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456B1 -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456B1
KR102463456B1 KR1020170170759A KR20170170759A KR102463456B1 KR 102463456 B1 KR102463456 B1 KR 102463456B1 KR 1020170170759 A KR1020170170759 A KR 1020170170759A KR 20170170759 A KR20170170759 A KR 20170170759A KR 102463456 B1 KR102463456 B1 KR 102463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inner panel
door
vehicle
glass r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183A (ko
Inventor
최제원
김재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4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서 상기 글래스런의 하단이 도어프레임이나 인너패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는, 상기 도어프레임(12), 상기 인너패널(13) 또는 상기 하단립(15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글래스런(15)의 하단립(15a)이 상기 도어프레임(12) 또는 상기 인너패널(13)로부터 상기 하단립(15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이 도어프레임(12)의 하단과 분리되면서 상기 차량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단립(15a)의 내측면에 면접촉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STRUCTURE FOR DOOR OF VEHICLE CAPABLE OF PREVENTION OF SEPARATION FROM GLASS RUN}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서 윈도우 글래스가 설치되는 글래스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에서 상기 글래스런의 하단이 도어프레임이나 인너패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1)에서는 탑승자의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하게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12)과 인너패널(113)이 접합되어 구조체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10)의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차량(1)의 실내로 이물질, 소음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웨더스트립(114)이 상기 도어(1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고, 윈도우 글래스(11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글래스런(115)이 상기 도어프레임(112)에 장착된다.
상기 웨더스트립(114)은 상기 인너패널(113)의 내측에 클립(116)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상기 도어(10)의 폐쇄시 루프패널(120)에 밀착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1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 특히 상기 윈도우 글래스(111)의 둘레에는 상기 도어프레임(112)이 노출되지 않고 미관을 위하여 프레임 가니쉬(117)가 체결된다.
이를 도 3을 통하여 단면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어프레임(112)과 인너패널(113)은 각각 금속 판재를 가공하고, 양단에서 각각 접합되도록 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체를 구성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1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윈도우 글래스(111)를 가이드하는 글래스런(115)이 설치되고, 상기 글래스런(11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글래스런(115)은 상기 도어프레임(112)과 상기 인너패널(113)의 접합 부위를 물어잡는 형태로 상기 도어프레임(112)에 접합되고, 상기 글래스런(115)은 본체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립이 상기 글래스런(115)에 설치되는 윈도우 글래스(111)의 표면을 지지하거나, 상기 립이 상기 도어프레임(112)과 상기 인너패널(113)의 접합부를 감싸게 된다.
상기 글래스런(115)의 하단에는 상기 도어프레임(112)가 상기 인너패널(113)의 접합부위를 감싸기 위하여 하단립(115a)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단립(115a)은 상기 글래스런(115)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12)가 상기 인너패널(113)의 접합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장착구조에서는 상기 하단립(115a)은 상기 도어프레임(112)이 상기 인너패널(113)의 접합부위와 단순한 면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글래스런(115)의 하단으로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하단립(115a)이 상기 도어프레임(112)가 상기 인너패널(113)의 접합부위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컨대, 탑승자가 상기 글래스런(115)의 하단을 신체의 일부(예를 들면, 손)로 접촉하거나, 상기 도어 조립시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하단립(115a)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런(115)의 상단은 상기 도어프레임(112)과 상기 인너패널(113)의 접합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도어프레임(112)과 상기 인너패널(113)의 접합부위가 위치하는데 비하여, 상기 글래스런(115)의 하단은 단지 상기 도어프레임(112)과 상기 인너패널(113)의 접합부위로 탄성력에 의해 면접촉하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글래스런(115)의 하단립(115a)이 작은 충격에도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차량용 도어의 글래스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11-003207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글래스런의 하단립이 도어프레임, 인너패널 등과 같이 도어를 구성하는 구조체와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너패널이 접합되는 차량의 도어에서, 상기 도어에 윈도우 글래스가 설치되도록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둘레를 지지하는 글래스런의 하단립이 상기 도어프레임 또는 상기 인너패널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어 상기 글래스런을 상기 도어에 체결시키는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 상기 인너패널 또는 상기 하단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글래스런의 하단립이 상기 도어프레임 또는 상기 인너패널로부터 상기 하단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인너패널의 하단이 도어프레임의 하단과 분리되면서 상기 차량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단립의 내측면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단립의 단부는 상기 차량의 상방을 향하도록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너패널의 하단은 상기 차량의 하방을 향하도록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단립의 단부는 상기 인너패널의 하단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패널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하단립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패널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단과 분리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단에 용접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패널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부위의 길이가 상기 도어 프레임에 용접되는 부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패널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부위의 단면과 상기 도어 프레임에 용접되는 부위의 단면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패널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부위의 길이(차량 길이방향)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용접되는 부위의 길이(차량 길이방향)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 또는 상기 인너패널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하단립에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차량의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에 인접한 부위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입구가 좁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면 상기 고정돌기를 물어 잡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하단에 인접한 부위를 구부려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패널은 그 하단이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부위에 인접한 부위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상기 인너패널이 상기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인접한 부위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인너패널이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단부 또는 상기 인너패널의 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걸림후크와, 상기 하단립의 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에 걸리는 걸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인너패널의 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상기 걸림후크가 형성된 부위에 인접한 부위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상기 걸림후크가 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상기 인너패널이 상기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인접한 부위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인너패널이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에서 윈도우 글래스가 설치되는 글래스런의 하단에 탑승자 또는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것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글래스런이 도어프레임이나 인너패널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런의 하단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탑승자로부터 발생되는 클레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을 도시한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에 따라 도시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가 적용되는 부위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는, 도어프레임(12), 인너패널(13) 또는 상기 하단립(15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글래스런(15)의 하단립(15a)이 상기 도어프레임(12) 또는 상기 인너패널(13)로부터 상기 하단립(15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글래스런(15)의 하단립(15a)이 상기 도어프레임(12) 또는 상기 인너패널(13)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후술되는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12)의 단부, 상기 인너패널(13)의 단부, 상기 하단립(15a)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상을 변형하여, 상기 하단립(15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차량(1)의 도어(10)의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도어프레임(11)과 인너패널(12)이 접합되어 구조체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10)의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차량(1)의 실내로 이물질, 소음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웨더스트립(14)이 상기 도어(1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고, 윈도우 글래스(1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글래스런(15)이 상기 도어프레임(12)에 장착된다. 상기 웨더스트립(14)은 상기 인너패널(13)의 내측에 클립(16)으로 고정되어 상기 도어(10)의 폐쇄시 루프패널(20)에 밀착된다
도 4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는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과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과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가 면접촉하도록 하여 접촉되는 면적을 늘여, 상기 글래스런(15)의 하단립(15a)이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인 형상으로,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이 도어프레임(12)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차량의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이 상기 하단립(15a)과 면접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12)과 분리되도록 하여, 차량의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단립(15a)도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가 상기 차량의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과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서로 면접촉하는 상태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이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에 걸리는 형태가 되어 서로 밀착되므로, 상기 하단립(15a)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가 상기 도어에서 전체길이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과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 Ⅱ-Ⅱ선에 따른 단면에서는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과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를 서로 수직하게 형성하여, 서로 면접촉되도록 하고, Ⅲ-Ⅲ선에 따른 단면에서는 종래가 같은 단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도 5에서 A영역은 상기 도어프레임(12)과 상기 인너패널(13)이 서로 용접되지 않고, B영역은 상기 도어프레임(12)과 상기 인너패널(13)이 용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인너패널(13)에서 상기 도어프레임(12)의 하단과 분리되지 않는 부분(도 5에서 B영역)에서는 상기 인너패널(13)과 상기 도어프레임(12)이 서로 용접되어 일체가 된다.
상기 인너패널(13)에서 상기 도어프레임(12)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하단립(15a)에 면접촉되는 부위(도 5의 A영역에 해당)는 상기 도어프레임(12)의 하단에 용접되는 부위(도 5의 B영역에 해당)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보면, 상기 인너패널(13)에서 상기 하단립(15a)과 접촉을 위하여 휘어진 부분이 상기 도어프레임(12)에 용접되는 부위보다 길이가 짧음을 알 수 잇다.
한편,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은 그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6과 도 7을 보면, 상기 인너패널(13)에서 상기 하단립(15a)과 접촉을 위하여 휘어진 부분이 상기 도어프레임(12)에 용접되는 부위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프레임(12) 또는 상기 인너패널(1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단립(15a)과 끼워지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단립(15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12) 또는 상기 인너패널(13)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돌기(12a)와, 상기 하단립(15a)에 상기 고정돌기(12a)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홈(15b)이 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는 상기 도어프레임(12)에 상기 도어프레임(12)으로부터 돌출되게 고정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립(15a)에 상기 고정돌기(12a)를 수용하는 고정홈(15b)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돌기(12a)가 상기 하단립(15a)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단립(15a)이 상기 도어프레임(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2)에서 상기 고정돌기(12a)는 상기 도어프레임(12)의 단부에서 인접한 부위를 구부리는 소성가공을 통하여 상기 고정돌기(12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하단립(15a)에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을 상기 도어프레임(12)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너패널(13)은 상기 인너패널(13)의 단부를 커팅하여, 상기 인너패널(13)의 단부가 상기 도어프레임(12)에서 상기 고정돌기(12a)가 형성된 부위와 인접한 부위에 접하도록 한다.
도 8과 도 9에는 상기 고정돌기(12a)가 상기 도어프레임(12)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도어프레임(12) 대신에 상기 인너패널(13)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서도, 상기 고정돌기(12a)-고정홈(15b)의 구조가 전체길이에 대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한다.
즉,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상기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구성이 적용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도어프레임(12)과 상기 인너패널(13)이 서로 용접되도록 종래와 같은 구성을 갖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프레임(12)의 하단 또는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을 구부려 걸림후크(12b)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는 상기 걸림후크(12b)에 물리는 걸림부(15c)를 형성하여, 서로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단립(15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서는 상기 이탈방지수단으로 상기 도어프레임(12) 하단 또는 상기 인너패널(13)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후크(12b)와,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에 상기 걸림후크(12b)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15c)가 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는 상기 도어프레임(12)의 하단에 걸림후크(12b)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2)의 하단을 상기 차량의 내측으로 구부려지도록 가공하여 걸림후크(12b)를 형성한다. 상기 하단립(15a)의 단부는 상기 걸림후크(12b)에 걸리도록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구부려진 형태로 걸림부(15c)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후크(12b)와 상기 걸림부(15c)가 서로 걸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하단립(15a)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립(15a)에는 상기 걸림후크(12b)에서 상기 걸림부(15c)와 반대면에서 상기 걸림후크(12b)를 지지하는 보조립(15d)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5c)와 상기 보조립(15d)에 각각 상기 걸림후크(12b)의 양쪽면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너패널(13)은 상기 걸림후크(12b)가 형성되는 부위에서 커팅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2)에 접하도록 한다.
도 10과 도 11에는 상기 고정돌기(12a)가 상기 도어프레임(12)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도어프레임(12) 대신에 상기 인너패널(13)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서도,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걸림후크(12b)-걸림부(15c)의 구조가 전체길이에 대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한다.
즉,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상기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구성이 적용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도어프레임(12)과 상기 인너패널(13)이 서로 용접되도록 종래와 같은 구성을 갖도록 한다.
1 : 차량
10 : 도어
11 : 윈도우 글래스
12 : 도어프레임
12a : 고정돌기
12b : 걸림후크
13 : 인너패널
14 : 웨더스트립
15 : 글래스런
15a : 하단립
15b : 고정홈
15c : 걸림부
16 : 클립
20 : 루프패널
111 : 윈도우 글래스
112 : 도어프레임
113 : 인너패널
113a: 웨더스트립 홀
114 : 웨더스트립
115 : 글래스런
115a : 하단립
116 : 클립
117 : 프레임 가니쉬
120 : 루프패널

Claims (19)

  1.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너패널이 접합되는 차량의 도어에서, 상기 도어에 윈도우 글래스가 설치되도록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둘레를 지지하는 글래스런의 하단립이 상기 도어프레임 또는 상기 인너패널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어 상기 글래스런을 상기 도어에 체결시키는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 상기 인너패널 또는 상기 하단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글래스런의 하단립이 상기 도어프레임 또는 상기 인너패널로부터 상기 하단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단부 또는 상기 인너패널의 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걸림후크와,
    상기 하단립의 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에 걸리는 걸림부이며,
    상기 하단립에는 상기 걸림후크에서 상기 걸림부와 반대면에서 상기 걸림후크를 지지하는 보조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인너패널의 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상기 걸림후크가 형성된 부위에 인접한 부위에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상기 걸림후크가 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상기 인너패널이 상기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인접한 부위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인너패널이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KR1020170170759A 2017-12-12 2017-12-12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KR102463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759A KR102463456B1 (ko) 2017-12-12 2017-12-12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759A KR102463456B1 (ko) 2017-12-12 2017-12-12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183A KR20190070183A (ko) 2019-06-20
KR102463456B1 true KR102463456B1 (ko) 2022-11-04

Family

ID=6710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759A KR102463456B1 (ko) 2017-12-12 2017-12-12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4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8457B2 (ja) * 2007-07-30 2010-09-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ラン
JP2014159193A (ja) 2013-02-19 2014-09-04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ドアサッシュ構造
JP2016203893A (ja) * 2015-04-27 2016-12-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878U (ko) * 1996-12-09 1998-09-05 김영귀 차량용 웨더 스트립 장착 구조
KR101091670B1 (ko) 2009-09-22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글래스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8457B2 (ja) * 2007-07-30 2010-09-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ラン
JP2014159193A (ja) 2013-02-19 2014-09-04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ドアサッシュ構造
JP2016203893A (ja) * 2015-04-27 2016-12-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183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5159B (zh) 车辆用密封条
EP3162605B1 (en) Water discharge structure for sunroof device
JP6336740B2 (ja) サッシュ部材
US9688218B2 (en) Frame molding for vehicle door
JP4612711B2 (ja) 車両のドアサッシュ部構造
US20160144698A1 (en) Vehicle-use seal structure
JP6528526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US8485593B2 (en) Drain plug
KR102463456B1 (ko) 차량 도어의 글래스런 이탈 방지 구조
JP6536154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US20160214469A1 (en) Vehicle door
JP7036673B2 (ja)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KR102274499B1 (ko) 차량용 도어 아웃벨트 어셈블리
KR102383490B1 (ko) 파지방식으로 체결되는 도어의 프레임 가니쉬 어셈블리
JP6487345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2018167621A (ja) 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EP2617593B1 (en) Cover member for automobiles
JP2019209941A (ja) 固定式ガラスのウエザストリップ構造
JP6447099B2 (ja) 車両用ドア
KR102394833B1 (ko) 끼움방식이 적용된 도어의 프레임 가니쉬 체결구조
JP5476936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CN113573926B (zh) 罩构件和罩构件安装结构
KR102383485B1 (ko) 캡을 이용한 도어의 프레임 가니쉬 체결구조
JP2008018782A (ja) ディビィジョンバー構造
JP2017024437A (ja) 固定窓用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