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838A - 식품 고온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고온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838A
KR20190045838A KR1020180121906A KR20180121906A KR20190045838A KR 20190045838 A KR20190045838 A KR 20190045838A KR 1020180121906 A KR1020180121906 A KR 1020180121906A KR 20180121906 A KR20180121906 A KR 20180121906A KR 20190045838 A KR20190045838 A KR 20190045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main
pressure
communic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286B1 (ko
Inventor
켄이치 오사코
아키노리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딕
Publication of KR20190045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8Apparatus for decorat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23L3/015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using sub- or super-atmospheric pressures, or pressure variations transmitted by a liquid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 A23L3/0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with packages on endless chain or band conveyors
    • A23L3/04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with packages on endless chain or band conveyors transported in a hydrostatic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2210/00Physical treatment of dairy products
    • A23C2210/15High pressur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027/006Cooking-vessels e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pasta
    • A47J2027/008Cooking-vessels e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pasta for cooking pasta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조(14), 전예비조(13) 및 후예비조(15)의 세 조로 고온 가열조(10)가 구성되고,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는 각각, 상부에 개구를 갖는 제1 저류부(131, 151)와, 이 제1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의 하부에서 연통되어 상부에 개구를 갖는 제2 저류부(132, 152)를 가지고 있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1)에 있어서,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의 각 제2 저류부의 수면(13Wm, 15Wm)과 본조의 수면(14W) 사이를 연통시켜,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를 저류하는 연통실(31, 32)을 마련하고, 연통실의 내부에 고압 유체 공급 수단(40, 41)으로부터 고압 기체 또는 가압 액체를 공급한다.

Description

식품 고온 가열 장치{Heating apparatus of food}
본 발명은, 면, 레토르트 식품, 통조림, 병조림과 같은 식품의 가열을 100℃보다 고온의 물로 연속적으로 행하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 고온 가열 장치는, 예를 들면, 고온 면삶기 장치[high temperature noodle boiling machine]이다. 고온 면삶기 장치는, 100℃보다 고온의 물을 저장한 면삶기조[noodle boiling tank] 속에서 면을 삶는다. 고온 면삶기 장치는, 면을 살균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면을 삶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혹은 삶아진 면의 식감을 좋게 한다. 물은 온수도 포함한다. 상온으로 유지된 면삶기조 밖에서 직접 고온의 면삶기조 내로 면을 공급하면, 면이 삶아질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삶아진 면을 고압의 면삶기조 안에서 상압으로 유지된 면삶기조 밖으로 직접 꺼내면, 면이 파열되고, 면의 형태가 없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4의 고온 면삶기 장치는, 면삶기조 속을 조(槽)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된 제1 구획판과 제2 구획판으로 구획하여, 고온의 물을 저장하는 본조(本槽)와, 본조에 대하여 제1 구획판을 통하여 인접하는 전예비조와, 본조에 대하여 제2 구획판을 통하여 인접하는 후예비조를 갖는다. 면은, 전예비조→본조→후예비조의 경로로 각 조로 차례로 보내져서 삶아진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 및 4의 고온 면삶기 장치는, 본조의 증기압, 전예비조 중의 수두[水頭: hydraulic head] 및 후예비조 속의 수두에 의해, 본조 내의 100℃의 물에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을 가하여, 본조 내에서 100℃보다 고온의 물을 끓인다. 면은, 본조 내의 100℃보다 고온의 물로 삶아진다. 전예비조는, 면을 서서히 승압시키고 예비 가열할 수 있다. 후예비조는, 면을 서서히 감압하고 식힐 수 있다.
전예비조의 내부는, 제1 구획판과 대향하는 제1 세로벽부를 배치하여 구획되어 있다. 후예비조의 내부는, 제2 구획판과 대향하는 제2 세로벽부를 배치하여 구획되어 있다. 제1 세로벽부와 제2 세로벽부 사이에는, 본조를 위에서 덮는 덮개판이 마련되어 있다. 제1 구획판과 제1 세로벽부 사이에 있어서 전예비조 내에 제1 중간 수면이 형성된다. 제1 중간 수면은, 면삶기조 밖에 대면하는 전예비조 내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제2 구획판과 제2 세로벽부 사이에 있어서 후예비조 내에 제2 중간 수면이 형성된다. 제2 중간 수면은, 면삶기조 밖에 대면하는 후예비조 내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전예비조 내의 제1 중간 수면 위와 본조 수면 위에 걸쳐 연장되는 제1 증기층이 형성된다. 후예비조 내의 제2 중간 수면 위와 본조 수면 위에 걸쳐 연장되는 제2 증기층이 형성된다.
: 일본 등록특허공보 소 49-35434호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0-207558호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0-108015호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0-198114호
제1 및 제2 증기층에 의한 본조 내의 물과 전예비조 내의 물 사이, 및 본조 내의 물과 후예비조 내의 물 사이의 단열 효과는 낮다. 전예비조 내 및 후예비조 내의 물의 온도는, 본조의 열의 영향을 받아 원하는 온도보다 고온이 된다.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는, 물의 온도 관리가 어려워지고, 예를 들면, 면의 예비 가열 및 면의 냉각 등의 본래의 기능이 해쳐진다. 또한, 증기관으로부터 분출되는 증기에 의해 가열하기 때문에, 각 조의 온도 관리가 어렵다. 또한, 제1 및 제2 증기층에 각각 전예비조 내의 수두, 후예비조 내의 수두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증기층이 자칫하면 얇아지기 쉽고, 단열 효과가 더 낮아진다. 증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 즉 전술한 세로벽부 및 덮개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증기실을 보다 크게 하여, 제1 및 제2 증기층의 면적이나 두께를 보다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그렇게 하면 면삶기 장치가 대형화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조 내의 물과 전예비조 내의 물 사이, 및 본조 내의 물과 후예비조 내의 물 사이에서 충분한 단열 작용을 얻을 수 있고, 각 조의 온도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그리고 대형화를 피할 수 있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목적이나 본 발명의 이점은 뒤에 계속되는 설명에 있어서 진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고온 가열 장치는, 100℃보다 높은 온도의 물을 저류(貯留)하는 본조, 각각 물을 저류하는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의 세 조로 이루어지는 가열조로서,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는 각각, 상부에 개구를 갖는 제1 저류부와, 이 제1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의 하부에서 연통되어 상부에 개구를 갖는 제2 저류부를 가지고 있는 가열조와, 본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가열 대상인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를, 전예비조, 본조 및 후예비조의 각 수중을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용기 이송 수단과,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의 각 제2 저류부의 수면과 본조의 수면 사이를 연통시켜,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를 저류하는 연통실과, 연통실의 내부에 고압 기체 또는 가압 액체를 공급하는 고압 유체 공급 수단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는, 본조로부터의 열에 의해 전예비조나 후예비조 내의 물의 온도가 바람직하지 않은 정도까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본조의 온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는, 본조,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 내의 물의 온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는, 장치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고온 가열 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고온 가열 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는, 가열 대상인 식품이 우동, 메밀국수(소바)과 같은 면(국수)이고, 복수 개의 면 덩어리를 연속적으로 고온에서 가열하는 고온 면삶기 장치이다. 이하, 가열조를 면삶기조(10)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고온 가열 장치(1)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식품 고온 가열 장치(1)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판 등으로 형성된 가열조인 면삶기조(10)와, 가열 수단으로서의 증기 공급관(16)과, 용기 이송 수단(20)과, 전측 연통실(31)과, 후측 연통실(32)과, 배관(40)과, 고압 유체원(41)을 가지고 있다.
면삶기조(10)는, 조의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된 제1 구획판(11) 및 제2 구획판(12)에 의해, 전예비조(13), 본조(14) 및 후예비조(15)의 세 조로 나뉘어져 있다. 본조(14)는, 100℃보다 높은 온도의 물을 저류한다. 전예비조(13)와 후예비조(15)는, 물을 저류하고 소요(所要)의 수두압(水頭壓)을 발생시키는 높이를 갖는다. 즉, 두 구획판(11, 12) 사이의 조가 본조(14)가 되고, 본조(14)에 대하여 제1 구획판(11)을 통하여 인접하는(이웃하는) 조가 전예비조(13)가 되고, 제2 구획판(12)을 통하여 인접하는 조가 후예비조(15)로 되어 있다. 덧붙여 본조(14)의 상부는 덮개(30)에 의해 닫혀 있다. 이상의 조(13, 14 및 15)의 내부에는, 면을 삶기 위한 물(W)이 저장된다. 여기서, "물"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도 포함하는 것이다. 덧붙여, 전예비조(13)의 세로벽부(51) 및 후예비조(15)의 세로벽부(52)는, 각각 제1 구획판(11), 제2 구획판(12)보다, 본조(14)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각각 제1 구획판(11), 제2 구획판(12)과 정합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증기 공급관(16)은, 본조(14) 내에 있어서, 바닥면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증기 공급관(16)은, 도시하지 않은 증기 발생기에 접속되어 본조(14)에 저장되어 있는 물(W) 속에 증기를 공급하고, 이 물(W)을 가열, 고온화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고온 가열 장치(1)는, 예를 들면, 전예비조(13) 내의 물을 가열하는 전예비조용 가열 수단으로서의 전예비조용 증기 공급관(16a)과 후예비조(15) 내의 물을 냉각하는 후예비조용 냉각 수단으로서의 후예비조용 냉각수 공급관(16b)을 가질 수도 있다. 전예비조용 증기 공급관(16a)은, 전예비조(13) 속의 물(W)을 예를 들면 90℃ 내지 98℃ 정도의 온도로 유지하도록 가열 제어하여, 전예비조(13) 속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식품, 실시 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 면을 예비 가열한다. 또한, 후예비조용 냉각수 공급관(16b)은, 후예비조의 물(W)을 예를 들면 10℃ 내지 40℃ 정도의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도록 냉각 제어한다.
용기 이송 수단(20)은, 연속적으로, 소정의 양으로 구분된 복수 개의 면 덩어리를 차례로 전예비조(13)로부터 도입하여 본조(14)로 이송하여 본조(14)로부터 후예비조(15)를 지나 면삶기조(10)로부터 도출한다. 예를 들면 전예비조(13) 내, 전측 연통실(31) 내, 본조(14) 내의 전예비조(13)에 가까운 위치, 본조(14) 내의 후예비조(15)에 가까운 위치, 후측 연통실(32) 내, 및 후예비조(15) 내에 각각 배치된 스프로킷(21, 22, 23, 24, 25, 및 26)에 빙둘러 걸쳐진 엔드리스형 체인(28)과, 이 체인(28)에 같은 피치(등 간격)로 보유 유지(保持)된 복수 개의 용기(27)를 가지고 있다. 용기(27)는 예를 들면 바구니 형태로 된 투수성(透水性)의 바닥 있는 용기로서, 삶아진 면을 수용한다. 또한 체인(28)은 엔드리스형 체인이 되고, 도시하지 않은 부분에서도 구동용 스프로킷 등에 빙둘러 걸쳐져 있다. 그에 따라, 체인(28)은 각 용기(27)를, 전예비조(13)→전측 연통실(31)→본조(14)→후측 연통실(32)→후예비조(15)→전예비조(13)→…의 경로를 거치도록 순환 이송한다. 가열 대상이 레도르트 식품, 통조림, 병조림과 같은 면 이외의 식품인 경우에는, 그 식품의 외형에 맞추어 본조(14)의 고온의 물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형태의 용기가 적당히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의 연통실로서의 전측 연통실(31)은, 하방이 개방된 예를 들면 버킷 형태의 것이다. 즉, 이 전측 연통실(31)은, 본조(14)의 바닥면(14a) 및 전예비조(13)의 바닥면(13a)의 적어도 일부에 상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윗바닥부(31a)와, 이 윗바닥부(31a)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틀 형태의 측벽부(31b)로 이루어지는, 하방이 개방된 연통실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측 연통실(31)은, 전예비조(13) 속에 들어간 부분에 의해 상기 전예비조(13)의 수중에, 이 전예비조(13) 내의 수면(13W)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중간 수면(13Wm)을 형성하고, 이 중간 수면(13Wm) 위와 본조(14)의 수면(14W) 위에 걸쳐 연장되는 밀폐 공간(33)을 구획 형성한다. 덧붙여, 측벽부(31b)는, 도시되어 있는 2개의 세로벽 형상의 부분을 도면의 앞쪽의 단부끼리와 도면의 안쪽의 단부끼리로 닫는 수직벽 형상 부분을 가져, 전술한 바와 같은 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측벽부(31b)와 윗바닥부(31a)에 의해 위에서부터 덮여져서, 중간 수면(13Wm) 위와 본조(14)의 수면(14W) 위와의 사이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후측 연통실(32)도 전측 연통실(31)과 마찬가지로, 하방이 개방된 예를 들면 버킷 형상의 것이다. 즉, 이 후측 연통실(32)은, 본조(14)의 바닥면(14a) 및 후예비조(15)의 바닥면(15a)의 적어도 일부에 상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윗바닥부(32a)와, 이 윗바닥부(32a)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틀 형상의 측벽부(32b)로 이루어지는, 하방이 개방된 연통실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후측 연통실(32)은, 후예비조(15) 속에 들어간 부분에 의해 상기 후예비조(15)의 수중에, 이 후예비조(15) 내의 수면(15W)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중간 수면(15Wm)을 형성하고, 이 중간 수면(15Wm) 위와 본조(14)의 수면(14W) 위에 걸쳐 연장되는 밀폐 공간(34)을 구획 형성한다. 덧붙여, 측벽부(32b)는,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세로벽 형상의 부분을 도면의 앞쪽의 단부끼리와 도면의 안쪽의 단부끼리로 닫는 수직벽 형상 부분을 가져, 전술한 바와 같은 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측벽부(32b)와 윗바닥부(32a)에 의해 위에서부터 덮여져서, 중간 수면(15Wm) 위와 본조(14)의 수면(14W) 위와의 사이가 연통되어 있다.
배관(40) 및 고압 유체원(4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압 유체 공급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압 기체란,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의 기체, 즉 1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의 기체를 의미하는 것인데, 현실적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압력 범위에 있는 기체가 된다. 그 기체로서 통상적으로는 공기가 사용되면 좋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고압 유체 공급 수단에 있어서, 고압 유체원(41)은 공기 펌프나 에어 컴프레서로서, 예를 들면 2~3 기압 정도의 고압 공기를 발생시킨다. 이 고압 공기는, 도중에서 갈라져 있는 배관(40)을 통하여, 전측 연통실(31) 및 후측 연통실(32)의 각 내부에 공급된다. 그 때문에, 전측 연통실(31)과 후측 연통실(32)의 실내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충분히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므로, 수두압을 포함하는 연통실 내의 공기에 가해지는 외압에 대향하여 연통실 내의 공기의 단열층의 부피를 유지하고, 단열 효과의 저하를 억제한다.
다음, 상기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1)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전측 연통실(31)과 후측 연통실(32)은 서로 동일한 형상의 기체실로서,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주로 전예비조(13)와 전측 연통실(31)과 본조(14)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을 후예비조(15)와 후측 연통실(32)과 본조(14) 사이에서도 언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취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면을 삶을 때에는, 전예비조(13), 본조(14) 및 후예비조(15)의 내부에 면을 삶기 위한 물(W)이 저류된다. 또한, 증기 공급관(16) 내 및 전예비조용 증기 공급관(16a) 내에 고온의 증기가 공급되고, 이 증기가 본조(14) 및 전예비조(13)의 바닥면 근처로부터 관벽을 통하여 그 주위를 간접적으로 가열한다. 전예비조용 증기 공급관(16a) 내에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의 유량과, 증기 공급관(16) 내에 공급되는 증기의 유량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유량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이 증기에 의해 본조(14) 내의 물(W)이 가열되고, 또한 전예비조(13) 내의 물(W)이 예비 가열된다. 또한, 고압 유체원(41)이 작동되어, 예를 들면 2~3 기압 정도의 고압 공기가 전측 연통실(31) 및 후측 연통실(32)의 각 내부에 공급된다. 또한, 후예비조용 냉각수 공급관(16b) 내에 소정의 온도의 냉각수가 순환 공급되고, 후예비조(15)의 바닥면 근처에 있어서 후예비조(15) 내의 물을 소정의 온도로 냉각하고 있다. 이 때, 도시하지 않은 복수 개의 온도 센서에 의해 각 조에 있어서의 수온을 종합적으로 검출하여 증기 내지 냉각수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각 조의 온도가 각각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용기 이송 수단(2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함으로써, 면을 수용한 용기(27)는, 전예비조(13), 본조(14) 및 후예비조(15)를 차례로 통과한다. 따라서, 용기(27)에 수용된 면은, 전예비조(13)에 있어서 상압으로 그리고 소정의 온도의 물로 예비 가열되고, 다음, 본조(14)에 있어서 고압으로 그리고 100℃보다 고온의 소정의 온도의 물로 삶아지고, 마지막으로 후예비조(15)에 있어서 상압으로 그리고 소정의 온도의 물로 냉각되어 열을 식힌다. 이상의 처리를 받은 면은, 후예비조(15)보다 바깥으로 나온 용기(27)로부터 꺼내진다.
여기서, 전예비조(13)의 중간 수면(13Wm)에는, 이 중간 수면(13Wm)과 전예비조(13) 내의 수면(13W) 사이의 수두에 의한 수두압에 대기압을 더한 압력이 작용한다. 이 압력은, 전측 연통실(31) 내의 공기를 통하여, 본조(14)의 수면(14W)에도 작용한다. 이 점은, 후예비조(15)와 본조(14)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리하여, 본조(14) 내의 물(W)에는 1기압을 상기 수두압만큼 웃도는 압력이 가해지므로, 이 물(W)은 끓는점이 상승하여, 100℃를 초과하고, 구체적으로는, 105℃ 이상 120℃까지의 범위에서 일정한 온도, 예를 들면, 110℃의 고온으로 유지된다. 이 고온화된 본조(14) 내의 물(W)로 면을 살균과 동시에 삶음으로써, 삶는 시간이 단축되고, 그리고 삶아진 면의 식감도 좋은 것이 된다. 또한, 면을 삶음과 동시에 균이 보다 확실하게 사멸되는 100℃를 초과하는 고온에 소정 시간 면을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멸균 처리할 수 있고, 식품의 안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측 연통실(31) 내의 공기는, 상기 중간 수면(13Wm)과 본조(14)의 수면(14W) 사이를 단열하는 단열층으로서 작용하므로, 본조(14)로부터의 열에 의해 전예비조(13) 내의 물의 온도가 바람직하지 않은 정도까지 고온화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은, 후예비조(15)와 후측 연통실(32)과 본조(14)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전예비조(13)의 중간 수면(13Wm)이 발생하는 부분(도면 중에 도시한 파선보다 본조(14) 측의 부분)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예비조(13) 속(中)의 제2 저류부(132)이고, 그것보다 본조(14)의 반대측에 있는 부분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예비조(13) 속의 제1 저류부(131)이다. 덧붙여, 상기 파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중간 수면(13Wm)보다 상방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하단이 바닥면(13a)으로부터 위로 이격되어 있는 구획 부재를 배치하여, 전예비조(13) 속의 제1 저류부(131)와 제2 저류부(132)를 명확하게 구획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점은, 후예비조(15) 속의 제1 저류부(151)와 제2 저류부(15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파선이 전예비조(13) 속의 제1 저류부(131)와 제2 저류부(132)와의 경계 및 후예비조(15) 속의 제1 저류부(151)와 제2 저류부(152)와의 경계를 나타내고 있는 점은, 도 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측 연통실(31) 및 후측 연통실(32)의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고압 공기가 공급되므로, 단열층으로서 작용하는 전측 연통실(31) 내 및 후측 연통실(32) 내의 공기가 상기 수두압에 의해 얇게 압축되어 버림으로써, 단열 작용이 해쳐지는 것을 방지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효과는, 전측 연통실(31) 및 후측 연통실(32)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아니라, 고압 공기의 공급에 의해 얻고 있으므로, 면삶기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고압"이란, 필요 충분한 단열성을 얻는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는 대기압보다 큰 소정의 압력을 나타내는데, 이상적으로는, 대기압에 상기 수두압을 더한 값 또는 그 값보다 높은 압력이 된다. 그 결과, 이송 경로에 있어서, 전예비조(13)와 본조(14) 사이에서 단열됨과 아울러 수두압이 완만하게 가해지고, 후예비조(15)와 본조(14) 사이에서 단열됨과 아울러 수두압이 완만하게 줄어들므로, 본조의 온도가 고온이라도 급격한 감압에 의한 면의 파열이 없어지고, 원하는 온도에서 예비 가열부터 가열 후의 냉각까지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인 가열을 행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되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1)와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1)와 대비하면, 단열을 위하여 전측 연통실(31)과 후측 연통실(32)에 각각 저류하는 단열체가 기체인 공기 대신 액체인 식용유, 예를 들면, 식물유인 점에서 기본적으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있어서의 고압 유체원(41)의 공기 펌프 대신 송유용 펌프가 마련된다. 또한, 배관(40)은, 공기 배관 대신 급유관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압 액체란, 액체를 연통실로 송액(送液)하기 위하여 가압한 액체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연통실 내의 물과 직접 혼합되지 않고, 단열성을 가지며, 120℃에서 발화되지 않는 식품 위생 상 무해한 액체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1)에 의한 효과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기름은 공기에 비해 밀도가 높고 압축률이 작고 내압성이 높으므로, 식물유의 압력이 낮아도 외압에 대항하여 전측 연통실(31)과 후측 연통실(32) 각각에 있어서 식물유의 부피를 유지하고 단열층을 보유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수두압을 보다 크게 하여 본조(14)의 온도를 보다 고온으로 하는 경우라도 단열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전측 연통실(31) 및 후측 연통실(32)의 실내의 압력은, 본조(14)의 실내의 압력보다 작으므로, 가열조인 면삶기조(10)는, 고압의 압력 용기에 비해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가압 액체로서 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고압 기체와 동일하게 연통실에 가압 액체를 공급하여도, 본조(14) 내 및 연통조 내의 물과 혼합되어 버리기 때문에 단열 작용을 얻을 수 없으므로, 예를 들면, 가압된 물에 의해 물 흐름(水流)을 만들고, 연통실 내에 있어서 물에 의한 커튼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때 공급되는 물은, 1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가압 액체"에 포함된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고온 가열 장치(3)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식품 고온 가열 장치(3)는, 제1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1)와 대비하면, 가압된 물 흐름에 의한 물의 커튼에 의해 전예비조(13)와 본조(14) 사이, 및 본조(14)와 후예비조(15) 사이에서 단열하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다르다. 전측 연통실(31)은, 하방으로 돌출시킨 두 개의 부분이 각각 전예비조(13)의 중간 수면(13Wm), 본조(14)의 수면(14W)으로부터 수중으로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측 연통실(32)은, 하방으로 돌출시킨 두 개의 부분이 각각 후예비조(15)의 중간 수면(15Wm), 본조(14)의 수면(14W)으로부터 수중으로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압 유체원(41)으로는 가압 물펌프가 사용되고, 배관(40)은 송수 배관으로 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3)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식품 고온 가열 장치(1)에 의한 효과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전측 연통실(31), 후측 연통실(32)에 있어서는, 각각 도 2 중에 화살표 33b, 34b로 도시한 바와 같은 물 흐름의 커튼이 생기고, 전예비조(13)와 본조(14) 사이, 및 본조(14)와 후예비조(15) 사이가 단열된다. 특히, 제3 실시 형태의 고온 가열 장치(3)는, 연통실 내의 내압이 저압이므로, 본조(14)에 있어서의 압력이 연통실에 개방되고, 취급이 용이하다.
제3 실시 형태의 고온 가열 장치(3)는, 가압 액체에 의해 연통실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경우, 공기에 비해 단열성이 조금 낮아지는데, 연통실에 공기층이 없고, 가압 액체로 채워지는 연통실에 의해, 외관 상 전예비조와 본조와 후예비조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세 조 각 조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하나의 연통실에서 이어져서, 소위 "개방형 변형 냄비"과 유사한 구조가 되므로, 취급이 간단해진다. 예를 들면, 하나의 연통실은, 전예비조(13)의 바닥면(13a), 본조(14)의 바닥면(14a) 및 후예비조(15)의 바닥면(15a)의 적어도 일부에 상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윗바닥부와, 이 윗바닥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틀 형태의 측벽부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연통실이 마련되는 경우, 용기 이송 수단(20)은, 예를 들면, 삶아지는 면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용기(27)를, 전예비조(13)의 수중, 연통실의 내부, 본조(14)의 수중, 연통실의 내부, 및 후예비조(15)의 수중을 순서대로 거쳐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형태는 발명의 원리와 그 실용적인 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었다. 전술한 기술(記述)을 참조하여 다양한 개량이 가능하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1, 3 : 고온 가열 장치에 해당하는 고온 면삶기 장치
10 : 가열조에 해당하는 면삶기조
11 : 제1 구획판
12 : 제2 구획판
13 : 전예비조
14 : 본조
15 : 후예비조
16 : 본조용 증기 공급관
16a : 전예비조용 증기 공급관
16b : 후예비조용 냉각수 공급관
20 : 용기 이송 수단
21~26 : 스프로킷
27 : 용기
28 : 엔드리스형 체인
30 : 본조의 덮개
33, 34 : 밀폐 공간
33b, 34b : 수류
40 : 배관
41 : 고압 유체원
60 : 본조의 덮개

Claims (10)

100℃보다 높은 온도의 물을 저류하는 본조, 각각 물을 저류하는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의 세 조로 이루어지는 가열조로서, 상기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는 각각, 상부에 개구를 갖는 제1 저류부와, 이 제1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의 하부에서 연통되어 상부에 개구를 갖는 제2 저류부를 가지고 있는 가열조;와,
상기 본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가열 대상인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를, 상기 전예비조, 상기 본조 및 상기 후예비조의 각 수중을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용기 이송 수단;과,
상기 전예비조 및 후예비조의 각 제2 저류부의 수면과 상기 본조의 수면 사이를 연통시켜,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를 저류하는 연통실;과,
상기 연통실의 내부에 고압 기체 또는 가압 액체를 공급하는 고압 유체 공급 수단;
을 갖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실로서,
상기 전예비조의 제2 저류부의 수면과 상기 본조의 수면 사이를 연통시키는 전측 연통실과,
상기 후예비조의 제2 저류부의 수면과 상기 본조의 수면 사이를 연통시키는 후측 연통실을 갖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 조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측 연통실은, 상기 본조 및 상기 전예비조의 각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윗바닥부와, 이 윗바닥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틀 형상의 측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측 연통실은, 상기 본조 및 상기 후예비조의 각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윗바닥부와, 이 윗바닥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틀 형상의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이송 수단은 상기 용기를, 상기 전예비조의 수중, 상기 전측 연통실의 내부, 상기 본조의 수중, 상기 후측 연통실의 내부, 및 상기 후예비조의 수중을 순서대로 거쳐 이송하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열조는, 해당 가열조의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되는 제1 구획판 및 제2 구획판에 의해 상기 세 조로 나뉘고,
상기 본조는, 상부가 덮개로 덮이고, 상기 제1 구획판과 상기 제2 구획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예비조는, 소정의 수두압을 발생시키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조에 대하여 제1 구획판을 통하여 인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예비조는, 상기 전예비조와 동일한 상기 소정의 수두압을 발생시키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조에 대하여 제2 구획판을 통하여 인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고압 기체 또는 상기 가압 액체는, 대기압에 상기 소정의 수두압을 더한 값 또는 해당 값보다 큰 값의 압력인 식품 고온 가열 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기체 또는 상기 가압 액체는, 2기압부터 3기압까지의 압력인 식품 고온 가열 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조 내의 물의 온도는, 105℃부터 120℃까지의 소정의 온도로 하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예비조 내의 물을 90℃부터 98℃까지의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전예비조용 가열 수단과,
상기 후예비조 내의 물을 10℃부터 40℃까지의 소정의 온도로 냉각하는 후예비조용 냉각 수단을 갖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기체는 공기이고, 상기 가압 액체는 식용유 또는 물인 식품 고온 가열 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본조 내에 배치되어, 관내를 지나는 증기의 열을 관벽을 타고 상기 본조 내의 물로 전달하는 증기 공급관을 갖는 식품 고온 가열 장치.
KR1020180121906A 2017-10-24 2018-10-12 식품 고온 가열 장치 KR102199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5134 2017-10-24
JP2017205134A JP6748051B2 (ja) 2017-10-24 2017-10-24 食品高温加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838A true KR20190045838A (ko) 2019-05-03
KR102199286B1 KR102199286B1 (ko) 2021-01-06

Family

ID=6616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906A KR102199286B1 (ko) 2017-10-24 2018-10-12 식품 고온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06855B2 (ko)
JP (1) JP6748051B2 (ko)
KR (1) KR102199286B1 (ko)
CN (1) CN1096916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1670B2 (ja) 2019-10-02 2021-05-12 株式会社ソディック 水頭圧式食品加熱装置
CN110613360A (zh) * 2019-10-31 2019-12-27 浙江合马商用设备有限公司 一种快速加热并节能的小型热罐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5434A (ko) 1972-08-07 1974-04-02
JPS60108015A (ja) 1983-11-16 1985-06-13 村上 謙次 麺の茹加工装置
JPS60198114A (ja) 1984-03-22 1985-10-07 大和鉄工株式会社 連続茹麺装置
JPS60207558A (ja) 1984-04-02 1985-10-19 Hiroyuki Yamato 麺類製造法及びその装置
JP2011050611A (ja) * 2009-09-02 2011-03-17 Nakano Shokuhin Kk 包装茹で麺製造装置及び包装茹で麺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9139A (en) * 1920-12-07 1922-06-13 Robert L Hunter Continuous pressure cooker
FR1391729A (fr) * 1963-10-01 1965-03-12 Procédé et appareillages de traitement thermique en continu de produits placés enrécipients étanches
US3634099A (en) * 1969-11-20 1972-01-11 Fmc Corp Control of hydrogen formation in pouches during heat treatment
US3927976A (en) * 1973-09-26 1975-12-23 Fmc Corp Containerized hydrostatic sterilizing system
JPH09285282A (ja) * 1996-04-23 1997-11-04 Kumeta Seisakusho:Kk マイクロ波殺菌装置
JP3635476B2 (ja) * 1996-08-28 2005-04-06 カゴメ株式会社 加工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WO1999029187A1 (en) 1997-12-05 1999-06-17 Meyer Richard S Ultra high pressure, low temperature food preservation process
CN100369569C (zh) * 2001-11-29 2008-02-20 小野食品兴业株式会社 食品加热装置
JP4170287B2 (ja) * 2004-12-21 2008-10-22 株式会社メイトー 食材茹で機
JP4684026B2 (ja) 2005-07-04 2011-05-18 越後製菓株式会社 食品加熱処理方法並びに食品加熱処理装置
CN103622130A (zh) * 2013-11-14 2014-03-12 成都市翻鑫家科技有限公司 一种巴氏杀菌机
CN205181833U (zh) * 2015-12-10 2016-04-27 诸城市安泰机械有限公司 灭菌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5434A (ko) 1972-08-07 1974-04-02
JPS60108015A (ja) 1983-11-16 1985-06-13 村上 謙次 麺の茹加工装置
JPS60198114A (ja) 1984-03-22 1985-10-07 大和鉄工株式会社 連続茹麺装置
JPS60207558A (ja) 1984-04-02 1985-10-19 Hiroyuki Yamato 麺類製造法及びその装置
JP2011050611A (ja) * 2009-09-02 2011-03-17 Nakano Shokuhin Kk 包装茹で麺製造装置及び包装茹で麺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286B1 (ko) 2021-01-06
JP2019076367A (ja) 2019-05-23
CN109691624A (zh) 2019-04-30
CN109691624B (zh) 2022-05-24
US20190116850A1 (en) 2019-04-25
JP6748051B2 (ja) 2020-08-26
US11206855B2 (en)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5838A (ko) 식품 고온 가열 장치
US9723950B2 (en) Vertical food cabinet
KR101867630B1 (ko) 식품 살균 장치 및 식품 살균 방법
EP1659908A4 (en) IMPROVED SYSTEM FOR HEATING TABLETTRATIONS
TW201420977A (zh) 開飲機
KR20190107840A (ko) 밀폐 시스템을 갖는 레토르트 식품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US96299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team and gaseous hydrogen peroxide
US5103076A (en) Structure of double steam oven
JP5256138B2 (ja) 加熱殺菌装置
CN108137305A (zh) 饮料供给装置的杀菌方法及饮料供给装置
JP5717707B2 (ja) 食品処理装置
US20140248573A1 (en) Device for heat treatment, and heat treatment method
KR200441724Y1 (ko) 다용도 요리기.
KR102444183B1 (ko) 연속식 멸균 시스템
KR200309752Y1 (ko) 간이 증기조리기
RU2310122C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нагреватель прие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в газообразном состоянии
JP6425506B2 (ja) レトルト装置及びレトルト殺菌方法
JP2005224134A (ja) 食品の殺菌加熱方法
TW201601667A (zh) 蒸箱裝置及具有鍋爐之蒸箱裝置
US11419353B2 (en) Food heating apparatus
JP5999318B2 (ja) 殺菌装置
CN210352983U (zh) 一种杀菌釜用保温装置
JPH0331296Y2 (ko)
UA52896C2 (en) Thin-walled fermentation apparatus
JP2562134Y2 (ja) 熱水噴流式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