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676B1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676B1
KR102388676B1 KR1020200138974A KR20200138974A KR102388676B1 KR 102388676 B1 KR102388676 B1 KR 102388676B1 KR 1020200138974 A KR1020200138974 A KR 1020200138974A KR 20200138974 A KR20200138974 A KR 20200138974A KR 102388676 B1 KR102388676 B1 KR 10238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data
walking
road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659A (ko
Inventor
이시완
Original Assignee
이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완 filed Critical 이시완
Priority to US17/776,54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35051A1/en
Priority to PCT/KR2020/014734 priority patent/WO2021096106A1/ko
Publication of KR2021005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구축하고,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에 따른 리워드(reward)를 보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자의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보행 경로의 거리에 따라 차별화된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CONSTRUCTING PEDESTRIAN PATH DATA USING MOBILE DEVICE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구축하고,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에 따른 리워드(reward)를 보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 정보를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 형태 및 상황에 대한 도로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도로 CCTV를 통해 도로 형태 및 상황에 대한 도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도로 정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도로의 위치도 중요하며, 도로의 위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통해 획득하고, 이를 촬영한 도로의 영상과 매칭함으로써, 도로의 위치와 영상이 일치되도록 한다.
다만, 기존에는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술에 한정되었다. 즉, 기존에는 차량도로의 형태 및 상황에 대한 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에 국한되어 왔으며, 보행자가 걸어다니는 보행도로에 대한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 및 데이터화하는 기술은 미비하였다.
따라서, 보행자가 이동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획득하여 보다 정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구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 및 카메라를 통해서 보행자가 다니는 길에 대한 정보 즉,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의 이동에 따라 획득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보행도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update)하여 유효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되는 보행도로 데이터에 따른 리워드(reward)를 보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경험을 기반으로 데이터 라이프 사이클의 고도화 및 보행로 지도의 고도화를 구현하고자 하며, 보행도로 데이터와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공공의 이익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자의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보행 경로의 거리에 따라 차별화된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의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도로 이미지와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은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자의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하는 관리부 및 상기 보행지도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보행 경로의 거리에 따라 차별화된 리워드를 지급하는 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획득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의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보행도로 이미지와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은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은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 및 카메라를 통해서 보행자가 다니는 길에 대한 정보 즉,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의 이동에 따라 획득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보행도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update)하여 유효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되는 보행도로 데이터에 따른 리워드(reward)를 보상으로 지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경험을 기반으로 데이터 라이프 사이클의 고도화 및 보행로 지도의 고도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보행도로 데이터와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공공의 이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지역 예를 들어,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용이한 지역과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어려운 지역에 따라 보상으로 지급되는 리워드를 차별화함으로써,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서도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로부터 수집할 수 있도록 추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지역의 보행도로 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고정 또는 비고정을 구별하여 보행지도 데이터에 제공함으로써, 상황에 따른 장애물 식별에 도움을 주며, 보행지도를 계층별로 구축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지도에 대한 관리 및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행자가 이동한 보행도로를 보행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해당 지역의 보행지도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보행자가 이동한 보행도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보행지도 상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 입력을 통해 수정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보행도로 이동 경로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이동을 통해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지도 데이터에 대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적경로 분석을 통한 데이터 수집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UI에 대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에 대한 계층별 보행지도 데이터를 구축하고, 그에 따른 리워드(reward)를 보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선 보행도로 및 곡선 보행도로의 보행도로 형태와 계단 여부, 언덕 여부,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기 여부, 장애물 여부 및 위험지역 여부의 보행도로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행 장애물에 대한 고정 또는 비고정을 구별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하고,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한 사용자(또는 보행자)에게 리워드를 보상으로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또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PDA, 노트북,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기일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터치-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기능 집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 또는 가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으므로 종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GPS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카메라의 측정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것이며,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또는 보행자)들로부터 수집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지도 데이터에 적절히 맵핑하는 소셜 맵핑(social mapping)을 기본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구축하고,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에 따른 리워드(reward)를 보상으로 제공한다.
도 1의 방법은 도 7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작(110) 단계 이후에, 단계 120에서,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한다.
보다 상세하게, 단계 120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 예를 들어, GPS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의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단계(미도시) 및 보행도로 이미지와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2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120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GPS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 그리고 카메라의 측정 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이동한 보행도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에서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는 위치 정보, 방향 정보, 가속도 정보, 자이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보행자의 위치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의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GPS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며, 보행자가 걷는 속도, 방향 및 고도의 변화를 통해 이동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나타내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이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뿐 아니라, 이동 방향, 어느 한 지점에서 머문 시간 및 장애물 또는 구조물을 피해 돌아가는 경로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보행자가 이동하는 중에 모바일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 내 보행도로를 촬영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도중에 보행도로에 위치하는 장애물, 결빙 현상, 쌓여있는 눈 또는 나뭇잎과 같은 보행도로 내 방해물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수 있으며, 제1 단계는 방해물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단계는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 정보, 카메라 방향 및 카메라 촬영 위치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1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 정보, 카메라 방향 및 카메라 촬영 위치에 따른 도로의 경사 또는 언덕 여부, 기울기 각도 및 보행도로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방 또는 옷에 넣은 후 보행을 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에 든 채로 보행을 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바라보며 보행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온(On)하여 촬영하면서 보행을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단계는 GPS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 그리고 카메라를 통해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획득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 정보 및 카메라 방향을 획득하여 보행도로의 경사 또는 언덕 여부를 감지하고, 경사 또는 언덕의 기울기 각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는 보행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온(On)하여 촬영하면서 보행하는 경우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뿐만 아니라, 이동 방향, 어느 한 지점에서의 머문 시간, 장애물 또는 구조물을 피해 돌아가는 경로, 도로의 경사 또는 언덕 여부, 기울기 각도, 및 보행도로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보행도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며, 보행 속도 데이터와 기 저장된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평균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단계는 보행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보행이 아닌 교통 수단 등을 이용하여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보행자의 이동 속도가 일정 기준 속도를 넘어가는 경우 교통 수단 등을 이용하여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의 보행도로 데이터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계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단계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평균 속도 즉,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며, 산출된 보행 속도 데이터와 기 저장된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평균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단계는 보행자가 보행도로의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행자의 이동으로 인해 획득된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에 따른 평균 속도의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 또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거리에서 기계적으로 산출되는 평균 속도 데이터와 보행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직선 보행도로 및 곡선 보행도로의 보행도로 형태와 계단 여부, 언덕 여부,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기 여부, 장애물 여부 및 위험지역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행도로 특징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단계는 보행자의 보행 속도에 대한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보행자의 보행 속도와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보행 속도의 비교를 통해 직선 보행도로 및 곡선 보행도로의 보행도로 형태와 계단 여부, 언덕 여부,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기 여부, 장애물 여부 및 위험지역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행도로 특징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단계는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보행도로가 직선 보행도로라고 가정하고,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보행 속도 데이터가 평균 속도 데이터보다 빠른 경우 기 저장된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의 직선 보행도로에 위치하여 보행자의 이동을 방해했던 장애물 또는 위험지역(예를 들어, 공사 등)이 해결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장애물 여부 및 위험지역 여부의 보행도로 특징을 새로이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 단계는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보행 속도 데이터가 평균 속도 데이터보다 느린 경우 기 저장된 A지점에서 B지점 사이의 직선 보행도로 상에 계단, 언덕 및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승강기 중 어느 하나가 새로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계단 여부, 언덕 여부,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기 여부의 보행도로 특징을 새로이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 단계는 보행 속도 데이터와 해당 보행 경로에 대해 이전에 획득된 평균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보행자만 이동하는 해당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단계 120에 의해 보행자가 이동한 보행 경로의 보행도로 데이터 또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가 획득되면,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한다(단계 130).
단계 130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베이스 맵, 시설물 맵, 보행 장애물 맵 및 위험요소 맵의 층별로 구축된 보행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보행 장애물 맵에서, 장애물을 고정 또는 비고정으로 구별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30은 보행로 정보 및 도로 정보를 나타내는 베이스 맵 상에 공공시설, 교통시설, 의료시설, 교육시설, 문화관광시설, 편의시설 및 복지관 등의 시설물 맵을 형성하고, 시설물 맵 상에 비고정 장애물 및 고정 장애물의 보행 장애물 맵을 형성하며, 최상위 층에 결빙, 공사 및 사고다발 지역과 같은 위험요소 맵을 형성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단계 130은 AI 모델 학습을 기반으로, 보행자에 의해 수집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가공 및 정제하고, 장애물의 위치 및 범위 인식과 새로운 장애물 데이터 생성에 따른 분석 및 검증 과정을 거쳐 보행 장애물에 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30은 AI 모델 분류를 통해 보행자에 의해 수집되는 빙결과 같은 위험요소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분류하고, 같은 분류 데이터 그룹화를 통한 인터페이스 및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진을 이용한 장애물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130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보행지도 데이터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보행자 스스로가 실시간으로 이동한 보행 경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130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지도 상에 표시할 때 보행자가 이동하는 이동 속도, 도로의 경사 등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할 수도 있으며, 보행자가 이동한 보행 경로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된 해당 경로의 보행도로 데이터와 새로 측정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겹치는 경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평균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단계 130은 화면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되거나 측정이 종료되어 화면 상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130은 화면 상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가 보행자의 보행 경로와 상이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이한 부분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 중 보행자의 입력에 따른 보정 영역이 결정되고, 이러한 보정 영역의 데이터를 보행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경로에 따라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보행도로 데이터는 서버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술한 보행자의 보정 작업을 통해 서버에서의 신호 처리에 대한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보행도로 데이터가 획득되고, 보행지도 데이터 상에 실시간 표시되어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종료되면 단계 140에서, 보행도로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보행 경로의 거리에 따라 차별화된 리워드를 지급한 후 종료(150) 단계로 종료된다.
단계 140은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보행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리워드 지급이 가능한 일정 거리 이내의 보행도로에 대한 정보와 해당 보행도로에서 리워드의 지급 방식을 보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140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한 위치 또는 보행 경로에 따라 지급하고자 하는 리워드를 차별화할 수 있으며, 실시예로, 기준 리워드에 지역별로 차별화된 웨이트를 적용함으로써, 차별화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140은 보행도로 데이터가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도로 데이터가 획득된 위치가 데이터 획득이 용이한 보행도로인 경우와 데이터 획득이 어려운 보행도로 예컨대,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부족한 보행도로인 경우에 따라서, 보행자에게 지급되는 리워드를 차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산출하는 단계는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여 보행자의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시간을 환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지점에서 D지점까지의 보행도로는 우회전 코스가 포함된 곡선 보행도로이고, 우회전하여 D지점에 도달하기 직전에 에스컬레이터가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역산출하는 단계는 전술한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의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C지점에서 D지점까지의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지나가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 또는 거리를 제외하여 보행도로 특징(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을 제외한 일반 보행도로 즉, 보행도로 형태(예를 들어, 우회전 코스가 포함된 곡선 보행도로)를 이동한 것에 대해서만 이동 시간 및 평균 시간을 역산출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역산출하는 단계는 보행도로 특징을 제외한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순수한 이동 시간 또는 평균 시간을 환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단계 120에서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보행도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된 후,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보행지도 데이터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정하며, 보정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 의해 구축된 보행지도 데이터 및 리워드를 수신하여 단계 130 및 단계 140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보행자에게 보행지도 데이터 및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 의해 보행도로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는 보행자들 각각으로부터 보행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보행도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도로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보행도로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보행도로 각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보행도로에 대해 A 보행자, B 보행자와 C 보행자로부터 보행도로 데이터라 수신되는 경우 A 보행자의 보행도로 데이터, B 보행자의 보행도로 데이터와 C 보행자의 보행도로 데이터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고, 해당 보행도로에 대해 미리 저장된 보도 데이터 또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보행도로에 대한 정확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보행도로에 대해, 크게 차이나는 보행도로 데이터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제외될 수도 있으며, 해당 보행도로에 대해 보행도로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경우에는 저장된 해당 보행도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복수의 보행자들로부터 수집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 저장된 보도 데이터 또는 보행지도 데이터에 적절히 맵핑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보행자들로부터 보행도로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분석한 후 해당 지역에 대해 기 저장된 보도 데이터를 결합하여 보도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이격거리 지점에 대해 획득되는 보행도로 데이터와 기 저장된 보도 데이터를 비교하며, 보행도로 데이터로부터 보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유효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도 데이터는 보행도로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일 수 있으며, 도로 공사 시 설계된 각 보행도로에 대한 거리 형태, 길이, 넓이 및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도 데이터는 보행지도 데이터에 기본이 되는 베이스맵을 일컫을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보도 데이터 및 평균 속도 데이터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각 도로에 대한 거리 형태, 길이, 넓이 및 특징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자 각각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여 보행자의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시간을 환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지점에서 D지점까지의 보행도로는 우회전 코스가 포함된 곡선 보행도로이고, 우회전하여 D지점에 도달하기 직전에 에스컬레이터가 있다고 가정하면, 서버는 전술한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의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C지점에서 D지점까지의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지나가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 또는 거리를 제외하여 보행도로 특징(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을 제외한 일반 보행도로 즉, 보행도로 형태(예를 들어, 우회전 코스가 포함된 곡선 보행도로)를 이동한 것에 대해서만 이동 시간 및 평균 시간을 역산출할 수 있다. 이에, 서버는 보행도로 특징을 제외한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순수한 이동 시간 또는 평균 시간을 환산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함으로써, 보행자가 이동한 거리 또는 시간에 대해 특정한 리워드 예를 들면, 포인트, 돈, 상품, 선물, 보상, 증서 등을 지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보행자의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 및 전송 과정이 완료되면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리워드가 지급될 수 있는 보행자의 위치와 가까운 보행도로 예를 들어, 보행자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보행도로에 대한 정보를 보행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리워드 지급이 가능한 방식 예를 들어, 보행도로에 대한 사진, 동영상 촬영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보행자가 측정한 보행 경로의 거리, 시간 등에 따라 리워드를 상이하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보행자에게 지급된 리워드 히스토리를 제공할 수도 있고, 해당 지역의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리워드를 지급받을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보행자가 이동하는 보행도로에 대하여, 사진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가 부족한 경우 해당 보행도로에 대한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을 추천함으로써, 보행 경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함께 수행하여 보행자가 해당 보행도로에서 지급받을 수 있는 최대 리워드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보행도로에 대한 참고 정보 예를 들어, 구멍이 패이거나 미끄럽거나 노면이 고르지 못하다는 등의 정보를 보행자의 입력을 통해 입력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참고 정보 또한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와 함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구축하고,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에 따른 리워드를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선 보행도로 및 곡선 보행도로의 보행도로 형태와 계단 여부, 언덕 여부,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기 여부, 장애물 여부 및 위험지역 여부의 보행도로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층별로 구축된 보행지도 데이터를 형성하고,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획득한 보행도로 데이터에 따라 리워드를 보상으로 지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지역 예를 들어,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용이한 지역과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어려운 지역에 따라 보상으로 지급되는 리워드를 차별화함으로써,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서도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로부터 수집할 수 있도록 추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지역의 보행도로 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은 보행자가 이동한 보행도로를 보행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해당 지역의 지도(또는 보행지도 데이터)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보행자가 이동한 보행도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지도 상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 입력을 통해 수정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보행도로 이동 경로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비록, 도 1에서 보행도로 형태와 특징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만을 획득하고, 서버에서 이러한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보행도로 형태와 특징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이동을 통해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행자(10)는 모바일 디바이스(700)를 소지하여 보행도로(210)를 보행한다. 이때, 보행도로(210)는 차량이 다니지 않는 보행자 우선인 도로이며, 본 발명은 보행도로(210)에 관련된 데이터만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7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스마트폰에 한정하지 않고,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도 있다.
일 예로, 보행자(10)가 모바일 디바이스(700)를 소지한 채 보행도로(210)를 보행하는 경우,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700) 내 센서를 통해 보행자(10)의 위치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의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며, 모바일 디바이스(700) 내 카메라를 통해 보행도로(210)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201)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도로(210)의 이격된 지점 간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며, 보행 속도 데이터와 이격된 지점에 대해 기 저장된 평균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저장된 평균 속도 데이터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도로(210)는 직선 도로일 수도 있고, 나무 또는 쓰레기와 같은 장애물(201)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700)를 통해 수집되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 및 보행도로 이미지를 이용하여 직선 도로의 보행도로 형태 및 장애물과 같은 보행도로 특징을 포함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본 발명은 보행도로 데이터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기 저장된 보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보행지도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도 데이터는 보행도로(210)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로, 도로 공사 시 설계된 각 보행도로에 대한 거리 형태, 길이, 넓이 및 특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계층별로 구축된 보행지도 데이터 중 베이스맵일 수 있다.
서버(200)는 보행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도로에 대한 거리 형태, 길이, 넓이 및 특징의 보도 데이터를 포함하며, 보행도로의 각 지점(또는 분기점) 마다 평균 속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평균 속도 데이터는 보도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도로의 길이에 대해 기계적으로 산출된 속도 값일 수 있으며, 실제 보행자(10)의 보행으로 인해 획득되는 보행 속도 데이터와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도 2의 설명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에서 보행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서버(300)가 모바일 디바이스(700)에서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을 통해 보행도로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한 후, 모바일 디바이스(700)에 제공한 것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복수의 보행자들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보행도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보행도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지도 데이터에 대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지도 데이터(300)는 베이스 맵(301), 시설물 맵(302), 보행 장애물 맵(303) 및 위험요소 맵(304)의 층별로 구축되어 데이터의 관리 및 업데이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 맵(301)은 보행로 정보 및 도로 정보를 포함하며, 시설물 맵(302)은 공공시설, 교통시설, 의료시설, 교육시설, 문화관광시설, 편의시설 및 복지관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보행 장애물 맵(303)은 비고정 장애물 및 고정 장애물의 정보를 포함하며, 위험요소 맵(304)은 결빙, 공사 및 사고다발 지역과 같은 위험요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맵(301)은 보도 데이터로, 보행도로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맵(301)은 도로 공사 시 설계된 각 보행도로에 대한 거리 형태, 길이, 넓이 및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보행 장애물 맵(303)은 보행에 불편함을 주는 장애물들을 고정적인 장애물과 변화가능한 장애물(비고정)로 분류하며, 줌레벨(Zoom Level)에 따라 단계별로 표기하여 상황에 맞게 제공한다. 일 예로, 줌레벨 시 단계는 고정 및 비고정으로 분류되며, 줌레벨 동 단계에서는 보행에 장애가 되는 장애물을 아이콘으로 구분 및 표기한다. 예를 들면, 줌레벨 동 단계는 신호등, 볼라드, 난간, 경계석, 거치대, 정류장, 불법주차, 쓰레기통, 공사지역, 맨홀 및 가판대와 같은 아이콘으로 장애물들을 표기할 수 있다. 또한, 줌레벨 건물 단계는 시, 동 단계의 줌레벨에서는 보이지 않는 반복적인 장애물 예를 들면, 가로수, 울타리, 소화전 및 공사중은 건물 단계에 표시하여 장애물 식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위험요소 맵(304)은 보행에 위험이 되는 결빙, 공사중 및 사고다발 아이콘 및 영역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적경로 분석을 통한 데이터 수집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A위치부터 B위치까지의 시간 및 거리와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보행자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는 하기의 [수식 1] 및 [수식 2]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수식 1]
Figure 112020113104781-pat00001
[수식 2]
Figure 112020113104781-pat00002
도 5a는 계단 및 턱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하 운동을 나타내고, 도 5b는 보행로 경사도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나타내며, 도 5c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행도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PS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로부터 획득된 보행자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기울기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속도(가속도) 측정 알고리즘([수식 3]), 경사도(각도) 측정 알고리즘([수식 4]) 및 보행로형태(각속도) 측정 알고리즘([수식 5])을 이용하여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식 3]
Figure 112020113104781-pat00003
[수식 4]
Figure 112020113104781-pat00004
[수식 5]
Figure 112020113104781-pat00005
여기서, [수식 1] 내지 [수식 5]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식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UI에 대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UI에 대한 것으로, 보행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보행자는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도중에 도로 위의 쓰레기를 발견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6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장애물 탐색(601)을 선택하여 고정 장애물, 비고정 장애물 또는 시설/설비의 장애물을 신고(602)할 수 있다(도 6b).
이에, 도 6c, 도 6d 및 도 6e에서 보행자는 모바일 디바이스(6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 상의 쓰레기를 촬영하며, 현재 보행자의 위치(604)를 확인한 후, 장애물의 유형을 선택(605)할 수 있다. 이때, 유형 선택(605)은 차량진입 방지봉, 자전거 거치대, 보행로 유실/손실, 소화전 및 버스 정류장과 같은 고정 장애물 또는 공사지역, 가판대, 불법주차 및 쓰레기더미와 같은 비고정 장애물 그리고 계단, 승강기 및 경사로와 같은 시설/설비 장애물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보행자는 도로 위에 위치하는 쓰레기에 대한 장애물의 유형을 선택(605)한 후, 도 6d에서 등록하기(606)를 선택하면, 도 6f와 같이 신고 접수가 완료(607)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자에 의해 신고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보행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700)은 획득부(710), 관리부(720) 및 보상부(730)를 포함하며,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획득부(710)는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한다.
보다 상세하게, 획득부(710)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 예를 들어, GPS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의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 보행도로 이미지와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부(710)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GPS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 그리고 카메라의 측정 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이동한 보행도로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는 위치 정보, 방향 정보, 가속도 정보, 자이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보행자의 위치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의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GPS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며, 보행자가 걷는 속도, 방향 및 고도의 변화를 통해 이동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나타내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이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뿐 아니라, 이동 방향, 어느 한 지점에서 머문 시간 및 장애물 또는 구조물을 피해 돌아가는 경로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보행자가 이동하는 중에 모바일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 내 보행도로를 촬영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도중에 보행도로에 위치하는 장애물, 결빙 현상, 쌓여있는 눈 또는 나뭇잎과 같은 보행도로 내 방해물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방해물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 정보, 카메라 방향 및 카메라 촬영 위치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 정보, 카메라 방향 및 카메라 촬영 위치에 따른 도로의 경사 또는 언덕 여부, 기울기 각도 및 보행도로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방 또는 옷에 넣은 후 보행을 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에 든 채로 보행을 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바라보며 보행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온(On)하여 촬영하면서 보행을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GPS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 그리고 카메라를 통해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획득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 정보 및 카메라 방향을 획득하여 보행도로의 경사 또는 언덕 여부를 감지하고, 경사 또는 언덕의 기울기 각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보행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온(On)하여 촬영하면서 보행하는 경우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뿐만 아니라, 이동 방향, 어느 한 지점에서의 머문 시간, 장애물 또는 구조물을 피해 돌아가는 경로, 도로의 경사 또는 언덕 여부, 기울기 각도, 및 보행도로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보행도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며, 보행 속도 데이터와 기 저장된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평균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보행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보행이 아닌 교통 수단 등을 이용하여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보행자의 이동 속도가 일정 기준 속도를 넘어가는 경우 교통 수단 등을 이용하여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의 보행도로 데이터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평균 속도 즉,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며, 산출된 보행 속도 데이터와 기 저장된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평균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보행자가 보행도로의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행자의 이동으로 인해 획득된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에 따른 평균 속도의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 또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거리에서 기계적으로 산출되는 평균 속도 데이터와 보행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직선 보행도로 및 곡선 보행도로의 보행도로 형태와 계단 여부, 언덕 여부,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기 여부, 장애물 여부 및 위험지역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행도로 특징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보행자의 보행 속도에 대한 히스토리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보행자의 보행 속도와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보행 속도의 비교를 통해 직선 보행도로 및 곡선 보행도로의 보행도로 형태와 계단 여부, 언덕 여부,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기 여부, 장애물 여부 및 위험지역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행도로 특징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보행 속도 데이터와 해당 보행 경로에 대해 이전에 획득된 평균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보행자만 이동하는 해당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관리부(720)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한다.
관리부(720)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베이스 맵, 시설물 맵, 보행 장애물 맵 및 위험요소 맵의 층별로 구축된 보행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보행 장애물 맵에서, 장애물을 고정 또는 비고정으로 구별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부(720)는 보행로 정보 및 도로 정보를 나타내는 베이스 맵 상에 공공시설, 교통시설, 의료시설, 교육시설, 문화관광시설, 편의시설 및 복지관 등의 시설물 맵을 형성하고, 시설물 맵 상에 비고정 장애물 및 고정 장애물의 보행 장애물 맵을 형성하며, 최상위 층에 결빙, 공사 및 사고다발 지역과 같은 위험요소 맵을 형성하여 보행지도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관리부(720)는 AI 모델 학습을 기반으로, 보행자에 의해 수집되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가공 및 정제하고, 장애물의 위치 및 범위 인식과 새로운 장애물 데이터 생성에 따른 분석 및 검증 과정을 거쳐 보행 장애물에 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720)는 AI 모델 분류를 통해 보행자에 의해 수집되는 빙결과 같은 위험요소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분류하고, 같은 분류 데이터 그룹화를 통한 인터페이스 및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진을 이용한 장애물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부(720)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보행지도 데이터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보행자 스스로가 실시간으로 이동한 보행 경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부(720)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지도 상에 표시할 때 보행자가 이동하는 이동 속도, 도로의 경사 등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할 수도 있으며, 보행자가 이동한 보행 경로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된 해당 경로의 보행도로 데이터와 새로 측정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겹치는 경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평균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나아가, 관리부(720)는 화면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되거나 측정이 종료되어 화면 상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상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가 보행자의 보행 경로와 상이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이한 부분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하는 기능은 표시부에 구비된 제어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 중 보행자의 입력에 따른 보정 영역이 결정되고, 이러한 보정 영역의 데이터를 보행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경로에 따라 획득된 보행도로 데이터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보행도로 데이터는 서버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술한 보행자의 보정 작업을 통해 서버에서의 신호 처리에 대한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보상부(730)는 보행지도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보행도로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보행 경로의 거리에 따라 차별화된 리워드를 지급한다.
보상부(730)는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보행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리워드 지급이 가능한 일정 거리 이내의 보행도로에 대한 정보와 해당 보행도로에서 리워드의 지급 방식을 보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부(730)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한 위치 또는 보행 경로에 따라 지급하고자 하는 리워드를 차별화할 수 있으며, 실시예로, 기준 리워드에 지역별로 차별화된 웨이트를 적용함으로써, 차별화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부(730)는 보행도로 데이터가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도로 데이터가 획득된 위치가 데이터 획득이 용이한 보행도로인 경우와 데이터 획득이 어려운 보행도로 예컨대,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부족한 보행도로인 경우에 따라서, 보행자에게 지급되는 리워드를 차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700)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출부는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여 보행자의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시간을 환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지점에서 D지점까지의 보행도로는 우회전 코스가 포함된 곡선 보행도로이고, 우회전하여 D지점에 도달하기 직전에 에스컬레이터가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산출부는 전술한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의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C지점에서 D지점까지의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지나가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 또는 거리를 제외하여 보행도로 특징(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을 제외한 일반 보행도로 즉, 보행도로 형태(예를 들어, 우회전 코스가 포함된 곡선 보행도로)를 이동한 것에 대해서만 이동 시간 및 평균 시간을 역산출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산출부는 보행도로 특징을 제외한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순수한 이동 시간 또는 평균 시간을 환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700)은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보행도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부(720)는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된 후,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보행지도 데이터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정하며, 전송부는 보정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도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 의해 구축된 보행지도 데이터 및 리워드를 수신하여 관리부(720) 및 보상부(73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보행자에게 보행지도 데이터 및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에 의해 보행도로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는 보행자들 각각으로부터 보행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보행도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도로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보행도로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보행도로 각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보행도로에 대해 A 보행자, B 보행자와 C 보행자로부터 보행도로 데이터라 수신되는 경우 A 보행자의 보행도로 데이터, B 보행자의 보행도로 데이터와 C 보행자의 보행도로 데이터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고, 해당 보행도로에 대해 미리 저장된 보도 데이터 또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보행도로에 대한 정확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보행도로에 대해, 크게 차이나는 보행도로 데이터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제외될 수도 있으며, 해당 보행도로에 대해 보행도로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경우에는 저장된 해당 보행도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복수의 보행자들로부터 수집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 저장된 보도 데이터 또는 보행지도 데이터에 적절히 맵핑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보행자들로부터 보행도로 데이터를 수신한 서버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분석한 후 해당 지역에 대해 기 저장된 보도 데이터를 결합하여 보도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보도 데이터 및 평균 속도 데이터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각 도로에 대한 거리 형태, 길이, 넓이 및 특징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비록, 도 7의 시스템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7을 구성하는 각 구성 수단은 도 1 내지 도 6f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자의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보행 경로의 거리에 따라 차별화된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산출하는 단계는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의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여 보행자의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시간을 환산하고,
    상기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리워드 지급이 가능한 일정 거리 이내의 보행도로에 대한 정보와 해당 보행도로에서 리워드의 지급 방식을 상기 보행자에게 제공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도로 이미지와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 및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GPS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도로를 이동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보행자가 걷는 속도, 방향 및 고도의 변화를 통해 이동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보행자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 내 보행도로를 촬영한 상기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상기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보행 속도 데이터와 기 저장된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평균 속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획득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비교 결과와 상기 보행도로 이미지를 기반으로, 직선 보행도로 및 곡선 보행도로의 보행도로 형태와 계단 여부, 언덕 여부,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기 여부, 장애물 여부 및 위험지역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보행도로 특징을 획득하여 보행자만 이동하는 보행도로에 대한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베이스 맵, 시설물 맵, 보행 장애물 맵 및 위험요소 맵의 층별로 구축된 상기 보행지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장애물 맵에서, 장애물을 고정 또는 비고정으로 구별하여 데이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된 후, 상기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지도 데이터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11. 삭제
  12.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자의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지도 데이터를 계층별로 구축하는 관리부; 및
    상기 보행지도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보행 경로의 거리에 따라 차별화된 리워드를 지급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출부는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보행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의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거리를 시간으로 역산출하여 보행자의 이격거리 지점 간의 이동에 따른 시간을 환산하고,
    상기 보상부는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리워드 지급이 가능한 일정 거리 이내의 보행도로에 대한 정보와 해당 보행도로에서 리워드의 지급 방식을 상기 보행자에게 제공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경로에 대한 보행도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보행도로 이미지와 상기 이동경로 측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속도 데이터를 산출하여 보행도로 형태 및 특징을 나타내는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된 후, 상기 보행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지도 데이터에 표시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보정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보정된 보행도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보행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베이스 맵, 시설물 맵, 보행 장애물 맵 및 위험요소 맵의 층별로 구축된 상기 보행지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보행 장애물 맵에서, 장애물을 고정 또는 비고정으로 구별하여 데이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KR1020200138974A 2019-11-14 2020-10-26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8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76,549 US20230135051A1 (en) 2019-11-14 2020-10-27 Pedestrian road data construction method using mobile device, and system therefor
PCT/KR2020/014734 WO2021096106A1 (ko) 2019-11-14 2020-10-27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14 2019-11-14
KR20190145814 2019-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659A KR20210058659A (ko) 2021-05-24
KR102388676B1 true KR102388676B1 (ko) 2022-04-20

Family

ID=7615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74A KR102388676B1 (ko) 2019-11-14 2020-10-26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403825D0 (en) * 2021-08-18 2024-05-01 Lee Si Wan Pedestrian route provisions system and method
KR102516840B1 (ko) * 2022-09-30 2023-04-03 (주) 경성테크놀러지 전동휠체어 사용자 전용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16837B1 (ko) * 2022-09-30 2023-04-03 (주) 경성테크놀러지 전동이동보조기기 주행에 용이한 맞춤형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53331A (ko) * 2022-10-17 2024-04-24 주식회사 브이알크루 크라우드 소싱 기반 3차원 지도 갱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48B1 (ko) 2014-07-11 2015-11-27 (주)솔루션아이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188A (ko) * 2014-01-14 2014-04-30 (주)와이파이브 보행자 경로안내 장치
KR101955568B1 (ko) * 2016-03-24 2019-06-24 주식회사 푸드인쿡홀딩스 모바일 센서 데이터 기반 교통 약자 맞춤형 이동 경험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105231B1 (ko) * 2017-09-26 2020-04-28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48B1 (ko) 2014-07-11 2015-11-27 (주)솔루션아이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659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67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00124430A1 (en) Detecting types of travel corridors on which personal mobility vehicles travel
US20220011130A1 (en) Selective retrieval of navigational information from a host vehicle
CN107145578B (zh) 地图构建方法、装置、设备和系统
JP5901779B2 (ja) 画像データベース地図サービスからアシストシステム内にデータを移す方法
JP5435306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位置測位システム
CN101275841B (zh) 地物信息收集装置及地物信息收集方法
JP2023134478A (ja) ナビゲーション情報を匿名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250439A1 (en) Automated Road Edge Boundary Detection
JP7243370B2 (ja) 道路情報更新システム、経路探索システム、道路情報更新プログラム
CN106462727A (zh) 用于车道尽头识别的系统和方法
CN102208012A (zh) 风景匹配参考数据生成系统及位置测量系统
JP2004205344A (ja) 地図情報管理装置、地図情報管理システム、地図情報管理方法、地図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8040693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
JP6978173B2 (ja) 表示システム、電子装置および地図情報の表示方法
JP2015105833A (ja) 経路探索システム
US20240037935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real time vehicle parking verification
US20230135051A1 (en) Pedestrian road data construction method using mobile device, and system therefor
KR20230077955A (ko) 장애인을 위한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58408A (ko) 통신망을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Qureshi et al. User-centered development of a pedestrian assistance system using end-to-end learning
KR102269226B1 (ko) 소셜 맵핑을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획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4617B1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86799A (ko) 지체 장애인을 위한 도로 정보 공유 플랫폼
KR20230077947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간 정보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