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591A -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591A
KR20140051591A KR1020120117803A KR20120117803A KR20140051591A KR 20140051591 A KR20140051591 A KR 20140051591A KR 1020120117803 A KR1020120117803 A KR 1020120117803A KR 20120117803 A KR20120117803 A KR 20120117803A KR 20140051591 A KR20140051591 A KR 2014005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treadmill
weight
controlling
pel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823B1 (ko
Inventor
정호춘
이상세
권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to KR102012011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8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8Comparison to target or threshold, previous performance or not real time comparison to other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의 전체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판넬형 터치판넬(Touch Pannel)과; 우측 및 좌측 트레트밀 보행감지 센서가 각각 내장된 투벨트 트레드밀과; 상기 투벨트 트레드밀의 속도를 피드백 및 제어하기 위한 모터제어부와; 상기 투벨트 트레드밀의 상측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보폭, 보행속도, 및 좌우 대칭성을 분석하는 보행분석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행분석시스템은, 몸의 체중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2개의 3단 높낮이슬라이더와; 상기 2개의 3단 높낮이슬라이더의 중앙에 각각 탄력밴드로 연결되어 골반이 아프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골반 고정 하네스와; 상기 골반하네스에 4개의 인장 로드셀이 연결되어 보행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4정점 무게측정 인장 로드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포츠 분야 또는 의료기관에서 보행의 장애가 발생할 때 몸의 체중부하를 감소시켜 몸의 체중에 따른 무릎 또는 발목의 하중을 최소화하여 보행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중부하 조절용 트레드밀과 트레드밀 발판에 보행감지 센서를 바닥에 부착하여 보행의 보폭, 보행속도, 좌우 대칭성을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WALKING ANALYSIS TREADMILL OF UNWEIGHT CONTROL }
본 발명은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포츠 분야 또는 의료기관에서 보행의 장애가 발생할 때 몸의 체중부하를 감소시켜 몸의 체중에 따른 무릎 또는 발목의 하중을 최소화하여 보행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중부하 조절용 트레드밀과 트레드밀 발판에 보행감지센서 모듈을 바닥에 부착하여 보행의 보폭, 보행속도, 좌우 대칭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다리로 체중을 지지하고 걷는 직립보행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고도로 발달된 운동이며, 인간으로서의 생활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동작 및 기능이다.
따라서 직립보행에 장애가 생기게 되면 신체적으로 운동의 제약이 생길 뿐 아니라 사회적 활동에까지 장애가 오며, 더 나아가서는 정신적인 문제까지 생길 수 있다.
최근의 산업화 과정에서 급속히 증가 되는 산업재해로 인해 거동이 불편한 보행 장애인, 관절염환자, 비만환자 및 노인의 재활과정에서 환자를 바른 자세로 걸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므로 재활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환자의 장애 정도에 따라 일정한 속도를 조절하여 걸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훈련시켜야 한다.
따라서 의료기관이나 재활시설에서 보행 장애환자는 스스로 보행할 수 없으므로 이들의 재활 보행을 보조 또는 훈련시키려면 1-2명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또는 간병인이 필요하나 인력부족으로 인하여 회복이 지연되고, 그 결과 합병증이 발병하게 되므로 이 시기가 지난 후 치료비의 현저한 상승과 함께 많은 보행 장애인들이 적극적인 재활의 기회를 잃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보행 장애인의 재활은 의료계에서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사용하는 지팡이, 목발, 보행보조기 등 보행 장애인 스스로 상지(上肢)의 체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충분한 상지의 근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선 자세의 유지를 위해 전신의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수축되므로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유도하는 치료를 시행하기 어려운 문제와 직선보행과 같은 사람의 기본운동기능에 부합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보행 장애인이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는 보행패턴과 가장 유사한 보행패턴을 분석하여 훈련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포츠 분야 또는 의료기관에서 보행의 장애가 발생할 때 몸의 체중부하를 감소시켜 몸의 체중에 따른 무릎 또는 발목의 하중을 최소화하여 보행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중부하 조절용 트레드밀과 트레드밀 발판에 보행감지센서 모듈을 바닥에 부착하여 보행의 보폭, 보행속도, 좌우 대칭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은, 시스템의 전체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판넬형 터치판넬(Touch Pannel)과; 우측 및 좌측 트레트밀의 밑판에 각각 우측 및 좌측 보행감지 측정센서모듈이 내장된 투벨트 트레드밀과; 상기 투벨트 트레드밀의 속도를 피드백 및 제어하기 위하여 투벨트 트레드밀의 전방에 설치된 모터제어부(MCU)와; 상기 투벨트 트레드밀의 상측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보폭, 보행속도, 및 좌우 대칭성을 분석하는 보행분석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행분석시스템은, 몸의 체중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좌, 우측 3단 높낮이 리프트의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고, 몸의 4정점의 대칭 형태로 구성하여 몸을 위로 올려주는 역할을 하는 2개의 3단 높낮이가 조절되는 체중부하 조절용 리프트슬라이드와; 상기 2개의 체중부하 조절용 리프트슬라이드의 중앙에 골반이 아프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골반하네스와; 상기 골반하네스에 4개의 인장 로드셀이 연결되어 보행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4정점 체중부하 측정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행을 감지 감지하기 위한 우측 및 좌측 보행감지 측정센서모듈은 X축 금속판과 Y측 금속판 사이에 절연판이 삽입되어 센서 위쪽에 힘이 가해지면 절연판이 압축되면서 X축 금속판과 Y축 금속판이 접촉하게 되고, X축 8개에 전압을 인가하면 Y축 8개씩 10번 스캔하여 8x80개 센서의 ON/OFF 상태를 검출하게 됨으로 발이 눌리는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에 의하면, 스포츠 분야 또는 의료기관에서 보행의 장애가 발생할 때 몸의 체중부하를 감소시켜 몸의 체중에 따른 무릎 또는 발목의 하중을 최소화하여 보행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중부하 조절용 트레드밀과 트레드밀 발판에 보행감지센서 모듈을 바닥에 부착하여 보행의 보폭, 보행속도, 좌우 대칭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중부하 조절용 트레드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체중부하 측정을 위한 4정점 체중부하 측정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보행감지 측정 센서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체중부하 조절용 트레드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체중부하 측정을 위한 4정점 체중부하 측정모듈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보행감지 측정 센서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은, 시스템의 전체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판넬형 터치판넬(Touch Pannel)과; 우측 및 좌측 트레트밀의 밑판에 각각 우측 및 좌측보행감지측정센서모듈이 내장된 투벨트 트레드밀과, 상기 투벨트 트레드밀의 속도를 피드백 및 제어하기 위하여 투벨트 트레드밀의 전방에 설치된 모터제어부(MCU)와, 상기 투벨트 트레드밀의 상측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보폭, 보행속도, 및 좌우 대칭성을 분석하는 보행분석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행분석 트레드밀은 스포츠 분야 또는 의료기관에서 보행의 장애가 발생할 때 몸의 체중부하를 감소시켜 몸의 체중에 따른 무릎 또는 발목의 하중을 최소화하여 보행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중부하 조절용 트레드밀과 트레드밀 발판에 보행감지 센서를 바닥에 부착하여 보행의 보폭, 보행속도, 좌우 대칭성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기 보행분석시스템은, 몸의 체중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좌, 우측 3단 높낮이 리프트의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고, 몸의 4정점의 대칭 형태로 구성하여 몸을 위로 올려주는 역할을 하는 2개의 3단 높낮이가 조절되는 체중부하 조절용 리프트슬라이드와; 상기 2개의 체중부하 조절용 리프트슬라이드의 중앙에 골반이 아프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골반하네스와; 상기 골반하네스에 4개의 인장 로드셀이 연결되어 보행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4정점 체중부하 측정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장 로드셀에서 최대의 체중이 감지되면 100% 몸을 위로 올려주게 되고, 만약 체중의 50%의 무중력 상태를 만들려면, 인장로드셀에서 체중의 50%만큼 3단 체중부하 조절용 리프트슬라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보행분석을 하기 위해 투벨트 트레드밀의 좌우측 밑에 각각 8x80개 매트릭스 보행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발판에 발이 눌리는 시점을 검출하게 된다. 이때 좌측 및 우측의 보행감지 센서는 보행 분석자의 오른쪽 발이 눌리는 시점과 왼쪽 발이 눌리는 시점을 검출하고, 트레드밀의 속도를 환산하여 보행의 속도와 보폭, 좌우 대칭성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보행을 감지 감지하기 위한 우측 및 좌측 보행감지 측정센서모듈은 X축 금속판과 Y측 금속판 사이에 절연판이 삽입되어 센서 위쪽에 힘이 가해지면 절연판이 압축되면서 X축 금속판과 Y축 금속판이 접촉하게 되고, X축 8개에 전압을 인가하면 Y축 8개씩 10번 스캔하여 8x80개 센서의 ON/OFF 상태를 검출하게 됨으로 발이 눌리는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은 보행자의 체중부하를 선택한 후 좌, 우측 리프트를 조절하여 보행자 체중부하를 조절하며, 보행자의 속도에 맞는 모드를 선택한 후 보행을 시작하면 좌측 및 우측 보행감지 측정센서모듈을 통해 좌, 우측 발의 압력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제어패널로 송수신하며, 보행시 보행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 보행감지 측정센서모듈에서 들어오는 보행정보를 분석하여 보행속도, 보폭, 좌우 대칭성을 분석하여 터치판넬에 정보를 표시하여 보행정보를 모터제어부로 피드백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Claims (3)

  1. 시스템의 전체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판넬형 터치판넬(Touch Pannel)과;
    우측 및 좌측 트레트밀의 밑판에 각각 우측 및 좌측 보행감지 측정센서모듈이 내장된 투벨트 트레드밀과;
    상기 투벨트 트레드밀의 속도를 피드백 및 제어하기 위하여 투벨트 트레드밀의 전방에 설치된 모터제어부(MCU)와;
    상기 투벨트 트레드밀의 상측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보폭, 보행속도, 및 좌우 대칭성을 분석하는 보행분석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분석시스템은, 몸의 체중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좌, 우측 3단 높낮이 리프트의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고, 몸의 4정점의 대칭 형태로 구성하여 몸을 위로 올려주는 역할을 하는 2개의 3단 높낮이가 조절되는 체중부하 조절용 리프트슬라이드와;
    상기 2개의 체중부하 조절용 리프트슬라이드의 중앙에 골반이 아프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골반하네스와;
    상기 골반하네스에 4개의 인장 로드셀이 연결되어 보행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4정점 체중부하 측정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3. 제 1 항에 있어서,
    보행을 감지 감지하기 위한 우측 및 좌측 보행감지 측정센서모듈은 X축 금속판과 Y측 금속판 사이에 절연판이 삽입되어 센서 위쪽에 힘이 가해지면 절연판이 압축되면서 X축 금속판과 Y축 금속판이 접촉하게 되고, X축 8개에 전압을 인가하면 Y축 8개씩 10번 스캔하여 8x80개 센서의 ON/OFF 상태를 검출하게 됨으로 발이 눌리는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KR1020120117803A 2012-10-23 2012-10-23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KR10143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03A KR101430823B1 (ko) 2012-10-23 2012-10-23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03A KR101430823B1 (ko) 2012-10-23 2012-10-23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91A true KR20140051591A (ko) 2014-05-02
KR101430823B1 KR101430823B1 (ko) 2014-08-14

Family

ID=5088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803A KR101430823B1 (ko) 2012-10-23 2012-10-23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8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10B1 (ko) 2015-07-31 2016-06-27 (주)에디넷 3차원 지형표현이 가능한 입체 트레드밀
KR20160121348A (ko) 2015-04-09 2016-10-1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의 뇌활성도 측정에 따른 유효 채널 추출 방법 및 장치
KR20190049383A (ko) * 2017-10-31 2019-05-09 황지현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KR20200142384A (ko) * 2019-06-12 2020-12-2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하지 운동 로봇과 이의 제조방법 및 제어방법
KR20210034289A (ko) * 2019-09-20 2021-03-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동물용 보행분석 장치
CN113262438A (zh) * 2021-06-18 2021-08-17 吉林大学 一种骨科康复用行走训练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98B1 (ko) * 2006-05-29 2007-04-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분석을 이용한 보행훈련 장치
KR20120085962A (ko) *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무게감지저항센서를 적용한 지능형 보행훈련시스템 및 보행패턴 분석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348A (ko) 2015-04-09 2016-10-1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의 뇌활성도 측정에 따른 유효 채널 추출 방법 및 장치
KR101633810B1 (ko) 2015-07-31 2016-06-27 (주)에디넷 3차원 지형표현이 가능한 입체 트레드밀
KR20190049383A (ko) * 2017-10-31 2019-05-09 황지현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WO2019208986A1 (ko) * 2017-10-31 2019-10-31 Hwang Ji Hyun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KR20200142384A (ko) * 2019-06-12 2020-12-2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하지 운동 로봇과 이의 제조방법 및 제어방법
KR20210034289A (ko) * 2019-09-20 2021-03-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동물용 보행분석 장치
CN113262438A (zh) * 2021-06-18 2021-08-17 吉林大学 一种骨科康复用行走训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823B1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823B1 (ko) 체중부하 조절용 보행분석 트레드밀
Wall III et al. Vibrotactile tilt feedback improves dynamic gait index: a fall risk indicator in older adults
Watt et al. A three-dimensional kinematic and kinetic comparison of overground and treadmill walking in healthy elderly subjects
US200602647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status of balance functions in patients with acute neurological disorders
KR101283250B1 (ko) 체중부하 감소를 위한 4정점 리프트 제어용 무중력 트레드밀의 보행분석시스템
Orekhov et al. Usability and performance validation of an ultra-lightweight and versatile untethered robotic ankle exoskeleton
GB2484463A (en) Apparatus to assist the rehabilitation of disabled persons
KR101921914B1 (ko) 하지 재활로봇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ltmann et al. Construct validity of the trunk impairment classification system in relation to objective measures of trunk impairment
KR20180010838A (ko)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Li et al. Effect of robot assisted gait training on motor and walk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 controlled study
KR20120085962A (ko) 무게감지저항센서를 적용한 지능형 보행훈련시스템 및 보행패턴 분석 방법
Shin et al.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balance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JP6218307B2 (ja) 起立動作誘導システム
Smith et al. Estimating upper extremity joint loads of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walking with a lower extremity powered exoskeleton and forearm crutches
Reissman et al. A functional tracking task to assess frontal plane motor control in post stroke gait
Shiraishi et al. Development of sit-to-stand and stand-to-sit training system for hemiplegie patients
Fang et al. Development and feasibility assessment of a rotational orthosis for walking with arm swing
Williams et al. Training conditions influence walking kinematics and self-selected walking speed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s
Acasio et al. Assessments of trunk postural control within a fall-prevention training program for service members with lower limb trauma and loss
KR102021349B1 (ko) 재활치료용 기립보조기
Low Subject-oriented overground walking pattern generation on a rehabilitation robot based on foot and pelvic trajectories
KR20200005362A (ko) 무중력 트레드밀
KR101527593B1 (ko) 전보행 재활 훈련기
Ko et al. Assessment of forearm and plantar foot load in the elderly using a four-wheeled walker with armrest and the effect of armrest h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