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939A -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 세트 - Google Patents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939A
KR20190054939A KR1020180136443A KR20180136443A KR20190054939A KR 20190054939 A KR20190054939 A KR 20190054939A KR 1020180136443 A KR1020180136443 A KR 1020180136443A KR 20180136443 A KR20180136443 A KR 20180136443A KR 20190054939 A KR20190054939 A KR 20190054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article
toys
transformer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타 사이토
후미야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9005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변형 시에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한다.
변형 완구(100)는,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와 당해 제1 형태와는 상이한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을 참조)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 변형 완구(100)는 변형 유발용의 물품(10)이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갖고, 접촉부로의 물품(10)의 접촉을 계기로 하여 상기 제1 형태로부터 상기 제2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 세트 {TRANSFORMABLE TOYS AND TRANSFORMABLE TOY SETS}
본 발명은, 제1 형태와 당해 제1 형태와는 상이한 제2 형태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 완구와, 이 변형 완구와 변형 유발용의 물품을 구비한 변형 완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후기 특허문헌 1에는 제1 형태(곤충 형태)와 당해 제1 형태와 상이한 제2 형태(로봇 형태)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단, 이 변형 완구는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의 변형과 제2 형태로부터 제1 형태로의 변형을 수동에 의해 행하는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59-174887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형 시에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변형 완구와, 이 변형 완구와 변형 완구에 장착 가능한 변형 유발용의 물품을 구비한 변형 완구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변형 완구는, 제1 형태와 당해 제1 형태와는 상이한 제2 형태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 완구이며, 상기 변형 완구는, 변형 유발용의 물품이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접촉부로의 상기 물품의 접촉을 계기로 하여 상기 제1 형태로부터 상기 제2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변형 완구 세트는 전술한 변형 완구와, 전술한 변형 유발용의 물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 세트에 의하면, 변형 시에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 완구의 제2 형태(인형 형태)의 전면도, 도 1의 (B)는 상기 제2 형태의 측면도, 도 1의 (C)는 상기 제2 형태의 후면도, 도 1의 (D)는 상기 제2 형태의 팔부 제외의 도 1의 (B) 대응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 완구의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의 전면도, 도 2의 (B)는 상기 제1 형태의 측면도, 도 2의 (C)는 동 제1 형태의 팔부 제외의 도 2의 (B) 대응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의 일부 제외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변형 완구에 관한 변형 유발용의 물품의 전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변형에 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변형에 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변형에 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변형에 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변형에 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의 (C) 대응도이다.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2의 (B) 대응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 완구의 제2 형태(인형 형태)의 전면도, 도 12의 (B)는 동 제2 형태의 측면도, 도 12의 (C)는 동 제2 형태의 후면도, 도 12의 (D)는 동 제2 형태의 팔부 제외의 도 12의 (B) 대응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 완구의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의 상면도, 도 13의 (B)는 동 제1 형태의 측면도, 도 13의 (C)는 동 제1 형태의 팔부 제외의 도 13의 (B) 대응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의 일부 제외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변형 완구에 관한 변형 유발용의 물품의 전면도,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변형에 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변형에 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2의 (C) 대응도이다.
도 19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13의 (B) 대응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 완구의 제2 형태(인형 형태)의 전면도이다.
도 21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 완구의 제1 형태(벌 형태)의 상면도, 도 21의 (B)는 동 제1 형태의 전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제1 형태에 있어서 날개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21의 (A) 대응도이다.
도 23의 (A)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날개부 개방 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의 확대 상면도, 도 23의 (B)는 도 23의 (A)의 S1-S1을 따르는 상기 날개부 개방 기구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0의 일부 제외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5의 (A)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변형 완구에 관한 변형 유발용의 물품의 전면도, 도 25의 (B)는 도 25의 (A)의 종단면도이다.
도 26의 (A) 및 도 26의 (B)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날개부의 개방에 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27의 (A) 및 도 27의 (B)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변형 완구의 변형에 관한 동작 설명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 완구(100)에 관한 도면이다. 이 변형 완구(100)는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와 당해 제1 형태와는 상이한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을 참조)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일부를 제외하고, 폴리프로필렌이나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및 그 밖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형태를 벌레의 명칭을 사용한 형태로 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벌레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형 형태를 제외한 생물형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변형 완구(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1의 (A)의 앞측을 전, 안측을 후, 좌측을 우, 우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변형 완구(100)는 변형 유발용의 물품(10)(도 4를 참조)이 접촉 가능한 접촉부[자성 부재(123b), 도 3을 참조]를 갖고 있고, 접촉부[자성 부재(123b)]로의 물품(10)의 접촉을 계기로 하여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변형 유발용의 물품」이란, 물품(10)의 변형 완구(100)로의 접촉에 기인하여, 변형 완구(100)의 변형이 실행되는 물품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것에 관해서는, 그 밖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변형 완구(100)는 제1 구성부(110)와, 제1 구성부(110)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구성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구성부(110)는 다리부(111)와, 다리부(111)에 설치된 하측 동체부(112)와, 하측 동체부(112)에 설치된 조작부(113)를 갖고 있다. 제2 구성부(120)는 회전 변위 가능하게 하측 동체부(112)에 설치된 상측 동체부(121)와, 회전 변위 가능하게 상측 동체부(121)에 설치된 머리부(122)와, 회전 변위 가능하게 상측 동체부(121)에 설치된 안면부(123)와, 상측 동체부(121)에 설치된 한 쌍의 팔부(124)와, 머리부(122)에 설치된 제1 코너부(125) 및 제2 코너부(126)와, 상측 동체부(121)에 설치된 날개부(127)를 갖고 있다. 제1 코너부(125) 및 제2 코너부(126)는 장수풍뎅이에 대응한 형상부이다.
즉, 변형 완구(100)의 제2 구성부(120)는 제1 구성부(110)에 대한 회전 변위가 가능해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하측 동체부(112)의 상면과 상측 동체부(121)의 하면은 상호 접촉에 의해 제2 구성부(120)의 회전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부호 생략)로 되어 있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변형 완구(100)는 변형 제어 기구[부호 생략, 조작부(113)를 포함함]를 갖고, 변형 제어 기구는 접촉부[자성 부재(123b)]에 물품(10)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제1 구성부(110)가 제2 구성부(120)를 제1 형태로 보유 지지 가능하게 제어하고, 또한 접촉부[자성 부재(123b)]에 물품(10)이 접촉한 것을 조건으로 제1 구성부(110)에 의한 제2 구성부(120)의 보유 지지를 해제 가능하게 제어한다. 덧붙여 말하면, 변형 완구(100)는 변형 완구(100)의 제2 구성부(120)에 있어서의 상측 동체부(121)의 회전 변위와, 머리부(122)의 회전 변위와, 안면부(123)의 회전 변위를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동력원으로서 갖고, 이것들의 탄성 부재는 모두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이다.
제1 구성부(110)의 구성을 도 3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리부(111)는 위에서 볼 때 대략 U자상을 이루고 있고, 하측 동체부(112)는 대략 직육면체상을 이루고 있다. 하측 동체부(112)의 상부 전방측의 좌우 양측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1/4원상의 홈부(112a)(도면 중의 부호의 기재를 생략)가 설치되고, 상부 전방측의 중앙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3/4원상의 축부(112b)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13)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L자상을 이루고 있고, 하측의 단부를 하측 동체부(112)의 구멍(112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다른 부분은 하측 동체부(112)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13)는 하측 동체부(112)에 설치된 핀(113a)과의 협동에 의해 직선 안내를 행하는 긴 구멍(113b)을 갖고 있고, 압축 스프링(113c)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13)는 상측의 단부가 걸림 결합부(113d)로 되어 있다. 즉, 조작부(113)의 돌출 부분을 압박함으로써, 조작부(113) 전체를 압축 스프링(113c)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구성부(120)의 구성을 도 3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측 동체부(121)의 하부 전방측의 좌우 양측에는 대략 3/4원상의 축부(121a)가 설치되고, 후방부 상측의 중앙에는 세로로 긴 볼록부(12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축부(121a)의 중심에는 샤프트(121c)가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121c)의 중앙에는 외주면에 피걸림 결합부(121d1)를 갖는 대략 원기둥상의 캠부(121d)가 설치되어 있다. 양 축부(121a)는 하측 동체부(112)의 홈부(112a)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샤프트(121c)는 하측 동체부(112)의 축부(112b)의 중심을 지나도록 위치하고, 캠부(121d)의 좌우 위치는 조작부(113)의 걸림 결합부(113)와 좌우 위치와 정합하고 있다. 즉, 상측 동체부(122)는 샤프트(121c)의 축선을 중심(도 1의 (D)의 RS11을 참조)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상측 동체부(121)는 샤프트(121c)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측 동체부(121)의 상부의 좌우 양측에는, 대략 원통상의 팔 설치부(121d)가 설치되어 있다.
머리부(122)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구상을 이루고 있고, 전방부로부터 하부에 미치는 절결부(122a)가 마련되고, 좌우 양측에는 좌측 및 우측에서 볼 때 원형의 구멍(122b)이 마련되고, 후방부에는 세로로 긴 홈부(122b)가 마련되어 있다. 양 구멍(121c)에는 상측 동체부(121)의 팔 설치부(121c) 각각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홈부(122b)에는 상측 동체부(121)의 볼록부(121b)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즉, 머리부(122)는 상측 동체부(121)의 팔 설치부(121c)의 축선을 중심[도 1의 (D)의 RS12를 참조]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머리부(122)는, 구멍(121c)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안면부(123)는 종단면이 대략 L자상을 이루고 있고, 하부 후방측의 중앙에 팔부(123a)가 설치되고, 내측에 스테인리스 등의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반상의 자성 부재(123b)가 설치되어 있다. 팔부(123a)의 후방부에는 외주면에 피걸림 결합부(123a2)를 갖는 대략 원기둥상의 캠부(123a1)가 설치되어 있고, 캠부(123a1)의 중심에는 샤프트(123c)가 설치되어 있고, 샤프트부(123c)의 양단은 상측 동체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면, 안면부(123)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좌우 방향 치수와 상하 방향 치수는 머리부(122)의 절결부(122a)의 전방부로부터 하부 일부를 폐색할 수 있는 치수로 되어 있다. 즉, 안면부(123)는 샤프트(123c)의 축선을 중심[도 1의 (D)의 RS13을 참조]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안면부(123)는 샤프트(123c)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안면부(123)는 머리부(122)의 절결부(122a)의 전방부 및 하부 일부를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 물품(10)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SP10)를 그 내측에 형성한다. 즉, 안면부(123)는 물품(10)의 수용부(SP10)로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SP10)를 폐색 가능한 피복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캠부(123a1)의 후방측[상측 동체부(121)의 내측]에는 피걸림 결합부(123a2)와의 걸림 결합을 가능하게 한 판 스프링(123d)이 설치되어 있다.
각 팔부(124)는 상완부와 전완부와 손부와 3개의 연결 레버로 이루어지고(모두 부호 생략), 상완부의 상측의 연결 레버의 단부가 각 팔 설치부(121d)에 설치되어 있다. 상완부는 팔 설치부(121d)에 비해 3차원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전완부는 상완부에 비해 3차원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손부는 전완부에 비해 3차원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도 4를 사용하여, 변형 유발용의 물품(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4의 (A)의 앞측을 전, 안측을 후, 좌측을 우, 우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물품(10)은 동체부(11) 및 머리부(12)를 갖는 인형 형태로 되어 있고, 머리부(12)에는 변형 완구(100)의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에 대응한 형상 부분(12a)이 설치되어 있다. 즉, 물품(10)은 변형 완구(100)의 제1 형태에 대응한 외관을 갖고 있다. 도 4의 (A)에는 형상 부분(12a) 외에, 눈, 입, 팔 및 다리 등을 비입체적으로 붙인 것을 도시했지만, 이것들은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동체부(11)의 하부에는 고자력의 네오디뮴 자석이나 사마륨코발트 자석 등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원기둥상의 영구 자석(13)이 내장되어 있다.
이어서, 도 5 내지 도 9를 사용하여, 변형 완구(100)의 변형에 관한 동작(유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도 5의 좌측을 전, 우측을 후, 안측을 우, 앞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변형 완구(100)를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을 참조)로부터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로 변형시킬 때에는, 변형 완구(100)의 다리부(111)를 탁상 등의 비교적 평탄한 면 FS 상에 두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122)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머리부(122)와 상측 동체부(121) 사이에는 안면부(123)와 동일한 캠부 및 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부(122)는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시킨 곳에서 정지한다.
계속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면부(123)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안면부(12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부(123a1)의 피걸림 결합부(123a2)에 판 스프링(123d)의 선단이 걸림 결합하기 때문에, 안면부(123)는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45도 회전시킨 곳에서 정지한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동체부(121)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측 동체부(12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각 팔부(124)를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에 적합하도록 미리 움직이게 해 둔다. 상측 동체부(12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부(121d)의 피걸림 결합부(121d1)에 조작부(113)의 걸림 결합부(113d)가 걸림 결합하기 때문에, 상측 동체부(121)는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시킨 곳에서 정지한다. 이상에 의해 변형 완구(100)가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을 참조)로부터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로 변형된다. 제1 형태의 높이는 제2 형태의 높이보다도 작아진다.
변형 완구(100)를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을 참조)로 변형시킬 때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면부(123)의 전방에 영구 자석(13)이 자성 부재(123b)와 마주 향하도록 물품(10)을 면 FS 상에 두고, 제1 형태의 변형 완구(100)를 물품(10)을 향해 급격하게 이동시킨다. 즉, 면 FS가 미끄럼이 양호한 면인 경우에는, 제1 형태의 변형 완구(100)를 손으로 강하게 눌러 면 FS 상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이 조작을 행한다. 면 FS가 미끄럼이 양호한 면이 아닌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를 상정하여, 다리부(111)의 하면에 미리 주행용 차륜을 복수개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동에 의해 제1 형태의 변형 완구(100)의 안면부(123) 내에 물품(10)이 올라타고, 또한 물품(10)이 영구 자석(13)의 자력에 의해 자성 부재(123b)에 맞닿아 흡착되면, 이때의 기세에 의해 안면부(123)가 도 9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이 회전에 기초하여 안면부(123)의 외면에 의해 조작부(113)의 돌출 부분이 후방으로 압박된다.
조작부(113)의 돌출 부분이 후방으로 압박되면, 조작부(113)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 후방 이동에 의해 조작부(113)의 걸림 결합부(113d)의 캠부(121d)의 피걸림 결합부(121d1)로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즉, 상측 동체부(121)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한다. 또한, 상측 동체부(121)의 복귀에 수반하는 충격 및 관성에 의해, 안면부(123)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당해 안면부(123)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함과 함께, 머리부(122)의 걸림 결합도 해제되고 당해 머리부(122)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한다(도 3을 참조). 이 복귀 과정에서는, 안면부(123) 내에 들어간 물품(10)은 영구 자석(13)의 자력에 의해 자성 부재(123b)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10)은 종방향 자세로 수용부(SP10)에 수용된다. 즉, 물품(10)은 면 FS 상에 놓인 횡방향 자세의 초기 상태로부터 자세가 변화되고, 변형 후의 수용부(SP10)로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는 종방향 자세가 된다. 수용부(SP10)에 수용된 물품(10)은 안면부(123) 및 머리부(122)에 의해 덮여 가려지고,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안면부(123) 또는 머리부(122)의 부재의 일부를 투명 부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안면부(123) 및 머리부(122)의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용부(SP10)에 물품(10)이 수용되어도, 물품(10)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변형 완구(100)가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을 참조)로 변형된다. 제2 형태의 높이는 제1 형태의 높이보다도 커진다.
이어서, 변형 완구(100)에 의해 얻어지는 주된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 완구(100)에 있어서의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을 참조)로의 변형을, 변형 유발용의 물품(10)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변형 시에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물품(10)을 조종자, 변형 완구(100)를 조종자가 조종하는 로봇과 같은 캐릭터로서 설정한 경우에는, 변형 후에 변형에 사용된 물품(10)이 수용부(SP10)에 수용된 상태가, 조종자가 로봇에 탑승하는 모습으로서 연출되는 것에 의해, 유희자에게 큰 흥취성을 느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형 완구(100)와 변형 유발용의 물품(10)의 세트를 유희자에게 제공하면, 변형 완구(100)와 물품(10)을 제각기 준비하는 귀찮음을 해소할 수 있음과 함께, 세트 입수 후에 상기한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즉각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변형 완구(10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1> 형상부로서의 날개부(127)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폐식의 날개부(127-1)로 하면, 날개부(127-1)의 개폐에 기초하는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날개부(127-1)를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걸림 결합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걸림 결합을 상측 동체부(121)의 복귀에 수반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면, 변형 완구(100)가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을 참조)로 변형되는 타이밍에서 날개부(127-1)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변화시켜, 당해 변화에 기초하는 즐거움 및 재미를 부가할 수 있다.
<변형예 2> 변형 완구(100)의 제2 구성부(120),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날개부(127)에, 자성 부재(123b)와 동일한 자성 부재를 내장한 적재부(127b)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변형 완구(100)가 제1 형태(장수풍뎅이 형태, 도 2를 참조)에 있을 때나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을 참조)에 있을 때에, 물품(10)을 적재부(127b)에 임의로 적재할 수 있고, 당해 적재에 기초하는 즐거움 및 재미를 부가할 수 있다.
<변형예 3> 물품(10)과 연동하는 변형 제어 기구는 동일한 동작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도 3에 도시한 기구 이외의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안면부(123)의 걸림 결합과 머리부(124)의 걸림 결합, 그리고 상기 변형예 1의 날개부(127a)의 걸림 결합을 상측 동체부(121)의 회전 변위에 수반하여 해제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상측 동체부(121)의 회전 변위를 이용하여 각각의 걸림 결합을 기계적으로 해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 완구(200)에 관한 도면이다. 이 변형 완구(200)는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와 당해 제1 형태와는 상이한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2를 참조)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일부를 제외하고, 폴리프로필렌이나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12 내지 도 14를 사용하여, 변형 완구(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12의 (A)의 앞측을 전, 안측을 후, 좌측을 우, 우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변형 완구(200)는 변형 유발용의 물품(20)(도 15를 참조)이 접촉 가능한 접촉부[수용부(SP2)의 저부, 도 14를 참조]를 갖고 있고, 접촉부[수용부(SP20)의 저부]로의 물품(20)의 접촉을 계기로 하여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변형 완구(200)는 제1 구성부(210)와, 제1 구성부(210)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구성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구성부(210)는 다리부(211)와, 다리부(211)에 설치된 하측 동체부(212)를 갖고 있다. 제2 구성부(220)는 회전 변위 가능하게 하측 동체부(212)에 설치된 상측 동체부(221)와, 상측 동체부(221)에 설치된 머리부(222)와, 머리부(222)에 설치된 한 쌍의 팔부(223)와, 머리부(222)에 설치된 턱상의 장식부(224)와, 상측 동체부(221) 또는 후기 가슴부(226)에 회전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날개부(225)와, 상측 동체부(221)에 설치된 가슴부(226)와, 가슴부(226)에 회전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턱부(227)를 갖고 있다. 턱상의 장식부(224)와 좌우 한 쌍의 턱부(227)는 사슴벌레에 대응한 형상부이다.
즉, 변형 완구(200)의 제2 구성부(220)는 제1 구성부(210)에 대한 회전 변위가 가능해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하측 동체부(212)의 상면과 상측 동체부(221)의 하면은 상호 접촉에 의해 제2 구성부(220)의 회전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부호 생략)로 되어 있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변형 완구(200)는 변형 제어 기구[부호 생략, 조작부(228f)]를 갖고, 변형 제어 기구는 접촉부[수용부(SP20)의 저부]에 물품(20)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제1 구성부(210)가 제2 구성부(220)를 제1 형태로 보유 지지 가능하게 제어하고, 또한 접촉부[수용부(SP20)의 저부]에 물품(20)이 접촉한 것을 조건으로 제1 구성부(210)에 의한 제2 구성부(220)의 보유 지지를 해제 가능하게 제어한다. 덧붙여 말하면, 변형 완구(200)는 변형 완구(200)의 제2 구성부(220)에 있어서의 상측 동체부(221)의 회전 변위와, 날개부(225)의 회전 변위를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동력원으로서 갖고, 이것들의 탄성 부재는 모두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이다.
제1 구성부(210)의 구성을 도 14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리부(211)는 위에서 볼 때 대략 U자상을 이루고 있고, 하측 동체부(212)는 대략 4각뿔대상을 이루고 있다. 하측 동체부(212)의 상부 전방측의 좌우 양측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1/4원상의 홈부(212a)(도면 중의 부호의 기재를 생략)가 형성되고, 상부 전방측의 중앙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1/2원상의 축부(21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부(212b)의 외주면에는 피걸림 결합부(212b1)가 설치되어 있고, 축부(212b)의 중심에는 샤프트(212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구성부(220)의 구성을 도 14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측 동체부(221)의 하부 전방측의 좌우 양측에는 대략 1/2원상의 축부(221a)가 설치되어 있고, 양 축부(221a)는 샤프트(212c)의 좌우 양측의 돌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상측 동체부(221)는 샤프트(212c)의 축선을 중심[도 12의 (D)의 RS21을 참조]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상측 동체부(221)는 샤프트(212c)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도 1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머리부(222)의 좌우 양측에는 대략 원통상의 팔 설치부(222a)가 설치되어 있다. 각 팔부(223)은 상완부와 전완부와 손부와 3개의 연결 레버로 이루어지고(모두 부호 생략), 상완부의 상측의 연결 레버의 단부가 각 팔 설치부(222a)에 설치되어 있다. 상완부는 팔 설치부(221d)에 비해 3차원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완부는 상완부에 비해 3차원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손부는 전완부에 비해 3차원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머리부(222)의 후방부에는 물품(20)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SP20)가 설치되어 있다.
날개부(225)는 머리부(222)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도시 생략의 샤프트의 축선을 중심[도 12의 (D)의 RS22를 참조]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날개부(225)는 샤프트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도 14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날개부(225)는 물품(20)의 수용부(SP20)로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SP20)를 폐색 가능한 피복부라고 할 수 있다.
가슴부(226) 좌우 양측에는 각 턱부(227)의 단부에 설치한 핀(227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멍이 있는 지지부(2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각 턱부(227)는 도 12의 (C)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각 턱부(227)를 도 12의 (C)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움직이게 한 경우에는, 각 턱부(227)의 선단부가 앞에서 보이도록 되기 때문에, 제2 형태에 있어서 장식적인 역할을 다하게 된다.
제2 구성 부재(220)의 내부에는 변형 제어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 레버(228)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레버(228)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L자상을 이루고 있고, 상측 동체부(221)에 설치된 핀(228a)과의 협동에 의해 직선 안내를 행하는 긴 구멍(228b)을 갖고 있고, 압축 스프링(228c)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가동 레버(228)는 하부 후방측의 단부가 걸림 결합부(228d)로 되어 있다. 또한, 가동 레버(228)는 조작부(228f)의 이동을 안내하는 사행한 구멍(22f)을 상부에 갖고 있다. 구멍(22f)에는 스테인리스 등의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반상의 자성 부재(228g)가 후방면에 설치된 조작부(228f)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조작부(228f)는 인장 스프링(228h)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조작부(228f)의 자성 부재(228g)는 수용부(SP20)의 저부에 간격을 두고 마주 향하고 있다.
이어서, 도 15를 사용하여, 변형 유발용의 물품(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15의 (A)의 앞측을 전, 안측을 후, 좌측을 우, 우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물품(20)은 동체부(21) 및 머리부(22)를 갖는 인형 형태로 되어 있고, 머리부(22)에는 변형 완구(200)의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에 대응한 형상 부분(22a)이 설치되어 있다. 즉, 물품(20)은 변형 완구(200)의 제1 형태에 대응한 외관을 갖고 있다. 도 15의 (A)에는 형상 부분(22a) 외에, 눈, 입, 팔 및 다리 등을 비입체적으로 붙인 것을 도시했지만, 이것들은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동체부(21)의 하부에는 고자력의 네오디뮴 자석이나 사마륨코발트 자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상의 영구 자석(23)이 내장되어 있다.
이어서, 도 16 및 도 17을 사용하여, 변형 완구(200)의 변형에 관한 동작(유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도 16의 좌측을 전, 우측을 후, 안측을 우, 앞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변형 완구(200)를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2를 참조)로부터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로 변형시킬 때에는, 변형 완구(200)의 다리부(211)를 탁상 등의 비교적 평탄한 면 FS 상에 두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성부(220)를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1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구성부(2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각 팔부(223)를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에 적합하도록 미리 움직이게 해 둔다. 제2 구성부(2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부(212b)의 피걸림 결합부(212b1)에 가동 레버(228)의 걸림 결합부(228d)가 걸림 결합하기 때문에, 제2 구성부(220)는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시킨 곳에서 정지한다. 이상에 의해 변형 완구(200)가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2를 참조)로부터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로 변형된다. 제1 형태의 높이는 제2 형태의 높이보다도 작아진다.
변형 완구(200)를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2를 참조)로 변형시킬 때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SP20)를 덮는 날개부(225)를 개방하여 수용부(SP20)를 노출시키고 나서 수용부(SP20)에 물품(20)을 삽입한다. 이 삽입에 의해 물품(20)이 수용부(SP20)의 저부에 맞닿으면, 영구 자석(23)의 자력에 의해 자성 부재(228e) 및 조작부(228f)가 끌어 당겨져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상방 이동에 의해 가동 레버(228)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 전방 이동에 의해 가동 레버(228)의 걸림 결합부(228a)의 축부(212b)의 피걸림 결합부(212b1)로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즉, 제2 구성부(220)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한다(도 14를 참조). 이 복귀 과정에서는, 수용부(SP20)에 삽입된 물품(20)은 영구 자석(23)의 자력에 의해 자성 부재(228g)에 끌어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SP20) 내의 물품(20)은 횡방향 자세가 된다. 즉, 물품(20)은 수용부(SP20)의 저부에 맞닿게 할 때의 종방향 자세의 초기 상태로부터 변화되고, 변형 후의 수용부(SP20)로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는 횡방향 자세가 된다. 수용부(SP20)에 수용된 물품(20)은 날개부(225)에 의해 덮여 가려져,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날개부(225)에 개구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날개부(225)의 부재의 일부를 투명 부재로 함으로써, 수용부(SP20)에 물품(20)이 수용되어도, 물품(20)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변형 완구(200)가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2를 참조)로 변형된다. 제2 형태의 높이는 제1 형태의 높이보다도 커진다.
이어서, 변형 완구(200)에 의해 얻어지는 주된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 완구(200)에 있어서의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2를 참조)로의 변형을, 변형 유발용의 물품(20)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변형 시에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물품(20)을 조종자, 변형 완구(200)를 조종자가 조종하는 로봇과 같은 캐릭터로서 설정한 경우에는, 변형 후에 변형에 사용된 물품(20)이 수용부(SP20)에 수용된 상태가, 조종자가 로봇에 탑승하는 모습으로서 연출되는 것에 의해, 유희자에게 큰 흥취성을 느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형 완구(200)와 변형 유발용의 물품(20)의 세트를 유희자에게 제공하면, 변형 완구(200)와 물품(20)을 제각기 준비하는 귀찮음을 해소할 수 있음과 함께, 세트 입수 후에 상기한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즉각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변형 완구(20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1> 형상부로서의 턱부(227)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상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걸림 결합에 의해 하향 상태로 유지하는 턱부(227-1)의 구성으로 하고, 이 걸림 결합을 제2 구성부(220)의 복귀에 수반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면, 변형 완구(200)가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2를 참조)로 변형되는 타이밍에서 턱부(227)를 하향 상태로부터 상향 상태로 변화시켜, 당해 변화에 기초하는 즐거움 및 재미를 부가할 수 있다.
<변형예 2> 변형 완구(200)의 제2 구성부(220),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슴부(226)에, 자성 부재(123b)와 동일한 자성 부재를 내장한 적재부(226b)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변형 완구(200)가 제1 형태(사슴벌레 형태, 도 13을 참조)에 있을 때나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12를 참조)에 있을 때에, 물품(20)을 적재부(226b)에 임의로 적재할 수 있고, 당해 적재에 기초하는 즐거움 및 재미를 부가할 수 있다.
<변형예 3> 물품(20)과 연동하는 변형 제어 기구는, 동일한 동작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도 14에 도시한 기구 이외의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변형예 1의 턱부(227-1)의 걸림 결합을 제2 구성부(220)의 회전 변위에 수반하여 해제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제2 구성부(220)의 회전 변위를 이용하여 걸림 결합을 기계적으로 해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20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 완구(300)에 관한 도면이다. 이 변형 완구(300)는 제1 형태(벌 형태, 도 21을 참조)와 당해 제1 형태와는 상이한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20을 참조)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일부를 제외하고, 폴리프로필렌이나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20 내지 도 24를 사용하여, 변형 완구(3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20의 (A)의 앞측을 전, 안측을 후, 좌측을 우, 우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변형 완구(300)는 변형 유발용의 물품(30)(도 25를 참조)이 접촉 가능한 접촉부[조작부(323), 도 24를 참조]를 갖고 있고, 접촉부[조작부(323)]로의 물품(30)의 접촉을 계기로 하여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변형 완구(300)는 제1 구성부(310)와, 제1 구성부(310)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구성부(3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구성부(310)는, 다리부(311)와, 다리부(311)에 설치된 동체부(312)와, 동체부(312)의 우측에 설치된 제1 팔부(313)와, 동체부(312)의 좌측에 설치된 제2 팔부(314)와, 제1 팔부(313)에 설치된 적재부(315)와, 적재부(315)에 회전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날개부(316)를 갖고 있다. 제2 구성부(320)는 직선 변위 가능하게 동체부(312)에 설치된 안면부(321)와, 회전 변위 가능하게 안면부(321)에 설치된 머리부(322)를 갖고 있다. 제1 팔부(313)와 제2 팔부(314)는 벌에 대응한 형상부(벌의 헤드와 배)이고, 제1 팔부(313)에 설치된 촉각부(313a)도 벌에 대응한 형상부(촉각)이고, 제2 팔부(314)에 설치된 침부(314a)도 벌에 대응한 형상부(바늘)이다.
즉, 변형 완구(300)의 제2 구성부(320)는 제1 구성부(310)에 대한 직선 변위가 가능해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동체부(312)의 일부[격벽부(312c), 도 24를 참조]와 안면부(321)의 일부[걸림 결합부(321e1)]는 상호 접촉에 의해 제2 구성부(320)의 직선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부호 생략)로 되어 있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변형 완구(300)는 변형 제어 기구[부호 생략, 조작부(323)를 포함함]를 갖고, 변형 제어 기구는 접촉부[조작부(323)]에 물품(30)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제1 구성부(310)가 제2 구성부(320)를 제1 형태로 보유 지지 가능하게 제어하고, 또한 접촉부[조작부(323)]에 물품(30)이 접촉한 것을 조건으로 제1 구성부(310)에 의한 상기 제2 구성부(120)의 보유 지지를 해제 가능하게 제어한다. 덧붙여 말하면, 변형 완구(300)는 변형 완구(300)의 제1 구성부(310)에 있어서의 제1 팔부(313)의 회전 변위의 동력원과, 제2 팔부(314)의 회전 변위와, 날개부(316)의 회전 변위를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동력원으로서 갖고, 이것들의 탄성 부재는 모두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이고, 제2 구성부(320)에 있어서의 안면부(321)의 직선 변위와, 머리부(322)의 회전 변위를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는 모두 압축 스프링이나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이다.
제1 구성부(310)의 구성을 도 21 내지 도 24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리부(311)는 위에서 볼 때 대략 십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동체부(312)는 대략 4각통상을 이루고 있다. 동체부(312)의 상부의 좌우 양측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의 세로로 긴 구멍(312a)이 마련되고, 각 세로로 긴 구멍(312a)에는 샤프트(312b)가 설치되고, 동체부(312)의 내부에는 격벽부(312c)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팔부(313)의 단부에는 전방에서 볼 때 대략 3/4원상의 캠부(313b)가 설치되고, 캠부(313b)의 주위면에는 돌기(313b1)가 설치되어 있다. 캠부(313b)는 동체부(312)의 우측의 세로로 긴 구멍(312a)에 삽입된 부분을 샤프트(31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제1 팔부(313)는 샤프트(312b)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도 24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제2 팔부(314)의 단부에는 전방에서 볼 때 대략 3/4원상의 캠부(314b)가 설치되고, 캠부(314b)의 주위면에는 돌기(314b1)가 설치되어 있다. 캠부(314b)는 동체부(312)의 좌측의 세로로 긴 구멍(312a)에 삽입된 부분을 샤프트(31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제2 팔부(314)는 샤프트(312b)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도 2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적재부(315)의 후방부에는 위에서 볼 때 대략 1/3원상의 절결부(31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재부(315)의 내부에는 하면에 2개의 걸림 결합 오목부(315b1)를 갖는 대략 원기둥상의 가동반(315b)이 설치되어 있고, 가동반(315b)의 상면에는 스테인리스 등의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자성 부재(315c)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반(315b)은 압축 스프링(315d)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각 날개부(316)의 단부에는 제1 팔부(313)에 형성된 구멍(313c)에 삽입된 축부(316a)가 설치되어 있고, 단부의 상면에는 가동반(315b)의 걸림 결합 오목부(315b1)에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 결합 볼록부(316b)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각 날개부(316)는 축부(316a)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각각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각 날개부(316)는 축부(316a)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각각의 걸림 결합 볼록부(316b)가 가동반(315b)의 걸림 결합 오목부(315b1) 각각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날개부(316)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한편, 각각의 걸림 결합 볼록부(316b)가 가동반(315b)의 걸림 결합 오목부(315b1) 각각에 걸림 결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날개부(316)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각 날개부(316)의 최대 개방 각도는 적재부(315)의 절결부(315a)의 각 단과의 맞닿음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제2 구성부(320)의 구성을 도 24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안면부(321)는 대략 4각통상을 이루고 있다. 안면부(321)의 상부에는 물품(30)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SP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면부(321)의 좌우 양측에는 축부(321a)가 설치되고, 수용부(SP30)의 저부의 중앙에는 구멍(321b)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는 스테인리스 등의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링상의 자성 부재(315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면부(321)의 좌우 양측에는 대략 반구상의 돌기(321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면부(321)의 하부에는 좌우 2개의 가이드 레버(321e)가 설치되어 있고, 각 가이드 레버(321e)의 하단 내측에는 걸림 결합부(321e)가 설치되어 있다. 안면부(321)의 수용부(SP30)의 저부와 동체부(312)의 격벽부(312c)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321f)이 설치되어 있고, 안면부(321)는 이 압축 스프링(321f)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레버(321e)의 내측에는 동체부(312)에 설치된 샤프트(부호 생략)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상의 피걸림 결합부(321g)가 각 가이드 레버(321e)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각 피걸림 결합부(321g)는 도 24에 도시한 걸림 결합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샤프트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제2 구성부(320)의 안면부(321)의 내부에는 변형 제어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조작부(3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323)는 막대상이고, 대략 원뿔대상의 걸림 결합부(323a)를 그 하단에 갖고 있다. 조작부(323)는 막대상 부분이 수용부(SP30)의 저부의 구멍(321b)에 삽입되어 있고, 상단부를 구멍(321b)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걸림 결합부(323a)를 각 피걸림 결합부(321g)의 내측 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머리부(322)는 수용부(SP30)를 폐색 가능한 형을 이루고 있고, 좌우 양측에 설치된 다리부(322a)를 안면부(321)의 축부(321a)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했지만, 머리부(322)는 축부(321a) 각각의 주위에 설치한 비틀기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후방(도 24의 우측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머리부(322)와 안면부(321) 사이에는 머리부(322)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요철 끼워 맞춤 등에 의한 걸림 결합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25를 사용하여, 변형 유발용의 물품(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25의 (A)의 앞측을 전, 안측을 후, 좌측을 우, 우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물품(30)은 동체부(31) 및 머리부(32)를 갖는 인형 형태로 되어 있고, 머리부(32)에는 변형 완구(300)의 제1 형태(벌 형태, 도 21을 참조)에 대응한 형상 부분(32a)이 설치되어 있다. 즉, 물품(30)은 변형 완구(300)의 제1 형태에 대응한 외관을 갖고 있다. 도 25의 (A)에는 형상 부분(22a) 외에, 눈, 입, 팔 및 다리 등을 비입체적으로 붙인 것을 도시했지만, 이것들은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동체부(31)의 하부에는 고자력의 네오디뮴 자석이나 사마륨코발트 자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상의 영구 자석(13)이 내장되어 있다.
이어서, 도 26 및 도 27을 사용하여, 변형 완구(300)의 변형에 관한 동작(유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도 27의 (A)의 앞측을 전, 안측을 후, 좌측을 우, 우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이것들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변형 완구(200)를 제1 형태(벌 형태, 도 21을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20을 참조)로 변형시킬 때에는, 변형 완구(200)의 다리부(211)를 탁상 등의 비교적 평탄한 면 상에 두고,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부(315)에 물품(30)을 적재한다. 적재부(315)에 물품(30)이 적재되면, 영구 자석(33)의 자력에 의해 자성 부재(315c) 및 가동반(315b)이 끌어 당겨져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상방 이동에 의해 가동반(315b)의 각 걸림 결합 오목부(315b1)가 각 날개부(316)의 걸림 결합 볼록부(316b)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날개부(316)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즉, 각 날개부(316)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변화되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면부(321)의 상단이 노출되어 수용부(SP30)가 보이게 된다.
계속해서,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SP30)에 물품(30)을 삽입한다. 삽입된 물품(30)은 영구 자석(33)의 자력에 의해 자성 부재(321c)에 끌어 당겨지기 때문에, 이 끌어당김에 의해 조작부(323)의 돌출 부분이 물품(30)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된다. 조작부(323)의 돌출 부분이 압박되면 당해 조작부(323)의 걸림 결합부(323a)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하방 이동에 의해 각 피걸림 결합부(321g)의 내측 단부가 하방으로 압박되어 회전하고, 각 가이드 레버(321e)의 걸림 결합부(321e1)로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각 가이드 레버(321e)의 걸림 결합부(321e1)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면부(321)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각 가이드 레버(321e)의 걸림 결합부(321e1)가 격벽부(312)에 걸린 곳에서 상방 이동이 정지한다. 즉, 안면부(321)의 상부가 동체부(312)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보이게 된다.
또한, 안면부(321)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돌기(321d)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 팔부(313)의 돌기(313b1)와 제2 팔부(314)의 돌기(314b1)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이 이격에 의해 제1 팔부(313)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2 팔부(314)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안면부(321)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방 이동에 수반하는 충격 및 관성에 의해, 머리부(322)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고, 당해 머리부(322)가 안면부(321)의 상단을 덮는다. 즉, 머리부(322)는 물품(30)의 수용부(SP30)로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SP30)를 폐색 가능한 피복부라고 할 수 있다. 수용부(SP30)에 수용된 물품(30)은 머리부(322)에 의해 덮여 가려져,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안면부(321) 및 머리부(322)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 부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안면부(321) 및 머리부(32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용부(SP30)에 물품(30)이 수용되어도, 물품(30)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변형 완구(300)가 제1 형태(벌 형태, 도 21을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20을 참조)로 변형된다. 제2 형태의 높이는 제1 형태의 높이보다도 커진다.
변형 완구(200)를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20을 참조)로부터 제1 형태(벌 형태, 도 21을 참조)로 변형시킬 때에는, 머리부(322)를 개방하여 걸림 결합시켜, 수용부(SP30)로부터 물품(30)을 취출한다. 계속해서, 안면부(32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각 가이드 레버(321e)의 걸림 결합부(321e)를 피걸림 결합부(321g) 각각에 걸림 결합시킨다(도 24를 참조). 안면부(32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각 돌기(321d)에 의해 제1 팔부(313)의 돌기(313b1)와 제2 팔부(314)의 돌기(314b1)가 각각 하방으로 압박되고, 제1 팔부(313)와 제2 팔부(314)가 복귀된다[도 21의 (B)를 참조]. 계속해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각 날개부(316)를 폐쇄된 상태로 복귀시킨다[도 21의 (A)를 참조]. 이상에 의해 변형 완구(300)가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20을 참조)로부터 제1 형태(벌 형태, 도 21을 참조)로 변형된다. 제1 형태의 높이는 제2 형태의 높이보다도 작아진다.
이어서, 변형 완구(300)에 의해 얻어지는 주된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 완구(300)에 있어서의 제1 형태(벌 형태, 도 21을 참조)로부터 제2 형태(인형 형태, 도 20을 참조)로의 변형을, 변형 유발용의 물품(30)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변형 시에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물품(30)을 조종자, 변형 완구(300)를 조종자가 조종하는 로봇과 같은 캐릭터로서 설정한 경우에는, 변형 후에 변형에 사용된 물품(30)이 수용부(SP30)에 수용된 상태가, 조종자가 로봇에 탑승하는 모습으로서 연출되는 것에 의해, 유희자에게 큰 흥취성을 느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형 완구(300)와 변형 유발용의 물품(30)의 세트를 유희자에게 제공하면, 변형 완구(300)와 물품(10)을 제각기 준비하는 귀찮음을 해소할 수 있음과 함께, 세트 입수 후에 상기한 즐거움 및 재미를 유희자에게 즉각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변형 완구(10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1> 물품(30)과 연동하는 변형 제어 기구는, 동일한 동작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도 24에 도시한 기구 이외의 기구를 채용해도 되고, 물품(30)과 연동하는 날개부 개방 기구도, 동일한 동작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도 23에 도시한 기구 이외의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또는, 안면부(322)의 걸림 결합을 안면부(320)의 직선 변위에 수반하여 해제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안면부(320)의 직선 변위를 이용하여 걸림 결합을 기계적으로 해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00 : 변형 완구
110 : 제1 구성부
111 : 다리부
112 : 하측 동체부
113 : 조작부
120 : 제2 구성부
121 : 상측 동체부
122 : 머리부
123 : 안면부(피복부)
123b : 자성 부재
124 : 팔부
125, 126 : 코너부
127, 127-1 : 날개부
127b : 적재부
SP10 : 수용부
10 : 물품
13 : 영구 자석
200 : 변형 완구
210 : 제1 구성부
211 : 다리부
212 : 하측 동체부
220 : 제2 구성부
221 : 상측 동체부
222 : 머리부
223 : 팔부
224 : 장식부
225 : 날개부
226 : 가슴부
226b : 적재부
227 : 턱부
228 : 가동 레버
228 : 조작부
228g : 자성 부재
SP20 : 수용부
20 : 물품
23 : 영구 자석
300 : 변형 완구
310 : 제1 구성부
311 : 다리부
312 : 동체부
313 : 제1 팔부
314 : 제2 팔부
315 : 적재부
316 : 날개부
320 : 제2 구성부
321 : 안면부
321c : 자성 부재
322 : 머리부
323 : 조작부
SP30 : 수용부
30 : 물품
33 : 영구 자석

Claims (23)

  1. 제1 형태와 당해 제1 형태와는 상이한 제2 형태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 완구이며,
    상기 변형 완구는, 변형 유발용의 물품이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접촉부로의 상기 물품의 접촉을 계기로 하여 상기 제1 형태로부터 상기 제2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변형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구는, 제1 구성부와, 상기 제1 구성부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구성부를 구비하는,
    변형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부에 대한 상기 제2 구성부의 변위는 회전 변위인,
    변형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구는 상기 제2 구성부의 회전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변형 완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부에 대한 상기 제2 구성부의 변위는 직선 변위인,
    변형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구는, 상기 제2 구성부의 직선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변형 완구.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구는, 상기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는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변위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변형 완구.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구성부에 설치되는,
    변형 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자성 부재를 갖고,
    상기 물품은, 상기 자성 부재에 자력이 미칠 수 있는 영구 자석을 갖는,
    변형 완구.
  1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구는, 상기 제1 형태로부터 상기 제2 형태로의 변형을 제어하는 변형 제어 기구를 갖고,
    상기 변형 제어 기구는, 상기 접촉부에 상기 물품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 구성부가 상기 제2 구성부를 보유 지지 가능하게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접촉부에 상기 물품이 접촉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 구성부에 의한 상기 제2 구성부의 보유 지지를 해제 가능하게 제어하는,
    변형 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제어 기구는, 상기 접촉부로의 상기 물품의 접촉에 따라 상기 제2 구성부의 보유 지지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변형 완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접촉부에 상기 물품이 접촉했을 때에 상기 제2 구성부의 일부를 통해 조작되도록 구성되는,
    변형 완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접촉부에 상기 물품이 접촉했을 때에 중계 부재를 통해 조작되도록 구성되는,
    변형 완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접촉부에 상기 물품이 접촉했을 때에 당해 물품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되는,
    변형 완구.
  1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구는,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상기 접촉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상기 제2 구성부에 갖는,
    변형 완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당해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피복부가 설치되는,
    변형 완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상기 물품의 상기 수용부로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 당해 수용부를 폐색 가능하게 구성되는,
    변형 완구.
  1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태는 인형 형태를 제외한 생물형 형태이고, 상기 제2 형태는 인형 형태이고,
    상기 제1 구성부는 상기 제1 형태 및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부는 상기 제1 형태 및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의 머리부를 포함하는,
    변형 완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구의 높이는 상기 제1 형태보다도 상기 제2 형태의 쪽이 큰,
    변형 완구.
  2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부는,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상기 물품을 적재 가능한 적재부를 갖는,
    변형 완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부는, 상기 적재부로의 상기 물품의 적재에 의한 변형에 따라 동작하는 형상부를 갖는,
    변형 완구.
  2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변형 완구와, 제1항 또는 제9항에 기재된 변형 유발용의 물품을 구비하는,
    변형 완구 세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완구의 제1 형태가 인형 형태를 제외한 생물형 형태일 때, 상기 물품은 당해 인형 형태를 제외한 생물형 형태에 대응한 외관을 갖는,
    변형 완구 세트.
KR1020180136443A 2017-11-14 2018-11-08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 세트 KR201900549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18787A JP6481013B1 (ja) 2017-11-14 2017-11-14 変形玩具、及び変形玩具セット
JPJP-P-2017-218787 2017-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939A true KR20190054939A (ko) 2019-05-22

Family

ID=6538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443A KR20190054939A (ko) 2017-11-14 2018-11-08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81013B1 (ko)
KR (1) KR20190054939A (ko)
CN (2) CN1093644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1249A (zh) * 2019-07-23 2020-09-25 株式会社万代 玩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5369B2 (ja) * 2020-03-25 2023-08-14 株式会社バンダイ 形態変化玩具
JP6942220B1 (ja) * 2020-05-27 2021-09-29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部品及び人形玩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4887U (ja) 1983-05-09 1984-11-22 株式会社 タカラ 昆虫ロボツト玩具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3480A (ja) * 1984-05-30 1985-12-14 株式会社 タカラ 形態変化玩具
JPS62275483A (ja) * 1986-05-22 1987-11-30 株式会社 タカラ 自動形態変化組合せ玩具
JPH0530471Y2 (ko) * 1986-11-17 1993-08-04
CN2062242U (zh) * 1989-03-18 1990-09-19 新利年五金塑胶有限公司 头形构件玩具
CN2129164Y (zh) * 1992-08-26 1993-04-07 赵幼仪 猪八戒三十六变
JP2980189B2 (ja) * 1994-08-31 1999-11-22 株式会社タカラ 形態変化玩具
JP3198094B2 (ja) * 1998-10-30 2001-08-13 株式会社バンダイ 変身玩具
JP4242018B2 (ja) * 1999-08-31 2009-03-18 株式会社バンダイ 変形ロボット玩具
JP4242015B2 (ja) * 1999-08-31 2009-03-18 株式会社バンダイ 変形ロボット玩具
JP3965384B2 (ja) * 2003-12-19 2007-08-2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玩具用組立ユニット及び形態変形玩具
JP3887374B2 (ja) * 2003-12-19 2007-02-2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形態変形玩具
CN1909948B (zh) * 2004-01-14 2010-10-20 科乐美数码娱乐株式会社 形态变形玩具及玩具用脚结构
JP4859206B2 (ja) * 2006-02-20 2012-01-25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玩具
CN201073548Y (zh) * 2007-09-21 2008-06-18 骆毅斯 一种变形弹丸玩具
JP3141097U (ja) * 2008-01-12 2008-04-2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人形体放出玩具
JP2009189521A (ja) * 2008-02-14 2009-08-27 Tomy Co Ltd 形態変化玩具
JP4598839B2 (ja) * 2008-03-17 2010-12-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形態変化玩具
JP5606033B2 (ja) * 2008-11-04 2014-10-15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変形玩具
CN201862263U (zh) * 2010-08-27 2011-06-15 万代贸易(广州)有限公司 一种变形玩具
JP4908623B1 (ja) * 2010-12-01 2012-04-04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CN202146609U (zh) * 2011-08-15 2012-02-22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弹性开闭的玩具
KR101327305B1 (ko) * 2012-02-24 2013-11-11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JP5650266B2 (ja) * 2013-03-22 2015-01-07 株式会社バンダイ 形態変化玩具
CN203736838U (zh) * 2014-03-07 2014-07-30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方形体变形玩具
JP2015013100A (ja) * 2014-04-23 2015-01-22 株式会社バンダイ 変形玩具及び遊戯システム
JP3192453U (ja) * 2014-06-05 2014-08-14 有限会社イング二十一 合体変形玩具
CN107261509A (zh) * 2017-07-17 2017-10-20 广州叻猫动漫文化有限公司 一种变形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4887U (ja) 1983-05-09 1984-11-22 株式会社 タカラ 昆虫ロボツト玩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1249A (zh) * 2019-07-23 2020-09-25 株式会社万代 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64495B (zh) 2021-02-19
CN112957746A (zh) 2021-06-15
CN109364495A (zh) 2019-02-22
CN112957746B (zh) 2022-08-19
JP6481013B1 (ja) 2019-03-13
JP2019088431A (ja)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939A (ko)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 세트
EP2051787B1 (en) Dolls with alterable facial features
JP3192453U (ja) 合体変形玩具
US6224456B1 (en) Doll having an arm movement mechanism using a rear-facing lever
EP2358452B1 (en) Doll with dress that transforms to wings
US6012962A (en) Toy figure insect having articulated wings and appendages
US4402158A (en) Toy employing governor to control rate of movement of movable member
JPS59101180A (ja) 動物活動玩具
US20080293324A1 (en) Toy doll system
US2633670A (en) Hand puppet
JP6976979B2 (ja) 変形玩具、及び変形玩具セット
US3693288A (en) Grasping hand for doll
US20190262730A1 (en) Toy figurine having alternative movement configurations
US4761150A (en) Moving eye for dolls
US10421027B2 (en) Interactive robotic toy
CN115721087A (zh) 带可移动元件的存储设备
US3900991A (en) Ventriloquist doll
WO2010073910A1 (ja) 携帯装飾品及び装飾玩具
US3629971A (en) Drawing doll assembly
CN209060514U (zh) 钓夹式玩具结构
CN220587671U (zh) 存储设备
JP7454732B1 (ja) 変形玩具
JP2013223583A (ja) 玩具
JP3021352U (ja) 変身玩具
US2779132A (en)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