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798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798A
KR20190053798A KR1020180136305A KR20180136305A KR20190053798A KR 20190053798 A KR20190053798 A KR 20190053798A KR 1020180136305 A KR1020180136305 A KR 1020180136305A KR 20180136305 A KR20180136305 A KR 20180136305A KR 20190053798 A KR20190053798 A KR 2019005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termediate transfer
transfer belt
cleaning roll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헤이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07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091002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06Developing
    • G03G13/10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e.g. liquid suspen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47Cleaning of transfer member
    • G03G2215/1661Cleaning of transfer member of 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05Cleaning of residual toner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1); 토너와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41)를 포함하고,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4);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91);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잔류하는 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11a);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해 당접 및 이간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클리닝 롤러에 의해 회수된 액체 현상제를 제거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11b);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해 당접 및 이간시키는 이간 기구; 및 화상 형성의 개시에 따라, 상기 현상 롤러로부터 상기 상 담지체에 상기 캐리어 액을 공급한 후,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 현상제를 사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동하는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와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사용해서 토너상으로 현상하고, 현상된 토너상을 중간 전사 부재에 1차 전사하고, 중간 전사 부재에 전사된 토너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드럼 표면에 당접하는 현상 롤러에 의해 현상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 현상제가 드럼 표면에 공급되면서, 토너상이 형상된다.
또한, 상술한 장치에서는, 1차 전사 후에 남은 전사 잔류 토너를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드럼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고무 등으로 구성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닝 블레이드(이하, 간단히 블레이드라고도 칭함)가 드럼 표면의 당접 위치에서 당접한다. 단, 이 블레이드가 회동이 정지된 감광 드럼에 당접하는 상태로 유지되면, 드럼 표면에 남아있는 액체 현상제의 증발에 의해 블레이드가 드럼 표면에 달라붙거나, 혹은 드럼 표면의 당접 위치에 줄무늬 상의 고착물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 블레이드는 감광 드럼에 대하여 접촉 및 이간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작업의 종료 시에 드럼 표면으로부터 이간되며, 화상 형성 작업의 개시 시에 드럼 표면에 당접하도록 제어된다(일본 PCT 국제 공개 공보 제2008-508562호).
또한,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는 액체 현상제가 아니라 건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지만, 복수의 감광 드럼이 중간 전사 벨트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탠덤형 화상 형성 장치가 종래 기술에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0-66452호).
최근에는, 액체 현상제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0-66452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중간 전사 벨트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려는 요망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중간 전사 벨트에 잔류하는 토너를 회수할 필요가 있다. 중간 전사 부재에 잔류하는 토너를 회수하는 클리닝 장치로서, 금속의 클리닝 롤러를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하게 하고, 클리닝 롤러에 클리닝 바이어스를 인가시켜서 토너를 전기적으로 회수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클리닝 롤러에 의해 회수된 토너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클리닝 롤러에 당접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회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클리닝 롤러에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클리닝 롤러가 회동되는 경우, 클리닝 롤러와 클리닝 블레이드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클리닝 블레이드가 극도로 마모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결과적으로, 클리닝 롤러가 손상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와 클리닝 롤러 사이에 절삭편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은 화상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다. 즉, 금속 롤러에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금속 롤러에 금속 블레이드가 당접하여 금속 롤러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결함을 억제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이하를 갖는다:
화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
토너와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잔류하는 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해 당접 및 이간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클리닝 롤러에 의해 회수된 상기 액체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해 당접 및 이간시키는 이간 기구; 및
화상 형성의 개시에 따라, 상기 현상 롤러로부터 상기 상 담지체에 상기 캐리어 액을 공급한 후,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당접 및 이간 제어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각각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4a는 클리닝 블레이드가 당접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도면이고, 도 4b는 클리닝 블레이드가 이간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당접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당접 시퀀스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간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간 시퀀스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각각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9a는 클리닝 장치가 당접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도면이고, 도 9b는 클리닝 장치가 이간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당접 및 이간 제어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당접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당접 시퀀스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간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간 시퀀스의 타이밍 차트이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PY, PM, PC, PBk)가 배열된 탠덤형 중간 전사 시스템의 풀 컬러 프린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화상 형성부(PY 내지 PBk)가 중간 전사 벨트(91)의 이동 방향에서 직렬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동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순서로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와 통신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나 화상 판독 장치 등의 외부 호스트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따라서 형성된 컬러 화상을, 기록재(S)에 출력할 수 있다. 기록재(S)의 예는, 60 내지 350g/m2의 평균 평량을 갖는 커트 시트, OHT(over head transparency)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프린트 신호에 따라서 색 분해된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이 화상 신호에 따라서 각 화상 형성부(PY 내지 PBk)에 의해 각 색의 토너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부(PY 내지 PBk)에 의해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을 미리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간 전사 벨트(91)에 연속적으로 다중-전사하고, 그 후 중간 전사 벨트(91)로부터 다중-전사된 토너상을 기록재(S)에 한 번에 전사한다. 토너상이 한 번에 전사된 기록재(S)는 정착 장치(13)에 반송된다. 기록재(S)는 정착 장치(13)에 반송되어서 가열 및 가압되거나, 혹은 자외선으로 조사됨으로써, 토너상이 기록재(S)에 정착된다. 정착 장치(13)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기록재(S)는, 기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재(S)에 컬러 화상이 출력된다.
[화상 형성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k)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PY 내지 PBk)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화상 형성부(PY 내지 PBk)는, 현상 장치(4Y 내지 4Bk)에 사용되는 토너의 색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화상 형성부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있지 않은 한은, 각 화상 형성부(PY 내지 PBk)를 구별하기 위해서 할당되는 참조 부호의 말미의 Y, M, C, 및 Bk를 생략하고 화상 형성부(PY 내지 PBk)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부(P)에서는, 감광 드럼(1)의 주위에 대전 장치(2), 노광 장치(3), 현상 장치(4) 및 드럼 클리닝 장치(7)가 배치된다. 제1 상 담지체 또는 제2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은, 도전성 알루미늄 실린더의 외주면에 비정질 실리콘 감광층이 형성된 광도전체, 또는 유기 광도전체(OPC) 드럼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외경이 84 mm이고, 길이 폭(회동 축선 방향의 길이)이 380 mm인 감광 드럼(1)을 사용했다. 감광 드럼(1)은, 드럼 구동 모터(51)에 의해, 예를 들어 주속도 500 mm/초의 프로세스 속도로 도면 중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동된다. 일반적으로, 감광 드럼(1), 현상 롤러(41), 및 중간 전사 벨트(91)는 모두 동일한 프로세스 속도로 구동된다.
대전 장치(2)는 예를 들어 스코로트론 시스템의 코로나 대전기이며,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한 부극성 암부 전위(예를 들어, -500V)로 대전시킨다. 코로나 대전기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실드되고, 약 50 내지 100 μm의 직경을 가지며, 텅스텐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되는 방전 와이어에 대전 전원(52)으로부터의 DC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1)의 표면을 대전한다.
감광 드럼(1)은, 대전 장치(2)에 의해 대전된 후, 노광 장치(3)에 의해 화상 노광(레이저광(L))을 받는다. 노광 장치(3)는, 각 색의 분해 색 화상을 전개하여 얻은 주사선 화상 데이터를 ON-OFF 변조하여 얻은 레이저 빔을 레이저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시키고, 발생된 레이저 빔을 회동 미러에 의해 주사하여 대전된 감광 드럼(1)의 표면에 화상의 정전 잠상을 기입한다. 이러한 레이저 주사 노광에 의해, 드럼 표면 상의 레이저 빔(L)으로 조사된 스폿의 전위가 다른 스폿의 전위보다 낮아져서,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노광부의 전위는 -100V였다.
[액체 현상제]
이어서,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4)에 의해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된다. 제1 현상 유닛 또는 제2 현상 유닛으로서의 현상 장치(4)는, 분산매로서의 캐리어 액에 분산질로서의 입자상 토너를 분산시킨 액체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 장치(4)는 액체 현상제를 사용해서 현상을 행한다. 액체 현상제로서는, 점도가 0.5 내지 100 cP인 액체 현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실리콘 용매, 탄화수소, 에테르 등으로 이루어지고, 1×1010 Ω·cm 이상의 체적 저항률을 갖는 캐리어 액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각 색의 안료를 함유하고 1 μm의 중심 입자 크기를 갖는 수지제 토너를 분산시킨 액체 현상제를 사용했다. 물론, 액체 현상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타입의 액체 현상제를 사용할 수 있다.
[현상 장치]
현상 장치(4)의 구성 및 현상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4)는, 케이싱을 형성하는 현상 용기(40), 현상 롤러(41), 스퀴즈 롤러(42), 클리닝 롤러(43), 전극 세그먼트(44), 공급 트레이(45), 제거 부재(30) 등을 포함한다.
현상 용기(40)는 단색 토너와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수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에 대면하는 현상 용기(40)의 일부분이 개구되고, 현상 롤러(41)는 이 개구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회동가능하게 제공된다. 현상 롤러(41)는 원통 형상을 갖고, 감광 드럼(1)에 대면하는 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전극 세그먼트(44)는, 현상 롤러(41)의 감광 드럼(1)에 대면하는 면과 반대 측에 제공되며, 그들 사이에 미리정해진 간극(예를 들어, 0.5 mm)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전극 세그먼트(44)의 하방에는 공급 트레이(45)가 배치되고, 액체 현상제는 현상 롤러(41)의 토크에 의해 공급 트레이(45)로부터 상기 간극으로 퍼 올려진다. 공급 트레이(45)는, 현상 롤러(41)가 회동에 의해 액체 현상제를 퍼 올릴 수 있도록, 믹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한다.
전극 세그먼트(44)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예를 들어 -500V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극 세그먼트(44)와 현상 롤러(41) 사이에 전계를 형성한다. 이 전계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 퍼 올려진 액체 현상제에 포함되는 토너가 현상 롤러(41)의 표면 측에 가까워진다. 전극 세그먼트(44)에 대해 현상 롤러(41)의 회동 방향 하류 측에는, 스퀴즈 롤러(42)가 배치된다. 스퀴즈 롤러(42)는, 현상 롤러(41)에 당접하여 닙부(N1)를 형성한다. 전극 세그먼트(44)에 대한 대향 영역을 통과한 현상 롤러(41) 상의 액체 현상제 중, 현상 롤러(41)의 표면 측에 가까워진 토너와 일부의 캐리어 액은, 스퀴즈 롤러(42)의 닙부(N1)를 통과한다. 스퀴즈 롤러(42)의 닙부(N1)를 통과하지 않은 액체 현상제는, 전극 세그먼트(44)의 상면을 따라 흐르고, 현상 용기(40)의 바닥 측으로 떨어진다. 스퀴즈 롤러(42)에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예를 들어 -35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1 실시형태의 경우, 현상 장치(4)는 회동 축(4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현상 롤러(41)는, 감광 드럼(1)에 대해 당접 및 이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현상 장치(4)가 회동함으로써, 현상 롤러(41)는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에 미리정해진 압력(예를 들어, 30 N)으로 당접하여 액체 현상제를 공급 가능한 위치와, 공급 가능한 위치에 대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더 이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현상 롤러(41)에 감광 드럼(1)이 당접하는 상태에서, 현상 전원(53)에 의해 예를 들어 -300V의 현상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경우에, 스퀴즈 롤러(42)의 닙부(N1)를 통과한 액체 현상제가, 현상 위치(c)에 반송됨으로써, 감광 드럼(1) 상의 정전 잠상이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즉, 현상 위치(c)에 반송된 액체 현상제 중의 토너가, 현상 전압에 의해 발생된 전계에 의해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감광 드럼(1) 상의 정전 잠상은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현상 위치(c)는,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액체 현상제에 의해 토너상으로 현상할 수 있는 감광 드럼(1)의 회동 방향의 미리정해진 위치이며, 현상 롤러(41)와 감광 드럼(1)에 의해 형성되는 현상 닙부(N2)이다.
현상 닙부(N2)에 대해 현상 롤러(41)의 회동 방향 하류 측에는, 클리닝 롤러(43)가 배치된다. 클리닝 롤러(43)는, 현상 닙부(N2)를 통과한 후에 현상 롤러(41) 위에 남은 액체 현상제에 포함되는 토너를 정전기력을 사용해서 회수하며, 토너 회수 후에 회수 닙부(N3)에서 캐리어 액에 압력을 가해서 캐리어 액을 제거한다. 회수 닙부(N3)에 대해 클리닝 롤러(43)의 회동 방향 하류 측에는, 제거 부재(30)가 배치된다. 제거 부재(30)는 클리닝 롤러(4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탄성 부재이며, 클리닝 롤러(43)에 당접하여 클리닝 롤러(43) 상의 토너나 캐리어 액을 긁어 낸다. 클리닝 롤러(43)에 의해 제거된 캐리어 액이나, 제거 부재(30)에 의해 긁어 내진 토너 또는 캐리어 액은, 현상 용기(40)의 바닥 측에 떨어진다. 클리닝 롤러(43)에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예를 들어 -150V의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 용기(40)의 바닥 측에 떨어진 액체 현상제는, 믹서(도시하지 않음)에 복귀되어 재이용된다. 이를 위해서, 현상 용기(40)의 바닥 측에는 믹서와 연통하는 배출구(47)가 제공되어 있으며, 배출구(47)를 통해 액체 현상제가 배출된다.
화상 형성부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감광 드럼(1)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은, 1차 전사 위치(d)에서 중간 전사 벨트 위에 순차적으로 중첩됨으로써 1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91)의 내주면 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91)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감광 드럼(1)에 대향하도록 1차 전사 롤러(92)가 제공된다. 1차 전사 롤러(92)는 예를 들어 도전성 스펀지로 구성되고, 중간 전사 벨트(91)를 가압하여 감광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91) 사이에 1차 전사 닙부(T1)를 형성한다. 제1 전사 위치 또는 제2 전사 위치로서의 1차 전사 위치(d)는 1차 전사 닙부(T1)이다. 1차 전사 롤러(92)는, 감광 드럼(1) 및 중간 전사 벨트(91)가 정지될 때까지, 중간 전사 벨트(91)가 가압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1차 전사 롤러(92)는, 제1 전사 전압 또는 2차 전사 전압으로서의 1차 전사 전압을 인가하는 1차 전사 전압 전원(93)에 접속되어 있다. 1차 전사 롤러(92)에 1차 전사 전압(예를 들어, +200V)이 인가됨으로써, 1차 전사 위치(d)에서 감광 드럼(1)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91)로의 토너상의 1차 전사가 행하여진다. 제1 실시형태의 경우, 1차 전사 롤러(92)와 1차 전사 전압 전원(93)은 제1 전사 유닛 또는 제2 전사 유닛으로서 기능하도록 조합된다. 1차 전사 위치(d)에서 중간 전사 벨트(91)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1) 상(제1 상 담지체 상 및 제2 상 담지체 상)에 잔류하는 1차 전사 잔류 토너는, 드럼 클리닝 장치(7)에 의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제거된다.
[드럼 클리닝 장치]
드럼 클리닝 장치(7)는 블레이드(70)와 스쿠핑 시트(scooping sheet)(71)를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 또는 제2 블레이드로서의 블레이드(70)는, 상술한 현상 위치(c)에 대해 감광 드럼(1)의 회동 방향 상류 측 및 상술한 1차 전사 위치(d)에 대해 감광 드럼(1)의 회동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된다. 블레이드(70)는 당접 위치(e)에서 감광 드럼(1)에 당접하고, 1차 전사 잔류 토너를 기계적으로 긁어냄으로써 감광 드럼(1)을 클리닝한다. 블레이드(70)는, 예를 들어 JIS-A 고무 경도 80°의 우레탄 고무계 재료로 구성되며, 두께 3 mm 및 길이 폭 370 mm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70)는, 예를 들어 자유 길이 10 mm에서 블레이드(70)의 드럼 표면에의 침입량이 약 0.5 mm가 되도록, 약 25°의 각도로 카운터 방향으로 감광 드럼(1)에 당접한다. 제1 실시형태의 경우, 드럼 클리닝 장치(7)는 유닛 회동 축(7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드럼 클리닝 장치(7)가 회동함으로써, 블레이드(70)는, 블레이드(70)가 감광 드럼(1)에 당접하여 토너를 제거할 수 있는 위치와, 이 제거가능한 위치에 대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스쿠핑 시트(71)는, 블레이드(70)에 대해 감광 드럼(1)의 회동 방향 상류 측에서 감광 드럼(1)에 당접하여, 회동하는 감광 드럼(1)의 표면과 블레이드(70) 사이에서 미리정해진 양(예를 들어, 약 10 mm)의 액체 현상제를 저류한다. 스쿠핑 시트(71)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구성되며, 두께 0.05 mm 및 길이 폭 370 mm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쿠핑 시트(71)는, 예를 들어 자유 길이 10 mm에서 블레이드(70)의 드럼 표면에의 침입량이 약 1.0 mm가 되도록, 약 30°의 각도에서 감광 드럼(1)에 당접한다.
드럼 클리닝 장치(7)에 대해 감광 드럼(1)의 회동 방향 하류 측에는, 예를 들어 중심 파장 680 nm의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전 장치(73)가 배치된다. 제전 장치(73)는,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를 미리정해진 전위(예를 들어, 0V)까지 저하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노광량이 드럼 표면에서 약 3μJ/cm2가 되도록 조정된다.
도 1로 되돌아가면, 중간 전사 벨트(91)는, 텐션 롤러(94), 구동 롤러(95) 및 2차 전사 내측 롤러(96)에 걸쳐서 걸쳐있으며, 구동 롤러(95)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 위에 순차적으로 중첩됨으로써 1차 전사된 토너상은, 2차 전사부(T2)에 반송되어 온 기록재(S) 위에 일괄해서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부(T2)는, 2차 전사 내측 롤러(96)를 향해 걸쳐진 중간 전사 벨트(91)에 2차 전사 외측 롤러(10)를 당접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기록재(S)에의 토너상 전사 닙부이다. 2차 전사부(T2)에서는, 2차 전사 외측 롤러(10)에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91)로부터 기록재(S)에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91) 상(중간 전사 부재 상)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있는 2차 전사 잔류 토너는, 벨트 클리닝 장치(11)에 의해 회수된다. 벨트 클리닝 장치(11)는 금속 롤러(11a)를 갖고, 금속 롤러(11a)는 중간 전사 벨트(91)를 문지름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91)로부터 2차 전사 잔류 토너를 제거한다. 이때, 금속 롤러(11a)에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예를 들어 +10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중간 전사 벨트(91)로서는, 수지 벨트, 금속 코어체를 포함하는 고무 벨트, 수지 및 고무로 구성된 벨트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표층에 200 μm의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및 기층에 50 μm의 폴리이미드(PI)를 사용하고, 기층에 카본을 분산함으로써 벨트 전체의 전기 저항을 제어하는, 2층형 수지 벨트를 사용했다. 또한, 길이 폭이 360 mm이고 전체 둘레가 3500 mm인 중간 전사 벨트(91)를 사용했다.
[클리닝 장치]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클리닝 장치(11)(이하, 클리닝 장치라 칭함)의 각각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후술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당접 및 이간 상태를 도시한다. 클리닝 장치(11)는 케이싱으로서의 클리닝 용기, 클리닝 롤러(11a), 클리닝 블레이드(11b) 등을 포함한다.
클리닝 용기의 중간 전사 벨트(91)에 대면하는 부분이 개구되고, 클리닝 롤러(11a)는 개구부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된다. 클리닝 롤러(11a)는 SUS의 원통형 부재이며,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있고, 중간 전사 벨트(91)를 사이에 둔 상태로 대향 롤러(95)에 대하여 미리정해진 압력(예를 들어, 30 N)으로 가압되며, 클리닝 롤러(11a)와 중간 전사 벨트(91) 사이에 닙부가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구동 롤러(95)는 대향 롤러로서의 역할을 한다.
클리닝 롤러(11a)는, 구동 유닛에 의해, 그 외주면의 표면 속도가 닙부에서 중간 전사 벨트(91)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도록 회동 구동된다. 또한, 클리닝 롤러(11a)는, 클리닝 롤러 고전압 전원(205)에 접속되고, 2차 전사 잔류 토너와 역극성의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닙부에서 중간 전사 벨트(91) 상의 2차 전사 잔류 토너가 회수된다. 이하에서는, 닙부를 전사 클리닝부라고 칭한다.
클리닝 블레이드(11b)는, 클리닝 롤러(11a)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금속 블레이드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재료는 SUS(스테인리스강 재)이다. 클리닝 블레이드(11b)는, 클리닝 롤러(11a)의 회동 방향에서 전사 클리닝부의 하류 측에 배치된다. 클리닝 블레이드(11b)는, 클리닝 롤러(11a)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정해진 각도(예를 들어, 45°)로 약 1 mm만큼 침입하도록 당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클리닝 롤러(11a) 상의 회수된 토너가 긁어내진다. 긁어내진 토너는 클리닝 용기의 바닥에 낙하한다.
클리닝 블레이드(11b)는 회동 축(11c) 주위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클리닝 블레이드(11b)는, 클리닝 블레이드(11b)가 클리닝 블레이드 당접 및 이간 유닛(206)에 의한 회동 동작에 의해 클리닝 롤러(11a)에 당접하여 토너를 제거 가능한 위치와, 클리닝 롤러(11a)로부터 이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a 및 도 4b는 당접 위치 및 이간 위치를 각각 도시한다.
클리닝 롤러(11a)는 SUS 이외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지만, 클리닝 롤러(11a)는 도전성을 갖고, 가압시에 닙부를 형성하며, 클리닝 블레이드(11b)에 당접해도 이들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클리닝 롤러(11a)와 클리닝 블레이드(11b) 사이의 마찰 계수는,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0.4 내지 1.5이며,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0.02 내지 0.08이다.
[제어기]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어기(200)를 포함한다. 제어기(200)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기(200)에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 이외에, 화상 형성 장치(100)를 동작시키는 모터 및 전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접속된다. 그러나, 이들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목적이 아니므로,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 유닛으로서의 제어기(200)는, 화상 형성 동작 등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각종 제어를 행하며, 중앙 처리 유닛(CPU)(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제어기(200)에는, 메모리 유닛으로서의 ROM이나 RAM 혹은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메모리(201)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201)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기(200)는 메모리(201)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경우, 제어기(200)는 화상 형성 작업의 종료 시(즉, 후-회동 시)에, 블레이드(70)와 현상 롤러(41)를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간하는 이간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간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4 참조). 메모리(201)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수반하는 연산 처리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화상 형성 작업은, 기록재(S)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트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의 개시로부터 화상 형성 동작의 완료까지의 일련의 동작이다. 즉, 화상 형성 작업은 화상 형성을 행하는데 필요한 예비 동작(소위, 전-회동)의 개시로부터 화상 형성 공정을 거쳐 화상 형성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예비 동작(소위, 후-회동)의 완료까지의 일련의 동작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작업은, 화상 형성 기간 및 시트 간격을 포함하며, 프린트 신호의 수신(화상 형성 작업의 수신) 후 전-회동(화상 형성 전의 준비 동작)으로부터 후-회동(화상 형성 후의 동작)까지의 기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후-회동"이라는 용어는, 화상 형성 작업의 최후의 화상 형성의 종료로부터, 토너상을 형성하지 않고 계속 회동되는 감광 드럼(1Y 내지 1Bk), 중간 전사 벨트(91) 등의 회동의 정지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제어기(200)에는, 메모리(201) 이외에, 대전 전원(52), 현상 전원(53), 1차 전사 전압 전원(93), 클리닝 블레이드 당접 및 이간 유닛(206), 현상 롤러 당접 및 이간 유닛(203), 및 표시부(20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기(200)에는, 클리닝 롤러 고전압 전원(205), 감광 드럼 구동 유닛(207), 현상 롤러 구동 유닛(209), 클리닝 롤러 구동 유닛(210)이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 전원(52)은 대전 장치(2)에 DC 전압을 인가하여, 대전 장치(2)가 감광 드럼(1)의 표면을 대전시킬 수 있게 한다. 현상 전원(53)은 현상 롤러(41)에 현상 전압을 인가하여,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 상의 정전 잠상을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토너상으로 현상하게 한다. 1차 전사 전압 전원(93)은, 1차 전사 롤러(92)에 1차 전사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91)에 1차 전사하게 한다.
클리닝 블레이드 당접 및 이간 유닛(206)은, 벨트 클리닝 장치(11)를 유닛 회동 축(11c)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모터, 동작 기구 등이다. 현상 롤러 당접 및 이간 유닛(203)은, 현상 장치(4)를 회동 축(48)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모터, 동작 기구 등이다. 표시부(204)는, 장치 본체의 동작 상태 및 실행가능한 화상 형성 작업 등의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메뉴 등이 표시되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다. 제어기(200)는 표시부(204)에 가상 조작자를 표시할 수 있고, 이 가상 조작자를 사용해서 이용자에 의한 화상 형성 작업의 실행 개시 조작, 데이터 입력 조작 등을 접수 가능하게 해도 된다.
여기서, 중간 전사 벨트(91)의 벨트 클리닝 장치(11)에서, 블레이드 당접 위치에 액체 현상제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클리닝 블레이드(11b)를 클리닝 롤러(11a)에 당접시키면, 액체 현상제가 존재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마찰력이 현저하게 증대한다. 결과적으로, 클리닝 블레이드(11b)와 클리닝 롤러(11a)가 마모되거나, 클리닝 롤러(11a)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클리닝 블레이드(11b) 및 클리닝 롤러(11a)를 메인터넌스 없이 원래의 상태에 복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하다.
그러므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 롤러에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클리닝 롤러로부터 클리닝 블레이드를 이간시킴으로써 이들 과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어를 제어 블록도, 흐름도, 및 타이밍 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및 이간 동작의 시퀀스는 상이하기 때문에, 이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클리닝 블레이드 당접 동작의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제1 실시형태에서의 클리닝 블레이드 당접 동작의 시퀀스의 플로우 및 시퀀스의 각 단계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시퀀스의 초기 상태는 프린트 신호가 수신되기 전의 대기 상태를 가리킨다. 이때, 감광 드럼(1), 현상 롤러(41), 중간 전사 벨트(91)(이하, 중간 전사 부재라고도 칭함), 및 클리닝 롤러(11a)의 모든 구동은 정지되어 있고, 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1차 전사 바이어스, 및 클리닝 바이어스는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현상 롤러(41) 및 클리닝 블레이드(11b)는 각각 감광 드럼(1) 및 클리닝 롤러(11a)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에 액체 현상제는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중간 전사 부재(91) 또는 클리닝 롤러(11a)에도 현상제는 공급되지 않는다.
본 시퀀스에서, 감광 드럼(1), 현상 롤러(41), 중간 전사 부재(91), 및 클리닝 롤러(11a)의 각각의 구동은 동시에 입력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들을 통합해서 구동이라 칭한다.
제어기가 프린트 신호를 수신해서 작업이 개시되면, 시간 T1에서 구동이 개시된다(S32).
구동 ON 후의 임의의 타이밍(T2)에서 대전 바이어스가 인가된다(S33). 결과적으로, 감광 드럼(1)의 표면이 대전된다. 본 시퀀스에서는, 감광 드럼(1)은 노광되지 않는다. 이렇게 제어함으로써, 시퀀스 중의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는 암부 전위에 유지된다.
감광 드럼(1)의 대전부의 선단이 1차 전사부(T1)에 도달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T4)에서 1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S35). 결과적으로, 1차 전사부(T1)를 통해서 감광 드럼(1)에 1차 전사 전류가 공급된다.
감광 드럼(1)의 1차 전사 전류 공급부 선단이 현상 닙부(N2)에 도달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T5)에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에 당접한다(S36).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에 당접하는 동안에, 액체 현상제가 감광 드럼(1)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타이밍 T2와 T5 사이의 임의의 타이밍(T3)에서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S34). 이때,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가 암부 전위에 유지됨에 따라,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으로 이동하는 액체 현상제는 토너 입자를 거의 포함하지 않고, 주로 캐리어 액으로 구성된다.
감광 드럼(1)에 공급된 액체 현상제는 1차 전사부(T1)를 통해서 중간 전사 부재(91)에 공급된다.
중간 전사 부재(91)의 액체 현상제 선단이 전사 클리닝부에 도달하기 전의 임의의 타이밍(T6)에서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된다(S37). 이렇게 함으로써, 중간 전사 부재(91)에 공급된 캐리어 액 중에 존재하는 약간의 포그(fog) 토너를 회수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부재(91)에 공급된 액체 현상제는 전사 클리닝부를 통해서 클리닝 롤러(11a)에 공급된다.
클리닝 롤러(11a)에 공급된 액체 현상제가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 도달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T7)에서 클리닝 블레이드(11b)가 클리닝 롤러(11a)에 당접한다(S38).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시퀀스가 완료되고, 처리는 화상 형성 동작 혹은 다른 예비 동작으로 진행하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기가,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에 당접하고 나서 미리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클리닝 블레이드(11b)가 클리닝 롤러(11a)에 당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작업의 제1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에 전사되기 전에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클리닝 롤러에 당접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11b)가 클리닝 롤러(11a)에 당접하는 타이밍은, 액체 현상제의 선단이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동일할 수 있다.
액체 현상제가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에 도달한 후로 임의의 타이밍(T7)을 설정하면,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에 액체 현상제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클리닝 블레이드(11b)가 클리닝 롤러(11a)에 당접한다. 그러므로, 클리닝 블레이드(11b)와 클리닝 롤러(11a)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T7은, 액체 현상제가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실질적으로 동시로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쓸데없는 액체 현상제가 중간 전사 부재(91)를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클리닝 블레이드 이간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제1 실시형태에서의 클리닝 블레이드의 당접 동작의 시퀀스의 플로우 및 시퀀시의 각 단계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시퀀스의 초기 상태는 화상 형성 동작 혹은 다른 예비 동작을 말한다. 이때, 감광 드럼(1), 현상 롤러(41), 중간 전사 부재(91), 및 클리닝 롤러(11a)는 모두 구동되어 있고, 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1차 전사 바이어스, 및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41) 및 클리닝 블레이드(11b)는 각각 감광 드럼(1)과 클리닝 롤러(11a)에 당접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에 연속적으로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고, 1차 전사부(T1) 또는 클리닝부를 통해서 중간 전사 부재(91) 또는 클리닝 롤러(11a)에도 액체 현상제가 공급된다.
본 시퀀스에서, 감광 드럼(1), 현상 롤러(41), 중간 전사 부재(91), 및 클리닝 롤러(11a)의 각각의 구동은 모두 동시에 입력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들을 통합해서 구동이라 칭한다.
화상 형성 동작 혹은 다른 예비 동작의 완료 후에, 감광 드럼(1)은 노광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대전 바이어스의 인가 중에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는 암부 전위에 유지되고,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으로 이동하는 액체 현상제는 토너 입자를 거의 포함하지 않고, 주로 캐리어 액으로 구성된다.
화상 형성 동작 혹은 다른 예비 동작의 완료 후에의 임의의 타이밍(T8)에서 현상 롤러(41)는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간된다(S42). 결과적으로,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에의 액체 현상제의 연속적인 공급이 중단된다.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에의 액체 현상제의 공급이 중단되고, 따라서 1차 전사부(T1) 또는 클리닝부를 통한 중간 전사 부재(91) 또는 클리닝 롤러(11a)에의 액체 현상제의 공급도 중단된다.
이후, 액체 현상제의 공급이 중단되는 위치를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라 칭한다.
클리닝 롤러(11a)에 공급되는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도달하기 전의 임의의 타이밍(T9)에서 클리닝 블레이드(11b)는 클리닝 롤러(11a)로부터 이간된다(S46).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에 도달하기 전으로 임의의 타이밍(T9)을 설정하면,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에 액체 현상제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클리닝 블레이드(11b)가 클리닝 롤러(11a)에 당접한다. 그러므로, 클리닝 블레이드(11b)와 클리닝 롤러(11a)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T9가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실질적으로 동시로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쓸데없는 액체 현상제가 중간 전사 부재를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이간 동작은,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클리닝 롤러(11a)에 도달한 후이며,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행해진다. 클리닝 블레이드(11b)가 클리닝 롤러(11a)로부터 이간되는 타이밍은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당접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동일할 수 있다.
액체 현상제 후단이 전사 클리닝부에 도달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T10)에서 클리닝 바이어스의 인가가 정지된다(S47).
대전 바이어스의 인가 정지 타이밍(T13)에서, 감광 드럼(1)의 대전이 중단된다(S44).
이후, 감광 드럼(1)의 대전부가 중단되는 위치를 감광 드럼 대전부의 후단이라 칭한다.
감광 드럼(1)의 대전부의 후단이 현상 닙부(N2)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현상 롤러(41)의 이간 타이밍(T8) 후가 되도록 T14가 설정된다.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1차 전사부(T1)에 도달한 후, 감광 드럼(1)의 대전부의 후단이 1차 전사부(T1)에 도달하기 전의 임의의 타이밍(T11)에서 1차 전사 바이어스의 인가가 정지된다(S43). 현상 롤러(41)의 이간 타이밍(T8 내지 T14) 사이의 임의의 타이밍(T13)에서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정지된다(S45).
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1차 전사 바이어스, 및 클리닝 바이어스의 모든 인가가 정지되고, 클리닝 블레이드(11b)와 클리닝 롤러(11a)의 이간 동작과, 현상 롤러(41)와 감광 드럼(1)의 이간 동작이 완료된다. 상기 동작이 완료된 후, 임의의 타이밍(T14)에서 구동이 정지된다. 클리닝 블레이드 이간 시퀀스가 완료되고, 처리는 대기 상태로 진행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본 화상 형성 장치(100)를 사용하여, 100 시트 × 1000 세트의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했다. 그후에,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마모, 클리닝 롤러(11a)의 흠집, 금속 분말의 발생, 및 클리닝 롤러(11a)의 표면 조도(Rz)의 변화를 조사했다. 실험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클리닝 블레이드의 당접 및 이간 제어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예로서 클리닝 블레이드를 당접한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를 검토했다. 실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당접 및 이간 제어를 행하거나 행하지 않음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금속 분말의 발생 초기 클리닝 롤러의 Rz 검토 후의 클리닝 롤러의 Rz
행함 부재 부재 부재 0.42 ㎛ 0.43 ㎛
행하지 않음 존재 존재 존재 0.42 ㎛ 3.0 ㎛
당접 및 이간 제어의 존재 및 부존재,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금속 분말의 발생, 클리닝 롤러의 초기 Rz, 클리닝 롤러의 검토 후의 Rz, 성과, 성과 없음, 부존재, 존재
상기 표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리닝 블레이드의 당접 및 이간 제어를 행하지 않은 비교예에서는, 검토 후에, 클리닝 롤러의 표면 조도가 증가됨에 따라,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및 금속 분말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한편, 클리닝 블레이드의 당접 및 이간 제어가 행해지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조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고,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및 금속 분말의 발생도 확인되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 롤러(11a)와 클리닝 블레이드(11b) 사이의 당접부에의 액체 현상제의 공급이 정지되기 전에 클리닝 블레이드(11b)를 클리닝 롤러(11a)로부터 이간시킨다. 또한, 클리닝 롤러(11a)에 액체 현상제가 공급된 후, 클리닝 블레이드(11b)를 클리닝 롤러(11a)에 당접하도록 제어했다. 즉, 클리닝 블레이드(11b)와 클리닝 롤러(11a) 사이의 당접은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고 마찰력이 저하되는 상태에서만 행해지고, 그들 사이의 당접은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고 마찰력이 큰 상태에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렇게 제어함으로써, 클리닝 블레이드와 클리닝 롤러 사이의 마찰력에 기인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금속 분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클리닝 장치와 제어기를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클리닝 장치와 제어기만을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중복하는 부분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클리닝 장치]
도 9a 및 도 9b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클리닝 장치의 각각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후술하는 클리닝 장치(11)의 당접 및 이간 상태를 나타낸다. 클리닝 장치(11)는 클리닝 용기, 클리닝 롤러(11a), 및 클리닝 블레이드(11b)를 포함한다. 또한, 클리닝 장치(11)는 회동 축(11d)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제공된다. 클리닝 장치(11)가 회동함에 따라, 클리닝 롤러(11a)는 중간 전사 부재(91)에 당접한다. 클리닝 장치(11)는, 중간 전사 부재(91) 상의 2차 전사 잔류 토너를 회수할 수 있는 위치(이하, 당접 위치라 칭함)와, 클리닝 롤러(11a)가 중간 전사 부재(91)로부터 이간된 위치(이하, 이간 위치라 칭함)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어기]
이하에 제2 실시형태의 제어를 제어 블록도(도 10), 흐름도(도 11), 및 타이밍 차트(도 12)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클리닝 장치(11)의 당접 동작 및 이간 동작의 시퀀스는 상이하기 때문에, 이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클리닝 장치의 당접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제2 실시형태에서의 클리닝 장치의 당접 시퀀스의 플로우 및 시퀀스의 각 단계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시퀀스의 초기 상태는 프린트 신호가 수신되기 전의 대기 상태를 가리킨다. 이때, 감광 드럼(1), 현상 롤러(41), 중간 전사 부재(91), 및 클리닝 롤러(11a)의 모든 구동은 정지되어 있고, 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일시 전사 바이어스, 및 클리닝 바이어스는 인가되지 않고 있다. 또한, 현상 롤러(41) 및 클리닝 롤러(11a)는 각각 감광 드럼(1) 및 중간 전사 부재(91)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에 액체 현상제는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중간 전사 부재(91) 또는 클리닝 롤러(11a)에는 현상제는 공급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에서, 감광 드럼(1), 현상 롤러(41), 및 중간 전사 부재(91)의 구동은 동시에 입력되지만, 클리닝 롤러의 구동은 위와 독립적이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전자를 프로세스 구동이라 칭하고, 후자를 클리닝 구동이라 칭한다.
제어기(200)가 프린트 신호를 수신해서 작업이 개시되면, 시간 T1에서 프로세스 구동이 개시된다(S52).
프로세스 구동 ON 후의 임의의 타이밍(T2)에서 대전 바이어스가 인가된다(S53). 결과적으로, 감광 드럼(1)의 표면이 대전된다. 본 시퀀스에서는, 감광 드럼(1)은 노광되지 않는다. 이렇게 제어함으로써, 시퀀스 중의 감광 드럼(1)의 표면의 전위는 암부 전위에 유지된다.
감광 드럼(1)의 대전부의 선단이 1차 전사부(T1)에 도달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T4)에서 1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S55). 결과적으로, 1차 전사부를 통해서 감광 드럼(1)에 1차 전사 전류가 공급된다.
감광 드럼(1)의 1차 전사 전류 공급부 선단이 현상 닙부(N2)에 도달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T5)에서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에 당접한다(S56).
현상 롤러(41)가 감광 드럼(1)에 당접하는 동안에, 액체 현상제가 감광 드럼(1)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타이밍 T2와 T5 사이의 임의의 타이밍(T3)에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S54). 이때,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가 암부 전위에 유지되기 때문에,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으로 이동하는 액체 현상제는 토너 입자를 거의 포함하지 않고, 주로 캐리어 액으로 구성된다.
감광 드럼(1)에 공급된 액체 현상제는 1차 전사부(T1)를 통해서 중간 전사 부재(91)에 공급된다.
액체 현상제의 선단이 중간 전사 부재(91)에 도달한 후의 임의의 타이밍(T7)에서 클리닝 장치가 이간 위치로부터 당접 위치로 이동하여 클리닝 롤러가 중간 전사 부재(91)에 당접하면, 동시에 클리닝 구동이 개시된다(S56).
또한, T7 전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된다(S55).
중간 전사 부재(91)에 공급된 액체 현상제는 클리닝 롤러를 통해 클리닝 블레이드에 도달한다.
이 시점에서 당접 시퀀스가 완료되고, 처리는 화상 형성 동작 혹은 다른 예비 동작으로 진행한다.
계속해서, 클리닝 장치의 이간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제2 실시형태에서의 클리닝 장치(11)의 이간 시퀀스의 플로우 및 시퀀스의 각 단계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시퀀스의 초기 상태는 화상 형성 동작 혹은 다른 예비 동작을 말한다. 이때, 프로세스 구동과 클리닝 구동은 모두 입력되어 있어, 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1차 전사 바이어스, 및 클리닝 바이어스는 인가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41) 및 클리닝 롤러(11a)는 각각 감광 드럼(1) 및 중간 전사 부재(91)에 당접한다. 이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에 연속적으로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고, 1차 전사부(T1) 또는 클리닝부를 통해서 중간 전사 부재(91) 또는 클리닝 롤러(11a)에도 액체 현상제가 공급된다.
화상 형성 동작 혹은 다른 예비 동작의 완료 후에, 감광 드럼(1)은 노광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대전 바이어스의 인가 중에는 감광 드럼(1)의 표면 전위는 암부 전위로 유지되고,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으로 이동하는 액체 현상제는 토너 입자를 거의 포함하지 않고, 주로 캐리어 액으로 구성된다.
화상 형성 동작 혹은 다른 예비 동작의 완료 후의 임의의 타이밍(T8)에서 현상 롤러(41)는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간된다(S62). 결과적으로,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에의 액체 현상제의 연속적인 공급이 중단된다.
현상 롤러(41)로부터 감광 드럼(1)에의 액체 현상제의 공급이 중단되고, 따라서 1차 전사부(T1) 또는 클리닝부를 통한 중간 전사 부재(91) 또는 클리닝 롤러(11a)에의 액체 현상제의 공급도 중단된다.
이후, 액체 현상제의 공급이 중단되는 위치를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라 칭한다.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전사 클리닝부에 도달하기 전의 임의의 타이밍(T9)에서 클리닝 장치는 중간 전사 부재(91)로부터 이간되며, 클리닝 구동은 정지된다(S66).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전사 클리닝부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클리닝 장치가 중간 전사 부재(91)로부터 이간되는 타이밍은 동시일 수 있다. T9 후의 임의의 타이밍(T10)에서 클리닝 바이어스의 인가가 정지된다(S67).
대전 바이어스의 인가 정지 타이밍(T13)에서, 감광 드럼(1)의 대전이 중단된다(S64).
이후, 감광 드럼(1)의 대전부가 중단되는 위치를 감광 드럼 대전부의 후단이라 칭한다. 감광 드럼(1)의 대전부 후단이 현상 닙부(N2)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현상 롤러(41)의 이간 타이밍(T8) 후가 되도록 T14를 설정한다.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1차 전사부에 도달한 후, 및 감광 드럼(1)의 대전부의 후단이 1차 전사부에 도달하기 전의 임의의 타이밍(T11)에서 1차 전사 바이어스의 인가가 정지된다(S63). 현상 롤러(41)의 이간 타이밍(T8 내지 T14) 사이의 임의의 타이밍(T13)에서 현상 바이어스의 인가가 정지된다(S65).
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및 1차 전사 바이어스의 인가가 정지되고, 현상 롤러(41)와 감광 드럼(1) 사이의 이간 동작이 완료된다. 상기 동작이 완료된 후, 임의의 타이밍(T14)에서 프로세스 구동이 정지된다. 이 시점에서 클리닝 장치의 이간 시퀀스가 완료되고, 처리는 대기 상태로 진행한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클리닝 블레이드(11b)의 마모, 클리닝 롤러(11a)의 흠집, 금속 분말의 발생, 및 클리닝 롤러(11a)의 표면 조도(Rz)의 변화를 조사했다. 실험에서는, 클리닝 장치(11)의 중간 전사 부재(91)에의 당접 타이밍(T7)으로서, 액체 현상제의 선단이 1차 전사부를 통과한 직후(1), 액체 현상제 선단이 2차 전사부를 통과한 직후(2), 및 액체 현상제 선단이 중간 전사 부재 클리닝부를 통과 직후(3)의 경우를 검토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클리닝 장치(11)가 항상 중간 전사 부재(91)에 당접하고, 프로세스 구동과 클리닝 구동이 동시에 입력되고 정지되는 (4)의 경우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당접 및 이간 제어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금속 분말의 발생 초기 클리닝 롤러의 Rz 검토 후의 클리닝 롤러의 Rz
(1) 부재 부재 부재 0.42 ㎛ 0.60 ㎛
(2) 부재 부재 부재 0.42 ㎛ 0.55 ㎛
(3) 부재 부재 부재 0.42 ㎛ 0.43 ㎛
(4) 존재 존재 존재 0.42 ㎛ 3.0 ㎛
당접 및 이간 제어,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금속 분말의 발생, 클리닝 롤러의 초기 Rz, 클리닝 롤러의 검토 후의 Rz, 부존재, 존재
표 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의 당접 및 이간 제어가 행해지지 않은 비교예에서는, 검토 후에,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금속 분말 발생, 및 클리닝 롤러의 표면 조도의 증대가 관찰되었다. 이에 대해, 클리닝 블레이드의 당접 및 이간 제어가 행해지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및 금속 분말의 발생도 확인되지 않았고, 표면 조도의 변화는 감소되었다.
또한, 클리닝 장치의 당접 및 이간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 클리닝 장치(11)의 중간 전사 부재(91)에의 당접 타이밍(T7)에 따라서 클리닝 롤러의 표면 조도 변화의 크기가 관찰된다. 즉, 당접 타이밍(T7)으로서, 액체 현상제의 선단이 1차 전사부를 통과(도달)한 직후보다, 액체 현상제의 선단이 2차 전사부를 통과(도달)한 직후에 Rz의 변동이 작고, 액체 현상제의 선단이 중간 전사 부재 클리닝부를 통과(도달)한 직후에 훨씬 더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부재에 대한 클리닝 장치의 당접 및 이간 상태와 액체 현상제의 선단 및 후단의 도달 타이밍을 제어한다. 즉, 클리닝 장치의 당접 타이밍은, 액체 현상제의 선단이 1차 전사 위치를 통과한 후, 더 바람직하게는 액체 현상제의 선단이 2차 전사 위치를 통과한 후, 더 바람직하게는 중간 전사 부재 클리닝 위치를 통과한 직후로 설정된다. 또한, 클리닝 장치의 이간 타이밍은 액체 현상제의 후단이 중간 전사 부재 클리닝 위치를 통과하기 전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제어함으로써, 클리닝 블레이드와 클리닝 롤러 사이의 마찰력에 기인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클리닝 롤러의 흠집, 금속 분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중간 전사 부재로서 중간 전사 벨트를 사용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중간 전사 부재는 예를 들어 드럼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 전사 드럼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현상 장치(4)를, 중간 전사 부재에 액체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부재에 액체 현상제를 공급하는 전용 공급 장치를 현상 장치와 별도로 제공해도 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의 당접 타이밍, 혹은 클리닝 롤러의 당접 타이밍은 이하의 타이밍일 수 있다. 즉, 타이밍은 현상 롤러 혹은 전용 공급 장치의 액체 현상제의 공급 동작이 개시되는 타이밍 후일 수 있다. 즉, 현상 롤러로부터 클리닝 롤러에 캐리어 액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타이밍은 감광 드럼에의 액체 현상제의 공급 타이밍 후일 수 있다. 또한, 전용 공급 장치로부터 클리닝 롤러에 액체 현상제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타이밍은 중간 전사 벨트에의 액체 현상제의 공급 후일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 블레이드의 이간 타이밍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즉, 클리닝 롤러의 당접 및 이간 타이밍과 마찬가지로 블레이드의 당접 및 이간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의 이간 이외의 구성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롤러에 액체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금속 롤러에 금속 블레이드가 당접해서 금속 롤러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 청구항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통합되는 2017년 11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17015호 및 2018년 6월 0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07034호의 이점을 주장한다.

Claims (16)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화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
    토너와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잔류하는 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해 당접 및 이간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클리닝 롤러에 의해 회수된 상기 액체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해 당접 및 이간시키는 이간 기구; 및
    화상 형성의 개시에 따라, 상기 현상 롤러로부터 상기 상 담지체에 상기 캐리어 액을 공급한 후,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상기 현상 롤러로부터 상기 상 담지체에 공급된 상기 캐리어 액의 선단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공급된 후에,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하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전사된 상기 토너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공급된 상기 캐리어 액의 선단이 상기 2차 전사부에 도달한 후에,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공급된 상기 캐리어 액의 선단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가 상기 클리닝 롤러에 당접하는 당접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공급된 상기 캐리어 액이 상기 클리닝 롤러에 공급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상기 클리닝 롤러에 공급된 상기 캐리어 액의 선단이 상기 클리닝 롤러가 상기 블레이드에 당접하는 당접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클리닝 롤러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클리닝 롤러에 당접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 롤러에 상기 클리닝 바이어스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의 제1 화상의 전사 잔류 토너가 상기 클리닝 롤러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클리닝 롤러에 당접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8. 화상 형성 장치이며,
    화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
    토너와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대해 당접 및 이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잔류하는 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
    상기 클리닝 롤러에 당접하고, 상기 클리닝 롤러로부터 상기 액체 현상제를 제거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대해 당접 및 이간시키는 이간 기구; 및
    화상 형성의 개시에 따라, 상기 현상 롤러로부터 상기 상 담지체에 상기 캐리어 액을 공급한 후에,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상기 현상 롤러로부터 상기 상 담지체에 공급된 상기 캐리어 액의 선단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공급된 후에,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전사된 토너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공급된 상기 캐리어 액의 선단이 상기 2차 전사부에 도달한 후에,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공급된 상기 캐리어 액의 선단이 상기 중간 전사 벨트가 상기 클리닝 롤러에 당접하는 당접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의 제1 화상의 전사 잔류 토너가 상기 클리닝 롤러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상 형성의 상기 개시에 따라, 상기 현상 롤러로부터 상기 상 담지체에 상기 캐리어 액이 공급된 후에, 상기 클리닝 롤러를 구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화상 형성 장치이며,
    화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
    토너와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상기 캐리어 액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대해 당접 및 이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잔류하는 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해 당접 및 이간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클리닝 롤러에 의해 회수된 상기 액체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클리닝 롤러에 대해 당접 및 이간시키는 이간 기구; 및
    화상 형성의 개시에 따라, 상기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상기 캐리어 액이 공급된 후에,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클리닝 롤러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화상 형성 장치이며,
    화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
    토너와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캐리어 액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
    클리닝 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대해 당접 및 이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잔류하는 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
    상기 클리닝 롤러에 당접하고, 상기 클리닝 롤러로부터 상기 액체 현상제를 제거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대해 당접 및 이간시키는 이간 기구; 및
    화상 형성의 개시에 따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상기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캐리어 액이 공급된 후에,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에 당접시키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화상 형성 장치이며,
    토너와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로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토너와 상기 캐리어 액을 포함하는 상기 액체 현상제를 담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상기 캐리어 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급부와, 상기 회동체에 대해 당접 및 이간될 수 있고 상기 회동체 상의 상기 토너를 클리닝하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회동체에 대해 당접 및 이간시키도록 구성되는 이간 기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 및
    화상 형성의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회동체에 상기 캐리어 액이 공급되고,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회동체에 공급된 상기 캐리어 액이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회동체와 대향하는 대향부에 도달하는 타이밍 후에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회동체에 당접하도록, 상기 이간 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80136305A 2017-11-10 2018-11-08 화상 형성 장치 KR201900537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7015 2017-11-10
JP2017217015 2017-11-10
JP2018107034A JP2019091002A (ja) 2017-11-10 2018-06-04 画像形成装置
JPJP-P-2018-107034 2018-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798A true KR20190053798A (ko) 2019-05-20

Family

ID=6427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305A KR20190053798A (ko) 2017-11-10 2018-11-08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46390A1 (ko)
EP (1) EP3483659A1 (ko)
KR (1) KR20190053798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345A (en) * 1979-09-17 1981-07-14 Nashua Corporation Drum cleaning apparatus
JP3369322B2 (ja) * 1994-09-30 2003-01-20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CN1123805C (zh) * 1998-11-24 2003-10-08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中的消电技术及清洁技术的改良
JP2003107924A (ja) * 2001-09-27 2003-04-11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7174114B2 (en) 2004-07-29 2007-0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ontamination of an image transfer device
DE602006016702D1 (de) * 2005-10-27 2010-10-21 Ricoh Kk Fixiervorrichtung für ein Nichtheizfixiersystem
JP2010066452A (ja) 2008-09-10 2010-03-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1095657A (ja) * 2009-11-02 2011-05-12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5739312B2 (ja) * 2011-11-18 2015-06-24 株式会社ミヤコシ 転写ローラクリーニング装置、電子写真印刷機
JP5910141B2 (ja) * 2012-02-13 2016-04-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86548B2 (ja) * 2016-03-07 2020-04-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清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6390A1 (en) 2019-05-16
EP3483659A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540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654842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91514A (ja) 画像形成装置
JP535855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63681A (ja) 画像形成装置
JP4387749B2 (ja) 画像形成装置
JP4366173B2 (ja) 画像形成装置
US105093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46319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909100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322634A (ja) 画像形成装置
KR20190053798A (ko) 화상 형성 장치
JP5950874B2 (ja) 画像形成装置
JP6906931B2 (ja) 画像形成装置
JP4538044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5912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61921A (ja) 画像転写補助装置、画像転写補助方法
US1182908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age bearing members having different surface layer thicknesses
JP7034653B2 (ja) 画像形成装置
JP682797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86007A (ja) 画像形成装置
JP625604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3378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帯電部材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2021076688A (ja) 画像形成装置
JP5404884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