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481A - 헬리콥터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과 이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헬리콥터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과 이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481A
KR20190058481A KR1020197007775A KR20197007775A KR20190058481A KR 20190058481 A KR20190058481 A KR 20190058481A KR 1020197007775 A KR1020197007775 A KR 1020197007775A KR 20197007775 A KR20197007775 A KR 20197007775A KR 20190058481 A KR20190058481 A KR 20190058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ment
rim
force
window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874B1 (ko
Inventor
조르지오 고르고그리오네
가에타노 파팔레오
Original Assignee
레오나르도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나르도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레오나르도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5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64C1/1476Canopies; Windscreens or similar transparent elements
    • B64C1/1492Structure and mounting of the transparent elements in the window or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2Severable or jettisonable parts of fuselage facilitating emergency esc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pecial W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개구부(9)를 구비한 상기 헬리콥터의 문(6)에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워크(8)로서 형성된 프레임; 및 개구부(9)와 맞물리도록 설계되고 프레임(8)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투명 요소(10)를 포함하는 헬리콥터(1)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7)이 기술되며; 프레임(8)은, 임계값 미만의 제 1 힘(F)이 상기 투명 요소(10)의 주요부(11)의 제 1 평면(P)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투명 요소(10)에 가해질 때, 상기 투명 요소(10)를 받쳐서 배치되고, 상기 투명 요소(10)에 가해진 제 1 힘(F)이 임계값을 초과할 때 상기 투명 요소(10)로부터 탄력적으로 떨어지게 이동될 수 있는 제 1 측면(2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평면(P)을 가로지르는 제 2 평면에서 제 1 측면(25)보다 큰 굴곡 강성을 가지며 힘(F)이 상기 임계값보다 클 때에도 상기 투명 요소(10)를 받쳐서 배치되는 제 2 측면(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리콥터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과 이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본 발명은 헬리콥터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window)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타입의 헬리콥터에서는, 탑승자가 예를 들어 사고의 경우에 헬리콥터를 신속하게 포기할 수 있도록 비상구를 제공해야 한다.
알려진 솔루션 중 일부에서는, 헬리콥터의 정상 사용 출구가 비상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알려진 솔루션에서는, 사람이 올라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창이 비상구로 사용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솔루션에 따르면, 창은 헬리콥터의 동체에 만들어진 문에 의해 규정되며 본질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문 자체에 의해 규정된 개구부에서 문에 결합된 프레임워크(framework)로서 형성된 프레임(frame);
- 프레임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고 문에 의해 규정된 개구부와 맞물리는 투명 요소(transparent element); 및
- 투명 요소와 프레임 모두에 붙인 창-프레임-형상의 밀봉부(seal).
이러한 추가적인 솔루션에서는, 탑승자가, 필요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투명 요소를 프레임으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게 필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결정된 값, 예를 들어 20kg을 초과하지 않는 힘을 인가하여 투명 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동체의 내부 및 외부 양쪽에서 상기 힘이 인가될 수 있어야 한다.
창이 비상구로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헬리콥터의 탑승자 또는 구조 작업자는 투명 요소에 힘을 가하여 코드로 아교 접합부를 끊고 문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떼어낸다.
본 출원인은 아교 접합부의 존재로 인해 창 제어부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을 정밀하고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제로, 아교가 과도하면 힘의 값이 너무 높아져서, 비상 상황에서 투명 요소를 제거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아교의 양이 과도하게 적으면 헬리콥터 비행 중에 투명 요소의 작은 움직임 및 진동의 가능성을 남길 수 있다.
또한, 코드를 제공할 필요가 있어 창을 미학적이지 않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창은 특히 무거운 것으로 드러나고 투명 요소의 장착/교체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US 2367035 는,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과, 제 10 항의 전제부에 따른 헬리콥터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려진 타입의 창과 연관된 상기-식별된 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언급된 목적은, 제 1 항에 청구된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에 관한 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0 항에 청구된 헬리콥터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순전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이후에 기술된다:
- 도 1은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을 포함하는 헬리콥터의 측면도이다;
- 도 2는 도 1의 창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타입의 2개의 창을 포함하는 문의 확대도이다;
-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3의 창의 구성 요소를 각각, 명료성을 위해 각 부분들이 제거된 상태로, 평면 IV-IV, 평면 V-V 및 평면 VI-VI에 따른 단면으로 특히 확대하여 도시한다;
- 도 7 내지 도 9는 도 1 내지 도 6의 창에 대한 더욱 상세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 도 10은 제거 단계 동안 도 1 내지 도 9의 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의 창에 대한 더욱 상세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1)는 헬리콥터를 나타낸다. 헬리콥터(1)는 동체(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메인 로터(3) 및 동체(2)의 일 단부에 위치되어 메인 로터의 축을 가로지르는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테일 로터(4)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동체(2)는 차례로 다음을 포함한다:
- 헬리콥터(1)의 탑승자가 필요한 경우 헬리콥터(1)를 신속히 포기할 수 있도록 비상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출구(5); 및
- 복수의 창(7)을 규정하는 문(6).
이들 창(7)의 크기는 헬리콥터(1)의 탑승자가 올라가서 탈출할 수 있기에 충분히 크다.
이 크기 덕분에, 창(7)은 또한 비상구 기능도 수행한다.
모든 창(7)이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창(7)만 이하에서 기술된다.
보다 상세하게, 창(7)은 다음을 포함한다(도 2 및 도 3):
- 문(6)에 결합되고 개구부(9)를 규정하는 프레임워크(8)로서 형성된 프레임; 및
- 개구부(9)와 맞물리고 프레임(8)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투명 요소(10).
이 비상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투명 요소(10)는 임계값 미만의 힘, 예를 들어 20kg으로 프레임(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야 한다.
이 힘은 탑승자에 의해 동체(2) 내부에서 또는 구조자에 의해 동체(2) 외부에서 가해질 수 있다.
투명 요소(10)는 평면 P 상에 놓이는 주요부(11)를 포함한다(도 4 및 도 5).
도 3 내지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 평면 P에 평행하고 헬리콥터(1)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A와;
- 평면 P에 평행하고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 B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명 요소(10)는 또한 동체(2)의 내측에 배치된 면(10a)과, 면(10a)에 대향하고 동체(2)의 외측에 배치된 면(10b)을 포함한다.
투명 요소(10)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유리로 제조된다.
투명 요소(10)는:
- 한 쌍의 에지(13a)(도 5); 및
- 각각의 에지(13a)에 면하는 한 쌍의 에지(13b)(도 4)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각 쌍의 에지(13a, 13b)는 하나는 방향 A를 따라 다른 하나는 방향 B를 따라 연장된다.
투명 요소(10)는 각각의 에지(13a, 13b)(도 4 내지 도 6)에서 다음을 포함한다:
- 주요부(11)에 인접하고 평면 P에 대해 기울어진 각각의 평면 상에 놓이는 벽(12); 및
- 평면 P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놓이고 벽(12)과 함께 각각의 에지(13a 또는 13b)를 규정하는 벽(14).
벽(12)은 주요부(11)를 향하여 수렴한다.
문(6)은 각 창(7)에 대해(도 3):
- 복수의 벽(50)으로서, 도시된 경우에서는 4개이며, 프레임과 같이 배치되고 평면 P에 직교하는 각각의 평면 상에 놓이는, 상기 복수의 벽(50);
- 복수의 벽(51)으로서, 도시된 경우에서는 4개이며, 평면 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상에 프레임과 같이 배치되고 동체(2)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벽(51);
- 복수의 벽(52)으로서, 도시된 경우에서는 4개이며, 벽(51)에 면하고 프레임 같은 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벽(52); 및
- 벽(50)을 벽(51 및 52)에 각각 연결하는 곡선 섹션(53 및 54)(도 4 및 도 5)을 포함한다.
특히, (도 4 및 도 5)에서, 벽(51)은 면(10a)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하고 벽(52)은 투명 요소(10)의 면(10b)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한다.
창(7)은 또한, 평면 P 상에 놓이고 4개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며 투명 요소(10)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폐쇄된 프로파일(closed profile)을 규정하는 밀봉부(49)를 포함한다.
밀봉부(49)는 평면 P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투명 요소(10)의 면(10b)과 문(6)의 벽(52) 사이에 개재된다.
프레임(8)은 투명 요소(10)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창 프레임(창틀)과 같이 형성된다.
특히, 프레임(8)은 사각 형상, 도시된 경우에서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연결 요소(23, 24)에 의해 문(6)의 벽(50)에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프레임(8)은 다음을 포함한다:
- 평면 P를 가로지르고 임계값 미만의 힘 F이 투명 요소(10)에 가해질 때 투명 요소(10)를 받쳐서(abutting) 배치되고, 임계값보다 큰 힘이 투명 요소(10)에 가해질 때 투명 요소(10)로부터 탄력적으로 떨어지게 이동될 수 있어서, 프레임(8) 자체에서 투명 요소(10)의 부분적인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측면(25)(도 5, 도 6 및 도 11); 및
- 투명 요소(10)에 가해진 힘 F가 임계값보다 클 때에도 투명 요소(10)를 받쳐서 배치된 측면(25)보다 큰 평면 P를 가로지르는 평면 Q에서 굴곡 강성을 갖는 한 쌍의 측면(30)(도 4)을 포함한다.
도시된 경우, 측면(25 및 30)은 혀(tongues) 같은 형상이다.
또한, 도시된 경우에, 프레임(8)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측면(25)은 얇은 벽이다.
측면(25)은 서로 인접하고 프레임(8)의 코너(15)에 수렴한다.
측면(30)은 서로 인접하고, 측면들(25) 사이에 개재되며, 프레임(8)의 코너(15)에 대향하는 코너(16)에 수렴한다.
코너(15 및 16)는 만곡되어 각각의 측면(25 및 30)을 서로 연결한다.
측면(25 및 30)은 A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B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평면 P에 직교하는 방향 C를 따르는 높이를 갖는다.
측면(25)은 코너(15)에서 투명 요소(10)가 지니는 핸들(18)에 의해 맞물리는 해제부(17)를 갖는다.
측면(25)은 힘 F가 임계값 미만일 때, 투명 요소(10)의 에지(13a)를 받치고고 이와 중첩하여 배치된다(도 5).
측면(30)은 투명 요소(10)의 에지(13b)를 받치고 이와 중첩하여 배치된다(도 4).
투명 요소(10)에는 또한 코너(15)에 위치된 핸들(18)이 장착된다.
핸들(18)은 투명 요소(10)의 면(10a)으로부터 동체(2)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한다.
각각의 벽(50) 외에도, 연결 요소(23 및 24)는 또한 프레임(8)의 측면(25 및 30)에도 각각 연결된다.
연결 요소(23 및 24)는 웨지 같은 형상이며(도 3 내지 도 6), 각각은:
- 문(6)의 벽(50)을 받치고 상기 벽(50)에 평행한 각각의 표면(32);
- 표면(32)에 대향하고 평면 P에 대해 기울어진 각각의 표면(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표면(33)은 벽(51)에서 벽(52)을 향해 평면 P에 직교하여 진행할 때, 벽(50)을 향해 수렴한다.
측면(25)은 코너(15)에서 수렴하는 각각의 섹션(21)(도 6) 및 코너(15)에 대향하는 각각의 섹션(22)(도 5)을 포함하며, 즉 핸들(18)(도 3)의 측면에 배치된다.
각각의 측면(25)은 본질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도 3 내지 도 6, 도 10 및 도 11):
- 각각의 방향 A 또는 B를 따라 서로 이격된 각각의 앵커 지점에서 연결 요소(23)에 고정된 복수의 단부 부분(40); 및
- 부분(40)에 대향하는 단부 부분(41)으로서, 힘 F가 임계값 미만일 때, 문(6)의 벽(52)에 대해 투명 요소(10)의 각각의 에지(13a)로 수렴하는 각각의 벽(12 및 14)을 가압하도록 설계된, 상기 단부 부분(41).
힘 F가 임계값 미만일 때, 부분(41)은 각각의 섹션(22)에서 투명 요소(10)를 받쳐서 배치되고 각 섹션(21)에서 투명 요소(10)로부터 이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섹션(22)에서, 부분(41)은 투명 요소(10)의 에지(13a)에 의해 맞물리는 숄더(45)를 규정한다.
특히, 숄더(45)는 코너에서 서로 수렴하는 한 쌍의 벽(46 및 47)에 의해 규정된다.
힘 F가 임계값 미만일 때, 벽(46)은 투명 요소(10)의 각 벽(12)을 받쳐서 배치되는 반면, 벽(47)은 통상적으로 투명 요소(10)의 각 벽(14)을 받쳐서 배치된다.
서로 중첩하는 벽(46, 12)은 평평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벽(46 및 12)은, 에지(13a)로부터 시작하여 투명 요소(10)의 주요부(11)를 향해 진행하면서, 투명 요소(10)의 면(10b)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떨어지게 이동한다.
반대로, 각 측면(25)의 섹션(21)은, 해제부(17)의 경계를 정하고 섹션(21)과 투명 요소(10)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20)(도 6 및 도 11)를 포함한다.
즉, 각 측면(25)의 부분(41)은 각각의 섹션(21)에서 중단된다.
따라서, 오목부(20)는 투명 요소(10)에 힘 F를 가한 후에 핸들(18) 영역에서 측면(25)을 휘게 하기 위한 트리거 구역을 규정한다.
힘 F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투명 요소(10)는 방향 C를 따라 측면(25)을 이동시키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 투명 요소(10)는 따라서 측면(25 및 30)에 의해 문(6)에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
반대로, 힘 F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투명 요소(10)는 오목부(20)의 존재로 인해 측면(25)의 섹션(21)을 방향 C를 가로질러 이동시킬 수 있고 평면 Q에서 측면(25)의 결과로서 생긴 탄성 휨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투명 요소(10)의 벽(12)은 측면(25)으로부터 및 그에 따라 프레임(8)으로부터, 또한 측면(25)의 섹션(22) 상에서도 맞물림 해제된다.
각 측면(30)은 다음을 본질적으로 포함한다(도 4):
- 복수의 연결 섹션에서 연결 요소(24)에 고정된 단부 부분(60);
- 부분(60)에 대향하고 투명 요소(10)의 각각의 벽(14)을 문(6)에 대해 가압하도록 설계된 단부 부분(61); 및
- 섹션들(60 및 61) 사이에 개재된 부분(62).
또한 부분(60)은 각각의 연결 요소(24)의 표면(33)을 받쳐서 배치된 표면(63)에 의해 각각의 방향 A 또는 B를 따라 경계가 정해진다.
부분(61)은 투명 요소(10)의 에지(13b)의 벽(12 및 14)에 의해 맞물리는 숄더(64)를 규정한다.
특히, 숄더(64e)는 코너에서 서로 수렴하는 한 쌍의 벽(65 및 66)에 의해 규정된다.
힘 F의 모든 값에 대해, 벽(65)은 각각의 에지(13b)의 벽(12)을 받쳐서 배치되고 벽(66)은 각각의 에지(13b)의 벽(14)을 받쳐서 배치된다.
특히, 벽(65)은 벽(14)과 매우 유사한 형상이며, 즉 평면 P에 대해 기울어지고 벽(66)으로부터 주요부(11)를 향하여 수렴한다.
부분(62)은 L-자형이며, 부분(60)에서 부분(61)으로 향하여 진행하며 차례로 다음을 포함한다:
- 주로 평면 P에 평행하고 벽(50)에 직교하는 연장부를 갖는 섹션(67); 및
- 섹션(67)보다 얇고 벽(50)에 직교하는 섹션(68).
측면(25)에 대해 평면 P 상에서 특히 두꺼운 부분(61 및 62)의 형상은 평면 P에 직교하는 힘 F에 응답하여 측면(25)의 굴곡 강성보다 훨씬 큰 평면 Q에서의 굴곡 강성을 측면(30)에 부여한다.
힘 F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도, 부분(60, 61 및 62)은 그 위치를 탄력적으로 크게 변경하지 않고 문(6)의 밀봉부(49) 및 벽(52)에 대해 에지(13b)의 벽(12 및 14)을 계속 가압한다.
그러나, 힘 F가 임계값보다 크고 벽(12)이 더 이상 문(6)에 대하여 측면(25)에 의해 구속되지 않을 때, 투명 요소(10)는, 평면 P에 놓이고 투명 소자(10)를 측면(30)으로부터 및 벽(50)으로부터 떼어놓도록 배향된 방향을 갖는 힘 G에 의해 프레임(8)의 측면(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도 4 및 도 9).
이것은, 어떤 방식으로든 평면 P에서 주성분을 가지고 문(6)의 벽(50)에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힘 G가 투명 요소(10)에 가해질 때, 벽(65)이 투명 요소(10)의 에지(13b)로 수렴하는 벽(12 및 14)을 구속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특히, 벽(65, 14)은 에지(13b)로부터 시작하여 투명 요소(10)의 주요부(11)를 향해 진행하여 투명 요소(10)의 면(10b)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창(7)은 또한, 투명 요소(10)에 작용하는 공기 역학적 하중을 지지하고 힘 F가 임계값을 초과할 때 투명 요소(10)를 문(6)으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연결 요소(70)(도 7)를 포함한다.
이것은 공기 역학적 하중이 상술한 임계값보다 일반적으로 낮기 때문에 가능하다.
각 연결 요소(70)는 투명 요소(10)의 코너(15)에 배치된다.
각각의 연결 요소(70)는 핸들(18)의 자리(71) 내부에 수납되는 삽입물이다.
각각의 연결 요소(70)는 본질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도시된 경우에는 도브테일형 연결(dovetail coupling)에 의해 자리(71)에 수납되고 핸들(18)에 연결되는 실질적으로 평면 P에 직교하는 섹션(72); 및
- 평면 P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프레임(8)의 측면(25)을 받치는 섹션(72)에 대향하는 단부(74)를 갖는, 섹션(72)을 가로지르는 아암(73).
특히, 단부(74)는 투명 요소(10)의 면(10a)과 측면(25)의 부분(41) 사이에 개재된다.
연결 요소(70)는 공기 역학적 하중의 작용하에 임계값 미만의 힘 값에 저항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연결 요소(70)의 아암(73)은 단부(74)와 부분(41) 사이의 받쳐짐(abuttment)으로 인해서, 면(10b)에 작용하는 공기 역학적 하중을 지지하고 투명 요소(10)를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크기이다.
반대로, 힘 F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아암(73)이 파손되어 투명 요소(10)를 제거할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 연결 요소(70)는 에지(13b) 상의 투명 요소(10)에 고정된다.
창(7)의 작동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탑승자가 헬리콥터(1)를 신속하게 포기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고의 경우, 창(7)은 비상구로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는 투명 요소(10)를 문(6)으로부터 간단히 제거하고 투명 요소(10)가 없는 개구부(9)를 통해 올라간다. 완전히 유사한 방식으로, 투명 요소(10)는 구조 작업자에 의해 헬리콥터(1) 외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투명 요소(10)의 문(6)으로부터의 제거는, 평면 P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체(2)의 내부를 향하는 핸들(18)에 - 또는 투명 요소(10) 자체의 면(10b)에 - 임계값보다 큰 힘 F를 가한 다음, 프레임(8)의 측면(30)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투명 요소(10) 자체에 평면 P에 평행하는 주성분을 갖는 힘 G를 가함으로써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힘 F가 임계값보다 크면, 또한 오목부(20)의 존재로 인해, 투명 요소(10)는 핸들(18)의 구역에 배치된 측면(25)의 섹션(21)을 방향 C를 가로질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또한 각각의 평면 Q에서 측면(25)의 섹션(22)의 탄성 휨과 문(6)의 측면(25)의 부분(40 및 41)을 떨어지게 하는 이동을 허용한다. 이어서 임계값보다 큰 힘 F의 인가는 프레임(8)의 측면(25)으로부터 투명 요소(10)의 에지(13a)의 벽(12 및 14)을 맞물림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투명 요소(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30)에 의해서만 프레임(8)에 구속된다.
이들 측면(30)은 측면(25)에 대한 큰 굴곡 강성 때문에, 힘 F가 임계값보다 클 때조차도 투명 요소(10)를 프레임(8)에 구속시킨다.
그럼에도, 측면(30)은 평면 P에 평행하는 주성분을 갖는 힘 G의 인가 후에 투명 소자(10)의 후속 분리를 방지하지 않는다.
이것은 힘 G가 측면(30)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질 때 벽(65)이 투명 소자(10)의 벽(12)을 평면 P에 평행한 상술된 방향을 따라 구속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힘 G의 인가는 투명 요소(10)를 측면(3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 시점에서, 투명 요소(10)는 문(6)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고 더 이상 개구부(9)를 점령하지 않으며, 이것은 동체(2)를 떠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헬리콥터(1)의 정상적인 작동 중에, 연결 요소(70)는 투명 요소(10)의 면(10b)에 작용하는 공기 역학적 하중이 투명 요소(10)를 문(6)으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우연한 제거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실, 투명 요소(10)의 면(10b)에 대한 이러한 공기 역학적 하중의 작용 하에서, 단부(74)는 측면(25)의 부분(41)에 대해 가압되고 아암(73)은 그 파손 하중 아래의 응력을 받는다.
반대로, 임계값보다 큰 힘 F가 핸들(18) 또는 면(10b)에 가해질 때, 아암(73)이 파손되어 프레임(8)의 측면(25)으로부터 투명 요소(10)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창(7)의 특성의 설명으로부터, 이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 이점은 명백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창(7)의 프레임(8)은 다음을 포함한다:
- 평면 P를 가로지르고 임계값 미만의 힘 F가 투명 요소(10)에 가해질 때 투명 요소(10)를 받쳐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25)으로서, 투명 요소(10)에 가해진 힘 F가 임계값보다 클 때 투명 요소(10)로부터 탄력적으로 떨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프레임(8)으로부터 투명 요소(10)의 부분적인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한 쌍의 측면(25); 및
- 임계값보다 큰 힘 F가 투명 요소(10)에 가해질 때에도 투명 요소(10)를 받쳐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30).
이러한 방식으로, 본 설명의 도입부에서 논의된 공지된 솔루션과는 달리, 창(7)은 투명 요소(10)를 문(6)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접착제 접합이 파손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반대로, 측면(25)을 탄성적으로 휘게 하며 측면(30)으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한 다음, 평면 P에 평행한 힘 G를 인가하여 측면(30)으로부터 투명 요소(10)를 분리하도록, 단순히 평면 P를 가로지르는 힘 F을 인가함으로써 투명 요소(7)가 프레임(8)으로부터 제거된다.
이 탄성 분기(elastic divarication)는 측면(25)의 섹션(21)에 의해 규정된 오목부(20)에 의해 촉진된다. 실제로, 이 오목부(20)로 인해, 투명 요소(10)는 측면(25)의 섹션(21)을 방향 C에 대해 가로질러 이동시켜서, 전체 측면(25)의 탄성 변형을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힘 F의 값은 높은 정밀도와 반복성으로 제어 가능하다. 따라서, 헬리콥터(1)의 비행 중에 진동이 실질적으로 없는 투명 요소(10)를 가지며 동시에 필요한 경우 투명 요소(1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창(7)이 얻어진다.
또한, 벽(65)이 평면 P에 평행한 방향으로 투명 요소(10)의 벽(12)을 유지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30)으로부터 투명 요소(10)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 G가 특히 낮다. 즉, 일단 임계값보다 큰 힘 F가 가해지면, 투명 요소(10)는 힘 G를 가함으로써 거의 자연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창(7)은 간단히 다음과 같이 함으로써 동체(2) 내부로부터 완전히 설치될 수 있다:
- 측면(25)과 밀봉부(49) 사이에 위에서 수렴하는 에지(13a)와 벽(12 및 14)을 삽입함; 및
- 측면(30)과 밀봉부(49) 사이에 위에서 수렴하는 에지(13b)와 벽(12 및 14)을 삽입함.
투명 요소(10)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코드 또는 다른 가동 부재가 전혀 없기 때문에, 창(7)은 특히 즐거운 미적 효과를 가지며 동체(2)의 공기 역학적 프로파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창(7)은 이 설명의 도입부에서 논의된 솔루션보다 훨씬 낮은 중량 - 대략 50% - 을 가져서, 헬리콥터(1)의 중량 감소 및/또는 페이로드의 증가에서 명백한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창(7) 및 방법에 대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12)

  1. 헬리콥터(1)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7)으로서:
    - 개구부(9)를 구비한 상기 헬리콥터의 문(6)에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워크(8)로서 형성된 프레임; 및
    - 상기 개구부(9)와 맞물리도록 설계되고 상기 프레임(8)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투명 요소(10)를 포함하는, 상기 창(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8)은:
    - 서로 인접하고 코너(15)에서 부대하는 적어도 2개의 제 1 림(25)으로서, 상기 코너(15)에서는 상기 투명 요소(10)가 지니는 핸들(18)을 수납하고 상기 투명 요소(10)에 제 1 힘(F)을 가하도록 작동 가능한 오목부(20)가 만들어지고; 각각의 상기 제 1 림(25)은 임계값 미만의 값을 갖는 상기 제 1 힘(F)이, 사용시, 상기 투명 요소(10) 자체의 주요부(11)의 제 1 평면(P)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투명 요소(10)에 가해질 때 상기 투명 요소(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쳐서(abutting) 배치되고, 상기 제 1 힘(F)이 사용시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값으로 상기 투명 요소(10)에 가해질 때 상기 투명 요소(10)로부터 탄력적으로 떨어지게 이동 가능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림(25);
    - 서로 인접하고 각각의 상기 제 1 림(25)에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제 2 림(30)으로서; 각각의 제 2 림(30)은 상기 제 1 평면(P)에 직교하는 제 2 평면(Q)에서 상기 제 1 림(25)보다 큰 굴곡 강성을 가지며, 상기 힘(F)의 값이, 사용시, 상기 임계값보다 클 때에도 상기 투명 요소(10)를 받쳐서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림(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림(25)은:
    - 상기 문(6)에 고정 가능한 제 1 부분(40); 및
    - 상기 제 1 부분(40)에 대향하는 제 2 부분(41)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41)은:
    - 상기 오목부(20)를 규정하고, 상기 제 1 힘(F)이 상기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상기 투명 요소(10)에 인가될 때에도 상기 투명 요소(10)로부터 이격되는 제 1 섹션(21); 및
    - 연관된 상기 제 2 림(30)에 인접하게 그리고 상기 오목부(20)의 다른 단부에 배치된 제 2 섹션(22)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섹션(22)은 상기 제 1 힘(F)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값으로 상기 투명 요소(10)에 인가될 때 상기 투명 요소(10)를 받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2 림(30)은:
    - 상기 문(6)에 고정 가능한 제 3 섹션(60); 및
    - 상기 제 3 섹션(60)에 대향하고 상기 투명 요소(10)와 협력하는 제 4 섹션(61)을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요소(10)는:
    - 상기 평면(P)에 대해 기울어지고 상기 주요부(11) 주변에 배치되는 제 1 벽(12); 및
    - 각각의 상기 제 1 벽(12)과 함께, 상기 투명 요소(10)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에지(13a, 13b)를 규정하는 제 2 벽(1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에지(13a)는 상기 제 1 힘(F)의 값이 상기 임계값 미만일 때 상기 프레임(8)의 상기 제 1 림(25)을 받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 2 에지(13b)는 상기 프레임(8)의 상기 제 2 림(30)를 받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요소(10)는 제 1 면(10a)과 상기 제 1 면(10a)에 대향하는 제 2 면(10b)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면(10a)은 상기 제 1 벽(12)을 규정하고;
    상기 제 2 림(30)은 상기 제 1 벽(12)을 받치는 제 3 벽(6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벽(12) 및 상기 제 3 벽(65)은 각각의 제 1 벽(12)으로부터 상기 주요부(11)를 향하여 진행할 때, 상기 제 2 면(10b)으로부터 증가하는 거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6)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림(25, 30)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연결 요소(23) 및 제 2 연결 요소(2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요소(23) 및 상기 제 1 림(25)은 각각, 서로를 받치고 상기 평면(P)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표면(33)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 요소(24) 및 상기 제 2 림(30)은 각각, 서로를 받치고 상기 평면(P)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표면(33; 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미만의 값을 갖는 상기 힘(F)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투명 요소(10)와 상기 문(6)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70)는:
    - 상기 핸들(18)의 좌석에 수납된 제 1 섹션(72); 및
    - 상기 프레임(8)을 받치고 상기 임계값 미만의 값을 갖는 상기 제 1 힘(F)의 인가 후에 파손 가능한 제 2 섹션(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9.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창(7); 및
    - 상기 개구부(9)를 규정하는 상기 문(6)을 포함하는 헬리콥터(1).
  10. 헬리콥터(1)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7)으로부터 투명 요소(10)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창(7)은, 상기 헬리콥터(1)의 문(6)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투명 요소(10)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설계된 프레임(8)을 포함하는, 상기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임계값 미만의 값을 갖는 제 1 힘(F)이 상기 투명 요소(10)의 주요부(11)의 제 1 평면(P)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투명 요소(10)에 가해질 때, 상기 투명 요소(10)를 상기 프레임(8)의 2개의 제 1 림(25)의 적어도 일부와 2개의 제 2 림(30)을 받쳐서 유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림(25)은 서로 인접하고 코너(15)에서 부대하는데, 상기 코너(15)에서 상기 투명 요소(10)가 지니는 핸들(18)을 수납하고 상기 투명 요소(10)에 상기 제 1 힘(F)을 가하도록 작동 가능한 오목부(20)가 만들어지고;
    상기 제 2 림(30)은 서로 인접하고 각각의 상기 제 1 림(25)에 대향하고; 상기 제 2 림(30)은 상기 제 1 평면(P)에 직교하는 제 2 평면(Q)에서 상기 제 1 림(25)보다 큰 굴곡 강성을 가지는, 상기 유지 단계;
    ⅱ) 상기 제 1 힘(F)의 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제 1 림(25)으로부터 상기 투명 요소(10)를 자유롭게 하도록 상기 투명 요소(10)로부터 상기 제 1 림(25)을 탄력적으로 떨어지게 이동시키는 단계; 및
    ⅲ) 상기 제 1 힘(F)의 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투명 요소(10)를 상기 제 2 림(30)에 받쳐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ⅱ)는:
    ⅳ)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기 제 1 힘(F)의 인가 후에 상기 투명 요소(10)에 의해 상기 제 1 림(25)의 제 1 섹션(21)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ⅴ) 상기 제 1 힘(F)에 대해 가로질러 상기 제 1 섹션(21)의 변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21)은 상기 제 1 힘(F)이 상기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상기 투명 요소(10)에 인가될 때에도 상기 투명 요소(10)로부터 이격되는 오목부(20)를 규정하고;
    상기 단계 ⅴ)는 상기 제 2 평면(Q)에서 상기 제 1 림(25)의 제 2 섹션(22)의 탄성 휨을 허용하고 상기 문(6)으로부터 상기 제 1 림(25)의 제 1 및 제 2 부분(40, 41)을 떨어지게 이동시키고;
    각각의 상기 제 1 림(25)은:
    - 상기 문(6)에 고정 가능한 상기 제 1 부분(40); 및
    - 상기 제 1 부분(40)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부분(41)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41)은 차례로:
    - 상기 제 1 섹션(21); 및
    - 상기 오목부(20)의 다른 단부 상에서 연관된 상기 제 2 림(30)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 2 섹션(22)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섹션(22)은 상기 제 1 힘(F)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값으로 상기 투명 요소(10)에 인가될 때 상기 투명 요소(10)를 받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ⅶ) 상기 평면(P)에 평행한 성분을 갖는 제 2 힘(G)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 2 측면(30)으로부터 상기 투명 요소(1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단계 ⅱ)는:
    ⅷ) 상기 투명 요소가 지니는 핸들(18)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KR1020197007775A 2016-09-07 2017-09-07 헬리콥터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과 이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KR102276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7548.9A EP3293106B1 (en) 2016-09-07 2016-09-07 Window with an emergency exit function for a helicopter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parent element from this window
EP16187548.9 2016-09-07
PCT/IB2017/055392 WO2018047089A1 (en) 2016-09-07 2017-09-07 Window with an emergency exit function for a helicopter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parent element from this wind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481A true KR20190058481A (ko) 2019-05-29
KR102276874B1 KR102276874B1 (ko) 2021-07-14

Family

ID=5689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775A KR102276874B1 (ko) 2016-09-07 2017-09-07 헬리콥터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과 이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74000B2 (ko)
EP (1) EP3293106B1 (ko)
KR (1) KR102276874B1 (ko)
CN (1) CN109963780B (ko)
RU (1) RU2733196C1 (ko)
WO (1) WO20180470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91B1 (ko) 2019-07-16 2021-01-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상이탈을 위한 헬리콥터 도어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2335B2 (en) * 2018-02-01 2020-08-25 Bell Helicopter Textron Inc. Emergency release for pushout window evacuation
US11235853B2 (en) * 2018-10-16 2022-02-01 Textron Innovations Inc. Aircraft windowed structure
EP3995393B1 (en) * 2020-11-04 2023-01-04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A door for separating two environments with different pressures
EP4029772B1 (en) * 2021-01-18 2023-11-29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Canopy and door arrangement for a non-pressurized aircraft
US11731752B1 (en) * 2021-12-22 2023-08-22 Randy L. Barton Removable aircraft fuselage expansion window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8918B1 (en) * 1997-07-18 2001-10-30 Eurocopter Window releas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33668A (en) * 1939-11-09 1941-02-18 Herbert Linwood Sleigh Improvements relating to windows and panels
US2367035A (en) * 1941-10-13 1945-01-09 Lockheed Aircraft Corp Transparent canopy mounting
US4283885A (en) * 1979-12-26 1981-08-18 The O. M. Edwards Company, Inc. Emergency release closure
US4364209A (en) * 1980-08-20 1982-12-21 Gebhard Paul C Window glazing system
US5826824A (en) * 1996-11-08 1998-10-27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Emergency egress system for aircraft
RU42023U1 (ru) * 2004-07-28 2004-11-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амов" Грузопассажирская кабин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DE102007007594A1 (de) * 2007-02-13 2008-08-1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Fahrzeug mit einer Frontscheibenanordnung
RU82655U1 (ru) * 2008-08-04 2009-05-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АЛ"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ок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аварийный выход",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рофиль рамы, уплотнитель стеклопакета
US8944381B2 (en) * 2011-03-25 2015-02-03 The Boeing Company Aircraft window and installation method
FR2973428B1 (fr) * 2011-03-31 2019-03-15 Airbus Helicopters Encadrement etanche pour largage securise de panneau amovible
EP3100947B1 (en) * 2015-06-05 2018-12-19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A jettisonable emergency exit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8918B1 (en) * 1997-07-18 2001-10-30 Eurocopter Window releas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91B1 (ko) 2019-07-16 2021-01-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상이탈을 위한 헬리콥터 도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0708A1 (en) 2019-07-11
EP3293106B1 (en) 2018-11-14
US11174000B2 (en) 2021-11-16
CN109963780A (zh) 2019-07-02
EP3293106A1 (en) 2018-03-14
RU2733196C1 (ru) 2020-09-29
KR102276874B1 (ko) 2021-07-14
WO2018047089A1 (en) 2018-03-15
CN109963780B (zh)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8481A (ko) 헬리콥터용 비상구 기능을 갖는 창과 이 창으로부터 투명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JP6893082B2 (ja) 自動車セットに備え付けるための自動車用機器及びそのような自動車用機器を備えた自動車セット
EP2599924B1 (en) Apparatus for fixing the rear glass of an operator cab on construction machinery
JP2001503705A (ja) 航空機用の非常脱出システム
US2641031A (en) Push-out sash
EP2730472A2 (en) Clip member for assembling various mounting types of wiper arms
JP3208263U (ja) トラックのあおり補助部材
EP2733027A1 (en) System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to a windshield wiper arm
US2818613A (en) Fitting of panes of glass in motor vehicles
KR102650183B1 (ko) 헬리콥터
DE10001430B4 (de) Anordn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r Abdeckung an einer Scheibe, insbesondere einer Wasserkastenabdeckung an einer Kraftfahrzeug-Frontscheibe
US1724959A (en) Wire end seal for aircraft
US9168723B2 (en) Device for reversibly fastening a panel to a structure so as to obtain a window in that structure, a vehicle, and a method
WO2015052578A1 (en) Attachment for a windscreen wiper, especially an automotive wiper, a wiper blade containing such an attachment, and an automotive wiper assembly
KR101914090B1 (ko) 와이퍼장치
KR102253934B1 (ko) 와이퍼장치
CZ34766U1 (cs) Demontážní přípravek
KR20180001917U (ko) 필터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유닛
JP7095878B2 (ja) 手摺の取付装置と取付方法
KR102463456B1 (ko)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IT201900019316A1 (it) Sistema e metodo di protezione per veicoli articolati e corrispondente veicolo articolato.
KR0140272Y1 (ko) 카울 패널의 캡 취부구조
KR200150673Y1 (ko) 유리문용 고정 프레임
JP2016035154A (ja) 建物の改修方法
ITPD20130214A1 (it) Dispositivo per sgancio facilitato delle aste reggiparafan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