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066Y1 - 자동차의선바이저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선바이저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066Y1
KR200211066Y1 KR2019970035068U KR19970035068U KR200211066Y1 KR 200211066 Y1 KR200211066 Y1 KR 200211066Y1 KR 2019970035068 U KR2019970035068 U KR 2019970035068U KR 19970035068 U KR19970035068 U KR 19970035068U KR 200211066 Y1 KR200211066 Y1 KR 200211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un visor
vehicle
protruding jaw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570U (ko
Inventor
임성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5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066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0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78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선바이저 지지구조를 개시한다. 자동차 내부의 운전석과 인접된 루프패널 상면에 고정된 리테이너의 지지축에 결합된 선바이저 본체의 타측면을 가압지지함에 있어서, 일측면이 루프패널(20)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하면에는 양측면에 힌지축(111)이 형성된 돌출턱(110)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상부훅크(100)와, 일측면에 상부훅크(100)의 돌출턱(110)에 끼워 삽입되도록 상호간의 사이에 삽입홈(211)을 형성하며 각각의 내벽면에는 힌지축(111)이 끼워 삽입되도록 관통구멍(212)이 형성된 가이드턱 쌍(210)이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며, 타측 상면에는 선바이저 본체(11)를 관통하는 지지축(13)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안착홈(220)이 형성된 하부훅크(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서로 힌지운동하는 상,하부 훅크를 통해 선바이저 본체를 지지하도록 된 것이어서, 본체의 위치고정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게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주행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안전운전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선바이저 지지구조{sun visor supporting structure of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면 방향에 설치되는 선바이저(sun visor)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또는 탑승하여 주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차가 시야 확보를 위하여 투명한 윈드 쉴드 글래스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태양에 의한 눈부심등이 초래되어 안전한 운전을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태양으로 부터의 직사광선(直射光線)을 차단하기 위하여 선바이저(sun visor;1)를 채용하고 있다.
즉, 이 선바이저(10)는 실질적으로 태양으로 부터의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선바이저 본체(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본체(11)는 루프 패널(roof panel;20)상에 고정 설치된 리테이너(retainer;12)와 이 리테이너(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13)에 그 상면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의 타단은 루프패널(20)의 일측 하면에 마련된 훅크(hook;1)에 결합되어 위치고정된다.
이때 본체(11)의 타단을 고정하고 있는 훅크(1)의 구조를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은 고정스크류(S)를 통해 루프패널(20)에 고정되며, 타측면에는 본체(11)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13)이 억지 끼워 삽입되도록 삽입홈(1a)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1)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13)을 훅크(1)의 삽입홈(1a)상에 억지끼워 삽입함으로써 본체(11)가 루프패널(20)상에 위치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선바이저 지지구조에 있어서는, 본체(11)를 통해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지지축(13)을 반복적으로 훅크(1)의 삽입홈(1a) 내,외측으로 장,탈착하는 과정에서 상호간의 사이에 마모(磨耗)가 발생되고, 이에 의해 상호간의 지지력이 저하됨으로써 본체(11)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와같이 본체(11)의 이탈이 주행과정에서 발생될 경우,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게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바이저 본체를 항상 일정한 지지력을 통해 루프패널에 지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본체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선바이저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선바이저 지지구조는, 자동차 내부의 운전석과 인접된 루프패널 상면에 고정된 리테이너의 지지축에 결합된 선바이저 본체의 타측면을 가압지지함에 있어서, 일측면이 루프패널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하면에는 좌,우 양측면에 힌지축이 형성된 돌출턱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상부훅크와; 일측면에 상기 상부훅크의 돌출턱에 끼워 삽입되도록 상호간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며 각각의 내벽면에는 상기 힌지축이 끼워지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 가이드턱 쌍이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며, 타측 상면에는 선바이저 본체를 관통하는 지지축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훅크;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상,하부 훅크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훅크의 돌출턱은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그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턱쌍 사이의 삽입홈은 그 좌,우폭은 상기 돌출턱과 대응되는 폭을 이루고 상,하부 폭은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할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선바이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 지지구조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4는 상,하부 훅크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선바이저 11 : 본체
12 : 리테이너 13 : 지지축
20 : 루프패널 100,200 : 상,하부 훅크
110 : 돌출턱 111 : 힌지축
210 : 가이드턱 쌍 211 : 삽입홈
212 : 관통구멍 220 : 안착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선바이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 지지구조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4는 상,하부 훅크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선바이저(10)는 실질적으로 태양으로부터의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선바이저 본체(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본체(11)는 루프패널(roof panel;20)상에 고정 설치된 리테이너(retainer;12)와 이 리테이너(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13)에 그 상면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의 타단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패널(20)의 일측 하면에 마련된 상,하부 훅크(hook;100,200)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와같이 본체(11)의 타단을 위치 고정하기 위한 상,하부 훅크(100,20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훅크(100)의 구조를 보면,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하면에는 돌출턱(110)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이 돌출턱(110)의 좌,우 양측면에는 힌지축(111)이 연장 형성된다.
하부훅크(200)는, 상부훅크(10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 상면에는 내면에 상기 돌출턱(110)에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11)을 형성하는 가이드턱(210)이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며, 또한 이 가이드턱(210) 각각의 내벽면에는 돌출턱(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축(111)이 축 지지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하부훅크(200)의 타측 상면에는 본체(11)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13)이 안착될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의 안착홈(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훅크(200)의 안착홈(220)에 안착된 지지축(13)이 상부훅크(100)와 하부훅크(200)간의 결합력을 통해 안착홈(220) 내측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상,하부 훅크(100,200)간의 결합강도를 향상시켜 지지축(13)을 더욱 견고히 위치 고정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훅크(100)의 돌출턱(110) 단면적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그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가이드턱 쌍(210) 사이의 삽입홈(211)은, 그 좌,우폭이 돌출턱(110)과 대응되는 폭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하부 폭이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같은 단면적으로 갖는 상부훅크(100)의 돌출턱(110)과 하부훅크(200)의 가이드턱 쌍(210)간의 삽입홈(211)간의 결합을 통해 하부훅크(200)가 상부훅크(100)의 힌지결합 부분이 매우 큰 결합강도로 힌지결합되어진 것이기 때문에 본체(11)의 지지축(13)이 견고히 위치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체(11)를 안정되게 루프패널(20)상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하부 훅크(100,200)간의 힌지결합 부위가 넓은 접촉면적을 유지하고 있게 되어 장시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도 마모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어 상품성의 지속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선바이저 지지구조에 의하면, 서로 힌지 운동하는 상,하부 훅크를 통해 선바이저 본체를 지지하도록 된 것이어서, 본체의 위치 고정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게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한 이점이 있으며, 특히 주행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안전운전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 내부의 운전석과 인접된 루프패널 상면에 고정된 리테이너의 지지축에 결합된 선바이저 본체의 타측면을 가압지지함에 있어서,
    일측면이 루프패널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하면에는 양측면에 힌지축이 형성된 돌출턱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상부훅크와;
    일측면에 상기 상부훅크의 돌출턱에 끼워 삽입되도록 상호간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며 각각의 내벽면에는 상기 힌지축이 끼워 삽입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 가이드턱 쌍이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며, 타측 상면에는 선바이저 본체를 관통하는 지지축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 훅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바이저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훅크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훅크의 돌출턱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그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턱 쌍 사이의 삽입홈은 그 좌,우폭은 상기 돌출턱과 대응되는 폭을 이루고 상,하부 폭은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할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바이저 지지구조.
KR2019970035068U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선바이저지지구조 KR200211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068U KR200211066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선바이저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068U KR200211066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선바이저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570U KR19990021570U (ko) 1999-06-25
KR200211066Y1 true KR200211066Y1 (ko) 2001-03-02

Family

ID=5531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068U KR200211066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선바이저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0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570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1066Y1 (ko) 자동차의선바이저지지구조
KR0138545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9980038238A (ko) 선 바이저용 리테이너
KR0135525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리테이너
KR940006749Y1 (ko) 출몰식 백밀러
KR200363741Y1 (ko) 차량용 햇빛 가리개
KR200188451Y1 (ko) 차량의 퍼스트 헤더와 사이드 패널 보강구조
KR200224281Y1 (ko) 자동차의 웨더 스트립 장착구조
KR100245638B1 (ko) 거울을 이용한 뒷좌석 유아상태 판단장치
KR970006831Y1 (ko) 햇빛 차단장치
KR20020087563A (ko) 자동차용 썬바이저의 고정클립
KR19990009707A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KR19990002492U (ko) 차량용 선바이저(Sunvisor)
JPH0242508Y2 (ko)
KR0140671Y1 (ko)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
KR950004673Y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결착용 리테이너
KR100432003B1 (ko) 차량의 리어 사이드 시트 벨트 마운트
KR19990011326U (ko) 자동차용 카울 톱커버의 좌,우측결합부 구조
KR980007216U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970038193A (ko) 자동차의 이동식 룸 미러(room mirror)
KR19980051097U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거울
KR20040033487A (ko) 차량의 시야확보 프런트필러
KR19990021564U (ko) 자동차의 시계 확보 구조
KR19980055329U (ko) 자동차의 전방시야 확보 백미러
KR19980045173U (ko) 자동차의 세이프티 록킹로드용 그로밋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