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325A -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325A
KR20190055325A KR1020170151924A KR20170151924A KR20190055325A KR 20190055325 A KR20190055325 A KR 20190055325A KR 1020170151924 A KR1020170151924 A KR 1020170151924A KR 20170151924 A KR20170151924 A KR 20170151924A KR 20190055325 A KR20190055325 A KR 20190055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
module
circulation
shie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996B1 (ko
Inventor
박재삼
Original Assignee
박재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삼 filed Critical 박재삼
Priority to KR102017015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9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을 도장 작업하기 전에 세척하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도장 대상물을 순환열 건조 터널로 이동시켜 건조함에 있어, 작업 터널내 생성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도장물이 통과하도록 터널형으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순환열을 제공하는 가열유닛과; 상기 가열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순환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하우징 단부측에 구비되어, 고압풍을 생성하여 상기 하우징 내측과 외측의 공기 유출입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터널형의 건조장치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송풍모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열을 내부열기의 순환 방향으로 차단하여, 내부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열차단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 HEAT CIRCULATION SYSTEM IN PAINTING HEAT TREATMENT PROCESS }
본 발명은 열처리 공정상의 열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공작물을 도장 작업하기 전에 세척하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도장 대상물을 순환열 건조 터널로 이동시켜 건조함에 있어, 작업 터널 내 생성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증가시킨 가열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 표면에는 도장재료를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하여, 충해, 부식, 마멸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이며, 색채나 광택효과에 의해 표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도장을 시행한다.
즉, 공작물 표면에는 등 다양한 목적에 의해 도장을 시행한다.
이와 같은 공작물 도장작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효율성을 위해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다량의 피도장물을 연속적으로 도장하는 자동화 도장방식이 적용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화된 생산 라인에는 다양한 도장과정에서 피도장물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무한궤도로 연결되는 체인과 레일 그리고 체인과 결합하여 피도장물을 지지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자동화 도장방식에서는 피도장물 표면에 붙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과정을 거친 뒤, 도장과정을 거친다.
이때, 오염물세척과정은 세척과정, 헹굼과정, 탈액과정, 건조과정 등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종래기술에서는 이송레일을 따라 피도장물이 이동하며 각 과정을 거친다.
이때, 건조 과정에서는 이송레일이 건조터널을 통과하며 피도장물을 건조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터널방식은 터널 입구와 출구에서 내부 생성된 열기가 공기의 흐름으로 인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은 방열효율성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방출되는 열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9103호에는 유출입구 부근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시 내측과 외측간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는 이중 에어커튼이 측방으로 순환하도록 하여 도어 내측과 외측을 차단하므로, 내부의 공기 흐름과는 무관하게 순환된다.
이는 도어 내측과 외측을 차단하는 효과는 있으나, 내부에서 생성되는 순환열의 흐름을 고르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에서는 에어커튼의 강한 차단풍으로 인하여, 이송 장치에 쌓인 이물질이 비산되어, 피도장물 표면에 붙어 피도장물의 도장 외면에 불량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91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터널형의 건조장치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송풍모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열을 내부열기의 순환 방향으로 차단하여, 내부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열차단 효과를 낼 수 있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순환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차단풍을 순환시켜, 연속적인 차단풍을 제공하도록 하여, 차단풍과 내부 열순환 공기의 접촉으로 인한 열손실이 최소화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장물을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가열 건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장물이 통과하도록 터널형으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순환열을 제공하는 가열유닛과; 상기 가열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순환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하우징 단부측에 구비되어, 고압풍을 생성하여 상기 하우징 내측과 외측의 공기 유출입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고열을 생성하는 히팅부와; 생성된 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순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열은, 상기 송풍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의 열차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역사다리꼴 형태로 순환하여 대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순환열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순환열을 내부에 가두기 위해, 길이방향의 상단부 길이가 길이방향의 하단부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고압풍의 흐름이 상기 하우징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고압풍을 토출하는 송풍모듈과; 상기 송풍모듈에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모듈로부터 토출되는 고압풍을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하우징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하방 고압풍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단에 형성되는 송풍모듈과 상기 하우징 하단에 형성되는 흡입모듈; 그리고 상기 하우징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상방 고압풍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단에 형성되는 흡입모듈과 상기 하우징 하단에 형성되는 송풍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장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측 차폐유닛의 송풍모듈 및 흡입모듈은, 상기 하우징 유입구 내측으로 하방 고압풍의 흐름이 형성되고, 상기 하방 고압풍의 외측으로 상방 고압풍 흐름이 형성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듈의 선단에는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베인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상단부에 형성되어 도장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부에 상기 도장물을 거치하여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시키는 지지후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후크는, 상기 이송레일 상의 상기 지지후크의 이동에 따라 낙하되는 분진을 적치하기 위한 판상의 비산방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비산방지판은, 테두리부가 상방으로 절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흡입모듈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송풍모듈을 통해 토출하는 순환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측 상단 흡입구에 구비된 순환모듈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이물질제거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필터는, 흡입된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프리필터, 세라믹필터, 헤파필터 또는 울파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도장 공작 대상물의 건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터널형의 건조장치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송풍모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열을 내부열기의 순환 방향으로 차단하여, 내부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열차단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 순환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차단풍을 순환시켜, 연속적인 차단풍을 제공하도록 하여, 차단풍과 내부 열순환 공기의 접촉으로 인한 열손실이 최소화되므로, 열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풍모듈의 차단풍에 의한 이물질의 비산을 최소화하여 도장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방향 에어커튼의 일 예를 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하우징 내 열순환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폐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폐유닛의 동작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폐유닛의 동작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폐유닛의 하우징 내의 동작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에서 차폐유닛에 의한 송풍흐름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 내의 열순환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장 열처리 공장 상의 도장물 건조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지지후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가열건조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하우징 내 열순환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폐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폐유닛의 동작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물(1)을 이송하는 이송레일(10)과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이송된 상기 도장물(1)을 건조하는 건조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레일(10)은 상기 건조장치(20)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장물(1)은 상기 이송레일(10)상에 위치하여 이동하는 지지후크(30)에 의해 거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후크(30)는 상기 이송레일(10) 상에 위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로부터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도장물(10)을 지지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도장물(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장치(20)를 통과하며 건조된다.
이때, 상기 건조장치(20)는 상기 도장물(1)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구비되어 순환 열을 생성하는 순환열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순환열유닛(200)은 고열을 생성하는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의 생성된 열을 순환시키기 위해 풍력을 생성하는 순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장물(1)은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상기 건조장치(20) 내측을 통과하면서, 건조된다.
한편, 상기 건조장치(20)는 상기 히팅부에 의해 가열된 열기가 상기 도장물(1)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도장물(1)이 외측으로 방출되는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즉, 방출되는 열은 상기 하우징(100) 양측 상단으로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하우징(100) 하단을 통해 온도가 낮은 외기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건조장치(20)는 유출되는 열기를 차단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순환되도록 차폐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차폐유닛(300)은 상기 하우징(200)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열의 흐름방향을 바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사다리꼴형태의 순환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유닛(300)은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차단풍을 토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풍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상기 하우징(100)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100) 내측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00) 내부의 열순환 흐름을 형성하면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차폐유닛(300)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폐유닛의 동작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폐유닛의 하우징 내의 동작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에서 차폐유닛에 의한 송풍흐름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열건조 시스템 내의 열순환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장 열처리 공장 상의 도장물 건조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차폐유닛(300)의 제1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의 차폐풍을 토출하기 위한 송풍모듈(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풍모듈(310)은 상기 하우징(100) 입/출입구측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송풍모듈(310)이 상기 하우징(100) 상단에 설치된 경우, 상기 송풍모듈(310)의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100)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모듈(310)이 상기 하우징(100) 하단에 설치된 경우, 상기 송풍모듈(310)의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100)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 순환형태가 역사다리꼴이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모듈(310)과 상기 송풍모듈(310)에 대향하는 측에 흡입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320)은 상기 송풍모듈(310)로부터 토출된 차단풍(고압풍)을 흡입하여 상기 차단풍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단풍이 토출된 이후에 하우징(100) 벽에 부딛혀 형성된 와류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의 열순환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차폐유닛(3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상부에 구비된 한 쌍의 송풍모듈(310)과 흡입모듈(320)과, 상기 하우징(100)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흡입모듈(320)과 송풍모듈(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송풍모듈(310)과 흡입모듈(320)을 각각 송풍모듈(310)과 흡입모듈(320)의 전후배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 유/출입구에 상기 하우징(100)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차단풍과 상기 하우징(100)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차단풍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차폐유닛(300)은, 상기 하우징(100)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하방 고압풍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송풍모듈과 흡입모듈(300)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상방 고압풍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흡입모듈과 송풍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흡입모듈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모듈을 통해 토출하는 순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압풍(차단풍)을 형성하는 공기가 흡입모듈-순환모듈-송풍모듈-흡입모듈-순환모듈-송풍모듈로 이루어지는 순환구조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차단풍은 하우징 내부의 순환공기와 접촉되어, 외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으므로, 상기 하우징 내의 열 유출이 더욱 방지되어, 열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차폐유닛(300)을 구성하는 송풍모듈(310)의 토출구에는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베인(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풍향조절베인의 방향을 조절함에 의해 송풍유닛을 통해 토출된 차폐풍이 흡입모듈(320)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차폐유닛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일 측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입/출입구측에 각각 형성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내에 역사다리꼴 형태의 완전한 열순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가열 건조 시스템은 차단풍에 의해 이송레일(10) 등에 적치된 이물질이 비산되어 건조되는 도장물 표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유닛의 구조에 있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물의 유입구측에 있어, 외측부의 차단풍 방향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고, 내측부의 차단풍 방향이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장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측 차폐유닛의 송풍모듈(310) 및 흡입모듈(320)은 상기 하우징 유입구 내측으로 하방 고압풍의 흐름이 형성되고, 상기 하방 고압풍의 외측으로 상방 고압풍 흐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장물이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됨에 따라 먼저, 하우징 상단으로 흡입되는 차단풍에 상기 도장물이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레일(10) 및 지지후크(30)에 적치된 이물질이 하우징 상단의 흡입모듈을 통해 순환모듈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레일 및 지지후크에 적치된 이물질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흡입되는 이물질이 추가적으로 도장물에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후크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비산방지판(3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모듈로 흡입되지 못한 이물질은 상기 비산방지판(32)에 떨어지게 되어 이물질이 상기 도장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방지판(3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절첩)되어 이물질의 수용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흡입모듈로 흡입된 이물질은 상기 순환모듈을 통해 상기 도장물로 다시 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순환모듈에는 흡입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이물질제거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필터는 프리필터, 세라믹필터, 헤파필터 또는 울파필터 등의 다양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건조과정에서 비산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도장물의 도장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공작물을 도장 작업하기 전에 세척하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도장 대상물을 순환열 건조 터널로 이동시켜 건조함에 있어, 작업 터널내 생성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터널형의 건조장치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송풍모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열을 내부열기의 순환 방향으로 차단하여, 내부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열차단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1 : 도장물 10 : 이송레일
20 : 건조장치 30 : 지지후크
32 : 비산방지판 100 : 하우징
200 : 순환열유닛 300 : 차폐유닛
310 : 송풍모듈 320 : 흡입모듈
330 : 순환부 400 : 흡입모듈
410 : 배출공 420 : 흡입공
430 : 흡입부

Claims (9)

  1. 도장물을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가열 건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장물이 통과하도록 터널형으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장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순환열을 제공하는 가열유닛과;
    상기 가열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순환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하우징 단부측에 구비되어, 고압풍을 생성하여 상기 하우징 내측과 외측의 공기 유출입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고열을 생성하는 히팅부와;
    생성된 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순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열은,
    상기 송풍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의 열차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역사다리꼴 형태로 순환하여 대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순환열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순환열을 내부에 가두기 위해, 길이방향의 상단부 길이가 길이방향의 하단부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고압풍의 흐름이 상기 하우징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고압풍을 토출하는 송풍모듈과;
    상기 송풍모듈에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모듈로부터 토출되는 고압풍을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하우징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하방 고압풍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단에 형성되는 송풍모듈과 상기 하우징 하단에 형성되는 흡입모듈; 그리고
    상기 하우징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상방 고압풍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상단에 형성되는 흡입모듈과 상기 하우징 하단에 형성되는 송풍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듈의 선단에는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 베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흡입모듈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송풍모듈을 통해 토출하는 순환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KR1020170151924A 2017-11-15 2017-11-15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KR10210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24A KR102102996B1 (ko) 2017-11-15 2017-11-15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24A KR102102996B1 (ko) 2017-11-15 2017-11-15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325A true KR20190055325A (ko) 2019-05-23
KR102102996B1 KR102102996B1 (ko) 2020-04-22

Family

ID=6668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924A KR102102996B1 (ko) 2017-11-15 2017-11-15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55900A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前川製作所 エアシャッタ装置及びエアシャッタ装置の運転方法
KR102467177B1 (ko) * 2022-03-23 2022-11-14 정지국 세라믹 도장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960A (ja) * 1991-05-01 1992-11-18 Setsuo Tate 加熱装置
KR100819103B1 (ko) 2007-09-03 2008-04-03 진아엔지니어링(주) 에어커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960A (ja) * 1991-05-01 1992-11-18 Setsuo Tate 加熱装置
KR100819103B1 (ko) 2007-09-03 2008-04-03 진아엔지니어링(주) 에어커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55900A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前川製作所 エアシャッタ装置及びエアシャッタ装置の運転方法
KR102467177B1 (ko) * 2022-03-23 2022-11-14 정지국 세라믹 도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996B1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6624A1 (en) Treatmen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workpieces
US20230296316A1 (en) Treatmen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workpieces
US5233763A (en) Sludge drying apparatus
KR20190055325A (ko) 도장 공작물의 가열건조 시스템
CN113304937B (zh) 一种机器人全自动喷涂生产线
CN103862857A (zh) 具有罩体的印刷机
GB2459056A (en) Painting booth
KR101461760B1 (ko) 와이핑 가스 처리장치
JP2005058870A (ja) 塗装乾燥炉
KR20190101182A (ko) 도장제품 건조장치
KR20090124590A (ko) 기판의 냉각 장치 및 방법
EP2232181B1 (de) Strahlungstrockner
JPH06115412A (ja) 自動車塗装ブース並びに乾燥ブース
JPS6243264Y2 (ko)
KR20200102181A (ko) 차량 도장 부스 에너지 절감 공기순환시스템
JP4472938B2 (ja) 塗装乾燥炉
US20180328663A1 (en) Drying apparatus and drying method using the drying apparatus
CN220804624U (zh) 一种自动化清洗线
KR102592284B1 (ko) 자동차 부품 도장시스템
KR102463326B1 (ko) 에어 푸싱 장치
CN114340359B (zh) 一种机电设备用喷淋式散热降温机构
JP2779773B2 (ja) 塗膜乾燥炉内の空気清浄装置
KR100883298B1 (ko) 상하 분리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 세정장치
CN219551092U (zh) 一种五金件清洗用烘干设备
KR101148608B1 (ko) 인쇄회로기판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