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183B1 - 연속식 멸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속식 멸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183B1
KR102444183B1 KR1020220015531A KR20220015531A KR102444183B1 KR 102444183 B1 KR102444183 B1 KR 102444183B1 KR 1020220015531 A KR1020220015531 A KR 1020220015531A KR 20220015531 A KR20220015531 A KR 20220015531A KR 102444183 B1 KR102444183 B1 KR 10244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er
pouch
supply
hot water
ster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용
전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1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 A23L3/0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with packages on endless chain or band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멸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트로트 파우치를 고온의 열수를 이용하여 직립된 레토르트 파우치를 연속으로 멸균하기 위한 직립형 레토르트 파우치를 살균하기 위한 연속식 멸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우치를 살균 및 멸균하기 위한 열수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열수공급장치(102)와;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우치를 멸균하기 위한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와; 상기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의 상부에 설치되고 파우치의 열기를 식히기 위한 냉수공급장치(108)와; 상기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이동컨베이어장치(118)로 이루어져서 파우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살균 및 멸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우측부에는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로부터 공급되는 파우치를 안내하여 상기 제1 멸균기(104)로 공급하는 제1 공급장치(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좌측부에는 상기 제1 멸균기(104)에서 살균 및 멸균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장치(11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속식 멸균 시스템은, 대용량의 파우치를 연속으로 단시간에 빠르게 살균 및 멸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파우치의 살균 및 멸균시 자동으로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연속식 멸균 장비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비용이 절감되고 레토르트 파우치의 직립시에도 파우치를 전체적으로 멸균을 할 수 있어서 식품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속식 멸균 시스템{Ster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연속식 멸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트로트 파우치를 고온의 열수를 이용하여 직립된 레토르트 파우치를 연속으로 멸균하기 위한 직립형 레토르트 파우치를 살균하기 위한 연속식 멸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에 포장된 식품을 가열 살균하는 파우치 살균기는 살균실과 냉각실을 구비하여 파우치를 대차에 적재하여 살균실에 투입한 후, 일정 시간동안 파우치를 가열 살균한 다음 다시 대차를 냉각실로 옮겨 파우치를 냉각하는 것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파우치 살균기는 파우치를 대차에 적재하는 작업, 살균실과 냉각실에 파우치가 적재된 대차를 투입하고 인출하는 작업 등 전체 살균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게 될 뿐 아니라 살균비용이 많이 들고 그에 따라 제품의 원가상승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살균실과 냉각실에 이송컨베이어를 설치하여 파우치에 포장된 식품을 연속으로 살균 및 냉각하는 파우치가 살균기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 살균기는 적정 살균시간 및 냉각시간 동안 파우치에 포장된 식품을 살균하기 위해서 살균실의 크기 및 냉각실의 길이를 길게 하여야 하므로 파우치 살균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파우치 살균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파우치 살균기의 경우에는 파우치가 직립으로 서서 이동하는 경우, 하단부는 열수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지만 상단부는 열수와 접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식품의 유해성 및 식품 안전성이 저하되어 소비자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45775호(2013.12.2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64023호(1998.09.10.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차를 이용하지 않고 컨베이어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연속하여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고 고열의 열수를 이용하여 분사하여 멸균 및 살균하도록 이루어진 연속식 멸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립해서 공급되고 이동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의 상단부를 고온의 열수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살균 및 멸균할 수 있는 연속식 멸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우치를 많은 양의 파우치를 단시간에 빠르게 연속해서 살균 및 멸균할 수 있는 자동화시킨 대용량 연속식 멸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파우치를 살균 및 멸균하기 위한 열수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열수공급장치(102)와;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우치를 멸균하기 위한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와; 상기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의 상부에 설치되고 파우치의 열기를 식히기 위한 냉수공급장치(108)와; 상기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이동컨베이어장치(118)로 이루어져서 파우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살균 및 멸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우측부에는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로부터 공급되는 파우치를 안내하여 상기 제1 멸균기(104)로 공급하는 제1 공급장치(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좌측부에는 상기 제1 멸균기(104)에서 살균 및 멸균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장치(11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멸균기(104) 및 제2 멸균기(106)의 내측부에 열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2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멸균기(104) 및 제2 멸균기(106)로 공급되는 파우치는 상기 제1 멸균기 및 제2 멸균기 내부의 열수에 의해서 부상되어 직립된 상태에서 분사노즐(26)에 의해 상단부가 살균 및 멸균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는 그 상단부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낙하조절장치(120)와; 상기 낙하조절장치(12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멸균기로 파우치를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장치(122)를 구비하고, 상기 낙하조절장치(120)에 의해 상기 제2 멸균기(106)로 공급되는 파우치를 제1 멸균기(104)로 전환하여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속식 멸균 시스템은, 대용량의 파우치를 연속으로 단시간에 빠르게 살균 및 멸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파우치의 살균 및 멸균시 자동으로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연속식 멸균 장비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비용이 절감되고 레토르트 파우치의 직립시에도 파우치를 전체적으로 멸균을 할 수 있어서 식품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식 멸균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식 멸균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공정 흐름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구체화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보통의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파우치를 살균 및 멸균하기 위한 열수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열수공급장치(102)와;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우치를 멸균하기 위한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와; 상기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의 상부에 설치되고 파우치의 열기를 식히기 위한 냉수공급장치(108)와; 상기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이동컨베이어장치(118)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우측부에는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로부터 공급되는 파우치를 안내하여 상기 제1 멸균기(104)로 공급하는 제1 공급장치(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좌측부에는 상기 제1 멸균기(104)에서 살균 및 멸균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장치(1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멸균기(104) 및 제2 멸균기(106)의 내측부에 열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2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멸균기(104) 및 제2 멸균기(106)로 공급되는 파우치는 상기 제1 멸균기 및 제2 멸균기 내부의 열수에 의해서 부상되어 직립된 상태에서 분사노즐(26)에 의해 상단부가 살균 및 멸균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는 그 상단부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낙하조절장치(120)와; 상기 낙하조절장치(12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멸균기로 파우치를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장치(122)를 구비하고, 상기 낙하조절장치(120)에 의해 상기 제2 멸균기(106)로 공급되는 파우치를 제1 멸균기(104)로 전환하여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기술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멸균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식 멸균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식 멸균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속식 멸균 시스템(100)은,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면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열수공급장치(102)와,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멸균기(104),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멸균기(106), 상기 제2 멸균기(106)의 상부에 설치되는 냉수공급장치(108)와, 상기 제1 멸균기(104) 및 제2 멸균기(106)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이동컨베이어장치(118),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낙하조절장치(120),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우치를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장치(122), 상기 제1 멸균기(104) 및 제2 멸균기(106)에 파우치를 공급하는 제1 공급장치(110) 및 제2 공급장치(114)과, 상기 제1 멸균기(104) 및 제2 멸균기(106)를 통과한 파우치를 배출하는 제1 배출장치(112) 및 제2 배출장치(116), 상기 제1 멸균기(104)를 통해 배출되는 파우치를 받아주는 받이탱크유닛(124)을 포함한다.
레토르트 파우치의 공급시 직립된 상태에서 살균 및 멸균하기 위한 고온의 열수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상기 열수공급장치(102)는 직사각형상으로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열수탱크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열수탱크몸체(10)의 우측면부에는 열수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12)의 상부에는 열수공급장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온의 열수는 120도 내지 180도의 범위 내에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우치는 제1 멸균기 및 제2 멸균기에 투입시 열수에 의해 직립해서 떠 있으며 이때 열수에 잠기지 않고 공기 중에 노출된 상단부는 살균 및 멸균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족하게 되는바, 상기 공기 중에 노출된 파우치의 상단부는 열수를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분사함으로써 파우치의 모든 부위를 살균 및 멸균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수탱크몸체(10)의 내측부에는 열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멸균기(104)는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의 열수탱크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레토르트 파우치를 살균 및 멸균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사각형상의 멸균기 몸체(18)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멸균기(104)는 직립된 상태에서의 레토르트 파우치의 하단 및 상단을 모두 살균 및 멸균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멸균기(104)의 멸균기 몸체(18)의 내측부에 횡방향으로 격판(20)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20)의 상부에는 열수가 공급되고 레토르트 파우치가 공급 저장되어 살균 및 멸균이 이루어지는 멸균실(22)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20)의 하부에는 상기 파우치를 살균 및 멸균한 후의 열수를 순환시키고 회수하기 위한 순환실(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멸균기 몸체(18)의 내측 상부면에는 고온의 열수를 분사하여 상기 직립된 상태의 파우치의 상단부를 고온으로 멸균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2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멸균기 몸체(18)의 우측면부에는 온도센서(13)가 설치되어 멸균기 몸체(19)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측정한다.
상기 멸균기 몸체(18)의 내측 후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격벽을 형성하는 다공판(2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다공판(28)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열수가 좌우로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공판(28)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공급되는 파우치를 막아주고 정렬을 시키도록 설치되며 5000 - 10000포의 대량의 파우치를 정렬시키고 살균 및 멸균이 가능하도록 정지시켜서 막아주거나 파우치를 해제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판(28)은 후술되는 제1 배출장치(112)와 연결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판(28)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들은 열수들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공들을 통해서 열수가 순환되며, 상기 통공은 우측변부의 직경은 크고 좌측변부의 직경은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열수의 흐름이 원할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멸균기(106)는 상기 제1 멸균기(104)의 멸균기 몸체(18)의 상부에 설치되고 레토르트 파우치를 살균 및 멸균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사각형상의 멸균기 몸체(19)가 형성되고, 상기 멸균기 몸체(19)의 우측면부에는 온도센서(15)가 설치되어 멸균기 몸체(19)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측정한다.
상기 제2 멸균기(106)는 직립된 상태에서의 레토르트 파우치의 하단 및 상단을 모두 살균 및 멸균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멸균기(106)의 멸균기 몸체(18)의 내측부에 횡방향으로 격판(21)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21)의 상부에는 열수가 공급되고 레토르트 파우치가 공급 저장되어 살균 및 멸균이 이루어지는 멸균실(23)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21)의 하부에는 상기 파우치를 살균 및 멸균한 후의 열수를 순환시키고 회수하기 위한 순환실(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멸균기 몸체(19)의 내측 상부면에는 고온의 열수를 분사하여 상기 직립된 상태의 파우치의 상단부를 고온으로 멸균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2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멸균기 몸체(19)의 내측 후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격벽을 형성하는 다공판(2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다공판(29)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열수가 좌우로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공판(29)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공급되는 파우치를 막아주고 정렬을 시키도록 설치되며 5000 - 10000포의 대량의 파우치를 정렬시키고 살균 및 멸균이 가능하도록 정지시켜서 막아주거나 파우치를 해제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판(29)은 후술되는 제1 배출장치(112)와 연결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배출장치(112)는 배출호퍼(34)와 배출도어 실린더(36)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판(29)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들은 열수들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공들을 통해서 열수가 순환되며, 상기 통공은 우측변부의 직경은 크고 좌측변부의 직경은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열수의 흐름이 원할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제2 멸균기(106)의 상부에는 냉수공급장치(108)가 설치되는바, 상기 냉수공급장치(108)는, 직사각형상의 냉수탱크몸체(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탱크몸체(38)의 내측부에는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부(39)가 형성되며, 상기 냉수탱크몸체(38)의 우측면부에는 온도센서(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17)는 파우치를 살균 또는 멸균한 후의 열수를 회수하면서 온도가 떨어진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감지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우측부 상단에는 제1 공급장치(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급장치(110)는 파우치를 받기 위한 공급호퍼(3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급호퍼(30)에는 공급도어 실린더(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도어 실린더(32)는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릍 통해서 이동하고 공급컨베이어장치(122)에 의해 파우치가 공급되는 경우 도어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좌측 하부에는 제1 배출장치(1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배출장치(112)는 상기 제1 멸균기(104)로부터 멸균 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호퍼(34)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호퍼(34)에는 배출도어 실린더(36) 설치되며 상기 배출도어 실린더(36)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어 멸균 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상부에는 제2 멸균기(106)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제2 멸균기(106)의 우측부 상단에는 제2 공급장치(1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급장치(114)는 파우치를 받기 위한 공급호퍼(38)가 설치되고 상기 공급호퍼(38)에는 공급도어 실린더(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도어 실린더(40)는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릍 통해서 이동하고 공급컨베이어장치(122)에 의해 파우치가 공급되는 경우 도어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멸균기(106)의 좌측 하부에는 제2 배출장치(11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배출장치(116)는 상기 제2 멸균기(106)로부터 멸균 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호퍼(44)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호퍼(44)에는 배출도어 실린더(46) 설치되며 상기 배출도어 실린더(46)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어 멸균 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멸균기(106)에 레토르트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이동컨베이어장치(118)가 설치되는바,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는 다수의 공급롤러(4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롤러(46)를 연결 설치하는 컨베이어벨트(48)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는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의 상단부는 제1 및 제2 멸균기를 향하도롤 상향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공급롤러(46)가 미도시된 동력원에 의해 회전 동작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48)를 회전시키면 상기 컨베이어벨트(48)의 상부에 파우치를 적재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경사각도를 갖도록 좌하향하는 낙하조절장치(120)가 설치된다.
상기 낙하조절장치(120)는 낙하조절판(50)을 구비하고 상기 낙하조절판(50)의 상단부가 이동컨베이어장치의 상단부와 힌지로 연결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멸균기(104)의 공급호퍼(30)와 상기 제2 멸균기(106)의 공급호퍼(38)로 연결되어 공급되는 파우치를 상기 공급호퍼(30)(38)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회동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낙하조절장치(120)는 초기에는 제2 멸균기(106)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사용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제1 멸균기(104)에 초기에 연결 설치된 후, 상기 제1 멸균기(104)에서 파우치가 모두 차서 멸균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제2 멸균기(106)로 회동 동작시켜서 연결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조절장치(120)의 상단부에는 공급컨베이어장치(122)가 연결 설치되어 진다.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122)는 상기 낙하조절장치(120)의 상단부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하부공급롤러(52)와, 상기 하부공급롤러(52)와 일정한 거리만큼 좌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공급롤러(54)와, 상기 하부공급롤러(52)와 상기 상부공급롤러(54)를 연결하고 회전하면서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컨베이어벨트(56)에 파우치가 적재되면 상기 하부 공급롤러(52)와 상부공급롤러(54)가 회전하여 컨베이어벨트에 적재된 파우치를 이동하여 제2 멸균기(106)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의 좌측부에는 받이탱크유닛(1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받이탱크유닛(124)은 제1 및 제2 멸균기를 통과하여 살균 및 멸균이 이루어진 파우치를 받아서 정렬시킨 후, 파우치를 건조하는 건조기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멸균시스템(100)은 직립상태의 파우치를 고온의 열수를 이용하여 살균 및 멸균하기 위해서 제1 멸균기 및 제2 멸균기 그리고 열수공급장치 및 냉수공급장치에 공급되는 열수 및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측정하고 제어하며 멸균기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고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온도 및 압력제어장치(126)를 포함한다.
도2 는 본 발명의 멸균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공정 흐름도로서, 우선, 열수공급장치(10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의 상측부에는 열수보충밸브가 연결 설치되고, 좌측부에는 다수의 스팀밸브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팀밸브들의 상측부에는 제2 열수리턴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팀밸브들은 스팀밸브1, 스팀밸브2, 스팀밸브3, 스팀밸브4, 스팀밸브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에 공급되는 열수의 수위레벨에 따라 개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의 저장부에는 열수가 공급되는바, 상기 열수의 수위레벨을 제1 레벨에서 제5레벨로 분류하고 각각 제1 레벨에서는 스팀밸브1, 제2레벨에서는 스팀밸브2, 제3레벨에서는 스팀밸브3, 제4레벨에서는 스팀밸브4, 제5레벨에서는 스팀밸브5를 개방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팀밸브들에는 스팀이 공급되어 열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에는 리턴펌프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턴펌프는 받이탱크유닛(124)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리턴펌프와 받이탱크유닛(124)의 사이에는 탱크밸브가 개재되어 설치된다.
한편, 제1 멸균기(104)와 제2 멸균기(10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멸균기(104)와 제2 멸균기(106)에는 냉수공급장치(108)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멸균기(104)와 제2 멸균기(106)는 멸균실(22,23)과 순환실(24,25)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우측부에는 제1 노즐밸브와 제1 공급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멸균기(106)의 우측부에는 제2 노즐밸브와 제2 공급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제1 노즐밸브와 제1 공급밸브에는 제1 펌프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펌프에는 제1 열수밸브와 제1 냉수밸브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멸균기(106)의 제2 노즐밸브와 제2 공급밸브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제2 노즐밸브와 제2 공급밸브에는 제2 펌프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펌프에는 제2 열수밸브와 제2 공급밸브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냉수 및 열수의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냉수 상한 레벨까지 보충수를 공급하고, 열수는 레벨 1까지 보충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열수 레벨에 따라 스팀밸브를 오픈하는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열수 5레벨까지 상승하면 스팀밸브를 5를 오픈한다.
열수가 4레벨까지 상승하며 스팀밸브를 4를 오픈하고, 열수레벨 3레벨까지 상승하면 스팀밸브 3을 오픈하고, 열수레벨 2레벨까지 상승하면 스팀밸브 2를 오픈하고 열수레벨 1레벨이 되면 스팀밸브 1을 오픈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열수탱크몸체 12 : 온도센서
14 : 압력센서 16 : 저장부
18 : 멸균기 몸체 20 : 격판
22 : 멸균실 24 : 순환실
26 : 분사노즐 28 : 다공판
30,38 : 공급호퍼 32,40 : 공급도어 실린더
34,42 : 배출호퍼 36,44 : 배출도어 실린더
38 : 냉수탱크몸체 39 : 저장부
46 : 공급롤러 48,56 : 컨베이어 벨트
50 : 낙하 조절판 52 : 하부 공급롤러
54 : 상부 공급롤러
100 : 연속식 멸균 시스템 102 : 열수공급장치
104 : 제1 멸균기 106 : 제2 멸균기
108 : 냉수공급장치
110 : 제1 공급장치 112 : 제1 배출장치
114 : 제2 공급장치 116 : 제2 배출장치
118 : 이동 컨베이어장치
120 : 낙하조절장치 122 : 공급 컨베이어장치
124 : 받이탱크유닛 126 : 온도 및 압력제어장치

Claims (3)

  1. 파우치를 살균 및 멸균하기 위한 열수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열수공급장치(102)와;
    상기 열수공급장치(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우치를 멸균하기 위한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와;
    상기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의 상부에 설치되고 파우치의 열기를 식히기 위한 냉수공급장치(108)와;
    상기 제1 및 제2 멸균기(104,106)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이동컨베이어장치(118)로 이루어져서 파우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살균 및 멸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우측부에는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로부터 공급되는 파우치를 안내하여 상기 제1 멸균기(104)로 공급하는 제1 공급장치(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좌측부에는 상기 제1 멸균기(104)에서 살균 및 멸균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장치(1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멸균기(104) 및 제2 멸균기(106)의 내측부에 열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2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멸균기(104) 및 제2 멸균기(106)로 공급되는 파우치는 상기 제1 멸균기 및 제2 멸균기 내부의 열수에 의해서 부상되어 직립된 상태에서 분사노즐(26)에 의해 상단부가 살균 및 멸균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는 그 상단부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낙하조절장치(120)와;
    상기 낙하조절장치(12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멸균기로 파우치를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장치(122)를 구비하고,
    상기 낙하조절장치(120)에 의해 상기 제2 멸균기(106)로 공급되는 파우치를 제1 멸균기(104)로 전환하여 공급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멸균기(104)의 상부에는 제2 멸균기(106)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멸균기(106)의 우측부 상단에는 제2 공급장치(1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공급장치(114)에는 파우치를 받기 위한 공급호퍼(38)가 설치되고 상기 공급호퍼(38)에는 공급도어 실린더(40)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도어 실린더(40)는 상기 이동컨베이어장치(118)릍 통해서 이동하고 공급컨베이어장치(122)에 의해 파우치가 공급되는 경우 도어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멸균기(106)의 좌측 하부에는 제2 배출장치(116)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배출장치(116)는 상기 제2 멸균기(106)로부터 멸균 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호퍼(44)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호퍼(44)에는 배출도어 실린더(46)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도어 실린더(46)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어 멸균 처리된 파우치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며,
    멸균기 몸체(18)의 내측 후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격벽을 형성하고,다수의 관통공이 열수가 좌우로 통과하도록 형성된 다공판(28)이 설치되고,
    상기 다공판(28)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공급되는 파우치를 막아주고 정렬을 시키도록 설치되어 대량의 파우치를 정렬시키고 살균 및 멸균이 가능하도록 정지시켜서 막아주거나 파우치를 해제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멸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15531A 2022-02-07 2022-02-07 연속식 멸균 시스템 KR10244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531A KR102444183B1 (ko) 2022-02-07 2022-02-07 연속식 멸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531A KR102444183B1 (ko) 2022-02-07 2022-02-07 연속식 멸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183B1 true KR102444183B1 (ko) 2022-09-16

Family

ID=8344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531A KR102444183B1 (ko) 2022-02-07 2022-02-07 연속식 멸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1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023B1 (ko) 1994-08-24 1998-12-15 오오쯔카 요시미쯔 분무식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234575B1 (ko) 2004-11-01 2013-02-19 사이머 인코포레이티드 Euv 콜렉터 파편 관리
KR20190107840A (ko) * 2018-03-13 2019-09-23 씨제이제일제당 (주) 밀폐 시스템을 갖는 레토르트 식품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JP2019167138A (ja) * 2018-03-23 2019-10-03 株式会社細川洋行 加熱殺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023B1 (ko) 1994-08-24 1998-12-15 오오쯔카 요시미쯔 분무식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234575B1 (ko) 2004-11-01 2013-02-19 사이머 인코포레이티드 Euv 콜렉터 파편 관리
KR20190107840A (ko) * 2018-03-13 2019-09-23 씨제이제일제당 (주) 밀폐 시스템을 갖는 레토르트 식품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JP2019167138A (ja) * 2018-03-23 2019-10-03 株式会社細川洋行 加熱殺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222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бутылок и подобных емкостей
JPH10508489A (ja) 肉を蒸気殺菌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5113024A1 (en) Immersion retort
WO1996005868A1 (fr) Sterilisateur a pulverisation et procede de sterilisation
US83723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erilizing, cooling, drying transferring closures
WO2010144107A1 (e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then sterilizing objects in a load using a chemical sterilant
AU2013218107B2 (en) Apparatus for heat shrinking a package and method for heat shrinking a package
KR102444183B1 (ko) 연속식 멸균 시스템
KR20190107840A (ko) 밀폐 시스템을 갖는 레토르트 식품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US11607468B2 (en) Decontamination device, isolato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KR20190014941A (ko) 레토르트 식품용 스팀살균장치
JP2011024455A (ja) 加熱殺菌装置
KR102001802B1 (ko) 에너지 절약형 레토르트살균장치
JP3462856B2 (ja) 充填装置における送り戻し方法と、このような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充填装置
DK3110261T3 (en) SUPER-CRITICAL HYDROLYSE EXTRACTOR AND HYDROLYSE PROCEDURE WHEN USING IT
KR200481872Y1 (ko) 종자의 온탕소독을 위한 보조탱크가 구비된 종자의 온탕소독장치
CN106488737B (zh) 内窥镜清洗消毒机
CN104145310B (zh) 用于为中间储存封装燃料棒或燃料棒部分的方法和设备
JP2779870B2 (ja) レトルト殺菌機
KR102407145B1 (ko) 저온살균기
CN205969646U (zh) 一种尼龙66线加热设备
JP5999318B2 (ja) 殺菌装置
CN213029667U (zh) 一种巴氏杀菌机
JP2019205377A (ja) 殺菌装置
JP2562134Y2 (ja) 熱水噴流式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