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383A -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9383A KR20190049383A KR1020180046497A KR20180046497A KR20190049383A KR 20190049383 A KR20190049383 A KR 20190049383A KR 1020180046497 A KR1020180046497 A KR 1020180046497A KR 20180046497 A KR20180046497 A KR 20180046497A KR 20190049383 A KR20190049383 A KR 201900493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pet
- speed
- sensing
- running bel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FWZNCVPCJQOP-UHFFFAOYSA-N chloralodol Chemical compound CC(O)(C)CC(C)OC(O)C(Cl)(Cl)Cl QVFWZNCVPCJQ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737 Duralum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30 Fibre-reinforced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34 Patellar Dislo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1 fibre-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5 low visual acu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무게를 조절하여, 무리가 가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런닝벨트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 외부에 결합되며, 상부 양측에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프레임, 각각의 말단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ㄷ"자 바 및 상기 2개의 "ㄷ"자 바의 중심을 연결하며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절부가 형성된 결합바를 포함하는 거치대, 하중조절부에 각각 연결되고, 동물이 착용하는 착용대를 포함하여,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애완동물의 신체상태에 맞춰 운동을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무게를 조절하여, 다리에 무리가 가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애완동물은 다섯 가구 중 한 가구에서 키울 정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애완동물의 관심도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마당이 있는 주택에서 애완동물을 키웠으나, 현재에는 주로 주거공간만 구성되어 있는 아파트, 연립 주택 등에서 애완동물을 키운다. 이렇게 아파트 등의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 애완동물은 주로 실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생활한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주인은 애완동물을 정기적으로 산책 시켜 운동을 통해 건강을 유지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서 애완동물을 정기적으로 운동 시키는 것은 현대인에게 쉽지 않다. 또한, 장마철이나 추운 겨울과 같이 주변 환경에 따라 운동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도래할 수 있다.
이에따라, 애완동물을 실내에서 운동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이 개발되었다.
종래에 제안된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런닝벨트가 롤러수단에 의해 궤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져 있는 본체부에 런닝벨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 상부 양측에 각각 일정 높이로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되어 애완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좌,우 가이드 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애완동물의 몸통 부위를 받쳐주는 안전패드를 포함한다. 이에, 런닝머신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되고, 실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애완동물을 운동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본체부에 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회전가능한 회전부와 동물이 인입/인출 가능한 도어부가 마련된다. 또, 본체부 내부에 구동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장착되고, 회전부의 회전량을 측정하여 회전정보를 생성하는 센서와 회전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회전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며, 외부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가 구비된다. 더불어 본체부 수용공간에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와 동물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센서가 더 포함된다. 이에, 운동시 동물이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은 애완동물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실내에서 지속적으로 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비만 또는 슬개골 탈구처럼 다리에 무리가 갈 수 밖에 없는 애완동물을 운동 시키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트레드밀 본체 내부에 하중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측정하고, 감지/측정한 하중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한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애완동물의 주인이 하중감지센서로부터 감지/측정된 애완동물의 하중에 따라 하중조절부를 조절하여 착용대를 승하강 시켜서,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런닝머신에 브레이크를 구비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하면, 트레드밀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트레드밀 하부에 지지대를 구비하여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런닝벨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외부에 결합되며, 상부 양측에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프레임; 각각의 말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ㄷ"자 바 및 상기 2개의 "ㄷ"자 바의 중심을 연결하며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절부가 형성된 결합바를 포함하는 거치대; 및 상기 하중조절부에 각각 연결되고, 동물이 착용하는 착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에 의하면, 트레드밀 본체 내부에 하중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측정하고, 감지/측정한 하중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주인이 애완동물의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의 주인이 하중감지센서로부터 감지/측정된 애완동물의 하중에 따라 하중조절부를 조절하여 착용대를 승하강 시켜서,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어서, 애완동물의 신체 상태에 맞춰 다리에 무리가 가지 않게 운동을 시킬 수 있다.
또, 트레드밀에 브레이크를 구비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하면, 트레드밀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어서, 애완동물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밀 하부에 구비된 지지대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애완동물의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거치대 측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착용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거치대 측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착용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거치대 측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착용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거치대 측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착용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런닝머신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이하 트레드밀)은 본체(10), 구동장치(30), 프레임(40), 거치대(50), 착용대(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런닝벨트(11), 구동,피동롤러(12,13), 보드(14),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 속도감지센서(17), 제어부(18), 구동부(19), 통신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런닝벨트(11)는 본체에 내장되고, 내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구동,피동롤러(12,13)를 구비하며, 구동,피동롤러(12,1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구동롤러(12)는 후술할 구동장치(30)의 피동풀리(32)에 의해 회전한다.
보드(14)는 런닝벨트(11) 하부에 복수개로 나뉘어 구비되고, 런닝벨트(11)를 지지한다. 보드(14) 하부에는 동물의 하중을 감지/측정하는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가 각각 장착된다. 아울러, 보드(14)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는 런닝벨트(11)의 속도를 감지/측정하는 속도감지센서(17)가 장착된다. 이때,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는 로드셀로 구성되고, 속도감지센서(17)는 홀센서 또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의 하중감지/측정 또는 속도감지/측정 수단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4)를 2개로 형성하였으나, 2개가 아닌 1개로 단일 형성하거나, 4개로 나뉘어 형성할 수 있다. 4개로 나뉜 보드(14) 하부에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를 각각 장착하여 애완동물의 하중을 각각 감지/측정할 수 있다.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로부터 각각 감지/측정된 애완동물의 하중기록은 후술할 스마트폰(25)을 통해 클라우드서버에 저장되고, 이에 따라 주인은 애완동물의 운동상태와 신체상태 및 운동 전,후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본체(10)에 내장되고,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의 하중 감지/측정을 제어하며, 속도감지센서(17)의 속도 감지/측정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18)는 구동장치(3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구동부(19)를 제어하고, 스마트폰(25)과 연동하는 통신부(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는 일반 성인용 런닝머신에서와 같이 런닝벨트(11)의 ON/OFF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8)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 Micro Controller Unit)으로 마련되어 각종 정보의 연산, 가공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19)는 본체(10)에 내장되고, 디스플레이부(43)에 의해 구동장치(3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통신부(20)는 본체(10)에 내장되고,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25) 또는 디스플레이부(43)와 연동하여,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에 의해 발생된 하중 감지/측정 정보 또는 속도감지센서(17)에 의해 발생된 속도 감지/측정 정보를 스마트폰(25) 또는 디스플레이부(43)로 송수신 한다. 여기서 통신부(20)는 블루투스, 지그비, 로라(LoRa),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통신 프로토콜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어 스마트폰(25) 또는 디스플레이부(43)와 연동한다.
스마트폰(25)은 본체(10)에 내장된 통신부(19)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부(26)와, 이러한 통신부(26)를 제어하는 제어부(27)를 포함하고, 애완동물의 운동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8)와 클라우드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29)가 내장된다. 여기서, 클라우드서버는 스마트폰(25)과 연동되고,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 및 운동 상태를 체크 및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구동장치(30)는 내부에 구동풀리(31)와 피동풀리(32)가 구비된다. 구동풀리(31)는 구동장치(30) 일측에 장착된 모터(예를 들어 DC모터)로 인해 구동하고, 피동풀리(32)와 서로 벨트로 연결된다. 그리고, 피동폴리(32)는 런닝벨트(11)에 구비된 구동롤러(12)와 연결되고, 구동풀리(31)의 구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여, 런닝벨트(11)에 구비된 구동롤러(12)를 구동시킨다. 이때, 모터가 장착된 구동장치(30)는 애완동물의 주인(이하 주인)이 스마트폰(25) 또는 디스플레이부(43)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장치(30)는 구동,피동풀리(31,32)와 벨트가 아니라, 기어와 샤프트를 설치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을 설치하여 구동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40)은 구동,피동롤러(12,13)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양측에 복수 형성되고, 섬유 강화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녹슬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40)은 외부에 지지대(41, 41d), 브레이크(42), 디스플레이부(43), 삽입홈(44)이 마련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40)의 사방 일측에는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촬영한 기록을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여 애완동물의 운동 전,후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41)는 프레임(40)의 하부 모서리에 복수 구성되며, 내부에 실린더(도면 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는 제어부(18)로부터 제어받아 주인이 스마트폰(25) 또는 디스플레이부(43)를 이용하여 지지대(41)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41)를 제외한 나머지 지지대(41d)는 프레임 하부 모서리에 복수 구성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말단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높낮이의 변동에 상관없이 프레임(40)을 지지한다.
브레이크(42)는 프레임(40)을 관통하고 구동롤러(12)와 맞닿게 형성되고, 프레임(40) 외측에 발판(42a)과 내측에 마찰패드부(42b)가 형성되며, 발판(42a)과 마찰패드부(42b)를 연결하는 연결바(42c)가 구비되고, 연결바(42c)에 탄성부재(42d)(예를들어 스프링)가 형성된다. 이러한 브레이크(42)는 주인이 손 또는 발로 발판(42a)에 힘을 가하면 마찰패드부(42b)가 구동롤러(12)에 닿으므로, 런닝벨트(11)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런닝벨트(11)를 정지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브레이크(42)의 연결바(42c)를 나사식으로 형성하여 주인이 브레이크(42)의 발판(42a)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브레이크(42)가 구동롤러(12)로 전진후 맞닿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3)는 프레임(40)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어부(18)로부터 제어받은 동물의 하중 감지/측정 정보 또는 런닝벨트(11)의 속도 감지/측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또, 디스플레이부(43)는 통신부(20)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또는 로라(LORA)와 같은 무선연결방식으로 연동하고,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에 의해 감지/측정된 하중 감지/측정 정보에 따라 동물의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전,후방 하중조절버튼(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속도감지센서(17)에 의해 감지/측정된 속도 감지/측정 정보에 따라 런닝벨트(11)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조절버튼(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또,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43)는 시력이 좋지않은 사람을 위해 글씨 크기를 늘이고 줄일 수 있는 설정버튼이 형성되고, 운동시간, 거리, 칼로리 소모량 등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본체(10) 및 디스플레이부(43)의 전원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이 외부 일측에 구비된다. 또, 디스플레이부(43)는 화면에 구동장치(30) 및 후술할 결합바(52)에 구비된 모터(53b)와 지지대(41)에 구비된 실린더를 동작시킬 수 있는 4개의 조절버튼(도면 미도시)과 구동장치(3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는 구동버튼(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3)는 별도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프레임(40)에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부(20)를 통해 스마트폰(25) 디스플레이로 대체하여 원격으로 하중조절, 속도조절, 본체(10) 및 디스플레이부(43)의 전원 ON/OFF, 구동장치(30)의 구동, 모터(53b) 또는 실린더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삽입홈(44)은 프레임(40) 상부 양측에 사각 또는 원형으로 복수 형성되고, 거치대(50) 각각의 말단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거치대(50)는 2개의 "ㄷ"자 바(51) 및 2개의 "ㄷ"자 바(51)의 중심을 연결하는 결합바(52)로 형성된다.
2개의 "ㄷ"자 바(51)는 프레임(40) 상부에 양측에 복수 형성된 삽입홈(44)에 결합되어,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여기서 2개의 "ㄷ"자 바(51)는 결합/분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보관시나 이동시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다.
결합바(52)는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절부(53)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중조절부(53)에 후술할 착용대(60)가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조절부(53)는 로프 또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대(60)를 승하강시키는 길이조절부(53a)와, 길이조절부(53a)를 회동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모터(53b)(예를들어 스텝모터)를 포함한다. 이때, 길이조절부(53a)에 구비된 로프 또는 와이어의 말단은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착용대(6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53)는 모터(53b)를 수동 조절용 노브와 같은 조절부로 대체하여, 주인이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길이조절부(53a)는 기어(예를들어 베벨기어)로 대체하여 모터(53b)의 구동에 따라 착용대(6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대(60)는 연결부재(61), 착용부(63), 통공(64)을 포함하고, 애완동물이 착용한다.
연결부재(61)는 단단하고 가벼운 소재(예를들어 알루미늄 또는 두랄루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길이조절부(53a)에 구비된 로프 또는 와이어의 후크가 관통홀에 연결된다. 이로인해, 연결부재(61)를 포함한 착용대(60)는 길이조절부(53a)에 의해 지지대(41)의 높낮이와 관계없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고, 후크와 쉽게 분리가 가능하다.
착용부(63)는 플랙시블한 소재(예를들어 천연고무 또는 직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61)와 연결된다. 또, 착용부(63)는 애완동물의 침 또는 땀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자체 방수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통공(64)은 적어도 하나 이상 착용부(63)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동물의 다리가 인입 또는 인출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구동장치(30)에 모터가 아닌 소형의 활차(70)를 설치하여, 주인이 소형의 활차(70)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동으로 런닝벨트(11)를 구동할 수 있다.
또, 프레임(40) 하부 모서리에 복수 구성된 지지대(41)는 겉지지대(41a)와 속지지대(41b)로 나뉘어 형성할 수 있다.
겉지지대(41a)는 상부 양측에 관통홀(41c)이 형성되고, 속지지대(41b)는 겉지지대(41a)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관통홀(41c)이 복수 형성된다.
겉지지대(41a) 및 속지지대(41b)에 형성된 관통홀(41c)은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이 체결되어 지지대(41)를 일정 높이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연결부재(61)는 결합바(52) 하부 일측에 유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지지대(41)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고, 지지부재(62)가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재(62)는 상부가 연결부재(61)와 연결되고, 볼트 및 너트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며, 결합/분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지지부재(62)의 하부는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지지부재(62)는 탄성밴드와 같은 탄성재질을 갖는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주인은 연결부재(61) 및 연결고리부(63a)에 서로 다른 탄성강도를 갖는 지지부재(62)를 연결/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착용대(60)의 탄성 및 길이를 조절하여 애완동물의 신체 상태에 맞춰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착용부(63)는 말단에 연결고리부(63a)가 형성되고, 그 연결고리부(63a)에 지지부재(62)가 연결된다. 그리고, 착용부(63) 일측에는 동물의 다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통공(64)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거치대 측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중조절부(53)는 하우징(H)이 구비되고, 하우징(H) 내부에 제 1 가이드(100)와 제 2 가이드(200)가 나뉘어 형성된다.
제 1 가이드(100)는 T자형 샤프트(110)와 T자형 샤프트(110)를 둘러싸는 스프링(S)으로 형성된다. 제 1 가이드(100)에 구비된 T자형 샤프트(110)는 제 2 가이드(200)로 연결되며, 하부가 나사산(210)형태로 형성되고, 나사산(210)에는 스프링(S)의 탄성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길이 조절링(220)이 구비된다. 그리고, 하중조절부(53)는 하부에 견인부(53c)가 형성되고, 견인부(53c)를 통해 연결부재(61)와 연결되며, 착용대(6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길이 조절링(220)은 나사산(210)에 휠레버 또는 노브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주인이 탄성/길이 조절링(220)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의 탄성 및 길이를 조절하면, 하중조절부(53)가 승하강 동작을 하고, 애완동물의 하중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모터를 결합바(52)하부 일측에 구비하여 탄성/길이 조절링(220)과 연결 후, 스프링(S)의 탄성/길이 조절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착용대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착용대(60)를 통공(64)없이 일체로 형성 하였다.
착용대(60)는 패드부(60a), 연결부재(61), 벨크로(60b), 인입홈(60c)으로 형성된다.
패드부(60a)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자체 방수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패드부(60a)는 일면에 복수의 벨크로(60b)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길이조절부(53a)가 연결되는 연결부재(61)가 형성되며, 일면에는 애완동물의 다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입홈(60c)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패드부(60a)는 결합/분리가 용이하게 기저귀 타입의 입는 형식으로 구비할 수 있고, 벨크로(60b)를 핀버클을 이용한 벨트타입으로 대체하여 애완동물에게 착용 후 고정할 수 있다.
벨크로(60b)는 애완동물을 패드부(60a)로 감싼 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된 기술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따라, 주인은 애완동물의 다리를 인입홈(60c)에 인입 후, 패드부를 애완동물의 몸에 감싸고, 벨크로를 탈부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트레드밀은 주인이 디스플레이부(43) 또는 스마트폰(25)으로 런닝벨트(11)의 구동, 착용대(60)의 승하강조절, 지지대(41)의 높낮이 조절을 자동으로 하거나(제 1실시 예), 활차(70)를 이용하여 런닝벨트(11)를 수동구동하고, 착용대(60)의 길이조절, 지지대(41)의 높낮이 조절을 수동으로 하는(제 2실시 예) 두가지 모드(자동 동작 모드, 수동 동작 모드)로 대별된다.
먼저, 구동장치(30) 및 결합바(52)에 모터(53b)가 구비되고, 지지대(41)에 실린더가 구비되어, 주인이 스마트폰(25) 또는 디스플레이부(43)로 트레드밀을 자동 구동 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인은 착용부(63)에 형성된 통공(64) 부위를 통해 애완동물의 앞다리와 뒷다리를 통과시키고, 착용부(63)에 애완동물의 몸통부위가 지지되도록 하여 애완동물을 런닝벨트(11) 위에 올려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인은 디스플레이부(43)에 구성된 전원버튼(도면 미도시)을 터치하거나 또는 가압한다.
상기 전원버튼이 눌러지면, 디스플레이부(43)와 트레드밀은 내부에 구비된 전원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이 공급되어 디스플레이부(43)와 트레드밀의 전원이 ON되면, 본체(10)에 내장된 제어부(18)와 제어부(18)가 제어하는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 속도감지센서(17), 구동부(19), 통신부(20)가 구동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3)와 통신부(20)가 연동된다.
이때, 주인은 스마트폰(25)과 트레드밀을 연동하고, 디스플레이부(43)를 스마트폰(25)으로 대체하여 트레드밀을 조작할 수 있다.
이후, 트레드밀에 올라탄 애완동물의 무게를 보드(14) 하부에 장착된 전,후방 하중감지센서(15,16)가 감지/측정한다.
애완동물의 앞다리 무게는 전방 하중감지센서(15)가, 뒷다리 무게는 후방 하중감지센서(16)가 각각 감지/측정한다. 그리고, 앞다리,뒷다리 각각의 무게 및 앞다리,뒷다리 무게를 합산한 전체하중이 디스플레이부(43) 또는 스마트폰(25)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주인은 애완동물의 신체 상태에 따라, 앞다리 또는 뒷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조절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43) 또는 스마트폰(25)의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하중조절버튼을 터치 또는 가압한다.
주인이 하중조절버튼을 누르면, 결합바(52) 하부 일측에 구비된 모터(53b)가 길이조절부(53a)를 회전시켜 착용대(60)를 승하강 시킨다.
이로인해, 주인은 착용대(60)를 애완동물의 신체상태에 맞게 조절하고, 애완동물의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변화시켜 애완동물을 적절히 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주인은 애완동물의 하중을 조절한 후, 스마트폰(25)의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부(43)에 형성된 구동버튼을 터치 또는 가압하여 구동장치(30)를 구동시킨다.
구동장치(30)가 구동됨에 따라, 런닝벨트(11)가 순환 운동을 하게 된다.
런닝벨트(11)의 순환 운동이 이루어지면, 애완동물은 런닝벨트(11)의 순환 속도에 맞추어 걷기 또는 뛰기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애완동물은 착용대(6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착용대(60)에 몸통부위가 받쳐짐으로서, 트레드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후, 런닝벨트(11)가 동작함에 따라, 보드(14) 하부에 장착된 속도감지센서(17)는 런닝벨트(11)의 회전 속도를 감지/측정한다.
속도감지센서(17)로부터 감지/측정된 런닝벨트(11)의 회전속도는 디스플레이부(43) 또는 스마트폰(25)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주인은 애완동물의 신체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3) 또는 스마트폰(25)의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속도조절버튼을 터치 또는 가압하여 런닝벨트(11)의 속도를 조절한다.
한편, 주인은 애완동물의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지대(41)의 높낮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다.
주인은 디스플레이부(43) 또는 스마트폰(25)의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조절버튼중 지지대(4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버튼을 터치 또는 가압하여 지지대(41)의 높낮이를 조절 한다.
지지대(41)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본체(10)가 결합된 프레임(40)이 경사지게 되고, 애완동물의 운동효과가 높아진다.
그러나, 갑작스럽게 트레드밀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감속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주인은 브레이크(42)를 사용하여 트레드밀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트레드밀의 수동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인은 애완동물을 런닝벨트(11) 위에 올려놓기 위해서 착용부(63)에 형성된 통공(64) 부위를 통해 애완동물의 앞다리와 뒷다리를 통과시키고, 착용부(63)에 몸통부위가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인은 벨크로 타입의 지지부재(62)를 애완동물의 신체상태에 맞춰 길이를 조절하여, 애완동물의 하중을 조절한다.
하중을 조절한 후, 주인은 활차(7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구동장치(30)를 구동시킨다.
활차(70)가 동작함에 따라, 런닝벨트(11)가 구동장치(30)에 의해 순환 운동을 하게 되고, 애완동물은 런닝벨트(11)의 순환 속도에 맞추어 걷기 또는 뛰기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애완동물이 운동을 할때, 주인은 지지대(41)의 높낮이를 조절 하여 애완동물의 운동효과를 향상시키고, 높낮이에 따라 런닝벨트(11)의 속도를 증감시킬 수 있다. 즉, 주인은 원하는 높이에 맞춰 겉지지대(41a)에 속지지대(41b)를 맞추고, 고정핀으로 관통홀(41c)에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대(41)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애완동물의 하중에 의해 런닝벨트(11)가 뒤로 밀리므로 속도가 증가하고,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속도가 감속된다.
그러나, 갑작스럽게 트레드밀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감속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주인은 브레이크(42)를 사용하여 트레드밀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런닝벨트
12: 구동롤러
13: 피동롤러 14: 보드 15: 전방 하중감지센서
16: 후방 하중감지센서 17: 속도감지센서 18: 제어부
19: 구동부 20: 통신부 25: 스마트폰
26: 통신부 27: 제어부 28: 메모리부
29: 전송부 30: 구동장치 31: 구동풀리
32: 피동풀리 40: 프레임 41: 지지대
41a: 겉지지대 41b: 속지지대 41c: 관통홀
41d: 지지대 42: 브레이크 42a: 발판
42b: 마찰패드부 42c: 연결바 42d: 탄성부재
43: 디스플레이부 44: 삽입홈 50: 거치대
51: "ㄷ"자 바 52: 결합바 53: 하중조절부
53a: 길이조절부 53b: 모터 53c: 견인부
60: 착용대 60a: 패드부 60b: 벨크로
60c: 인입홈 61: 연결부재 62: 지지부재
63: 착용부 63a: 연결고리부 64: 통공
70: 활차 100: 제 1 가이드 110: T자형 샤프트
200: 제 2가이드 210: 나사산 220: 탄성/길이 조절링
13: 피동롤러 14: 보드 15: 전방 하중감지센서
16: 후방 하중감지센서 17: 속도감지센서 18: 제어부
19: 구동부 20: 통신부 25: 스마트폰
26: 통신부 27: 제어부 28: 메모리부
29: 전송부 30: 구동장치 31: 구동풀리
32: 피동풀리 40: 프레임 41: 지지대
41a: 겉지지대 41b: 속지지대 41c: 관통홀
41d: 지지대 42: 브레이크 42a: 발판
42b: 마찰패드부 42c: 연결바 42d: 탄성부재
43: 디스플레이부 44: 삽입홈 50: 거치대
51: "ㄷ"자 바 52: 결합바 53: 하중조절부
53a: 길이조절부 53b: 모터 53c: 견인부
60: 착용대 60a: 패드부 60b: 벨크로
60c: 인입홈 61: 연결부재 62: 지지부재
63: 착용부 63a: 연결고리부 64: 통공
70: 활차 100: 제 1 가이드 110: T자형 샤프트
200: 제 2가이드 210: 나사산 220: 탄성/길이 조절링
Claims (9)
-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런닝벨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외부에 결합되며, 상부 양측에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프레임;
각각의 말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ㄷ"자 바 및 상기 2개의 "ㄷ"자 바의 중심을 연결하며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절부가 형성된 결합바를 포함하는 거치대; 및
상기 하중조절부에 각각 연결되고, 동물이 착용하는 착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청구항 1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런닝벨트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런닝벨트를 지지하는 보드;
상기 보드 하부에 각각 장착되며, 동물의 하중을 감지/측정하는 복수의 하중감지센서;
상기 보드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런닝벨트의 속도를 감지/측정하는 속도감지센서;
상기 복수의 하중감지센서의 하중 감지/측정을 제어하고, 상기 속도감지센서의 속도 감지/측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장치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과 연동하고, 상기 복수의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발생된 하중 감지/측정 정보 또는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발생된 속도 감지/측정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송수신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청구항 2에서,
상기 프레임 일측에 더 설치되고, 상기 통신부와 연동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받은 동물의 하중 감지/측정 정보 또는 상기 런닝벨트의 속도 감지/측정 정보를 시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청구항 3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측정된 하중 감지/측정 정보에 따라 동물의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하중조절버튼; 및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측정된 속도 감지/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런닝벨트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조절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청구항 1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에 복수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는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는 지지대; 및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고 상기 롤러와 맞닿게 구성되며, 상기 런닝벨트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청구항 1에서, 상기 하중조절부는,
로프 또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착용대를 승하강 시키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모터 또는 수동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청구항 1에서, 상기 하중조절부는,
샤프트를 둘러싸는 스프링이 형성된 제 1 가이드;
상기 샤프트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 또는 길이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길이 조절링이 형성된 제 2가이드;
상기 제 1 가이드와 제 2 가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착용대와 연결되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길이 조절링 또는 모터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탄성/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청구항 1에서, 상기 착용대는,
상기 길이조절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동물의 다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착용부;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착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청구항 1에서, 상기 착용대는,
탈부착 가능한 복수의 벨크로가 형성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동물의 다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입홈; 및
상기 패드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04808 WO2019208986A1 (ko) | 2017-10-31 | 2019-04-22 |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142971 | 2017-10-31 | ||
KR1020170142971 | 2017-10-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9383A true KR20190049383A (ko) | 2019-05-09 |
KR102255488B1 KR102255488B1 (ko) | 2021-05-24 |
Family
ID=6654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497A KR102255488B1 (ko) | 2017-10-31 | 2018-04-23 |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5488B1 (ko) |
WO (1) | WO2019208986A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8099A (ko) * | 2003-07-24 | 2003-08-19 | 박철기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KR20050052299A (ko) * | 2003-11-29 | 2005-06-02 | 서정희 | 스텝에 의한 러닝머신 조작장치 |
KR100883787B1 (ko) * | 2007-09-06 | 2009-02-18 | 박홍재 | 런닝머신 |
JP2010035455A (ja) * | 2008-08-01 | 2010-02-18 | Tokyo Menitsukusu:Kk | ペット用リハビリ装置 |
KR20140051591A (ko) * | 2012-10-23 | 2014-05-02 |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
KR101783846B1 (ko) | 2017-07-13 | 2017-10-10 | (주)성우메디텍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KR101837630B1 (ko) | 2016-07-13 | 2018-03-12 | 김태문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
2018
- 2018-04-23 KR KR1020180046497A patent/KR1022554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4-22 WO PCT/KR2019/004808 patent/WO201920898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8099A (ko) * | 2003-07-24 | 2003-08-19 | 박철기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KR20050052299A (ko) * | 2003-11-29 | 2005-06-02 | 서정희 | 스텝에 의한 러닝머신 조작장치 |
KR100883787B1 (ko) * | 2007-09-06 | 2009-02-18 | 박홍재 | 런닝머신 |
JP2010035455A (ja) * | 2008-08-01 | 2010-02-18 | Tokyo Menitsukusu:Kk | ペット用リハビリ装置 |
KR20140051591A (ko) * | 2012-10-23 | 2014-05-02 |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
KR101837630B1 (ko) | 2016-07-13 | 2018-03-12 | 김태문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KR101783846B1 (ko) | 2017-07-13 | 2017-10-10 | (주)성우메디텍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5488B1 (ko) | 2021-05-24 |
WO2019208986A1 (ko) | 2019-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04202B2 (en) | Monitoring joint extension and flexion using a sensor device securable to an upper and lower limb | |
JP5238918B2 (ja) | 下肢機能訓練装置 | |
KR101487391B1 (ko) | 무선 줄넘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 |
KR101453482B1 (ko) |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 |
KR101064891B1 (ko) | 보행 재활훈련 시스템 | |
KR101783846B1 (ko)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
CN108096794B (zh) | 平衡康复训练机器人 | |
JPWO2018151173A1 (ja) | 最適運動情報自動判定を実現する創動運動訓練装置 | |
CN107568835B (zh) | 一种自动系鞋带装置 | |
US20170087392A1 (en) | Fall prevention system for peripatetic persons | |
CN111821654A (zh) | 一种医用多功能踝泵训练装置 | |
CN110652705A (zh) | 一种动态减重主被动平衡训练系统 | |
CN105877293A (zh) | 一种智能婴儿床 | |
KR20170016598A (ko) |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 |
KR20190049383A (ko) |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 |
CN107456711B (zh) | 一种具有保护机构的智能跑步设备及其工作方法 | |
KR20190131165A (ko) | 자동 속도 조절형 스마트 펫 트레드밀 | |
CN103263756A (zh) | 电动腿部拉伸器 | |
KR20190001246A (ko) | 반려동물용 트레드밀과 이의 제어 방법 | |
CN212067045U (zh) | 一种适用于精神科患者的约束病床 | |
WO2018173411A1 (ja) | 荷物保持用のハンド部およびアシストスーツ | |
CN220069942U (zh) | 无动力偏瘫患者脚踝纠正训练器 | |
KR101837186B1 (ko) |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하는 유아 운동 기구 | |
JP2017000548A (ja) | 陸上スプリント・トレーニング装置 | |
KR20190027132A (ko) | 협응지수 측정가능한 무선 줄넘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