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598A -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598A
KR20170016598A KR1020150109885A KR20150109885A KR20170016598A KR 20170016598 A KR20170016598 A KR 20170016598A KR 1020150109885 A KR1020150109885 A KR 1020150109885A KR 20150109885 A KR20150109885 A KR 20150109885A KR 20170016598 A KR20170016598 A KR 20170016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ortion
unit
user terminal
wir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훈
Original Assignee
곽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상훈 filed Critical 곽상훈
Priority to KR102015010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6598A/ko
Priority to PCT/KR2016/008568 priority patent/WO2017023116A1/ko
Publication of KR2017001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9Electric or similar shock devices, e.g. p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에 결속하는 견인줄을 개선하여 적극적인 활동범위 제한이나 훈육이 가능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단말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본체부 및 반려동물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신축부에서 수축 또는 이완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이용자단말에 의한 제어입력의 수신 또는 조임조건의 만족시 와이어부를 수축하여 반려동물의 신체를 조이도록 긴장구동함으로써 행동을 제약하거나 훈련학습을 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REMOTE CONTROLLABLE TRAINING DEVICE OF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견인줄과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에 결속하는 견인줄을 개선하여 적극적인 활동범위 제한이나 훈육이 가능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삶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증가추세에 있고, 최근에는 그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천만 명을 넘어서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반려동물 수가 증가됨에 따라 최근에는 법령을 통하여 인식표와 목줄을 착용토록 하고 배설물의 처리 또한 강제하고 있는데, 반려동물에 의한 사회적인 문제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을 키우고 외출을 함에 있어서 목줄은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양단에 손잡이와 목줄을 결합하는 끈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행동을 제약하고 일정한 장소에 결속하여 놓거나 이동중에는 도망치거나 타인에게 위협을 가하는 것을 제재하도록 사용된다.
공개특허 특2003-0078055는 종래기술의 애완동물용 견인줄을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견인줄을 도시한다.
일반적인 형태의 로프(10)가 일정길이로 구비되고, 로프(10)의 일측 끝단에는 손목에 걸 수 있는 형태의 손잡이(20)를 구비하여 체결구(30)에 의해 상기 로프(10)와 일체로 체결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손잡이의 타측은 바로 애완동물의 목에 장착되거나 목줄에 결속될 수 있는 후크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목줄과 견인줄을 이용하여 동물을 묶어두거나 이동할 때 갑작스러운 운동으로 목줄이 당겨지는 경우 그 충격이 이용자와 반려동물에 동시에 전달되어 심한 경우 상해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견인줄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이 자유롭게 활동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반려동물도 인간과 교감하면서 생활을 함께하기 때문에 목줄로 인하여 과도한 구속을 받는 경우 거동에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훈육에 있어서도 부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용자가 안심감 있게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이 가능하도록 원격제어하고 경고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춤으로써 생활에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훈육의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용자단말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본체부 및 반려동물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신축부에서 수축 또는 이완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이용자단말에 의한 제어입력의 수신 또는 조임조건의 만족시 와이어부를 수축하여 반려동물의 신체를 조이도록 긴장구동함으로써 행동을 제약하거나 훈련학습을 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훈육이 가능하다.
본체부 및 이용자단말을 연결하며 전력라인을 구비하는 로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이용자단말의 입력신호를 전파신호로서 제공받는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신호를 통하여 제어가 수행되므로 반려동물의 자유도와 활동범위 및 제어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와이어부는,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연결되며 상호간에 단부측에서 결속되는 제1와이어부 및 제2와이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와이어부 및 제2와이어부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본체부에 구비되는 신축부에 의하여 수축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2실시예로서 상기 신축부는, 구동부에 연결되는 피니언부와,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며 제1와이어부 및 제2와이어부 중의 하나 이상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래크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로서 상기 신축부는, 구동부에 연결되는 웜기어와, 복수의 치로 이루어지는 웜휠부로 이루어지고, 와이어부로부터의 장력은 구동부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되므로 내구성과 작동신뢰성이 향상된다.
제4실시예로서 상기 와이어부는 양측에 구비되는 연결부와의 접촉부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는 외측와이어부와 내측와이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부는 외측와이어부를 내측와이어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연결부 측에서 내측와이어부를 외주측으로 이동시켜 내측와이어부의 내주면에서 조임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이용자 단말의 제어입력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신축부에서 와이어부의 수축 또는 이완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구동판단부와, 신축부에 대한 구동력의 제공시 부하를 판단하여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검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판단부는, 장력검출부에서 검출된 측정장력이 설정장력보다 큰 경우 긴장구동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판단부는, 설정시간보다 조임이 지속되는 긴장시간 또는 신축이 지속되는 신축시간이 더 큰 경우 이완구동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이용자단말의 위치 또는 기준위치로부터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판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보부는 상기 거리판단부에서 설정거리보다 측정거리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는, 종래에 단순히 목줄을 당기거나 음성으로 경고함에서 나아가 반려동물에 대한 목줄과 같은 장착구에 대한 조임 및 해제를 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과 이용자의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적절하게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며, 위험상황에 효율적인 제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범위가 한정된 유선 로프 방식을 벗어나 이용자단말과 장착기구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에서 자유로운 반려동물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활동의 자유가 비약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면서 안전사고의 위험 또한 저감될 수 있고, 자동적인 알고리즘을 통하여 소정의 조건 만족시 긴장상태를 해제하거나, 수축상태를 해제하거나, 경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판단착오나 제어 불가능한 상태를 극복하여 더욱 안전한 반려동물과의 생활의 공유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견인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에서 신축구동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에서 신축구동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에서 제어 및 통신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착기구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착기구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착기구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착기구의 제어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반려동물에 장착되고 이용자단말과 이용자단말에 의한 입력신호 또는 조임조건의 만족시 조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행동을 제약하거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반려동물이란,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이 인류의 생활을 같이 하는 다양한 동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포유류, 조류, 파충류 또는 곤충 등의 다양한 종의 생명체들도 이용자와 함께 생활이 가능한 경우 본 발명의 반려동물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의 도시사항들에서는 목줄에 대한 실시예를 기본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몸통에 착용되는 와이어, 의류, 양말, 발찌 등의 다양한 장착형태도 본 발명의 장착된다는 개념에 해당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장착기구(200)는 반려동물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목줄의 형태는 물론 다양한 부위에 결속 또는 부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기본적으로 이용자단말(100)의 제어입력에 의하여 장착기구(200)가 조임신호 등을 수신하고 소정의 구동부를 통하여 목줄의 조임과 같은 조임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다만, 이용자단말(100)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고 하더라도 소정의 조임조건의 만족시 자동적으로 조임, 이완 또는 신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용자단말(100)은 장착기구(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소정의 컨트롤러(Controller)일 수 있는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과 같이 소정의 알고리즘 형태의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장착기구(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이콤을 구비하는 장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용자단말(100)은 장착기구(200)와 연결부(101)에 의하여 연결되며, 따라서 상기 연결부(101)는 유선의 로프 내지는 무선신호일 수 있다.
이때, 연결부(101)가 유선의 로프로 구성된다면 장착기구(200)는 로프연결부와 신호의 입출력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로프에는 제어입력의 송신이 가능한 전력라인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로서 연결부(101)가 구성되는 경우 이용자단말(100)과 장착기구(200)의 연결은 802.11 무선 LAN, GSM, UMTS 등의 무선링크 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RF신호를 이용한 송수신방식은 물론, RFID, NFC,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IR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방식도 무선연결의 형태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장착기구(200)의 전력저장성과 휴대성을 고려하여 블루투스 프로토콜 중에서 전력의 BLE(Bluetooth Low Energy)는 대략 50m 정도까지의 거리의 커버리지를 가지며 위치의 결정 및 신호의 수신에서 본 발명의 적용에 유용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무선 또는 유선의 방식을 통하여 원격으로 장착기구(200)에 조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물리적 압박감을 느끼도록 함으로써 행동의 제한이 가능한데, 종래에 단순히 소리나 로프를 당기는 방식으로 행동을 제약하거나 훈련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특정 조건의 만족시 조임 기능의 제공을 통하여 능동적인 소정 활동조건의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물론 반려동물의 피로도가 낮음에 비하여 행동반경의 제약이나 훈련에 있어서 그 효율성이 비약적으로 증대되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만, 과도한 조임이 발생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신체상해나 고통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해제조건의 만족시 긴장상태를 해제하거나 반복적 또는 간헐적인 신축동작을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목줄 형태의 탈착이 가능한 장착기구(200)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링 형태로 목이나 몸체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장착기구(200)가 본체부(300)와, 본체부(300)에 의하여 신축동작이 수행되는 와이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부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부(210) 및 제2와이어부(2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단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와이어부(210) 및 제2와이어부(220)는 반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조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소한 어느 하나 이상의 본체부(300)에 의하여 신축작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념에 따라 본체부(30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신축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와이어부(210)와 제2와이어부(220)는 상호 간에 결속되어 신체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부(23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체결부(230)는 예를 들어 후크와 같은 체결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나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의하여 의도치 않게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면 다양한 형태의 체결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와이어부(210)와 제2와이어부(220)의 결속시 신체의 부위에 따라 길이조정이 가능한 길이조정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이 강한 압박력을 상황에 따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길이조정이란 반려동물에 장착되어 임의적인 탈거가 방지될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상기 와이어부(210, 220)은 동물의 털이나 피부에 직접 접촉할 뿐만 아니라 조임 기능에 의한 압박력 제공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기 때문에 비교적 부드럽고 탄력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러한 재질이 최소한 내주측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질로써 실리콘, 고무 또는 섬유가 고려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체부(300)는 원주방향의 임의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장력제공의 효율성과 이용자에 의한 유지관리의 관계를 고려하여 대략 제1와이어부(210)와 제2와이어부(220)를 펼쳤을 때 대략 길이방향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300)는 이용자단말(100)로부터의 제어입력을 수신하거나,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조임조건을 판단하여 신축부(310)의 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및통신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및통신부(330)에서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의 제어입력을 수신하는 통신부가 소정의 통신프로토콜을 구비한 모듈형태로서 개별 또는 일체로서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및통신부(330)는 제어 및 통신 알고리즘의 동작과 구동부(320)의 구동동력의 제공을 위하여 전력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저장부는 2차전지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기구(200)와 이용자단말(100)이 유선의 로프 형태로 연결되는 경우 조임 기능에 부가하여 로프의 장력에 의한 행동의 제어도 가능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부(300)에는 로프의 연결을 위한 로프연결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기계적인 연결성만을 고려하면 로프는 제1와이어부(210) 또는 제2와이어부(2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용자단말(100)에 의한 제어입력의 신호가 소정의 전력라인을 통하여 제어및통신부(330)로 입력될 수 있도록 로프연결부(240)는 본체부(3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프연결부(240)는 전력라인의 입력을 위한 단자부(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부(320)가 제1와이어부(210)를 본체부(300) 내부의 일측에서 권취하는 형태로 조임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가 나타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구동부(320)는 제1와이어부(210) 및 제2와이어부(220)를 함께 권취하거나 수축하는 등의 조임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권취되는 형태의 경우 상기 신축부(310)는 권취부로서 소정의 권취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부(31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에서 신축구동의 제2 및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된 제1실시예에서는 와이어부가 구동부(320)에 의하여 권취되는 형태를 나타냈다. 이 경우 동력제공의 효율성은 있으나 공간적인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2, 3실시예에서는 이를 더욱 개선한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신축부(310)에 대한 제2 및 제3실시예에서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320)의 회전동력을 와이어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320)는 회전축에 결합되는 피니언부(321)를 포함하고, 제1와이어부(210) 및/또는 제2와이어부(220)는 상기 피니언부(321)에 치합될 수 있는 치가 배열되는 래크(211, 2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에 형성되는 래크는 피니언부(321)가 배열되는 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치로서 형성되며, 이러한 래크(211, 221)가 제1와이어부(210) 및/또는 제2와이어부(220)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피니언부(321)의 회전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 또는 링형태의 반경을 줄이는 방향으로 수축 구동을 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부(321)와 래크(211, 221)의 치의 형상, 크기 및 피치는 다양한 구동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선택적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320)가 회전축에 결합되는 웜기어(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부(210) 및/또는 제2와이어부(220)가 웜휠부(212, 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웜기어(322)의 경우 회전동력을 와이어부의 직선이동 동력으로 전환하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나 구동부(320)로부터 와이어부로 일방향의 힘을 전달하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수축되는 구동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게 와이어부에서 전체적으로 조임력이 이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구동부(320)를 이루는 모터의 부하 저감 및 내구성에 있어서도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된 제2 및 제3실시예들의 경우 제1와이어부(210)와 제2와이어부(220)의 선택된 어느 하나에만 수축 또는 이완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모두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작동의 효율성을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에서 신축구동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신축구동에 있어서의 작동신뢰성이 더욱 높은 구조로서, 이중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반려동물의 신체를 일부를 감싸는 링 형태로서 그 일부 또는 전부에 와이어부가 내측 및 외측으로 분리되어 구동부(320)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면서 조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장착기구(200)의 신축구동기구는 외측와이어부(225)와, 외측와이어부(225)의 내주측에 인접 배치되는 내측와이어부(215)와, 외측와이어부(225) 및 내측와이어부(215)와의 접촉부위가 가변될 수 있는 연결부(326)와, 본체부를 구성하며 내측와이어부(215)와 외측와이어부(225)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구동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내측와이어부(215)와 외측와이어부(225)는 최소한 어느 일측에서 연결된 부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부(320)의 작동에 의하여 외측와이어부(225)가 외주방향으로 이격되면 연결부(326) 측에서 내측와이어부(215)를 구성하였던 길이의 일부가 외측와이어부(225)를 구성하면서 조임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외측와이어부(225)와 내측와이어부(215)가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연결부(326)가 구비되어 양단측에서 와이어부의 일부가 내주 및 외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26)는 롤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부와의 접촉부위가 가변되면서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26)의 위치는 외측와이어부(225) 및 내측와이어부(215)를 구성하는 띠의 소요되는 길이에 따라 선택적일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구동부(320)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이룰 때 대략 이에 90도 방향으로 양측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26)의 위치는 구동부(320) 측으로 더 인접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체결부재(23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측와이어부(215) 및 외측와이어부(225)가 전방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반경이 가변되지 않는 제1와이어부(210) 및 제2와이어부(220)와 연결부(326)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는 제1와이어부(210) 및 제2와이어부(220)의 단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부(210) 또는 제2와이어부(220)의 초기 길이의 조정을 위하여 길이조정부(340)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조정부(340)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와이어부(215)와 외측와이어부(225)는 상호간에 연결부(326) 측에서 연결된 상태로 상호간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내측와이어부(215)의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조임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320)는 이격부재를 구비하여 내측와이어부(215)와 외측와이어부(225)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격부재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325)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325)는 외측와이어부(225)를 외주측으로 이격시키면서 연결부(326) 측에서 내측와이어부(215)의 양단측을 외측와이어부(225)로 이동시킨다. 일예시로서, 상기 스크류(325)는 구동부(320)의 모터에 연결되고 회전운동하고, 일단측이 내측와이어부(215)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외주면이 외측와이어부(225)에 형성되는 너트부(미도시)에 나삽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에서 제어 및 통신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상기된 제어및통신부(330)는 이용자단말(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통신부(331)를 구비하고, 경우에 따라 상기 통신부(331)는 이용자단말(100)과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아닌 소정의 서버나 중계망을 통하거나 이에 대한 정보의 도달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방식과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소정의 서버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경우 후술될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행동정보나 경보에 따른 장착기구(2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관리될 수 있고, 이용자단말(100)에 의하여 사후적으로 이전의 데이터가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31)는 기본적으로 이용자단말(100)의 제어입력을 수신하여 구동판단부(332)에서 와이어부의 수축 또는 이완 동작의 여부가 판단되면 경보부(335)를 통하여 구동부(3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경보부(335)는, 기본적으로 와이어부의 신축을 위한 동작으로서 경보를 반려동물에 제공하나, 본 발명의 장착기구(200)가 조임 기능과 함께 부가적으로 음향이나 발광을 통하여 경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경보부(335)가 조임, 음향발생, 광발생 등의 방식을 통하여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335)는 구동부(320)에 의한 신축부(310)의 동작 또는 이용자단말에 의한 호출시 경보음발생수단이나 발광수단을 통하여 제3자 또는 반려동물에 경보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경보를 위하여 본체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공지의 경보음발생수단과 발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조임 기능과 함께 경보음이나 발광을 통하여 경보를 제공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훈련에 있어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신축부(310) 또는 구동부(320) 측에는 와이어부에 제공되는 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장력검출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제어및통신부(330)는 이러한 장력검출신호를 통하여 신축 작동의 정도나 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장력검출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단말(100)의 조임 제어입력에 의하여 통신부(331)가 이를 수신하고 구동부(320)에 조임신호를 송신하여 와이어부에 조임이 발생하고 지속적으로 그 조임이 가중되는 경우 반려동물의 상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조임의 길이를 미리 설정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목둘레의 차이나 이물의 유입 등의 조건을 무시하고 일률적으로 조임의 정도를 설정하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와이어부에서 제공하는 장력을 능동적으로 판단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력검출부(333)는 와이어부에서의 장력의 증가를 감지하여 구동판단부(332)에서 추가적인 구동여부 또는 이완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장력검출수단은 와이어부, 신축부(310) 또는 구동부(320) 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구동부(320)가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모터측에서 부하를 감지함으로써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장력검출수단의 일실시예로서 구동부(320)는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 감지를 위한 엔코더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엔코더는 조임이 계속됨에 따라 예를 들어, 목줄의 조임시 목에 제공되는 압박력에 대응되는 반발력에 의하여 회전저항이 발생되고 이러한 회전저항이 회전속도의 저하로 이어지게 됨을 감지하여 이를 통하여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장력검출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부(320)에 연결되는 전력검출수단일 수 있고, 이 경우 모터의 부하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부하량을 계산함으로써 장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검출수단은 제어및통신부(3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된 실시예들 이외에 다양한 장력검출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용자단말(100)의 제어입력시 조임 기능의 개시 이후 조임의 정도를 어느 정도까지 유지할지, 어느 시점부터 이완을 시킬지, 신축동작을 반복할지 또는 신축의 간격을 어떻게 지속할지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구동판단부(332)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판단부(332)는 제어입력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소정의 조임조건의 충족시 자동적으로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임조건은 예를 들면, 이용자단말(100)과의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경우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용자단말(100)과 장착기구(200)의 거리의 판단을 위하여 거리판단부(334)가 제어및통신부(330)에 더 구비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이는 통신 가능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판단부(334)는 설정된 위치로부터 GPS 신호를 통한 절대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체부(300)는 GPS모듈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판단부(334)는 이용자단말(100)에 구비되는 GPS모듈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경우 내부에 GPS모듈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고 이용자단말(100)의 위치와 장착기구(200)의 위치를 위성을 통하여 추적하는 경우 상대적인 거리의 가늠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상용화된 GPS모듈의 경우 위치의 오차가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거리판단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이용자단말(100)과 장착기구(200) 사이의 수신 전파 강도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GPS모듈은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판단된 이용자단말(100)로부터의 거리 또는 설정된 기준위치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여 구동판단부(332)로 데이터로서 송신하고, 구동판단부(332)는 소정의 통신가능범위나 제한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반려동물이 경고신호인 조임이나 경보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구동부(320) 등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및통신부(330)는 추가적으로, 반려동물의 운동량 측정을 위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심박센서, 혈류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렇게 측정된 운동량에 대한 정보는 이용자단말(100)에 송신되어 누적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된 구성에 따라 장착기구에 의한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착기구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이용자단말(100)로부터의 제어입력에 의하여 제어및통신부(330)가 작동되는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용자단말(100)은 터치 또는 버튼 입력에 의하여 제어명령이 입력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컨트롤러일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용자단말(100)에 의하여 조임에 대한 명령이 입력(S100)되면, 제어및통신부(330)의 통신부(331)는 이를 수신하고 경보부(335)를 통하여 구동부(320)를 구동하고 신축부(310)에 대해 긴장 구동을 개시(S2100)하도록 한다.
긴장구동은 소정의 시간 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려동물의 상태나 환경에 따라 상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력에 대한 판단이 수행되고 이에 따라 장력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궤환적으로 장력판단단계(S220)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력판단은 장력검출수단의 검지신호에 따라 장력검출부(333)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장력검출부(333)에서 도출된 측정장력(t1)은 설정장력(ts)과의 대비를 통하여 기준값 이상의 장력이 가해져 있는지, 즉 수축이 과도하게 이루어졌는지 판단된다. 따라서, 측정장력(t1)이 설정장력(ts) 이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긴장구동은 정지(S230)될 수 있다.
상기 긴장구동의 정지(S230)는 이완구동을 위한 구동부(320)의 작동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긴장구동이 정지되어 수축동작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는 조건에서, 소정의 경과시간에 대한 판단단계(S300)를 더 거칠 수 있으며, 이러한 경과시간의 판단은 구동판단부(33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측정된 긴장시간(m1)이 설정시간(ms)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이완구동(S400)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 상기 장력판단(S220)에서는 궤환적으로 구동부(320)의 작동을 지속하는 상태에서 작동의 중지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며, 경과시간 판단에서는 궤환적으로 구동부(320)의 작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조임상태를 유지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이점을 가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 장력판단과 경과시간 판단은 그 순서가 치환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착기구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는 신축동작의 개념을 제공한다.
단순한 긴장상태의 증가 및 이완은 반려동물에게 어떠한 제어나 제재를 가한다는 점에서 자극의 정도가 약할 수 있다. 즉, 감각은 적응하기 때문에 일정한 정도의 조임이나 일정한 가속도의 조임의 증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보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도 있고, 이를 고려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진동 형태를 조임과 이완의 형태로서 제공하여 보다 적극적인 자극을 주는 개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이용자단말(100)을 통하여 제어입력인 신축명령이 입력(S110)되면 구동부(320)에서는 구동판단부(332)의 출력신호에 따라 신축구동을 개시(S240)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구동은 구동부(320)에서 와이어부의 수축과 이완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소정의 설정장력에 대한 측정장력의 대비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정도가 작다는 점에서 경과시간의 판단(S250)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경과시간의 판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시간(ms)에 대하여 신축시간(m1)이 더 큰지를 판단하고 이를 충족하는 경우 신축 구동을 정지(S260)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예들은 이용자단말(100)의 제어입력에 따라 장착기구(200)가 구동되는 경우로서, 이용자단말(100)과 장착기구(200)가 무선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반려동물이 제어 가능 범위를 이탈한 경우 원격제어가 불가능한 문제를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착기구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기된 문제를 고려하여, 구동판단부(332)는 소정의 거리판단(S500)을 통하여 제어 가능범위 또는 설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자동적으로 신축 또는 긴장 구동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거리판단(S500)은 상시적으로 가동되며, 제어및통신부(330)는 이용자단말(100)에 의한 입력을 대기(S120)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구동판단부(332)는 조임조건을 만족하는 이용자단말(100)로부터의 제어입력이나 거리판단의 판단결과에 따라 긴장 또는 신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거리(d1)가 설정거리(d0)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구동판단부(332)는 구동부(320)를 동작하도록 하여 긴장 또는 신축동작의 경보가 발생하도록 한다. 여기서, 경보란 와이어부를 통한 긴장, 신축, 음향발생, 광발생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거리란, 거리판단부(334)에서 이용자단말(100)과의 거리를 의미할 수도 있고, 소정의 설정된 절대위치로부터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거리판단을 위하여 GPS를 통한 위치판단 또는 전파강도의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를 통한 경보가 제공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이용자단말(100) 측에도 음향, 시각 또는 촉각을 통한 경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착기구의 제어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기준위치를 이용자단말(100)의 위치로 결정한 경우, 설정거리(d0)는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원형 범위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측정거리(d1)이 설정거리(d0)를 벗어나는 경우 장착기구(200)는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반려동물을 제압하거나 반려동물에 대한 경고를 제공한다.
상기된 각각의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 또는 그 구성에 치환되거나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는, 종래에 단순히 목줄을 당기거나 음성으로 경고함에서 나아가 반려동물에 대한 목줄과 같은 장착구에 대한 조임 및 해제를 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과 이용자의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적절하게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며, 위험상황에 효율적인 제압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범위가 한정된 유선 로프 방식을 벗어나 이용자단말과 장착기구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에서 자유로운 반려동물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활동의 자유가 비약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면서 안전사고의 위험 또한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동적인 알고리즘을 통하여 소정의 조건 만족시 긴장상태를 해제하거나, 수축상태를 해제하거나, 경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판단착오나 제어 불가능한 상태를 극복하여 더욱 안전한 반려동물과의 생활의 공유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이용자단말 101...연결부
200...장착기구 210...제1와이어부
211, 221...래크 215...내측와이어부
212, 222...웜휠부 225...외측와이어부
220...제2와이어부 240...로프연결부
300...본체부 310...신축부
320...구동부 321...피니언부
322...웜기어 325...스크류
326...연결부 330...제어및통신부
331...통신부 332...구동판단부
333...장력검출부 334...거리판단부
335...경보부

Claims (11)

  1. 이용자단말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본체부; 및
    반려동물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본체부에 구비되는 신축부에서 수축 또는 이완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이용자단말에 의한 제어입력의 수신 또는 조임조건의 만족시 와이어부를 수축하여 반려동물의 신체를 조임으로써 행동을 제약하거나 훈련학습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 및 이용자단말을 연결하며 전력라인을 구비하는 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이용자단말의 입력신호를 전파신호로서 제공받는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연결되며 상호간에 단부측에서 결속되는 제1와이어부 및 제2와이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와이어부 및 제2와이어부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본체부에 구비되는 신축부에서 수축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구동부에 연결되는 피니언부와,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며 제1와이어부 및 제2와이어부 중의 하나 이상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래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구동부에 연결되는 웜기어와, 복수의 치로 이루어지는 웜휠부로 이루어지고, 와이어부로부터의 장력은 구동부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양측에 구비되는 연결부와의 접촉부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는 외측와이어부와 내측와이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부는,
    외측와이어부를 내측와이어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연결부 측에서 내측와이어부를 외주측으로 이동시켜 내측와이어부의 내주면에서 조임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이용자 단말의 제어입력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신축부에서 와이어부의 수축 또는 이완동작이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구동판단부와;
    신축부를 동작하도록 하는 경보부와;
    신축부에 대한 구동력의 제공시 부하를 판단하여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단부는,
    장력검출부에서 검출된 측정장력이 설정장력보다 큰 경우 긴장구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단부는,
    설정시간보다 조임이 지속되는 긴장시간 또는 신축이 지속되는 신축시간이 더 큰 경우 이완구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이용자단말의 위치 또는 기준위치로부터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판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보부는,
    상기 거리판단부에서 설정거리보다 측정거리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KR1020150109885A 2015-08-04 2015-08-04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KR20170016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885A KR20170016598A (ko) 2015-08-04 2015-08-04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PCT/KR2016/008568 WO2017023116A1 (ko) 2015-08-04 2016-08-03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885A KR20170016598A (ko) 2015-08-04 2015-08-04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508A Division KR20170072860A (ko) 2017-06-19 2017-06-19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598A true KR20170016598A (ko) 2017-02-14

Family

ID=5794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885A KR20170016598A (ko) 2015-08-04 2015-08-04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16598A (ko)
WO (1) WO201702311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115A (ko) * 2017-05-15 2017-06-02 전대연 실내외에서 스마트 애완견-자동-다룸 시스템
KR102213520B1 (ko) * 2020-09-14 2021-02-08 이성식 반려견 원격 케어 시스템
KR20210071541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퍼스퍼트 스마트 리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8808A (ko) * 2020-08-07 2022-02-15 심대보 애완동물 리드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457338B1 (ko) * 2022-01-24 2022-10-21 서영욱 스마트 목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응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0446A (zh) * 2018-01-18 2018-07-24 浪尖设计集团有限公司 放牧定位器
CN109805892A (zh) * 2019-01-17 2019-05-28 刘洪波 一种智能生物体征监测情感交互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219A (ja) * 2002-08-02 2004-03-04 Kenichi Fujii 動物用運動制御装置
WO2007015186A1 (en) * 2005-08-01 2007-02-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evice to be attached to or to be worn by an animal for indicating the physiological status of the animal
KR101334994B1 (ko) * 2010-11-30 2013-12-05 (주)신성테크 동물의 위치 이탈 제어장치
US20130014706A1 (en) * 2011-07-14 2013-01-17 PatPace Ltd. Pet animal collar for health & vital signs monitoring, alert and diagnosis
KR20130106694A (ko) * 2012-03-20 2013-09-30 주식회사 독트라 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동물 훈련용 목걸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115A (ko) * 2017-05-15 2017-06-02 전대연 실내외에서 스마트 애완견-자동-다룸 시스템
KR20210071541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퍼스퍼트 스마트 리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8808A (ko) * 2020-08-07 2022-02-15 심대보 애완동물 리드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213520B1 (ko) * 2020-09-14 2021-02-08 이성식 반려견 원격 케어 시스템
KR102457338B1 (ko) * 2022-01-24 2022-10-21 서영욱 스마트 목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응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3116A1 (ko)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6598A (ko)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KR101982443B1 (ko)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KR20170072860A (ko)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AU2013333588B2 (en) Device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 four-legged animal
US9818286B2 (en) System for repelling a pet from a predetermined area
US20180132455A1 (en) Intelligent pet monitoring system
KR102214408B1 (ko) 반려동물용 원격 통제장치
US20180220623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et
MX2007002647A (es) Sistema de monitoreo para cria de animales.
US20080168953A1 (en) Device to be Attached to or to be Worn by an Animal for Indicating the Physiological Status of the Animal
US20220201977A1 (en) Voice Command Pet Collar
KR101839367B1 (ko) 리드 줄이 없는 애완동물용 목줄
US20140326196A1 (en) Device, Set and Method for Limiting a Freedom of Movement of a Living Being
US10383313B2 (en) Dog harness with a safety attachment
KR102362984B1 (ko) 반려동물용 하네스
US20200128792A1 (en) Non-invasive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stopping either quadrupeds or bipeds for safety and training purposes
KR20190071151A (ko) 애완동물의 무선 제어를 위한 장치
KR102496610B1 (ko) 반려동물의 제어 장착기구
CN219108452U (zh) 运动约束设备
CN214282729U (zh) 一种防止攻击性动物伤人的遥控装置
AU2021107230A4 (en) A Device for Monitoring Animal Welfare
KR102564809B1 (ko) 반려동물의 모니터링 장치
KR102637243B1 (ko)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돌출행동 차단 장치
KR20180096297A (ko) 개 통제 장치
KR20220131665A (ko) 심박수 기반 전자동 반려동물 입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