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644A - 황칠나무 유래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유래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644A
KR20190052644A KR1020180136214A KR20180136214A KR20190052644A KR 20190052644 A KR20190052644 A KR 20190052644A KR 1020180136214 A KR1020180136214 A KR 1020180136214A KR 20180136214 A KR20180136214 A KR 20180136214A KR 20190052644 A KR20190052644 A KR 20190052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ellular vesicles
extracellular
cosmetic composition
leaf
der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327B1 (ko
Inventor
이승헌
연주헌
고해주
이루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문화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문화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문화학원
Publication of KR2019005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extracellular vesicl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또는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은 멜라닌 합성,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고,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합성 저해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황칠나무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은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피부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유래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ellular vesicles from Dendropanax morbifera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황칠나무에서 분리한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이고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이 조직은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및 피하(hypodermis)로 이루어 졌으며, 멜라닌은 피부의 표피에 존재하는 색소로서,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로 부터 만들어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멜라닌세포는 tyrosinase와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DCT) 3개의 key 효소들에 의해 생성되며, tyrosinase는 tyrosine을 가수분해하여 3,4-dihydroxy-phenylalanine(DOPA), DOPA quinone으로 변환되어 붉은 계열의 eumelanin과 갈색계열의 pheomelanin이 합성된다.
오늘날 여성들은 하얗고 깨끗한 피부를 선호하며 이를 미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미백제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미백제 개발에 있어 사용되는 미백 성분으로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C(L-Ascorbic acid)등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물질들은 안전성 문제, 효과의 불분명 등으로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알부틴의 경우 화장품 첨가량을 2% 이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 함유량은 화장품이 실제로 피부에서 미백효과를 나타내기에는 멜라닌 세포에 전달되는 양이 매우 적다. 따라서 천연식물로부터 유래한 낮은 농도에서의 미백효과와 피부 투과율이 높은 천연 소재의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한편, 천연식물인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난대 상록활엽성 교목인 황칠나무속(Dendaropanax)이다. 황칠나무속(Dendropanax)은 동아시아, 말레이 반도, 중앙 및 남아메리카에 약 30 여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 중 우리나라에는 전라남도 완도, 보길도, 대흑산도, 어청도 제주도 등지에 자생하고 있다. 본초강목에서 황칠나무가 번열제거, 안질 및 화상치료, 나병에 효과가 있으며 무해하다고 기록되어 있고, 황칠나무의 뿌리와 잎의 줄기는 거풍습, 황멸맥, 풍습 비통, 편두통 월경불순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식물 등의 세포 분비물(secretome)에 세포의 행동을 제어하는 다양한 생체활성인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세포 분비물 내에는 세포 간 신호전달 기능을 가지는 나노소포체인 '엑소좀(exosome)' 또는 '세포 외 베지클(extracellular vesicle)'이 포함되어 있어 그 성분과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상기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으로부터 분리한 세포 외 베지클의 미백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423433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합성원료보다는 천연식물에서 유래한 대체원료 중, 높은 흡수율 및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 및 각각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세포 외 베지클이 멜라닌 생성 저해,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가 있고, 세포 독성이 낮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이 뛰어난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서,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황칠나무의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또는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직경이 각각 30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을 분쇄하여 용매와 혼합한 후 여액을 얻고, 상기 얻어진 여액을 여과한 후 여과물을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며, 수득된 상기 상등액을 다시 여과하여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을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을 1 내지 500 μg/mL 포함하고, 잔량으로서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의 세포 외 베지클 1 내지 500 μg/mL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mL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을 분쇄하여 용매와 혼합하여 여액을 얻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여액을 여과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상등액을 다시 여과하여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을 수득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제 4단계에서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 및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서, 상기 제 1단계인 여액을 얻는 단계는, 용매로 인산 완충 식염수를 사용하고, 진탕기를 이용하여 분당 회전수 120 내지 200 상태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여과는, 시린지 필터 및 원심식필터 유닛을 이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상등액은,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상대원심력 4000 내지 6000으로 5 내지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extracellular vesicle)은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미백용 합성원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뛰어난 멜라닌 합성 저해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능을 나타내어 미백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합성 저해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황칠나무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은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피부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에서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의 사진을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에서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의 크기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의 세포 외 베지클 및 각각의 혼합물의 B16BL6 세포주에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의 세포 외 베지클 및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의 B16BL6 세포주에서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도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의 세포 외 베지클 및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의 B16BL6 세포주에서 세포 생존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과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과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도 저해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미백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황칠나무의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또는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세포 외 베지클(extracellular vesicle)"은 세포가 세포 외 환경에 분비하는 다양한 막(membrane) 유형의 소포체를 말하며, 입자의 직경이 작게는 10nm부터 크게는 1,000nm 크기를 갖는 막 구조 소포체로서, 그 크기와 구성에서 이질성이 있고, 엑소좀(exosome, 약 30-200nm), 액토좀(ectosomes), 마이크로 입자(microparticle) 등 다수의 상이한 종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세포 외 베지클은 직경이 각각 30nm 내지 300nm 일 수 있고, 인지질 이중막으로만 이루어져 있거나 DNA, RNA, mRNA 등과 같은 생물학적 기능을 반영하는 구성성분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평균 크기를 측정한 결과, 직경이 각각 96.3nm 및 87.6nm인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에서 상기 “세포 외 베지클”은, 상기 황칠나무와 용매의 혼합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여액, 상기 여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여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여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여액 자체 및 여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에 있어서, 상기 세포 외 베지클을 분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을 분쇄하여 용매와 혼합한 후 여액을 얻고, 상기 여액을 여과한 후 여과물을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며, 수득된 상기 상등액을 다시 여과하여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을 분쇄하여 용매와 혼합한 후 여액을 얻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은 여액을 여과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상등액을 다시 여과하여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을 수득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제 4단계에서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 및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황칠나무로부터 세포 외 베지클을 분리하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물, 인산 완충 식염수(PBS)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산 완충 식염수(PBS)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진탕기를 이용하여 분당 회전수 120 내지 200 상태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황칠나무와 용매를 혼합하여 여액을 얻을 수 있으나 상기 조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여액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 시린지 필터와 원심식필터 유닛인 아미콘 튜브를 사용하여 여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는 액체의 샘플 내에 있는 부유 물질을 여과할 때 사용되며 빠른 정화 및 입자 제거가 뛰어난 특징이 있고, 원심식필터 유닛인 아미콘 튜브(Amicon tube)는 여과 면적이 크고 회수율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등액은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상대원심력(rcf) 4000 내지 6000으로 5 내지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수득될 수 있으나, 상기 조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 베이스를 배합할 수 있고, 예컨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을 1 내지 500 μg/mL 포함하고, 잔량으로서 화장품 베이스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베이스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로션,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황칠나무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는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도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황칠나무의 잎 및 줄기 유래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과 이들 혼합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하였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황칠나무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이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과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멜라닌 합성저해 효과가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과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도 저해효과를 비교한 결과,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저해효과가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1. 재료 준비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황칠나무의 잎, 줄기, 수액은 전라남도 완도 보길도에서 채취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배지(DMEM; Dulbecco's modigide eagle's medium)와 소태반혈청(FBS; 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penicill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은 Gibco/BRL(Eggenstein, Germany)에서 구입하였고, Arbutin(sigma, USA), α-MSH(sigma, USA), 3-Isobutyl-1-methylxanthin(sigma, USA), EZ-Cytox(Dogenbio, Korea), Triton X-100(sigma, USA), L-Dopa(sigma, USA), ELISA microplate reader(BioTek, USA)를 시약으로 사용하였다.
1.2. 황칠나무로부터 세포 외 베지클 분리
식물 황칠나무의 잎, 줄기, 수액을 분쇄하여 각각 인산 완충 식염수(PBS) 용매를 통해 진탕기(shaker기기)를 이용하여 분당 회전수(rpm) 160 상태로 24시간 혼합한 후 여액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여액을 다시 시린지필터(Syring filter)(0.2㎛)와 원심식 필터 유닛인 아미콘 튜브(Amicon tube)(10nm)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이를 다시 원심분리기(Ultracentrifuge)를 이용하여 10°C에서 상대원심력(rcf) 5000으로 10분 돌린 후 다시 한 번 상등액을 여과함으로써 황칠나무 잎, 줄기, 및 수액 각각으로부터 세포 외 베지클을 분리하였다.
1.3. 황칠나무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 제조
식물 황칠나무의 잎을 채취하여 에탄올에 혼합한 후 에탄올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황칠나무 잎을 분쇄 후 분쇄한 잎 10g과 80% 에탄올 10mL을 혼합하였다. 이 후, 쉐이커(shaker)를 이용하여 분당 회전수(rpm) 160으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황칠나무 잎, 줄기, 및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크기 및 입자 수 분석
먼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황칠나무의 잎(leaf), 줄기(stem), 및 수액(sap)에서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의 사진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구체적으로, 탄소 필름을 코팅한 EM-grid 위에 황칠나무 잎, 줄기, 및 수액의 세포 외 베지클 5㎕를 올린 후 1분 동안 흡착시킨 다음, distilled water로 세척하고 1%의 uranyl acetate로 1분 동안 negative staining을 시킨 후 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에서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찰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황칠나무의 잎(leaf), 줄기(stem), 및 수액(sap)에서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 각각 1ml를 멸균 실린지로 NTA 장비의 챔버에 주입하고 크기 별 분포와 입자수를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NTA)를 통해 상온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황칠나무의 잎(leaf), 줄기(stem), 및 수액(sap)에서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의 평균 크기(직경)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96.3nm, 87.6nm, 및 113.5nm 였으며, 세포 외 베지클의 총 개수는 각각 1.53x 109 ± 1.61x 108 /mL, 4.98x108 ± 1.86x 108 / mL, 2.38 x109 ± 2.15x109 / mL 로 확인되었다.
평균 크기(nm) 총 개수(particle/mL)
leaf 96.3 1.53x109 ± 1.61x108
Stem 87.6 4.98x108 ± 1.86x108
sap 113.5 2.38 x109 ± 2.15x109
실험예 1 :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 측정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 측정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 알부틴을 대조군으로 하여 멜라닌의 생성 양을 측정하였다.
B16BL6 세포를 24-well 플레이트에 각 well 당 1x 105 cell/well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고, 24시간 후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 유래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 시료 및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 시료를 농도별로 10, 50, 100, 500 ug/ml 처리하였으며, 처리한 후 1시간 이후에 다시 100nM α-MSH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을 하였다. 그 후 PBS로 1회 wash를 하고, lysis solution(1N NaOH: 10% DMSO)을 처리하여 60℃ 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멜라닌 정량은 ELISA microplate reader로 405nm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 유래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 및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합성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황칠나무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 처리 시 100, 500 ug/ml에서 알부틴을 처리한 경우 보다 멜라닌 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도 3 및 도 4를 통해서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황칠나무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은 기존 미백용 화장품에 사용되는 알부틴 보다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황칠나무 잎에서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 활성도 저해효과 측정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저해효과 측정은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작용 저해효과로 알려진 대표적인 물질 알부틴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B16BL6 세포를 24-well 플레이트에 각 1X105cell/well씩 분주하여 24시간동안 세포를 안정화시킨 뒤에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 시료와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 시료를 농도별로 10, 50, 100, 500 ug/ml 처리하였고,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을 하였다. PBS로 2회 세척을 하고 1% Tris-x 100(pH 6.8)을 처리를 한 후에 -80℃에서 30분 동안 얼린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 하여, 4 ℃에서 12000 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통해 단백질이 든 상층액과 L-DOPA(2mg/ml)를 가지고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때 ELISA microplate reader 490nm 흡광도로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활성도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고, 황칠나무의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10, 50, 100, 500 ug/ml를 처리한 경우는 알부틴을 처리한 경우 보다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활성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황칠나무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 역시 10, 50, 100, 500 ug/ml를 처리한 경우 알부틴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활성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세포 생존력 측정
세포 생존력 측정은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B16BL6 세포를 96-well 플레이트에 9X104cell/well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한 뒤에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 시료 및 각각의 세포 외 베지클 혼합물 시료를 농도별로 10, 50, 100, 500 ug/ml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배양 뒤에 EZ-Cytox 용액을 10ul씩 첨가한 후 incubation(37℃)에 1시간 배양하였다. ELISA microplate reader 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황칠나무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은 10, 50, 100ug/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세포 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과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저해 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황칠나무 잎으로부터 황칠나무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과 멜라닌 합성저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B16BL6 세포를 24-well 플레이트에 각 well 당 1x 105 cell/well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고, 24시간 후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한 황칠나무의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10, 50, 100 ug/ml, 처리한 후 1시간 이후에 다시 100nM α-MSH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을 하였다. 그 후 PBS로 1회 wash를 하고, lysis solution(1N NaOH: 10% DMSO)을 처리하여 60℃ 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멜라닌 정량은 ELISA microplate reader로 405nm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합성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으며, 특히 50, 100ug/ml 에서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보다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과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 활성도 저해효과 비교
B16BL6 세포를 24-well 플레이트에 각 well 당 1x 105 cell/well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고, 1시간 이후에 다시 100nM α-MSH 처리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한 황칠나무의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10, 50, 100 ug/ml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이 후 PBS로 2회 세척을 하고 1% Tris-x 100(pH 6.8)을 처리를 한 후에 -80℃에서 30분 동안 얼린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 하여, 4℃에서 12000 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통해 단백질이 든 상층액과 L-DOPA(2mg/ml)를 가지고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때 ELISA microplate reader 490nm 흡광도로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을 처리한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으며, 특히 100ug/ml 에서 황칠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 보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황칠나무 잎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은 우수한 미백 활성과 낮은 세포 독성을 보인 바, 미백 화장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0)

  1.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extracellular vesicl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황칠나무의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수액 유래 세포 외 베지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또는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잎 유래 세포 외 베지클 및 줄기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직경이 각각 30nm 내지 3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은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을 분쇄하여 용매와 혼합한 후 여액을 얻고, 상기 얻어진 여액을 여과한 후 여과물을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며, 수득된 상기 상등액을 다시 여과하여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황칠나무 유래 세포 외 베지클을 1 내지 500μg/mL 포함하고, 잔량으로서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칠나무의 잎, 줄기 또는 수액을 분쇄하여 용매와 혼합한 후 여액을 얻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은 여액을 여과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수득된 상기 상등액을 다시 여과하여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extracellular vesicle)을 수득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제 4단계에서 분리된 세포 외 베지클 및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인 여액을 얻는 단계는, 상기 용매로 인산 완충 식염수를 사용하고, 진탕기를 이용하여 분당 회전수 120 내지 200 상태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여과는, 시린지 필터 및 원심식필터 유닛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상등액은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상대원심력 4000 내지 6000으로 5 내지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80136214A 2017-11-08 2018-11-07 황칠나무 유래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9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300 2017-11-08
KR20170148300 2017-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644A true KR20190052644A (ko) 2019-05-16
KR102109327B1 KR102109327B1 (ko) 2020-05-12

Family

ID=6667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214A KR102109327B1 (ko) 2017-11-08 2018-11-07 황칠나무 유래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71A1 (ko) * 2019-07-02 2021-01-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식물 엑소좀의 대량 생산 방법
CN114990048A (zh) * 2022-04-25 2022-09-02 福建省亚热带植物研究所 一种藜麦种子外泌体的制备方法及其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33B1 (ko) 2013-09-16 2014-08-13 전라남도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37380A (ko) * 2015-09-25 2017-04-04 (주)프로스테믹스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70056830A (ko) * 2015-11-16 2017-05-24 박숙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33B1 (ko) 2013-09-16 2014-08-13 전라남도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37380A (ko) * 2015-09-25 2017-04-04 (주)프로스테믹스 식물 착즙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70056830A (ko) * 2015-11-16 2017-05-24 박숙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71A1 (ko) * 2019-07-02 2021-01-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식물 엑소좀의 대량 생산 방법
CN114990048A (zh) * 2022-04-25 2022-09-02 福建省亚热带植物研究所 一种藜麦种子外泌体的制备方法及其用途
CN114990048B (zh) * 2022-04-25 2023-11-21 福建省亚热带植物研究所 一种藜麦种子外泌体的制备方法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327B1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28B1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4463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846503B1 (ko)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352823B1 (ko) 강력한 피부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노니 잔사 추출물을 분리하는 추출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 및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140056487A (ko) 감꼭지(枾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 주름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JP6951908B2 (ja) 皮膚外用剤
KR20190052644A (ko) 황칠나무 유래의 세포 외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4579B1 (ko) 수련, 캐모마일꽃, 모링가 및 마치현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160121636A (ko) 포공영, 어성초, 감초 및 유근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0A (ko) 쌀, 치아씨드, 녹두, 귀리, 퀴노아, 율무, 실크단백질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912996B1 (ko)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3A (ko) 은이버섯, 바다포도, 천화분, 백차, 연자육, 에버라스팅, 나노화백금으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7636A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96158B1 (ko)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46347B1 (ko)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101724018B1 (ko) 모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0624B1 (ko) 모시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7246B1 (ko) 꾸지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78245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0913B1 (ko) 넓미역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