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976A -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976A
KR20190052976A KR1020170148874A KR20170148874A KR20190052976A KR 20190052976 A KR20190052976 A KR 20190052976A KR 1020170148874 A KR1020170148874 A KR 1020170148874A KR 20170148874 A KR20170148874 A KR 20170148874A KR 20190052976 A KR20190052976 A KR 2019005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alf body
switch
bus
swit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664B1 (ko
Inventor
박정연
김기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삼공전기공업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삼공전기공업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6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는, 복수의 램프 및 복수의 택트스위치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데코플레이트; 및 상기 데코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스위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램프는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에 실장되고, 상기 복수의 택트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에 실장되며, 상기 데코 플레이트는 상기 스위치 바디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CALL BUZZER SWITCH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 조작성 및 램프의 시인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탑승한 승객이 정류장(bus stop)에서 내리고자 할 때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콜 부저 스위치(call buzzer switch)가 버스 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콜 부저 스위치는 창문들 사이의 창문틀, 천장, 기둥 등에 장착된다.
콜 부저 스위치는 택트스위치 및 램프가 실장된 회로기판과, 램프를 덮는 투명렌즈와, 택트스위치을 온오프시키도록 장착된 버튼 등을 가진다. 버튼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콜 부저 스위치는 버튼 및 택트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부와, 램프 및 투명렌즈로 이루어진 광원부로 이원화됨으로써 조작부의 면적 및 광원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버튼의 조작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광원부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투명렌즈의 전면에 걸쳐 광원의 빛이 조사됨과 더불어 투명렌즈 자체를 푸시하는 조작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광원부 및 조작부를 일원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위치 조작성 및 램프의 시인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는,
복수의 램프 및 복수의 택트스위치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데코플레이트; 및
상기 데코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스위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램프는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에 실장되고, 상기 복수의 택트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에 실장되며, 상기 데코 플레이트는 상기 스위치 바디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데코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택트스위치가 개별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제1개구를 가지고, 각 택트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바디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에는 복수의 탄성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는 상기 복수의 택트스위치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가 개별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제2개구를 가지고, 각 탄성부재는 상기 스위치 바디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바디는 장착브라켓을 통해 버스 내의 내측 벽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바디는 그 배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장착돌기를 가지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스위치 바디의 장착돌기들이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적어도 2개의 장착슬롯를 가질 수 있다.
각 장착슬롯은 수직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직경부의 직경은 상기 장착돌기의 외경에 대응하며, 상기 대직경부의 내경은 상기 장착돌기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는 상기 대직경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바디는 버스의 기둥에 결합되는 구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바디는 반구 형상의 제1하프바디 및 반구 형상의 제2하프바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프바디의 전면에 상기 렌즈, 상기 회로기판, 상기 데코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프바디의 배면에는 버스의 기둥의 외면에 부합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프바디의 전면에는 버스의 기둥의 외면에 부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프바디 및 상기 제2하프바디의 양측에는 한 쌍의 평탄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프바디의 각 평탄면에는 체결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프바디의 양측에는 한 쌍의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각 날개부는 상기 제1하프바디의 체결공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의 전면에 걸쳐 광원의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원부의 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시인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렌즈 자체가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조작면적이 확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작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부 및 조작부를 일원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위치 조작성 및 램프의 시인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렌즈의 후방에 배치된 회로기판에 대해 복수의 택트스위치 및 복수의 탄성부재가 균일하게 장착됨으로써 렌즈의 조작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의 회로기판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의 스위치 바디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로서, 스위치바디의 장착돌기가 장착브라켓의 대직경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의 스위치바디의 장착돌기가 장착브라켓의 소직경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가 버스의 창문들 사이의 창문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가 버스의 기둥에 조립되는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10)는 복수의 램프(13) 및 복수의 택트스위치(14)가 실장된 회로기판(11)과, 회로기판(11)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12)와, 회로기판(11)의 후방에 배치되는 데코플레이트(15, deco plate)와, 데코 플레이트(15)의 후방에 배치되는 스위치 바디(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1)은 그 전면에 실장된 복수의 램프(13) 및 그 배면에 실장된 복수의 택트스위치(14)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램프(13)는 회로기판(11)의 전면 전체에 걸쳐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램프(13)의 빛이 렌즈(12)를 통해 외부로 넓은 범위로 조사됨으로써 외관 이미지 및 시인성 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각 램프(13)는 LED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택트스위치(14)는 회로기판(13)의 후면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택트스위치(14)가 120°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11)은 램프(13)들의 점등을 온/오프하는 점등회로 및 택트스위치(14)들의 접점을 온/오프하는 접점회로를 가질 수 있고, 이에 택트스위치(14)들의 접점이 온/오프됨에 따라 램프(13)들의 점등이 온/오프될 수 있다.
회로기판(11)의 배면에는 복수의 탄성부재(18)가 복수의 택트스위치(14)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외력이 제거될 때 회로기판(13)은 탄성부재(1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부재(18)가 복수의 택트스위치(14)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각 탄성부재(18)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택트스위치(18)가 120°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11)에 복수의 택트스위치(14) 및 복수의 탄성부재(18)가 균일하게 장착됨으로써 렌즈(12) 자체를 버튼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렌즈(12)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회로기판(1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렌즈(12)는 복수의 램프(13)의 빛이 보다 넓은 범위로 조사되도록 곡면진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12)의 전면에는 "STOP" 등과 같은 표시부(12a)가 인쇄될 수 있다.
렌즈(12)는 데코 플레이트(15)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렌즈(12) 및 데코 플레이트(15)는 전후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데코 플레이트(15)의 외측 가장자리가 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외관미가 개선될 수 있다.
데코 플레이트(15)의 전면에 회로기판(11)이 결합될 수 있고, 예컨대 회로기판(11)은 체결구(11a) 등을 통해 데코 플레이트(15)에 결합될 수 있다. 데코 플레이트(15)의 전면에는 회로기판(11)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돌기(15g)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12) 및 회로기판(11)이 데코 플레이트(15)에 개별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회로기판(11), 렌즈(12) 및 데코 플레이트(15)는 전후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렌즈(12)를 누르면 회로기판(11), 렌즈(12) 및 데코 플레이트(15)는 스위치 바디(16)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렌즈(12)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회로기판(11), 렌즈(12) 및 데코 플레이트(15)는 스위치 바디(16)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데코 플레이트(15)는 복수의 택트스위치(14)가 개별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제1개구(15a)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복수의 택트스위치(14)는 데코 플레이트(15)의 제1개구(15a)를 통과하여 스위치 바디(16)와 접촉할 수 있다.
데코 플레이트(15)는 복수의 탄성부재(18)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개구(15b)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복수의 탄성부재(18)가 데코 플레이트(15)의 제2개구(15b)를 통과하여 스위치 바디(16)와 접촉할 수 있다.
데코 플레이트(15)는 회로기판(11)에 접속되는 와이어(19)가 접속되는 제3개구(15c)를 가질 수 있다. 와이어(19)의 단부에는 커넥터(19a)가 장착될 수 있다.
데코 플레이트(15)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환형의 홈부(15d)가 형성될 수 있고, 렌즈(12)의 가장자리(12d)가 데코 플레이트(15)의 가장자리 홈부(15d)에 초음파 융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6)는 데코 플레이트(1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6)는 와이어(19)가 통과하는 개구(16a)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와이어(19)는 스위치 바디(16)의 개구(16a) 및 데코 플레이트(15)의 제3개구(15c)를 통과하여 회로기판(11)에 접속될 수 있다.
데코 플레이트(15)는 스위치 바디(16)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코 플레이트(15)는 복수의 가이드돌기(15f)를 가질 수 있으며, 각 가이드돌기(15f)의 단부에는 후크(15e)가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6)는 복수의 가이드돌기(15f)가 개별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16f)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데코 플레이트(15)의 가이드돌기(15f)가 스위치 바디(16)의 개구(16f)를 통과함에 따라 데코 플레이트(15)는 스위치 바디(16)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15f)의 후크가 개구(16f)의 단턱(16e)에 걸려짐에 따라 데코 프레이트(15)는 스위치 바디(16)에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6)는 그 배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장착돌기(16b)를 가질 수 있고, 장착돌기(16b)는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6)는 장착브라켓(17)을 통해 버스 내의 창문틀(28), 천장 등과 같은 내측 벽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17)은 체결구(18)를 통해 버스 내의 창문틀, 천장 등에 결합될 수 있고, 장착브라켓(17)은 스위치 바디(16)의 장착돌기(16b)들이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적어도 2개의 장착슬롯(20)를 가질 수 있다. 각 장착슬롯(20)은 수직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대직경부(21) 및 소직경부(22)를 가질 수 있으며, 소직경부(22)는 대직경부(2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5와 같이 스위치 바디(16)의 장착돌기(16b)들이 장착브라켓(17)의 대직경부(21)에 삽입되고, 그 이후에 도 7과 같이 스위치 바디(16)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스위치 바디(16)의 장착돌기(16b)들이 장착브라켓(17)의 소직경부(22)에 끼워짐으로써 스위치 바디(16)는 장착브라켓(17)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10)가 버스 내의 창문틀(28)에 장착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며, 그외에도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10)는 버스 내의 천정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렌즈(12)를 누르면 투명렌즈(12)와 함께 회로기판(11) 및 데코 플레이트(15)가 스위치 바디(16)를 향해 이동하고, 이에 회로기판(11)의 택트스위치(14)들이 스위치 바디(16)에 눌려져서 택트스위치(14)들의 점접이 온되고, 이를 통해 램프(13)들의 점등이 온됨으로써 램프(13)들의 빛이 렌즈(12)를 통해 외부로 광범위하게 조사될 수 있으므로 그 시인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이 렌즈(12)에서 떨어지면 회로기판(11)의 탄성부재(18)들의 탄성력에 의해 회로기판(11), 렌즈(12) 및 데코 플레이트(15)가 스위치 바디(16)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이에 회로기판(11)의 택트스위치(14)들의 점점이 오프됨으로써 램프(13)들의 점등이 오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10)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10)는 버스 내의 기둥(9)에 장착될 수 있도록 스위치 바디(36)가 2개의 하프바디(37, 38)를 가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하프바디(37, 38)는 제1하프바디(37) 및 제2하프바디(38)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하프바디(37) 및 제2하프바디(38) 각각은 반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제1하프바디(37) 및 제2하프바디(38)가 결합됨으로써 스위치 바디(36)는 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프바디(37)의 전방에는 렌즈(12)가 장착되고, 렌즈(12)의 배면에는 상술한 회로기판(11), 복수의 램프(13), 복수의 택트스위치(14), 데코 플레이트(15), 복수의 탄성부재(18), 와이어(19) 등이 장착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들의 자세한 구조 및 작동은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하프바디(37)의 배면에는 버스의 기둥(9)의 일측 외면에 부합하는 반원형의 홈(3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하프바디(37)는 기둥(9)의 일측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하프바디(37)의 양측에는 작업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 쌍의 평탄면(37b)이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프바디(38)는 제1하프바디(37)의 배면에 스냅 결합구조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하프바디(38)의 전면에는 기둥(9)의 타측 외면에 부합하는 반원형의 홈(38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하프바디(38)는 기둥(9)의 타측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하프바디(38)의 양측에는 작업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 쌍의 평탄면(38b)이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프바디(38)의 이면에는 체결구(39)가 체결되는 체결공(38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하프바디(37)의 홈(37a)이 기둥(39)의 일측 외면에 부착된 후에 제2하프바디(38)의 홈(38a)이 기둥(9)의 타측 외면에 부착되도록 제2하프바디(38)를 제1하프바디(37)에 스냅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한다. 그 이후에 제2하프바디(38)의 체결공(38c)에 체결구(39)를 체결함으로써 스위치 바디(36)를 기둥(9)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10)는 버스 내의 기둥에 장착될 수 있도록 스위치 바디(46)가 2개의 하프바디(47, 48)를 가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하프바디(47)는 제1하프바디(47) 및 제2하프바디(48)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하프바디(47) 및 제2하프바디(48) 각각은 반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제1하프바디(47) 및 제2하프바디(48)가 결합됨으로써 스위치 바디(46)는 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프바디(47)의 전방에는 상술한 렌즈(12)가 장착되고, 렌즈(12)의 배면에는 회로기판(11), 복수의 램프(13), 복수의 택트스위치(14), 데코 플레이트(15), 복수의 탄성부재(18), 와이어(19)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의 자세한 구조 및 작동은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하프바디(47)의 배면에는 버스의 기둥(9)의 일측 외면에 부합하는 반원형의 홈(4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하프바디(37)는 기둥(9)의 일측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하프바디(47)의 양측에는 작업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 쌍의 평탄면(47b)이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평탄면(47b)에는 체결구(45)가 체결되는 체결공(47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하프바디(48)는 제1하프바디(47)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2하프바디(48)의 전면에는 기둥(9)의 타측 외면에 부합하는 반원형의 홈(48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하프바디(48)는 기둥(9)의 타측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하프바디(48)의 배면에는 체결구(44)가 체결되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하프바디(48)의 양측에는 한 쌍의 평탄면(48b)이 형성될 수 있고, 각 평탄면(48b)에는 날개부(49)가 제1하프바디(47)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2하프바디(48)의 양측에는 한 쌍의 날개부(49)가 대칭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날개부(49)는 제1하프바디(47)의 각 평탄면(47b)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날개부(49)의 외면에는 평탄면(49b)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날개부(49)는 제1하프바디(47)의 평탄면(47b)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하프바디(48)의 각 날개부(49)가 제1하프바디(47)의 각 평탄면(47b)에 덮음으로써 제1하프바디(47)의 체결공(47c) 및 체결구(45)가 날개부(49)에 의해 노출됨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외관디자인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하프바디(47)의 홈(47a)이 기둥(49)의 일측 외면에 부착된 후에 각 체결구(45)가 제1하프바디(47)의 양측에 마련된 각 체결공(47c)에 체결됨으로써 제1하프바디(47)가 기둥(9)의 일측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하프바디(49)의 각 날개부(49)가 제1하프바디(47)의 각 평탄면(47b)을 덮도록 제2하프바디(39)의 홈(38a)을 기둥(39)의 타측 외면에 부착하고, 그 이후에 제2하프바디(49)의 체결공(48b)에 체결구(49)를 체결함으로써 구형의 스위치 바디(36)가 기둥(9)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렌즈(12)의 전면에 걸쳐 광원의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원부의 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시인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렌즈(12) 자체가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조작면적이 확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작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부 및 조작부를 일원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위치 조작성 및 램프의 시인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11: 회로기판
12: 렌즈
13: 램프
14: 택트스위치
15: 데코플레이트
16, 36, 46: 스위치바디
17: 장착브라켓
18: 탄성부재

Claims (16)

  1. 복수의 램프 및 복수의 택트스위치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데코플레이트; 및
    상기 데코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스위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램프는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에 실장되고, 상기 복수의 택트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에 실장되며, 상기 데코 플레이트는 상기 스위치 바디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데코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코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택트스위치가 개별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제1개구를 가지고, 각 택트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바디와 접촉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에는 복수의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는 상기 복수의 택트스위치들 사이에 배치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및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가 개별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제2개구를 가지고, 각 탄성부재는 상기 스위치 바디와 접촉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는 장착브라켓을 통해 버스 내의 내측 벽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는 그 배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장착돌기를 가지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스위치 바디의 장착돌기들이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적어도 2개의 장착슬롯를 가지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각 장착슬롯은 수직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직경부의 직경은 상기 장착돌기의 외경에 대응하며, 상기 대직경부의 내경은 상기 장착돌기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는 상기 대직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는 버스의 기둥에 결합되는 구형상으로 구성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는 반구 형상의 제1하프바디 및 반구 형상의 제2하프바디로 이루어지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하프바디의 전면에 상기 렌즈, 상기 회로기판, 상기 데코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하프바디의 배면에는 버스의 기둥의 외면에 부합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프바디의 전면에는 버스의 기둥의 외면에 부합하는 홈이 형성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하프바디 및 상기 제2하프바디의 양측에는 한 쌍의 평탄면이 각각 형성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하프바디의 각 평탄면에는 체결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하프바디의 양측에는 한 쌍의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각 날개부는 상기 제1하프바디의 체결공을 덮도록 구성되는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KR1020170148874A 2017-11-09 2017-11-09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KR10214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74A KR102142664B1 (ko) 2017-11-09 2017-11-09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74A KR102142664B1 (ko) 2017-11-09 2017-11-09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76A true KR20190052976A (ko) 2019-05-17
KR102142664B1 KR102142664B1 (ko) 2020-08-07

Family

ID=6667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74A KR102142664B1 (ko) 2017-11-09 2017-11-09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6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802B1 (ko) * 2020-12-31 2021-08-23 이장문 살균기능을 가지는 버튼모듈
WO2022145671A1 (ko) * 2020-12-31 2022-07-07 이장문 승강 설비의 층 선택 위생조작반
KR20230000597U (ko)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케이엔씨위드 싸인용 조명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14B1 (ko) 2020-08-31 2022-02-11 주식회사 주니온 콜 부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840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버스의 하차고지용 벨 스위치
KR19990043278A (ko) *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버스의 정차 벨 구조
JP2004193071A (ja) * 2002-12-13 2004-07-08 Seimitsu Kogyo Kk 照光式押ボタンスイッチ
JP2010129261A (ja) * 2008-11-26 2010-06-10 Calsonic Kansei Corp 操作ボタンの照明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3165416U (ja) * 2010-09-09 2011-01-20 ▲チョ▼錦雄 プッシュスイッチの改良構造
KR200468484Y1 (ko) * 2009-04-30 2013-08-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416B2 (ja) 1999-07-28 2001-05-1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多孔質SiC発熱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840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버스의 하차고지용 벨 스위치
KR19990043278A (ko) *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버스의 정차 벨 구조
JP2004193071A (ja) * 2002-12-13 2004-07-08 Seimitsu Kogyo Kk 照光式押ボタンスイッチ
JP2010129261A (ja) * 2008-11-26 2010-06-10 Calsonic Kansei Corp 操作ボタンの照明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200468484Y1 (ko) * 2009-04-30 2013-08-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3165416U (ja) * 2010-09-09 2011-01-20 ▲チョ▼錦雄 プッシュスイッチの改良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802B1 (ko) * 2020-12-31 2021-08-23 이장문 살균기능을 가지는 버튼모듈
WO2022145670A1 (ko) * 2020-12-31 2022-07-07 이장문 살균기능을 가지는 버튼모듈
WO2022145671A1 (ko) * 2020-12-31 2022-07-07 이장문 승강 설비의 층 선택 위생조작반
US11802020B2 (en) 2020-12-31 2023-10-31 Jang Moon Lee Sanitary operational panel for choosing floor used for elevating equipment
US11969515B2 (en) 2020-12-31 2024-04-30 Jang Moon Lee Button module having a sterilization function
KR20230000597U (ko)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케이엔씨위드 싸인용 조명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664B1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2976A (ko) 버스용 콜 부저 스위치
US7071434B1 (en) Button and light pipe mechanism and assembly
US8324518B2 (en) Incorporated switch, especially a switch for opening a door
JP4916410B2 (ja) 室内照明灯
JP2007172906A (ja) 車両用室内灯
US7073930B2 (en) Aimable vehicle lamp assembly
KR20150107611A (ko)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US11239035B2 (en) Button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button structure
CN211335215U (zh) 一种打印机
CN116031091A (zh) 具有防水按钮与发光按钮的电子产品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US20090310376A1 (en) Interior illumination apparatus
US20160358727A1 (en) Electronic component with moveable part
KR20190071501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1400984B1 (ko) 차량용 실내등
CN113432057B (zh) 一种用于车辆的角度调节结构及一种阅读灯
CN219133985U (zh) 开关照明组件及车辆
KR20045670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2018088328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JP2012174652A (ja) 車両用室内照明灯
JPH0618938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KR102167226B1 (ko) 판넬 일체형 공조 장치용 컨트롤 장치
CN206819914U (zh) 一种按键结构
JP2012079662A (ja) 光源実装装置
KR100262394B1 (ko) 리모콘용조작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