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751A -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5751A KR20190055751A KR1020180138274A KR20180138274A KR20190055751A KR 20190055751 A KR20190055751 A KR 20190055751A KR 1020180138274 A KR1020180138274 A KR 1020180138274A KR 20180138274 A KR20180138274 A KR 20180138274A KR 20190055751 A KR20190055751 A KR 201900557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suction port
- section
- housing
- dust collec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1100008044 Caenorhabditis elegans cu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89 Thinsu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7 Thinsu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5—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vertical type, e.g. tank or bucket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57—Suction cleaners adapted for cleaning of 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Details of suction cleaner tools for additional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 B08B1/00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집진 장치(100)는, 청소 도구의 진애를 흡인하는 흡인구(111)를 형성하는 흡인구 형성부(110)와, 흡인구(111)에 흡인력을 작용시켜, 흡인된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 기구(120)를 구비한다. 흡인구 형성부(110)는, 마루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 연부(112)와, 측방 연장 연부(112)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굴곡되고, 마루면과 측방 연장 연부(112) 사이에 형성된 개구 영역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절결 영역을 형성하는 한쌍의 절결 연부(113)를 포함한다. 흡인구(111)는 측방 연장 연부(112)와 한쌍의 절결 연부(113)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111)로부터, 넓은 범위에서 진애를 청소 도구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집진 장치(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애(塵埃)를 모으기 위한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진 장치는 청소 작업의 효율화에 크게 공헌한다. 집진 장치는 일반적인 청소기와는 상이한 형태로 사용된다. 즉, 집진 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제진 처리를 받는 청소 도구(예를 들면, 자루 걸레)를 집진 장치의 주위에서 이동시키는 형태로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자루 걸레에 부착된 진애가 집진 장치에 흡인되어 제거된다.
종래에,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흡인구뿐만 아니라, 하우징으로부터 연설(延設)된 호스로부터도 청소 도구의 제진을 가능하게 하는 집진 장치가,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제 2015-39378 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이라고 기재함)에 개시된다. 특허문헌 1의 집진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는 우선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호스의 선단을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의 하부의 흡인구로부터의 흡인에서는 제진하기 어려운 부위(예를 들면, 자루 걸레의 상면)에 부착된 진애를, 호스를 거쳐서 흡인하여 제진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집진 장치는, 작업자가 호스를 이용할 때, 호스의 선단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하우징으로부터 호스의 선단을 분리하는 작업은 제진 작업과는 직접적으로는 관계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하우징으로부터 호스의 선단을 분리하는 작업의 기간은 가능한 한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하우징의 하부의 흡인구로부터 흡인하여, 청소 도구로부터 넓은 범위에 걸쳐서 진애를 제거할 수 있다면, 작업자는 하우징으로부터 호스의 선단을 분리할 필요가 없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집진 장치의 흡인구는 청소 도구로부터 넓은 범위에 걸쳐서 진애를 제거할 수 있게는 설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흡인구를 통해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진애를 청소 도구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가 흡인되는 흡인구를 형성하는 흡인구 형성부와, 흡인구에 진애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력을 작용시켜, 흡인된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 기구를 구비한다. 흡인구 형성부는, 마루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 연부와, 측방 연장 연부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굴곡되고, 마루면과 측방 연장 연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 영역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절결 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한쌍의 절결 연부를 포함한다. 흡인구는 측방 연장 연부와 한쌍의 절결 연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한쌍의 절결 연부는 마루면과 측방 연장 연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 영역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절결 영역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개구 영역을 통해서 청소 도구를 흡인구에 찔러넣을 수 있다. 그 결과, 집진 장치는, 집진 기구로부터의 흡인력을 청소 도구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작용시켜,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를 집진 기구에 집진할 수 있다. 게다가, 절결 영역에 의해, 작업자는 흡인구에 찔러넣어진 청소 도구를 측방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집진 기구의 흡인력을 청소 도구의 더욱 넓은 범위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측방 연장 연부의 소정의 높이가 마루면으로부터 20㎜ 이상, 100㎜ 이하의 범위의 값이면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측방 연장 연부의 소정의 높이의 하한은 마루면으로부터 20㎜ 이상의 값이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는 작업자가 다양한 청소 도구를 찔러넣기에 충분한 넓이를 높이 방향에서 갖는다. 한편, 측방 연장 연부의 소정의 높이의 상한은 마루면으로부터 100㎜ 이하의 범위의 값이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는 과도하게 넓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청소 도구로부터의 제진에 기여하지 않는 흡인구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낮은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집진 장치는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를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진애를 청소 도구로부터 긁어내도록 형성된 탄성 스크레이핑부(scraping portion)를 더 구비해도 좋다. 그리고, 탄성 스크레이핑부를, 측방 연장 연부 및 한쌍의 절결 연부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배치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 스크레이핑부가 측방 연장 연부 및 한쌍의 절결 연부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배치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청소 도구를 흡인구에 찔러넣을 때, 및 작업자가 흡인구에 찔러넣어진 청소 도구를 측방으로 이동시킬 때, 탄성 스크레이핑부에서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를 긁어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청소 도구에 대한 진애의 부착력이 약해진다. 그 결과, 집진 기구로부터의 흡인력에 의해서, 청소 도구로부터 진애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집진 기구에서 모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집진 기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해도 좋다. 집진 기구는, 흡인구를 통해서 흡인된 진애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흡인구로부터 저류부까지 진애를 안내하는 안내관부를 포함해도 좋다. 하우징은, 측방 연장 연부가 장착되는 하연부를 갖는 정면벽과, 한쌍의 절결 연부가 장착되는 장착 연부를 각각 갖는 한쌍의 측벽을 가져도 좋다. 그리고, 흡인구 형성부는 안내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집진 기구가 하우징에 수용되므로, 집진 기구는 작업자가 작업하는 외부 공간으로부터 이격된다. 이것에 의해, 집진 기구는 하우징에 의해서 보호되는 동시에, 작업자는 안전하게 제진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흡인구 형성부는 안내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 흡인구 형성부와 안내관부 사이에 조립 오차가 생기지 않는다. 그 때문에, 안내관부에 의해서, 흡인구로부터 진애를 저류하는 저류부까지 진애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게다가, 측방 연장 연부는 하우징의 정면벽 하연부에 장착되고, 한쌍의 장착 연부는 하우징의 한쌍의 측벽의 장착 연부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 형성부 및 안내관부가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흡인구에 찔러넣어진 청소 도구를 측방으로 이동해도, 흡인구 형성부 및 안내관부는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하지 않는다. 그 결과, 흡인구 형성부 및 이것에 이어지는 집진 기구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흡인구 내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마루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다리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는 다리부에 의해, 하우징은 전방으로 넘어지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흡인구에 끼워넣어진 청소 도구는 다리부와 측방 연장 연부 사이에 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하우징이 청소 도구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후방으로 넘어질 것 같게 되었을 때, 다리부가 청소 도구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집진 장치의 하우징의 후방으로의 전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다리부의 높이 방향의 두께를, 전방을 향함에 따라, 얇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리부의 두께가 전방을 향할수록 얇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다리부의 전단부에 청소 도구가 걸리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흡인구에 청소 도구를 용이하게 찔러넣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다리부가 호형(弧形)으로 만곡된 상면을 갖도록 형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리부는 호형으로 만곡된 상면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다리부에 방해받는 일 없이, 호형의 상면을 따라서, 흡인구에 찔러넣어진 청소 도구를 측방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하우징을 거쳐서 안내관부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어태치먼트관(attachment tube)과, 어태치먼트관이 관통 삽입되도록 하우징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와, 외측 개구부에 끼워넣어진 어태치먼트관이 연결되도록 안내관부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해도 좋다. 그리고, 덮개부를, 하우징 및 안내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측 개구부가 하우징에 형성되고, 내측 개구부가 안내관부에 형성된다. 즉, 작업자는 우선 어태치먼트관을 하우징의 외측 개구부에 관통 삽입시킨다. 그 후, 어태치먼트관을 안내관부의 내측 개구부에 찔러넣는다. 이것에 의해, 어태치먼트관을 안내관부에 용이하게 연결하여, 집진 기구의 흡인력을, 안내관부를 통해서 어태치먼트관에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어태치먼트관을 이용하여, 청소 도구로부터 진애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덮개부는 외측 개구부 및 내측 개구부를 폐쇄한다. 그 때문에, 어태치먼트관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큰 흡인력을 흡인구에 작용시킬 수 있다. 한편, 덮개부를 분리하면, 외측 개구부 및 내측 개구부가 함께 개방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어태치먼트관을 단시간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안내관부가, 흡인구로부터 마루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구간과, 제 1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구간과, 제 2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진애를 저류부로 안내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해도 좋다. 게다가, 덮개부는 제 2 구간과 제 3 구간 사이의 굴곡 부위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색부를 포함해도 좋다. 그리고, 폐색부는, 정면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연직 평면 상의 단면에 있어서, 폐색부와 굴곡 부위를 형성하는 안내관부 사이의 경계가 둔각이 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개구부는, 제 1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구간과, 제 2 구간으로부터 굴곡되는 동시에, 진애를 저류부에 안내하는 제 3 구간 사이의 굴곡 부위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어태치먼트관을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연장 돌출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허리를 깊게 구부리는 일 없이, 어태치먼트관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게다가,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의 폐색부는 단면이 폐색부와 굴곡 부위를 형성하는 안내관부 사이의 경계가 둔각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 때문에, 공기가 안내관부를 따라서 흐를 때, 폐색부와 안내관부 사이의 경계 부위에서 생기기 쉬운 와류 등의 발생이 억제되어, 경계 부위에 체류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흡인구로부터 흡인된 진애는 저류부에 원활하게 안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안내관부가, 흡인구로부터 마루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구간과, 제 1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구간과, 제 2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진애를 저류부에 안내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해도 좋다. 게다가, 덮개부는 제 2 구간과 제 3 구간 사이의 굴곡 부위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색부를 포함해도 좋다. 그리고, 폐색부는, 정면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연직 평면 상의 단면에 있어서, 제 2 구간으로부터 제 3 구간을 향해서 만곡된 호형 윤곽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의 폐색부는, 단면이 제 2 구간으로부터 제 3 구간을 향해서 만곡된 호형 윤곽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공기가 안내관부를 따라서 흐를 때, 폐색부와 안내관부 사이의 경계 부위에서 생기기 쉬운 와류 등의 발생이 억제되어, 경계 부위에 체류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흡인구로부터 흡인된 진애는 저류부에 원활하게 안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제 1 구간에, 후방을 향해서 좁아지도록 유로를 형성해도 좋다.
통상, 흡인구는 작업자가 청소 도구를 흡인구에 찔러넣을 수 있도록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구간의 유로는 흡인력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좁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구간에, 후방을 향해서 좁아지는 유로를 마련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간과 제 2 구간 사이의 유로의 경계에 있어서 형성되는 단차는 과도하게 커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흡인구로부터 흡인된 진애가 단차에 걸릴 위험성이 낮아진다. 그 결과, 진애를 저류부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는,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가 흡인되는 흡인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흡인구로부터 흡인된 진애를 하우징 내에서 집진하는 저류부 및 흡인구로부터 저류부까지 진애를 안내하는 안내관부를 갖는 집진 기구를 구비해도 좋다. 게다가, 안내관부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어태치먼트관과, 어태치먼트관이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 및 외측 개구부에 찔러넣어진 어태치먼트관이 연결되도록 안내관부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해도 좋다. 그리고, 덮개부는 하우징 및 안내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측 개구부가 하우징에 형성되고, 내측 개구부가 안내관부에 형성된다. 즉, 작업자는 우선 어태치먼트관을 하우징의 외측 개구부에 관통 삽입시킨다. 그 후, 어태치먼트관을 안내관부의 내측 개구부에 찔러넣는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어태치먼트관을 안내관부에 용이하게 연결하여, 집진 기구의 흡인력을 안내관부를 통해서 어태치먼트관에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어태치먼트관을 이용하여, 진애를 청소 도구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덮개부는 외측 개구부 및 내측 개구부를 폐쇄한다. 그 때문에, 어태치먼트관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큰 흡인력을 흡인구에 작용시킬 수 있다. 한편, 덮개부를 분리하면, 외측 개구부 및 내측 개구부가 함께 개방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어태치먼트관을 단시간에 장착할 수 있다.
요컨대, 상술한 집진 장치는 흡인구를 통해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진애를 청소 도구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안내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사일런서의 개략적인 전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하는 사일런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a는 실시형태 3의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4의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안내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사일런서의 개략적인 전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하는 사일런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a는 실시형태 3의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4의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이하에, 실시형태 1의 집진 장치(100)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집진 장치(100)는, 사용후의 청소 도구(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된 진애를 흡인하기 위해서, 호적하게 이용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집진 장치(100)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집진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류」 및 「하류」를, 집진 장치(100) 내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및 하류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구(111)측을 「전방」, 덮개부(140)측을 「후방」으로 하고, 하우징(130)의 하벽(137)측을 「하방」, 상벽(136)측을 「상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게다가, 상기 「전방」 및 「후방」과, 「상방」 및 「하방」 각각과 직교하는 방향을 「측방」 또는 「좌측」 및 「우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장치(100)는 흡인구 형성부(110)와, 집진 기구(120)와, 하우징(130) 등을 포함한다. 흡인구 형성부(110)는 하우징(130)의 하부에 형성되고,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가 흡인되는 흡인구(111)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구(111)는 종래의 집진 장치의 흡인구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청소 도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흡인구(111)에 용이하게 찔러넣을 수 있다. 집진 기구(120)는 하우징(130) 내에 배치된다. 집진 기구(120)는 진애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력을 흡인구(111)에 작용시킨다. 요컨대, 작업자가 청소 도구를 흡인구(111)에 찔러넣으면, 집진 기구(120)에서 생성된 흡인력이 청소 도구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가 청소 도구로부터 분리된다. 청소 도구로부터 분리된 진애는 집진 기구(120)에 의해서 모아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30)은, 정면벽(131)과, 좌전방벽(132)과, 우전방벽(133)과, 좌후방벽(134)과, 우후방벽(135)과, 상벽(136)과, 하벽(137) 등을 포함한다. 정면벽(131)은 마루면(FLR)(도 1 참조)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입설(立設)된다.
또한, 도 1은, 정면벽(131)의 중심을 포섭하고, 또한 정면벽(13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연직 평면 상에 있어서의 집진 장치(10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30)의 좌전방벽(132)은 정면벽(131)의 좌연부로부터 후방으로 굴곡되어 마련된다. 우전방벽(133)은 정면벽(131)의 우연부로부터 후방으로 굴곡되어 마련된다. 좌후방벽(134)은, 좌전방벽(132)의 후연부로부터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30° 내지 50°의 범위 정도)만큼 굴곡되고, 상술한 연직 평면 상에서 우후방벽(135)의 후연부에 합쳐지도록 마련된다. 우후방벽(135)은, 좌후방벽(134)과 마찬가지로, 우전방벽(133)의 후연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굴곡되고, 상술한 연직 평면 상에서 좌후방벽(134)의 후연에 합쳐지도록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정면벽(131), 좌전방벽(132), 우전방벽(133), 좌후방벽(134) 및 우후방벽(135)은 수평면 상에 있었어, 대략 오각형상(오각형상을 포함함)의 단면 윤곽을 형성한다.
하우징(130) 상벽(136)은, 정면벽(131), 좌전방벽(132), 우전방벽(133), 좌후방벽(134) 및 우후방벽(135)의 상연부에 의해서 형성된 대략 오각형상(오각형상을 포함함)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하벽(137)은, 정면벽(131), 좌전방벽(132), 우전방벽(133), 좌후방벽(134) 및 우후방벽(135)의 하연부에 의해서 형성된 대략 오각형상(오각형상을 포함함)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하벽(137)은 마루면(FLR) 상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30)이 전체적으로 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로 설명했지만, 하우징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원리는 하우징의 특정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기구(120)는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집진 기구(120)는 흡인 장치(121)와, 저류부(122)와, 안내관부(123) 등을 포함한다.
집진 기구(120)의 흡인 장치(121)는 청소 도구로부터 진애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력을 생성한다. 흡인 장치(121)에서 생성된 흡인력은 흡인구(111)에 찔러넣어진 청소 도구에 작용하여, 청소 도구로부터 진애를 분리한다. 청소 도구로부터 분리된 진애는 안내관부(123)에 의해서 흡인구(111)로부터 저류부(122)로 안내된다. 안내된 진애는 안내관부(123)의 하류단에 연결된 저류부(122)에 저류된다.
또한, 흡인 장치(121)는 일반적인 집진 장치에 이용되는 흡인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121)는 일반적인 모터와,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팬에 의해서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흡인 장치(121)는 모터로 회전된 팬에 의해, 하향의 기류를 발생시킨다. 하향의 기류는, 좌전방벽(132) 및 우전방벽(133)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 구멍(132a)(도 2 참조)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집진 기구(120)의 저류부(122)는 흡인 장치(121)의 상방에 배치된다. 저류부(122)는 집진 팩(124)과 인출 케이스(127) 등을 포함한다. 흡인 장치(121)가 생성한 하향의 기류는 인출 케이스(127)를 통해서 집진 팩(124)에 작용하여, 집진 팩(124) 내에서 부압 환경을 생성한다. 집진 팩(124)을 안내관부(123)의 하류단에 연결된다. 그 결과, 안내관부(123)에 의해서 안내된 진애는 집진 팩(124) 내의 부압 환경으로 인도되고, 집진 팩(124) 내에 도달하여, 집진된다. 또한, 집진 팩(124)은 일반적인 집진 장치에 이용되는 팩 부재 등이라도 좋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원리는 집진 팩(124)의 특정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출 케이스(127)는 하우징(130)의 정면벽(131)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상(직사각형상을 포함함)의 개구부에 끼워넣어진 전방벽(125)을 포함한다. 전방벽(125)은 손잡이부(126)를 구비한다. 손잡이부(126)는 작업자가 인출 케이스(127) 내에 배치된 집진 팩(124)을 취출할 때에 파지된다. 즉, 작업자는 손잡이부(126)를 파지하여, 인출 케이스(127)를 전방으로 인출한다. 이 때, 인출 케이스(127) 내의 집진 팩(124)은 인출 케이스(127)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30)으로부터 노출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진애가 모인 집진 팩(124)을 새로운 집진 팩(124)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케이스(127)는 전방으로 인출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출 케이스(127)의 일부를 축 지지하여, 개폐하는 방식으로 집진 팩(124)을 취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집진 기구(120)의 안내관부(123)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안내관부(123)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관부(123)는 하측관부(210)와, 입설관부(220)와, 상측관부(230) 등을 포함한다. 하측관부(210)는 흡인구(111)로부터 마루면(FLR)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구간을 형성한다. 입설관부(220)는 제 1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구간을 형성한다. 입설관부(220)는 하측관부(210)의 하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설된다. 상측관부(230)는 제 2 구간으로부터 전방으로 굴곡되고, 진애를 집진 팩(124)으로 안내하는 제 3 구간을 형성한다. 즉, 상측관부(230)는 입설관부(220)의 상단으로부터 상벽(136)을 따라서 전방으로 연설된다. 그리고, 상측관부(230)의 하류단은 하방으로 굴곡되고, 저류부(122)의 집진 팩(124)에 연결된다.
또한, 도 3은 하측관부(210)의 상류단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흡인구 형성부(110)를 도시하고 있다. 흡인구 형성부(110)는 측방 연장 연부(112)와, 한쌍의 절결 연부(113)를 포함한다. 측방 연장 연부(112)와 한쌍의 절결 연부(113)에 의해 , 흡인구(111)의 윤곽이 형성된다.
흡인구 형성부(110)의 측방 연장 연부(112)는 마루면(FLR)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의 떨어진 위치에서, 측방으로 연설된다. 측방 연장 연부(112)는, 하우징(130)의 정면벽(131)의 하연부(즉, 마루면(FLR)과 대향하는 연부면)에 장착되고, 하우징(130)의 좌전방벽(132)과 우전방벽(133) 사이에 연설된다. 그 결과, 청소 도구(도시하지 않음)의 찔러넣음을 허용하도록 전방으로 개구된 개구 영역이 마루면(FLR)과 측방 연장 연부(112) 사이에 형성된다.
흡인구 형성부(110)의 한쌍의 절결 연부(113) 각각은, 측방 연장 연부(112)의 단부(즉, 좌단 또는 우단)로부터 후방으로 굴곡되고, 또한 마루면(FLR)을 향해서 만곡되어 형성된다. 그 결과, 흡인구 형성부(110)는 개구 영역으로부터 후방으로 오목하게 마련되는 동시에, 측방으로 개구된 절결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30)의 좌전방벽(132) 및 우전방벽(133) 각각의 정면 연부의 하부는 한쌍의 절결 연부(113) 각각의 만곡되는 면에 대응하여 만곡되는, 좌측의 장착 연부(132b) 및 우측의 장착 연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형성된다. 한쌍의 절결 연부(113) 각각은 대응하는 좌전방벽(132)의 장착 연부(132b) 및 우전방벽(133)의 장착 연부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측벽은 좌전방벽(132) 및 우전방벽(133)에 의해서 예시된다.
요컨대, 흡인구 형성부(110)는 좌우단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절결 영역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하우징(130)보다 폭이 넓은 청소 도구를 전방으로 개구된 개구 영역에 찔러넣어, 후방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청소 도구를 넓은 범위에 걸쳐서 흡인구(111)에 찔러넣을 수 있다. 그 결과, 흡인 장치(121)가 생성한 흡인력을 청소 도구의 넓은 범위에 작용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절결 연부(113)에서 형성된 절결 영역은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흡인구(111)에 찔러넣은 청소 도구를 측방(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흡인 장치(121)가 생성한 흡인력을, 청소 도구의 넓은 범위에 더욱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마루면(FLR)으로부터 측방 연장 연부(112)까지의 거리를 기호 「H」로 나타내고 있다. 이 때, 거리 「H」의 값은 20㎜ 이상, 100㎜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리 「H」가 20㎜ 이상이면, 다양한 높이를 갖는 청소 도구를 흡인구(111)에 찔러넣을 수 있다. 한편, 거리 「H」가 20㎜미만인 경우, 청소 도구가 흡인구(111)에 걸리기 쉬워서, 집진 장치(100)가 전도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거리 「H」가 100㎜ 이하이면, 흡인구(111)의 대부분이 흡인구(111)에 찔러넣어진 청소 도구에 의해서 폐색된다. 그 때문에, 청소 도구에 강한 흡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한편, 거리 「H」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 흡인구(111)의 크기가 청소 도구의 찔러넣음 부분보다 과도하게 커진다. 그 때문에, 청소 도구로부터의 진애의 분리에 공헌하지 않는 다량의 공기가 흡인구(111)로부터 흡인된다. 또한, 본 발명자 등의 연구에 의하면, 거리 「H」는 상기 범위 내에서도, 특히 40㎜ 내지 60㎜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특징)
상술한 집진 장치(100)에는, 이하에서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예를 들어 덮개부, 어태치먼트관, 흡인구 형성부와 안내관부의 접속 부위, 사일런서(silencer), 탄성 스크레이핑부 등에 있어서, 더욱 다양한 특징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특징은 상술한 집진 장치(100)의 설계 원리를 어떠한 한정도 하는 것은 아니다.
(덮개부)
본 실시형태의 집진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흡인구(111)에 청소 도구를 찔러넣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에 의해, 넓은 범위에 걸쳐서, 청소 도구로부터 흡인구(111)를 통해서 진애를 흡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집진 장치(100)는 하우징(13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설되는, 추가적인 관 부재를 더 구비해도 좋다. 관 부재에 의해, 작업자는 흡인구(111)에는 찔러넣기 어려운 부위에 부착된 진애나, 집진 장치(100)의 주위로 비산한 진애를 용이하게 흡인할 수 있다.
그래서,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도 4를 이용하여 집진 장치(100)의 덮개부(14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4는 집진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장치(100)는 하우징(130)의 상벽(136)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138)를 폐쇄하는 덮개부(140)를 더 구비한다. 또한, 도 2는 덮개부(140)가 외측 개구부(138)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4는 덮개부(140)를 하우징(130)의 상벽(136)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40)는 대략 부채꼴 형상(부채꼴 형상을 포함함)의 판부(141)와, 판부(14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42) 등을 포함한다. 덮개부(140)가 하우징(130)의 외측 개구부(138)를 폐쇄하고 있을 때(도 2 참조), 돌출부(142)가 하우징(130) 내로 밀어넣어진다. 이 때, 판부(141)는 하우징(130) 상벽(136) 상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도 2 참조).
또한, 도 3은 입설관부(220)의 상단에 있어서, 상방으로 개구된 내측 개구부(221)를 도시한다. 내측 개구부(221)는, 상술한, 입설관부(220)에 형성되는 제 2 구간과, 상측관부(230)에 형성되는 제 3 구간 사이의 굴곡 부위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40)의 돌출부(142)가 내측 개구부(221)(도 3 참조)에 끼워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덮개부(140)는 하우징(130)의 외측 개구부(138) 및 내측 개구부(221)를 폐쇄한다. 또한, 덮개부(140)의 끼워 넣음에 의해 내측 개구부(221)를 폐쇄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우징(130)의 일부에, 덮개부(140)를 축 지지하여, 덮개부(14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40)의 판부(141) 및 돌출부(142)는 2개의 오목부와, 2개의 오목부와의 사이에 입설된 돌조(突條)(143)를 형성한다. 돌조(143)는 작업자가 2개의 오목부에 손가락을 찔러넣어서, 덮개부(140)를 잡을 때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돌조(143)를 잡고서 덮개부(140)를 들어올려, 하우징(130) 및 안내관부(123)로부터 덮개부(140)를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외측 개구부(138) 및 내측 개구부(221)가 개방된다.
(어태치먼트관)
다음에,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도 5a 및 도 5b를 이용하여 집진 장치(100)의 어태치먼트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집진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장치(100)는 상술한 관 부재로서, 어태치먼트관(150)을 더 구비한다. 어태치먼트관(150)은 안내관부(123)(도 1 참조)에 연결되고, 하우징(130)의 상벽(136)으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연장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5b 참조). 작업자는, 어태치먼트관(150)에 의해, 흡인구(111)에서는 찔러넣기 어려운 부위에 부착된 진애나, 집진 장치(100)의 주위로 비산한 진애를 용이하게 흡인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관(150)은, 기단 상자(151)와, 선단통(152)과, 벨로우즈관(153) 등을 포함한다. 기단 상자(151)는 하우징(130)의 상벽(136)의 외측 개구부(138)를 거쳐서 안내관부(123)의 내측 개구부(221)(도 3 참조)에 찔러넣어진다. 벨로우즈관(153)은 기단 상자(151)와 선단통(152) 사이에 연설되어, 기단 상자(151)와 선단통(152)을 접속한다. 벨로우즈관(153)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굴곡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어태치먼트관(150)의 선단통(152)을 소망의 위치에 이동시켜, 선단통(152)으로부터 진애 등을 흡인할 수 있다.
기단 상자(151)는 저벽부(154)와, 저벽부(154)로부터 상방으로 입설된 주벽부(155) 등을 포함한다. 기단 상자(151)가 내측 개구부(221)에 찔러넣어지면, 저벽부(154)는, 도 1에 도시하는, 입설관부(220)와 상측관부(230) 사이의 접속 부위의 상류에서, 입설관부(220)의 개구를 폐쇄한다. 이것에 의해, 어태치먼트관(150)이 안내관부(123)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흡인 장치(121)(도 1 참조)가 생성한 흡인력은 흡인구(111)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 기단 상자(151)의 주벽부(155)에는, 상측관부(230)를 향해서 개구된 개구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어태치먼트관(150)이 안내관부(123)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흡인 장치(121)가 생성한 흡인력은 상측관부(230) 및 주벽부(155)의 개구부(156)를 통해서 어태치먼트관(150)에 작용하여, 진애 등을 흡인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관(150)의 벨로우즈관(153)의 기단은 기단 상자(151)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여 있다. 그 때문에, 흡인 장치(121)가 생성한 흡인력은 기단 상자(151) 및 벨로우즈관(153)을 통해서 벨로우즈관(153)의 선단에 장착된 선단통(152)에 작용한다.
게다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관(150)의 선단통(152)은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157)를 갖는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선단통(152)의 개구부(157)를 소망의 위치에 접근시켜, 개구부(157)로부터, 진애를 흡인할 수 있다. 흡인된 진애는 선단통(152), 벨로우즈관(153), 기단 상자(151) 및 상측관부(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집진 팩(124)(도 1 참조)에 저류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40)의 돌출부(142)는 내측 개구부(221)(도 3 참조)를 폐쇄하는 폐색부(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에는, 폐색부(144)와 안내관부(123) 사이의 경계에서 형성되는, 2개의 각도 「θ1」, 각도 「θ2」가 나타나 있다.
폐색부(144)는, 단면에서 보아, 각도 「θ1」, 각도 「θ2」가 모두 둔각(90°<θ1, θ2<180°)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 때문에, 흡인 장치(121)에 의해서 생성된 기류(공기의 흐름)는 폐색부(144)와 안내관부(123) 사이의 경계에 체류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생성된 공기가 입설관부(220)로부터 상측관부(230)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그 결과, 기류와 함께 흐르는 진애가 폐색부(144)와 안내관부(123) 사이의 경계에 걸릴 위험성이 저감된다.
또한, 도 1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색부(144)를, 정면벽(13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연직 평면 상에서 직선적인 윤곽을 그리는 예로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색부(144)의 단면이 호형 윤곽을 그리도록 형성해도 좋다. 즉, 정면벽(13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연직 평면 상에서, 입설관부(220)로 형성되는 제 2 구간으로부터 상측관부(230)로 형성되는 제 3 구간을 향해서, 완만하게 만곡된 호형 윤곽을 갖도록 형성해도 좋다.
(흡인구 형성부와 안내관부의 접속 부위)
다음에, 흡인구 형성부와 안내관부의 접속 부위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관부(123)의 하측관부(210)는 상류 단부(211)와, 중간부(212)와, 하류 단부(213) 등을 포함한다. 흡인구(111)를 형성하는 흡인구 형성부(110)는 하측관부(210)의 상류 단부(211)와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입설관부(220)는 하류 단부(213)에 연결된다. 중간부(212)는 상류 단부(21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류 단부(213)로 이어지도록 접속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인구(111)는 작업자가 청소 도구를 찔러넣기에 충분한 넓이로 형성된다. 한편, 입설관부(220)의 내경은 중력에 저항하여, 진애를 상방으로 인입하기에 충분한 흡인력이 유지되도록 설정된다.
그래서, 하측관부(210)의 상류 단부(211) 및 중간부(212)는, 하류 단부(213)와 입설관부(220)의 경계의 내벽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게, 유로가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111)로부터 흡인된 진애는, 하류 단부(213)와 입설관부(220)의 경계에 걸리는 일 없이, 입설관부(22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하측관부(210)의 상류 단부(211)는 상벽(311)과, 하벽(312)과, 한쌍의 측벽(313) 등을 포함한다. 한쌍의 측벽(313)은 하우징(130)의 상벽(311)과 하벽(312) 사이에 입설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한쌍의 측벽(313)은 흡인구 형성부(110)의 한쌍의 절결 연부(113)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굴곡되어 형성된다. 한쌍의 측벽(313)은, 한쌍의 절결 연부(113)와의 접속 부위로부터, 하측관부(210)의 중간부(212)와의 접속 부위에 걸쳐서, 대략 일정(일정을 포함함)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하측관부(210)의 상류 단부(211)의 상벽(311)은 수평벽부(314)와 경사벽부(315) 등을 포함한다. 수평벽부(314)는 흡인구 형성부(110)의 측방 연장 연부(1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마루면(FLR)과 대략 평행(평행을 포함함)하게 형성된다. 경사벽부(315)는 수평벽부(314)로부터 중간부(212)를 향해 하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경사벽부(315)는 수평벽부(314)로부터 중간부(212)와의 접속 부위까지 경사진 경사 내벽을 형성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벽(311)의 하방에 배치되는 상류 단부(211)의 하벽(312)은 중간부(212)와의 연결 부위를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 내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하측관부(210)의 상류 단부(211)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개구가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하측관부(210)의 중간부(21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류 단부(211)와 달리, 폭 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개구가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안내관부(123)의 하측관부(210)로 형성되는 제 1 구간에 있어서, 진애를 안내하는 유로가 연직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중간부(212)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하류 단부(213)는 입설관부(220)와 동등한 굵기(예를 들면, 내경)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 때문에, 하류 단부(213)와 입설관부(220) 사이의 접속 부위에 있어서, 큰 단차가 형성되는 일 없이, 하측관부(210)의 하류 단부(213)가 입설관부(220)에 연결된다. 그 결과, 흡인구(111)로부터 흡인되는 진애는 하류 단부(213)와 입설관부(220) 사이의 접속 부위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충분한 흡인력으로 입설관부(220)에 흡인된다.
(사일런서)
다음에, 사일런서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도 6a 및 도 6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사일런서(160)의 개략적인 전개 사시도이다. 도 6b는 사일런서(16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장치(100)는 하측관부(210)의 중간부(212) 상벽(212a)으로부터 상방으로 팽출하여 형성되는 사일런서(160)를 구비한다. 사일런서(160)는 안내관부(123) 내에서 발생한 기류에 의해서 야기되는 노이즈의 레벨을 저감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일런서(160)는 입설벽(161)과, 덮개부(162)와, 흡음 매트(163) 등을 구비한다. 하측관부(210)의 중간부(212)의 상벽(212a)은 다수의 관통 구멍(214a)이 형성된 대략 사다리꼴 형상(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함)의 다공 영역(214)을 포함한다. 입설벽(161)은, 다공 영역(214)을 둘러싸도록, 중간부(212)의 상벽(212a) 상에 대략 사다리꼴 통 형상(사다리꼴 통 형상을 포함함)으로 입설된다. 흡음 매트(163)는 입설벽(161)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끼워넣어져, 다공 영역(214) 상에 탑재된다. 덮개부(162)는 입설벽(161)을 폐색하도록 씌워진다. 그 결과, 흡음 매트(163)는 다공 영역(214), 입설벽(161) 및 덮개부(162)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폐입(閉入)된다.
다공 영역(214)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214a)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214a)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다. 이 때, 관통 구멍의 크기, 관통 구멍(214a)의 수나, 관통 구멍(214a)의 형성 패턴은 높은 흡음 효과가 얻어지도록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관통 구멍(214a)의 총면적을 크게 하면, 많은 노이즈 성분이 흡음 매트(163)에 도달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노이즈 레벨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흡음 매트(163)는 우레탄 폼이나, 높은 흡음 효과를 발휘하는, 예를 들어 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면 재료(신슐레이트(Thinsulate)(등록상표)) 등의 다른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탄성 스크레이핑부)
다음에, 탄성 스크레이핑부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집진 장치(10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진애는 청소 도구에 강한 힘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흡인 장치(121)가 생성한 흡인력만으로는, 청소 도구로부터 진애를 분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집진 장치(10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애와 청소 도구 사이의 부착력을 약하게 하기 위한 탄성 스크레이핑부(170)를 더 구비해도 좋다. 탄성 스크레이핑부(170)는,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수지, 탄성중합체 등의 탄성 부재로, 예를 들어 빗살 형상 또는 파형의 박편으로 형성된다. 탄성 스크레이핑부(170)는, 예를 들어 흡인구 형성부(110)의 측방 연장 연부(11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작업자는 청소 도구를 흡인구 형성부(110)에 의해서 형성되는 흡인구(111)에 찔러넣는다. 즉, 작업자는 청소 도구를 측방 연장 연부(112)와 마루면(FLR) 사이의 개구 영역으로부터 후방으로 밀어넣는다. 이 때, 탄성 스크레이핑부(170)가 청소 도구의 찔러넣음 부분의 상면과 마찰된다. 이것에 의해, 청소 도구에 부착되는 진애가 긁어내진다. 탄성 스크레이핑부(170)에 의해서 긁어내진 진애는 청소 도구와의 사이의 부착력이 약해진다. 그 때문에, 진애가, 흡인구(111)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서, 청소 도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흡인되기 쉬워진다.
이 때, 작업자는, 흡인구(111) 내에서 청소 도구를 상하, 좌우로 움직여서, 탄성 스크레이핑부(170)에 청소 도구를 마찰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를 청소 도구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긁어낼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하에, 실시형태 2의 집진 장치(100A)에 대해서,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집진 장치(100A)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2의 집진 장치(100A)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구 형성부(110)에 탄성 스크레이핑부(170A, 170B)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형태 1의 집진 장치(100)와 상위하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1의 설명은 탄성 스크레이핑부(170A, 170B) 이외의 부위에 원용된다.
탄성 스크레이핑부(170A, 170B)는 흡인구 형성부(110)의 절결 연부(113)에 장착된다. 탄성 스크레이핑부(170A, 170B)는, 흡인구 형성부(110)의 측방 연장 연부(112)에 장착되는 탄성 스크레이핑부(170)와 동일하게,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수지, 탄성중합체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스크레이핑부(170A)는, 절결 연부(113)의 전단측(전방)에, 절결 연부(113)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탄성 스크레이핑부(170A)는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예를 들어 빗살 형상 또는 파형의 박편으로 형성된다. 한편, 탄성 스크레이핑부(170B)는, 절결 연부(113)의 후단측(후방)에, 절결 연부(11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탄성 스크레이핑부(170B)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예를 들어 빗살 형상 또는 파형의 박편으로 형성된다.
탄성 스크레이핑부(170A)는, 작업자가 청소 도구를 흡인구(111) 내에서 측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를 효과적으로 긁어낸다. 게다가, 탄성 스크레이핑부(170A)는, 작업자가 청소 도구를 후방으로 밀어넣을 때에도,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를 효과적으로 긁어낸다.
한편, 탄성 스크레이핑부(170B)는, 작업자가 청소 도구를 흡인구(111) 내에서 연직 방향으로 작동시킬 때에,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를 효과적으로 긁어낸다.
(실시형태 3)
이하에, 실시형태 3의 집진 장치(100B)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9a 및 도 9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실시형태 3의 집진 장치(100B)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b는 집진 장치(100B)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실시형태 3의 집진 장치(100B)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구 형성부(110)에, 좌우에 한쌍의 다리부(180)를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형태 1의 집진 장치(100)와 상위하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1의 설명은 다리부(180) 이외의 부위에 원용된다.
좌측의 다리부(180)는, 흡인구(111) 내에 있어서, 하우징(130)의 좌전방벽(132)의 전연부의 하단으로부터 마루면(FLR)을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다. 동일하게, 우측의 다리부(180)는, 흡인구(111) 내에 있어서, 하우징(130)의 우전방벽(133)의 전연부의 하단으로부터 마루면(FLR)을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의(130)의 정면벽(131)을 하방으로 변위시키도록 하는 힘이 하우징(130)에 작용해도, 집진 장치(100B)가 전도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작업자가 청소 도구를 흡인구(111)에 찔러넣으면, 청소 도구는 다리부(180)에 걸쳐서, 정면벽(131)과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흡인구(111) 내에서 청소 도구를 작동시키면, 집진 장치(100B)가 측방 또는 후방으로 전도할 것 같게 된다. 이 때, 한쌍의 다리부(180) 중 적어도 한쪽은 흡인구(111) 내의 청소 도구의 하면에 걸린다. 그 때문에, 집진 장치(100B)의 전도가 미연에 방지된다.
이 때,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180)는, 상면(180a)을, 하우징(130)의 정면벽(131)에 평행한 가상적인 연직 평면 상에서, 예를 들어 호형으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흡인구(111) 내에서 청소 도구를 측방으로 이동시킬 때, 청소 도구는 다리부(180)의 호형의 상면(180a)을 따라서, 다리부(180)에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높은 조작성으로, 확실하게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180)의 높이 방향의 두께가 전방을 향해서 점차 얇아지도록 구성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청소 도구를 흡인구(111)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밀어넣을 때, 다리부(180)의 전단에 청소 도구가 걸리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다리부(180)에 방해되는 일 없이, 청소 도구를 흡인구(111)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이하에, 실시형태 4의 집진 장치(100C)에 대해서, 도 1 및 도 9a를 참조하면서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형태 4의 집진 장치(100C)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4의 집진 장치(100C)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구(111C)에, 측방으로 개구된 절결 영역을 마련하지 않는 점에서, 실시형태 1의 집진 장치(100)(도 1 참조)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집진 장치(100C)는, 하우징(130C)의 좌전방벽(132C) 및 우전방벽(133C)이 흡인구(111C)의 양단을 덮도록, 예를 들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좌전방벽(132C) 및 우전방벽(133C)의 하연부는 마루면(FLR)과 전체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집진 장치(100C)에, 실시형태 3의 집진 장치(100B)(도 9a 참조)의 다리부(180)와 동등한 높은 안정성이 부여된다.
또한, 집진 장치(100C)는, 흡인구(111C)가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지 않지만, 높이 방향에 있어서, 충분한 넓이를 가진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흡인구(111C)의 폭 정도의 크기를 갖는 청소 도구를 흡인구(111C)에 용이하게 찔러넣을 수 있다.
즉, 실시형태 4의 집진 장치(100C)는, 예를 들어 폭이 좁은 청소 도구의 제진에 전용으로 이용해도 좋다.
또한, 폭이 넓은 청소 도구를 흡인구(111C)에 찔러넣을 수 있도록, 집진 장치(100C)에, 폭이 넓은 흡인구(111C)를 형성해도 좋다. 이 때, 안내관부(123C)(하측관부(210C))의 상류단의 형상은 흡인구(111C)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 하측관부(210C), 좌전방벽(132C) 및 우전방벽(133C) 이외의 부위는, 실시형태 1의 집진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면 좋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1의 설명은 하측관부(210C), 좌전방벽(132C) 및 우전방벽(133C) 이외의 부위에 원용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흡인구 형성부가 안내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인구 형성부는 정면벽의 하연부, 좌전방벽 및 우전방벽의 전연부의 하부(즉, 측방으로 개구된 절결 영역을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만곡된 연부)로 구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를 통해 넓은 범위에 걸쳐서,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를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집진 장치(100, 100A, 100B, 100C)에 어태치먼트관(150)이 장착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집진 장치를, 어태치먼트관(150)이 장착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외측 개구부(138)를 폐색하는 덮개부(140)의 부품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덮개부(140)의 내면의 폐색부(144)에 의한 통기 압손이 감소하여, 흡인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덮개부(140)의 부품을 없애는 것에 의해, 외관의 볼품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디자인성도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2)
-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가 흡인되는 흡인구를 형성하는 흡인구 형성부와,
상기 흡인구에 상기 진애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력을 작용시켜, 상기 흡인구로부터 흡인된 상기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흡인구 형성부는,
마루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 연부와,
상기 측방 연장 연부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굴곡되고, 상기 마루면과 상기 측방 연장 연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 영역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절결 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한쌍의 절결 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구는 상기 측방 연장 연부와 상기 한쌍의 절결 연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집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연장 연부의 소정의 높이는 상기 마루면으로부터 20㎜ 이상, 100㎜ 이하의 범위의 값인
집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애를 상기 청소 도구로부터 긁어내도록 형성된 탄성 스크레이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 스크레이핑부는 상기 측방 연장 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결 연부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집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기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집진 기구는,
상기 흡인구를 통해서 흡인된 상기 진애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흡인구로부터 상기 저류부까지 상기 진애를 안내하는 안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방 연장 연부가 장착되는 하연부를 갖는 정면벽과,
상기 한쌍의 절결 연부가 장착되는 장착 연부를 각각 갖는 한쌍의 측벽을 가지며,
상기 흡인구 형성부는 상기 안내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집진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 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마루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다리부를 더 구비하는
집진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높이 방향의 두께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집진 장치.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호형으로 만곡된 상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집진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거쳐서 상기 안내관부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어태치먼트관과,
상기 어태치먼트관이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와, 상기 외측 개구부에 찔러넣어진 상기 어태치먼트관이 연결되도록 상기 안내관부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안내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집진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부는,
상기 흡인구로부터 상기 마루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구간과,
상기 제 2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상기 진애를 상기 저류부로 안내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2 구간과 상기 제 3 구간 사이의 굴곡 부위에 형성된 상기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색부는,
상기 정면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연직 평면 상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와 상기 굴곡 부위를 형성하는 상기 안내관부 사이의 경계가 둔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집진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부는,
상기 흡인구로부터 상기 마루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구간과,
상기 제 2 구간으로부터 굴곡되고 상기 진애를 상기 저류부로 안내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2 구간과 상기 제 3 구간 사이의 굴곡 부위에 형성된 상기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색부는,
상기 정면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연직 평면 상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 3 구간을 향해서 만곡된 호형 윤곽으로 형성되는
집진 장치. -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서 좁아지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 청소 도구에 부착된 진애가 흡인되는 흡인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흡인구로부터 흡인된 상기 진애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집진하는 저류부, 및 상기 흡인구로부터 상기 저류부까지 상기 진애를 안내하는 안내관부를 갖는 집진 기구와,
상기 안내관부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어태치먼트관과,
상기 어태치먼트관이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 및 상기 외측 개구부에 찔러넣어진 상기 어태치먼트관이 연결되도록 상기 안내관부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안내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219847 | 2017-11-15 | ||
JP2017219847A JP6913889B2 (ja) | 2017-11-15 | 2017-11-15 | 集塵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5751A true KR20190055751A (ko) | 2019-05-23 |
Family
ID=6649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8274A KR20190055751A (ko) | 2017-11-15 | 2018-11-12 | 집진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913889B2 (ko) |
KR (1) | KR20190055751A (ko) |
CN (1) | CN109770788B (ko) |
TW (1) | TWI76160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56800B (zh) * | 2021-12-08 | 2023-04-18 | 永康市超锐电器有限公司 | 一种具有吸尘功能的垃圾桶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39378A (ja) | 2013-08-20 | 2015-03-0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集塵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7952U (ko) * | 1979-08-31 | 1981-04-10 | ||
JPS5718447U (ko) * | 1980-07-07 | 1982-01-30 | ||
JP2000157361A (ja) * | 1998-11-27 | 2000-06-13 | Okamura Corp | 家具等の脚支柱におけるカバーの取付構造 |
JP2000342363A (ja) * | 1999-06-03 | 2000-12-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掃除機付き流し台 |
JP3756355B2 (ja) * | 1999-07-19 | 2006-03-15 | 東芝テック株式会社 | 吸引式無用物収容装置 |
US6671924B1 (en) * | 2000-12-12 | 2004-01-06 | Richard K. Rood | Vacuum dustpan |
JP2002209805A (ja) * | 2001-01-12 | 2002-07-30 | Duskin Co Ltd | 集塵装置、及び、集塵用ノズル |
JP3987292B2 (ja) * | 2001-02-27 | 2007-10-03 | 株式会社リコー | 転倒防止装置 |
JP2003210361A (ja) * | 2002-01-24 | 2003-07-29 | Duskin Co Ltd | 掃除装置 |
JP3546050B1 (ja) * | 2003-10-29 | 2004-07-21 | 観慈 荒金 | 据え置き式電動掃除機 |
JP4164474B2 (ja) * | 2004-06-28 | 2008-10-1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プラグ |
JP5221328B2 (ja) * | 2008-12-26 | 2013-06-26 | 株式会社泰生工業 | 枠体保持脚 |
JP2011147519A (ja) * | 2010-01-20 | 2011-08-04 | Okamura Corp | 什器への安定脚の取付構造 |
JP2012245318A (ja) * | 2011-05-31 | 2012-12-13 | Duskin Co Ltd | 掃除機 |
JP5940776B2 (ja) * | 2011-06-14 | 2016-06-29 | 株式会社ティラド | 反応器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筐体 |
JP6267896B2 (ja) * | 2013-08-20 | 2018-01-24 | 株式会社ダスキン | 両用型集塵装置 |
JP6974931B2 (ja) * | 2015-12-18 | 2021-12-01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集塵装置 |
JP2017131489A (ja) * | 2016-01-29 | 2017-08-0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気掃除機用吸込具 |
US10743739B2 (en) * | 2016-05-09 | 2020-08-18 | Willy Kerntopf | Dry mop cleaner |
CN206044545U (zh) * | 2016-06-12 | 2017-03-29 |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 接近性自启动吸尘器 |
CN209059038U (zh) * | 2018-09-26 | 2019-07-0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吸尘器 |
JP6639604B1 (ja) * | 2018-10-05 | 2020-02-05 | 山田電器工業株式会社 | 集塵装置 |
-
2017
- 2017-11-15 JP JP2017219847A patent/JP6913889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9-26 TW TW107133880A patent/TWI761602B/zh active
- 2018-11-09 CN CN201811333163.6A patent/CN109770788B/zh active Active
- 2018-11-12 KR KR1020180138274A patent/KR201900557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39378A (ja) | 2013-08-20 | 2015-03-0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集塵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770788A (zh) | 2019-05-21 |
JP2019088525A (ja) | 2019-06-13 |
JP6913889B2 (ja) | 2021-08-04 |
TW201922159A (zh) | 2019-06-16 |
CN109770788B (zh) | 2021-12-03 |
TWI761602B (zh) | 2022-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81860B2 (en) | Cyclonic separator for suction cleaner | |
US20070039127A1 (en) | Dust container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cover thereof | |
US11412904B2 (en) | Separator configuration | |
US9775483B2 (en) | Vacuum cleaner having cyclonic separator | |
CN101242769A (zh) | 真空吸尘器 | |
US20190111373A1 (en) |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 |
KR20190055751A (ko) | 집진 장치 | |
JP6639604B1 (ja) | 集塵装置 | |
TWI625111B (zh) | Dust collecting device | |
CN208524741U (zh) | 一种表面清洁器 | |
KR100587098B1 (ko) |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실링 구조 | |
US20050188497A1 (en) | Air discharge structure for a vacuum cleaner | |
KR200436110Y1 (ko) |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 |
JP2007054266A (ja) | 電気掃除機 | |
EP2266449B1 (en) | Inlet means with multiple ports | |
JP3995209B2 (ja) | レンジフード | |
EP3225144B1 (en) | Vacuum cleaner | |
JP5541995B2 (ja) | 電気掃除機 | |
JP2009078081A (ja) |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 |
KR101147778B1 (ko) | 진공 청소기 | |
KR100596252B1 (ko) |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 |
KR101411108B1 (ko) | 진공 청소기의 흡입 장치 | |
JP2011010930A (ja) | 電気掃除機 | |
KR20010048776A (ko) | 진공청소기 | |
JP2006034710A (ja) | 電気掃除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