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630B1 -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630B1
KR101837630B1 KR1020160088460A KR20160088460A KR101837630B1 KR 101837630 B1 KR101837630 B1 KR 101837630B1 KR 1020160088460 A KR1020160088460 A KR 1020160088460A KR 20160088460 A KR20160088460 A KR 20160088460A KR 101837630 B1 KR101837630 B1 KR 101837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rotation
anim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446A (ko
Inventor
김태문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문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문,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문
Priority to KR102016008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6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써, 본체부; 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이 마감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동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을 개방하는 도어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측정하여 회전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외부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물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CO2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동물의 맥박을 측정하여 맥박정보를 생성하는 맥박센서;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회전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면에 장애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마찰층이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는, 투명재질로 마련되고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동물의 생체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회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물의 운동에 대한 정보인 운동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CO2량과 상기 맥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물의 운동시 동물이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에 의해서, 동물을 보다 안전하게 산책, 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런닝머신{RUNNING EXERCISER FOR A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이 수용되는 본체부에 도어부를 설치하여 동물을 보다 안전하게 산책, 운동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증대됨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한 여러 편의 장치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4388호는 런닝머쉰용 동물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4388호에서 개시되는 런닝머쉰용 동물운동기구는 런닝머쉰(10)에 가이드레일(21)을 설치하고, 동물의 목에 착용되는 목걸이(28)가 가이드레일(21)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동물의 목에 목걸이(28)가 채워진 상태에서 런닝머쉰(10) 위에서 운동할 수 있게 고안된 기술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동물의 운동시, 목걸이에 의해서 동물의 목이 압박을 받아 동물의 건강에 오히려 해가 될 수 있고, 동물의 목이 목걸이에서 이탈되어 동물이 런닝머쉰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경우, 몸체와 벨트 사이에 동물의 다리가 개재되는 등의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동물이 수용되는 본체부에 도어부를 설치하여 동물을 보다 안전하게 산책, 운동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부; 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이 마감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동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을 개방하는 도어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측정하여 회전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외부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물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CO2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동물의 맥박을 측정하여 맥박정보를 생성하는 맥박센서;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회전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면에 장애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마찰층이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는, 투명재질로 마련되고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동물의 생체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회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물의 운동에 대한 정보인 운동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CO2량과 상기 맥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센서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본체부에 각각 설치되며, 자성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동물의 운동시 동물이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에 의해서, 동물을 보다 안전하게 산책, 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본체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회전부와 구동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구성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회전부와 센서부와 통신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본체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회전부와 구동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구성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회전부와 센서부와 통신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100)는 본체부(110)와 회전부(120)와 구동부(130)와 도어부(140)와 제어부(150)와 센서부(160)와 통신부(17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후술하는 회전부(120)와 구동부(130)와 도어부(140)와 센서부(160)와 통신부(17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회전부(120)는 상술한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이러한 회전부(120)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는데, 후술하는 구동부(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수용공간(S)에 수용되는 동물이 운동할 수 있게 한다.
회전부(120)의 바깥쪽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기어가 형성되며, 이러한 기어는 구동부(130)의 구동기어(132)에 맞물린다. 따라서, 구동부(130)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부(120)가 회전된다. 그러나, 회전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어 타입에 의해 구동부(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밸트, 체인 타입 등 구동부(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회전부(120)의 안쪽 외면에는 장애모듈(120a)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애모듈(120a)에 따르면, 동물의 운동시 동물의 운동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부(120)의 안쪽 외면에는 동물의 운동시 발바닥 면의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마찰층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층은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매트, 인조잔디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부(120)의 안쪽 외면에는 맥박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맥박센서에 의해서, 수용공간(S)에 수용되는 동물의 맥박이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고, 이러한 맥박센서에 의한 맥박정보는 제어부(150)를 통해 표시부(110b)에 표시될 수 있고, 통신부(170)를 통해 외부 단말기(18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120)가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회전부(120)와 본체부(110)의 사이에는 동물이 응시할 수 있는 화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부(미도시)는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연결되어 동물이 좋아하는 음식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상술한 회전부(120)에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본체부(110)에 설치되며, 모터(131)와 구동기어(132)를 포함한다.
모터(131)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써, 구동기어(132)가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모터(131)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또는 서보모터(Servo Motor) 등 수치제어가 가능한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131)는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기어(132)는 모터(131)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회전부(120)에 형성된 기어에 맞물리게 결합 된다.
도어부(140)는 수용공간(S)의 일측면이 마감되도록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동물이 수용공간(S)으로 인입되거나 동물이 수용공간(S)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의 일측면을 개방한다.
이러한 도어부(140)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원통형의 본체부(110)의 양 개구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부(140)는 수용공간(S)에 수용된 동물의 심리의 안정을 위해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부(140)는 도어부(140)의 개방, 폐쇄가 단말기(180)에 의해서 제어,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부(140)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에 의해서, 수용공간(S)에 수용된 동물의 울음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거나 외부의 사용자의 음성이 수용공간(S)으로 전달됨으로써, 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동물의 심리적 안정이 도모될 수 있고, 동물의 심리적 상태가 외부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부(140)에 의하면, 동물이 수용공간(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에, 동물의 안전한 운동이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150)는 구동부(130)와 도어부(140)와 후술하는 센서부(160)와 통신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써, 구동부(130)와 도어부(140)를 제어하며, 센서부(160)와 통신부(170)로부터 정보를 주고 받는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 Micro Controller Unit)으로 마련되어 각종 정보의 연산, 가공 등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본체부(110)에 부착된 조작반(110a)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구동부(130)와 도어부(140)를 제어하며, 외부의 단말기(180)로부터 통신부(170)를 거쳐 전달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구동부(130)와 도어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센서부(160)로부터 회전정보를 전달받아 본체부(110)에 부착된 표시부(110b)에 표시하며, 통신부(170)의 통신연결 상태 등을 확인,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에는 본체부(110)에 설치된 조작반(110a) 또는 외부 단말기(180)를 통해 수용되는 동물의 체중, 나이 등의 생체정보를 입력받고 후술하는 센서부(160)로부터 회전정보가 입력받아 수용공간(S)에 수용된 동물의 운동량, 칼로리 소모량 등을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운동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운동정보는 본체부(110)에 설치된 표시부(110b)에 표시되며, 후술하는 통신부(170)로 전달되어 외부 단말기(180)로 전송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부(110)에는 수용공간(S)의 CO2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150)는 측정센서로부터 수용공간(S)의 CO2량에 대한 정보와 상술한 맥박센서로부터 맥박정보를 전달받아 수용공간(S)에 수용된 동물이 과도하게 운동 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모터(131)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다.
센서부(160)는 회전부(120)의 회전량을 측정하여 회전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회전부(120)에 설치되는 자성부(161)와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자성확인부(162)를 포함한다.
자성부(161)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회전부(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써, 자성체로 마련된다.
자성확인부(162)는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자성부(161)에 마주되도록 설치된다. 회전부(120)가 회전하면, 회전부(120)에 설치된 자성부(161)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자성부(161)가 자성확인부(162)가 설치된 지역을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성확인부(162)는 기설정된 시간에 몇개의 자성부(161)가 통과하였는지를 연산하여 회전부(120)의 회전량을 측정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회전정보는 후술하는 통신부(170)로 전달된다.
이러한 자성부(161)와 자성확인부(162)를 포함하는 센서부(160)에 따르면, 회전부(120)의 회전량을 통해 수용공간(S)에 수용된 동물의 주행거리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회전부(120)의 상태를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회전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며, 제어부(150)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외부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것으로써, 센서부(160)와 제어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통신부(170)는 외부 단말기(180)와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 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통신부(170)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체부(110)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회전부(120)의 회전량, 도어부(140), 모터(131)의 제어상태 등이 사용자에게 모니터링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부(140), 모터(131)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어 제품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와 회전부(120)와 구동부(130)와 도어부(140)와 제어부(150)와 센서부(160)와 통신부(17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100)에 따르면, 동물의 운동시 동물이 본체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에 의해서, 동물을 보다 안전하게 산책, 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110 : 본체부
110a : 조작반
110b : 표시부
120 : 회전부
120a : 장애모듈
130 : 구동부
131 : 모터
132 : 구동기어
140 : 도어부
150 : 제어부
160 : 센서부
161 : 자성부
162 : 자성확인부
170 : 통신부
180 : 단말기
S : 수용공간

Claims (5)

  1. 본체부;
    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이 마감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동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을 개방하는 도어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측정하여 회전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외부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물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CO2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동물의 맥박을 측정하여 맥박정보를 생성하는 맥박센서;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회전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면에 장애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마찰층이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는,
    투명재질로 마련되고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동물의 생체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회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물의 운동에 대한 정보인 운동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CO2량과 상기 맥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본체부에 각각 설치되며, 자성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5. 삭제
KR1020160088460A 2016-07-13 2016-07-13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KR101837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60A KR101837630B1 (ko) 2016-07-13 2016-07-13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60A KR101837630B1 (ko) 2016-07-13 2016-07-13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446A KR20180007446A (ko) 2018-01-23
KR101837630B1 true KR101837630B1 (ko) 2018-03-12

Family

ID=6107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460A KR101837630B1 (ko) 2016-07-13 2016-07-13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6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383A (ko) 2017-10-31 2019-05-09 황지현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KR20190131165A (ko) 2018-05-16 2019-11-2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자동 속도 조절형 스마트 펫 트레드밀
KR20210061082A (ko) 2019-11-19 2021-05-27 김수현 애완동물의 수중겸용 러닝머신
WO2021113221A1 (en) * 2019-12-02 2021-06-10 The Animal Doctor, Ltd. Combined human and pet wellness facility
KR20210090025A (ko) 2020-01-09 2021-07-19 김수현 애완동물의 수중겸용 러닝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333B1 (ko) * 2018-09-13 2020-03-19 김대용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WO2019189973A1 (ko) * 2018-03-28 2019-10-03 한국코스믹라운드(주)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KR101988519B1 (ko) * 2019-02-15 2019-06-12 한국코스믹라운드(주)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KR200491245Y1 (ko) * 2019-05-02 2020-04-24 한국코스믹라운드(주)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KR102162078B1 (ko) * 2020-01-17 2020-10-06 김대용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KR102401835B1 (ko) * 2020-02-05 2022-05-25 강정수 반려동물용 휠 운동 장치
KR102162098B1 (ko) * 2020-02-12 2020-10-06 김대용 시선유도부를 갖는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825A (ja) * 2004-11-09 2006-05-25 Toshiba Corp ペットランナ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825A (ja) * 2004-11-09 2006-05-25 Toshiba Corp ペットランナ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383A (ko) 2017-10-31 2019-05-09 황지현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KR20190131165A (ko) 2018-05-16 2019-11-26 한국코스믹라운드(주) 자동 속도 조절형 스마트 펫 트레드밀
KR20210061082A (ko) 2019-11-19 2021-05-27 김수현 애완동물의 수중겸용 러닝머신
WO2021113221A1 (en) * 2019-12-02 2021-06-10 The Animal Doctor, Ltd. Combined human and pet wellness facility
KR20210090025A (ko) 2020-01-09 2021-07-19 김수현 애완동물의 수중겸용 러닝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446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630B1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TWI648081B (zh) 跑步機中的拉繩阻力機構
US20200289889A1 (en) Bendable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joint extension and flexion
BR112015017455B1 (pt) Sistema de elevação de controle de movimento
US9586091B2 (en) Remote adaptive motor resistance training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DE102014019719B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Person durch taktile Reize
US9144709B2 (en) Adaptive motor resistance video gam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3747950A (zh) 用于锻炼或康复设备的系统、方法和装置
US20120190502A1 (en) Adaptive exercise profi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0573218A (zh) 个人治疗和健身监测及监督设备、系统及相关方法
ITPD20060413A1 (it) Apparecchiatura per l'addestramento e l'allenamento motorio del corpo umano
KR101361117B1 (ko) 생체정보 획득을 통한 운동관리 줄넘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방법
US202300623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ed neurological therapy using brainwave entrainment
CN103638648A (zh) 一种跑步机
US116127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ed neurological therapy using brainwave entrainment with passive treatment
Alves et al. Serious games strategies with cable-driven robots for bimanual rehabilit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post-stroke patients
WO20172124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ofitting rehabilitation apparatuses
CN204092925U (zh) 一种新型多功能跳绳机
US20170087437A1 (en) Exercising pacing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on
KR20230074230A (ko) 지능형 개구 재활 장치
WO2022020090A1 (en) Wearable compression device
JP6777943B2 (ja) 歩行訓練装置
KR100503623B1 (ko) 전동식 줄넘기 운동기구
US202400011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ed neurological therapy using brainwave entrainment with passive treatment
CN213852922U (zh) 一种智能划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