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352A -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352A
KR20190047352A KR1020170141154A KR20170141154A KR20190047352A KR 20190047352 A KR20190047352 A KR 20190047352A KR 1020170141154 A KR1020170141154 A KR 1020170141154A KR 20170141154 A KR20170141154 A KR 20170141154A KR 20190047352 A KR20190047352 A KR 20190047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bot
information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남
노유진
심형섭
이예린
진승모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7352A/ko
Publication of KR2019004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6Acous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25J19/061Safety devices with audibl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5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endless track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경로가 입력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되, 상기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단말기를 따라 이동되는 로봇;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이동경로를 수신하여 상기 로봇으로 전달하며, 상기 로봇과 통신하며 상기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로봇이 귀환하여 보관되며, 상기 로봇이 충전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지정한 이동경로를 따라 로봇이 목적지까지 동행함으로써 범죄발생이 예방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집으로 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COMPANION SYSTEM FOR SAFETY RETURNING HOME}
본 발명은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까지 로봇이 사용자와 함께 동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한 귀가를 돕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혼자 귀가하는 여성이나 아동을 대상으로 유괴, 폭력, 강도, 살인 등의 강력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범죄는 주로 늦은 밤이나 인적이 드문 곳에서 발생하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각 지자체에서는, 골목마다 CCTV를 설치하여 모니터링 하거나, 2인 1조로 구성된 스카우트가 목적지까지 동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CCTV는 범죄 발생시 범죄를 차단하거나, 범죄 사실을 외부에 알릴 수 없기 때문에 범죄 예방의 궁극적인 효과보다는 범죄 발생 후 범인을 검거하는데 효과가 더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카우트 동행 서비스는 지정된 요일 및 제한된 시간에만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대상이 한정적이며,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이 다수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지정한 이동경로를 따라 로봇이 목적지까지 동행함으로써 범죄 발생을 예방하고, 사용자의 안전한 귀가를 돕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경로가 입력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되, 상기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단말기를 따라 이동되는 로봇;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이동경로를 수신하여 상기 로봇으로 전달하며, 상기 로봇과 통신하며 상기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로봇이 귀환하여 보관되며, 상기 로봇이 충전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수단을 포함하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로봇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외부의 신호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판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경고음 및 광을 발생시키며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출력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와 감지부와 판단부와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캐터필러(Caterpillar) 타입 또는 휠(Wheel) 타입 또는 보행 타입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정보는, 영상정보와, 음향정보와, 진동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주위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외부 음향을 수집하여 음향정보를 생성하는 마이크와, 외부에서 상기 베이스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진동정보를 생성하는 진동부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기초로 상기 베이스부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부와, 상기 단말기를 소지하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베이스부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을 상기 이동경로로 조사하되 상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보다 더 큰 광도로 마련되는 경고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비상신호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달 받아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부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지정한 이동경로를 따라 로봇이 목적지까지 동행함으로써 범죄발생이 예방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집으로 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의 구성간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의 구성간 정보의 전달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의 로봇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봇이 사용자와 동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의 정보의 전달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의 로봇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100)은 단말기(110)와 로봇(120)과 관제서버(130)와 보관수단(140)를 포함한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로의 이동경로가 입력된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이동경로는 후술하는 관제서버(130)에 전달된 다음 로봇(120)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단말기(1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등 모바일 기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봇(120)은 단말기(110)에 입력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되, 단말기(110)를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써, 단말기(110)와 후술하는 관제서버(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로봇(120)은 베이스부(121)와 감지부(122)와 판단부(123)와 이동부(124)와 출력부(125)와 배터리(126)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1)는 로봇(120)의 몸체가 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감지부(122), 판단부(123), 출력부(125), 배터리(126)가 설치되며, 하측에는 이동부가 설치된다.
감지부(122)는 베이스부(121)에 설치되어 외부의 신호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판단부(123)와 이동부(124)와 출력부(1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감지정보는 베이스부(121)의 주위를 촬영한 영상정보와, 베이스부(121) 주위의 소리를 수집한 음향정보와, 베이스부(121)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한 진동정보와, 베이스부(121)의 위치를 파악한 위치정보와 단말기(110)를 소지한 사용자와 베이스부(121)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감지부(122)는 카메라(122a)와 마이크(122b)와 진동부(122c)와 위치부(122d)와 거리부(122e)를 포함한다.
카메라(122a)는 베이스부(121)의 주위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22a)에서 생성된 영상정보는 판단부(123)로 전달된다.
이러한 카메라(122a)는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21)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다양한 방향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마이크(122b)는 외부 음향을 수집하여 음향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생성된 음향정보를 판단부(123)로 전달한다.
진동부(122c)는 베이스부(121)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여 진동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에 설치되고 진동정보를 판단부(123)로 전달한다.
위치부(122d)는 GPS 신호를 기초로 베이스부(121)의 위치를 파악하여 베이스부(121)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에 설치되고 위성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위치부(122d)는 생성된 위치정보를 판단부(123)로 전달한다.
거리부(122e)는 단말기(110)를 소지하는 사용자와 베이스부(121)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에 설치된다.
이때, 거리부(122e)와 단말기(110)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정보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고, 거리부(122e)와 사용자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정보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판단부(123)는 베이스부(121)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감지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판단부(123)는 전달받은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판단한다.
이때, 거리부(122e)와 단말기(110)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정보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고, 거리부(122e)와 사용자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정보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판단부(123)는 베이스부(121)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감지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판단부(123)는 전달받은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 판단한다.
예컨대, 카메라(122a)를 통해 지정된 거리 내에 사용자가 아닌 타인이 일정시간 이상 (예, 5초) 감지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림내용이 전송되고, 사용자가 알림내용을 확인하지 않을 경우 판단부(123)는 비상상황이라고 판단하여 비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22b)에 여성의 비명과 비슷한 데시벨과 주파수의 소리가 감지되거나 ‘도와주세요’또는 ‘살려주세요’와 같은 특정한 단어가 감지될 경우 판단부(123)는 비상상황이라고 판단하고 비상신호를 생성하여 관제서버(130)와 후술하는 출력부(125)에 전달한다.
이동부(124)는 베이스부(121)를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부(124)는 캐터필러타입 또는 휠 타입 또는 보행 타입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부(125)는 판단부(123)로부터 비상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경고음, 경고광을 발생시키고 비상신호를 관제서버(130)로 전달하는 것으로, 베이스부(121)에 설치되고 판단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출력부(125)는 스피커부(125a)와 조명부(125b)와 통신부(125c)를 포함한다.
스피커부(125a)는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에 설치되고 판단부(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경고음은 사이렌, 사람의 음성 등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고음에 따르면, 범죄를 실행하려는 범죄 예정자의 심리를 압박하여 범행시도를 효과적으로 저지 시킬 수 있다.
조명부(125b)는 광을 이동경로로 조사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조명부(125b)는 비상신호를 수신받지 않은 경우, 이동경로만을 조사하다가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동경로로 조사하는 광보다 고 광도로 마련되는 경고광을 다양한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25b)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외부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고, 범죄를 실행하려는 범죄 예정자를 심리적으로 압박하여 범죄 예정자의 범행시도를 효과적으로 저지 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부(125b)에 따르면 출동한 경찰관, 경호인력이 비상상황이 발생된 곳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신부(125c)는 비상신호와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관제서버(130)에 송신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에 설치되고 관제서버(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통신부(125c)에 따르면, 관제서버(130)에서 경찰관, 경호인력을 사용자가 위치한 곳으로 출동되게 할 수 있다.
배터리(126)는 베이스부(121)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감지부(122)와 판단부(123)와 이동부(124)와 출력부(125)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126)는 로봇(120)이 귀환하는 경우, 후술하는 보관수단(140)의 수용공간(S) 내에서 충전된다.
관제서버(130)는 단말기(110)에 입력된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로봇(120)에 전달하는 것으로써, 단말기(110)와 로봇(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관제서버(130)는 로봇(120)과 통신하며 로봇(1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도중 로봇(120)으로부터 비상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관제서버(130)는 로봇(120)의 위치정보, 영상정보 등을 취합하여 경찰서, 경호시설 등으로 전송함으로써, 경찰관, 경호인력이 사용자가 위치한 곳으로 출동되게 한다.
보관수단(140)은 로봇(120)이 귀환하여 보관되는 것으로써, 로봇(12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S)에는 로봇(120)의 배터리(126)가 충전될 수 있는 충전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관수단(140)에 따르면 로봇(120)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 로봇(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봇(120)의 충전 및 유지보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단말기(110)와 로봇(120)과 관제서버(130)와 보관수단(14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100)에 따르면, 사용자가 지정한 이동경로를 따라 로봇(120)이 목적지까지 동행함으로써 범죄발생이 예방되고,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빠른 대응이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봇이 사용자와 동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봇이 사용자와 동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로봇(120)이 사용자와 동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110)에 도착하고자 하는 이동경로를 입력한다.
예컨대, 이동경로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입력창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따라 입력된 사용자의 이동경로는 관제서버(130)로 전달된 다음, 가공되어 다시 로봇(120)으로 전달된다.
이동경로를 전달받은 로봇(120)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110)의 위치로 이동하며 이후, 사용자가 단말기(110)를 소지한 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경로로 이동한다.
한편, 상술한 이동과정에서, 판단부(123)는 각종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비상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125)및 관제서버(130)로 전달한다.
비상신호를 전달받은 출력부(125)에서는 경고음 및 경고광이 함께 발생된다. 이러한 경고음과 경고광에 의해서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는 것이 외부에 알려지며, 이에 따라 범죄 예정자가 심리적으로 압박되어 범행 시도가 1차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한편, 비상신호를 전달받은 관제서버(130)는 로봇(120)의 위치정보, 영상정보 등을 취합하여 경찰서, 경호시설 등으로 전송함으로써, 경찰관, 경호인력이 사용자가 위치한 곳으로 신속하게 출동되게 한다. 이러한 관제서버(130)에 의하면 범죄가 발생하는 것이 2차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한편, 비상상황이 종료 또는 사용자가 귀가 완료 하는 경우 로봇(120)은 이동했던 이동경로를 따라 다시 보관수단(140)으로 귀환하여 충전되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로봇(120)이 사용자와 동행하는 과정에 의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이동경로를 따라 로봇이 목적지까지 동행함으로써 범죄발생이 예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집으로 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경찰관, 경호인력이 사용자가 위치한 곳으로 출동되므로, 범죄가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110: 단말기
120: 로봇
121: 베이스부
122: 감지부
122a: 카메라
122b: 마이크
122c: 진동부
122d: 위치부
122e: 거리부
123: 판단부
124: 이동부
125: 출력부
125a: 스피커부
125b: 조명부
125c: 통신부
126: 배터리
130: 관제서버
140: 보관수단
S: 수용공간

Claims (6)

  1.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경로가 입력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되, 상기 단말기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단말기를 따라 이동되는 로봇;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이동경로를 수신하여 상기 로봇으로 전달하며, 상기 로봇과 통신하며 상기 로봇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로봇이 귀환하여 보관되며, 상기 로봇이 충전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수단을 포함하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외부의 신호로부터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판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경고음 및 광을 발생시키며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출력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와 감지부와 판단부와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캐터필러(Caterpillar) 타입 또는 휠(Wheel) 타입 또는 보행 타입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정보는,
    영상정보와, 음향정보와, 진동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주위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외부 음향을 수집하여 음향정보를 생성하는 마이크와, 외부에서 상기 베이스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진동정보를 생성하는 진동부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기초로 상기 베이스부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부와, 상기 단말기를 소지하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베이스부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거리부를 포함하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을 상기 이동경로로 조사하되 상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보다 더 큰 광도로 마련되는 경고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비상신호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달 받아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리부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KR1020170141154A 2017-10-27 2017-10-27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KR20190047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154A KR20190047352A (ko) 2017-10-27 2017-10-27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154A KR20190047352A (ko) 2017-10-27 2017-10-27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352A true KR20190047352A (ko) 2019-05-08

Family

ID=6658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154A KR20190047352A (ko) 2017-10-27 2017-10-27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73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71A (ko) 2019-12-18 2021-06-28 (주)네모 안심귀가 원격지원 서비스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71A (ko) 2019-12-18 2021-06-28 (주)네모 안심귀가 원격지원 서비스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08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reat assessment, safety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individuals and groups
US1014281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201401181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questing the aid of security volunteers using a security network
JP4891113B2 (ja) 緊急通報機能、緊急対応機能を備えた緊急通報システム
US10075826B2 (en) User protection method using smart phone case
CN105814616A (zh) 用于操作紧急呼救系统的方法、紧急呼救系统
JP2008203985A5 (ko)
US20200334784A1 (en)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JP2010237781A (ja) 監視用撮像装置及び監視用撮像システム
KR101612507B1 (ko) 호신용 반지를 이용한 위험상황 관리시스템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JP2008140346A (ja) 緊急通報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機
KR20190047352A (ko) 안심 귀가 동행 시스템
KR101493399B1 (ko) 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및 그 서버 제어 방법
KR20170052053A (ko)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발찌 위치추적 및 영상감시정보 시스템
KR101498931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방법
WO2018167349A2 (es) Sistema autónomo de seguridad privada, capaz de prestar servicios pasivos y activos y en la lucha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
US20140055241A1 (en) Alert system
KR102240772B1 (ko)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JPH10208175A (ja) ワイヤレス防犯装置
US118003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road users without an own motor vehicle
TWI773141B (zh) 危險預知應對裝置及系統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KR20170064918A (ko)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수갑착용 범법자 도주방지시스템 및 도주자 위치추적 및 영상감시시스템
WO2022126510A1 (zh) 一种数字化校园安全管理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