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787B1 - 런닝머신 - Google Patents

런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787B1
KR100883787B1 KR1020070090639A KR20070090639A KR100883787B1 KR 100883787 B1 KR100883787 B1 KR 100883787B1 KR 1020070090639 A KR1020070090639 A KR 1020070090639A KR 20070090639 A KR20070090639 A KR 20070090639A KR 100883787 B1 KR100883787 B1 KR 100883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treadmill
dog
support bar
connec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재
Original Assignee
박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재 filed Critical 박홍재
Priority to KR102007009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787B1/ko
Priority to US12/677,099 priority patent/US20100326366A1/en
Priority to PCT/KR2008/005288 priority patent/WO2009031867A1/en
Priority to JP2010523958A priority patent/JP2010537667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64Attachments on the trainee preventing fa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4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트랙이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상호 이격하며 기립 배치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핸드레일을 갖는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몸체를 지지하는 하네스 유닛과;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벨트트랙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네스 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핸드레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람과 애완동물이 선택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런닝머신{TREAD MILL}
본 발명은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과 애완동물이 선택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런닝머신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회전축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벨트트랙에 사용자가 서서 걷거나 달리는 운동기구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래, 싱글족 및 독거노인의 증가, 자녀를 가지지 않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사람의 외로운 삶을 위로해주는 애완동물로서 애견은 현재 가족 구성원의 하나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여태까지는 애견의 건강을 위해 애견주가 애견을 야외에서 운동시켜왔지만, 현재에는 애견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이 사회 문제화되면서 애견의 야외활동에 관한 규제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이에, 애견주는 애견의 건강을 위해 가정에서라도 애견을 운동시켜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애견이 운동부족으로 인해 비만한 몸 상태를 가지고 있고, 비만으로 인해 관절염, 폐기능 이상, 당뇨, 지방간, 지루성 피부염 등의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애견을 실내에서 운동시킬 수 있는 애견용 런닝머신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애견용 런닝머신의 구조 및 특성을 살펴보면 목줄로 연결, 애견의 몸체 전방부만 고정된 상태에서 애견을 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제품규격에 따른 특성상 대게 애견의 크기에 대응하지 못하고 소형견만이 운동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애견용 런닝머신에 있어서는, 몸체의 전방부만 고정된 애견은 런닝머신 작동시 런닝머신의 움직이는 벨트트랙 위에서 안정된 자세로 런닝하기 어려우며, 런닝 중 몸체가 뒤틀려서 미끄러지거나 런닝머신 옆으로 굴러 떨어지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런닝 훈련하는 동안 애견주가 곁에 지켜서서 애견을 보호하고, 애견이 런닝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한다. 이러한 애견용 런닝머신에서 애견이 운동효과를 얻기 위하여 30분 이상의 런닝 훈련을 지속하는 것은 애견주나 애견에게 모두 힘든 일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애견용 런닝머신 양측에 판넬을 설치하고, 애견에게 밀착시켜 애견이 런닝 훈련시 몸체가 뒤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강제적으로 런닝 훈련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애견용 런닝머신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강제적 런닝 훈련 방식은 애견에게 나쁜 기억으로 각인될 수 있고 런닝 훈련을 기피하게 되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원래 애견용 목줄의 용도는 애견 훈련 시 애견의 잘못된 습관을 바꾸거나 애견에게 금지되는 것을 가르칠 때 목줄을 당겨 애견의 생명을 위협함으로써, 잘못을 교정시키는데 사용하는 애견 훈련용 하네스로서 이런 목줄을 애견의 운동시 에 사용하는 것은 애견에게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애견의 건강을 위해 별도의 트레이닝 없이도 곧 바로 런닝머신에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운동할 수 있는 애견용 런닝머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람과 애완동물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사람과 애완동물이 선택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운동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트랙이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상호 이격하며 기립 배치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핸드레일을 갖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애완동물의 몸체를 지지하는 하네스 유닛과;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벨트트랙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네스 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핸드레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핸드레일의 단부에 착탈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레일을 길이 연장하는 지지바아와; 상기 지지바아에 수직하게 마련되어, 상기 하네스 유닛을 상기 벨트트랙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지지하는 행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슬롯에 의해 분할된 다수의 죠를 가지며, 상기 연결체와 지지바아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콜릿부와; 상기 콜릿부의 외주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콜릿부를 상기 연결체와 지지바아에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결체와 상기 지지바아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체의 외주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와; 상기 지지바아의 외주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연결체의 걸림부에 록킹 및 언록킹하는 다수의 볼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결체와 상기 지지바아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행거프레임은 상기 벨트트랙에 대해 상기 하네스 유닛의 장착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네스 유닛이 지지되는 다수의 장착공이 형성됨으로써, 운동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사람과 애완동물이 선택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운동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트랙(15)이 설치된 하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1)의 일측에 상호 이격하며 기립 배치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17)과, 지지프레임(17)에 부착되어 운동중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드레일(25)과, 애완동물의 몸체를 지지하는 하네스 유닛(31)과, 하네스 유닛(31)을 지지하며 핸드레일(2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51)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17)은 런닝머신의 외관 틀을 형성한다.
지지프레임(17)의 상부에는 운동자가 운동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운동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콘트롤판넬(19)이 설치되어 있다. 콘트롤판넬(19)에는 벨트트랙(15)의 속도, 운동거리, 소비 칼로리, 운동코스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고, 스타트 버튼, 스피드 제어, 급정지 등을 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버튼(21)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핸드레일(25)은 중공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핸드레일(25)의 말단부에는 캡(미도시)이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핸드레일(25)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네스 유닛(31)은, 애견(9, 도 7참조)의 앞다리가 끼워지고 애견(9)의 몸체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앞다리 끼움 하네스(33)와, 애견(9)의 몸체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복부 하네스(35)와, 앞다리 끼움 하네스(33)와 복부 하네스(35)를 분리 결합가능하게 연결하며 애견(9)의 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하네스(41)와, 앞다리 끼움 하네스(33)와 복부 하네스(35)와 하부 지지 하네스(41)를 후술할 지지유 닛(51)의 행거프레임(65)에 지지하는 고정대(45)를 가진다.
앞다리 끼움 하네스(33)와 복부 하네스(35)에는 후술할 고정대(45)의 후크(49)가 연결되는 고정링(37)과 길이조절구(39)가 부속되어 있다.
상기 하부 지지 하네스(41)는 상술한 앞다리 끼움 하네스(33)와 복부 하네스(35)가 끼움구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하부 지지 하네스(41)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앞다리 끼움 하네스(33)가 연결되는 일측 부분을 스프링 후크나 벨크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켜 상기 앞다리 끼움 하네스(33)가 끼워져 연결될 수 있게 하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 부분에는 홈(43)을 형성하여, 이 홈(43)을 통해 노출된 상기 복부 하네스(35)에 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고정대(45)는 길이조절구(47)가 부속되어 있으며, 양 끝단에는 후크(4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고정대(45)의 일단부의 후크(49)는 후술할 지지유닛(51)의 행거프레임(65)의 장착공(67)에 연결되고, 타단부의 후크(49)는 앞다리 끼움 하네스(33)와 복부 하네스(35)에 장착된 고정링(37)에 연결된다.
한편, 하네스 유닛(31)은 벨트트랙(15)으로부터 이격하도록 행거프레임(65)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유닛(51)은 애견이 벨트트랙(15) 상에 위치하도록 하네스 유닛(31)을 지지하며, 핸드레일(2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유닛(51)은, 핸드레일(25)의 단부에 착탈되는 연결체(53)와, 연결체(53)의 단부에 연결되어 핸드레일(25)을 길이 연장하는 지지바아(61)와, 지지바아(61)에 수직하게 마련되어 하네스 유닛(31)을 벨트트랙(15)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지지하는 행거프레임(65)을 가진다.
연결체(53)는 핸드레일(25)의 내주에 착탈되는 레일결합부(55)와, 핸드레 일(25)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레일결합부(55)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지지바아(61)의 단부가 결합되는 바아결합부(57)를 가진다.
지지바아(61)는 속이 빈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연결체(53)의 바아결합부(57)에 연결되어 핸드레일(25)을 길이 연장한다.
지지바아(61)의 외주에는 한 쌍의 행거프레임(65)이 지지바아(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다. 행거프레임(65)은 판형상을 가지며, 지지바아(61)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지지바아(61)에 장착되어 있다. 행거프레임(65)에는 하네스 유닛(31)이 지지되는 다수의 장착공(67)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공(67)은 행거프레임(65)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장착공(67)에는 하네스 유닛(31)의 고정대(45)에 마련된 후크(49)가 연결된다. 이에, 고정대(45)의 후크(49)를 행거프레임(65)의 장착공(67)에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운동하고자 하는 애견의 크기에 대응하여 벨트트랙(15)에 대한 하네스 유닛(31)의 장착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런닝 머신은, 연결체(53)와 지지바아(61)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콜릿부(71)와, 콜릿부(71)를 연결체(53)와 지지바아(61)에 고정하는 조임너트(75)를 가진다.
콜릿부(71)는 다수의 슬롯(71b)에 의해 분할된 다수의 죠(jaw)(71a)를 가지고, 다수의 죠(71a)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콜릿부(71)는 그 내부에 연결체(53)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공부(71c)를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나사부(71d)가 형성되어 있다.
조임너트(75)는 그 내경면에 나사부(75a)가 형성되고, 그 내경면 일부는 다수의 죠(71a)를 가압하는 테이퍼부(75b)를 가진다.
이에, 콜릿부(71)의 일단부를 지지바아(61)의 단부에 결합하고 나서, 콜릿부(71)의 타단부의 중공부(71c) 내에 연결체(53)의 바아결합부(57)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체(53)의 위치를 조절한 후, 조임너트(75)의 나사부(75a)를 콜릿부(71)의 나사부(71d)에 나사결합시키면 콜릿부(71)의 죠(71a)들은 조여져 연결체(53)는 그 삽입된 위치가 고정되며, 이에 의해 연결체(53)와 지지바아(61)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25)과 지지유닛(51)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체(53)의 외주에는 한 쌍의 걸림부(81)가 관통 형성되고, 지지바아(61)의 외주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어 연결체(53)의 걸림부(81)에 록킹 및 언록킹하는 한 쌍의 볼(85)을 가진다.
한 쌍의 볼(85)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판(87)에 형성되고, 스프링판(87)은 지지바아(61)의 외주에 형성된 관통공에 각 볼(85)이 인출입가능하도록 지지바아(61)의 내주에 장착된다.
이에, 연결체(53)의 바아결합부(57)의 내주에 지지바아(61)의 단부를 삽입한 후, 한 쌍의 볼(85)을 연결체(53)의 바아결합부(57)의 걸림부(81)에 록킹시킴으로써, 연결체(53)와 지지바아(61)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결체(53)와 지지바아(61)를 연결할 때, 운동하고자 하는 애견(9)의 몸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행거프레임(65)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한다. 즉, 일 예로 애견(9)의 등높이가 20cm 이하이면 행거프레임(65)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애견(9)의 등높이가 20cm를 초과하면 행거프레임(65)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런닝 머신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등높이가 50cm를 초과하는 대형견(9)이 런닝머신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런닝머신의 양 핸드레일(25)의 말단부에 바아결합부(57)가 핸드레일(25)로부터 돌출되도록 연결체(53)를 장착한다.
다음, 콜릿부(71)의 일단부를 지지바아(61)의 단부에 결합하고 나서, 콜릿부(71)의 타단부의 중공부(71c) 내에 연결체(53)의 바아결합부(57)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체(53)의 위치를 조절한 후, 조임너트(75)의 나사부(75a)를 콜릿부(71)의 나사부(71d)에 나사결합하여, 콜릿부(71)의 죠(71a)들을 조여 연결체(53)와 지지바아(61)를 연결한다. 이 때, 애견(9)의 등높이를 고려하여 행거프레임(65)이 상방을 향하도록 연결체(53)와 지지바아(61)를 연결한다.
이에, 한 쌍의 지지바아(61)는 핸드레일(25)의 단부에 편지지된다.
그리고, 양측 행거프레임(65)의 상호 대향하는 각 장착공(67)에 고정대(45)의 후크(49)를 연결하여 하네스를 행거프레임(65)에 지지한다. 이 때, 애견(9)의 등높이에 따라 고정대(45)의 후크(49)를 행거프레임(65)의 장착공(67)에 연결한다.
이어서, 애견(9)의 앞다리를 앞다리 끼움 하네스(33)에 끼움과 동시에 애견(9)의 몸체의 전방부를 지지시키고, 애견(9)의 몸체의 후방부를 복부 하네스(35)에 지지하고, 애견(9)의 몸체의 하부를 하부 지지 하네스(41)에 지지하여, 애견(9)을 벨트트랙(15) 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벨트트랙(15)이 회전하도록 콘트롤판넬(19)의 조작버튼(21)을 조작하면, 벨트트랙(15) 위에 위치한 애견(9)은 벨트트랙(15)의 회전속도에 따라 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애견(9)이 런닝머신을 이용한 운동에 익숙해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 유닛(31)의 복부 하네스(35)와 하부 지지 하네스(41)를 애견(9)의 몸체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애견(9)을 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의 다른 사용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행거프레임(65)이 하방을 향하도록 연결체(53)와 지지바아(61)가 연결되어 있다.
애견(9)의 몸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네스 유닛(31)에 지지되고, 하네스 유닛(31)은 행거프레임(65)에 지지된다.
이로써, 등높이가 20cm 이하인 초소형견(9)도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람이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지지유닛(51)을 핸드레일(25)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런닝머신의 핸드레일에 애완동물의 몸통을 지지하는 하네스 유닛이 연결된 지지유닛을 착탈함으로써, 사람과 애완동물이 런닝머신에서 선택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행거프레임에 하네스 유닛이 지지되는 다수의 장착공을 형성하여, 벨트트랙에 대한 하네스 유닛의 장착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운동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을 애완동물로서 개가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은 고양이 등 기타 애완동물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핸드레일과 지지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다른 실시예로서 핸드레일과 지지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부프레임 15 : 벨트트랙
17 : 지지프레임 25 : 핸드레일
31 : 하네스 유닛 33 : 앞다리 끼움 하네스
35 : 복부 하네스 41 : 하부 지지 하네스
45 : 고정대 51 : 지지유닛
53 : 연결체 61 : 지지바아
65 : 행거프레임 67 : 장착공
71 : 콜릿부 71a : 죠
71b : 슬롯 75 : 조임너트
81 : 걸림부 85 : 볼

Claims (5)

  1.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트랙이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상호 이격하며 기립 배치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핸드레일을 갖는 런닝머신에 있어서,
    애완동물의 몸체를 지지하는 하네스 유닛 및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벨트트랙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네스 유닛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핸드레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핸드레일의 단부에 착탈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레일을 길이 연장하는 지지바아 그리고 상기 지지바아에 수직하게 마련되어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벨트트랙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네스 유닛을 지지하는 행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슬롯에 의해 분할된 다수의 죠를 가지며, 상기 연결체와 지지바아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콜릿부와;
    상기 콜릿부의 외주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콜릿부를 상기 연결체와 지지바아에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의 외주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와;
    상기 지지바아의 외주에 인출입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연결체의 걸림부에 록킹 및 언록킹하는 다수의 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5.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프레임은 상기 벨트트랙에 대해 상기 하네스 유닛의 장착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네스 유닛이 지지되는 다수의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KR1020070090639A 2007-09-06 2007-09-06 런닝머신 KR100883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39A KR100883787B1 (ko) 2007-09-06 2007-09-06 런닝머신
US12/677,099 US20100326366A1 (en) 2007-09-06 2008-09-08 Tread mill
PCT/KR2008/005288 WO2009031867A1 (en) 2007-09-06 2008-09-08 Tread mill
JP2010523958A JP2010537667A (ja) 2007-09-06 2008-09-08 トレッドミ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39A KR100883787B1 (ko) 2007-09-06 2007-09-06 런닝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787B1 true KR100883787B1 (ko) 2009-02-18

Family

ID=4042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639A KR100883787B1 (ko) 2007-09-06 2007-09-06 런닝머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326366A1 (ko)
JP (1) JP2010537667A (ko)
KR (1) KR100883787B1 (ko)
WO (1) WO20090318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67B1 (ko) * 2013-01-23 2013-11-2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관절염 모델 동물
KR20190049383A (ko) * 2017-10-31 2019-05-09 황지현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8868A1 (en) * 2010-06-14 2011-12-22 Mr. Udayasankar Devanaboyina System for driving an animal powered vehicle
US20130092096A1 (en) * 2011-10-12 2013-04-18 Dog Pacer Llc Apparatus for Foldable Treadmill for Pets
JP2014221022A (ja) * 2013-05-14 2014-11-27 株式会社 久ヶ原スポーツクラブ 犬の歩行訓練装置
US9364735B2 (en) * 2013-07-12 2016-06-14 Lawrence Beane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xercise support device
US11246294B2 (en) * 2014-08-29 2022-02-15 Donald Jennings Dyson Rotatable horse lifting and supporting device
CN108883330A (zh) * 2016-02-22 2018-11-23 鹦鹉螺公司 平衡训练装置
KR101783846B1 (ko) * 2017-07-13 2017-10-10 (주)성우메디텍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US20190021288A1 (en) * 2017-07-19 2019-01-24 Hui-Pi Huang Structured exercise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training dogs
CN108478995A (zh) * 2018-03-22 2018-09-04 陈科明 基于安全才可正常运行的电动倒走机及其安全控制方法
PT110714A (pt) * 2018-04-27 2019-10-28 Arminda De Oliveira Seixas Alexandra Dispositivo de ginásio para animais, com componente terapêutica e lúdica
WO2022032138A1 (en) * 2020-08-07 2022-02-10 John Bishop Pet stroller with motor operated treadmi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7603B1 (en) * 1999-02-09 2002-02-19 H. Victor Felger Animal exercising and rehabilitation equipment
KR200344338Y1 (ko) * 2003-12-24 2004-03-10 주식회사 에이펙스 런닝머쉰용 동물운동기구
KR100521902B1 (ko) 2005-04-26 2005-10-14 박홍재 애견용 러닝훈련장치
KR100718059B1 (ko) 2006-07-12 2007-05-14 박홍재 운동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091A (en) * 1976-12-23 1978-12-19 Knudson M Theresa Animal walker
JPH0376451U (ko) * 1989-11-29 1991-07-31
US6786669B2 (en) * 2002-03-08 2004-09-07 The Boeing Company Positive lock quick release pin
DE602004019860D1 (de) * 2003-09-25 2009-04-23 Philmac Pty Ltd Befestigungsring für eine Drehkupplung für Rohrleitungen
US20070022970A1 (en) * 2005-07-29 2007-02-01 Newman Paul B Animal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hysical therapy to anim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7603B1 (en) * 1999-02-09 2002-02-19 H. Victor Felger Animal exercising and rehabilitation equipment
KR200344338Y1 (ko) * 2003-12-24 2004-03-10 주식회사 에이펙스 런닝머쉰용 동물운동기구
KR100521902B1 (ko) 2005-04-26 2005-10-14 박홍재 애견용 러닝훈련장치
KR100718059B1 (ko) 2006-07-12 2007-05-14 박홍재 운동보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67B1 (ko) * 2013-01-23 2013-11-2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관절염 모델 동물
KR20190049383A (ko) * 2017-10-31 2019-05-09 황지현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WO2019208986A1 (ko) * 2017-10-31 2019-10-31 Hwang Ji Hyun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KR102255488B1 (ko) * 2017-10-31 2021-05-24 황지현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1867A1 (en) 2009-03-12
JP2010537667A (ja) 2010-12-09
US20100326366A1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787B1 (ko) 런닝머신
US6058888A (en) Detachable harness assembly for securing animals on a treadmill
US7892150B1 (en) Combined treadmill and seat assembly for physically impaired users and associated method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5080352A (en)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JP2010504802A (ja) 多目的運動器具
US20080146423A1 (en) Portable exercise pole and method of use
EP2719426A2 (en) Stretching device
US20110319236A1 (en) Exercise device for abdominal and other core muscles
US20090054210A1 (en) Station for Gymnastics in Water
KR100521902B1 (ko) 애견용 러닝훈련장치
US9314389B2 (en) Therapeutic integrator apparatus
JP2008264249A (ja) トレーニング板及びそのトレーニング板を備えたトレーニング器具
KR20020025307A (ko) 전신 운동기구
KR101152152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보조용구
CN201431737Y (zh) 一种运动健身器
CN112190883A (zh) 一种用于引体向上训练的组装式训练架及安装方式
JP2009112216A (ja) 小動物用水中トレッドミル構造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KR200434032Y1 (ko) 전신 운동 기구
KR200357168Y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CN206852999U (zh) 老年人医疗健身器械
TWM568590U (zh) Synchronized treadmill with people and pets
KR200298836Y1 (ko) 흔들의자가 결합된 실내운동용 자전거 장치
CN213031764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