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304A -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304A
KR20190044304A KR1020170136573A KR20170136573A KR20190044304A KR 20190044304 A KR20190044304 A KR 20190044304A KR 1020170136573 A KR1020170136573 A KR 1020170136573A KR 20170136573 A KR20170136573 A KR 20170136573A KR 20190044304 A KR20190044304 A KR 20190044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route
navigation server
navigation
curren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민
김나혜
Original Assignee
이지민
김나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민, 김나혜 filed Critical 이지민
Priority to KR102017013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304A/ko
Publication of KR20190044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경로에 오르막이 있는 경우, 우회 경로를 표시해 주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은 (a) 네비게이션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수신하는 단계, (b) 네비게이션 서버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고, 최종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c) 네비게이션 서버가 최종 이동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기가 최종 이동 경로를 저장하고, 최종 이동 경로를 바탕으로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DESTRIAN}
본 발명은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경로에 오르막이 있는 경우, 우회 경로를 표시해 주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이 발달하면서,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 경로를 안내해주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은 사용자가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면, 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로 송신하고,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그런데 종래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주로 차량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차도를 중심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경사로의 유무를 판단하지 않고 최단 거리로만 이동 경로를 안내해주기 때문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특수 보행자나, 노년층이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경사로가 존재하지 않는 길로 경로를 안내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0493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사로가 존재하지 않는 길로 경로를 안내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네비게이션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b) 네비게이션 서버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고, 최종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와, (c) 네비게이션 서버가 최종 이동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d) 사용자 단말기가 최종 이동 경로를 저장하고, 최종 이동 경로를 바탕으로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 단계는 (b-1) 네비게이션 서버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와, (b-2) 네비게이션 서버가 탐색된 이동 경로 상에 포함되는 지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지도 정보에 포함된 등고선 정보를 참조하여 경사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b-3)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를 초과한 경우, 네비게이션 서버는 탐색된 경로와 상이한 이동 경로를 재탐색하는 단계와, (b-3)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이하인 경우, 네비게이션 서버는 탐색된 이동 경로를 최종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d)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가 최종 이동 경로와 현재 위치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현재 위치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d)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는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서버로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 서버는 (b)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된 실시간 영상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d) 단계 이후, (e) 실시간 영상 경로 안내 명령 입력 시,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실시간 영상을 표시하며, 최종 이동 경로 및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e) 단계는 (e-1)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부를 통해 실시간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와, (e-2) 사용자 단말기는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진행 방향 변화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e-3) 현재 위치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영상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음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e-4) 사용자 단말기는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음향 정보는 진행 방향 변화 지점을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e-3)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서버로 추출한 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 서버는 수신한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 정보가 존재하는 판단하는 단계와,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광고 음향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e-4) 단계는 광고 음향 정보를 함께 출력 후,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e)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가 실시간 영상에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 단계는 네비게이션 서버가 최종 이동 경로와 산출된 경사도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이고, (d)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현재 위치가 기준 경사도 이상의 경사로로부터 일정 거래 내에 위치하거나 경사로에 위치하는 경우, 경사로의 경사도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 단계 이전,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기준 경사도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송신하고,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최종 이동 경로를 수신하는 통신부,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최종 이동 경로를 바탕으로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최종 이동 경로를 수신함에 따라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수신하고, 최종 이동 경로를 송신하는 통신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 경로 탐색부로부터 탐색된 이동 경로 상에 포함되는 지도 정보를 추출하는 지도 검색부, 지도 검색부로부터 추출된 지도 정보에 포함된 등고선 정보를 참조하여 경사도를 산출하는 경사도 산출부 및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이상인지 판단하여,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지도 검색부에 재탐색을 요청하고,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탐색된 이동 경로를 최종 이동 경로로 결정하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최종 이동 경로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경로의 경사도를 산출하여 설정된 경사도보다 경사도가 낮은 이동 경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기 때문에, 오르막을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네비게이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의 최종 이동 경로 결정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 방향 출력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의 광고 음향 송신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경사도 안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2의 S14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S16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네비게이션 서버(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도보 또는 휠체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네비게이션 서버(2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입력부(100), 표시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부(150), GPS 모듈(160), 카메라부(170) 및 텍스트 추출 모듈(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부(140)로 송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터치 패널(Touch panel),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10)는 네비게이션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최종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네비게이션 서버(20)와의 통신을 위해 구비되며,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통신부(120)는 네비게이션 서버(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제어부(14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네비게이션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20)로부터 송신된 최종 이동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스피커부(150)는 음향 정보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내부의 전기적인 음향 정보를 외부에 음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피커부(150)는 텍스트 추출 모듈(180)로부터 수신한 음향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GPS 모듈(160)은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GPS 모듈(160)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현재 위치를 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70)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구성요소로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nge coupled device)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semiconductor)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부(170)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제어부(140)로 송신된 실시간 영상은 표시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로 송신된 실시간 영상은 텍스트 추출 모듈(180)로 송신되어, 텍스트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텍스트 추출 모듈(180)은 카메라부(17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음향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텍스트 추출 모듈(180)은 제어부(14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면 영상 분석을 통하여 간판을 추출하고, 추출된 간판을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여 텍스트를 판단하고,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음향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음향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추출 모듈(180)은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주변환경을 바탕으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수신하면,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네비게이션 서버(20)로 입력부(100)를 통해 수신한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송신하고, 네비게이션 서버(20)로부터 최종 이동 경로를 수신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하며,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최종 이동 경로를 바탕으로 이동 방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동작은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거나, 후술할 GPS 모듈(160)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동작일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입력부(100)를 통해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버(20)로의 접속을 요청하면, GPS 모듈(160)을 작동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네비게이션 서버(20)로부터 최종 이동 경로와 함께 최종 이동 경로 주변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하며,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최종 이동 경로와 함께 최종 이동 경로 주변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이동 방향 출력 시,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GPS 모듈(160)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최종 이동 경로 상에 현재 위치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 최종 이동 경로 상에 현재 위치를 수정하여 출력하며,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GPS 모듈(160)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를 네비게이션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최종 이동 경로는 경로 전체가 표시되거나, 현재 위치에 가까이 있는 경로의 일부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카메라부(170)로부터 실시간 영상을 수신하면, GPS 모듈(160)을 통해 가장 최근에 입력된 현재 위치가 이동 경로 상에 진행 방향 변화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부(170)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텍스트 추출 모듈(180)로 송신하고, 텍스트 추출 모듈(180)로부터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음향 정보를 스피커부(150)로 송신하여, 외부로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정보는 진행 방향 변화 지점을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카메라부(170)로부터 실시간 영상을 수신하면, 표시부(110)를 통해 카메라부(17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영상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으며,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최종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20)로부터 경사도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가 경사로에 위치하거나 경사로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경사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경사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기준 경사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복수의 기준 경사도를 입력 받은 경우, 각 경사도마다 표시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경사도가 15°, 30° 및 45°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15°의 경사로에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15°의 경사로에 초록색의 이미지 정보를 겹쳐 표시할 수 있으며, 30°의 경사로에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30°의 경사로에 노란색의 이미지 정보를 겹쳐 표시할 수 있고, 45°의 경사로에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45°의 경사로에 빨간색의 이미지 정보를 겹쳐 표시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바탕으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도보 이동에 최적화된 경로를 찾아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네비게이션 서버(20)는 특정 경사도 이상의 경사로를 포함하지 않는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서버(20)는 통신부(200), 경로 탐색부(210), 지도 검색부(220), 경사도 산출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0)와의 통신을 위해 구비되며,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통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40)로 송신하고, 제어부(24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경로 탐색부(210)는 제어부(240)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수신하면,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경로 탐색부(210)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 경로를 탐색하여 제어부(240)로 송신할 수 있다.
지도 검색부(220)는 지도 정보가 저장되며, 제어부(240)로부터 이동 경로를 수신하면, 이동 경로 상에 포함되는 지도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지도 검색부(220)는 지도 정보를 추출하면, 추출된 지도를 제어부(24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지도 정보는 땅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등고선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경사도 산출부(230)는 지도 검색부(220)로부터 이동 경로에 대한 등고선 정보가 포함된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등고선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 경로의 경사도를 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경사도 산출부(230)는 경사도를 산출하면, 산출된 경사도를 제어부(240)로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네비게이션 서버(2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250)는 음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네비게이션 서버(2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240)는 통신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수신하면,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경로 탐색부(210)로 송신하여, 경로 탐색부(210)로부터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240)는 이동 경로를 지도 검색부(220)로 송신하여, 지도 검색부(220)를 통해 이동 경로에 포함된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도 정보를 경사도 산출부(230)로 송신하여, 이동 경로에 포함된 경사로의 경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경사도 산출부(230)로부터 경사도를 수신하면, 수신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미만인지 판단하고,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미만인 경우, 탐색된 이동 경로를 최종 이동 경로로 결정하고, 최종 이동 경로를 통신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최종 이동 경로와 함께 수신된 지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수신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240)는 이동 경로를 재탐색하도록 경로 탐색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 정보가 저장부(250)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광고 음향 정보를 통신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최종 이동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때, 경사도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지도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는 경사도에 따라, 최종 이동 경로에 포함된 경사로의 경사도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1)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 및 네비게이션 서버(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한,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1)의 네비게이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10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네비게이션 서버(20)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현재 위치를 입력부(1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거나, GPS 모듈(16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서버(20)는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수신하면, S110단계에서 이동 경로를 탐색하고, 최종 이동 경로를 결정하여, S120단계에서 최종 이동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서버(20)는 최종 이동 경로와 최종 이동 경로 주변에 관한 지도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최종 이동 경로를 수신하면, S130단계에서 최종 이동 경로를 저장하고, S140단계에서 이동 방향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동작은 최종 이동 경로와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우,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종료하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최종 이동 경로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영상을 바탕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인 S150단계 및 S160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5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영상 경로 안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간 영상 경로 안내 명령을 수신하면, S16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카메라부(170)를 실행하여, 카메라부(170)를 통해 입력된 실시간 영상 및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음향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은 진행 방향 변화 지점을 안내하는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16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실시간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음향 정보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10)는 최종 이동 경로를 저장하여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때문에,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과정에서 네비게이션 서버(20)와 통신되지 않더라도 저장된 최종 이동 경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최종 이동 경로와 현재 위치를 통해 경로를 안내 받는 방법과,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실시간 영상과 음향 정보를 통해 경로를 안내 받는 방법 중 편한 방식으로 이동 방향을 안내 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20)의 최종 이동 경로 결정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로, 도 2의 S110단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S111단계에서 제어부(240)는 통신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수신하면, S112단계에서 제어부(240)는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경로 탐색부(210)로 송신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도보로 도달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탐색한다.
이동 경로가 탐색되면, S113단계에서 제어부(240)는 이동 경로를 지도 검색부(220)로 송신하여, 이동 경로에 포함되는 지도 정보를 추출하고, S114단계에서 추출된 지도 정보를 경사도 산출부(230)로 송신하여, 이동 경로의 경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지도 정보는 등고선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경사도 산출부(230)는 등고선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경로의 경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본래 지도 정보에 포함된 등고선 정보를 활용하여 경사도를 산출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서버(20)에 별도로 경사도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경사도가 산출되면, S115단계에서 제어부(240)는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이하인지 판단하고, 기설정된 경사도 이하인 경우, S116단계에서 제어부(240)는 탐색된 이동 경로를 최종 이동 경로로 결정하고, 통신부(200)를 통해 최종 이동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서버(20)에 기설정된 경사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네비게이션 서버(2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를 초과한 경우, 제어부(240)는 다시 S112단계로 돌아가 경로 탐색부(210)에 이동 경로를 재탐색을 요청한다. 이때, 경로 탐색부(210)는 제어부(240)에 이동 경로를 송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 안에 동일한 현재 위치 및 목적지로 제어부(240)로부터 이동 경로 탐색 요청을 받는 경우, 이동 경로 재탐색으로 판단하여, 기존 이동 경로와는 상이한 이동 경로를 탐색하여, 제어부(24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로 탐색부(210)는 계단 정보, 엘리베이터 정보, 에스칼레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포함하고 있으며, 이동 경로 재탐색 시에 계단,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칼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경로로 재탐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탐색된 이동 경로가 기설정된 경사도 미만일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기로 이동 경로를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경사로를 포함하지 않는 이동 경로를 안내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의 이동 방향 출력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로, 도 2의 S140단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S141단계에서 제어부(140)는 GPS 모듈(160)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하면, S142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40)는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최종 이동 경로 및 S141단계에서 GPS 모듈(160)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표시를 표시하고, 현재 위치가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통신부(120)를 통해 S141단계에서 수신한 GPS 모듈(160)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를 네비게이션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서버(20)는 현재 위치를 수정하여 도 2의 S11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GPS 모듈(160)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으로 현재 위치를 수신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를 수신할 때마다,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를 수정하여 표시하거나, 네비게이션 서버(20)로 현재 위치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의 실시간 영상에 이동 방향을 표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로, 도 2의 S160단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S161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경로 안내 명령을 수신하면, 카메라부(170)를 구동해 카메라부(170)로부터 실시간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S162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가 진행 방향 변화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진행 방향 변화 지점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이동 방향과는 상이한 진행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다. 한편, 일정 거리는 2m 내지 3m일 수 있다. 2m 미만인 경우, 사용자는 급박하게 방향 전환을 진행해야 하며, 3m이상인 경우, 사용자는 다른 도보용 도로와 헷갈릴 수 있다. 특히, 도보용 도로는 골목길이 많기 때문에, 적절한 거리에서 방향 전환을 안내해야 하는데 일정 거리가 2m 내지 3m인 경우, 사용자에게 혼란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방향 전환을 안내할 수 있다.
현재 위치가 진행 방향 변화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S163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카메라부(17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텍스트 추출 모듈(180)로 송신하여, 텍스트 추출 모듈(180)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정보 및 생성된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텍스트 추출 모듈(180)은 제어부(140)로부터 실시간 영상을 수신하면, 영상에서 진행 방향 변화 지점에 있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가게의 간판을 인식하고, 가게의 간판에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추출 모듈(180)은 제어부(140)로부터 실시간 영상을 수신하면, 영상에서 진행 방향 변화 지점의 주변환경을 인식하고, 주변환경에 대응하여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텍스트 추출 모듈(180)은 진행 방향 변화 지점에서 특정 형상이 인식되는 경우, 특정 형상에 대응하여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추출 모듈(180)은 진행 방향 변화 지점에서 횡단 보도 형상이 인식되는 경우, 횡단 보도라는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텍스트 추출 모듈(180)은 추출된 텍스트 정보 및 향후 진행 방향을 바탕으로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음향 정보는 추출된 텍스트에 대한 음향 정보와 향후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음향 정보를 합친 것이다. 이때, 향후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음향 정보는 기존에 텍스트 추출 모듈(18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추출 모듈(180)은 “좌회전 하십시오”, “우회전 하십시오”, “유턴 하십시오” 등과 같은 향후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음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추출된 텍스트 정보에 대한 음향 정보가 “가나다”이며, 진행 방향이 우회전인 경우, “가나다에서 우회전 하십시오”라는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향후 진행 방향은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텍스트 정보 및 음향 정보가 생성되면, S164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S165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네비게이션 서버(20)로부터 통신부(120)를 통해 광고 음향을 수신하는지 판단하고, 광고 음향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면, S166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스피커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서버(20)는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을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가게에 관한 광고 음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빵 가게에 관한 텍스트 정보에는 “갓 구운 빵이 있는”이라는 광고 음향 정보가 할인 마트에 관한 텍스트 정보에는 “물건이 저렴한”이라는 광고 음향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예를 설명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고 음향이 출력한 후, S167단계에서 제어부(140)는 S163단계를 통해 생성된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음향을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S167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고 음향이 출력된 후,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음향이 출력되기 때문에, 해당 가게는 가게에 대한 홍보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164단계 내지 S166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S163단계에서 바로 S167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진행 방향 변화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40)는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음향 정보와 함께 이미지 정보가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20)의 광고 음향 송신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1651단계에서 제어부(240)는 통신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S1652단계에서 제어부(240)는 수신한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 정보가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저장부(250)는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도록 광고 음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S1653단계에서 제어부(240)는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 정보를 통신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의 경사도 안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140 단계 또는 S160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이동 경로를 안내할 때, 이동 경로에 대한 경사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서버(20)는 통신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최종 이동 경로와 최종 이동 경로의 경사도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최종 이동 경로의 경사도는 경사도 산출부(230)에 의해 산출된 경사도일 수 있다.
S145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네비게이션 서버(20)로부터 경사도를 수신하고, S146단계에서 제어부(140)는 GPS 모듈(160)로부터 송신된 현재 위치가 경사로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거나, 경사로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경사로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또는 경사로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면, S147단계에서 제어부(140)는 경사로의 경사도가 기준 경사도 이상인지 판단한다. 경사로의 경사도가 기준 경사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S148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경사도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145단계 이전에 제어부(140)는 입력부(100)로부터 기준 경사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준 경사도는 복수개가 될 수 있으며, 기준 경사도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사로의 경사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경사도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경사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S14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의 표시부(110)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최종 이동 경로, 현재 위치 및 최종 이동 경로 주변 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최종 이동 경로 전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종 이동 경로 중 일부만 표시하고, 현재 위치에 따라 최종 이동 경로를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현재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현재 위치는 수정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가 지나온 경로는 표시 제거되거나, 상이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S16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카메라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카메라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으로부터 가게 간판의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음향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나다에서 우회전 하십시오”라는 음향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음향 정보 출력과 함께,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화면에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 정보는 도 9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현재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현재 위치의 변화에 따라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는 수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경로의 경사도를 산출하여 설정된 경사도보다 경사도가 낮은 이동 경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기 때문에, 오르막을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네비게이션 시스템
10 : 사용자 단말기
20 : 네비게이션 서버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으로서,
    (a) 네비게이션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고, 최종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최종 이동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최종 이동 경로를 저장하고, 상기 최종 이동 경로를 바탕으로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와,
    (b-2)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탐색된 이동 경로 상에 포함되는 지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지도 정보에 포함된 등고선 정보를 참조하여 경사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b-3)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를 초과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는 탐색된 경로와 상이한 이동 경로를 재탐색하는 단계와,
    (b-3) 상기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이하인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탐색된 이동 경로를 최종 이동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최종 이동 경로와 상기 현재 위치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현재 위치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현재 위치를 수정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 상기 현재 위치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b)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된 실시간 영상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d) 단계 이후,
    (e) 실시간 영상 경로 안내 명령 입력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실시간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최종 이동 경로 및 상기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실시간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와,
    (e-2)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최종 이동 경로 상에 진행 방향 변화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e-3)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실시간 영상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음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e-4)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정보는 상기 진행 방향 변화 지점을 안내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3)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 추출한 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는 수신한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 정보가 존재하는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음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광고 음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4) 단계는 상기 광고 음향 정보를 함께 출력 후, 상기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실시간 영상에 상기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가 상기 최종 이동 경로와 상기 산출된 경사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현재 위치가 기준 경사도 이상의 경사로로부터 일정 거래 내에 위치하거나 경사로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경사로의 경사도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기준 경사도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10.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목적지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송신하고,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최종 이동 경로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최종 이동 경로를 바탕으로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최종 이동 경로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수신하고, 최종 이동 경로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 상기 경로 탐색부로부터 탐색된 이동 경로 상에 포함되는 지도 정보를 추출하는 지도 검색부, 상기 지도 검색부로부터 추출된 지도 정보에 포함된 등고선 정보를 참조하여 경사도를 산출하는 경사도 산출부 및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이상인지 판단하여,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지도 검색부에 재탐색을 요청하고, 산출된 경사도가 기설정된 경사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탐색된 이동 경로를 최종 이동 경로로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최종 이동 경로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20170136573A 2017-10-20 2017-10-20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4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73A KR20190044304A (ko) 2017-10-20 2017-10-20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73A KR20190044304A (ko) 2017-10-20 2017-10-20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04A true KR20190044304A (ko) 2019-04-30

Family

ID=6628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573A KR20190044304A (ko) 2017-10-20 2017-10-20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3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6486A (zh) * 2019-11-26 2020-03-2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路线确定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939A (ko) 2004-04-30 2005-11-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939A (ko) 2004-04-30 2005-11-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6486A (zh) * 2019-11-26 2020-03-2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路线确定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10926486B (zh) * 2019-11-26 2021-06-1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路线确定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11703333B2 (en) 2019-11-26 2023-07-18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ute,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8173B2 (ja) 表示システム、電子装置および地図情報の表示方法
US11022452B2 (en) Inconvenience for passenger pickups and drop offs for autonomous vehicles
EP3669143B1 (en) Meeting point indication in an image
JP667491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車載装置
KR20080056669A (ko) 안내 로봇장치 및 안내시스템
KR10238867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901786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of disabled person
KR102067350B1 (ko) 스마트글라스의 보행보조를 위한 원격연계기반 보행보조 지원 방법 및 원격연계기반 보행보조 지원 시스템
JP3776741B2 (ja) 地図情報取得方法、地図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4304A (ko)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JP6923304B2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走行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2296061A (ja) 道案内情報提供方法及び道案内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2442239B1 (ko)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
CN114415678B (zh) 机器人的路径规划方法、装置、机器人和存储介质
KR101596256B1 (ko)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KR102279378B1 (ko) 교통약자용 실시간 이동경로 제공방법
JP2005227088A (ja) 情報収集端末、情報提供センタ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
JP5715715B1 (ja) 避難経路提供システム、避難経路提供方法、及び避難経路提供プログラム
KR102484853B1 (ko) 목적지 안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텔레매틱스 서버
JP6694781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058408A (ko) 통신망을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1071967A (ja) 対応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31556B1 (ko) 세도로 주행시 교차로 주변 건물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164045B1 (ko) 내비게이션 장치로 이동 경로 주변에 위치하는 관심 지점을 추천할 수 있는 관심 지점 추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234617B1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