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506A -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506A
KR20190059506A KR1020170157172A KR20170157172A KR20190059506A KR 20190059506 A KR20190059506 A KR 20190059506A KR 1020170157172 A KR1020170157172 A KR 1020170157172A KR 20170157172 A KR20170157172 A KR 20170157172A KR 20190059506 A KR20190059506 A KR 20190059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coupled
support beam
arm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476B1 (ko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Priority to KR102017015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4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4Chiropodists' instruments, e.g. pedic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를 지지하는 앵커유닛과 발톱의 양 옆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유닛을 포함하고, 앵커유닛을 구성하는 연결바디와 컨택트바디가 3방향 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리프팅유닛을 구성하는 스핀들과 암이 3방향 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앵커유닛이 발톱 표면에 밀착될 수 있고, 변형된 발톱 모양이 불규칙하더라도 정교한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A lifting apparatus for correcting ingrown toenail}
본 발명은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향성 발톱을 원형으로 복원하기 위해 발톱의 양 옆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작동하는 장치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내향성 발톱(ingrown toenail; ingrowing toenail)은 조갑감입(爪甲嵌入)증 이라고도 불리는 질환으로 발톱이 살 속으로 파고 들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내향성 발톱은 주로 엄지발톱에 발생하는데, 꽉 조이는 신발을 장기간 착용하거나 무좀에 의해 발톱 모양이 변형되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내향성 발톱은 방치하면 발톱 주위 피부를 손상시키고, 보행 시 상당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종래 내향성 발톱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로써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07-0017770호 및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0756079호 등은 내향성 발톱에 장기간 착용함으로써 발톱의 양측부에 지속적인 힘을 주어 원래 모양으로 복원시키는 교정기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교정기기를 내향성 발톱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발톱의 구부러진 양 옆 부분을 강제로 펼쳐야 하는데, 이를 위한 적절한 기구가 없어 손이나 집게 등으로 할 수 밖에 없었고 이 과정에서 피시술자에게 상당한 통증을 유발하거나 발톱 주위에 상처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내향성 발톱을 교정하기 위해 발톱의 구부러진 양 옆을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톱 양 옆의 구부러진 정도가 다른 비대칭형 발톱을 교정할 수 있도록 양 옆의 들어올리는 높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톱 교정시 통증을 완화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전문 관리사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이 쉬운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는 서포트빔과, 상기 서포트빔의 양측부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빔에 대하여 승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향성 발톱의 양 옆을 걸어 들어 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유닛과, 상기 서포트빔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발톱의 윗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앵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서포트빔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발톱 윗면에 직접 접촉되는 컨택트바디를 포함하고, 변형된 발톱 표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디 및 상기 컨택트바디는 3방향 회전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서포트빔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운동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발톱의 양 옆을 걸어주는 후크부를 갖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과 상기 암은 3방향 회전 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바디와 상기 컨택트바디는 볼-소켓 조인트로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과 상기 암도 볼-소켓 조인트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바디의 바닥면에는 탄성을 갖는 패드부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술시 시야확보가 용이하도록 상기 암은 상기 후크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암과 상기 스핀들의 상대 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암의 상단면은 측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의 상단에는 미끄럼 방지 요철을 갖는 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는 앵커유닛의 연결바디와 컨택트바디가 3자유도를 가지면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발톱 표면이 변형되어 기울어져 있더라도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택트바디의 바닥면에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패드부가 구비되어 있어 착용시 발가락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발톱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발톱의 양옆부분을 당겨주는 리프팅 유닛의 스핀들과 암이 3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발톱이 들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암의 하단부가 바깥으로 자유롭게 벌어질 수 있고, 발톱 양옆부분이 다소 변형되어 있더라도 그에 맞게 걸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는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조를 가져 피시술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변형된 다양한 발톱 모양에 맞게 정교한 교정 작업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앵커유닛의 연결바디와 컨택트바디의 결합상태(도2의 “B” 부분)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6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리프팅유닛의 스핀들과 암의 결합상태(도2의 “C”부분)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7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발톱 리프팅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제2…”, “첫째”, “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된다”, “연결된다” 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거나 개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내지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면상에 표시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을 전방, Y축 방향을 좌측, Z축 방향을 상방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1)는 구부러진 발톱의 양 옆을 들어올려 펴줌으로써 발톱이 완만하게 구부러진 정상적인 모양을 갖도록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1)는 좌우로 수평하게 놓여 지지대 역할을 하는 서포트빔(10)과 서포트빔(10)의 중앙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앵커유닛(20), 서포트빔(10)의 양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프팅유닛(30, 40)으로 구성된다. 앵커유닛(20)은 그 하단부가 교정하려는 발톱의 윗면에 접촉된 상태로 리프팅 장치(10)를 지지한다. 한 쌍의 리프팅유닛(30, 4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리프팅유닛(30, 40)은 서포트빔(10)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서포트빔(10)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리프팅유닛(30, 40)은 교정하고자 하는 대상 발톱의 양 옆을 각각 걸어 이를 들어올리도록 작동한다. 편의상 오른편에 위치하는 것을 제1리프팅유닛(30), 왼편에 위치하는 것을 제2리프팅유닛(40)이라 한다.
앵커유닛(20)은 상단부를 통해 서포트빔(10)에 결합되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디(21)와 연결바디(21)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교정대상 발톱의 상면에 직접 접촉되는 컨택트바디(22)를 포함한다(도3 및 도4 참조). 연결바디(21)는 상하로 긴 원통형의 기둥 형태를 갖는다. 연결바디(21)의 상단에는 서포트빔(10)의 중앙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결합홈(21a)이 형성된다. 서포트빔(10)은 결합홈(21a)에 수용된 상태에서 리벳(11)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도5를 함께 참조하면, 컨택트바디(22)는 연결바디(2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컨택트바디(22)의 상부에는 구(球)형상의 볼부(ball part)(22a)가 구성되고, 연결바디(21)의 하단부에는 이 볼부(22a)를 수용하는 소켓부(21b)가 형성된다. 소켓부(21b)는 연결바디(21)의 하단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볼부(22a)는 소켓부(2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핀(12a, 12b)에 의해 그 좌우측 하부가 지지됨으로써 소켓부(21b)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연결바디(21)의 하단부에는 이 고정핀(12a, 12b)이 삽입되는 핀홀(21c, 21d)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컨택트바디(22)는 교정 대상 발톱의 윗면에 직접 접촉되는 패드부(22c)와 볼부(22a) 및 패드부(22c)를 서로 연결하는 목부(neck part)(22b)를 포함한다. 목부(22b)의 직경(Db)은 볼부(22b)의 직경(Da)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패드부(22c)의 직경(Dc)은 볼부(22b)의 직경(Da)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패드부(22c)가 유동될 수 있도록 패드부(22c) 상면은 연결바디(21)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택트바디(22)는 볼부(22a)가 고정핀(12a, 12b)에 의해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바디(21)에 대하여 3축 방향으로 상대 회전(도5의 RX, RY, RZ 방향)가능하게 결합된다. 컨택트바디(22)는 연결바디(21)에 대하여 공간상의 3축 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발톱 상면에 다소 굴곡이 있더라도 그 굴곡을 따라 회전하여 밀착될 수 있다. 패드부(22c) 바닥면에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 연질의 합성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층은 발톱과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고, 접촉면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볼부가 컨택트바디에 구성되고, 소켓부가 연결바디에 구성되어 있으나, 그 반대로 볼부가 연결바디에 구성되고 소켓부가 컨택트바디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볼과 소켓을 이용한 관절 형태를 “볼-소켓 조인트”로 약칭한다.
제1리프팅유닛(30)은 상하로 긴 기둥형태를 갖는 스핀들(31)과, 스핀들(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암(32)을 포함한다. 스핀들(31)은 서포트빔(10)의 우측단부에서 이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스핀들(31)과 서포트빔(10)은 서로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스핀들(3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1a)가 형성되고, 서포트빔(10)에는 암나사부(10a)가 형성된다. 스핀들(31)의 상단에는 노브(knob)(31b)가 구성된다. 사용자는 이 노브(31b)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스핀들(31)을 승강시킬 수 있다. 노브(31b) 외주면 표면에는 손가락 표면에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스핀들(31)의 하단에는 암(32)과의 결합을 위한 볼부(31c)가 구성된다. 볼부(31c)와 수나사부(31a) 사이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목부(31d)가 구성된다.
암(32)은 스핀들(31)의 단부에서 공간상의 3축 방향 모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6을 함께 참조하면, 암(32)의 상단에는 암(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만입된 소켓부(32a)가 형성된다. 스핀들(31)의 볼부(31c)는 이 소켓부(32a)에 삽입된다. 그리고 암(32)의 상단에는 볼부(31c)가 이탈되지 않도록 볼부(31c) 상부를 걸어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핀(12c, 12d)이 결합된다. 암(32)의 상단에는 이들 고정핀(12c, 12d)이 삽입되는 핀홀(32b, 32c)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암(32)의 하단부에는 발톱에 걸기 위한 후크부(32d)가 구성된다. 암(32)의 하부는 후크부(32d)를 향해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태를 가짐으로써 시술시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32)은 그 소켓부(32a)에 스핀들(31)의 볼부(31c)를 수용한 상태에서 볼부(31c)의 상부 측부가 고정핀(12c, 12d)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핀들(3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암(32)은 스핀들(31)에 대하여 공간상의 3축 방향으로 상대 회전(도6의 RX, RY, RZ 방향)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발톱이 들어올려져 펴지면서 암(32)의 하단부가 측면 바깥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암(32)이 RX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하단부가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발톱을 압박하지 않고 부드럽게 들어올려주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암(32)의 상단 소켓부(32a) 둘레는 바깥으로 갈수록 아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암(32)이 RX 방향이나 RY방향으로 회전시 스핀들(31) 하단면과 간섭되는 정도를 줄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볼부는 스핀들에 구성되고, 소켓부는 암에 구성되어 있으나, 그 반대로 볼부가 암에 구성되고 소켓부가 스핀들에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볼-소켓 조인트에 있어서 볼부와 소켓부가 구성되는 부품은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제2리프팅유닛(40)은 제1리프링유닛(30)과 마주보고 대향하여 배치되며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2리프팅유닛(40)도 스핀들(41)과 암(42)을 포함한다. 서포트빔(10)에는 스핀들(41)을 수용하는 암나사부(10b)가 형성된다. 스핀들(41)은 수나사부(41a), 노브(41b), 볼부(41c), 목부(41d)를 가지며, 암(42)은 소켓부(42a) 및 후크부(42)를 갖는다. 볼부(41c)는 소켓부(42a)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핀(12e, 12f)에 의해 그 양측 상부가 지지된다. 암(42)의 상단부에는 고정핀(12e, 12f)이 삽입되는 핀홀(42b, 42c)이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프팅 장치(1)는 양 옆 부분이 안쪽으로 말려 구부러진 발톱을 정상적인 모양 즉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펴는데 사용된다.
리프팅 장치(1)를 사용하기에 앞서 우선 따뜻한 물에 20 ~30분 이상 발을 담가 발톱을 부드러운 상태로 만들어준다.
다음으로 부드러워진 발톱 위에 도7과 같이 본 발명의 리프팅 장치(1)를 거치한다. 우선 앵커유닛(20)을 발톱(N)의 중앙 상면에 위치시킨다. 앵커유닛(20) 하단부의 컨택트바디(22)가 발톱(N)의 윗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컨택트바디(22)의 바닥면에는 부드러운 패드부(22c)가 구성되어 발톱(N)에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고, 컨택트바디(22)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발톱(N)은 변형으로 인해 그 상면이 수평하지 않고 기울어져 있을 수 있는데, 컨택트 바디(22)는 연결바디(21)에 대하여 3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발톱(N) 상면의 기울기를 따라 밀착될 수 있다.
제1,2리프팅유닛(30, 40)은 스핀들(31, 41)을 회전(도7의 “E”, “F”방향)시킴으로써 나사결합되어 있는 서포트빔(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리프팅유닛(30, 40)을 적절한 높이로 위치시킨 후, 발톱(N)의 양 옆을 후크부(32d, 42d)로 걸고 스핀들(31, 41)을 상승시키면 발톱(N)의 양 옆이 들어올려져 펴진다. 스핀들(31, 41)은 서포트빔(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개별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톱(N) 양 옆 단부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그에 맡게 스핀들(31, 41)의 높이가 각각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암(32, 42)은 스핀들(31, 41)에 대하여 공간상의 3축방향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높이 조절을 위해 스핀들(31, 41)을 회전(도7의 “E”, “F”방향)시키더라도 암(32, 42)은 발톱(N)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톱(N)이 펴지면서 암(32, 42)의 하단부를 바깥으로 밀게 되면 그에 따라 암(32, 42)이 회전(도7의 “G”, “H” 방향)한다. 따라서 발톱(N)이 펴지는 과정에서 발톱(N)을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발톱(N)의 양 옆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발톱주위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스핀(31, 41)은 서서히 조금씩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리프팅 장치(1)를 장착한 상태로 발을 물에 담가 발톱(N)을 연화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리프팅 장치(1)를 이용하여 발톱(N) 모양을 정상으로 복원한 후에는 그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톱 교정기(예, 클립, 브레이스(brace) 등)가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1)는 앵커유닛(20)의 연결바디(21)와 컨택트바디(22)가 3자유도를 가지면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발톱 표면이 변형되어 기울어져 있더라도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택트바디(22)의 바닥면에 탄성을 갖는 연질의 패드부(22c)가 구비되어 있어 착용시 발가락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발톱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발톱의 양옆부분을 당겨주는 리프팅 유닛의 스핀들과 암이 3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발톱이 들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암의 하단부가 바깥으로 자유롭게 벌어질 수 있고, 발톱 양옆부분이 다소 변형되어 있더라도 그에 맞게 걸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는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조를 가져 피시술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변형된 다양한 발톱 모양에 맞게 정교한 교정 작업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엄지 발톱의 교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는 엄지 발톱뿐만 아니라 다른 발톱, 또는 손톱 교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을 포함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발톱”이라는 용어는 교정대상이 되는 손톱까지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1 :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10 : 서포트빔
11 : 리벳
12a, 12b, 12c, 12d, 12e, 12f : 고정핀
20 : 앵커유닛
21 : 연결바디
22 : 컨택트바디
30, 40 : 리프팅유닛
31, 41 : 스핀들
32, 42 : 암

Claims (10)

  1. 서포트빔과,
    상기 서포트빔의 양측부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빔에 대하여 승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향성 발톱의 양 옆을 걸어 들어 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유닛과,
    상기 서포트빔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발톱의 윗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앵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서포트빔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발톱 윗면에 직접 접촉되는 컨택트바디를 포함하고, 변형된 발톱 표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디 및 상기 컨택트바디는 3방향 회전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와 상기 컨택트바디는 볼-소켓 조인트로 결합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바디의 바닥면에는 탄성을 갖는 패드부가 구성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서포트빔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운동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발톱의 양 옆을 걸어주는 후크부를 갖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과 상기 암은 3방향 회전 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과 상기 암은 볼-소켓 조인트로 결합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시술시 시야확보가 용이하도록 상기 암은 상기 후크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암과 상기 스핀들의 상대 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암의 상단면은 측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상단에는 미끄럼 방지 요철을 갖는 노브가 형성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8. 서포트빔과,
    상기 서포트빔의 양측부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빔에 대하여 승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향성 발톱의 양 옆을 걸어 들어 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유닛과,
    상기 서포트빔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발톱의 윗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앵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서포트빔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운동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발톱의 양 옆을 걸어주는 후크부를 갖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과 상기 암은 3방향 회전 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서포트빔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발톱 윗면에 직접 접촉되는 컨택트바디를 포함하고, 변형된 발톱 표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디 및 상기 컨택트바디는 3방향 회전 자유도를 갖도록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와 상기 컨택트바디는 볼-소켓 조인트로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과 상기 암도 볼-소켓 조인트로 결합되며,
    상기 컨택트바디의 바닥면에는 탄성을 갖는 패드부가 구성된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KR1020170157172A 2017-11-23 2017-11-23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KR10206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72A KR102065476B1 (ko) 2017-11-23 2017-11-23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72A KR102065476B1 (ko) 2017-11-23 2017-11-23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506A true KR20190059506A (ko) 2019-05-31
KR102065476B1 KR102065476B1 (ko) 2020-01-13

Family

ID=6665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172A KR102065476B1 (ko) 2017-11-23 2017-11-23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4923A1 (ko) * 2020-07-01 2022-01-06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KR20230108368A (ko) * 2022-01-11 2023-07-18 김동하 발가락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1411C1 (ru) * 2021-02-12 2021-12-08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Межрегиональный клинико-диагностический центр" - ГАУЗ "МКДЦ" Способ оперативного лечения вросшего ногтя
KR102574374B1 (ko) 2021-09-02 2023-09-04 양현웅 내향성 발톱 교정장치
KR102576432B1 (ko) * 2023-06-05 2023-09-08 주식회사 에스디에스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4437B1 (ja) * 2014-04-09 2015-03-11 株式会社鹿浜製作所 巻き爪矯正具
KR20150091442A (ko) * 2015-04-23 2015-08-11 박성일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CN204765850U (zh) * 2015-06-30 2015-11-18 李勃兴 嵌甲可调拨矫正器
KR101585076B1 (ko) * 2015-07-21 2016-01-13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네일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4437B1 (ja) * 2014-04-09 2015-03-11 株式会社鹿浜製作所 巻き爪矯正具
KR20150091442A (ko) * 2015-04-23 2015-08-11 박성일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CN204765850U (zh) * 2015-06-30 2015-11-18 李勃兴 嵌甲可调拨矫正器
KR101585076B1 (ko) * 2015-07-21 2016-01-13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네일 교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4923A1 (ko) * 2020-07-01 2022-01-06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KR20220003180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KR20230108368A (ko) * 2022-01-11 2023-07-18 김동하 발가락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476B1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9506A (ko)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KR101615450B1 (ko) 착탈이 용이한 단하지 보조기
KR10192759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 보조기
KR101606321B1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US20080110945A1 (en) Dock donning assist device
KR20190049118A (ko) 발가락 교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JP5657695B2 (ja) 神経変性疾患の症状を緩和させる器具
US20120255557A1 (en) Wound care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2159248B1 (ko) 자동 체형인식 척추 치료 시스템
US79886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lantar fasciitis
WO2015039071A1 (en) Orthodontic appliances for correcting teeth irregularities and for retaining the position of teeth
JPH06114078A (ja) 自己心出し確保部材を有する医学的治療装置
KR101869791B1 (ko) 탈착 가능한 위치고정압박부가 구비된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WO2019189921A1 (ja) 指刺激健康器具
KR102357753B1 (ko)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JP3181453U (ja) 体位固定具及び体位固定補助具
CN111757723B (zh) 脊椎侧凸校正装置
JPH1043224A (ja) 外反母趾装具
JP2017064204A (ja) 巻き爪予防具
KR102332147B1 (ko) 목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견인기구
KR20170116259A (ko)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
KR20190126589A (ko) 관절봉 마사지기
KR102109198B1 (ko) 발가락 운동 기구
JP3116630U (ja) 靴下類の装着補助具
KR102226216B1 (ko) 휴대용 경추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