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432B1 -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 Google Patents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432B1
KR102576432B1 KR1020230072148A KR20230072148A KR102576432B1 KR 102576432 B1 KR102576432 B1 KR 102576432B1 KR 1020230072148 A KR1020230072148 A KR 1020230072148A KR 20230072148 A KR20230072148 A KR 20230072148A KR 102576432 B1 KR102576432 B1 KR 10257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coupling
compressor
leg
sp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주배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에스
Priority to KR102023007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도구로 척추 삽입체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작업을 모두 수행 가능하고, 또한 종래기술에 비하여 더 정밀하고 효과적인 척추 간격 조정 작업을 수행 가능한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파트 및 제1 파트와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제1 파트 및 제2 파트 각각은, 손잡이부, 손잡이부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간부, 그리고 중간부의 전단으로부터 연결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중간부는 파트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파트 및 제2 파트는 X자 형태로 교차하며 파트 결합부를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리부의 전단에는, 척추에 삽입되는 원기둥형 삽입체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반원형의 접촉부가 형성되는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Compressor for spinal implants}
본 발명은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척추에 삽입된 임플란트 삽입체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척주(vertebral column)라고도 알려진 척추(spine)는 기본적으로 4 가지 요소, 즉 척수(spinal cord), 척추골(vertebrae), 인대(ligaments), 및 추간판(intervertebral discs)으로 구성된다. 심한 골다공증, 추간판 변성, 인대 변성, 관절 탈구, 및 관절 압박 등은 척추에 기계적 손상(예컨대, 척추 압박 골절)을 가져와 척추를 불안정하게 할 수 있다. 척추 불안정은 극심한 불편함과 통증을 동반하여 환자가 만성 요통, 척추 만곡 장애 및 보행 장애에 걸리기 쉽다.
척추 불안정을 치료하는 방법 중에는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이 있는데, 이는 붕괴된 척추체(vertebral body)에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것을 수반한다. 척추성형술에 의해, 붕괴된 척추체의 임플란트가 확장되어 붕괴된 척추체를 정상 높이로 복원한다.
또는, 척추 협착증과 같이 척추 간격이 문제가 되는 경우, 척추 간격을 조절하는 수술에도 척추 임플란트가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척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척추체에 임플란트를 여러 개 삽입 후, 임플란트 간의 간격을 외력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척추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술에 사용되는 도구로서 컴프레서(Compressor) 및 디스트랙터(Distractor)가 있다. 컴프레서는 임플란트 사이 간격을 좁게 압축하여 척추 간격을 좁히는데 사용되고, 디스트랙터는 반대로 임플란트 사이를 밀어내어 그 간격을 넓히는 것에 의해 척추 간격을 넓히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컴프레서와 디스트랙터가 별도의 도구로 마련되어 척추 간격을 넓히는지 좁히는지에 따라 별도의 도구를 구비 및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컴프레서에 의하면 임플란트 사이 간격을 좁힐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9-0259262호 미국 특허등록공보 제10194960호 국제 특허공개공보 제2022/084879호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8-0119862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도구로 척추 삽입체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작업을 모두 수행 가능한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정밀하고 효과적인 척추 간격 조정 작업을 수행 가능한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는, 제1 파트 및 제1 파트와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제1 파트 및 제2 파트 각각은, 손잡이부, 손잡이부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간부, 그리고 중간부의 전단으로부터 연결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중간부는 파트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파트 및 제2 파트는 X자 형태로 교차하며 파트 결합부를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리부의 전단에는, 척추에 삽입되는 원기둥형 삽입체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반원형의 접촉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는 교차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교차 결합부는, 제1 교차 결합부 및 제2 교차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교차 결합부 및 제2 교차 결합부는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리부의 후단부에는 제1 교차 결합구가 형성되고, 다리부의 전단부에는 제2 교차 결합구가 형성되고, 제1 교차 결합구는, 중간부와 다리부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결합구이고, 제1 교차 결합부의 일단부는, 제1 파트에 형성된 제1 교차 결합구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1 교차 결합부의 타단부는, 제2 파트에 형성된 제2 교차 결합구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 교차 결합부의 일단부는, 제2 파트에 형성된 제1 교차 결합구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 교차 결합부의 타단부는, 제1 파트에 형성된 제2 교차 결합구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1 교차 결합부의 타단부는, 제2 교차 결합구 내에서 다리부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 교차 결합부의 타단부는, 제2 교차 결합구 내에서 다리부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는 컴프레싱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컴프레싱 지지부는, 파트 결합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 연장부, 수직 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 전방으로 연장하는 수평 연장부 및, 수평 연장부의 전단에 연결되어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수평 연장부의 전단에 연결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로부터 수평 연장부의 연장선상에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수평 연장부의 연장선상에 놓이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의 전단에 연결되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수평 연장부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베이스부의 양 측부에 두 개 형성되며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체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반원형의 밀착부를 포함하고, 로킹부는,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양측 방향으로의 폭이 더 크도록 형성되고, 로킹부의 폭은 연결부의 폭보다 크고, 로킹부는, 그 폭 방향이 수평면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게 놓이는 제1 상태와, 그 폭 방향이 수직면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게 놓이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있어서, 수직 연장부 및 수평 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연장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있어서, 연결부는, 로킹부와 함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 연장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연결부를 그 연장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둘레는 두 개의 타원 곡선부 및 두 개의 직선부를 포함하고, 타원 곡선부는 소정의 길이의 장축 및 단축을 갖는 타원의 일부이고, 두 개의 타원 곡선부는 타원의 장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위치하고, 직선부는, 타원의 단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면서, 하나의 타원 곡선부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타원 곡선부의 양 단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는 손잡이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손잡이 고정부의 일단은 제1 파트의 손잡이부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 연결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손잡이 고정부의 타단은 제2 파트의 손잡이부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구에 삽입되고, 손잡이 고정부는 그 일측에 형성된 톱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도구로 척추 삽입체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작업을 모두 수행 가능한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더 정밀하고 효과적인 척추 간격 조정 작업을 수행 가능한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는, 제1 파트(1) 및 제1 파트(1)와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제2 파트(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는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 각각은, 손잡이부(10), 손잡이부(10)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간부(20), 그리고 중간부(20)의 전단으로부터 연결되는 다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트(1), 제2 파트(2) 또는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가 결합된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전체에 있어서 손잡이부(10) 측을 후방측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 즉, 다리부(30) 측을 전방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단이라고 함은, 전방측 맨 끝부분을 의미하고, 전단부라고 함은, 전단을 포함한 그 주변의 부분을 통칭하여 일컫는 말로 정의한다. 후단, 후단부도 마찬가지고, 일단, 일단부, 타단, 타단부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있어서, 중간부(20)는 파트 결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는 X자 형태로 교차하며 파트 결합부(21)를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트 결합부(21)는 예컨대 볼트-너트 결합부일 수 있다. 즉,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 각각의 중간부(20)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여기에 볼트가 삽입되어 너트와 결합하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가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든지 본 발명에 따른 파트 결합부(21)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다리부(30)의 전단에는 척추에 삽입되는 원기둥형 삽입체(즉, 임플란트; I)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반원형의 접촉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33)의 일측은 반원형의 오목부로 형성되고, 타측은 반원형의 볼록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파트(1)의 접촉부(33)의 반원형 오목부와 제2 파트(2)의 접촉부(33)의 반원형 오목부는 서로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삽입체(I)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 파트(1)의 접촉부(33)는 하나의 임플란트 삽입체(I)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하고, 제2 파트(2)의 접촉부(33)는 다른 하나의 임플란트 삽입체(I)외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한다. 그 후,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의 손잡이부(10)를 파지하고 가위 또는 집게를 다루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손잡이를 오므리면,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의 다리부(3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 각각의 접촉부(33)가 감싼 임플란트 삽입체(I)를 서로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는, 교차 결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차 결합부(40)는 제1 교차 결합부(41) 및 제2 교차 결합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교차 결합부(41)와 제2 교차 결합부(42)의 길이는 동일하다. 또한, 제1 교차 결합부(41) 및 제2 교차 결합부(42)는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리부(30)는 교차 결합부(40)와 연결되는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 각각의 다리부(3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두 개의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리부(30)의 후단부에는 제1 교차 결합구(31)가 형성되고, 다리부(30)의 전단부에는 제2 교차 결합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교차 결합구(31)는, 중간부(20)와 다리부(30)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결합구일 수 있다. 즉, 제1 교차 결합구(31)에서는 중간부(20), 다리부(30) 및 교차 결합부(40)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교차 결합부(41)의 일단부는 제1 파트(1)에 형성된 제1 교차 결합구(31)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교차 결합부(41)의 타단부는 제2 파트(2)에 형성된 제2 교차 결합구(32)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교차 결합부(42)의 일단부는 제2 파트(2)에 형성된 제1 교차 결합구(31)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교차 결합부(42)의 타단부는 제1 파트(1)에 형성된 제2 교차 결합구(32)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교차 결합구(32)는 다리부(30)의 길이 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제2 교차 결합구(32)가 길쭉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연결되는 제1 교차 결합부(41)의 타단부는 제2 교차 결합구(32) 내에서 다리부(30)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교차 결합부(42)의 타단부는 제2 교차 결합구(32) 내에서 다리부(30)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교차 결합부(40)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임플란트 삽입체(I)들은 척추를 따라 대략 일직선상에 나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렇게 배치된 임플란트 삽입체(I)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때는 임플란트 삽입체(I)들이 나열된 직선 상에서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교차 결합부(40)가 없다면,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는 파트 결합부(21)를 통해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의 손잡이부(10)를 조작(예컨대, 양 손잡이부(10)를 오므리면)하면, 파트 결합부(21)를 기준으로 손잡이부(10)의 반대편에 있는 다리부(30)의 전단에 연결되는 접촉부(33)는 파트 결합부(2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그리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 경우, 서로 인접한 임플란트 삽입체(I)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접촉부(33)가 임플란트 삽입체(I)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한 후 손잡이부(10)를 오므리도록 조작하면, 접촉부(33)는 임플란트 삽입체(I)가 나열된 직선 상에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파트 결합부(2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그리면서 움직이므로, 임플란트 삽입체(I)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없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의하면,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의 다리부(30)가 교차 결합부(40)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접촉부(33)가 임플란트 삽입체(I)가 나열된 직선 상에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1 교차 결합부(41) 및 제2 교차 결합부(42)가 그 중심부에서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X자로 교차 결합되고, 제1 교차 결합부(41) 및 제2 교차 결합부(42) 각각의 양단이 제1 파트(1) 또는 제2 파트(2)의 다리부(30)에 형성된 제1 교차 결합구(31) 또는 제2 교차 결합구(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의 다리부는 항상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다리부(30)의 전방 측에 형성된 제2 교차 결합구(32)는 다리부(3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개구로 형성되어, 제2 교차 결합구(32)와 결합되는 제1 교차 결합부(41) 및 제2 교차 결합부(42)의 타단부는 손잡이부(10)의 조작에 의해 다리부(30)가 움직일 때 다리부(30)가 연장하는 직선 상에서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10)를 조작할 때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의 다리부(30)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의하면 척추에 삽입된 임플란트 삽입체(I)를 척추 라인 상에서 그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는 등의 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는, 손잡이 고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고정부(60)의 일단은 제1 파트(1)의 손잡이부(10)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 연결구(11)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손잡이 고정부(60)의 타단은 제2 파트(2)의 손잡이부(10)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구(1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손잡이 고정부(60)에 의해 제1 파트(1)의 손잡이부(10)와 제2 파트(2)의 손잡이부(1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고정부(60)는 그 일측에 형성된 톱니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트(2)의 손잡이부(10)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구(12)의 내주면에는 톱니부(61)에 대응하는 걸림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고정부(60)의 톱니부(61)가 제2 파트(2)의 손잡이부(10)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구(12) 내주면의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면서,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의 다리부(30)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로 유지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술 집도자이 중간에 컴프레서 외의 다른 기구를 조작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여 손잡이부(10)에서 손을 떼더라도, 손잡이 고정부(60)에 의해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의 다리부(30)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로 유지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는, 컴프레싱 지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프레싱 지지부(50)는, 파트 결합부(2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 연장부(51), 수직 연장부(5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 전방으로 연장하는 수평 연장부(52) 및 수평 연장부(52)의 전단에 연결되어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체를 지지하는 지지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평 방향이란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가 놓이는 평면 상에서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수평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도 수평, 수직의 의미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3)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있어서, 지지부(53)는, 수평 연장부(52)의 전단에 연결되는 베이스부(531), 베이스부(531)로부터 수평 연장부(52)의 연장선상에서 연장되는 연결부(532) 및 수평 연장부(52)의 연장선상에 놓이는 회전축(X)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532)의 전단에 연결되는 로킹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531)는 두 개의 밀착부(531a)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531a)는 수평 연장부(52)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베이스부(531)의 양 측부에 두 개 형성되고,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체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따르면, 임플란트 삽입체(I)의 외면에 접촉부(33)를 접촉시킬 때, 컴프레싱 지지부(50)의 베이스부(531)도 임플란트 삽입체(I)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반원형으로 형성된 두 개의 밀착부(531a)가 접촉부(33)의 상방 또는 하방에서 임플란트 삽입체(I)의 외면 일부를 감싸며, 컴프레서에 힘을 가하는 도중에도 컴프레서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킹부(533)는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양측 방향으로의 폭이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로킹부(533)의 폭은 연결부(53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킹부(533)는 제1 상태(P1)와 제2 상태(P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532)의 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태(P1)는, 로킹부(533)의 폭 방향이 수평면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게 놓이는 상태로 정의한다. 또한 제2 상태(P2)는, 로킹부(533)의 폭 방향이 수직면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게 놓이는 상태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따르면, 임플란트 삽입체(I)의 외면에 접촉부(33)를 접근시키는 과정, 또는 임플란트 삽입체(I)의 외면에 밀착부(531a)를 접근시키는 과정에서, 로킹부(533)는 제2 상태(P2)인 상태로 접근시킨다. 이 때 로킹부(53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이므로, 두 개의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지나가게 된다. 그 후 컴프레서의 위치가 확정되면, 로킹부(533)가 제1 상태(P1)가 되도록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면, 로킹부(533)가 수평면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로킹부(533)의 폭 길이(좌우 방향 길이)는 두 개의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의 간격보다 크므로, 컴프레서가 전후 방향으로 빠지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목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있어서, 수직 연장부(51) 및 수평 연장부(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연장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수직 연장부(51) 및 수평 연장부(52)는 다단형 봉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단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단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길이가 조절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단,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수직 연장부(51) 및 수평 연장부(5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떤 것이든 본 발명의 컴프레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있어서, 연결부(532)는 로킹부(533)와 함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 연장부(52)의 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532)를 그 연장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둘레는 두 개의 타원 곡선부(532a) 및 두 개의 직선부(5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타원 곡선부(532a)는 소정의 길이의 장축 및 단축을 갖는 타원의 일부이다.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타원 곡선부(532a)는 타원의 장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직선부(532b)는 타원의 단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면서, 하나의 타원 곡선부(532a)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타원 곡선부(532a)의 양 단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532)는 타원의 장축이 로킹부(533)의 폭 방향과 평행한 직선 상에 놓이도록 로킹부(533)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로킹부(533)가 제1 상태(P1)에 놓여 있을 때 연결부(532) 단면의 타원 장축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이고, 로킹부(533)가 제2 상태(P2)에 놓여 있을 때 연결부(532)의 단면의 타원 장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이다.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의 작동 원리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로킹부(533)가 제2 상태(P2)에 놓인 상태로 컴프레서를 임플란트 삽입체(I)에 접근시켜 로킹부(533)가 인접한 두 개의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를 통과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로킹부(533)가 인접한 두 개의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를 통과한 후에 제1 상태(P1)로 회전시켜서 컴프레서가 전후 방향으로 빠지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목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33) 및 밀착부(531a)를 임플란트 삽입체(I)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밀착시키기 위하여 컴프레서를 임플란트 삽입체(I)에 접근시킬 때에는, 로킹부(533)를 제2 상태(P2)로 두고 접근시킨다. 이 때, 연결부(532)는 그 단면의 타원 장축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이다. 즉, 연결부(53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는 폭이 좁은 상태이다. 이에 의해, 연결부(532)가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의 공간 내로 진입할 수 있다.
로킹부(533)가 인접한 두 개의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를 통과하고 접촉부(33) 및 밀착부(531a)가 임플란트 삽입체(I)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밀착된 후에는, 로킹부(533)를 제1 상태(P1)로 회전시켜서 컴프레서가 전후 방향으로 빠지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목표 위치에 고정한다. 이 때, 연결부(532)는 그 단면의 타원 장축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이다. 즉, 연결부(53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는 폭이 좁은 상태이다. 연결부(532)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타원 곡선부(532a)가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므로, 임플란트 삽입체(I)의 외주면과의 간섭을 극복하고 임플란트 삽입체(I)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부드럽게 회전 가능하다.
로킹부(533)가 제1 상태(P1)이고 연결부(532)는 그 단면의 타원 장축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에 놓이면, 직선부(532b)는 연결부(532)의 양 측단에 위치하여 임플란트 삽입체(I)와 맞닿으며 두 개의 임플란트 삽입체(I)가 서로를 향하여 되돌아오려는 힘에 저항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부(532)는 컴프레싱을 위한 지렛점 역할을 한다. 즉, 연결부(532)가 지레점 역할을 하고, 손잡이부(10) 및 다리부(30)가 지렛대 역할을 하여,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컴프레싱 작업을 적은 힘으로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렛점의 역할을 하는 연결부(532)가 일 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 단면을 갖기 때문에, 로킹부(533)를 제1 상태(P1)로 회전시키면서 지렛점 위치에서의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 간격을 넓힐 수 있고, 이로 인해 지렛대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는 컴프레싱 지지부(50)가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 보다 상방에 위치한 것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임플란트 삽입체(I)에 힘을 가하는 접촉부(33)보다 상방에 지렛점이 위치하므로, 손잡이부(10)를 오므리는 조작에 의해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즉, 척추에 삽입된 부분에서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척추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음).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컴프레서를 위 아래로 뒤집어서 사용하면 컴프레싱 지지부(50)가 제1 파트(1) 및 제2 파트(2) 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임플란트 삽입체(I)에 힘을 가하는 접촉부(33)보다 하방에 지렛점이 위치하므로, 손잡이부(10)를 오므리는 조작에 의해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즉, 척추에 삽입된 부분에서 임플란트 삽입체(I)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척추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에 의하면, 단순히 기구를 상하 뒤집어 사용하는 것만으로 척추 간격을 좁히는 컴프레서의 기능과 척추 간격을 넓히는 디스트랙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제1 파트
2: 제2 파트
10: 손잡이부
20: 중간부
30: 다리부
40: 교차 결합부
50: 컴프레싱 지지부
51: 수직 연장부
52: 수평 연장부
53: 지지부
531: 베이스부
532: 연결부
533: 로킹부
60: 손잡이 고정부

Claims (3)

  1. 제1 파트(1) 및 상기 제1 파트(1)와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제2 파트(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1) 및 상기 제2 파트(2) 각각은,
    손잡이부(10), 상기 손잡이부(10)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간부(20), 그리고 상기 중간부(20)의 전단으로부터 연결되는 다리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20)는 파트 결합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1) 및 상기 제2 파트(2)는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상기 파트 결합부(21)를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다리부(30)의 전단에는, 척추에 삽입되는 원기둥형 삽입체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반원형의 접촉부(33)가 형성되고,
    고,
    컴프레싱 지지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프레싱 지지부(50)는,
    상기 파트 결합부(2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 연장부(51);
    상기 수직 연장부(5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 전방으로 연장하는 수평 연장부(52); 및
    상기 수평 연장부(52)의 전단에 연결되어,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체를 지지하는 지지부(5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53)는,
    상기 수평 연장부(52)의 전단에 연결되는 베이스부(531);
    상기 베이스부(531)로부터 상기 수평 연장부(52)의 연장선상에서 연장되는 연결부(532); 및
    상기 수평 연장부(52)의 연장선상에 놓이는 회전축(X)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532)의 전단에 연결되는 로킹부(533);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531)는, 상기 수평 연장부(52)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상기 베이스부(531)의 양 측부에 두 개 형성되며 척추 임플란트용 삽입체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반원형의 밀착부(531a)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533)는,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양측 방향으로의 폭이 더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킹부(533)의 폭은 상기 연결부(532)의 폭보다 크고,
    상기 로킹부(533)는, 그 폭 방향이 수평면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게 놓이는 제1 상태(P1)와, 그 폭 방향이 수직면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게 놓이는 제2 상태(P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2. 제1항에 있어서,
    교차 결합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차 결합부(40)는, 제1 교차 결합부(41) 및 제2 교차 결합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차 결합부(41) 및 상기 제2 교차 결합부(42)는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다리부(30)의 후단부에는 제1 교차 결합구(31)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30)의 전단부에는 제2 교차 결합구(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교차 결합구(31)는, 상기 중간부(20)와 상기 다리부(30)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결합구이고,
    상기 제1 교차 결합부(41)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파트(1)에 형성된 상기 제1 교차 결합구(31)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교차 결합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파트(2)에 형성된 상기 제2 교차 결합구(32)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교차 결합부(42)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파트(2)에 형성된 상기 제1 교차 결합구(31)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교차 결합부(42)의 타단부는, 상기 제1 파트(1)에 형성된 상기 제2 교차 결합구(32)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교차 결합부(41)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교차 결합구(32) 내에서 상기 다리부(30)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교차 결합부(42)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교차 결합구(32) 내에서 상기 다리부(30)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3. 삭제
KR1020230072148A 2023-06-05 2023-06-05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KR10257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148A KR102576432B1 (ko) 2023-06-05 2023-06-05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148A KR102576432B1 (ko) 2023-06-05 2023-06-05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432B1 true KR102576432B1 (ko) 2023-09-08

Family

ID=8801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148A KR102576432B1 (ko) 2023-06-05 2023-06-05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4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960B1 (ko) 1996-06-07 1999-06-15 이계철 광 증폭기
US20020072752A1 (en) * 1998-10-20 2002-06-13 Zucherman James F.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sizer and distractor with a split head and size indicator and method
US20020123754A1 (en) * 2001-02-28 2002-09-05 Holmes Russell P. Instrument for bone distraction and compression having ratcheting tips
US20130072939A1 (en) * 2007-05-17 2013-03-21 Michael T. Gauthier Compessor Distractor Tool
KR102065476B1 (ko) * 2017-11-23 2020-01-13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KR20220084879A (ko)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가습기모듈,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장치 및 가습기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960B1 (ko) 1996-06-07 1999-06-15 이계철 광 증폭기
US20020072752A1 (en) * 1998-10-20 2002-06-13 Zucherman James F.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sizer and distractor with a split head and size indicator and method
US20020123754A1 (en) * 2001-02-28 2002-09-05 Holmes Russell P. Instrument for bone distraction and compression having ratcheting tips
US20130072939A1 (en) * 2007-05-17 2013-03-21 Michael T. Gauthier Compessor Distractor Tool
KR102065476B1 (ko) * 2017-11-23 2020-01-13 주식회사 비에스케어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KR20220084879A (ko)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가습기모듈,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장치 및 가습기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5685A1 (en) Surgical table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11826030B2 (en) Soft tissue retractor
US11166826B2 (en) Multi-section expandable device
US9827031B2 (en) Disc space sizing devices
BRPI0416213B1 (pt) presilha guia para a orientação da colocação de fio-guia no fêmur
US97702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acting body tissue
CA2535382C (en) Quick-release drill guide assembly for bone plate
US6464690B1 (en) Port off-pump beating heart coronary artery bypass heart stabilization system
US9307973B2 (en) Muscle retractor for spine surgery
CN102697546B (zh) 多轴向椎弓根螺钉以及包含所述螺钉的固定系统工具箱
US20060206009A1 (en) Movable table mounted split access port with removable handle for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s
US8353958B2 (en) Adjustable insertion device for a vertebral implant
US20150142064A1 (en) Plate Benders and System
US20090069635A1 (en) Re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2005538754A (ja) 侵襲を最小にする拡張スペーサ及びその方法
JP2012501231A (ja) 骨由来の棘突起間スペーサ
JP2005529708A (ja) 可調節型外科手術用案内具及び椎骨部材を処理する方法
BR112013028856B1 (pt) pinça de fixação para ossos
US20120016427A1 (en) Osteosynthesis device
JP2007508042A (ja) 脊椎椎弓板を切開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BR112020026325A2 (pt) Haste de conexão de fixação externa com atamento fêmea
US20060149284A1 (en) Insertion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 member within the body
JP2019505318A (ja) 創外固定支柱
US9592099B2 (en) Transapical collapsible valve reference fixture
KR102576432B1 (ko) 척추 임플란트용 컴프레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