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297A - 개 통제 장치 - Google Patents

개 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297A
KR20180096297A KR1020170022833A KR20170022833A KR20180096297A KR 20180096297 A KR20180096297 A KR 20180096297A KR 1020170022833 A KR1020170022833 A KR 1020170022833A KR 20170022833 A KR20170022833 A KR 20170022833A KR 20180096297 A KR20180096297 A KR 20180096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main body
control device
tightening strap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민수
Original Assignee
심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민수 filed Critical 심민수
Priority to KR102017002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297A/ko
Publication of KR2018009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9Electric or similar shock devices, e.g. p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 줄 없이도 개를 통제할 수 있는 개 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개 통제 장치는, 개 몸에 착용하여 개를 통제하는 개 통제 장치로, 상기 개 몸에 장착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기 개 몸을 조이거나 푸는 조임 스트랩;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 통제 장치{Dog contro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개 줄 없이도 개를 통제할 수 있는 개 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 줄은, 타인에게 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개주인이 사용하는 용구이다. 따라서, 산책 등을 할 경우, 개주인은 개에게 최소한의 자유를 보장할 수 있는 길이로 개 줄을 유지하면서 개를 통제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개 줄은, 타인이 걸려 넘어지거나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이 미쳐 개 줄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 개 줄이 바퀴에 꼬이면서 운전자는 물론이거니와 개나 개 주인도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개 줄 없이도 개를 통제할 수 있는 개 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 통제 장치는, 개 몸에 착용하여 개를 통제하는 개 통제 장치로, 상기 개 몸에 장착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기 개 몸을 조이거나 푸는 조임 스트랩;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임 스트랩은, 동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축에 구비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상기 조임 스트랩에 구비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고정 밴드를 통해 상기 개 몸에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 통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와, 구동부와, 조임 스트랩과,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개 줄 없이도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으로 조임 스트랩을 조이거나 풀 수 있어, 개가 이상 행동을 하거나 돌발 행동을 할 경우 조임 스트랩을 조여 개를 통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 통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 통제 장치를 II-II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개 통제 장치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개 통제 장치의 본체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 통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 통제 장치를 II-II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개 통제 장치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개 통제 장치의 본체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 통제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 몸에 착용하여 개를 통제하는 개 통제 장치로, 본체(110)와, 구동부(120)와, 조임 스트랩(130)과, 그리고 무선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110)는, 구동부(120)와 무선 통신부(140) 등이 장착되는 곳으로, 개 몸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고정 밴드(160)를 통해 개 몸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무게 등을 고려하여 개 몸이 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개 몸체 중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밴드(160)로는 신축성 있는 고무 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조임 스트랩(130)이 개 몸을 감고 있어 고정 밴드(16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 스트랩(130)이 본체(110)의 가장자리부에 치우쳐 구비되어 있어 본체(110)의 무게를 제대로 지지하기 위해 고무 밴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조임 스트랩(130)을 조이거나 푸는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21)와 구동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21)는 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고, 구동 모터(122)는 본체(110)에 구비되되 배터리(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121)로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고, 구동 모터(122)로는 조임 스트랩(130)의 정밀 구동을 위해 스텝 모터(step motor) 등이 사용되거나, 인코더(encoder) 등이 더 부가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조임 스트랩(130)은, 구동부(120)의 구동으로 개 몸을 조이거나 푸는 구성요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는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고, 그 타단부는 본체(110)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임 스트랩(130)은, 개의 이상 행동이나 돌발 행동 시 개 몸을 충분히 조일 수 있도록 신축되지 않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조임 스트랩(130)은, 동력 전달부(150)를 통해 구동 모터(122)의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150)는, 피니언(pinion)(151)과 랙(rack)(152)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151)은 구동 모터(122)의 축에 구비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고, 랙(152)은 피니언(151)에 기어 맞물리도록 조임 스트랩(13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피니언(151)의 정역 구동에 따라 랙(152)이 전후진 하면서 조임 스트랩(130)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는, 외부 기기(미도시)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40)는,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라이파이(Li-Fi), 와이파이(Wi-F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기기로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또는 별도로 마련된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경우 개발 예정인 "개 통제" 앱 등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 통제 장치(100)는, 안전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감지부는, 도시되는 않았지만, 조임 스트랩(130)의 일단과 이를 고정하는 본체(110) 사이에 구비되어 조임 스트랩(130)이 개 몸을 너무 조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 모터(122)를 정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감지부(미도시)가 감지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인가하면 제어부는 감지 신호의 값이 구동 모터(122)의 정지에 필요한 값이라 판단하면 구동 모터(122)를 정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안전 감지부로는 인장력을 감지하는 인장 센서나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 통제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110)와, 구동부(120)와, 조임 스트랩(130)과, 그리고 무선 통신부(140)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개 줄 없이도 외부 기기(미도시)와의 무선 통신으로 조임 스트랩(130)을 조이거나 풀 수 있어, 개가 이상 행동을 하거나 돌발 행동을 할 경우 조임 스트랩(130)을 조여 개를 통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개 통제 장치 110: 본체
120: 구동부 121: 배터리
122: 구동 모터 130: 조임 스트랩
140: 무선 통신부 150: 동력 전달부
151: 피니언 152: 랙
160: 고정 밴드

Claims (5)

  1. 개 몸에 착용하여 개를 통제하는 개 통제 장치로,
    상기 개 몸에 장착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기 개 몸을 조이거나 푸는 조임 스트랩;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개 통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모터
    를 포함하는
    개 통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조임 스트랩은, 동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 받는
    개 통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축에 구비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상기 조임 스트랩에 구비되는 랙
    을 포함하는
    개 통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본체는 고정 밴드를 통해 상기 개 몸에 장착되는
    개 통제 장치.
KR1020170022833A 2017-02-21 2017-02-21 개 통제 장치 KR20180096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33A KR20180096297A (ko) 2017-02-21 2017-02-21 개 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33A KR20180096297A (ko) 2017-02-21 2017-02-21 개 통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97A true KR20180096297A (ko) 2018-08-29

Family

ID=6343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833A KR20180096297A (ko) 2017-02-21 2017-02-21 개 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2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5627B2 (en) Electric working machine
KR101982443B1 (ko)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WO2011002478A8 (en)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WO2005053506A3 (en) Mechanical advantage tourniquet
ATE445446T1 (de) Drahtloses fernbedienungsmodell
US20050277855A1 (en) Device for suppressing roaring of pet
US20110120387A1 (en) Animal guide
US20150257363A1 (en) Device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 four-legged animal
NO991631D0 (no) Glidebeskyttelse for kj°ret°yhjul
EP1847001A4 (en) AKTIVSTROMSPITZENBEGRENZER
WO2018002883A1 (en) A method of retrofitting a hearing protector, and a hearing protector
DE602004010846D1 (de) Sicherheitsvorrichtung für sturzsicherung
KR20170072860A (ko)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WO2010040246A1 (zh) 宠物训练用颈圈
CN115444658A (zh) 自动伸缩式头带结构
KR200450815Y1 (ko)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견 칼라
KR20180096297A (ko) 개 통제 장치
TWI683624B (zh) 電動捲線器
US11793169B2 (en) Animal wearable device adjustment mechanisms and methods
US10383313B2 (en) Dog harness with a safety attachment
JP2020534922A5 (ko)
US20190144149A1 (en) Manual automatic device for fitting cable ties
US20200128792A1 (en) Non-invasive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stopping either quadrupeds or bipeds for safety and training purposes
CN107000177A (zh) 具有伸缩式输出轴的动力工具
KR20190071151A (ko) 애완동물의 무선 제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