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376A -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376A
KR20190046376A KR1020170140106A KR20170140106A KR20190046376A KR 20190046376 A KR20190046376 A KR 20190046376A KR 1020170140106 A KR1020170140106 A KR 1020170140106A KR 20170140106 A KR20170140106 A KR 20170140106A KR 20190046376 A KR20190046376 A KR 20190046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ow
extract
rice
arrowhead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374B1 (ko
Inventor
이용한
Original Assignee
이용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한 filed Critical 이용한
Priority to KR102017014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표고버섯 생산용 배지에 화살나무(참빗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를 공급함으로써 인슐린 분비를 늘리는 싱아초산나트륨이 함유된 화살나무의 특성을 가지는 표고버섯(화살 표고버섯)을 배양하고, 배양된 화살 표고버섯을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희석수와 함께 혼합 증숙하여 건강즙(이하, '화살표고즙'이라 함)을 제조하며, 상기 화살표고즙을 밥 솥 내 씻은 쌀에 물 대신 투입하여 화살표고즙이 함유된 건강밥(이하, '화살표고 건강밥'이라 함)을 만듦으로써, 한국인의 주식인 흰 쌀밥(백미)에 화살표고즙을 함유시켜 신진대사의 활성화, 면역력 증강, 각종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를 도모함과 동시에 맛, 향, 색깔(초콜릿 색상) 등을 통하여 특히 쌀밥을 기피하는 유아들이 흥미를 가짐으로써 섭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R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표고버섯 생산용 배지에 화살나무(참빗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를 공급함으로써 인슐린 분비를 늘리는 싱아초산나트륨이 함유된 화살나무의 특성을 가지는 표고버섯(화살 표고버섯)을 배양하고, 배양된 화살 표고버섯을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희석수와 함께 혼합 증숙하여 건강즙(이하, '화살표고즙'이라 함)을 제조하며, 상기 화살표고즙을 밥 솥 내 씻은 쌀에 물 대신 투입하여 화살표고즙이 함유된 건강밥(이하, '화살표고 건강밥'이라 함)을 만듦으로써, 한국인의 주식인 흰 쌀밥(백미)에 화살표고즙을 함유시켜 신진대사의 활성화, 면역력 증강, 각종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를 도모함과 동시에 맛, 향, 색깔(초콜릿 색상) 등을 통하여 특히 쌀밥을 기피하는 유아들이 흥미를 가짐으로써 섭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의 식생활은 쌀을 주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이며,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흰 쌀밥(백미)으로 밥을 짓고 이를 섭취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흰 쌀밥은 부드러워서 소화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고, 맛이 좋으며, 잘 상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만, 대부분의 영양성분이 깎이고 탄수화물의 비중만 높기에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극단적으로는 탄수화물 중독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또한, 흰 쌀밥 섭취시 섬유질이 적어서 변비에 걸릴 확률 역시 높아진다.
따라서, 과거 웰빙 열풍의 연장선으로, 최근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건강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그 관심이 증대되면서 각 가정에서는 흰 쌀밥보다는 다양한 곡식을 첨가하여 섭취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혼합곡에 대하여 살펴보면, 곡류는 껍질이 제거되지 않은 완전 곡물에 영양원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의 중요한 영양소와 항산화물질 및 미네랄 등이 곡물의 외피와 껍질에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혼합곡의 섭취를 통하여 각종 성인병 방지 및 체질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껍질이 제거되지 않은 곡물은 거칠어 먹기 힘들고 맛이 없으며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일반적으로는 껍질이 그대로 있는 완전 곡물의 섭취는 기피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027413호 '당뇨병 개선 및 예방을 위한 혼합곡 조성물'은 거대배아미, 거대배아현미, 찰보리, 흑미맵쌀, 동부콩, 서목태 및 강낭콩을 혼합하여 포함하로 하여 당뇨병 등 각종 성인병 예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등록특허에 의하더라도 소화 불량 등 전술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해소되기에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흰 쌀밥(백미)에 화살 표고버섯 즙이 함유되어 맛과, 향 및 색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표고버섯의 특성과 함께 화살나무 추출물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발현하는 화살표고즙을 함유하는 건강밥을 통하여 당뇨, 소화불량 방지, 항암 효과, 고혈압 방지, 활발한 신진대사 및 면역력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건강즙 또는 건강음료인 화살표고즙을 별도로 섭취하지 않고 한국인의 주식인 흰 쌀밥에 직접적으로 함유되도록 하여 섭취의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살표고즙을 함유하는 초콜릿 색상의 건강밥을 통하여, 특히 쌀밥의 섭취를 기피하는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자연스러운 섭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살 표고버섯에, 인슐린 분비를 늘리고 면역력에 효능이 있는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정제된 고급 추출물 희석수를 혼합 증숙함으로써 추가적인 약리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은 참나무톱밥 배지에 배지용 침봉을 이용하여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를 흡수하여 배양된 표고버섯(화살 표고버섯)을 건조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건조 및 절단된 화살 표고버섯을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로 버블 세척하는 단계와;
정제수 및 감초를 화살 표고버섯과 함께 가열 농축기에서 혼합 가열 농축하는 단계와;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을 추출 및 여과하는 단계와;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에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추출물 희석수를 혼합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거쳐 제조된 화살표고즙을 실온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화살표고즙이 밥 솥 내 씻은 백미에 투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의 상기 백미에 투여되는 화살표고즙의 양은 백미 90 ~ 100g 대비 200 ~ 33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살표고즙은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 35 ~ 50중량%,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추출물 희석수 13 ~ 20중량%, 감초 0.1 ~ 0.2중량%와,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 그 제조방법의 상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 제공단계를 통해 참나무톱밥 배지에 제공되는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는 채취된 이후 세척된 화살나무의 잎과 가지를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잎과 가지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잎과 가지를 일정량의 물과 혼합하여 가열 농축기로 농축시키는 단계와; 농축단계를 통해 추출된 화살나무 추출물을 냉각하는 단계와; 냉각된 화살나무 추출물을 1.5 °C ~ 3.5 °C 하에서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의 상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 제공단계를 통해 참나무톱밥 배지에 제공되는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는 희석수 20ℓ에 100 ~ 200g의 화살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의 상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 제공단계를 통해 참나무톱밥 배지에 제공되는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는 배지용 침봉으로 공급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배지에 평균 7일에 1회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의 상기 화살표고버섯의 건조 및 절단단계는 상기 화살 표고버섯을 25 °C 하에서 2 ~ 4 시간 건조한 이후 상기 화살 표고버섯을 3 ~ 4 등분 절단하여 1.5 ~ 3.5 °C 하에서 저온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표고버섯의 특성과 함께 화살나무 추출물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발현하는 화살표고즙을 함유하는 건강밥을 통하여 당뇨, 소화불량 방지, 항암 효과, 고혈압 방지, 활발한 신진대사 및 면역력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건강즙 또는 건강음료인 화살표고즙을 별도로 섭취하지 않고 한국인의 주식인 흰 쌀밥에 직접적으로 함유되도록 하여 섭취의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살표고즙을 함유하는 초콜릿 색상의 건강밥을 통하여, 특히 쌀밥의 섭취를 기피하는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자연스러운 섭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살 표고버섯에, 인슐린 분비를 늘리고 면역력에 효능이 있는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정제된 고급 추출물 희석수를 혼합 증숙함으로써 추가적인 약리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살표고즙 제조방법에 관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고급) 추출물 희석수를 혼합 증숙하는 단계에 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에 함유되는 화살표고즙의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한 면역활성 측정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에 함유되는 화살표고즙의 혈당강화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에 함유되는의 운동수행능력 강화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표고버섯 생산용 배지에 화살나무(참빗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를 공급함으로써 인슐린 분비를 늘리는 싱아초산나트륨이 함유된 화살나무의 특성을 가지는 표고버섯(화살 표고버섯)을 배양하고, 배양된 화살 표고버섯을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 추출물 희석수와 함께 혼합 증숙하여 건강즙(이하, '화살표고즙'이라 함)을 제조하며, 상기 화살표고즙을 밥 솥 내 씻은 쌀에 물 대신 투입하여 화살표고즙이 함유된 건강밥(이하, '화살표고 건강밥'이라 함)을 만듦으로써, 한국인의 주식인 흰 쌀밥(백미)에 화살표고즙을 함유시켜 신진대사의 활성화, 면역력 증강, 각종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를 도모함과 동시에 맛, 향, 색깔(초콜릿 색상) 등을 통하여 특히 쌀밥을 기피하는 유아들이 흥미를 가짐으로써 섭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화살표고 건강밥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쌀밥에 함유되는 '화살표고즙'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 이후, 제조된 화살표고즙을 통한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살표고즙 제조 방법에 관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살표고즙은,
1) 참나무톱밥 배지에 배지용 침봉을 이용하여 화살나무(참빗살나무) (중급) 추출물 희석수를 제공하는 단계와;
2) 상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를 흡수하여 배양된 표고버섯(이하, '화살 표고버섯'이라 함)을 건조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3) 건조 및 절단된 화살 표고버섯을 화살나무 (중급) 추출물 희석수로 버블 세척하는 단계와;
4) 정제수 및 감초를 화살 표고버섯과 함께 가열 농축기에서 혼합 가열 농축하는 단계와;
5)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을 추출 및 여과하는 단계와;
6) 상기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에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고급) 추출물 희석수를 혼합 증숙하는 단계와;
7) 6) 단계를 거친 이후 화살표고즙을 팩(Pack)으로 포장 및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만,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7) 단계에서의 팩으로 포장하는 단계는 임의적 단계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범위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공정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살표고즙의 개별 공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1) 참나무톱밥 배지에 배지용 침봉을 이용하여 화살나무(참빗살나무) 중급 추출물 희석수를 제공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참나무 톱밥을 사용한 배지가 버섯의 품질과 생산량에 좋기 때문에 표고버섯 배지의 주재료는 참나무 톱밥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 상수리나무 톱밥으로 재배하는 것이, 갓이 크고 살이 두꺼운 표고가 발생되므로 가장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참나무톱밥의 입자는 1 ~ 2 mm 이하인 경우 배지 내 통기성이 떨어지고 표면적이 증가하여 표고균의 생장속도가 더디고, 입자 크기가 3 mm 이상인 경우 배지 조제시 수분이 빨리 흡수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배지 제조에 사용되는 톱밥의 적정입자는 1 ~ 2 mm와 3 mm 이상을 각각 1 : 1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표고버섯은 느타리과 표고속의 버섯으로, 에리다데민을 함유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비타민 B1, B2 뿐만 아니라 비타민 D의 전구체인 에르고스테롤을 함유한다. 또한, 상기 표고버섯에는 각종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몸에 좋은 베타글루칸이 함유되어 인체 면역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항암 식품이다.
1)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참나무톱밥 배지에 화살나무 중급 추출물 희석수를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화살나무 중급 추출물 제조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화살나무 중급 추출물 제조단계는 채취된 이후 세척된 화살나무의 잎과 가지를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잎과 가지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잎과 가지를 일정량의 물과 혼합하여 가열 농축기로 농축시키는 단계와; 농축단계 추출된 추출물을 냉각하는 단계와; 냉각된 추출물을 1.5°C ~ 3.5°C에서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살나무는 줄기에 붙어 있는 날개의 생김새가 특이하여 괴전우라고 불리는 것으로, 혈당량을 낮추고 인슐린 분비를 늘리는 싱아초산나트륨이 함유된 것이 확인됨으로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통경 구어혈의 효능이 있으며, 동맥경화, 혈전, 산후어혈복통, 월경불순 등에 사용되며, 민간요법으로 잎과 가지를 따서 암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화살나무 중급 추출물을 희석수에 혼합하며, 예를 들어 희석수 20ℓ에 약 100 ~ 200 g의 화살나무 중급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화살나무 중급 추출물 희석수가 완성된다. 화살나무 추출물의 혼합량이 100 g 미만인 경우 화살나무 고유의 약효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0 g 초과시 가격 대비 약효가 미비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이후, 상기 화살나무 중급 추출물 희석수를 배지용 침봉을 이용하여 상기 참나무톱밥 배지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중급 추출물 희석수 1.5 ~ 2 ℓ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치범위 하에서 비용 대비 화살나무의 약효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배지용 침봉으로 희석수를 공급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배지에 상기 중급 추출물 희석수를 살포하며, 대략 7일에 1회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체적으로, 화살 표고버섯 발생 전 대략 3일에 1회 제공한 이후, 서서히 그 주기를 늦추다가 상기 화살 표고버섯 발생 후 10일에 1회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살 표고버섯의 발생시부터 화살나무 추출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살 표고버섯의 발생 후에도 상기 중급 추출물 희석수를 주기적으로 제공하여 화살나무 추출물의 유효 성분들이 표고버섯 조직에 침투되어 영양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예시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1) 참나무톱밥 배지에 배지용 침봉을 이용한 화살나무(참빗살나무) 중급 추출물 희석수를 제공 단계를 통해 화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표고버섯이 배양될 수 있다. 따라서, 표고버섯의 발생시부터 화살나무 추출물을 흡수하도록 하여, 표고버섯 그 자체의 효능 뿐만 아니라 화살나무의 효능 일부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화살 표고버섯'이 발생된다.
이하에서는 2) 발생한 화살 표고버섯을 건조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건조단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발생한 화살 표고버섯을 햇볕으로 건조한다. 표고 균사생장 범위는 5 ~ 32°C이나 최적온도는 25°C로 알려져 있다. 또한, 표고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에르고스테린은 햇볕을 받으면 비타민 D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단계를 통하여 표고버섯에 비타민 D가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발생한 화살 표고버섯을 25°C 하에서2 ~ 4 시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시간 미만 건조시 비타민 D의 함유량이 미비할 수 있고, 4시간 초과 건조시 건조시간에 비하여 그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그 후, 화살 표고버섯은 절단하여 1.5 ~ 3.5 °C 하에서 저온 숙성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화살 표고버섯을 3 ~ 4 등분 절단하여 저온 숙성을 한다. 저온 숙성시 상기 화살 표고버섯의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 건조 이후 곧바로 저온 건조를 함으로써 표고버섯균의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저온 숙성 온도 및 화살 표고버섯의 절단 크기 등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3) 건조 및 절단된 화살 표고버섯을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로 버블 세척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물 속에 체류하는 버블들은 물 속에 밀어 넣은 풍선과 같이 외부압력에 의하여 스스로 압축하고, 압력을 받게 되면 물 속에서 스스로 파열된다. 자기 가압효과에 의하여 버블이 파열될 때에, 예를 들어 순간 고온과 고기압의 충격파가 발생되며 유해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다. 즉, 멸균작용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버블 세척시 발효 촉진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살 표고버섯의 버블 세척을 중급 화살 추출수로 하여, 상기 화살 표고버섯의 발생 이후에도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를 공급 및 흡수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4) 정제수 및 감초를 화살 표고버섯과 함께 가열 농축기에서 혼합 가열 농축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버블 세척된 화살 표고 버섯을, 정제수 및 감초와 함께 가열 농축기에서 혼합 가열 농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100 ~ 120 °C 하에서 3 ~ 5 시간 고온 가열한다. 이 때 첨가량은 정제수 약 12kg에 대하여 감초 25 ~ 35g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초의 첨가량이 25g 미만일 경우에는 감초의 첨가량 저하로 약리작용이 저하될 수 있으며, 35g 초과인 경우 약리작용은 향상되지만 첨가량 과다로 화살표고즙의 맛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감초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물질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활성 산소 제거, 간 기능 개선, 알레르기 억제, 스트레스 완화, 인후통과 기침의 진전 효능이 있다. 또한, 감초의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분해물은 급성 및 만성 간염에 효과가 있으며, 면역활성작용으로 에이즈 치료제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농축기의 조건은 640 ~ 650 mmHg/ 0.1 ~ 0.21kg/㎠의 입력 진공도에서 100 ~ 120 °C 하에서 3 ~ 5 시간 고온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수치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 이후, 5)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을 추출 및 여과하는 단계;를 통하여 고온 농축된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을 추출 및 여과한다.
이하에서는 6) 상기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에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고급 추출물 희석수를 혼합 증숙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과된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을 혼합 포장기로 이동시킨 이후, 가열 및 농축 증숙 과정을 거친 화살나무 및 참나무의 정제된 고급 추출수가 혼합되고, 바람직하게 100 ~ 105 °C 하에서 30 ~ 40 분 혼합 숙성된다. 숙성 시간이 30분 미만시 적정한 수준의 혼합 숙성이 불가능할 우려가 있으며, 40분 초과시 숙성 시간 대비 그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7) 6) 단계를 거친 이후 화살표고즙을 팩(Pack)으로 포장 및 증숙하는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100°C 이상 유지되는 혼합 포장기에서 1팩/100 ~ 110㎖로 살균 진공 추출 포장하도록 한다. 포장이 마쳐진 이후 포장기 내부 온도를 서서히 낮추며 24 ~ 30 시간 실온에서 증숙한다. 증숙 시간이 24 시간 미만시 충분한 증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 시간 초과시 증숙시간 과다로 화살표고즙의 맛이 변질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시 상기 화살표고즙을 반드시 팩으로 포장할 필요는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 이후, 상기 화살표고즙을 1.5 ~ 3.5 °C 하의 저온 냉장고에서 일정 시간 저온 냉각 증숙한다.
그 결과, 상기 화살표고즙의 완제품에는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 35 ~ 50중량%, 고급 추출수 13 ~ 20중량%, 감초 0.1 ~ 0.2중량%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정제수가 함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치범위에 의한 효과는 본 명세서에서 후술할 실험예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고급) 추출물 희석수를 혼합 증숙하는 단계에 관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6) 단계에서 혼합되는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고급) 추출물 희석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급 추출수 제조방법은, 화살나무와 참나무 겨우살이를 채취하여 세척한 다음 잎, 가지, 줄기 및 열매를 분리하여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한 재료를 각각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재료들을 혼합하고 감초, 유근피, 질경, 구지뽕나무 및 정제수를 첨가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한 재료를 농축기로 농축하는 단계;와 농축한 혼합물을 일정 시간 증숙하고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단계;에 대해 살펴보면,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를 채취하여 세척한 다음 재료별로 분리하여 2 ~ 3 일간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기간이 2일 미만일 경우 재료들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을 수 있고, 3일 초과시 재료들이 지나치게 건조되어 재료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절단단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잎, 가지, 줄기, 꽃, 열매를 절단하며, 바람직하게 0.5 ~ 1.0cm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절단된 재료 크기가 0.5cm 미만이면 농축시 재료의 유효성분이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비하며, 1.0cm 초과하면 농축시 재료 유효성분이 충분히 농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첨가 혼합단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절단된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재료들을 부위별로 혼합하고, 감초, 유근피, 질경, 구지뽕나무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로, 바람직하게 정제수 1000㎖에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혼합재료 10 ~ 15g과, 감초 2 ~ 3g, 유근피 3 ~ 4g, 질경 3 ~ 4g, 구지뽕나무 3 ~ 4g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살나무는 정제수 1000㎖에 대하여 5 ~ 8g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량이 5g 미만시 싱아초산나트륨 함유량 저하로 기능성이 저하되며, 8g 초과시 다른 재료의 혼합량 저하로 화살표고즙의 기능성 저하 가능성이 있다. 또한, 화살나무의 혼합량은 잎 35 ~ 45중량%, 가지 35 ~ 45 중량%, 꽃 10 ~ 15중량%, 열매 10 ~ 15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싱아초산나트륨의 함유량 고려시 가장 적합하다.
또한, 참나무 겨우살이에는 주성분으로 항암효과와 면역력을 높이는 올레아놀산, 사포닌, 아미린 등이 함유되어 암세포 억제 효과가 있으며, 그 혼합량은 정제부 1000 ㎖에 5 ~ 7g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혼합량이 5g 미만시 신진대사 기능성 저하 우려가 있고, 7g 초과시 혼합량이 비하여 그 효과가 미비하다.
상기 참나무 겨우살이의 혼합량은 잎 45 ~ 50중량%, 줄기 40 ~ 45중량%, 꽃 5 ~ 8중량%, 열매 5 ~ 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암세포 성장 억제 성분들의 함유량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감초의 효능은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유근피는 껍질에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탄닌, 점액질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열매에는 탄닌 점액질 등이 함유되어 있어 옛부터 위장병 치료, 상처나 염증치료 등에 탁월한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그 첨가량은 정제수 1000㎖에 대하여 3~4g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근피의 첨가량이 3g 미만일경우에는 유근피의 첨가량 저하로 약리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유근피의 첨가량이 4g을 초과할 경우 약리효과는 향상될 수 있지만 첨가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질경은 사포닌, 칼슘, 철분, 무기질, 단백질, 비타민 및 섬유질 성분이 풍부게 함유되어 소화흡수작용, 혈액 정화작용, 면역력 강화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알칼리성 식물로 인해 옛부터 뱃속의 냉기, 폐 기능활성, 인후의 보호작용과 같은 호흡기질환에 널리 쓰여 온 약재로서, 그 첨가량은 정제수 1000㎖에 대하여 3~4g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경의 첨가량이 3g 미만일 경우에는 질경의 첨가량 저하로 약리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질경의 첨가량이 4g을 초과할 경우 약리효과는 향상될 수 있지만 첨가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에서 구지뽕나무는 일반 뽕나무와는 달리 나무줄기에 가시가 돋아있고 잎이 감나무 잎과 비슷하면서 두텁고 솜털이 있는 것으로 뽕잎을 떼면 하얗고 진한 액체에 모린, 루틴, 모르찐과 비타민 B1, B2, C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각종 암, 만성간염, 염증, 신경통 등에 탁원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그 첨가량은 정제수 1000㎖에 대하여 3~4g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지뽕나무의 첨가량이 3g 미만일 경우에는 구지뽕나무의 첨가량 저하로 약리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구지뽕나무의 첨가량이 4g을 초과할 경우 약리효과는 향상될 수 있지만 첨가량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농축단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혼합한 재료를 농축기에 의해 가열농축시키는 단계로서, 바람직한 농축기의 조건은 640~650mmHg/ 0.1~0.21kg/㎠의 입력 진공도에서 120±1℃에서 120±5분 동안 가열한 다음 100±1℃에서 180±5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95±1℃에서 60±3분 동안 가열시키는 것을 1사이클로 하여 연속하여 2~5회를 반복하여 농축시키는 것이 적합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속하여 4회 반복적으로 농축시킨다.
상기 증숙 및 냉각단계;는, 농축된 추출물을 36 ~ 48 시간 증숙하고 일정 온도 하에서 냉각시킨 이후, 1.5 ~ 3.5 °C 하에서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공정)들을 통하여, 인체의 혈당량을 낮추고 인슐린 분비를 활성화하는 싱아초산나트륨이 함유된 화살나무와, 항암효과와 면역력을 높이는 참나무 겨우살이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며 각종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인체 면역력을 높이는 표고버섯의 약리효과를 모두 가지는 기능성 화살표고즙을 제조할 수 있는 것에 그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화살표고즙을 통한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밥 솥 내 씻은 쌀에 물 대신 화살표고즙을 투여한다. 투여량은, 흰 쌀(백미) 90 ~ 100g 대비 2 ~ 3 팩으로 대략 200 ~ 330 ㎖이다. 화살표고즙이 상기 투여량보다 적게 투여되는 경우 상기 화살표고즙 투여에 따른 예상 상승효과에 못 미치고, 많이 투여되는 경우 비용 대비 상승효과가 적어 경제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섭취자의 기호에 따라 가변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 후, 밥이 다 지어진 이후 솥 뚜껑을 열어 섞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화살표고즙은 상대적으로 진한 앙금이 밥 솥 하부에 침전되어 있어 이를 믹싱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살표고밥에 함유되는 화살표고즙을 하기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화살표고즙의 제조
하기 표 1의 실시예의 각 조성비율에 따라 재료를 농축기에 첨가한 다음 645mmHg/0.15kg/㎠의 입력 진공도에서 120℃에서 120분 동안 가열한 다음 100℃에서 180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95℃에서 60분 동안 가열시키는 것을 1사이클로 하여 연속으로 4회를 반복하여 농축시킨 다음 40시간 동안 증숙시켰다. 그리고 7℃의 냉각수로 냉각시킨 후 여과하여 화살표고즙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일반표고버섯 추출액 - - - - 40
화살표고버섯 추출액 30 35 40 50 -
고급희석수 10 13 18 20 18
감초 추출액 0.08 0.1 0.15 0.2 0.15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화살표고즙의 항산화 활성
화살표고버섯 추출액을 함유한 화살표고즙의 항산화 활성은 전자공여능 또는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아질산염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전자공여활성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의 방법에 따라 시액 0.2 mL에 0.4 mM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용액 0.8 mL를 가하여 vortex상에서 가하고 10분간 방치 한 다음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은 전자공여능(%) = 100 - [(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x 100]에 의하여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환원력 (reducing power)은 Saeedeh & Asna (Saeedeh AD, Asna U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의 방법에 따라 시액 1 mL에 0.2 M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H 6.6) 2.5 mL와 1% 포타시움 페리시아나이드(potassium ferricyanide 용액 2.5 mL를 가한 후 5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10% 트리클로르아세트산 (trichloroacetic acid, TCA) 용액 2.5 mL를 가한 후 1,65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으며, 상징액 2.5 mL 에 증류수 2.5 mL와 0.1% FeCl3 용액 0.5 mL를 가한 후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nitrite scavenging activity)은 Kato 등(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 Bio. Chem. 51: 1333-1338)의 방법에 따라 1 mM NaNO 용액 1 mL에 시액 1 mL를 가하고 0.1 N HCl과 0.2 M citrate buffer(pH 2.5)를 가하여 총 부피를 10 mL로 조정하였다. 다음에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1 mL를 취하여 2% 초산용액 3 mL와 30% 초산용액으로 용해한 Griess reagent(1% sulfanilic acid : 1% naphthylamine = 1 : 1) 0.4 mL을 순차적으로 가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방치,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Griess reagent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계산식, 아질산염소거능(%) = 100 - [(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x 100]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실험결과는 통계 프로그램 (SPSS ver.1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Mean ±SD)로 계산하였다. 각 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 따른 통계분석은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를 실시한 후 유의성이 있는 경우, p value가 0.05 미만일 때 Du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화살표고즙의 항산화 활성은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났으며, 비교예 1인 일반표고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에 비해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 35 ~ 50중량% 범위로 함유된 실시예 2~4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p<0.05).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 40 중량%, 고급희석수 18 중량% 및 감초 0.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실시예 4는 실시예 3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또한,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 35 중량%, 고급희석수 13 중량% 및 감초 0.1 중량%를 미만으로 함유하는 실시예 1은 실시예 2~4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항산화 활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전자공여능 (%) 37.54±5.87 45.48±2.34* 58.50±3.50* 58.67±4.56* 32.54±4.70
환원력 (OD700) 0.27±0.08 0.36±0.07* 0.44±0.04* 0.43±0.05* 0.24±0.09
아질산염소거능 (%) 12.41±1.14 18.63±0.93* 25.56±1.43* 27.47±2.37* 10.81±0.63
- 시험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함
* 비교예 1과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 (p<0.05)
실험예 2. 화살표고즙의 면역 활성효과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을 함유한 화살표고즙의 면역활성은 MTT 분석법 (Sugawara I Kimoto M, Fujimot M, Ishizaka S, Tsuji T, Nishiyama T (1984) MTT assay, rapid colorimetric assay applicable to cellular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Igakuno Ayuni 123: 733-735)에 따라 마이토겐 (mitogen)활성 을 측정하였다. 즉, 6주령의 마우스(BALB/c)로부터 무균적으로 비장을 적출하고 그 세포를 회수하여 2 x 105/mL로 조정하였다. 다음에 24-웰플레이트 (24-well plate)의 각 웰에 100 μL씩 분주하였다. 다음에 농도별 열수추출물 시료를 100 μL씩 첨가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한 후 상대적 활성을 비교하였다.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을 함유한 화살표고즙의 면역활성은 도 3과 같이 나타났다. 일반표고버섯 및 화살표고 버섯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면역활성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면역활성의 증가정도는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 35 중량%, 고급희석수 13 중량% 및 감초 0.1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실시예 2~4에서 일반 표고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교예 1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면역활성을 나타내었다 (p<0.05).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 40 중량%, 고급희석수 18 중량% 및 감초 0.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실시예 4는 실시예3과 유사한 면역활성을 나타내었다 (p>0.05)
실험예 3. 화살표고즙의 암세포 생육억제효과
화살표고버섯 추출액을 함유한 화살표고즙의 항암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암세포주 (인간폐암세포, A-549 cell; 인간자궁경부암세포, HeLa cell; 인간간암세포, HepG2 cell, 인간결장암세포, HT-29 cell)에 대한 항암활성을 평가하였다. 배양은 10% FBS와 페니실린 100 유니트/mL, 스트렙토마이신 10 μg/mL을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 또는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T-75 플라스크에 이식한 후 5% CO2, 37℃의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암세포 가 4 x 105/mL로 증식되었을 때 PBS로 세척하고 트립신(trypsin)-EDTA로 분리시켜 배양플레이트(NUNC, 35 mm)에 1 x 106 cells씩 분주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화살표고즙이 함유된 새로운 배지로 옮겨 다시 24시간 배양하였다. 암세포 증식 억제율은 0.4% Trypan blue assay법으로 상대적인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을 함유한 화살표고즙의 암세포 생육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 인간폐암세포, A-549 cell에 대해서는 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2≫비교예 1, 실시예 1의 순으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인간자궁경부암세포, HeLa cell에 대해서는 실시예 4≥실시예 3>실시예 2≫비교예 1, 실시예 1의 순으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인간간암세포, HepG2 cell에 대해서는 실시예 3≥실시예 4>실시예 2≫실시예 1,비교예 1의 순으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인간결장암세포, HT-29 cell에 대해서는 실시예 4≥실시예 3>실시예 2≫비교예 1, 실시예 1의 순으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주
암세포 생육억제 활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A-459 9.3±4.7 15.1±2.5 16.1±2.5 15.1±2.5 10.1±2.5
HeLa 11.7±3.5 13.5±4.2 14.5±3.2 15.5±4.2 12.5±4.2
HepG2 12.4±4.1 14.1±3.4 17.2±4.3 16.4±2.4 12.1±3.4
HT-29 13.1±3.7 16.7±2.4 17.4±4.7 18.2±4.1 13.7±4.1
실험예 4. 화살표고즙의 혈당강화 효과 및 운동수행능력 강화
본 발명의 화살표고버섯 추출물의 혈당강화 효과 및 운동수행능력을 비교 위해 음수에 화살표고버섯 추출물을 첨가하여 4주간 Sprague-dawley (SD) 랫드에 급여하였다. 상기 SD 랫드는 22℃의 온도, 55%의 습도 및 12시간마다 명암이 조절되는 사육실 내 스테인리스 스틸 케이지에서 개별적으로 사육되었다. 실험기간 동안 사료는 랫드용 펠렛사료 (삼양사 제품, 한국)를 급여하였다.
실험군의 구성은 일반음수군 (대조군), 화살표고버섯 추출물 투여군과 건조 및 절단된 화살 표고버섯을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로 버블 세척한 화살표고버섯 (버블세척 화살표고버섯) 추출물 투여군으로 설정하였다.
화살표고버섯 추출물 및 버블 세척 화살표고버섯 추출물에는 화살표고버섯 추출액 40 중량%, 고급희석수 18%, 감초추출액 0.15% 및 적량의 정제수가 포함되도록 제조하였다.
화살표고버섯 추출물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화살 추출물을 4주간 SD 랫드에 음수투여한 다음 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간이혈당계 (ACCU-CHEK®로슈, 스위스)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또한 운동수행능력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화살 추출물을 4주간 SD 랫드에 음수투여한 다음 강제수영유지시간을 측정하였다. 강제수영 12시간 전부터 음수만 제공하고 절식시킨후, 직경 150 cm X 높이80 cm의 수조관에서 SD 랫드의 꼬리 상단부분에 체중의 10% 중량의 추를 단후 강제수영을 시켰다. 수영유지시간은 수영을 시작할 때부터 수영을 하지 않는 부동자세가 10초이상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탈진의 판단은 랫드가 물속에서 7초간 표면상으로 떠오르지 않는 상태로 판정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살표고버섯 추출액을 투여한 시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감소하였다 (P<0.05). 건조 및 절단된 화살 표고버섯을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로 버블 세척한 화살표고버섯 추출액이 함유된 화살표고즙을 투여한 군이 SD랫드의 정상 혈당수치인 115 mg/dL에 비슷한 수치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살표고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화살표고즙은 혈당을 감소시켜 정상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로 버블 세척하면 그 효과가 더욱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살표고즙을 4주간 급여한 결과 SD 랫드의 수영유지시간은 화살표고버섯 추출액을 함유한 화살표고즙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따라서, 화살표고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화살표고즙은 신진대사의 활성화를 통한 운동수행능력을 증가 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로 버블 세척하면 그 효과가 더욱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Claims (7)

  1. 참나무톱밥 배지에 배지용 침봉을 이용하여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를 흡수하여 배양된 표고버섯(화살 표고버섯)을 건조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건조 및 절단된 화살 표고버섯을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로 버블 세척하는 단계와;
    정제수 및 감초를 화살 표고버섯과 함께 가열 농축기에서 혼합 가열 농축하는 단계와;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을 추출 및 여과하는 단계와;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에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추출물 희석수를 혼합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들을 거쳐 제조된 화살표고즙을 실온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화살표고즙이 밥 솥 내 씻은 백미에 투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에 투여되는 화살표고즙의 양은 백미 90 ~ 100g 대비 200 ~ 3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살표고즙은
    화살 표고버섯 추출액 35 ~ 50중량%, 화살나무 및 참나무 겨우살이의 추출물 희석수 13 ~ 20중량%, 감초 0.1 ~ 0.2중량%와,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 제공단계를 통해 참나무톱밥 배지에 제공되는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는
    채취된 이후 세척된 화살나무의 잎과 가지를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잎과 가지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잎과 가지를 일정량의 물과 혼합하여 가열 농축기로 농축시키는 단계와; 농축단계를 통해 추출된 화살나무 추출물을 냉각하는 단계와; 냉각된 화살나무 추출물을 1.5 °C ~ 3.5 °C 하에서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 제공단계를 통해 참나무톱밥 배지에 제공되는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는
    희석수 20ℓ에 100 ~ 200g의 화살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 제공단계를 통해 참나무톱밥 배지에 제공되는 화살나무 추출물 희석수는
    배지용 침봉으로 공급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배지에 평균 7일에 1회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표고버섯의 건조 및 절단단계는
    상기 화살 표고버섯을 25 °C 하에서 2 ~ 4 시간 건조한 이후 상기 화살 표고버섯을 3 ~ 4 등분 절단하여 1.5 ~ 3.5 °C 하에서 저온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표고 건강밥 제조방법.

KR1020170140106A 2017-10-26 2017-10-26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 KR102014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06A KR102014374B1 (ko) 2017-10-26 2017-10-26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06A KR102014374B1 (ko) 2017-10-26 2017-10-26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376A true KR20190046376A (ko) 2019-05-07
KR102014374B1 KR102014374B1 (ko) 2019-08-26

Family

ID=6665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106A KR102014374B1 (ko) 2017-10-26 2017-10-26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7468A1 (de) 2018-12-31 2020-07-02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019B1 (ko) * 2010-09-16 2012-11-08 김은수 고혈압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밥물
KR20160035242A (ko) * 2014-09-23 2016-03-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올바이오텍 표고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KR101628650B1 (ko) * 2015-07-23 2016-06-09 주식회사 정식품 밥의 식미를 개선시키는 밥물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019B1 (ko) * 2010-09-16 2012-11-08 김은수 고혈압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밥물
KR20160035242A (ko) * 2014-09-23 2016-03-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올바이오텍 표고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와 그의 제조방법
KR101628650B1 (ko) * 2015-07-23 2016-06-09 주식회사 정식품 밥의 식미를 개선시키는 밥물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7468A1 (de) 2018-12-31 2020-07-02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374B1 (ko) 201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359B1 (ko) 숨쉬는 산야초 효소의 제조방법
KR100542451B1 (ko) 약주의 제조방법
CN103385449B (zh) 一种紫云英酱油
CN103340387A (zh) 一种辣木叶酱油的生产方法
KR20130037154A (ko) 버섯 추출물이 포함된 항암 발효물 제조방법
CN103099261A (zh) 蓝莓木瓜混合饮料及制作方法
KR101280455B1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187865B1 (ko) 녹차 효모를 이용한 산야초 발효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35939B1 (ko) 고들빼기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들빼기 장아찌
KR101120286B1 (ko) 산겨릅나무가 함유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602564A (zh) 甜玉米灵芝酒及其制备方法
KR102014374B1 (ko)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
CN110791404A (zh) 香椿白酒的制备方法
CN104824501A (zh) 一种水蜜桃风味的蜂蜜干粉及其制备方法
KR101923518B1 (ko) 기능성 건강 음료 및 제조방법
CN109938276A (zh) 一种提高航天员体质的天贝复合制剂
CN104824500A (zh) 一种增强免疫力的海藻蜂蜜干粉及其制备方法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CN105623968A (zh) 一种红肉火龙果混合发酵果酒及其酿造方法
KR101208451B1 (ko) 청국장과 발효한방 재료를 첨가한 전복환 제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9947A (ko) 항균식물 복합 발효액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KR102636322B1 (ko) 고추장 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굴비
KR102621081B1 (ko) 조개 및 해산물류의 양념소스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