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259A -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259A
KR20170116259A KR1020160043098A KR20160043098A KR20170116259A KR 20170116259 A KR20170116259 A KR 20170116259A KR 1020160043098 A KR1020160043098 A KR 1020160043098A KR 20160043098 A KR20160043098 A KR 20160043098A KR 20170116259 A KR20170116259 A KR 2017011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sis
dog
soles
main body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여진
Original Assignee
박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여진 filed Critical 박여진
Priority to KR102016004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6259A/ko
Publication of KR2017011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Abstract

본 발명품은 미끄러운 바닥재 위에서 생활하는 강아지들의 보행 중 미끄러지는 현상으로 인한 관절상의 무리와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끄러운 바닥재 위에서도 쉽게 미끌리지 않는 마찰력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강아지의 발에 착용가능 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보행 시 가해지는 힘이 발톱이 아닌 발바닥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강아지들의 자연스런 보행을 유도하는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이하 "보조기"라고 약칭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품은 모든 발톱에 착용시키지 않아도 충분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보조기 본체의 마찰 범위를 넓히는 것으로 바닥과의 마찰력을 강화시켰고, 착용시킨 보조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강아지의 휘어지는 발톱 모양을 고려하여 보조기 본체를 제작하였으며, 활동량이 많은 강아지들을 위해 보조기 본체와 본체 사이에 굴곡진 연결줄을 추가로 마련하여 활동량이 많은 강아지들도 착용한 보조기가 본래의 형태에서 움직(예로 보조기가 발톱 위로 돌아가는 현상)이지 않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강아지가 보행 시 가하는 힘이 발톱이 아닌 발바닥에 집중될 수 있도록 보조기 본체를 강아지의 발바닥 패드 앞에 설치하여 발톱이 아닌 발바닥에 힘을 주어 보조기를 사용하도록 유도하였고, 이러한 원리에 의해 발톱에 착용된 링(Ring)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면서 발톱과 피부 사이의 경계선으로 링(Ring)이 이동하지 않을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품은 발바닥을 이용한 보행을 유도하므로 강아지들의 발 건강에 무리를 주지 않는 자연스러운 보행을 하게 함과 동시에 장시간 착용 시에도 불편하지 않도록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아지의 발과 보조기 본체 사이에 보조기 본체를 감싸는 완충제를 구성하는 등의 보조기 성능을 향상시킨 데에 본 발명품의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Wearable Pet dog's Walker for Non-slip}
본 발명품은 미끄러운 바닥재 위에서 생활하는 강아지들의 보행 중 미끄러지는 현상으로 인한 관절상의 무리와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끄러운 바닥재 위에서도 쉽게 미끌리지 않는 마찰력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강아지의 발에 착용가능 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보행 시 가해지는 힘이 발톱이 아닌 발바닥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강아지들의 자연스런 보행을 유도하는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이하 "보조기"라고 약칭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생활을 하는 우리나라 실내 환경 특성상, 시간이 지나도 오염 가능성이 낮은 코팅된 바닥재의 수요가 높다. 그러나 코팅 처리로 인해 미끄러워진 바닥은 함께 생활하는 강아지들에게 미끄러질 수 있는 상황을 증가시켜, 이로 인한 여러 가지 관절상의 손상을 초래하게 한다. 그러한 까닭으로 강아지들의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으로 미끄러운 바닥 위에 카펫(Carpet)이나 매트 등을 까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펫(Carpet)이나 매트를 까는 행위는 특정 장소(예로 거실)에만 국한되어져 강아지들의 생활공간을 제한시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미끄럼방지 원단을 사용하여 만든 양말이나 신발을 강아지에게 신기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이 또한 제품을 착용한 강아지들의 거부감이 큰 문제로 장시간 착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도 1과 같은 강아지 발톱에 고무링(RIng)을 끼워 고무와 바닥과의 마찰력을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강아지 발톱 고무링(Ring)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강아지들의 활동량에 따라 고무링(Ring)이 벗겨지거나 발톱과 피부사이의 경계선으로 쏠리는 등의 바닥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현상들이 나타나므로 수시로 발톱에 착용시킨 고무링(Ring)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품은 모든 발톱에 착용시키지 않아도 충분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에 편리함을 추구하였고, 착용시킨 보조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어 활동량이 많은 강아지들까지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착용한 링(Ring)이 발톱과 피부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링(Ring)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켰으며, 또한 강아지가 보행 시 가하는 힘이 발톱이 아닌 발바닥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자연스런 보행을 유도함과 동시에 장시간 착용을 고려한 착용감을 개선시켜 좀 더 쾌적하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품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품은 모든 발톱에 착용시키지 않아도 충분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보조기 본체의 마찰 범위를 넓히는 것으로 바닥과의 마찰력을 강화시켰고, 착용시킨 보조기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강아지의 휘어지는 발톱 모양을 고려하여 보조기 본체를 제작하였으며, 활동량이 많은 강아지들을 위해 보조기 본체와 본체 사이에 굴곡진 연결줄(8)을 추가로 마련하여 활동량이 많은 강아지들도 착용한 보조기가 본래의 형태에서 움직(예로 보조기가 발톱 위로 돌아가는 현상)이지 않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강아지가 보행 시 가하는 힘이 발톱이 아닌 발바닥에 집중될 수 있도록 보조기 본체를 강아지의 발바닥 패드(4) 앞에 설치하여 발톱이 아닌 발바닥에 힘을 주어 보조기를 사용하도록 유도하였고, 이러한 원리에 의해 발톱에 착용된 링(Ring)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면서 발톱과 피부 사이의 경계선으로 링(Ring)이 이동하지 않을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품은 발바닥을 이용한 보행을 유도하므로 강아지들의 발 건강에 무리를 주지 않는 자연스러운 보행을 하게 함과 동시에 장시간 착용 시에도 불편하지 않도록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아지의 발과 보조기 본체 사이에 보조기 본체를 감싸는 완충제를 구성하는 등의 보조기 성능을 향상시킨 데에 본 발명품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품은 마찰력이 좋은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강아지들의 발에 착용하도록 제작되었으며 발바닥을 이용한 자연스런 보행을 유도하고 보조기 본체에 완충제를 구성하여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강아지들의 미끄러지는 현상으로 인해 초래되는 여러 가지 관절상의 질환들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정형외과적 수술을 받은 강아지들의 가정 내에서의 미끄러짐 없는 안전한 재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기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용 발톱 고무링(Ring)을 착용한 사용상태도
도 2a는 보조기를 착용한 사용상태도
도 2b는 보조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품의 보조기 본체(1)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품의 보조기 본체를 감싸는 완충제(2)의 구조도
본 발명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품은 도 2b와 같이 보조기의 본체(1)와 보조기의 본체(1)를 감싸는 완충제(2)로 구성되며, 강아지의 발톱(3)과 발바닥 패드(4) 사이의 공간 안에 발바닥 패드(4)와 보조기(여기서 보조기는 보조기 본체와 완충제가 결합된 완전체를 말함)가 A와 같이 서로 직접 맞닿도록 설치되어 발바닥 패드(4)로 보조기 본체(1)를 밀어서 발생시킨 바닥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보조기를 작동시킨다.
도 3은 보조기 본체(1)의 구조도로, 상단부분의 링(Ring)형태의 고리는 보조기 본체(1)와 발톱을 고정해 주는 고정링(5)이며, 보조기 본체(1)의 바닥면(7)과 45도 가량 기울어진 형태로 도 2a와 같이 강아지의 발톱(3)의 휘어지는 부분에 착용되어 지는데, 이는 강아지들의 여러 방향(좌 또는 우측)의 움직임에도 보조기의 본체(1)가 영향을 받지 않고 도 2a과 같은 형태로 단단히 고정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기울어진 고정링(5)은 보조기가 처음 설치된 형태에서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기 고정장치이다. 또한 고정링(5)은 보조기를 작동하는데 있어 고정된 고정장치에 불과할 뿐이며 보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도 3의 보조기 본체(1) 상단부분을 구성하는 반구 이상의 구의 형태를 가진 상단구(6)는 강아지들의 발톱(3)과 맞닿는 부분으로 강아지들의 발톱(3)이 곡선으로 휘어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보조기 작동 시 발톱(3)의 곡선과 보조기 상단구(5)의 곡선이 자연스레 맞아 떨어지게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의 보조기 본체(1) 하단부분을 구성하는 바닥면(7)은 원기둥 모양으로 바닥과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여 보조기를 작동시키므로 바닥과의 마찰력을 강화하기 위해 바닥면(7)의 마찰 범위를 넓혔다. 또한 보조기 본체(1) 하단부분의 보조기 본체(1)와 본체(1) 사이를 연결하는 굴곡진 연결줄(8)은 보조기 본체(1)가 처음 설치되었던 형태로 올바르게 유지되어 작동되게 하기 위해 추가된 보조장치이며, 강아지들의 발 마디는 자유의지에 의해 벌어질 수 있음을 유념하여 연결줄(8)에 굴곡을 주어 발 마디가 벌어지더라도 강아지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길이에 여유를 주었고, 이 연결줄(8)은 활동량이 많은 강아지들의 경우를 고려하여 보조기의 움직임(예로 보조기가 발톱 위로 돌아가는 현상)을 막기 위해 고안되었다.
도 4는 보조기 본체(1)를 감싸는 완충제(2)의 구조도로, 완충제(2)는 발바닥 패드(4)와 보조기가 서로 맞닿는 도 2b의 A지점의 상부에 위치한 B부분의 여백을 감싸주어 보조기를 발에 안정감 있게 고정시키고, 보조기 작동 시 보조기 본체(1)와 강아지 발바닥 패드(4)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을 회피하게 하는 완충역할을 하며, 이러한 발바닥 패드(4)와 보조기 본체(1)의 직접적인 마찰을 회피하게 함으로써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 오게 한다. 도 4의 완충제(2) 상단부분의 곡선 형태로 파여 있는 홈은 상단홈(9)이라 하며, 상단홈(9)은 보조기 본체(1)와 강아지 발톱(3) 사이에서 발톱(3)이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감있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A: 보조기와 발바닥 패드가 맞닿는 부분
B: 보조기 본체와 발바닥 패드 사이의 여백의 공간
1: 보조기 본체
2: 완충제
3: 발톱
4: 발바닥 패드
5: 고정링
6: 상단구
7: 바닥면
8: 연결줄
9: 상단홈

Claims (6)

  1. 강아지 발바닥 패드(4)와 발톱(3) 사이에 설치되어 발바닥 힘으로 보조기를 밀게 유도하며 바닥과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작동하는 보조기 본체(1)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아지의 발톱(3)에 착용하여 올바른 형태로 보조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보조기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보조기 바닥면(7)과 45도 가량 기울어진 형태의 보조기 본체(1)에 부착된 보조기 고정링(5)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아지의 발톱(3)이 닿는 부위의 보조기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아지 발톱(3)의 휘어지는 곡선을 고려한 보조기 본체(1) 상단의 반구 이상의 구 형태의 상단구(6)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래의 착용 되었던 보조기의 올바른 형태로부터 움직임(예로 보조기가 발톱 위로 돌아가는 현상) 없이 보조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기 본체(1)와 본체(1)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굴곡진 연결줄(8)
  5. 보조기 본체(1)와 강아지 패드(4)와 발톱(3)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해주며 보조기를 보다 발에 편안하게 고정시켜 착용감을 향상시켜 주는 보조기 본체(1)를 감싸는 완충제(2)
  6. 청구항 2에 있어서,
    강아지의 발톱(3)이 보조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발톱(3)이 닿는 완충제(2) 상단부분의 곡선 형태로 파인 상단홈(9)
KR1020160043098A 2016-04-08 2016-04-08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 KR20170116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098A KR20170116259A (ko) 2016-04-08 2016-04-08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098A KR20170116259A (ko) 2016-04-08 2016-04-08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259A true KR20170116259A (ko) 2017-10-19

Family

ID=6029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098A KR20170116259A (ko) 2016-04-08 2016-04-08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62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82B1 (ko) * 2019-11-01 2020-11-24 심민수 반려동물용 미끄럼 방지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82B1 (ko) * 2019-11-01 2020-11-24 심민수 반려동물용 미끄럼 방지 기구
WO2021085722A1 (ko) * 2019-11-01 2021-05-06 심민수 반려동물용 미끄럼 방지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9023A (zh) 具有高脚部移动性的鞋
US20170105862A1 (en) Leg Lift Walking Aid
KR20170116259A (ko) 착용형 강아지 미끄럼방지용 보행보조기
DK1956932T3 (da) Fodtøj som måttesokker
KR101724036B1 (ko)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가 적용된 암벽화
US20150121722A1 (en) Insole for footwear
KR102629797B1 (ko) 부직포로 구성된 반려견용 일회용 신발
KR20120003651U (ko) 신발의 벗겨짐 방지용 받침구
JP2007075206A (ja) トレーニングスリッパ
CN216165573U (zh) 一种适合小朋友足部发育的鞋底
JP2009011796A (ja) 鼻緒付靴の中敷
KR200326252Y1 (ko) 파워워킹용 신발
JP3168787U (ja) 鼻緒及び当該鼻緒を備えた履物
KR20180034975A (ko) 기능성 밑창 및 그것이 포함된 신발
KR200485707Y1 (ko) 세족 및 각질 제거 도구
JP3108975U (ja) 歩行・走行補助用具
US20220362047A1 (en) Foot brace
JP3164854U (ja) メディカルインソール
KR20120005130U (ko) 미끄럼 방지 흡착 신발 깔창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0362918Y1 (ko) 슬리퍼
JP3208021U (ja) サポートソックス
JP3199283U (ja) 靴下
KR200439039Y1 (ko) 완충패드가 구비된 덧버선
KR20180111715A (ko) 재활 유도용 신발
KR101513929B1 (ko) 기능성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