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553A -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및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및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553A
KR20190051553A KR1020170147361A KR20170147361A KR20190051553A KR 20190051553 A KR20190051553 A KR 20190051553A KR 1020170147361 A KR1020170147361 A KR 1020170147361A KR 20170147361 A KR20170147361 A KR 20170147361A KR 20190051553 A KR20190051553 A KR 20190051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drag reduction
shroud
capacito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509B1 (ko
Inventor
박민주
정재은
김민성
정성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5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라우드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는 블라인드 축, 상기 슈라우드 하우징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상기 블라인드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슈라우드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 축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종래의 AAF 기능을 대신하여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며, 작동을 위한 전력을 자가발전에 의해 충당이 가능게 한다.

Description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및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COOLING DRAG REDUCTION APPARATUS FOR COOLING FAN AND COOLING DRAG REDUCTION METHOD}
본 발명은 엔진룸에 장착되는 쿨링팬의 자유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항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라디에이터, 컨덴서 및 팬 슈라우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쿨링 모듈이 장착되고, 팬 슈라우드 조립체는 팬과 슈라우드 및 모터 등으로 구성되며, 팬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냉각풍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며, 슈라우드는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냉각풍이 열교환기를 잘 통과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차량이 고속 운전시에는 공기 유입량 과다로 팬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차속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팬은 자유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cooling drag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공력 및 연비에 악영향을 끼친다.
cooling drag는 차량 전면으로부터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으로, 차속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릴이나 범퍼 후면에 개폐 가능한 플랩(flap)을 설치하여 엔진룸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AAF(Active Air Flap)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원가 문제로 일부 차량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특허로서 US9,118,130 B2 등이 있는데, 이는 팬 자유회전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팬의 자유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공기 유입량을 저감시켜 cooling drag를 저감시키고, Cd(공력계수) 저감 및 연비 향상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팬 내측에 위치한 회전 방지구조로 인해 회전 시 언밸런스가 과다 발생하여 NVH가 불리하며, 팬 회전 중 특정시간 locking 작동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갖고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028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1-22926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종래의 AAF 기능을 대신하여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며, 작동을 위한 전력을 자가발전에 의해 충당이 가능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및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는, 슈라우드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는 블라인드 축, 상기 슈라우드 하우징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상기 블라인드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슈라우드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 축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축전기는 상기 슈라우드 하우징에 장착되는 쿨링팬의 자유회전에 의해 발생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는, 슈라우드 하우징의 전면 둘레에 장착되는 가이드, 상기 슈라우드 하우징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복수의 블라인드, 상기 가이드의 측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를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인과 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동작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의 각도가 달라지는 패널,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 중 최상단의 블라인드를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축전기는 상기 슈라우드 하우징에 장착되는 쿨링팬의 자유회전에 의해 발생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패널은 콘덴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과 상기 콘덴서 상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로 구분되고, 상기 서보모터는 상기 콘덴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과 상기 콘덴서 상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은, 차속을 설정된 A 값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속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차속이 A 이상인 경우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축전기의 충전 전압을 설정된 B 값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압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충전 전압이 B 이상인 경우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쿨링모듈의 슈라우드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축전기는 상기 쿨링팬의 자유회전에 의해 발생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충전 전압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충전 전압이 B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상기 슈라우드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축전기를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속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차속이 A보다 작은 경우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축전기의 충전 전압을 설정된 B 값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압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충전 전압이 B 이상인 경우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쿨링모듈의 슈라우드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 값은, 상기 축전기의 목표 발전 전압에 따라 상기 쿨링팬의 유량이 정해지면, 상기 쿨링팬의 사양에 따라 해당 유량이 발생되는 차속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쿨링모듈의 슈라우드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차량 에어컨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에어컨이 작동되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상기 슈라우드의 일부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에어컨의 세팅 온도와 차량의 실내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세팅 온도가 상기 실내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쿨링모듈의 슈라우드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슈라우드의 전부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및 항력 저감 방법에 의하면, 고속운전 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자가발전을 함으로써, 추가 동력원 없이 간단한 구조로서 항력을 저감하여 연비를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기존의 AAF의 기능을 하면서도 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항력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항력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도 5는 도 1과 도 3의 항력 저감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항력 저감 방법의 동작 범위를 설명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서 확장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항력 저감 방법의 동작 범위를 설명한 것이다.
도 9는 자가발전의 시작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항력 저감 방법의 추가적인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항력 저감 방법의 추가적인 제어 방법에 의한 도 1의 항력 저감 장치의 응용 예이다.
도 12는 도 10의 항력 저감 방법의 추가적인 제어 방법에 의한 도 3의 항력 저감 장치의 응용 예이다.
도 13은 도 12의 항력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항력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는 슈라우드의 전면을 블라인드(13)에 의해서 덮거나 개방시키는 방식의 항력 저감 장치이다.
블라인드(13)는 슈라우드 하우징(H)의 상단에 마련되는 블라인드 축(11)에 결합되고, 슈라우드 하우징(H)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가이드(1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블라인드 축(11)이 회전됨에 따라 블라인드(13)는 상하로 동작하게 되고, 블라인드 축(11)은 체인(14)으로 연결된 서보모터(15)의 작동에 의해서 회전하게 된다.
서보모터(15)는 일정 각도만큼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도 2와 같이 동작되게 한다.
즉, 도 2(a)와 같이 슈라우드가 개방된 초기 상태에서 서보모터(1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2(b)와 같이 블라인드(13)가 하향하여 슈라우드를 폐쇄하게 되고, 다시 서보모터(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2(c)와 같이 블라인드(13)가 상향하여 슈라우드를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이 고속 운행시에 더 이상 팬의 가동이 불필요한 구간에서 팬이 자유 회전하여 cooling drag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2(b)와 같이 슈라우드를 폐쇄하여 팬의 자유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자유 회전 방지 외에 일정 구간에서는 도 2(c)와 같이 제어하여 팬의 자유 회전에 의해 자가 발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 방식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자가 발전에 의해 발생된 전력은 축전기(16)에 저장되고, 축전기(16)가 서보 모터(15)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발전기는 팬의 회전에 의해서 전력을 발생시키며,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팬의 회전을 위해 구성되는 모터가 발전기 일체형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항력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는 슈라우드의 전면에 패널(22)을 구비하여, 패널(22)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라인드 각각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슈라우드를 덮거나 개방시키는 방식의 항력 저감 장치이다.
패널(22)은 슈라우드 하우징(H)의 전면 둘레에 결합되는 가이드(21)에 의해 가이드된다.
가이드(21)의 측부 내측과 패널(22)의 측부 양단 간에는 체인(23)이 구비되어, 서보모터(24)가 패널(22)의 최상단 블라인드 축을 작동시키면 최상단 블라인드에 의해 체인(23)을 상하로 동작되어 패널(22)의 블라인드 각도가 변경이 된다.
도 4(a)와 같이 슈라우드가 개방된 초기 상태에서 서보모터(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4(b)와 같이 패널(22)이 슈라우드를 폐쇄하게 되고, 다시 서보모터(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c)와 같이 패널(22)이 슈라우드를 개방하게 된다.
앞선 실시예와 같이 도 4(b)의 상태가 팬의 자유회전을 방지하는 구간이 되고, 도 4(c)가 팬의 자유 회전에 의해 자가 발전을 하는 구간이 된다.
자가 발전을 위한 축전기는 서보모터(24)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항력 저감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력 저감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차속, 냉각수온, 냉매압 등의 인자에 의해 제어되는 기존의 팬 로직이 작동되는 상황에서(S11), 팬이 OFF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12).
확인 결과, 팬이 OFF 상태인 경우에 차속을 설정된 A 값과 비교 판단한다(S13).
판단 결과, 차속이 A 이상인 경우에는 팬의 자유회전에 의해 항력이 커질 수가 있기 때문에 자유회전을 방지시켜 항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제어를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속이 A 이상인 경우에도 일정 구간에서는 자유회전에 의한 자가발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그래서, S13 결과 차속이 A 이상이면, 축전기의 충전 전압을 설정된 B 값과 비교 판단한다(S14).
축전기의 충전 전압이 설정된 B 값에 못 미치면 서보모터의 구동이 불가하므로, 팬의 자유 회전에 의해 자가발전이 되도록 제어하여(S16), 축전기에 전력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이미 충전 전압이 설정된 B 값 이상인 경우에는 자유 회전 방지 제어를 함으로써(S15), 앞선 도 2(b) 및 도 4(b)와 같이 슈라우드가 폐쇄되도록 한다.
도 6에서 A, B 값에 따른 제어에 의한 구간을 도표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서 확장된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항력 저감 방법의 동작 범위를 설명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항력 저감 방법에서 S21, S22, S23 단계는 도 5 실시예의 S11, S12, S13과 동일하다.
S23의 판단결과, 차속이 A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의 S24, S25, S27은 각각 도 5 실시예의 S14, S15, S16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S23의 판단결과, 차속이 A보다 작은 경우에도 충전 전압이 목표 전압 B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25), 그러한 경우에는 자유 회전 방지 제어를 수행함으로써(S26), 자유회전 방지 구간을 확장시키는 방법에 해당하고, 도표로 정리하면 도 8과 같다.
다음으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정 속도 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발전시작 속도인 A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목표 발전 전압이 설정되어야 한다.
목표 발전 전압을 12V라 하면, 역기전력 상수가 0.005일 때 2,400rpm 회전시 12V의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즉, 역기전력이 0.005이므로 1,000rpm에서 5V이므로 2,400rpm에서 12V가 된다.
그리고, 팬의 사양에 따라 정해지는 표 1의 예시와 같은 차속에 따른 열교환기 입구 공기의 유속 및 유량에 의해 120KPH에서 2,400CMH가 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차속 120KPH 이상에서 자가발전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고, 팬의 사양 및 목표 발전 전압에 따라 정해지는 이러한 A 값에 따라 항력 저감 방법의 제어가 수행된다.
KPH 50 100 150
m/s 2.4 3 4.5
CMH 1594.08 1992.6 2988.9
도 10은 본 발명의 항력 저감 방법의 추가적인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추가적인 제어는 도 5 또는 도 7의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앞선 실시예에서의 항력 저감 장치의 제어를 차량의 에어컨 작동상태와 연동시키는 제어에 해당한다.
X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세팅 온도이고, Y는 실내 온도가 된다.
S31에 의해 에어컨이 OFF된 상태에서는 에어컨의 작동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 5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또는 패널을 폐쇄시키는 제어시 앞선 실시예대로 전체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는 냉방이 충분한 영역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에어컨이 가동되는 상태라면, 자유회전 방지 구간임에도 냉방 부족 영역으로 파악하여 블라인드를 콘덴서 영역이 제외되도록 부분적으로 폐쇄시킨다(S32).
그리고, Y와 X를 비교하여, Y(실내온도)가 X(세팅온도)보다 낮으면 냉방이 충분하므로, S34로 제어되며, 그렇지 않으면 냉방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다시 S32로 돌아가도록 제어되게 하는 것이다.
즉, 도 11의 (a)와 같이 쿨링팬의 전면 구역을 콘덴서 영역과 콘덴서 상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도 10과 같은 추가적인 제어가 부가되는 경우엔 도 1의 항력 저감 장치는 도 10의 S32 단계에 의해 도 11(b)와 같이, 블라인드(13)가 콘덴서 상부 영역만 폐쇄시키게 제어된다.
반면, S34에 의하는 경우에는 도 2(b)와 동일하게 제어가 된다.
그리고, 도 10의 항력 저감 방법의 추가적인 제어 방법이 추가될 경우에 도 3의 항력 저감 장치는 일부 수정이 필요하게 된다.
즉, 도 12와 같이, 패널이 콘덴서 영역을 담당하는 패널(33)과 콘덴서 상부 영역을 담당하는 패널(32)로 구분되고, 각각에 서보모터(35)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도 10과 같은 추가적인 제어가 부가되는 경우에 도 3의 항력 저감 장치는 도 10의 S32 단계에 의해 도 13(a)와 같이 콘덴서 상부 영역의 패널(32)만 닫히게 제어되며, S34에 의하는 경우에는 도 13(b)와 같이 전 패널(32, 33)이 닫히게 제어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블라인드 축
12 : 가이드
13 : 블라인드
14 : 체인
15 : 서보모터
16 : 축전기
21 : 가이드
22 : 패널
23 : 체인
24 : 축전기 및 서보모터

Claims (11)

  1. 슈라우드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는 블라인드 축;
    상기 슈라우드 하우징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상기 블라인드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슈라우드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 축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전기는 상기 슈라우드 하우징에 장착되는 쿨링팬의 자유회전에 의해 발생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3. 슈라우드 하우징의 전면 둘레에 장착되는 가이드;
    상기 슈라우드 하우징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복수의 블라인드;
    상기 가이드의 측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를 연결하는 체인;
    상기 체인과 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동작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의 각도가 달라지는 패널;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 중 최상단의 블라인드를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축전기는 상기 슈라우드 하우징에 장착되는 쿨링팬의 자유회전에 의해 발생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콘덴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과 상기 콘덴서 상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로 구분되고, 상기 서보모터는 상기 콘덴서가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과 상기 콘덴서 상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패널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6. 차속을 설정된 A 값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속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차속이 A 이상인 경우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축전기의 충전 전압을 설정된 B 값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압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충전 전압이 B 이상인 경우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쿨링모듈의 슈라우드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축전기는 상기 쿨링팬의 자유회전에 의해 발생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충전 전압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충전 전압이 B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상기 슈라우드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축전기를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속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차속이 A보다 작은 경우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축전기의 충전 전압을 설정된 B 값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압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 상기 충전 전압이 B 이상인 경우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쿨링모듈의 슈라우드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 값은, 상기 축전기의 목표 발전 전압에 따라 상기 쿨링팬의 유량이 정해지면, 상기 쿨링팬의 사양에 따라 해당 유량이 발생되는 차속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쿨링모듈의 슈라우드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차량 에어컨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에어컨이 작동되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상기 슈라우드의 일부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의 세팅 온도와 차량의 실내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세팅 온도가 상기 실내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항력 저감 장치가 쿨링모듈의 슈라우드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슈라우드의 전부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KR1020170147361A 2017-11-07 2017-11-07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KR10244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61A KR102440509B1 (ko) 2017-11-07 2017-11-07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61A KR102440509B1 (ko) 2017-11-07 2017-11-07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53A true KR20190051553A (ko) 2019-05-15
KR102440509B1 KR102440509B1 (ko) 2022-09-06

Family

ID=6657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361A KR102440509B1 (ko) 2017-11-07 2017-11-07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50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6279A (en) * 1984-12-21 1988-07-1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Control arrangement for the cooling air of air-liquid-cooled internal-combustion engines, particularly motor vehicles
KR19990024905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제어장치
KR20020035247A (ko) * 2000-11-06 2002-05-11 이계안 라디에이터의 셔터
JP4388917B2 (ja) * 2005-08-02 2009-12-24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冷却器用清掃装置
US20110203861A1 (en) * 2010-02-19 2011-08-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mpact and damage resistant front end airlfow control device
JP2011229268A (ja) 2010-04-19 2011-11-10 Toppan Printing Co Ltd 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US20120091757A1 (en) * 2010-10-14 2012-04-19 C.R.F. Societa Consortile Per Azioni Roller shutter device for regulating the air flow entering into the engine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KR20120056971A (ko) * 2010-11-26 2012-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팬 모터를 이용한 차량용 풍력발전 시스템
KR20140071977A (ko) * 2014-04-17 2014-06-12 최용종 공기저항을 이용한 차량의 발전시스템
KR20160000285A (ko) 2014-06-24 2016-01-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그리드의 실시간 전력 수급, 전력 수급 예측 및 전력 공유 제어 장치
KR101632396B1 (ko) * 2015-03-25 2016-06-27 최용종 공기저항을 이용한 차량의 항력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6279A (en) * 1984-12-21 1988-07-1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Control arrangement for the cooling air of air-liquid-cooled internal-combustion engines, particularly motor vehicles
KR19990024905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제어장치
KR20020035247A (ko) * 2000-11-06 2002-05-11 이계안 라디에이터의 셔터
JP4388917B2 (ja) * 2005-08-02 2009-12-24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冷却器用清掃装置
US20110203861A1 (en) * 2010-02-19 2011-08-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mpact and damage resistant front end airlfow control device
JP2011229268A (ja) 2010-04-19 2011-11-10 Toppan Printing Co Ltd 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US20120091757A1 (en) * 2010-10-14 2012-04-19 C.R.F. Societa Consortile Per Azioni Roller shutter device for regulating the air flow entering into the engine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US8627911B2 (en) * 2010-10-14 2014-01-14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Roller shutter device for regulating the air flow entering into the engine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KR20120056971A (ko) * 2010-11-26 2012-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팬 모터를 이용한 차량용 풍력발전 시스템
KR20140071977A (ko) * 2014-04-17 2014-06-12 최용종 공기저항을 이용한 차량의 발전시스템
KR20160000285A (ko) 2014-06-24 2016-01-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그리드의 실시간 전력 수급, 전력 수급 예측 및 전력 공유 제어 장치
KR101632396B1 (ko) * 2015-03-25 2016-06-27 최용종 공기저항을 이용한 차량의 항력 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509B1 (ko)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01623B (zh) 用于控制进入车辆发动机室的空气流动的系统
CN104228553B (zh) 由车辆速度控制的主动式进气栅遮板系统
JP6808466B2 (ja) 車両エンジンルーム空気流量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2647515A1 (en) Grille shutter device at a front portion of a vehicle
US8479853B2 (en) Control of an airstream flow rate through a covered compartment by an adjustable shutter
KR101490957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5958B1 (ko) 자동차용 스마트 액티브 에어 플랩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US9816639B2 (en) Expansion valve device
US20220194215A1 (en) Coo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1518961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6532909B2 (en) Low ram air resistance cooling module with automatic flapper door actuation
JP2008106727A (ja) 車両前部の空気取入装置
EP4033106A1 (en) Slat for backflow prevention,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187202A1 (en) Expansion valve device
EP197552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90028636A (ko) 충전 및 배출 제어를 구비하는 점성 팬 구동 시스템들
JP2018184104A (ja) シャッターグリル装置
CN105065327A (zh) 一种蜗壳组件、风机、空调器及一种风机换向的控制方法
CN105115064B (zh) 空调室外机及其散热控制方法
KR20190051553A (ko) 쿨링팬의 항력 저감 장치 및 쿨링팬 항력 저감 방법
US20210313911A1 (en) An actuator with an electric mo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ic motor to maintain a current position
CN207028829U (zh) 一种电动汽车的散热组件及其风道结构
CN106322530B (zh)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KR101987158B1 (ko)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211396B2 (ja) ファンカップ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