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256B1 -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256B1
KR101596256B1 KR1020150022005A KR20150022005A KR101596256B1 KR 101596256 B1 KR101596256 B1 KR 101596256B1 KR 1020150022005 A KR1020150022005 A KR 1020150022005A KR 20150022005 A KR20150022005 A KR 20150022005A KR 101596256 B1 KR101596256 B1 KR 101596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wearable device
obstacl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윤
방윤식
이재은
박슬아
김지영
유석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1Personalized guidance, e.g. limited guidance on previously travelled rou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특히 휠체어 이용자와 같은 보행에 불편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애시설 정보를 장애인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구축토록 지원 및 서비스하기 위한 것이고, 웨어러블(Wearable) 기기를 이용한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음성으로 장애시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면 음성인식모듈에 의해 호출 음성을 인식한 후 메뉴호출모듈이 메인메뉴를 모바일단말기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단말기 및 웨어러블 기기 각 화면에 표시된 메인메뉴에서 장애시설을 추가 및 선택하기 위하여 음성으로 명령하면 음성인식모듈을 거쳐 메뉴호출모듈이 상기 각 화면에 서브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서브메뉴에서 해당 장애시설의 도형입력을 위한 음성 명령으로 선택하면 모바일단말기에 내장된 GPS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GPS좌표정보(장애시설의 위치정보)를 도형입력모듈이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로 산출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도형입력모듈에서 산출된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는 속성입력모듈에서 해당하는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에 따라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을 연동하여 장애시설의 속성정보를 산출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도형입력모듈에서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의 산출과 더불어 영상입력모듈에서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장애시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녹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선택한 장애시설의 도형정보, 산출된 속성정보 및 녹화된 영상정보가 보행 장애인의 음성 명령에 따라 종료되면 이들 정보는 연동하여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정보송신모듈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내비게이션 서버를 통해 DB에 갱신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Methods for Building Volunteered Disabled Facility Information for Navigation Using Wearable Devices}
본 발명은 장애인, 특히 휠체어 이용자와 같은 보행에 불편을 겪는 사람(이하 '보행 장애인' 이라 함)들을 위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애시설 정보를 장애인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구축토록 지원 및 서비스하기 위한 것으로, 웨어러블(Wearable) 기기를 이용한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 이용자와 같은 보행 장애인들에게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는 그동안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행 장애인들이 다닐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공간에 대한 정보로는 크게 나누어 보행 네트워크 정보와 장애시설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보행 네트워크 정보란 일반 보행자들이 다닐 수 있는 길을 선형으로 표시한 정보로서 도로변 인도의 중심선, 골목길을 따라가는 중심선, 횡단보도의 중심선, 육교의 중심선 등을 말한다. 이 정보는 그동안 정부에서의 연구개발 지원, 시범사업 수행, 민간 업체에서의 투자 등을 통해 전국적인 차원의 정보가 꾸준히 구축이 되어 왔다.
이에 반하여 장애시설 정보란 인도변의 턱, 계단, 급경사로,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와 같이 보행 네트워크의 일정한 구간이나 특정지점에 존재하는 시설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시설 정보는 일반 보행자들에게는 큰 의미가 없으나 보행 장애인들에게는 이동에 장애를 주므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반드시 제공을 해야 하는 정보이다. 이들 정보의 경우 그간 서울시를 비롯한 일부 지자체에서 정보구축을 시범적으로 시도하였으나 정보의 양이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자연히 많은 비용이 수반되어 지속적인 정보의 구축과 유지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장애시설 정보를 보다 저렴하고 효과적으로 구축하려는 연구와 개발이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실용적인 해법은 아직 나오지 못했으며 이에 따른 장애시설 정보는 아직까지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법이 실용적이지 못한 이유는 장애시설 정보의 입력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행 장애인이 휠체어로 이동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장애시설 정보를 입력하려면 정보 입력 때마다 매번 두 손을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이마저도 급경사로의 경우 그 경사로를 이동하면서 정보를 입력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만일 휠체어에 스마트폰 거치대를 설치하여 이용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정보의 입력을 위해 손을 이용하여야 하며, 특히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의 경우 휠체어의 경사와 흔들림에 의해 안정된 정보를 획득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534호(2011.03.16. 공고)인 '근거리 무선 개인통신망을 이용한 휠체어용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534호(2011.03.16.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와 연동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보행 장애인들이 이동 중에 장애시설을 만날 경우 손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음성명령으로 주요 장애시설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보행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애시설 정보를 장애인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구축토록 지원 및 서비스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보행에 불편을 겪는 사람으로서 보행 장애인이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를 보유하고 모바일단말기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채 모바일단말기 및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 받는 동안 보행로 전방에 장애시설이 있을 경우 음성으로 장애시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면 음성인식모듈에 의해 호출 음성을 인식한 후 메뉴호출모듈이 정보 입력메뉴인 메인메뉴를 모바일단말기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단말기 및 웨어러블 기기 각 화면에 표시된 메인메뉴에서 장애시설을 추가 및 선택하기 위하여 음성으로 명령하면 음성인식모듈을 거쳐 메뉴호출모듈이 상기 각 화면에 장애시설을 추가 및 선택할 수 있는 정보 입력메뉴인 서브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서브메뉴에서 해당 장애시설의 도형입력을 위한 음성 명령으로 선택하면 모바일단말기에 내장된 GPS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GPS좌표정보(장애시설의 위치정보)를 도형입력모듈이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로 산출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도형입력모듈에서 산출된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는 속성입력모듈에서 해당하는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에 따라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을 연동하여 장애시설의 속성정보를 산출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도형입력모듈에서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의 산출과 더불어 영상입력모듈에서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장애시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녹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선택한 장애시설의 도형정보, 산출된 속성정보 및 녹화된 영상정보가 보행 장애인의 음성 명령에 따라 종료되면 이들 정보는 연동하여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정보송신모듈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내비게이션 서버를 통해 DB에 갱신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점형정보의 종류는 계단 및 리프트를 포함하는 장애시설이되, 계단의 속성 값은 이동불가 및 경사로 지원을 포함하고, 리프트의 속성 값은 엘리베이터 지원 및 휠체어 리프트를 포함하며, 선형정보의 종류는 경사길, 횡단보도 및 폭이 좁은 길을 포함하는 장애시설이되, 경사길의 속성 값은 급경사에 의한 어려움 및 완만한 경에 의한 쉬움을 포함하고, 횡단보도의 속성 값은 진입억제봉, 높이턱 및 급경사를 포함하며, 폭이 좁은 길의 속성 값은 이동불가 및 이동가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점형정보는 시작 좌표 값만 있고 선형정보는 시작 좌표 값과 종료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도형입력모듈은 모바일단말기에서 제공하는 GPS 좌표 값(장애시설의 위치정보)을 이용하여 보행 장애인이 정지해 있는 한 점인 점형정보 또는 장애인의 이동궤적을 따라 복수의 점이 연결된 선형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미 구축되어 모바일단말기에 내장된 보행 네트워크 선형정보에 중첩하여 네트워크 선형정보에 한 점인 점형정보 또는 일정구간의 선형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속성입력모듈은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을 도형입력모듈에서 추출한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와 연동시킨 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영상입력모듈은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전방의 장애시설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되,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종료를 선언함과 동시에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속성입력모듈에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정보와 도형입력모듈에서 추출한 점형정보/선형정보와 속성정보를 연동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정보송신모듈은 단계(b) 내지 단계(d)를 거쳐 저장모듈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보행 장애인이 음성명령으로 종료를 선언함으로써 무선통신망을 통해 내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가 이동 중에 장애시설을 만날 경우 손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음성명령에 의해 주요한 장애시설 정보를 자발적으로 입력 및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를 위한 내비게이션의 실용성을 고양하고, 보행 비장애인과 보행 장애인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행 장애인을 비롯하여 교통약자의 이동에 따른 장애시설 정보의 통합 관리를 통한 각종 시설물의 효과적인 설치 및 유지관리와 보행 지원시설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를 위한 경로안내를 제공하여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단말기와 웨어러블 기기가 결합된 경로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음성 및 텍스트 기반의 경로안내 기술의 향상과 구글 글래스 등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보행자용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이동에 따른 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VGI(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플랫폼과 멀티옵션 경로안내 기술을 적용하여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이동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향상과 구글 글래스 등의 웨어러블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경로안내 서비스 제공으로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이동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며,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교통안전 확보 및 안전의식을 고취함으로써 보행 비장애인도 보행 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어 통상적인 교통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 비장애인,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운전자 등에게도 해당 시설물을 이용하는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를 유도하고 안전의식을 고취할 수 있으며,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를 위한 정책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 지역별 보행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이동에 장애가 되는 시설의 현황파악이 용이하고 이들의 이동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메인메뉴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에 표시되는 메인메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이동 장애시설 종류를 선택하는 서브메뉴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에 표시되는 서브메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이동 장애시설 속성을 입력하는 서브메뉴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에 표시되는 서브메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이동 장애시설 동영상을 녹화하는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설정화면과 메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장애시설의 유형과 해당 유형별 보행 장애인의 이동과 관련된 속성을 정의한 예시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장애시설을 점과 선형의 도형정보로 나타내고 그 속성 및 영상정보를 보행 네트워크 정보에 중첩시켜 저장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보행에 불편을 겪는 보행 장애인은 웨어러블 기기(10)와 모바일단말기(20)를 소지하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10)와 모바일단말기(20)는 근거리통신을 수행하고 페어링에 의해 연동되는 것이 좋다. 모바일단말기(2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의 보행 장애인 내비게이션 서버(40)와 통신을 한다.
웨어러블 기기(10)는 구글 글래스(Google Glass)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구글 글래스는 구글사가 만든 '스마트 안경'으로,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웨어러블 컴퓨터다. 스마트폰처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Android OS)를 통해 사진도 찍고 인터넷 검색도 하며 길 안내도 받을 수 있다. 구글 글래스는 음성 명령을 통해 작동된다. 구글 글래스에 내장된 소형 마이크에 '오케이 글래스(Okay Glass)'라는 명령어를 내린 후, 음성 명령으로 실시간 촬영이나 SNS 공유, 문자 전송, 내비게이션 등을 즐길 수 있다. 블루투스 기능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나 iO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아이폰과 연동할 수 있다. 손동작을 통해서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른쪽 작은 창에 뜨는 화면에서 몇 가지 손동작을 하면 명령어를 선택하거나 통화 상대를 고를 수 있다. 더욱이 웨어러블 기기(10)는 음성인식을 위한 마이크로폰과, 음성을 포함한 각종 가청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그리고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전방 영상의 투시 및 각종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모바일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 및 기기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행 장애인이 음성으로 장애시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로서 웨어러블 기기를 필요로 한다.
모바일단말기(20)는 스마트폰 등이 적용되고 스마트폰에는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이 설치된다.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은 보행 장애인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31)과, 보행 장애인이 이동 중에 장애시설을 만났을 때에 음성으로 장애시설 정보 입력메뉴를 호출하는 메뉴호출모듈(32)과, 메뉴의 호출에 따라 자동으로 일정 간격의 GPS 좌표정보를 계산하여 점형정보 및/또는 선형정보를 입력하는 도형입력모듈(33)과, 장애시설 정보에 대한 속성을 점형정보 및/또는 선형정보와 연동하여 입력하는 속성입력모듈(34)과, 전방 장애시설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점형정보 및/또는 선형정보와 연동하여 입력하는 영상입력모듈(35), 그리고 정보입력이 보행 장애인의 음성 명령에 따라 종료되고 이들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버(40)로 전송하는 정보송신모듈(36)을 포함한다. 더욱이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에는 수집된 도형정보, 속성정보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37)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내비게이션 서버(40)는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이 설치된 복수의 모바일단말기(20)와 접속되어 각 모바일단말기(20)에서 수신된 정보를 DB에 저장 및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를 복수의 모바일단말기(20)로 전송하는 것이다. 내비게이션 서버(40)에는 장애인 장애시설DB(50)와 장애인 네트워크DB(51)가 접속되어 장애시설에 관한 정보와 네트워크 정보를 각각 저장 및 입출력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를 구축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를 구출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2의 흐름도 및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행에 불편을 겪는 사람, 즉 보행 장애인이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20)를 보유하고 모바일단말기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기기(10)를 착용한 채 모바일단말기(20) 및 웨어러블 기기(10)를 이용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 받게 된다. 이때,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이 실행되고(S1), 웨어러블 기기(10)도 전원을 온(ON)시켜 구동이 된 상태이다. 그리고 모바일단말기(20)와 웨어러블 기기(10)는 페어링 등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연동이 이루어져야 한다(S2).
도 3a에서, 모바일단말기(20)의 화면(100)에 메인메뉴가 표시된다(S3). 즉 모바일단말기(20)의 화면(100)에는 지리정보와 함께 상단에 메뉴바(101)가 표시된다. 메뉴바(101)에는 경로안내버튼(102)과 시설추가버튼(103) 및 설정버튼(104)이 포함된다. 그리고 화면(100) 우측에는 현재위치버튼(105), 지도확대버튼(106) 및 지도축소버튼(107)이 포함된다. 경로안내버튼(102)은 보행 장애인에게 빠른 길, 안전한 길, 그리고 자주 이용하는 길을 안내하기 위한 화면으로 이동하는 버튼이다. 시설추가버튼(103)은 보행 장애인을 위한 이동 장애시설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버튼이다. 설정버튼(103)은 공지사항, 즐겨찾기, 음량조절, 지도설정, 도움말 등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예컨대, 'Smart Wheel' 의 환경설정 및 설명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버튼이다. 또한, 현재위치버튼(105)은 GPS, 기지국 등을 이용하여 보행 장애인에게 정밀한 현재 위치를 검색하여 표시하고, 지도확대버튼(106)은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레벨을 높여 대축척 지도가 나타나게 하는 것이며, 지도축소버튼(107)은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레벨을 낮추어 소축척 지도가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화면에 표시된 버튼들(102) 내지 (107)은 사용자, 즉 보행에 불편을 겪는 보행 장애인이 화면을 터치하면 실행될 뿐만 아니라, 보행 장애인이 음성 호출이나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도 해당 버튼의 입력으로 해당하는 작동이 수행된다.
또한, 도 3b에서, 웨어러블 기기(10)의 화면(200)에도 메인메뉴가 표시된다(S3). 즉 웨어러블 기기(10)의 화면(200)에는 투시되는 전방의 영상과 더불어 상단에 메뉴바(201)가 표시된다. 메뉴바(201)에는 경로안내버튼(202)과 시설추가버튼(203) 및 설정버튼(204)이 포함된다. 메뉴바(201)에 표시된 경로안내버튼(202)과 시설추가버튼(203) 및 설정버튼(204)은 모바일단말기(20) 화면의 메뉴바(101)와 동일하게 보행 장애인이 음성 호출이나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해당 버튼의 작동이 수행된다.
따라서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표시되는 해당하는 메뉴버튼을 터치하거나 웨어러블 기기(10)를 이용한 음성명령으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을 구동시키거나 조작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기기(10)를 이용한 음성명령으로 호출하여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을 실행시키면 메인메뉴가 음성인식모듈에 의해 호출 음성을 인식한 후 메뉴호출모듈(32)이 정보 입력메뉴인 메인메뉴를 모바일단말기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 화면에 각각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모바일단말기(20) 화면에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의 실행으로 메인메뉴가 표시되고 웨어러블 기기(10) 화면에도 메인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보행 장애인이 보행로를 이동하는 동안 보행로 전방에 장애시설이 있을 경우 음성으로 장애시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호출하면(S4), 음성인식모듈(31)에 의해 호출 음성을 인식한 후 메뉴호출모듈(32)이 정보 입력메뉴인 서브메뉴를 모바일단말기(20)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10) 화면에 각각 표시한다. 이때, 음성 호출은 메뉴바(101)의 '시설추가' 라는 음성이 될 것이다. 또한, 메뉴바(101)의 '경로안내' 또는 '설정' 이라는 음성으로 호출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경로안내 또는 설정을 위한 서브메뉴로 전환될 것이다(S20).
다시 말해, 모바일단말기(20) 및 웨어러블 기기(10) 각 화면에 표시된 메인메뉴에서 장애시설을 추가 및 선택하기 위하여 음성으로 명령하면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의 음성인식모듈(31)을 거쳐 메뉴호출모듈(32)이 모바일단말기(20)의 화면(100)과 웨어러블 기기(10)의 화면(200)에 서브메뉴를 표시한다(S5).
이는 도 4a 및 도 4b에서,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의 실행에 따른 이동 장애시설 종류를 선택하는 서브메뉴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10)에 표시되는 서브메뉴 화면으로 전환된다. 모바일단말기(20)의 서브메뉴 화면에는 종류선택메뉴(108)가 표시되고, 웨어러블 기기(10)의 서브메뉴 화면에도 종류선택메뉴(208)가 표시된다. 종류선택메뉴(108) 및 (208)은 정보를 입력할 이동 장애시설의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음성 명령으로 선택할 수 있다(S6). 이동 장애시설은 경사길, 폭이 좁은 길, 계단, 횡단보도 및 리프트 등이 포함된다. 메뉴바(101) 아래의 뒤로 가기는 이전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다.
또한, 종류선택메뉴(108) 및 (208)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종류가 서브메뉴 화면으로 전환된다(S7). 이는 도 5a 및 도 5b에서,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의 실행에 따른 이동 장애시설 속성을 입력하는 서브메뉴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10)에 표시되는 서브메뉴 화면으로 전환된다. 즉 이동 장애시설 종류별 속성정보를 선택하는 속성정보메뉴(109) 및 (209)가 표시된다. 이동 장애시설 종류별 속성정보는 보행 장애인이 이동 장애시설의 종류별로 제공되는 속성정보에서 해당하는 속성을 음성 명령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모바일단말기(20)와 웨어러블 기기(10) 화면에는 공히 횡단보도가 선택된 경우이다. 횡단보도를 선택한 경우에 해당하는 속성정보로 진입억제봉이 있거나 급경사 또는 높이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횡단보도에 속성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없음을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도 5a 및 도 5b에 표시된 서브메뉴에서 해당 장애시설의 도형입력을 위한 음성 명령으로 선택하면 모바일단말기(20)에 내장된 GPS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GPS좌표정보, 즉 장애시설의 위치정보를 도형입력모듈(33)이 장애시설의 길이가 짧은 점형정보(계단, 리프트) 또는 장애시설의 길이가 긴 선형정보(경사길, 횡단보도, 폭이 좁은 길)로 산출 입력한다(S8). 그리고 도형입력모듈(33)에서 산출된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는 속성입력모듈(34)에서 해당하는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에 따라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을 연동하여 장애시설의 속성정보를 산출 입력한다. 속성입력모듈(34)은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을 도형입력모듈(33)에서 추출한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와 연동시킨 후 저장한다(S9). 도형입력모듈(33)은 모바일단말기(20)에서 제공하는 GPS 좌표 값(장애시설의 위치정보)을 이용하여 보행 장애인이 정지해 있는 한 점인 점형정보 또는 장애인의 이동궤적을 따라 복수의 점이 연결된 선형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미 구축되어 모바일단말기(20)에 내장된 보행 네트워크 선형정보에 중첩하여 네트워크 선형정보에 한 점인 점형정보 또는 일정구간의 선형 정보로 저장한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에서,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의 실행에 따른 이동 장애시설을 동영상을 녹화하는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10)에 표시되는 화면을 참조하면,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이동 장애시설의 속성정보가 제공되는 속성정보제공창(110) 및 (210),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이동 장애시설을 실제로 이동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녹화되는 동영상이 제공되는 동영상화면창(114) 및 (214),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이동 장애시설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실제로 이동하면서 동영상으로 녹화를 시작하는 녹화시작버튼(111) 및 (211), 동영상 녹화를 잠시 정지시키는 정지버튼(112) 및 (212),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이동 장애시설이 끝나는 지점에서 동영상의 녹화를 완료하는 완료버튼(113) 및 (213)이 포함되어 있다.
더욱이 보행 장애인이 위치를 선택하여 입력할 필요 없이 동영상의 녹화가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의 좌표로부터 이동 장애시설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가 자동으로 획득된다. 즉 보행 장애인이 시작이라는 음성 명령으로 또는 속성정보의 입력과 동시에 자동으로 영상정보의 녹화가 시작되고(S10), 종료라는 음성 명령으로 영상정보의 녹화가 완료된다(S12).
또한, 상기 도형입력모듈(33)에서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의 산출과 더불어 영상입력모듈(35)에서 웨어러블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장애시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녹화가 이루어진다(S11). 즉 영상입력모듈(35)은 웨어러블 기기(1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전방의 장애시설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되,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종료를 선언함과 동시에 저장모듈(37)에 저장하고, 속성입력모듈(34)에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별 속성정보와 도형입력모듈(33)에서 추출한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와 속성정보를 연동시켜 저장한다(S13).
상기 선택한 장애시설의 도형정보, 산출된 속성정보 및 녹화된 영상정보가 보행 장애인의 음성 명령에 따라 종료되면, 이들 정보는 저장모듈(37)에 저장된 후 정보송신모듈(36)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내비게이션 서버(40)를 통해 장애시설DB(50)와 네트워크DB(51)에 갱신 저장된다(S14,S15). 정보송신모듈(36)은 상기 저장모듈(37)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보행 장애인이 음성명령으로 종료를 선언함으로써 무선통신망을 통해 내비게이션 서버(40)로 자동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행 장애인을 통하여 입력된 장애시설에 대한 도형 및 속성정보, 영상정보는 내비게이션 서버(40)로 전송되어 기존의 보행 네트워크 정보와 융합되어 내비게이션에 적용된다.
또한, 도 7에서,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의 실행에 따른 설정화면과 메뉴구조를 참조하면,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의 실행에 따른 화면에서 환경설정을 위한 메뉴를 통하여 공지사항, 즐겨찾기, 음량조절, 지도설정, 도움말 등을 설정, 선택 또는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공지사항을 제공하고, 새로운 공지사항이 등록되면 자동 알림을 통해 제공하며, 경로안내 시 즐겨 찾는 장소로 등록된 명칭이나 주소정보를 편집하고, 경로안내 시 음성으로 제공되는 가이드정보의 음량을 설정하며, 모바일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지도를 2D나 3D로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주간이나 야간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지 여부를 설정하며, 애플리케이션이나 제공되는 기능에 대한 질의와 응답이 제공되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불편사항이나 이동 장애시설의 정보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개발자에게 문의나 건의할 수 있다.
더욱이 메뉴구조는 안드로이드 OS에서 운영되는 모바일단말기 화면에서 터치로 조작하고 웨어러블 기기에서는 음성명령으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조작된다. 이는 두 손이 자유롭지 못한 보행 장애인을 위하여 음성으로 맞춤형 경로안내가 제공되도록 한다. 메뉴는 경로안내, 시설추가 및 설정으로 구분되고, 경로안내는 출발지 설정, 목적지 설정, 옵션 설정 및 완료를 포함하고, 완료에서는 전체경로, 미리보기, 안내시작 및 항공사진으로 이루어진 입체영상이 지원된다. 시설추가는 이동 장애시설 종류 선택으로부터 속정정보 선택에서 녹화시작, 정지 및 완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설정은 공지사항, 즐겨찾기, 음량조절, 지도설정 및 도움말이 지원된다.
도 8에서, 장애시설의 유형과 해당 유형별 보행 장애인의 이동과 관련된 속성을 정의하여 예시한 표로, 종류에 해당하는 경사길, 계단, 횡단보도, 폭이 좁은 길 및 리프트가 장애시설 선택 서브메뉴 화면에서 장애시설 리스트에 표출되고, 입력 값은 장애시설 속성입력 서브메뉴 화면에서 제공되는 속성 값에 표출되는 정보로, 경사길의 급경사를 나타내는 어려움과 완만한 경사를 나타내는 쉬움으로 구분되고, 계단은 이동불가 및 경사로 지원으로 구분되며, 횡단보도는 진입억제봉, 높이턱 및 급경사로 구분되고, 폭이 좁은 길은 이동불가 및 이동가능으로 구분되며, 리프트는 엘리베이터 지원과 휠체어 리프트로 구분된다.
더욱이 도 9에서, 점형정보는 시작 좌표 값만 있고 선형정보는 시작 좌표 값과 종료 좌표 값을 포함한다. 즉 장애시설을 점과 선형의 도형정보로 나타내고 그 속성 및 영상정보를 보행 네트워크 정보에 중첩시켜 저장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보행 장애인이 보행로(120)을 통하여 입력된 장애시설의 점형 장애시설(121)과 선형 장애시설(122)의 도형정보, 속성정보 및 영상정보가 보행 네트워크 정보와 중첩되는 과정이다. 도형정보로 보행 네트워크 정보와 장애시설 정보가 자동으로 융합된다. 도형정보는 객체형태, 시작 좌표, 종료 좌표가 각각 저장되며, 시설유형과 시설속성은 속성정보, 동영상은 영상정보가 각각 저장된다.
한편, 상기 단계(S4)에서 보행 장애인이 음성 호출로 모바일단말기(20)에 설치된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30)을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는데, 경로안내는 출발지, 목적지, 경로탐색 옵션 및 선택화면이 제공된다. 이는 보편적인 보행자용 내비게이션과 대략 유사하다. 예컨대, 경로안내를 위하여, 현재위치, 명칭검색, 즐겨찾기, 주소검색을 통하여 출발지를 설정하고, 명칭검색, 즐겨찾기, 주소검색을 통하여 목적지를 설정하며, 보행 장애인에게 맞춤형 경로안내를 위하여 편한 길, 안전한 길, 빠른 길, 자주 이용한 길로 구분된 옵션을 설정하고, 버튼의 선택으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의 설정을 완료하며, 모바일단말기의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출발지의 주소나 명칭이 표출됨과 더불어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의 주소나 명칭이 표출된다. 또한, 해당 버튼의 선택 또는 음성 명령으로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으로 탐색된 전체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이동하고, 해당 버튼의 선택 또는 음성 명령으로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으로 탐색된 경로를 미리 시뮬레이션 하는 화면으로 이동하며, 해당 버튼의 선택 또는 음성 명령으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으로 탐색된 경로에 대한 음성안내를 시작하고, 해당 버튼의 선택 또는 음성 명령으로 모바일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지도를 API를 이용하여 항공사진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모바일단말기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 화면에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와 탐색된 경로의 총 거리, 소요 시간 등과 같은 정보가 표출된다.
또한, 모바일단말기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 화면을 통하여 탐색된 경로정보가 표시된다. 예컨대,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으로 탐색된 전체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전체 경로는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에 의해 탐색된 휠체어 장애인이 이동할 수 있는 전체 경로에 대한 정보가 한 화면에 표출되고, 보행 장애인의 이동 장애시설이 있는 지점은 별도의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사용자 참여로 구축된 속성정보가 제공된다.
또한,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으로 탐색된 경로를 미리 시뮬레이션 하는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미리보기는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에 의해 탐색된 휠체어 장애인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미리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다. 예컨대, 보행 장애인이 이동하면서 구간별로 텍스트나 이미지로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고, 미리보기 상황에서도 휠체어 장애인은 위한 구간별 가이드 정보가 음성으로도 제공된다.
또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으로 탐색된 경로에 대한 음성안내를 시작한다. 안내시작은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옵션으로 탐색된 경로에 대한 텍스트, 이미지, 음성안내가 제공된다. 예컨대, 보행 장애인이 이동하면서 구간별로 텍스트나 이미지로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고, 보행 장애인을 위한 구간별 가이드 정보가 음성으로도 제공된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에서는 보행 장애인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방향전환이 발생하거나 이동 장애시설에 대한 정보와 같이 사용자의 판단이 요구되는 지점에서 웨어러블 기기에 가이드 정보가 표출된다.
또한,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지도를 API를 이용하여 항공사진 등의 입체영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입체영상은 모바일단말기 화면에서 제공되는 기능으로, API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기에 표시된 지도가 항공사진으로 변경되어 제공된다.
또한,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와 탐색된 경로의 총 거리, 소요 시간 등과 같은 정보가 표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웨어러블 기기 20: 모바일단말기 30: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 31: 음성인식모듈 32: 메뉴호출모듈 33: 도형입력모듈 34: 속성입력모듈 35: 영상입력모듈 36: 정보송신모듈 37: 저장모듈 40: 내비게이션 서버 100, 200: 화면 101, 201: 메뉴바 102, 202: 경로안내버튼 103, 203: 시설추가버튼 104, 204: 설정버튼 105: 현재위치버튼 106: 지도확대버튼 107: 지도축소버튼 108, 208: 종류선택메뉴 109, 209: 속성정보메뉴 110, 210: 속성정보제공창 111, 211: 녹화시작버튼 112, 212: 정지버튼 113, 213: 완료버튼 114, 214: 동영상화면창 120: 보행로 121: 점형 장애시설 122: 선형 장애시설

Claims (7)

  1. (a) 보행에 불편을 겪는 사람으로서 보행 장애인이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를 보유하고 모바일단말기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채 모바일단말기 및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 받는 동안 보행로 전방에 장애시설이 있을 경우 음성으로 장애시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장애시설 정보 구축용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면 음성인식모듈에 의해 호출 음성을 인식한 후 메뉴호출모듈이 정보 입력메뉴인 메인메뉴를 모바일단말기 화면과 웨어러블 기기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단말기 및 웨어러블 기기 각 화면에 표시된 메인메뉴에서 장애시설을 추가 및 선택하기 위하여 음성으로 명령하면 음성인식모듈을 거쳐 메뉴호출모듈이 상기 각 화면에 장애시설을 추가 및 선택할 수 있는 정보 입력메뉴인 서브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서브메뉴에서 해당 장애시설의 도형입력을 위한 음성 명령으로 선택하면 모바일단말기에 내장된 GPS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GPS좌표정보(장애시설의 위치정보)를 도형입력모듈이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로 산출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도형입력모듈에서 산출된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는 속성입력모듈에서 해당하는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에 따라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을 연동하여 장애시설의 속성정보를 산출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도형입력모듈에서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의 산출과 더불어 영상입력모듈에서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장애시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녹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선택한 장애시설의 도형정보, 산출된 속성정보 및 녹화된 영상정보가 보행 장애인의 음성 명령에 따라 종료되면 이들 정보는 연동하여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정보송신모듈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내비게이션 서버를 통해 DB에 갱신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점형정보의 종류는 계단 및 리프트를 포함하는 장애시설이되, 계단의 속성 값은 이동불가 및 경사로 지원을 포함하고, 리프트의 속성 값은 엘리베이터 지원 및 휠체어 리프트를 포함하며, 선형정보의 종류는 경사길, 횡단보도 및 폭이 좁은 길을 포함하는 장애시설이되, 경사길의 속성 값은 급경사에 의한 어려움 및 완만한 경사에 의한 쉬움을 포함하고, 횡단보도의 속성 값은 진입억제봉, 높이턱 및 급경사를 포함하며, 폭이 좁은 길의 속성 값은 이동불가 및 이동가능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형정보는 시작 좌표 값만 있고 선형정보는 시작 좌표 값과 종료 좌표 값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도형입력모듈은 모바일단말기에서 제공하는 GPS 좌표 값(장애시설의 위치정보)을 이용하여 보행 장애인이 정지해 있는 한 점인 점형정보 또는 장애인의 이동궤적을 따라 복수의 점이 연결된 선형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미 구축되어 모바일단말기에 내장된 보행 네트워크 선형정보에 중첩하여 네트워크 선형정보에 한 점인 점형정보 또는 일정구간의 선형 정보로 저장하는,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속성입력모듈은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을 도형입력모듈에서 추출한 점형정보 또는 선형정보와 연동시킨 후 저장하는,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영상입력모듈은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전방의 장애시설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되, 보행 장애인이 음성 명령으로 종료를 선언함과 동시에 저장모듈에 저장하고, 속성입력모듈에서 선택한 장애시설의 유형과 속성정보와 도형입력모듈에서 추출한 점형정보/선형정보와 속성정보를 연동시켜 저장하는,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정보송신모듈은 단계(b) 내지 단계(d)를 거쳐 저장모듈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보행 장애인이 음성명령으로 종료를 선언함으로써 무선통신망을 통해 내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KR1020150022005A 2015-02-13 2015-02-13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KR10159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05A KR101596256B1 (ko) 2015-02-13 2015-02-13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05A KR101596256B1 (ko) 2015-02-13 2015-02-13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256B1 true KR101596256B1 (ko) 2016-02-23

Family

ID=5544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005A KR101596256B1 (ko) 2015-02-13 2015-02-13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2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255A (ko) * 2016-03-24 2017-10-12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모바일 센서 데이터 기반 교통 약자 맞춤형 이동 경험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4617B1 (ko) * 2019-10-11 2021-03-31 이시완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394A (ja) * 1998-09-10 2000-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交通情報表示装置
KR20010000573A (ko) * 2000-10-06 2001-01-05 안충현 이동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지리정보 조작 및 서비스방법
KR101022534B1 (ko) 2010-04-16 2011-03-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개인통신망을 이용한 휠체어용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시스템
JP2012216135A (ja) * 2011-04-01 2012-11-08 Olympus Corp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40064246A (ko) * 2012-11-20 2014-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394A (ja) * 1998-09-10 2000-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交通情報表示装置
KR20010000573A (ko) * 2000-10-06 2001-01-05 안충현 이동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지리정보 조작 및 서비스방법
KR101022534B1 (ko) 2010-04-16 2011-03-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개인통신망을 이용한 휠체어용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시스템
JP2012216135A (ja) * 2011-04-01 2012-11-08 Olympus Corp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40064246A (ko) * 2012-11-20 2014-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255A (ko) * 2016-03-24 2017-10-12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모바일 센서 데이터 기반 교통 약자 맞춤형 이동 경험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955568B1 (ko) * 2016-03-24 2019-06-24 주식회사 푸드인쿡홀딩스 모바일 센서 데이터 기반 교통 약자 맞춤형 이동 경험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4617B1 (ko) * 2019-10-11 2021-03-31 이시완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097B2 (en) Media stream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US8594935B2 (en)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providing wayfinding orientation and wayfinding data to blind travelers
US20230050825A1 (en) Hands-Free Crowd Sourced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rsons
KR102173634B1 (ko)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94795A (ja) 個人の身体特性に応じた経路案内システム
JP20050371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サーバ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20150069124A (ko) 시각보조기와 이를 이용한 시각장애자용 길 안내 시스템
CN117579791B (zh) 具有摄像功能的信息显示系统及信息显示方法
KR101596256B1 (ko)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사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JP2024045224A (ja) 習慣的または緊急の移動ニーズを有するユーザに関する移送サポート
JP494469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用端末装置、サーバ装置、携帯用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誘導方法
KR20190023017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JP5762362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6500139B1 (ja) 視覚支援装置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Gintner et al. Improving reverse geocoding: Localization of blind pedestrians using conversational ui
KR102225456B1 (ko) 로드 메이트 시스템 및 로드 메이트 서비스 제공 방법
Dias et al. Future directions in indoor navigation technology for blind travelers
CN112291416A (zh) 一种实景辅助导航方法及导航系统
JP6816909B1 (ja) 避難誘導システム、避難誘導方法、および、眼鏡型ディスプレイ
JP4837545B2 (ja) 携帯用電話端末装置、携帯用電話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現在位置測定開始方法
Ren et al. Experiments with RouteNav, A Wayfinding App for Blind Travelers in a Transit Hub
WO2021090219A1 (en) 3d video generation for showing shortest path to destination
Smith et al. Connecting Pedestrians with Disabilities to Adaptive Signal Control for Safe Intersection Crossing and Enhanced Mobility: Final Report [2019]
KR20190044304A (ko) 보행자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