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671Y1 -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 - Google Patents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671Y1
KR0140671Y1 KR2019960037533U KR19960037533U KR0140671Y1 KR 0140671 Y1 KR0140671 Y1 KR 0140671Y1 KR 2019960037533 U KR2019960037533 U KR 2019960037533U KR 19960037533 U KR19960037533 U KR 19960037533U KR 0140671 Y1 KR0140671 Y1 KR 0140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auxiliary
visor
deployed
s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144U (ko
Inventor
옥재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7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6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6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08Sun visors combined with auxiliary vi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 바아져의 내측에 보조 선바이져가 삽입되어 필요시 선 바이져에서 보조 선 바이져를 전개시키므로써 햇빛을 적절하게 차단하는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선 바이져는 햇빛을 차단하는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여성이나 않은 키가 작은 운전자의 경우 선 바이져를 최대한 하측으로 전개시켜도 운전자의 눈높이와 선 바이져의 햇빛 차단범위 사이에 거리가 발생하여 직사광선이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므로써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던바 본 고안은 선 바이져 본체의 내측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이에 삽입되는 보조 선 바이져를 형성하고 운전자의 키에 적합하게 보조 선 바이져 본체를 선 바이져에서 전개하여 햇빛 차단 범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직사광선을 적절하게 차단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는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이다.

Description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
본 고안은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 바이져의 내측에 보조 선 바이져가 삽입되어 필요시 선 바이져에서 보조 선 바이져를 전개시키므로써 햇빛를 적절하게 차단하는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 바이져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천장패널에 각각 형성되어 필요시 하측으로 전개되어 햇빛을 차단하므로써 직사광선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는 기구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선 바이져는 햇빛을 차단하는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여성이나 앉은 키가 작은 운전자의 경우 선 바이져를 최대한 하측으로 전개시켜도 운전자의 눈높이와 선 바이져의 햇빛 차단범위 사이에 거리가 발생하여 직사광선이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므로써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 바이져의 내측에 보조 선 바이져를 형성하고 운전자의 키에 적합하게 햇빛 차단 범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측에 보조 선 바이져(3)가 삽입되는 수납부(5)를 형성하고 전면 내측 양단 하부에는 걸림턱(11)을 형성한 선 바이져 본체(1)와, 상기 수납부(5)에 수납되는 보조 선 바이져(3)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선 바이져에 있어서, 상기 선 바이져 본체(1)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보조 선 바이져(3)의 일측단에는 지지턱(17)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선 바이져(3)의 전방 양측단에는 임의 간격으로 요홈(19)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 선 바이져(3)의 타측단에는 손잡이(13)을 형성하며, 상기 선 바이져본체(1)의 후면 내부 양측단에는 수직으로 철심(9)을 삽입하고 이와 대향되도록 보조선 바이져(3)의 양측단 후면 내부에는 자석(15)을 삽입하여 구성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선 바이져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 바이져 본체 3 : 보조 선 바이져
5 : 수납부 9 : 철심
11 : 걸림턱 13 : 손잡이
15 : 자석 17 : 지지턱
19 : 요홈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선 바이져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와 제1도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로써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천장패널에 각각 힌지봉(7)으로 연결되는 선 바이져 본체(1)가 형성된다. 이러한 선 바이져 본체(1)의 내측에는 보조 선 바이져(3)가 삽입되는 수납부(5)가 형성되고 전면끝단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턱(11)이 양측단에 형성되는 한편 후면 양측단 내부에는 철심(9)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선 바이져 본체(1)의 수납부⑸에 삽입되는 보조 선 바이져(3)의 전면 양측단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요홈(19)이 혀성되고 상기 수납부(5)에 삽입되는 일측단에는 지지턱(17)이 형성되어 선 바이져 본체(1)의 걸림턱(11)과 맞물리고 타측단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선 바이져(3)의 후면내측에는 상기 철심(9)과 대향되는 위치에 자석⒂이 형성되어 자력에 의하여 상호 접근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아.
도면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운전석으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천장패널에 힌지봉(7)으로 결합된 선 바이져 본체(1)를 유리창쪽으로 전개시킨 후 상기 선 바이져 본체⑴의 내측에 설치된 보조 선 바이져(3)의 손잡이(13)를 밑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보조 선 바이져(3)는 양측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요홈(19)에 선 바이져 본체바이져 본체(3)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⑾이 순차작으로 맞물리면서 외력에 의하여 선 바이져 본체(1)의 수납부⑸에서 바깥쪽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적정한 위치에 보조 선 바이져(3)가 전개되었을 때 외력을 제거하면 그 위치에 형성된 요홈(19)에 걸림턱(11)이 결합되고 보조 선 바이져(3)의 후측 내부에 삽입된 자석(15)이 이와 대향되어 선 바이져 본체(1)의 후면 내부 양측에 설치된 철심⑼에 부착되어 보조 선 바이져(3)가 일시고정된다. 한편보조 선 바이져(3)가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보조 선 바이져(3)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턱(17)이 선 바이져 본체⑴의 걸림턱⑾과 맞물려 보조 선 바이져(3)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턱(17)이 선 바이져 본체⑴의 걸림턱⑾과 맞물려 보조 선 바이져(3)수납부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는 반대로 선 바이져 본체(1)를 원위치시키려면 보조 선 바이져(3)의 손잡이(13)를 잡고 선 바이져 본체(1)의 수납부(5)방향으로 밀어 보조 선 바이져(3)를 선 바이져 본체(1)의 수납부(5) 내측에 완전히 삽입한다. 이렇게 내측에 삽입된 보조 선 바이져(3)는 후면에 형성된 자석(15)에 의하여 선 바이져 본체(1)의 철심(9)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보조 선 바이져(3)가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선 바이져 본체(1)를 천장패널쪽으로 힌지회동시키므로써 원위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선 바이져의 내측에 보조 선 바이져를 형성하고 운전자의 키에 적합하게 햇빛 차단 범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선 바이져를 구성하므로써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측에 보조 선 바이져⑶가 삽입되는 수납부⑸를 형성하고 전면 내측 양단하부에는 걸림턱⑾을 형성한 선 바이져 본체⑴와, 상기 수납부⑸에 수납되는 보조 선 바이져⑶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져에 있어서, 상기 선 바이져 본체⑴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보조 선 바이져⑶의 일측단에는 지지턱(17)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선 바이져⑶의 전방 양측단에는 임의 간격으로 요홈(19)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 선 바이져⑶의 타측단에는 손잡이(13)를 형성하며, 상기 선 바이져 본체⑴의 후면 내부 양측단에는 수직으로 철심⑼을 삽입하고 이와 대향되도록 보조선바이져⑶의 양측단 후면 내부에는 자석⒂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바이져.
KR2019960037533U 1996-10-31 1996-10-31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 KR0140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533U KR0140671Y1 (ko) 1996-10-31 1996-10-31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533U KR0140671Y1 (ko) 1996-10-31 1996-10-31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44U KR19980024144U (ko) 1998-07-25
KR0140671Y1 true KR0140671Y1 (ko) 1999-04-01

Family

ID=1947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533U KR0140671Y1 (ko) 1996-10-31 1996-10-31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6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44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671Y1 (ko) 이단으로 전개되는 선 바이져
CN104802673A (zh) 儿童安全座椅固定装置及其饰盖
KR100503335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0128153B1 (ko) 면적 가변형 선바이저
KR0138545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0137877Y1 (ko) 자동차의 이동식 선바이져
KR0132360Y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구조
KR19980020250U (ko) 자동차용 보조 선바이져
KR980007216U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200280287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KR970006831Y1 (ko) 햇빛 차단장치
KR0122268Y1 (ko) 자동차의 보조거울
KR100216921B1 (ko) 자동차 조수석 선 바이저의 이동식 거울장치
JP2005081990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200140879Y1 (ko) 차량의 보조 룸미러
CA1301214C (en) Sun visor extension
KR200146821Y1 (ko) 위치 이동이 자유로운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9990009707A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KR20040098377A (ko) 자동차의 확장형 선바이저
CN110696595A (zh) 一种便于调节的epp遮阳板
KR100568711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져 구조
KR19980051097U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거울
KR200211066Y1 (ko) 자동차의선바이저지지구조
JP3168808U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KR19980036413U (ko) 차량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