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233A -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233A
KR20190045233A KR1020197008371A KR20197008371A KR20190045233A KR 20190045233 A KR20190045233 A KR 20190045233A KR 1020197008371 A KR1020197008371 A KR 1020197008371A KR 20197008371 A KR20197008371 A KR 20197008371A KR 20190045233 A KR20190045233 A KR 20190045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trix material
bath
deflection uni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915B1 (ko
Inventor
안드레 마이어
미하엘 하센파트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9004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3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 in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B29B15/125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3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6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polymer based synthetic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8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craping
    • D06B15/085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craping by contact with the textil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3Guid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2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ibres, slivers or rov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07/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703/00 - B29K2707/00,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09/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J23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1/00Successive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1/02Successive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the treatments being performed in a single contain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10B233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e.g. ar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릭스 물질에 섬유 구조체(1)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이는 매트릭스 물질을 공급받기 위한 배스(5), 및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하부 부품(21)으로서, 배출 유닛이 함침된 섬유 구조체(1)를 작동 과정에서 상부에서 유도하는 와이핑 엣지(29)를 갖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27), 및 배스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구조체(1)로부터 배출된 매트릭스 물질을 배스(5)로 복귀시킬 수 있는 표면(25)을 포함하는 하부 부품(21)뿐만 아니라 커버(23)가 장착된 경우에 섬유 구조체(1)를 배스(5)로 가압시키는 편향 유닛(33)이 상면에 장착된 커버(23)를 포함하고, 커버(23)가 장착된 경우에 커버(23)와 하부 부품(21) 사이에서 섬유 구조체(1)를 장치로 유도하고 장치로부터 방출하는 측면에 각각 갭(39, 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 구조체가 이러한 장치에서 매트릭스 물질에 함침되고, 이후 성형되어 부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매트릭스 물질을 공급받기 위한 배스 및 배출 유닛을 갖는 하부 부품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물질에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에 기초한다.
섬유 복합재는 섬유 구조체를 함침하여 제조된다. 배스 내에 함침된 섬유 구조체, 특히 무한 섬유(endless fiber)는 습식 권취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튜브, 포스트 또는 탱크와 같은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섬유 구조체의 연속적인 함침을 가능하게 하고, 그 다음 함침 이후에 직접적으로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 종래의 습식 권취 방법에서, 함침된 섬유 구조체는 권취되어 매트릭스 물질이 경화되거나 또는 고화되기 이전에 최종 생성물을 형성한다. 권취 이후에 매트릭스 물질의 경화 또는 고화가 이후 실시되어 완성된 최종 생성물을 형성한다.
섬유 구조체, 특히 무한 섬유를 함침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고, 섬유를 유도하는 배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섬유를 상부로부터 배스에 함침시키고, 배스 내부의 롤러 주변에 유도함으로써 무한 섬유를 배스에 통과시키는 것이 US 2,433,965에 공지되어 있다. 배스를 나온 이후, 이러한 방식으로 함침된 섬유는 롤러 쌍을 통해 유도되고, 이에서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이 취출된다. 이를 위하여, 롤 쌍은 배스 표면 위에 놓이고, 이로써 제거된 매트릭스 물질이 다시 배스로 유동한다.
권취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US 4,267,007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섬유는 마찬가지로 권취 공정 이전에 배스로 매트릭스 물질에 함침된다. 이를 위해, 섬유는 배스 내부의 롤러 주변을 통과한다. 함침된 섬유는 이후 플레이트 위를 통과하고,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을 취출하기 위하여 블록을 가진 플레이트 상에 가압된다.
그러나, 섬유 구조체가 배스를 통과하는 모든 방법은 보통 개방형 배스이기 때문에, 또는 사용되는 매트릭스 물질에 따라, 또한 공기 수분과의 접촉으로 인한 화학 반응에 의한 증발로 인하여 매트릭스 물질의 점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각각의 시작시, 예를 들어, 세정 이후에, 다시 번거롭게 섬유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배스의 충전은 섬유가 미리 주입된 경우에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매트릭스 물질의 점도가 변화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섬유가 갭(gap)을 통해 유도되는 방법 및 장치가 공지되어 있고, 여기서 함침이 실시된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US 4,937,028, US 5,766,357 또는 WO-A 2007/062516뿐만 아니라 문헌[A. Miaris et al., "Modeling the Impregnation Process of a Siphon Impregnation System during Filament Winding", Proceedings of the ASME 2011 Pressure Vessels and Piping Division Conference, PVP2011, July 2011]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특히 함침 장치의 작은 크기로 인하여, 균일한 함침을 이루기 위하여 매트릭스 물질이 연속적으로 그리고 매우 정확하게 보충되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US 5,747,075는 함침을 위한 매트릭스 물질이 디스트리뷰터를 통해 펌핑되는 채널을 통해 섬유가 유도되는 인발 성형법을 개시하고 있다.
US 5,084,305는 섬유가 웨브 상부에서 유도되는 함침 방법을 기재하고 있으며, 이에서는 매트릭스 물질을 섬유 상에 도포하는 노즐이 각각 형성된다. 균일한 함침은 웨브 위에서 1회 그리고 웨브 아래에서 1회로 섬유를 유도함으로써 이러한 시스템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또한, 매트릭스 물질의 연속적인 그리고 특히 균일한 공급이 균일하게 함침된 섬유를 얻기 위해 필요로 된다.
섬유의 함침을 위한 다른 대안은 US 7,413,623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섬유는 복수개의 롤 상부에서 유도되고, 매트릭스 물질의 첨가는 롤 위에 배열된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실시되고, 이로부터 매트릭스 물질이 섬유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롤 갭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이 롤을 통해 하방으로 유동하고, 재순환될 수 없다는 점이 특히 불리하다. 또한, 매트릭스 물질이 롤 상에 누적되고, 롤 표면 상에서 경화되는 위험성이 존재하며, 이는 번거로운 추가적인 세정 공정이 요구되는 것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된 단점을 가지지 않는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매트릭스 물질에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매트릭스 물질을 공급받기 위한 배스, 및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하부 부품으로서, 배출 유닛이 함침된 섬유 구조체를 작동 과정에서 상부에서 유도하는 와이핑 엣지를 갖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 및 배스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섬유 구조체로부터 배출된 매트릭스 물질을 배스로 복귀시킬 수 있는 표면을 포함하는 하부 부품뿐만 아니라 커버가 장착된 경우에 섬유 구조체를 배스로 가압시키는 편향 유닛이 상면에 장착된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가 장착된 경우에 커버와 하부 부품 사이에서 섬유 구조체를 장치로 유도하고 장치로부터 방출하는 측면에 각각 갭이 형성되어 있다.
섬유 구조체가 함침을 위해 통과하여 유도되는 매트릭스 물질의 배스로 인하여, 정확한 양의 매트릭스 물질이 공급되는 공급 유닛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섬유는 배스를 통과하는 경우에 매트릭스 물질을 취하며,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이 이후 닦여진다. 이를 위해, 와이핑 엣지를 갖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가 제공된다. 닦여진 매트릭스 물질은 배스 방향으로 기울어진 표면 상에 적하되고, 이로써 닦여진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은 기울어진 표면을 통해 배스로 다시 흐르며, 이에 따라 재사용될 수 있다.
장치를 폐쇄시키는 커버는 배스 상에서 일정한 공기 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한편, 매트릭스 물질의 증발이 제한될 수 있고, 다른 한편, 새로운 공기의 일정한 공급이 또한 방지되고 이로써 공기에 함유된 물과 매트릭스 물질과의 반응이 지연된다. 배스 내에 함유된 매트릭스 물질은 이에 따라 장기간 사용될 수 있고, 에이징 발생 및 그에 따른 점도에서의 증가로 인하여 대개 더 적게 대체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장치로 유입되거나 또는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경우에 섬유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매트릭스 물질이 장치에서 방출되는 경우에 섬유로부터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섬유를 장치로 유도하는 갭이 커버와 하부 부품 사이에 제공되며, 함침된 섬유를 장치로부터 방출하는 제2 갭이 제공된다.
커버 상에 장착되는 편형 부품에 의해, 섬유 구조체는 작업 동안 배스 중의 매트릭스 물질로 가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섬유의 주입과 독립적으로 배스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섬유는 배스의 표면 위에서 직접적으로 주입될 수 있고, 이후 커버가 장착된 경우에 편향 부품에 의해 배스로 가압된다. 따라서, 배스 빈 공간으로의 복잡한 주입은 회피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장점은 커버 상의 편향 유닛을 가진 구조로 인하여, 하부 부품이 세정을 위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새로운 하부 부품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정 과정에서의 장기 작업 중단은 요구되지 않는다. 세정 경비가 매우 많거나, 또는 환경적으로 유해한 수단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이로써 처리는 보다 바람직하게, 그리고 보다 친환경적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일회용 부품으로서 하부 부품을 구성하고, 개별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하부 부품을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스를 통과한 이후에 섬유를 균일하게 닦기 위해, 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함침된 섬유 구조체를 상부에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 이외에, 커버가 장착되는 경우에 함침된 섬유 구조체 상에 와이핑 엣지로 위에서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가 커버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와이퍼를 사용하여,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이 또한 섬유의 상면으로부터 닦여진다. 이는 또한 와이퍼로부터 배스의 방향으로 기울어진 표면 상에 적하되며, 이로부터 매트릭스 물질은 다시 배스로 유동한다. 커버 상의 와이퍼의 장착에 의해, 또 다시 섬유 구조체를 하부 부품에 장착된 부품을 통해 장치로 직접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작동하는 상기 부품은 이후 이에 따라 커버의 장착 이후에 섬유 구조체를 가압한다. 개개의 와이퍼와 편향 부품 사이의 번거로운 삽입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섬유 구조체 상에 작용하는 압력이 조정될 수 있도록, 커버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와이퍼가 높이 조정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커버 상에 장착된 모든 와이퍼가 높이 조정가능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커버 상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와이퍼가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와이퍼를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하부 부품와 커버 상에 장착되는 와이퍼에 의해 유도되게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양의 매트릭스 물질이 섬유 구조체에 잔류한다. 커버 상에 장착된 와이퍼의 와이핑 엣지와 커버 사이의 거리가 길수록, 함침된 섬유 구조체 상에 작용하는 압력이 커지고, 이에 비례하여 더 많은 매트릭스 물질이 닦여진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매트릭스 물질을 갖는 섬유 구조체를 얻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는 경우에, 와이퍼는 단지 더 낮은 압력이 섬유 구조체 상에 작용되는 방식으로 조정될 것이고, 그러나, 단지 적은 비율의 매트릭스 물질이 섬유 구조체 내에 함유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경우에, 와이퍼는 대신 더 높은 압력이 섬유 구조체 상에 작용되는 방식으로 조정될 것이다.
섬유 구조체로부터 균일하게 매트릭스 물질이 닦여지도록, 커버와 하부 부품 상의 와이퍼가 섬유 구조체의 공급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어긋나게(offset) 배열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섬유 구조체의 공급 방향으로 각각 교번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와이퍼가 커버 상에 배열되고, 하나가 하부 부품 상에 배열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섬유 구조체는 와이퍼의 위와 아래로부터 균일하게 유도되며, 매트릭스 물질이 닦여진다. 하부 부품 및 커버 상의 와이퍼의 교번되는 배열은 또한 각각 커버 상에 장착된 와이퍼가 하부 부품 상에 장착된 와이퍼들 사이에 끼워지게 한다. 이는 추가로 커버 상의 와이퍼의 높이 조정의 경우에, 하부 부품 상에 장착된 와이퍼의 이웃하는 와이핑 엣지에서와 동일한 압력을 커버 상에 장착된 와이퍼의 와이핑 엣지를 통과하는 섬유 구조체 상에 작용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섬유 구조체의 균일한 함침이 이루어진다.
과량의 물질이 섬유 구조체로부터 닦여지도록, 하부 부품 및 커버 상의 와이퍼가 각각 커버 상의 와이퍼의 와이핑 엣지가 장치의 하부 부품 상의 와이퍼의 와이핑 엣지보다 더 아래에 있도록 치수화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항상 하부 부품 상에 장착된 와이퍼들 사이에 커버 상에 장착된 와이퍼가 끼워지게 된다. 와이퍼들이 서로 강하게 끼워지는 정도는 하부 부품 상에 장착된 와이퍼 및/또는 커버 상에 장착된 와이퍼의 높이 조정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와이퍼에 대한 물질로서, 내마모성 금속, 내마모성 플라스틱, 내마모성 세라믹 또는 유리가 특히 적합하다. 내마모성 물질의 사용은 와이어로부터 마모되는 입자가 관련없는 물질로서 함침된 섬유 구조체에 혼입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또한 와이핑 엣지가 작업 과정에서의 마모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퍼의 균일한 효과가 전체 작업 시간에 걸쳐 달성된다. 강(steel),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세라믹 또는 유리가 와이퍼에 대한 물질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의 내마모성은 1000 km의 섬유 구조체, 특히 로빙(roving)의 통과 과정에서, 와이퍼의 0.1 mm 미만의 물질이 통과하는 섬유 구조체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섬유 구조체가 장치로의 주입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특히 가장자리가 긁혀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배스로 유입되기 이전에 섬유 구조체를 상부에서 유도하는 제1 편향 유닛이 하부 부품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배스로부터 방출된 이후에 함침된 섬유 구조체를 상부에서 유도하는 제2 편향 유닛이 바람직하게는 하부 부품에 제공된다. 제1 편향 유닛 및 제2 편향 유닛이 각각 하부 부품에 제공되기 때문에, 섬유 구조체는 주입 과정에서 편향 장치에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상에 고정된 편향 유닛에 의해서, 섬유 구조체는 이후 배스로 가압되고, 이로써 섬유 구조체는 하부 부품 상의 제1 편향 유닛 상에서, 커버 상의 편향 유닛에 따라, 그리고 하부 부품 상의 제2 편향 유닛 상에서 배출 유닛으로 유도된다. 하부 부품 상의 제1 편향 유닛 및 제2 편향 유닛은 이 경우에 커버 상의 편향 유닛이 장착 과정에서 하부 부품 상의 제1 편향 유닛과 하부 부품 상의 제2 편향 유닛 사이에 배치되도록 놓인다.
배출 유닛 앞에서 배스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에 미리 섬유로부터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커버가 장착되는 경우에 제2 편향 유닛 상에 섬유 구조체를 가압하는 와이핑 롤이 커버 상에 장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섬유 구조체는 제2 편향 유닛과 와이핑 롤 사이에서 작업 동안 유도된다. 와이핑 롤이 편향 유닛 상에 가압되기 때문에,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은 미리 이 위치에서 섬유 구조체로부터 취출된다. 제2 편향 유닛과 와이핑 롤의 배치는 또한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이 배스로 다시 직접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야기한다.
제1 및 제2 편향 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막대 또는 회전형 롤러일 수 있다. 섬유 구조체를 배스로 가압하는 편향 유닛은 하나 이상의 막대 또는 하나 이상의 회전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편향 유닛이 막대인 경우, 유일하게 둥근 가장자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둥근 막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막대 및 회전형 롤러 둘 모두는 편향 부품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부품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편향 유닛은 모두 막대로서 또는 모두 회전형 롤러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편형 부품은 막대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모든 편향 부품은 회전형 롤러로서 구성된다.
편향 부품에 대해 적합한 물질은 와이퍼에 대한 물질과 동일하다. 즉, 편향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내마모성 금속, 내마모성 플라스틱, 내마모성 세라믹 또는 유리로 제조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강, HDPE, PTFE, 세라믹 또는 유리로 제조된다.
배스로 섬유를 가압하기 위해서, 단지 하나의 편향 부품이 커버 상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개의 편향 부품이 커버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 상에 장착된 모든 편향 부품은, 커버가 폐쇄되는 경우와 편향 부품이 하부 부품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들이 하부 부품 상의 제1 편향 부품과 제2 편향 부품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작업 동안 섬유를 유도되는 갭에서 일정한 공기 교환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물이 일정하게 공기 수분을 제공하거나 또는 매트릭스 물질이 증발하여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 립(lip)이 섬유 구조체를 장치로 유도하는 갭 및/또는 섬유 구조체를 장치로부터 방출하는 갭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의 밀봉 립은 임의의 원하는 적합한 물질, 특히 종래에 밀봉에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물질의 사용은 아직 함침되지 않은 섬유 구조체가 장치로 유입되는 경우에 밀봉 립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하며서도, 함침된 섬유 구조체가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경우에 밀봉 립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매트릭스 물질과 주위 공기로부터의 구성성분, 특히 공기 중에 함유된 물과의 반응하여, 이에 의해 경화되는 가능성을 근절하기 위해, 플러싱 가스(flushing gas)에 대한 유입구 및 유출구가 제공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플러싱 가스를 사용하여, 매트릭스 물질 위의 대기는 제거될 수 있고, 플러싱 가스로 대체될 수 있다. 적합한 플러싱 가스는 사용되는 매트릭스 물질에 좌우된다. 물과 반응하는 매트릭스 물질의 경우, 예를 들어, 물-무함유 플러싱 가스가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건조 공기 또는 건조 불활성 가스 예컨대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영족 기체가 이에 대해 적합한다. 매트릭스 물질이 공기의 다른 구성성분, 예를 들어 그에 함유된 산소와 반응할 수 있는 경우에 불활성 가스가 또한 적합하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이 매트릭스 물질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경우에, 예를 들어 증발될 수 있는 매트릭스 물질의 구성성분으로 포화된 플러싱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a) 상기 기재된 장치에서 섬유 구조체를 매트릭스 물질에 함침시키는 단계,
(b) 함침된 섬유 구조체를 성형하여 부품을 형성하는 단계.
함침된 섬유 구조체는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톡(stock), 예를 들어 섬유 구조체가 그 위에 권취되는 롤러로부터 수거된다. 함침 장치를 적절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 함침되는 섬유 구조체는 "무한 구조체"이고, 즉, 섬유 구조체는 원칙적으로 제한 없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무한대 길이는 유일하게 임의로 장섬유 구조체가 스톡에 포함될 수 없는 불가피한 사항으로부터 유발된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구조체는 이후 하나의 구조체의 말단이 도달되는 경우에, 후속되는 새로운 구조체가, 예를 들어 섬유 구조체로서 무한 섬유를 사용하는 때에 노팅(knotting)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전 구조체에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함침될 수 있는 섬유 구조체는 예를 들어, 부직포, 패브릭, 니트, 개개의 섬유 또는 로빙이다.
섬유 구조체가 로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습식 권취 방법으로 권취되어 단계 (b)에서의 함침 이후에 부품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는 부품은 예를 들어 임의의 유형 및 크기의 튜브, 포스트, 또는 탱크이다.
부품의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 섬유 구조체가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합성 섬유, 예를 들어 중합체 섬유 또는 천연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섬유 구조체는 이러한 경우 상이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의 선택은 특히 부품에 대한 기계적 요건에 의해 좌우된다. 그러나, 상이한 섬유들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물질의 섬유 단독을 사용하는 것은 보편적인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섬유 구조체는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한다.
섬유가 함침될 수 있는 매트릭스 물질은 임의의 원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일 수 있거나 또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생성을 위한 반응물을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반응물은 액체 또는 용해된 형태로 존재하여야 한다. 매트릭스 물질이 열가소성 중합체인 경우, 이는 예를 들어 용융물로서 존재한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매트릭스 물질은 원하는 중합체를 형성하도록 반응하는 단량체 용액, 올리고머 용액, 단량체 용융물 또는 올리고머 용융물의 형태로의 중합체 제조용 반응물을 함유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섬유 구조체가 열경화성 중합체에 함침되는 것을 의도하는 경우에, 매트릭스 물질은 항상 원하는 열경화성 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반응물을 함유한다. 또한, 매트릭스 물질은 종래의 촉매를 함유할 수 있다. 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반응물은 일반적으로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이다. 열경화성 중합체가 생성되도록 의도되는 경우에, 반응물은 또한 미리 추가로 반응하여 열경화성물질을 형성하는 중합체로 존재할 수 있다.
부품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매트릭스 물질은 추가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가소제, 충격 강도 개질제, UV 안정제, 난연제, 및 중합체의 개질을 위해 종래에 사용되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원하는 첨가제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물질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비닐 에스테르(VE), 에폭시 수지(EP) 및 폴리우레탄(PUR), 및 이의 시약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도면에 나타나 있으며, 하기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습식 권취 방법의 개략적 대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개방된 커버를 갖는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폐쇄된 커버를 갖는 도 2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양한 구현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은 개략적 도면에서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사용되는 습식 권취 방법을 나타낸다.
습식 권취 방법에 의해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섬유 구조체(1), 본원에서 나타낸 구현예에서 로빙은 스톡(3), 본원에서 크릴로부터 배스(5)로 공급된다. 배스(5)에 유입되기 이전에, 로빙은 콤브(7)를 통해 유도되며, 여기서 로빙은 이들이 배스(5) 내의 주변에서 매트릭스 물질 모두와 접촉되고, 이에 따라 균일하게 함침되도록 서로 분리된다. 배스(5) 다음으로 배스(5) 내에 함침된 로빙을 유도하는 와이핑 롤 쌍(9)이 뒤따른다. 와이핑 롤 쌍(9)에서,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이 함침된 로빙으로부터 제거된다. 이후, 함침된 로빙은 가이드 링(11)을 통해 유도되고, 스핀들(13) 상에 권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대칭적 부품(15)이 제조된다. 스핀들(13) 상의 함침된 로빙(1)의 균일한 권취를 이루기 위해서, 가이드 링(11)은 이동가능하고, 화살표로 본원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11)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섬유 구조체를 함침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2에서의 단면도에 나타나 있다.
섬유 구조체(1), 예를 들어 로빙이 매트릭스 물질에 함침될 수 있는 장치는 하부 부품(21) 및 커버(23)를 포함한다. 하부 부품(21)에는 섬유 구조체(1)가 함침되도록 의도되는 매트릭스 물질의 배스(5)가 존재한다. 섬유 구조체(1)의 이동 방향으로, 배스(5) 뒤에 배스의 방향으로 경사된 표면(25)이 뒤따른다. 각각 와이핑 엣지(29)를 갖는 와이퍼(27)가 하부 부품(21) 상의 기울어진 표면(25) 위에 배열된다. 연속적 작업 과정에서, 섬유 구조체(1)는 와이핑 엣지(29) 위에서 유도되고,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은 섬유 구조체(1)로부터 제거된다. 경사진 표면 상의 와이퍼(27)의 배치로 인하여, 닦여진 매트릭스 물질은 배스(5)로 다시 유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높이-조정가능한 와이퍼(31)는 커버(23) 상에 고정된다. 커버(23) 상의 와이퍼(31)는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하부 부품(21) 상의 와이퍼(27)들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커버(23)가 폐쇄된 경우에 섬유 구조체(1)를 배스(5)로 가압하는 편향 유닛(33)이 또한 커버(23) 상에 장착된다. 이는 도 3에 나타나 있다. 본원에서, 또한 하부 부품(21) 상에 고정되는 와이퍼(27)가 커버(23) 상에 장착된 와이퍼(31)들 사이에 끼워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약간의 지그재그형의 경로가 섬유 구조체(1)에 제공된다.
섬유 구조체(1)가 배스(5)로 유입되기 이전에 그리고 배스(5)로부터 방출된 이후에 하부 부품 상의 가장자리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본원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제1 편향 유닛(35) 및 제2 편향 유닛(37)이 하부 부품(21) 상에 제공된다. 작동 과정에서, 섬유 구조체(1)는 섬유를 함침하기 위한 장치에서의 하부 부품(21)과 커버(23) 사이의 갭(39)을 통과하고, 하부 부품(21) 상의 제1 편향 유닛(35) 상에서 유도된다. 이후, 섬유 구조체(1)는 커버(23) 상에 장착된 편향 유닛(33)을 따라 통과하고, 이에 의해 섬유 구조체(1)는 배스(5)에 함침된다. 편향 유닛(33) 뒤에 제2 편향 유닛(37)이 뒤따르고, 그 위에서 섬유 구조체(31)가 와이퍼(27, 31)로 전달되기 이전에 유도되며, 여기서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이 제거된다. 함침된 섬유 구조체는 이후 제2 갭(41)을 통해 장치로부터 방출되고, 추가의 처리, 예를 들면 습식 권취 방법의 스핀들(13)에 전달될 수 있다. 습식 권취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부품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러나 임의의 다른 원하는 부품, 예를 들어 심지어 평평한 부품이 함침된 섬유 구조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함침된 섬유 구조체가 특히 부직포, 니트 또는 패브릭인 경우에, 이를 원하는 길이 및 형상으로 절단하여 적합한 주형에서 원하는 부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습식 권취 방법의 스핀들(13)로의 전달이 바람직하다.
배스(5) 내의 섬유 구조체(1)의 함침의 결과로서, 대량의 매트릭스 물질은 일반적으로 배스(5)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에 섬유 구조체(1)에 부착된다. 최초의 과량의 매트릭스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 본원에 나타난 바와 같이 - 커버(23)가 폐쇄된 경우에 제2 편향 유닛(37) 상에 있는 와이핑 롤(43)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침된 섬유 구조체는 이후 제2 편향 유닛(37)과 와이핑 롤(43) 사이에서 유도된다.
커버(23) 상에 장착된 와이퍼(31)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와이퍼(27, 31)가 함침된 섬유 구조체(1) 상에 가하는 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조절된 방식으로 함침된 섬유 구조체(1)가 포함되어야 하는 매트릭스 물질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 부품(21) 상의 와이퍼(27) 사이에 보다 강하게 끼워지는 커버(23) 상에 고정된 와이퍼(31)에 의해 달성되는 고압의 경우, 더 많은 매트릭스 물질이 함침된 섬유 구조체(1)로부터 취출되고, 그리하여 전반적으로, 후자는 와이퍼(31)를 조정하는 경우보다 더 적은 매트릭스 물질을 함유하고, 이로써 이들은 하부 부품(21) 상의 와이퍼(27)들 사이에 덜 강하게 끼워지고, 섬유 구조체에 대한 압력은 이로써 더 낮아진다.
커버(23) 상에 장착된 편향 유닛(33) 및 또한 하부 부품(21) 상의 제1 편향 유닛(35) 및 제2 편향 유닛(37) 모두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막대 또는 회전형 롤러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편향 유닛(33, 35, 37)이 막대로 구성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섬유 구조체(1)와의 접촉이 일어나는 영역에서 적어도 둥근 가장자리만을 가지고, 이는 특히 둥근 막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와이퍼(27, 31)는 와이퍼에 대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와이퍼는 또한 섬유 구조체(1)에 대해 90°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와이퍼의 이러한 형태 및 배향으로, 함침된 섬유 구조체(1)가 이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야 하는 점을 주의할 것이 요구된다. 와이퍼는 이러한 경우 섬유 구조체의 함침을 위한 배스의 경우에서 이미 현재 보편적인 것과 같이 구성되고 배향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커버(23) 상에 장착된 편향 유닛(33)의 구조의 대안적인 구현예를 나타낸다. 섬유 구조체를 함침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의 나머지는 도 2 및 3에 나타낸 구현예의 것에 대응된다.
도 4에 나타난 구현예에서, 편향 유닛(33)은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1 편향 유닛(45) 및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2 편향 유닛(47)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또한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1 편향 유닛(45) 및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2 편향 유닛이 막대 또는 회전형 롤러로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편향 유닛(45, 47)이 커버(23)가 폐쇄되는 경우에 제1 편향 유닛(35)과 제2 편향 유닛(37) 사이에 배치되도록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1 편향 유닛(45) 및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2 편향 유닛(47)이 배치된다.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1 편향 유닛(45) 및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2 편향 유닛(45)에 의해, 배스(5) 내의 섬유 구조체가 이동하는 거리는 길어질 수 있고, 배스(5) 내의 섬유 구조체의 체류 시간은 이에 따라 도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단지 하나의 편향 유닛과 비교하여 동일한 속도에 대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커버(23) 상의 회전형 롤러 또는 막대로서 구성되는 보다 더 많은 편향 유닛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나 이는 이들이 섬유 구조체(1)와 각각 접촉되고, 배스(5) 내에서 섬유 구조체(1)가 이동하는 거리가 더 길어지는 경우에서만 편리하다.
커버(23) 상의 추가의 편향 유닛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한 배스(5)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길어지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또한 함침을 개선하기 위해서 배스(5) 내의 추가적인 편향 유닛(49)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는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1 편향 유닛(45)과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2 편향 유닛(47) 사이에 놓여진다. 배스 내에 배열된 추가의 편향 유닛(49)에 의해서, 섬유 구조체는 커버 상에 장착된 편향 유닛(45, 47)에 대해 가압되고, 동시에 또한 추가적인 편향 유닛(49)에 의한 압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섬유 구조체가 부직포, 패브릭 또는 니트인 경우, 또는 대안적으로 복수개의 섬유가 연결되어 로빙을 형성하는 경우, 매트릭스 물질은 섬유들 사이에서 가압되고, 섬유들 사이에 임의로 함유된 가스 쿠션(gas cushion)은 취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균일한 함침 및 또한 상기의 모든 완전한 함침이 달성된다.
도 2 내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개의 막대 또는 회전형 롤러 이외에, 편향 유닛(33)은 또한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다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로서 도 6에서의 주름진 표면을 갖는 편향 유닛에 대해 나타낸다. 그러나, 표면의 구조는 또한 임의의 다른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섬유 구조체가 다이로서 구성된 편향 유닛(33)의 표면의 구조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야 하는 점을 주의할 것이 요구된다.
배출 유닛의 대안적인 구조를 갖는 구현예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도 2 내지 6에 나타난 구현예에 대하여, 본원에서의 배출 유닛은 서로 끼워진 와이퍼(27, 31)를 갖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도 7에 나타난 구현예에서, 편향 유닛(51)은, 예를 들어 하부 부품(21) 상의 배출 유닛에서 막대 또는 회전형 롤러로서 제공되며, 높이-조정가능한 와이퍼(53)가 커버(23) 상에 제공된다. 섬유 구조체(1)는 편향 유닛(51)과 와이퍼(53) 사이에서 유도되고, 섬유 구조체(1)는 편향 유닛(51)에 의해 와이퍼(53)에 대해 가압된다. 와이퍼(53)는 이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고, 이로써 이는 조정가능한 압력으로 편향 유닛(51)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함침된 섬유 구조체 내의 매트릭스 물질의 양은 조정될 수 있다. 와이퍼(53)들 사이에서, 추가의 편향 유닛(55)이 커버 상에 장착된다. 이를 사용하여 섬유 구조체(1)는 심지어 편향 유닛(51)과 와이퍼(53)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편향 유닛(51)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보장한다.
모든 구현예에서, 주위 공기 유입에 대해 장치를 밀봉하기 위해서, 섬유 구조체를 장치로 유도하고, 함침된 섬유 구조체를 장치 외부로 유도하는 각각의 갭(39, 41)의 영역에 밀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공기 성분, 예를 들어 공기에 함유된 물과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전구체가 매트릭스 물질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플러싱 가스로 배스 상의 가스 공간을 플러싱하기 위해 플러싱 가스에 대한 유입구 및 유출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에 나타낸 모든 구현예에서,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는 간단하게 설정될 수 있다. 매트릭스 물질이 배스(5) 내에 함유되어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커버(23)가 개방된 경우에 용이하게 섬유 구조체(1)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 상의 와이퍼 및 편향 유닛에 의해, 섬유 구조체는 해당하는 하부 부품(21) 상의 와이퍼 및 편향 유닛에 대해 가압되고, 배스(5)로 가압되어, 이에 따라 의도된 경로를 따른다. 따라서, 섬유 구조체를 롤 주변에 위치시키기 위한 섬유 구조체의 복잡한 스레딩(threading), 또는 배스로부터의 매트릭스 물질의 방출은 본원에 기재된 장치의 사용시 필요로 되지 않는다. 이에 따른 간단한 방식으로, 작동 중단 이후, 섬유 구조체는 다시 커버(23)를 개방한 후 빼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하부 부품(21)을 제거하고 교체함으로써, 상이한 매트릭스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 직접적으로 가능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세정 또는 처리를 위해 하부 부품(21)을 제거하고, 이를 새로운 하부 부품(21)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또한, 이전의 것을 세정하면서 간단하게 새로운 하부 부품을 고정시킴으로써 배스를 세정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장치의 운행을 지속할 수 있다.
1 섬유 구조체 3 스톡
5 배스 7 콤브
9 와이핑 롤 쌍 11 가이드 링
13 스핀들 15 부품
21 하부 부품 23 커버
25 기울어진 표면 27 와이퍼
29 와이핑 엣지 31 와이퍼
33 편향 유닛
35 하부 부품(21) 상의 제1 편향 유닛
37 하부 부품(21) 상의 제2 편향 유닛
39 갭
41 제2 갭
43 와이핑 롤
45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1 편향 유닛
47 커버(23) 상에 장착된 제2 편향 유닛
49 배스(5) 내의 추가적인 편향 유닛
51 편향 유닛

Claims (15)

  1. 매트릭스 물질에 섬유 구조체(1)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매트릭스 물질을 공급받기 위한 배스(5), 및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하부 부품(21)으로서, 배출 유닛이 함침된 섬유 구조체(1)를 작동 과정에서 상부에서 유도하는 와이핑 엣지(29)를 갖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27), 및 배스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섬유 구조체(1)로부터 배출된 매트릭스 물질을 배스(5)로 복귀시킬 수 있는 표면(25)을 포함하는 하부 부품(21)뿐만 아니라 커버(23)가 장착된 경우에 섬유 구조체(1)를 배스(5)로 가압시키는 편향 유닛(33)이 상면에 장착된 커버(23)를 포함하고, 커버(23)가 장착된 경우에 커버(23)와 하부 부품(21) 사이에서 섬유 구조체(1)를 장치로 유도하고 장치로부터 방출하는 측면에 각각 갭(39, 41)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릭스 물질에 섬유 구조체(1)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커버(23)가 장착된 경우에, 함침된 섬유 구조체(1) 상에 와이핑 엣지로 위에서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31)가 커버(23) 상에 장착되고, 커버(23)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와이퍼(31)가 바람직하게는 높이-조정가능한 것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커버(23) 및 하부 부품(21) 상의 와이퍼(27, 31)가 섬유 구조체(1)의 공급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어긋나게(offset) 배열되며, 하부 부품(21) 및 커버(23) 상의 와이퍼(27, 31)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각각 커버(23) 상의 와이퍼(31)의 와이핑 엣지가 장치의 하부 부품(21) 상의 와이퍼(27)의 와이핑 엣지(29)보다 더 아래에 있도록 치수화된 것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이퍼(27, 31)가 각각 내마모성 금속, 내마모성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유리로 제조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스(5)로 유입되기 이전에 섬유 구조체(1)를 상부에서 유도하는 제1 편향 유닛(35)이 하부 부품(35) 상에 제공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스(5)로부터 방출된 이후에 함침된 섬유 구조체(1)를 상부에서 유도하는 제2 편향 유닛(37)이 하부 부품(21) 상에 제공되고, 커버(23)가 장착된 경우에 제2 편향 유닛(37)으로 섬유 구조체(1)를 가압하는 와이핑 롤(43)이 바람직하게는 커버(23) 상에 장착되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1 편향 유닛(35) 및 제2 편향 유닛(37)이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막대 또는 회전형 롤러인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편향 유닛(35) 및 제2 편향 유닛(37)이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내마모성 금속, 내마모성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유리로 제조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립이 섬유 구조체(1)를 장치로 유도하는 갭(39) 및/또는 섬유 구조체(1)를 장치로부터 방출하는 갭(41)에 제공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구조체(1)를 배스(5)로 가압하는 편향 유닛(33)이 하나 이상의 막대 또는 하나 이상의 회전형 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싱 가스에 대한 유입구 및 유출구가 제공되는 장치.
  12. 섬유-강화 부품(15)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서 매트릭스 물질에 섬유 구조체(1)를 함침시키는 단계,
    (b) 함침된 섬유 구조체(1)를 성형하여 부품(15)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부품(15)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섬유 구조체(1)가 로빙(roving)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섬유 구조체(1)가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를 함유하는 제조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 물질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 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및 폴리우레탄, 및 이의 시약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조 방법.
KR1020197008371A 2016-08-24 2017-08-04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34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5545.7 2016-08-24
EP16185545 2016-08-24
PCT/EP2017/069829 WO2018036790A1 (de) 2016-08-24 2017-08-0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mprägnierung von faserstruktu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233A true KR20190045233A (ko) 2019-05-02
KR102334915B1 KR102334915B1 (ko) 2021-12-07

Family

ID=5680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371A KR102334915B1 (ko) 2016-08-24 2017-08-04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565442B2 (ko)
EP (1) EP3504051B1 (ko)
JP (1) JP6955817B2 (ko)
KR (1) KR102334915B1 (ko)
CN (1) CN109641404B (ko)
AR (1) AR109398A1 (ko)
AU (1) AU2017314986B2 (ko)
BR (1) BR112019003654B1 (ko)
CA (1) CA3034744A1 (ko)
CL (1) CL2019000470A1 (ko)
DK (1) DK3504051T3 (ko)
EA (1) EA035695B1 (ko)
HU (1) HUE051962T2 (ko)
MX (1) MX2019002208A (ko)
PH (1) PH12019500366A1 (ko)
WO (1) WO2018036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4769B1 (no) * 2018-10-05 2020-04-20 Comrod As Apparat og framgangsmåte for å regulere en mengde bindemiddel som følger en tråd
WO2021165354A1 (en) 2020-02-19 2021-08-26 Basf Se Composite pole composed of a bamboo cane as core and a continuous fiber reinforced polymer layer
CN111438967B (zh) * 2020-04-15 2022-02-01 北京机科国创轻量化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长纤维增强热塑性树脂复合材料的成型装置及工艺
EP4185453A1 (en) 2020-07-22 2023-05-31 Basf Se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components comprising at least one wound fiber reinforced polymer layer
US11697244B2 (en) * 2020-08-28 2023-07-11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In-line polymerization for customizable composite fiber manufacture in additive manufacturing
WO2022197475A2 (en) * 2021-03-16 2022-09-22 Anderson Group, Ltd Adjustable linear substrate infusion
CN114454381B (zh) * 2022-02-17 2023-02-21 浙江金凤凰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采用整体拉挤工艺生产超大芯体的浸胶装置
CN115821503B (zh) * 2022-11-18 2024-01-16 浙江龙奇印染有限公司 一种纺织用纺织布湿润装置
CN117283901B (zh) * 2023-09-28 2024-02-20 山东三泰非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复合材料拉挤工艺的浸胶系统
CN117604691A (zh) * 2023-10-08 2024-02-27 艾利特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耐磨抗污面料的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9154A (en) * 1969-01-07 1974-11-19 Bayer Ag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fibre-reinforced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s
US4737383A (en) * 1985-11-25 1988-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sin-impregnated sheet material
JPH1024413A (ja) * 1996-07-10 1998-01-27 Takuma Co Ltd 樹脂含浸量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20156378A1 (en) * 2010-12-20 2012-06-21 Neptune Research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fluid composites to a carrier shee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91485A (en) * 1927-01-28 1928-05-29 Dunlop Rubbe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overing of wire, thread-like and filamentary material and the like with indiarubber, gutta percha, balata or similar materials or compounds thereof and apparatus therefor
US2433965A (en) 1940-08-23 1948-01-06 Upson Co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laminated board
US2969579A (en) 1958-04-04 1961-01-31 Batson Cook Company Apparatus for sizing yarn
US3769126A (en) * 1970-01-30 1973-10-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sinous-microsphere-glass fiber composite
US4267007A (en) 1979-03-19 1981-05-12 Kellogg Charles W Winding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filament-wound, reinforced resinous products
US4570566A (en) * 1982-02-22 1986-02-18 Dayco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elastomer-coated bias reinforcement fabric
US4643126A (en) * 1984-11-21 1987-02-17 The Bud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egnating fiber strands
JPH0675868B2 (ja) 1986-09-04 1994-09-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繊維束への樹脂連続含浸装置
US4919739A (en) * 1986-11-07 1990-04-24 Basf Aktiengesellschaft Production of improved preimpregnated material comprising a particulate thermosetting resin suitable for use in the formation of a substantially void-free fiber-reinforced composite article
FR2630967B1 (fr) 1988-05-09 1993-12-10 Atochem Procede de fabrication de resines thermoplastiques renforcees de fibres longues
FI91373C (fi) 1989-07-14 1994-06-27 Neste Oy Menetelmä ja laite jatkuvan kuitukimpun imeyttämiseksi
JPH0620745B2 (ja) * 1990-02-28 1994-03-23 株式会社タクマ ワニス含浸方法及びその装置
JP2855365B2 (ja) 1990-10-12 1999-02-10 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連続真空含浸装置
JP2826026B2 (ja) 1992-12-04 1998-11-18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ドクタブレードの高さ位置調節方法及びその装置
US5747075A (en) 1995-06-07 1998-05-05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resin ipregnated pultrusion
US5766357A (en) 1996-09-19 1998-06-16 Alliant Techsystems Inc. Apparatus for fiber impregnation
US20030044545A1 (en) * 2001-08-30 2003-03-06 Ables Brian W. Hold-down ba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continuous material
US7413623B2 (en) 2005-02-04 2008-08-19 Rse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resin-impregnation of fibers for filament winding
CN1919587A (zh) 2005-08-25 2007-02-28 深圳市海川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增加纤维增强树脂拉挤型材横向强度的方法及其产品
CA2529523A1 (en) 2005-12-02 2007-06-02 Resin Systems Inc. Wet out box for fibre wetting and method of use of the same
US20120214040A1 (en) * 2009-07-14 2012-08-23 Nationla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Fiber electrode and fiber battery,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fiber electrode and fiber battery fabrication apparatus
EP2697040B1 (en) * 2011-04-12 2016-08-17 Ticona LLC Die and method for impregnating fiber rovings
CN103687705A (zh) * 2011-04-29 2014-03-26 提克纳有限责任公司 用于浸渍纤维粗纱的具有张力调节装置的浸渍部分和方法
CN103700810A (zh) * 2013-12-27 2014-04-02 安徽亿诺新能源有限责任公司 锂二次电池的负极电极制备工艺
CN105415697A (zh) * 2015-12-08 2016-03-23 武汉泰普变压器开关有限公司 用于制备纤维树脂棒的设备及工艺
ITUA20163921A1 (it) * 2016-05-30 2017-11-30 Mayer Textilmaschf Apparecchiatura multifunzionale per la tintura in continuo di catene di ordito per tessut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9154A (en) * 1969-01-07 1974-11-19 Bayer Ag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fibre-reinforced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s
US4737383A (en) * 1985-11-25 1988-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sin-impregnated sheet material
JPH1024413A (ja) * 1996-07-10 1998-01-27 Takuma Co Ltd 樹脂含浸量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20156378A1 (en) * 2010-12-20 2012-06-21 Neptune Research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fluid composites to a carrier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14986B2 (en) 2023-02-23
US20190176365A1 (en) 2019-06-13
EP3504051A1 (de) 2019-07-03
BR112019003654A2 (pt) 2019-05-21
MX2019002208A (es) 2019-07-15
WO2018036790A1 (de) 2018-03-01
DK3504051T3 (da) 2021-01-11
CN109641404B (zh) 2021-08-17
JP6955817B2 (ja) 2021-10-27
US11565442B2 (en) 2023-01-31
HUE051962T2 (hu) 2021-04-28
CA3034744A1 (en) 2018-03-01
JP2019526471A (ja) 2019-09-19
CN109641404A (zh) 2019-04-16
KR102334915B1 (ko) 2021-12-07
EA035695B1 (ru) 2020-07-27
AU2017314986A1 (en) 2019-03-14
CL2019000470A1 (es) 2019-05-10
AR109398A1 (es) 2018-11-28
BR112019003654B1 (pt) 2022-11-29
PH12019500366A1 (en) 2019-06-03
EP3504051B1 (de) 2020-10-07
EA201990547A1 (ru)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5233A (ko) 섬유 구조체를 함침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73111B1 (ko) 섬유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148612B (zh) 用于浸渍具有确定的纤维体积含量的纤维的设备
KR102338004B1 (ko) 섬유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6766075B2 (ja) 引抜成形装置
CN106273554B (zh) 用于制造复合增强构件的装置和方法
JP5069413B2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材料用含浸ダイ及びそれを用いた製造方法
JP6713487B2 (ja) 繊維複合材料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671859B2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材料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212714B (zh) 用聚合物熔体浸渍纤维束的装置和方法
CN109423775B (zh) 用于形成成型无纺布的方法
JP2003305779A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材料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WO20190123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TICULAR BODIES OF COMPOSITE MATERIAL
JPH04193506A (ja) 繊維束に溶融樹脂を含浸させる方法と装置
JP2953795B2 (ja) 板状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2307432A (ja) 長繊維束への樹脂含浸方法並びに樹脂含浸装置、及び、長繊維強化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KR20240026586A (ko) 탄소섬유 인발 성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