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243A - 리튬 이온 이동 속도가 증가된 리튬 복합 산화물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이동 속도가 증가된 리튬 복합 산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243A
KR20190050243A KR1020170145576A KR20170145576A KR20190050243A KR 20190050243 A KR20190050243 A KR 20190050243A KR 1020170145576 A KR1020170145576 A KR 1020170145576A KR 20170145576 A KR20170145576 A KR 20170145576A KR 20190050243 A KR20190050243 A KR 20190050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oxide
lithium
density
lithium composite
metal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939B1 (ko
Inventor
김점수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5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9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01P2004/82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 C01P2004/84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one phase coated with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0Solid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급속 충전용 리튬 복합 산화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도가 높은 내부 표면을 밀도가 낮은 외부가 감싸는 구조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리튬 이온의 전달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급속 충전용 리튬 복합 산화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이동 속도가 증가된 리튬 복합 산화물{Lithium metal oxide complex with increased moving speed of Lithium ion}
본 발명은 급속 충전용 리튬 복합 산화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도가 높은 내부 표면을 밀도가 낮은 외부가 감싸는 구조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리튬 이온의 전달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급속 충전용 리튬 복합 산화물에 대한 것이다.
노트북,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동 카트, 전동 휠체어, 전동 자전거 등의 수요도 늘어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와 전기 자동차(EV)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HEV나 EV의 핵심적 부품인 차량용 전지에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며, 더불어 전지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급속 충전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추가적인 에너지원이 없는 EV에 있어 급속 충전은 매우 중요한 성능이다.
전지를 충전하는 프로세스는 전지에 전류를 넣어 전하 및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과도한 충전율(C-rate) 또는 충전전압은 전지의 성능을 영구적으로 저하시키고 궁극적으로 완전한 실패를 유발하거나 부식성이 강한 화학 물질의 누설 또는 폭발 등의 돌발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Li을 이용하는 전지로서, 에너지 밀도가 높고 가볍지만, 덴드라이트를 쉽게 형성할 수 있어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시 양극에서 나온 Li 이온이 음극으로 들어가는 과정을 통하여 전기의 저장이 일어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충전 초기 양극에서 나온 Li 이온이 전해액을 통하여 음극으로 들어가며 각 물질들 사이의 계면에서 분극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과전압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때, 흐르는 전류량 대비 이동할 수 있는 이온이 부족하면, 과전압에 의해서 리튬 이온이 석출되게 된다. 상기 리튬 석출은 리튬 이온의 이동뿐만 아니라 전기 저항에 의해서도 발생하게 되며, 이온의 이동의 경우 전극의 투과성(porosity) 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투과성이 높아질수록 Li 이온의 이동도는 커지게 되지만, 전기적 접촉면이 낮아지게 되므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나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높은 투과성은 당연히 낮은 에너지 밀도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자 내부로 리튬 이온 투과도가 높으면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는 새로운 구조의 리튬 복합 산화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밀도가 d1 으로 표시되는 내부; 및 밀도가 d2 로 표시되는 외부; 를 포함하고, 상기 d1 ≤ d2 인 것인 리튬 복합 산화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의 구조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은 코어를 형성하는 내부의 밀도가 외부의 밀도보다 높아 입자 내부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리튬 이온을 내부까지 빠르게 이동시킴으로써 급속 충전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지름은 3 내지 10 u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에 있어서, 상기 밀도가 d1 으로 표시되는 내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Ni1-x1-y1M1x1M2y1O2
(M1은 Co, Mn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M2는 Al, Mn, Mg, Si, P 및 G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0 ≤a ≤ 0.3 이고, 0 ≤ x1 ≤ 0.03, 0 ≤ y1 ≤ 0.03 임)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에 있어서, 상기 밀도가 d2 로 표시되는 외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 Li1+aNi1-x2-y2M1x2M2y2M3zO2
(상기 화학식 2에서 M1은 Co, Mn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M2는 Al, Mn, Mg, Si, P 및 G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0 ≤ a ≤ 0.3 이고, 0 ≤ x2 ≤ 0.03, 0 ≤y2 ≤ 0.03, 0 ≤ z ≤ 0.03 임)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에 있어서, 상기 x1+y1 ≥ x2+y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내부에서의 Ni 의 몰분율이 외부에서의 Ni 의 몰분율보다 높아 구조적으로 리튬 이온이 내부까지 전달되면서도 높은 용량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공침법에 의하여 밀도가 d1 으로 표시되는 내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공침법에 의하여 밀도가 d2 로 표시되는 외부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금속염이 상기 외부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금속염과 상이한 것인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은 밀도가 높은 내부 표면을 밀도가 낮은 외부가 감싸는 구조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리튬 이온의 2차 입자 내부로의 전달 속도가 증대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Claims (6)

  1. 밀도가 d1 으로 표시되는 내부; 및
    밀도가 d2 로 표시되는 외부; 를 포함하고,
    상기 d1 ≤ d2 인 것인 리튬 복합 산화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지름은 3 내지 8 um 인 것인
    리튬 복합 산화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가 d1 으로 표시되는 내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리튬 복합 산화물
    [화학식 1] Ni1-x1-y1M1x1M2y1O2
    (M1은 Co, Mn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M2는 Al, Mn, Mg, Si, P 및 G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0 ≤ a ≤ 0.3 이고, 0 ≤ x1 ≤ 0.03, 0 ≤ y1 ≤ 0.03 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가 d2 로 표시되는 외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리튬 복합 산화물
    [화학식 2] Li1+aNi1-x2-y2M1x2M2y2M3zO2
    (상기 화학식 2에서 M1은 Co, Mn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M2는 Al, Mn, Mg, Si, P 및 G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0 ≤ a ≤ 0.3 이고, 0 ≤ x2 ≤ 0.03, 0≤ y2 ≤ 0.03, 0 ≤ z ≤ 0.03 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x1+y1 ≥ x2+y2 인 것인
    리튬 복합 산화물
  6. 공침법에 의하여 밀도가 d1 으로 표시되는 내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공침법에 의하여 밀도가 d2 로 표시되는 외부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금속염이 상기 외부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금속염과 상이한 것인
    제 1 항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KR1020170145576A 2017-11-02 2017-11-02 리튬 이온 이동 속도가 증가된 리튬 복합 산화물 KR10245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576A KR102451939B1 (ko) 2017-11-02 2017-11-02 리튬 이온 이동 속도가 증가된 리튬 복합 산화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576A KR102451939B1 (ko) 2017-11-02 2017-11-02 리튬 이온 이동 속도가 증가된 리튬 복합 산화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243A true KR20190050243A (ko) 2019-05-10
KR102451939B1 KR102451939B1 (ko) 2022-10-07

Family

ID=6658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576A KR102451939B1 (ko) 2017-11-02 2017-11-02 리튬 이온 이동 속도가 증가된 리튬 복합 산화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9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631A (ko) * 2005-06-23 2006-1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아·쉘 구조를 가지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를사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66326A (ko) * 2011-12-12 2013-06-2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60049995A (ko) *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631A (ko) * 2005-06-23 2006-1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아·쉘 구조를 가지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를사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66326A (ko) * 2011-12-12 2013-06-2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15505123A (ja) * 2011-12-12 2015-02-16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充電可能なリチウム電池用正極活物質
KR20160049995A (ko) *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939B1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9404B2 (en) Charging system for all-solid-state battery
KR101352738B1 (ko) 활물질이 패턴 코팅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US10020506B2 (en) Active material for a cathode of a battery cell, cathode, and battery cell
JP6469725B2 (ja) ガルバニ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89264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장치
CN104241613B (zh) 蓄电元件和蓄电池模块
CN102856530A (zh) 锂离子电池
KR101613435B1 (ko) 전극제조를 위한 Na0.44MnO2 나노로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계 나트륨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2015056349A (ja) リチウム電池
JP2022079763A (ja) リチウムイオン蓄電池
CN216563208U (zh) 负极片以及电芯
JP2020167069A (ja)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内部短絡状態推定装置および内部短絡状態推定方法、並びに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システムおよび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充電装置
KR102441469B1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장치
JP2014120404A (ja) 二次電池
WO2016063176A1 (en) Lithium-ion storage batter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680466B1 (ko) 음극 활물질 슬러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EP3422435B1 (en) Battery cell manufacturing device using induction heating
KR20130016629A (ko) 금속-공기 전지,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금속-공기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JP2021099958A (ja)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TWI500209B (zh) Electrode structure and secondary battery
KR102451939B1 (ko) 리튬 이온 이동 속도가 증가된 리튬 복합 산화물
US20230105792A1 (en)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system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15133015A (zh) 锂离子二次电池
US1160086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gel polymer electrolyte
JP2014086213A (ja)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