL-31에 대한 상기 추출물들의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마우스(BALB/c, 자성, 8주령)의 비장조직으로부터 CD4+ T 세포를 CD4+ T Cell Isolation Kit(Miltenyi Biotec, Germany)의 자성 비드로 분리한 후, 10%의 우태아혈청이 첨가된 RPMI 배지(Thermo Scientific Inc., USA)를 이용하여 웰당 5x105수로 96웰-플레이트에 준비하였다. 실험군은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 Sigma Aldrich, USA)와 Ionomycin(Sigma Aldrich, USA)이 각각 6.25 ng/ml, 93.75 ng/ml이 최종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여 CD4+ T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였으며, 제조예 1의 다래추출물, 제조예 3의 자소엽추출물 및 제조예 6-1의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은 최종농도가 10 μg/ml이 되도록 각각 처리하였다. 정상군에는 어떠한 물질도 처리하지 않았고, 음성대조군에는 PMA와 Ionomycin만을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Mouse IL-31 ELISA kit(Thermo Scientific Inc., USA)을 이용하여 수거한 상층액의 IL-31 발현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MA와 Ionomycin을 처리하여 CD4+ T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 결과, 정상군에 대비하여 IL-31 발현이 증가하였다. 음성대조군에 대비하여 다래 추출물(제조예 1) 및 자소엽 추출물(제조예 3) 처리군은 IL-31 발현에 대해 유의미한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제조예 6-1) 처리 시 IL-31 발현이 약 36% 감소하였다. 이는 다래 또는 자소엽의 개별 추출물 대비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의 효능이 더 우수함을 보여준다.
실험예 5 : 본 발명의 다래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및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의 아세톤-유도 마우스 가려움증 모델에서 가려움증 억제 효능
아세톤은 피부 건조 및 피부장벽기능의 장애를 유도하여 가려움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Clin Cosmet Dermatol 1(3),2017: doi http://dx.doi.org/10.16966/2576-2826.114.). 본 발명자들은 아세톤으로 유도된 소양증 마우스 모델에서 제조예 1의 다래추출물, 제조예 3의 자소엽추출물 및 제조예 6-1 및 제조예 6-4의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혼합중량비 1:1, 9:1)의 항소양 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ICR, 웅성, 7주령)를 일주일 이상 순화 사육한 후, 정상군, 아세톤 유도 및 증류수 투여군(음성대조군), 아세톤 유도 및 각 추출물 투여군(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상기 추출물들은 시작일로부터 200 mg/kg의 용량으로 각각 10일간 1회/일 경구 투여하였으며, 마우스 등 부위를 유도 시작 1일 전에 제모 하였다. 음성대조군과 실험군의 가려움증 유도는 종료일의 3일 전부터 2 ml의 아세톤(Sigma Aldrich, USA)을 적신 화장솜(2cm x 2cm)을 제모 부위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시행하였으며, 정상군은 증류수를 도포하였다. 최종 유도가 끝난 직후 30분 동안 비디오 촬영을 하였으며, 뒷발을 들어 바닥에 내려놓을 때까지 유도부위를 긁는 연속된 행위를 1회로 계산하여, 마우스의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톤으로 가려움증을 유도한 결과, 음성대조군의 긁는 횟수 평균이 정상군 대비 증가했으며, 상기 추출물 투여군들은 평균 긁는 횟수가 감소하여 가려움증이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다래 추출물(제조예 1) 또는 자소엽 추출물(제조예 3) 투여군은 음성대조군 대비 긁는 횟수가 약 46-51% 감소한 반면, 다래 및 자소엽 혼합추출물(제조예 6-1 및 제조예 6-4) 투여군은 각각 74%와 91% 감소 효과를 나타내 개별 추출물 대비 혼합추출물의 우수한 항소양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래 및 자소엽의 혼합중량비가 1:1인 혼합추출물보다 9:1인 혼합추출물의 항소양 효능이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VIROMED CO., LTD.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us Comprising Natural Extracts <130> PN170332Py <150> KR 10-2017-0157668 <151> 2017-11-23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Rat IL-6 <400> 1 gccagagtca ttcagagcaa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Rat IL-6 <400> 2 cattggaagt tggggtagga 20

Claims (9)

  1. (a)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양증은 피부질환에 의한 소양증, 내과적 질환에 의한 소양증, 또는 특발성 소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에 의한 소양증은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건선, 천포창, 피부 건조증, 만성단순태선(Lichen simplex chronicus), 결절성 양진, 또는 태선에 의한 소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과적 질환에 의한 소양증은 갑상선 질환에 의한 소양증, 당뇨에 의한 소양증, 만성 신부전에 의한 소양증, 혈액 투석에 의한 소양증, 요독성 소양증, 종양성 소양증, 담즙 정체성 소양증, 이식편대숙주질환에 의한 소양증, 빈혈에 의한 소양증, 대사성 질환에 의한 소양증, 또는 후천성면역결핍증에 의한 소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래는 다래(Actinidia arguta), 개다래(A. polygama), 쥐다래(A. Kolomikt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의 혼합중량비는 20:1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i) 다래 추출물 및 (ii) 형개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80145144A 2017-11-23 2018-11-22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6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7668 2017-11-23
KR1020170157668 2017-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860A true KR20190059860A (ko) 2019-05-31
KR102156932B1 KR102156932B1 (ko) 2020-09-17

Family

ID=6663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144A KR102156932B1 (ko) 2017-11-23 2018-11-22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6932B1 (ko)
WO (1) WO20191034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9831B1 (ja) * 2020-09-01 2020-12-16 中外製薬株式会社 Il−31アンタゴニスト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透析そう痒症の予防用及び/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710A (ko) 2022-10-19 2024-04-26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자소엽 휘발성 향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117A (ko) * 2002-08-23 2004-03-02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비알러지성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20100128979A (ko) * 2009-05-29 2010-12-08 김명옥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1750B2 (ja) * 2000-01-27 2006-11-29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
JP2003089658A (ja) * 2001-09-19 2003-03-28 Noevir Co Ltd 抗痒み効果に優れる皮膚外用剤並びに食品
JP4298204B2 (ja) * 2002-02-04 2009-07-15 ユニチカ株式会社 アトピー性皮膚炎治療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117A (ko) * 2002-08-23 2004-03-02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비알러지성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20100128979A (ko) * 2009-05-29 2010-12-08 김명옥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 X et al. Elevated Levels of Mast Cells Are Involved in Pruritus Associated with Polycythemia Vera in JAK2V617F Transgenic Mice. J Immunol. 2014 Jul 15;193(2):477-84.
Kimmel M et al. The role of micro-inflammation in the pathogenesis of uraemic pruritus in haemodialysis patients. Nephrol Dial Transplant. 2006 Mar;21(3)
Storan ER et al. Role of cytokines and chemokines in itch. Handb Exp Pharmacol. 2015;226:163-7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9831B1 (ja) * 2020-09-01 2020-12-16 中外製薬株式会社 Il−31アンタゴニスト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透析そう痒症の予防用及び/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
KR102269716B1 (ko) * 2020-09-01 2021-06-28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Il-31 안타고니스트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투석 소양증의 예방용 및/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WO2022049614A1 (ja) * 2020-09-01 2022-03-10 中外製薬株式会社 Il-31アンタゴニスト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透析そう痒症の予防用及び/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932B1 (ko) 2020-09-17
WO2019103497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2802B1 (en) Extracts from moringa oleifera and methods of making
KR101225486B1 (ko)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20077B1 (ko)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6932B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82708B1 (ko) MeJA 처리된 메밀새싹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감소용 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0050A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2334546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0796004B1 (ko) 소포리코사이드를 함유하는 체중감소 또는 체지방감소용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749072B (zh) 防治高尿酸、高脂血症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22005457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lecampane extract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
KR20090124268A (ko) 금은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141191B1 (ko) 알레르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20150113434A (ko) 인삼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N109481481B (zh) 一种柳叶蜡梅总黄酮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US2022019317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ixture extract of coptis rhizome and schizonepeta tenuifolia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101503372B1 (ko) 비목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2561A (ko) 노근 및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및 변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6211B1 (ko) 미세먼지로부터 피부 방어 효능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
KR102210566B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230118790A (ko) 향청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및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7477A (ko) 미세먼지로부터 피부 방어 효능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