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394B1 - 리모콘용조작버튼 - Google Patents

리모콘용조작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394B1
KR100262394B1 KR1019970021020A KR19970021020A KR100262394B1 KR 100262394 B1 KR100262394 B1 KR 100262394B1 KR 1019970021020 A KR1019970021020 A KR 1019970021020A KR 19970021020 A KR19970021020 A KR 19970021020A KR 100262394 B1 KR100262394 B1 KR 10026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uxiliary
light
remote contro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117A (ko
Inventor
이사오 히로사와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30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50163A/ja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1998001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6L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발광부를 구비한 스위치(3)와 연동하는 메인조작체(1a)가 상기 발광부의 빛에 의하여 발광상태가 되었을 때, 이 발광상태가 선명하게 느껴짐과 아울러 이 발광표시부의 표시가 보기 쉬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리모콘조작반의 표면에 노출되고 또한 누름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메인조작체(1a)와, 이 메인조작체(1a) 이면의 전범위에 있어서,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사출성형시에 결합형성되고 또한 광산란성능을 가지는 표시인쇄층(11)과,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상기 누름조작과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압입되는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보조조작체(1b)와, 이 보조조작체(1b)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액추에이터(31)가 압입되어 도통하는 스위치(3)와, 이 스위치(3)가 도통하였을 때 발광상태가 되고 상기 액추에이터(31) 근방에 설치된 발광부(32)를 구비하는 조작버튼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리모콘용 조작버튼
본 발명은 리모콘용 조작버튼, 특히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 급탕기 또는 목욕장치의 리모콘조작반에 설치되는 리모콘조작반용 조작버튼(이하, 간단히 리모콘용 조작버튼이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리모콘조작반은 방의 구석등 비교적 어두운 부분의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조작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 리모콘용 조작보튼을 밝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성5-87761호에 게재된 조작버튼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통상태에서 발광상태가 되는 스위치(3)가 조합되어 있고, 이 스위치(3)의 조작부가 되는 액추에이터(31)와 대향하는 보조조작체(1b)와, 조작반 표면에 조작표면이 노출되고 또한 상기 보조조작체(1b)에 맞닿아 있는 메인조작체(1a)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예에서는, 상기 메인조작체(1a)와 보조조작체(1b)는 동시에 발광부(32)에서의 빛을 집광, 산란시키도록 하기위한 렌즈기능과, 그 소재의 선정에 따라 전체가 빛을 산란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예에서는, 조작표면에서 상기 메인조작체(1a) 전체가 산란한 상태와 같이 되고 상기 메인조작체(1a)의 발광상태가 흐릿한 외관이 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발광표시상태로 된 상기 메인조작체의 발광상태가 선명하게 느껴짐과 아울러 이 발광표시부의 표시가 보기 쉬워지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청구항 2 이하의 발명은, 후술하는 효과란에 기재된 각 특유의 효과가 생기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예의 요부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X-X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배면도
도 5는 메인조작부(1a)와 탄성판(13)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메인조작부(1a)와 탄성판(13)의 관계의 측면도
도 7은 부착금구(4)의 배면도
도 8은 부착금구(4)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욕실리모콘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욕실리모콘의 배면도
도 11은 도 9의 욕실리모콘의 Z-Z 단면도
도 12은 도 9의 욕실리모콘의 Y-Y단면 확대도
도 13는 도 9의 욕실리모콘의 저반체(B)의 정면도
도 14은 도 13의 저반체(B)의 걸림구(60)의 확대도
도 15는 도 14의 걸림구(60)의 확대측면도
도 16은 피복시트(171)의 평면도
도 17은 양면 접착테이프(T)의 평면도
도 18은 피복시트(171)의 점착구조의 확대도
도 19는 케이싱메인체(1)내의 코드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메인체 1a - 메인조작체
1b - 보조조작체 10 - 기초판(基板)
11 - 표시인쇄층 12 - 액정표시부
13 - 탄성판 14 - 연결보강체
15 - 정면판 16 - 플랜지부
17 - 피복시트 18 - 오목부
19 - 열쇠형상 오목부 171 - 피복시트
172 - 피복시트 21 - 덮개판
22 - 보조조작면부 23 - 탄성판
24 - 버튼부 25 - 트인구멍
26 - 패킹 3 - 스위치
30 - 감춤스위치 31 - 액추에이터
R - 리브 32 - 발광부
301 - 조작버튼 4 - 부착금구
41 - 지지판부 42 - 나사구멍
43 - 투공 44 - 걸어맞춤훅
5 - 발광표시 유니트 51 - 창판
C1- 접속부 A - 정면반체(正面半體)
B - 저반체(底半體) 101 - 제 1 렌즈체
102 - 제 2 렌즈체 103 - 오목부
R - 리브 6 - 원통부
61 - 부싱 60 - 걸림구
62 - 중앙돌기 63 - 협지(挾持)돌기
64 - 탄성패킹 65 - 탄성패킹
T - 양면 접착테이프 411 - 오목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한 청구항 1 발명의 해결수단은, 상기한 리모콘 조작버튼에 있어서, 리모콘조작반의 표면에 노출되고 또한 누름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메인조작체(1a)와, 이 메인조작체(1a)의 이면의 전범위에 걸쳐,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사출성형시에 결합형성되고 또한 광산란성능을 가지는 표시인쇄층(11)과,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상기 누름조작과 연동하여 동 방향으로 압입되는 광투과성의 소재로 이루어진 보조조작체(1b)와, 상기 보조조작체(1b)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액추에이터(31)가 압입되어 작동하는 스위치(3)와, 이 스위치(3)에 의하여 발광상태가 제어됨과 아울러 상기 액추에이터(31)의 근방에 설치된 발광부(32)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스위치(3)는 메인조작체(1a)의 조작에 의하여 ON-OFF된다. 그리고, 스위치(3)의 동작에 의하여 발광부(32)가 도통되면, 여기로부터의 빛이 보조조작체(1b)를 투과하여 메인조작체(1a)에 이른다.
그리고,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이면에 형성된 표시인쇄층(11)이 산란상태가 된다. 이것이 투명한 메인조작체(1a)의 표시측으로부터 투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부 인쇄층(11) 자체도 발광상태에서 외견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조작체(1b)는, 발광부(32)에서의 빛을 집광하는 렌즈로 하고, 상기 메인조작체(1a)는, 상기 표시인쇄층(11)의 산란광을 메인조작체(1a)의 표면 전역에 집광하도록하도록 보조조작체(1B)와 접하는 저면이 볼록한 볼록렌즈로 한 것이다.
상기 예에서는, 발광부(32)에서의 빛이 집광되어 상기 보조조작체(1b)를 통하여 표시인쇄층(11)에 이르고, 이 빛이 표시인쇄층(1)에서 산란되지만 이 산란광은 메인조작체(1a)를 투과하여, 이러한 렌즈작용에 의하여 상기 산란광은 메인조작체(1a)의 표면 전범위에 이른다.
한편, 상기 보조조작체(1b)로서의 렌즈에 의한 집광성능은, 상기 발광부(32)에서 빛이 대략 평행광선이 되도록 집광되도록 하므로써 보조조작체(1b)의 렌즈효과에 의한 집광성도 확보되고 나서 발광부(32)에서 빛이 표시인쇄층(11)의 전역에서 균일하게 산란되므로, 산란에 의하여 밝기가 균일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급탕기가 부착된 목욕장치의 리모콘조작반에 실시된다. 보통 이러한 종류의 리모콘조작반에 있어서는, 욕실용 리모콘조작반(욕실리모콘)과 주방에 설치되는 메인조작반(메인리모콘)이 있다.
*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리모콘에 본 발명이 실시된 것이다.
상기 메인리모콘은, 도 3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한 조작반용 케이싱메인체(1)와, 이 케이싱메인체(1)의 정면을 피복하는 커버체(2)와, 상기 케이싱메인체(1)에 내장되는 제어소자용 기판(10)과, 이 기초판(10)의 표면에 부착된 스위치(3, 3)와, 액정표시부(12)와, 은폐스위치(30, 30)와, 이 은폐스위치용 조작부와, 상기 스위치(3, 3)를 위한 조작부 등을 구비한다.
[커버체(2) 및 메인조작체(1a)]
상기 케이싱메인체(1)의 정면에는 상기 액정표시부(12)와, 상기 메인조작체(1a, 1a)를 시작으로 하여 각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조작체(1a, 1a)등이 관통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싱메인체(1)의 정면측이 커버체에 의하여 피복되고, 이 커버체(2)의 도 2 정면도의 하반부 범위에는 덮개판(21)이 개폐가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체(2)의 정면은 도 2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상반부의 우측에는 상기 스위치(3, 3)에 대응하는 1쌍의 메인조작체(1a, 1a)가 설치되어 있다. 각 메인조작체(1a, 1a)는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판(13)의 선단에 부착된 편평한 타원구형상의 버튼부이고, 상기 커버체(2)의 표면판 이면에 외팔보(cantilever)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정면부가 상기 커버체(2)에 형성된 구멍으로 관통노출되어 있다. 상기 탄성판(13)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메인조작체(1a) 외측둘레의 몸체부 양측에서 연장된 1쌍의 암(arm)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암은 연결보강체(1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보강체(14)는 상기 커버체(2)의 이면판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이면에는 표시인쇄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인쇄층(11)의 무늬는 각각 운전동작과 자동동작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메인체(1)에는 덮개판(21)에 의하여 폐색되는 보조조작면부(2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보조조작면부(22)는 상기 은폐스위치(30, 30)의 조작입력부를 탄성변형 가능한 시트상 조작부에 의하여 피복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시트상 조작부의 일부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조작체(1a)와 같은 조작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기구도 덮개판(21)의 이면에 외팔보상태로 부착된 탄성판(23)과, 이 탄성판(23)의 선단에 부착되는 버튼부(24)로 이루어진다. 이 탄성판(23)과 상기 버튼부(24)의 관계는 상기 메인조작체(1a)에 관한 구성과 같다.
[보조조작체(1b)]
상기 메인조작체(1a, 1a), 상기 액정표시부(12) 및 상기 덮개판(21)을 구비한 커버체(2)는, 상기 케이싱메인체(1)의 정면에 끼워붙여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이면측에는 상기 케이싱메인체(1)에 구비시킨 보조조작체(1b)가 위치한다. 상기 보조조작체(1b)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메인체(1)내의 기초판(10)에 설치된 스위치(3)의 액추에이터(31)와 접촉하고, 제 1 실시예에서는 투명 합성수지제의 사출성형품으로 광투과성이 있는 렌즈체이고, 케이싱메인체(1)의 정면판(15)에 형성된 오목부(18)에 출몰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다. 상기 커버체(2)를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보조조작체(1b)가 상기 오목부(18)에서 빠지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조작체(1b)의 몸체부에 플랜지부(16)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16)를 포함한 전체가 상기 오목부(18)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정면판(15)에 피복시트(17)를 펴붙이고, 이 피복시트(17)에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을 상기 보조조작체(1b) 몸체부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조작체(1b)는 상기 피복시트(17)의 구멍 가장자리와 상기 피복시트(17)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오목부(18)내에 빠짐방지상태로 수용된다. 이 빠짐방지에 의하여 정비시 커버체(2)를 떼어냈을 때, 상기 보조조작체(1b)가 상기 오목부(18)에서 빠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조작체(1b)의 외면 및 내면은 모두 구형상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면의 구형상 표면은 스위치(3)의 액추에이터(31)에 접촉한다. 타측 외면의 구형상 표면은 상기 메인조작체(1a) 내면(이면)측의 구형상 표면과 접촉하고, 이들의 정상부 상호가 접촉한다. 또한, 케이싱메인체(1)에 커버체(2)를 장착한 상태에서 또한 메인조작체(1a)가 자유상태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31)와 보조조작체(1b)의 내면측 정상부가 매우 작은 간격을 두고 접촉하거나, 또는 스위치(3)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액추에이터(31)와 보조조작체(1b)가 접촉하는 상태로 있다.
상기 보조조작체(1b)와 상기 메인조작체(1a)는 대향돌출하는 구형상 표면의 정상부 상호가 점접촉하므로, 액추에이터(31)를 조작할 때의 클릭(click)조작감이 메인조작체(1a)에 그대로 남게 된다.
또, 상기 보조조작체(1b)의 평면형태를 타원형 형상으로 하고 상기 오목부(18)를 이에 적당한 평면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오목부(18)내에서 상기 보조조작체(1b)의 모양이 변화되지 않는다. 또, 상기 보조조작체(1b)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우 몸체부 가장자리에 게이트마크인 작은 돌기가 남지만, 이 작은 돌기를 방지하는 절결홈을 상기 오목부(18) 내주면에 형성하였다.(도시생략)
따라서, 상기 게이트마크인 작은 돌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상기 절결홈내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오목부(18)내에서의 상기 보조조작체(1b)의 동작의 원활함이 확보된다. 또한, 이동축선 주위의 모양에 관한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다.
[메인리모콘의 부착]
상기 구성의 메인리모콘은, 도 7에 나타낸 부착금구(4)를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착금구(4)에는, 상기 케이싱메인체(1)를 나사고정하기 위한 1쌍의 지지판부(41, 41)와 여기에 형성된 나사구멍(42, 42)과, 상기 부착금구(4)를 벽면에 나사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변 및 하변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43, 43)과, 상기 부착금구(4)의 측변에서 돌출하는 걸어맞춤훅(44, 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부(4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금구(4)의 상변과 하변에서 상하로 돌출됨과 아울러 정면측으로 돌출된 구성으로, 전체적으로는 'L'자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 지지판부(4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메인체(1) 배면의 상변 및 하변에서 그 내측의 일정범위로 형성된 오목부(411)에 수용되는 크기이고, 상기 오목부(411)에는 상기 지지판부(41)와 케이싱메인체(1)를 나사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훅(44)에 대응하는 케이싱메인체(1)의 측벽하부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열쇠형상 오목부(19, 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부착금구(4)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리모콘을 벽면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부착금구(4)를 투공(43, 43)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부착금구(4)에는 중앙에 트인구멍(400)이 있으므로, 이 트인구멍(400)을 통하여 벽면에서 인출된 전원 및 신호코드를 케이싱메인체(1) 이면의 접속부(C1)에 접속시킨다. 상기 케이싱메인체(1)에서 상기 커버체(2)를 떼어낸 상태로 하여 상기 걸어맞춤훅(44, 44)을 상기 케이싱메인체(1) 이면의 열쇠형상 오목부(19, 19)에 삽입하여 일정거리 인하시킴으로써 빠짐방지상태로 걸어맞춤시킨다. 이 후, 상기 케이싱메인체(1)의 상변 및 하변의 중앙 근방에 형성한 구멍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메인체(1)를 상기 부착금구(4)의 나사구멍(42, 42)에 나사고정한다.
이에 의하여, 케이싱메인체(1)의 상하 중앙부와 좌우 측변 하부가 상기 나사고정과 걸어맞춤에 의하여 상기 부착금구(4)에 부착됨으로써, 이 케이싱메인체(1)의 부착상태가 안정된다. 이 케이싱메인체(1)에 커버체(2)를 외측끼움하여 장착하면 메인리모콘의 부착된 것이 된다.
[조작의 실제]
상기 부착상태에 있어서는 메인조작체(1a, 1a)에 의하여 스위치(3, 3)를 ON-OFF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는, 이에 내장된 판스프링이 OFF에 해당하는 1의 원호형태(예를들면, 일측으로 볼록상태)에서 ON에 해당하는 다른 원호형태(예를들면, 일측을 향하여 오목상태)로 반전함으로써, 접점이 비접촉상태에서 접촉상태로 변화하는 구성이고, 이 반전동작시에 클릭동작을 한다. 따라서, 이 스위치(3)는, 액추에이터(31)를 직접 압입하면 상기 판스프링이 반전동작하는 순간 조작감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액추에이터(31)에 접촉하는 보조조작체(1b)와 이 보조조작체(1b)에 접촉하는 메인조작체(1a)는, 이들의 각 접촉점이 모두 구면형상 정상부 상호의 점접촉과 평면부와 구면형상 정상부의 점접촉이고, 또 상기 보조조작체(1b)는 케이싱메인체(1) 정면판(15)의 오목부(18)내에서 자유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메인조작체(1a)를 조작하였을 때의 조작감은 상기 액추에이터(31)를 직접 조작한 경우와 거의 같은 감촉의 것이 된다.
따라서, 조작시의 감촉에 클릭조작감이 그대로 남는다.
이상의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3)가 도통되면 발광부(32)는 발광상태도 되고,
이 빛은 집광성과 산란성을 구비한 보조조작체(1b)를 통하여 메인조작체(1a) 이면의 표시인쇄층(11)에 도달하여 이 표시인쇄층(11) 전범위를 거의 균일하게 산란발광시킨다.
상기 산란발광이 메인조작체(1a)를 구성하는 투명합성수지를 통하여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표시부에는 투명감(클리어감)이 있고, 충분한 밝기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보조조작체(1b)의 전체를 투명체로 하더라도 상기 표시의 투명감과 밝기는 같다.
또, 상기한 부착금구(4)에 의한 케이싱메인체(1)의 부착상태에서는, 커버체(2)를 장착한 케이싱메인체(1)가 상하 2점에서 지지됨과 아울러 좌우의 열쇠형상 오목부(19, 19)에 의해서도 빠짐방지상태로 걸어 맞춤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싱메인체(1)의 부착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메인체(1)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의 머리부는 커버체(2)에 의하여 피복되므로 정면의 외관도 양호해진다.
* 제 2 실시형태
도 9 이하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는, 욕실리모콘에 본 발명이 실시된 것이다.
상기 욕실리모콘에 있어서는 수밀성이 요구되지만, 도 9의 정면도 및 도 11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판(10)을 수용하고 스위치(3)나 보조조작체(1b)등을 내장한 케이싱메인체(1)와, 이 케이싱메인체(1)의 정면을 커버하는 커버체(2)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상기 욕실리모콘에는, 정면중앙에 4개의 메인조작체(1a, 1a)가 종횡으로 병설되어 있고, 그 좌측에는 형광표시관식의 발광표시유니트(5)의 정면을 커버하는 창판(51)이 노출되어 있다. 이 창판(51)은 광투과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우측에는, 좌우방향 외측으로 열리는 식의 덮개판(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메인체(1)는, 정면반체(A)와 이의 배면측 개방부를 폐색하는 저반체(B)로 되어 있다. 상기 정면반체(A)에는 기판(10)이 부착되어 있다. 이 기판(10)의 정면측에는, 상기 각 메인조작체(1a)에 의하여 조작되는 스위치(3), 은폐스위치(30, 30) 및 상기 발광표시유니트(5)가 부착되고, 배면측에는 기타의 제어소자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정면반체(A)의 정면측 평면에는, 상기 덮개판(21)에 의하여 피복되는 부분에 은폐스위치(30, 30)의 조작부가 되는 보조조작체(1b)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조작체(1a, 1a)의 배면측에는 보조조작체(1b, 1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조작면부(22)의 표면은, 도 11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은폐스위치(30, 30)용 조작버튼(301, 301)의 배치부 표면전체가 1장의 피복시트(172)로 피복된 구성이고, 상기 조작버튼(301)과 정면반체(A)의 가동간격은 상기 피복시트(172)에 의하여 밀봉되고 이 조작부의 수밀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피복시트(172)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버튼(301)과 대향하는 부분은, 정면반체(A)에 형성된 버튼구멍을 폐색하는 부분적인 가동부로 이것이 조작부가 된다.
[보조조작체(1b)]
또, 상기 보조조작체(1b)는, 도 11 및 도 1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합성수지제인 제 1 렌즈체(101) 및 제 2 렌즈체(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렌즈체(102)의 가장자리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의 내측둘레범위에 형성된 오목부(103)내에는 상기 제 1 렌즈체(101)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제 1 렌즈체(101)와 제 2 렌즈체(102)가 렌즈부에서 중합되어 있어 상기 스위치(3)의 발광부(32)에서의 빛을 메인조작체(1a)의 전범위에 도달이르는 평행광선으로 집광할 수 있는 렌즈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조조작체(1b)는 상기 정면반체(A)에 형성된 오목부(18)에 수용되고, 이 오목부(18)내에 정면-배면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면반체(A)의 정면측 평면에서 상기 4개의 보조조작체(1b, 1b) 설치부는, 도 12와 같이, 탄성 합성수지시트 또는 유연한 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피복시트(171)에 의하여 피복된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18, 18)에 수용된 보조조작체(1b, 1b)는 이동이 자유롭게 유지됨과 아울러 이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간격부 등의 정면측이 상기 피복시트(171)에 의하여 피복되어, 이 부분의 수밀이 확보된다.
[창판(51)의 특징]
상기 창판(51)은 정면반체(A)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소위 2색성형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발광표시유니트(5)는 편평한 직육면체이고, 그 정면보다도 조금 작은 범위가 유효표시범위이고, 이 유효표시범위보다도 조금 작은 트인구멍(25)이 상기 정면반체(A)에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1회째의 사출성형이 실행된 후 상기 트인구멍(25)을 피복하는 직사각형범위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판(51) 부분을 광투과성의 소위 스모크타입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2회째의 사출성형을 한다. 이에 의하여, 커버체(2)의 정면에 노출된 상기 창판(51)의 정면에서의 외관은, 상기 창판(51)의 가장자리와 상기 트인자리(25)의 가장자리 사이가 띠형상이 둘러진 외관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판(51)을 붉은 기가 도는 회색으로 하고, 정면반체(A)를 옅은 회색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가장자리부분은 짙은 회색으로 보이게 된다.
상기 구성의 정면반체(A)의 가장자리단면과 저반체(B)의 가장자리단면 사이에 환형상의 패킹(28)이 개재되어 수밀이 확보되고, 복수개소를 나사고정함으로써 정면반체(A)와 저반체(B)에 의하여 편평한 상자형상의 케이싱메인체(1)가 구성된다. 이 형태에서는, 보조조작면부(22) 부분 및 보조조작체(1b, 1b) 설치부 및 창판(51) 배치부의 각부의 수밀이 상기와 같이 하여 확보된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케이싱메인체(1)와 같이, 상기 정면반체(A)의 정면은 커버체(2)에 의하여 커버되어 있지만, 이 커버체(2)에 있어서의 상기 창판(5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창판(51)의 정면측을 끼워넣는 트인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보조조작체(1b, 1b)의 정면측에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탄성판(13)의 선단에 설치한 메인조작체(1a, 1a)가 대접하고, 이 메인조작체(1a, 1a)의 정면측이 커버체(2)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이 메인조작체(1a) 단면의 구성 및 커버체(2) 이면에 부착되는 연결보강체(14)를 구비한 점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여기에서는. 스위치(3)의 발광부(32)에서의 빛은 제 1 렌즈체(101) 및 제 2 렌즈체(102)를 통하여 상기 메인조작체(1a) 이면의 표시인쇄층(11)에 집광되므로, 이 표시인쇄층(11)의 산란에 의하여 해당부분의 표시가 투명한 메인조작체(1a)를 통하여 욕실리모콘의 정면에서 잘 보이게 된다.
상기 케이싱메인체(1)로의 전원코드 및 신호코드는, 저반체(B)의 중앙 원통부(6)에 수밀상태로 끼워붙인 부싱(61)에 끼워통하게 하여 케이싱메인체(1)내로 도입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케이싱메인체(1)내에서 상기 스위치(3), 은폐스위치(30) 및 제어소자 등에 배선된다.
[배선고정]
상기 저반체(B)의 내면에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걸림구(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구(60)는, 저반체(B)와 일체로 형성된 편평한 중앙돌기(62)와 이를 가운데 두고 대향하는 편평한 협지돌기(63, 63)로 되어 있고, 상기 중앙돌기(62)와 상기 협지돌기(63)의 편평한 단면이 상호 평행하게 되는 형태로 상기 각 돌기가 병설된 구성이다.
상기 중앙돌기(62)와 협지돌기(63) 사이의 간격은, 각 양단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돌기선단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도록 하고, 각 돌기의 단면 양단에서 리브(R)가 대향돌출되어 있고, 이들 리브(R, R)의 정상부 상호의 간격은 상기 각 돌기의 선단측에서 기초단까지의 사이에서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형태에서 케이싱메인체(1)내로 도입된 코드류의 느슨함은 상기 중앙돌기(62)와 협지돌기(63) 사이로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리브(R, R)에 의하여 협지된다. 따라서, 코드등은 저반체(B)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1과 같이 상기 저반체(B)의 배면과 상기 원통부(6) 배면측의 단부가 동일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통부(6)의 외측 가장자리범위에 환형상의 탄성패킹(64)이 첨설되어 있다. 그리고, 저반체(B) 배면의 가장자리에는 같은 환형상의 탄성패킹(65)이 첨설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케이싱메인체(1)를 부착나사(N)를 나사구멍(M)에 끼워 나사고정함으로써 고정시키면 상기 부싱(61)에 의한 밀봉과 아울러 상기 환형상의 탄성패킹(64, 65)에 의하여 통부(6)내의 수밀이 확보되게 된다.
또, 상기 통부(6)가 저반체(B)의 배면에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욕실등의 벽면에는 상기 전원코드나 신호코드를 끼워통하게 하는 구멍이 있으면 되고, 욕실리모콘 설치를 위하여 큰 구멍을 낼 필요는 없다.
[보조조작체 고정기구]
상기 보조조작체(1b, 1b)의 정면측의 수밀을 꾀하기 위하여, 도 16∼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보조조작체(1b, 1b) 배치부의 정면측은 피복시트(171)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지만, 상기 피복시트(171)는 정면반체(A)의 정면측 표면에 양면 접착테이프(T)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4개의 보조조작체(1b, 1b)는 정방형의 각 코너에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들 보조조작체(1b, 1b)를 수용하는 오목부(18, 18) 사이는 평면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평면에서 상기 오목부(18, 18)를 둘러싸는 범위는,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T)에 의하여 띠형상으로 부착되고, 그에 더하여 일측변에 평행한 중간변부도 띠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양면 접착테이프(T) 사이에서는, 보조조작체(1b)의 정면측 표면과 상기 피복시트(171)의 배면은 자유상태로 있다.
이것으로부터, 메인조작체(1a)로 상기 보조조작체(1b)의 표면을 피복하는 피복시트(171)를 압입하여 스위치(3)를 작동시켰을 때, 피복시트(171)의 이면과 보조조작체(1b)의 표면 사이에는, 일정한 상대이동의 자유도가 있으므로 조작감이 양호하다. 즉, 스위치(3)의 클릭조작감이 그대로 살려져서 조작감이 된다.
[전기접속의 실제]
또한, 케이싱메인체(1)내에서 상기 전원코드 및 신호코드를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메인체(1)내의 기판(10) 이면측 공간의 크기는 상기 코드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66, 67)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하고, 일측의 커넥터(67)는 상기 통부(6)에 끼워통하게 한 전원코드 및 신호코드의 상기 케이싱메인체(1)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예에서는, 가장자리의 접합용 나사를 떼어내고 케이싱메인체(1)를 정면반체(A)와 저반체(B)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원통부(6)를 끼워통과시킨 전원코드 및 신호코드의 내측 단부에 상기 커넥터(67)를 부착하여, 이것을 정면반체(A)측의 타측의 커넥터(66)와 접속하면 전기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각 코드가 케이싱메인체(1)내에서 얽히기 쉽지만, 상기 접속작업시 저반체(B)측의 걸림구(60, 60)를 이용하여 상기 각 코드를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용이하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이면에 형성된 표시인쇄층(11)이 산란상태가 되고, 이것이 투명한 메인조작체(1a)의 표면측에서 투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메인조작체(1a)의 투명소재에 의한 클리어감이 생기고 또한 광산란상태인 표시인쇄층(11)이밝게 보여 상기 표시가 보기 쉬워진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메인조작체(1a) 및 보조조작체(1b)가 모두 집광성능을 가지므로, 발광부(32)에서 빛이 분산소실하기 어렵고. 표시인쇄층(11)이 한층 밝아져서 일층 보기 쉬워진다.
또한, 메인조작체(1a)에 이르는 빛이 평행광선이 되어 표시인쇄층(11) 전범위에서 균일하게 산란되므로, 표시의 밝기가 그 전범위에 있어서 균일화되어 일층 보기 쉬워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리모콘조작반 표면에 노출되고 또한 누름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메인조작체(1a)와, 이 메인조작체(1a)의 이면 전범위에 걸쳐,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사출성형시에 결합형성되고 또한 광산란성능을 가지는 표시인쇄층(11)과, 상기 메인조작체(1a)의 상기 누름조작과 연동하여 동 방향으로 눌려지는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 보조조작체(1b)와, 상기 보조조작체(1b)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액추에이터(31)가 눌려져서 작동하는 스위치(3)와, 이 스위치(3)에 의하여 발광상태가 제어됨과 아울러 상기 액추에이터(31) 근방에 설치된 발광부(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용 조작버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조작체(1b)는, 발광부(32)에서의 빛을 집광하는 렌즈로 하고, 상기 메인조작체(1a)는, 상기 표시인쇄층(11)의 산란광을 메인조작체(1a)에 집광하도록 보조조작체(1B)와 접하면 저면이 볼록한 볼록렌즈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용 조작버튼.
KR1019970021020A 1996-08-30 1997-05-27 리모콘용조작버튼 KR100262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30747 1996-08-30
JP230747 1996-08-30
JP8230747A JPH1050163A (ja) 1996-05-28 1996-08-30 リモコン用操作ボタ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117A KR19980018117A (ko) 1998-06-05
KR100262394B1 true KR100262394B1 (ko) 2000-08-01

Family

ID=1691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020A KR100262394B1 (ko) 1996-08-30 1997-05-27 리모콘용조작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8686A1 (en) * 2001-10-01 2003-04-02 Check Up s.r.l. Visualization device, particularly for keypads or remote contro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8686A1 (en) * 2001-10-01 2003-04-02 Check Up s.r.l. Visualization device, particularly for keypads or remote contr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117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7921C2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 подсветкой
US4508943A (en) Wall command switch
KR100262394B1 (ko) 리모콘용조작버튼
KR100252668B1 (ko) 스위치조작기구
KR100252623B1 (ko) 조작버튼
JP3517321B2 (ja) リモコン装置の取付け方法
JPH1049084A (ja) 表示装置
JP2550075Y2 (ja) 表示装置付スイッチ
JP3668566B2 (ja) 操作盤の電気接続構造
JPH1050163A (ja) リモコン用操作ボタン
JP3272951B2 (ja) 操作装置
JP3128431B2 (ja) 操作装置
JPH0228567Y2 (ko)
JPH1050166A (ja) スイッチ操作装置
JP2001143563A (ja) ガス器具用リモコンの操作ボタン構造
CN218683810U (zh) 一种烹饪器具用显示组件及烹饪器具
CN217386929U (zh) 带led的开关座
JPH0546187Y2 (ko)
JP2550084Y2 (ja) 押釦装置
JP2812634B2 (ja) パネル操作板
JP3665685B2 (ja) 発光式スイッチ操作機構
KR950009505Y1 (ko) 엘리베이터 조작용 버튼
JP3272708B2 (ja) スイッチボタン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3524716B2 (ja) 操作装置
JP3166073B2 (ja) スイッチ操作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