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510A -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510A
KR20190050510A KR1020170145979A KR20170145979A KR20190050510A KR 20190050510 A KR20190050510 A KR 20190050510A KR 1020170145979 A KR1020170145979 A KR 1020170145979A KR 20170145979 A KR20170145979 A KR 20170145979A KR 20190050510 A KR20190050510 A KR 20190050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alarm
pres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540B1 (ko
Inventor
이승엽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7014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5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는 차량을 포함한 이동객체를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모듈; 상기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객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정보가 기준근접거리 이내인 경우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알람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알람수단을 구동하는 알람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BASED ON SENSOR}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접근을 미리 보행자에게 인지시킴은 물론, 보행자의 존재를 차량 운전자에게도 인지시켜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가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고 유고 상황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보행 안전을 제공하는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통행하거나 사람이 보행하는 도로, 인도 등에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로등은 차량의 운전자와 보행자가 일몰 이간 이후 야간 시간대에도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범죄 예방은 물론, 차량과 보행자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내지 접촉 등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 장치가 시야 확보에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된 도로에서는 보행 안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고 할 수 있으나, 조명 장치가 지속적으로 유지 보수되지 않는 도로 등에서는 보행자 또는 운전자가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보행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농촌 지역이나 인적이 드문 도로에는 예산 부족, 비용 효율성 등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충분한 개수의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와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경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야간 시간대에 보행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 보행 사고 이후 차량 운전자의 도주 등에 의하여 사고 당사자의 후속 처리가 지연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기반으로 보행 안전을 향상시키려는 기술들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대부분 차량에 장착된 장치를 이용하여 보행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보행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기회가 차량 운전자에게만 편중되어 정작 피해 대상이 될 수 있는 사용자는 차량과 충돌하는 등의 보행 사고에 무방비 상태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서 사람을 감지하는 종래 방법은 차량 외부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휴먼 객체를 감지하여야 하고, 어두운 곳에서는 주변 환경과 휴먼 객체가 명확히 구분되지 못하여 보행자 감지 효율성도 높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 사고 방지를 위한 운전자 등의 인지력 향상에 상당 부분 제약이 발생하여 사고 방지의 효율성이 낮으며, 보행자는 보행 사고에 대해 수동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음은 물론, 보행자 감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어 보행 안전을 향상시키는데 근본적인 제약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차량 운전자에게 인지시킴은 물론, 보행자에게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차량의 접근 여부를 인식시켜 보행 안전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 사고 등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여 응급 상황에 대해 더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는 차량을 포함한 이동객체를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모듈; 상기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객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정보가 기준근접거리 이내인 경우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알람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알람수단을 구동하는 알람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감지정보는 상기 이동객체의 속도정보 또는 이동객체와의 이격 거리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정보 또는 이격 거리정보에 따라 알람수단의 구동크기가 차등적으로 제어되는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람구동부가 알람수단을 구동하는 경우,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알람모듈이 구동되도록 하는 무선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패어링신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주변의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입력된 밝기 정보에 따라서 상기 기준근접거리를 차등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직물 전극에 의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 및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비정상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응급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급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전송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응급정보를 전송하되, 기 저장된 전화정보에 해당하는 단말로 상기 응급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전송제어부는 상기 응급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긴급전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액티브제어신호를 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는 보행자에게는 차량의 접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보행자의 존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각각 제공하여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 보행 안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보행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접근에 대한 알람 정보와 보행자 존재에 대한 알람 정보가 보행자와 운전자 각각에게 제공되는 시점을 차량의 속도, 차량과 보행자 사이의 거리, 주변 밝기, 소음 등과 같은 환경 정보와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의 환기를 더욱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보행 안전에 대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호자 또는 응급 구조 기관 등으로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구성을 통하여 응급 상황에 더욱 적응적으로 대처하고 신속한 후속 조치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알람 수단을 구동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응급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이하 ‘보호장치’라 지칭한다)(100)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과 동작 원리 등을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호장치(100)는 보행자(사용자) 방향으로 접근하는 이동객체(5)를 감지하여 이동객체(5)가 접근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보행자에게 제공함은 물론,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사용자 방향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즉시적으로 제공함은 물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하므로, 사용자가 소지 가능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등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이동객체(5)는 사용자와 충돌 내지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여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이동객체(5)를 차량으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동객체(5)는 도면에 예시된 차량은 물론 경운기, 트랙터, 이륜자동차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객체(5)가 사용자 방향으로 접근하는 경우,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객체(5)의 접근을 감지하고, 시각, 청각, 촉각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객체(5)의 접근에 대한 알람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고 보행자의 존재에 대한 알람 정보가 이동객체(5)의 운전자에게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호장치(100)는 이동객체(5)의 속도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이동객체(5)를 피할 수 있는 충분히 시간을 연산하고, 이 시간 내에 후술되는 다앙한 알람수단(30)이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에게 접근하는 이동객체(5)을 피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 이동객체(5)와의 충돌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보행 안전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보행자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은 운전자는 보행자와의 충돌 내지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 또는 속도로 주행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보행 안전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동객체(5)와 사용자가 충돌 내지 접촉하여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응급 상황을 감지하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응급 상황 발생 사실에 대한 정보를 도 1에 도시된 외부단말(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외부단말(20)은 경찰서, 소방서, 의료기관 등과 같이 응급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의 서버(21) 또는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23)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전문 기관 또는 보호자는 응급 상황(보행 사고) 발생 사실에 대한 정보를 즉시적으로 전송받아 보행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므로 보행 사고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지 내지 휴대 가능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등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므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그 물리적 위치가 가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신망(15)은 이동하는 보호장치(100)와의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고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 등(20)과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장거리 무선 통신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알람수단(30)을 구동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차량(5)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 및 차량(5)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센서모듈(110), 제어부(120), 알람구동부(130), 페어링신호부(140), 조도센서(150), 위치센서(160), 감지센서(170), 전송제어부(180), 위치정보생성부(191) 및 통신부(19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보호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센서모듈(110)은 사용자 방향으로 접근하는 차량(5)을 감지하여(S310) 감지정보를 생성한다(S330). 접근하는 차량(5)을 감지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센서모듈(110)은 발산된 빛 신호와 회신하는 빛 신호의 특성 차이를 이용한 레이저 센서,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거리 또는 속도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모듈(110)을 구성하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 센서모듈(110)이 생성하는 감지정보에는 차량(5)의 속도정보, 사용자와 차량(5) 사이의 이격 거리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센서모듈(110)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차량(5)을 검지하므로 차량에서 보행자를 검지하는 방법보다 검지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센서모듈(110)이 생성한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차량(5)이 사용자 방향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감지정보가 기준근접거리 이내인 경우(S340)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50).
상기 기준근접거리는 사용자가 차량을 피하거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한 거리로서, 사용자 등이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주변 밝기, 차량의 속도, 주변 소음 등의 주변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 그 크기가 자동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알람구동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알람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등에 부착된 진동모터(31), 빛 출력수단(33), 오디오 출력수단(35) 등을 포함하는 알람수단(30)을 구동한다(S360).
진동모터(31)는 알람구동부(130)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이 진동모터(31)가 진동하게 되면 이를 촉각을 통하여 감지한 사용자는 차량(5)이 접근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LED 장치 등의 빛 출력수단(33) 및 스피커 장치 등의 오디오 출력수단(35)은 알람구동부(130)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각각 빛과 소리를 발생키는 장치로서, 이 빛 출력수단(33) 및 오디오 출력수단(35)이 구동하게 되면 이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하여 감지한 사용자는 차량(5)이 접근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빛 출력수단(33)은 사용자의 후방을 향하도록 사용자의 의류 등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빛 출력수단(33)이 이와 같이 구비되면 빛 출력수단(33)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사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차량(5)의 운전자가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차량(5)의 운전자가 빛 출력수단(33)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면, 사용자와 차량(5) 사이의 충돌 내지 접촉을 사용자 자신뿐만 아니라 운전자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 안전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감지정보에 포함된 속도정보 또는 이격 거리정보에 따라 알람수단(30)의 구동 크기를 차등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준근접거리 내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접근하는 차량(5)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알람수단(30)에 상대적으로 큰 구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50).
이와 반대로, 기준근접거리 내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접근하는 차량(5)이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알람수단(30)에 상대적으로 작은 구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50).
또한, 이격 거리정보가 큰 경우 즉, 기준근접거리 이내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접근하는 차량(5)이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알람수단(30)에 상대적으로 작은 구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50).
이와 반대로, 이격 거리정보가 작은 경우 즉, 기준근접거리 이내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접근하는 차량(5)이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알람수단(30)에 상대적으로 큰 구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50).
즉, 차량(5)의 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차량(5)과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S350) 사용자는 차량(5)과의 충돌 내지 접촉이 발생할 수 있음을 더욱 용이하게 자각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센서(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기준근접거리가 실제 외부 환경에 적응적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도센서(150)는 보호장치(100)가 구동되는 실제 주변 환경 즉, 사용자가 보행하는 실제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여 밝기 정보를 생성한다. 조도센서(150)로부터 밝기정보가 입력되면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입력된 밝기정보에 따라 기준근접거리를 차등적으로 설정한다(S32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어부(120)는 조도센서(150)로부터 입력된 밝기정보가 큰 경우(주변 환경이 밝은 경우), 기준근접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하고 이와 반대로, 밝기정보가 작은 경우(주변 환경이 어두운 경우) 기준근접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한다(S320).
이와 같이 밝기정보에 따라 기준근접거리가 차등적으로 설정되면(S320), 주변 환경이 밝아 사용자 및 운전자 모두 상대방의 존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낮 시간대에는 센서모듈(110)을 상대적으로 좁은 감지 범위로 구동할 수 있게 되어 보호장치(100)의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주변 환경이 어두워 사용자 및 운전자가 상대방의 존재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밤 시간대에는 센서모듈(110)을 상대적으로 넓은 감지 범위로 구동할 수 있게 되어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주변 환경에 따라 기준근접거리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므로 보행자 보호를 위한 프로세싱을 더욱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빛 출력수단(33)으로부터 발생되는 빛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다만, 빛 출력수단(33)으로부터 발생되는 빛 신호는 차량(5) 외부의 빛 신호이므로 주변 조광 등에 의하여 차량(5) 내부에 위치한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운전자가 보행자의 존재를 더욱 용이하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5)에 구비된 특정 다른 장치가 보행자 인지에 대한 신호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구동부(130)가 알람수단(30)을 구동하는 경우 차량(5)으로 무선제어신호를 전송하는(S370) 페어링신호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페어링신호부(140)가 전송하는 무선제어신호는 사운드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등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알람모듈(10)이 구동되도록 하는 신호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송된 무선제어신호에 의하여 차량용 알람모듈(10)이 구동되면 운전자는 알람수단(30)에서 발생되는 빛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차량용 알람모듈(1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통하여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보행자를 인지하는 방법을 이원화 내지 다원화시키면 차량의 운전자는 더욱 높은 확률로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보행 안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응급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응급 상황을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센서(160), 감지센서(170), 전송제어부(180), 위치정보생성부(191) 및 통신부(1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센서(160)는 사용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는(S410) 구성으로서, 자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면 3축 가속도센서, 3축 각속도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센서(17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 수, 맥박, 등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급격한 신체적 변화 또는 신체적 이상상태(abnormal state)등을 인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가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등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감지센서(170)는 직물 전극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송제어부(180)는 상기 위치센서(160) 및 감지센서(170)의 감지신호가 비정상 신호 즉, 사용자의 신체적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S420)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응급신호를 생성하고(S430)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S440)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감지센서(17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므로, 상기 응급 상황에는 실제 차량(5)과의 충돌 사고가 발생된 경우는 물론, 낙상, 심정지, 열사병 등과 같은 사용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외부 즉, 의료 기관 내지 응급 구조 기관 등에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송하도록(S440) 구성되므로 응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사용자의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191) 및 보호자, 의료 기관 및 응급 구조 기관 등의 전화번호정보가 저장된 전화정보저장부(19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송제어부(180)는 위치정보생성부(191)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면(S450) 생성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응급정보와 함께 전화정보저장부(193)에 저장된 전화정보에 해당하는 외부단말(20)로 전송한다(S460).
사용자의 응급정보 및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받은 외부단말(20) 즉, 보호자, 의료 기관 및 응급 구조 기관 등의 단말은 전송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전송하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단말(20)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보호장치(100)에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비용이 요구되는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보호장치(100)에 구비하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낮은 효율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장치(100)로부터 외부단말(20)로 직접 전송되는 전술된 경로 이외에,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을 경유하여 외부단말(20)로 전송되는 경로를 더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보호장치(100)는 통신부(195)를 통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과 통신 가능하도록 미리 연결된다(S470). 본 발명의 전송제어부(180)는 응급신호가 생성되는 경우(S430) 액티브제어신호를 생성하고(S480) 이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과 연결된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로 더 전송한다(S490).
액티브제어신호는 통신 연결된 모바일 단말(40)의 긴급전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에 해당하므로, 이 신호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로 전송되면 모바일 단말(40)의 긴급 전화 기능이 실행되어 경찰서, 소방서 등의 기관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이 자동적으로 호 연결(통신 연결)될 수 있다(S495).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과 통신 연결(S495)된 경찰서, 소방서, 병원 등의 응급 기관은 사용자와 상호 의사 전달을 통하여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 사용자의 현재 상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사는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추적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응급 기관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자동 통화 연결에 대한 구성만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응급 기관 등은 응급 상황에 더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110 : 센서모듈 120 : 제어부
130 : 알람구동부 140 : 페어링신호부
150 : 조도센서 160 : 위치센서
170 : 감지센서 180 : 전송제어부
191 : 위치정보생성부 193 : 전화정보저장부
195 : 통신부

Claims (7)

  1. 차량을 포함한 이동객체를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모듈;
    상기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객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정보가 기준근접거리 이내인 경우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알람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알람수단을 구동하는 알람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정보는,
    상기 이동객체의 속도정보 또는 이동객체와의 이격 거리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정보 또는 이격 거리정보에 따라 알람수단의 구동크기가 차등적으로 제어되는 알람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구동부가 알람수단을 구동하는 경우,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알람모듈이 구동되도록 하는 무선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패어링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주변의 밝기 정보를 생성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입력된 밝기 정보에 따라서 상기 기준근접거리를 차등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직물 전극에 의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 및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비정상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응급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급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응급정보를 전송하되, 기 저장된 전화정보에 해당하는 단말로 상기 응급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제어부는 상기 응급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긴급전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액티브제어신호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KR1020170145979A 2017-11-03 2017-11-03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KR101999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979A KR101999540B1 (ko) 2017-11-03 2017-11-03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979A KR101999540B1 (ko) 2017-11-03 2017-11-03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10A true KR20190050510A (ko) 2019-05-13
KR101999540B1 KR101999540B1 (ko) 2019-07-12

Family

ID=6658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979A KR101999540B1 (ko) 2017-11-03 2017-11-03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5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676A (ja) * 1996-10-11 1998-05-12 Honda Access Corp 車両の衝突警報システム
KR20130068626A (ko) *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행자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1478951B1 (ko) * 2014-07-16 2015-01-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가청 근접 경고 신호 발생을 통한 보행자 안전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8703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 장치, 보행자 보호 방법 및 보행자 보호 차량 통신 장치 및 방법
JP2017076274A (ja) * 2015-10-15 2017-04-2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衝突判定システム、衝突判定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087575A (ko) * 2016-01-20 2017-07-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자 차량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676A (ja) * 1996-10-11 1998-05-12 Honda Access Corp 車両の衝突警報システム
KR20130068626A (ko) *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행자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1478951B1 (ko) * 2014-07-16 2015-01-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가청 근접 경고 신호 발생을 통한 보행자 안전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8703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 장치, 보행자 보호 방법 및 보행자 보호 차량 통신 장치 및 방법
JP2017076274A (ja) * 2015-10-15 2017-04-2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衝突判定システム、衝突判定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087575A (ko) * 2016-01-20 2017-07-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자 차량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540B1 (ko)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25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8253589B2 (en) Vehicle to entity communication
US79080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blind spot identification and warning utilizing portable and wearable devices
US9892624B2 (en) Portable device
US201801510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garage door opener remote control
WO2020048550A2 (zh) 盲人安全帽
KR20160129206A (ko)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JP2018527685A (ja) 安全装置
JP2013171445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2314482B1 (ko)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US117583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nt-based geofencing for emergency vehicle
JP2007004285A (ja) 携帯型警報装置
JP2015118667A (ja) 接近報知装置
CN205264009U (zh) 一种车辆安全预警装置
KR101999540B1 (ko) 센서 기반의 보행자 보호장치
KR20160011342A (ko)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JP2007264950A (ja) 自律移動型ロボット
KR102093855B1 (ko) 인공 지능 통합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U17501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мощи людям с нарушениями зрения
KR101670018B1 (ko) 차량 사고 감지 및 사고 처리 시스템
KR102607430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팔찌 장치
WO2020109887A1 (en) Integrated active safety system for individuals subjected to a risk of road accident
Sood et al. IoT-Based Smart Stick for the Blind: A Review
CN211584147U (zh) 定位导盲眼镜
KR20190047352A (ko)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